[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0597B1 -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97B1
KR890000597B1 KR1019850004241A KR850004241A KR890000597B1 KR 890000597 B1 KR890000597 B1 KR 890000597B1 KR 1019850004241 A KR1019850004241 A KR 1019850004241A KR 850004241 A KR850004241 A KR 850004241A KR 890000597 B1 KR890000597 B1 KR 89000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ing
sorting
pin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200A (ko
Inventor
구니오 기꾸지
후지오 가마다
마사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안리쯔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다 오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리쯔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다 오고 filed Critical 안리쯔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9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선별 반송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핀이 취부된 벨트의 일부확대 사시도.
제5a도는 핀의 정면도.
제5b도는 핀의 측면도.
제6도는 핀이 취부된 벨트의 기타예시 사시도.
제7도 및 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의 운전시 소음레벨을 종래의 로울러 체인을 사용한 장치의 소음레벨과 비교하여 표시한 그래프.
제9도는 종래 장치의 측면도.
제10도는 종래 장치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반송봉 5 : 반송판
20 : 풀리 22 : 벨트
32 : 핀
본 발명은 물품을 반송하여 이들 물품을 선별할 수 있는 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반송수단 사이에 이 반송방향에 대하여 횡단하는 방향에 복수의 반송봉을 건너 질러서 이들 반송간에 횡단방향에 미끄럼운동 자재한 복수의 반송판을 형성하여, 선별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반송판을 그위에 놓여진 물품과 같이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물품을 선별하는 물품의 반송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물품(예를들면 포장된 식품, 깡통)등을 반송함과 동시에, 이들 물품중 검사공정에서 발견된 불량품(중량부족, 포장의 파손 등의 제품)을 자동적으로 선별할수 있는 반송장치가 제조되어 왔다. 이러한 반송장치의 예로서 일본특허공보소 58-32729호에 표시된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의 예를 제9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하였는바, 즉, 이 장치에는 한쌍의 스프로켓(1)(2)과, 이들에 설치된 무단상 로울러 체인(3)으로된 반송수단이 형성되며, 이 반송수단은 소로 떨어져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반송수단의 로울러체인(3) 사이에는 복수개의 반송봉(4)이 반송방향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들 반송봉(4)의 양단부는 상기 로울러 체인(3)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 체인(3)의 각 링크를 지지하는 핀(10)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핀(10)의 연장부는 상기 각 반송봉(4)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내에 끼워 맞추어지므로서 이들 반송봉과 로울러 콘베이어가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반송봉(4) 사이에는 복수의 반송판(5)이 횡방향으로 미끄럼 작동 자재로 끼워 지지되어 있다. 또, 이들 반송판(5)의 하면 양단부에는 구동핀(6)이 돌출 설치되어있으며, 이들 반송판(5)의 하측에는 선별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선별수단은 이들 반송판(5)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에 경사로 배치된 한쌍의 선별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선별 가이드(7)의 후단부는 축에 취부되며, 이 가이드는 축에 의하여 수직면내에서 회동되며, 가이드의 전단부는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장치는, 입구측 콘베어(8)에서 각 반송판(5)위로 깡통이 이송된다. 그리고 통상의 상태에서는, 상시, 선별 가이드(7)는 제9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그 전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각 반송판의 하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구동핀(6)은 이 선별 가이드(7)에 걸리지 않게 되어 각 반송판(5)은 곧바로 이동하고, 이들 위의 깡통을 제1출구측 콘베어(9A)로 이송한다. 또 검사 행정에서 깡통의 중량부족이 검출되면, 이에 대응한 신호에 따라 상기 선별 가이드(7)의 일방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전단에 반송판(5)의 구동핀(6)이 걸어 맞추어진다. 따라서, 이 구동핀(6)은 이 선별 가이드(7)를 따라 미끄럼 동작하고, 이 반송판(5)은 장치의 종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횡방향으로 미끄럼 동작한다. 그리고, 이 반송판(5)의 위에 놓여져 있던 중량부족의 깡통은 제2의 출구측 콘베어(9B)에 이송된다. 또, 검사공정에서 깡통의 용기의 불량이 검출되면, 이 신호에 대응한 타선별 가이드(7)가 상기와 같이 회동하고, 그 결과 반송판(5)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횡방향 미끄럼 동작을 행하여 용기 불량 깡통은 제3의 출구측 콘베어(9C)위로 이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그 운전시의 소음이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 소음은, 상기 로울러 체인(3)과 반송봉(4)과의 연결부에 그 대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금속제 로울러 체인 대신에 합성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된 벨트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벨트를 사용하면, 그 신축, 굴곡등시에 반송봉의 간격이 변화하며 이들 사이에 미끄럼 자재로 끼워 맞추어져 있는 반송판과 이들 반송봉과의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여 굉음이 나고 또는 반송봉의 간극이 좁을 경우에는 반송판의 원활한 미끄럼 동작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반송수단으로서 탄성재료로 된 톱니가 달린 무단상 벨트를 사용하여 운전시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 이들 벨트내에서 심체를 매입시켜 이 벨트의 신축을 방지한다. 또, 이들 벨트의 축면에는 각각 핀을 돌설하고, 이들 핀을 반송봉의 단부에 끼워서 이들 반송봉의 양단부를 각각 벨트에 취부한다. 그리고, 이들 핀은 상기 심체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대체로 합치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심체에 의하여 상기 벨트의 신축량이 적어지며, 상기 핀의 간격변화가 줄어든다. 또, 이 벨트는 풀리의 부분 등에서 굴곡할 경우에는 상기 심체에서 내측에 있는 부분이 압축되며, 또 이 심체에서 외측에 있는 부분은 신장되어 이 심체의 길이는 대체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심체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핀은, 이러한 굴곡부에 있어서도 그 간격이 대체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반송봉과 반송판과의 사이에서 굉음이 방지되며 또 상기 반송판의 원활한 미끄럼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은 상기 벨트내에 매입된 매입부와 상기 반송봉의 단부의 키워질 구멍에 끼움부로 구성되어 있고, 이 끼움부와 매입부는 서로 편심하고 있음으로서 이 매입부는 상기 심체에서 벗어난 부분에 매입되어도 상기 끼움부는 이 심체의 중심에 대체로 합치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의 끼움부는 상기 심체의 중심에 대하여, 이 밸트의 톱니측 즉, 내측으로 약간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므로서 이 벨트는 풀리등에 감기워 만곡한 경우에는 상기 핀의 간격은 약간 좁아진다. 따라서, 반송봉은 풀리의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그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어 이들 반송봉 사이에 끼워져 있는 반송판을 협압한다. 따라서 이 풀리의 부분을 통과할때의 원심력이 이들 반송판에 작용해도 이들 반송판이 굉음을 내지는 않다.
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핀의 매입부의 단면형상은 궁형(弓形)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궁형 활에 대응한 평면은 평판상의 심체에 밀착하고 있다. 따라서, 이 핀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반송수단이 상이한 타의 종래 장치와 같은 구성이며 공통부분에 대하여는 종래의 것과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이 장치에는, 좌우 양단에 각각 1개씩 2개의 풀리(20)가 형성되며, 각 조의 2개 풀리 사이에는 무단상의 벨트 어셈브리(21)가 형성되며, 이들 벨트 어셈브리(21) 및 1조의 풀리(20)로 반송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벨트 어셈브리(21)는 서로 횡방향으로 떨어져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벨트 어셈브리(21) 사이에는 복수의 반송봉(4)이 횡단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이들 반송봉(4)의 양단부는 상기 벨트 어셈브리(21)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상기 풀리(20)가 회전 구동하면, 상기 벨트 어셈브리(21)가 주행하고, 이들 벨트 어셈브리(21)와 같이 반송봉(4)도 이동한다. 또, 이들 벨트 어셈브리의 중간부는 단면 L자형의 지지레일(28)에 의하여 지지되어 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지지레일(28)의 상면에는 마찰계수가 적은 합성수지 재료로된 미끄럼 시트가 설치되어 벨트 어셈브리(21)와의 사이의 마찰 저항을 경감한다. 또 상기 반송봉(4) 사이에는 반송판(5)이 횡방향으로 미끄럼 동작 자재로 끼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반송판(5)의 하면 양측단부에는 각각 구동핀(6)이 하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와 같은 선별 수단이 이들 구동핀과 걸어 맞추어지면, 이들 반송판(5)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벨트 어셈브리(21)는 탄성재료로 된 벨트(22)와, 이 벨트(22)의 측면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핀(3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벨트(22)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22)는 내측에 복수의 톱니부(26)를 갖는 무단상의 것으로 나트릴 고무, 폴리우탄 수지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벨트(22)내의 대체로 중심부에는 심체(24)가 일체로 매입되어 있다. 이 심체(24)는 폴리에스텔 수지섬유, 강와이어 등을 편직하여 형성한 평 벨트상의 것으로, 소정의 가요성(可撓性)은 있으나, 종방향으로는 거의 신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벨트(22)는 폴리(20)등의 부분을 통과하여 굴곡할 경우에는, 이 심체(24)에서 내측 부분은 압축되며, 또, 이 심체(24)에서 외측 부분은 신장하며, 이 심체(24)는 종방향으로는 거의 신축하지 않고 단순히 굴곡만 한다. 또, 이들 한쌍의 벨트(22)에는, 서로 대향한 측면에서 복수의 핀(32)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핀(32)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큰 합성수지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핀은 원주형의 끼워 맞춤부(42)와, 이 끼워 맞춤부(42)와 동심으로 이것보다 대경의 대경부(40)등을 형성하며, 또 이 대경부(40)의 후측에는 단면 궁형의 매입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매입부(44)의 단면형상은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대경부(40)와 같은 크기의 원일부를 절취하여 궁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22)에는, 각 톱니부(26)에 대응한 위치에서 심체(24)에 대하여 톱니부와는 반대측, 즉 외측의 부분에 각각 대체로 반원형인 복수개의 팽출부(52)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팽출부(52)에는 각각 횡단방향에 단면 궁형의 매입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매입구멍(50)의 내면중 단면형상이 궁형에 상당한 평면은 상기 평 벨트상의 심체(24)의 외측면의 일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32)의 매입부(44)는 이 매입구멍(50)내에 압입되고, 이 벨트(22)를 구성하는 탄성재료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임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매입부(44)는 단면형상의 궁형에 상당한 평면은 상기 심체(24)의 외측면에 상기 탄성력으로 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대경부의 주위 톱니부(26)의 선단부에 대응한 부분은 절제(切除)하여서 평면(46)으로 형성되며, 이 대경부의 주면부는 이 톱니부의 정상면으로부터 내측에는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매입부(44)의 평면과 상기 끼워 맞춤부(42)의 중심선의 연장선과의 사이 거리는, 상기 심체(24)의 두께 반분에 대체로 같게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끼워 맞춤부(42)의 중심은 상기 심체(24)의 중심에 대체로 합치하고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 끼워 맞춤부(42)의 중심선은 상기 심체(24)의 중심선에 대하여 약간의 거리 d만큼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부(42)는 상기 반송봉(4)의 양단부에 형성된 축방향의 끼워 맞춤구멍(34)내에 끼우고, 이 핀(32)을 통하여 반송봉(4)이 벨트(22)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는, 이 반송수단이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벨트(22)를 갖추고 있음으로, 진동등이 이 벨트의 탄성재료에서 흡수하여 소음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또, 이 벨트(22) 내에는 심체(24)가 매입되어 있어서, 이 벨트의 신축이 방지되며, 또 이 심체의 근방에 핀이 돌설되어 있어서 이 벨트가 굴곡한 경우에도 이들 핀의 간격 즉, 반송봉의 간격이 변화하지 않아 반송판의 굉음이 방지되며, 반송판의 원활한 미끄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이 핀의 매입부의 평면이 심체면에 밀착하고 있음으로서 이 핀과 벨트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진다. 또, 이 실시예는 핀 끼워 맞춤부가 심체의 중심에 대하여 내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벨트가 풀리 등의 부분을 통과할때에 굴곡한 경우 이들 핀의 간격 즉 반송봉의 간격이 감소함으로, 이 반송판이 이들 반송봉 사이에 끼워져 조여짐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이들 반송판이 풀리의 부분을 통과할때에는, 이들 반송판은 횡방향에는 미끄럼 동작하지 않음으로 이들 반송판이 협압되어 미끄럼 동작 불능하게 되어도 지장은 없다.
또, 이 실시예의 장치에 대하여 소음의 저감의 효과에 관한 시험을 한 결과를 제7도 및 8도에 표시한다. 제7도는 선별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의 데이터, 제8도는 선별수단에 의하여 게이트 동작을 입출, 차단을 하는 경우의 것이다. 이들 도면중의 선A는 종래의 로울러 체인을 사용한 것이고, 선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것으로 반송판을 폴리아세틸 수지로 형성한 경우의 것이며, 선C는 반송판을 폴리에스탄 수지(상표명 델링)로 형성한 경우이다. 그리고 이들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상기 핀(32)은 폴리에스틸 수지제이다. 이 경우의 소음의 측정위치는 이 장치의 입구측 단부에서 1.0m 떨어지며 높이는 1.0m의 위치이고, 소음측정기는 음향 측정기 주식회사제의 "사운드 레벨 메타"를 A계획으로 사용하였다.
또, 제6도에는 이 벨트 및 핀의 타 실시예를 표시하였는바, 이 실시예는 비교적 하중이 적은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벨트의 각 톱니부(60)의 부분에 심체(24)에 접하여 매입구멍(62)을 형성하고, 이 매입구멍(62)내에 핀(63)을 끼워 취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핀(63)은 심체(24)에 대하여 이 핀의 반경과 이 심체(24)의 두께의 반분만큼 내측에 치우쳤다.
또 이핀과 벨트와의 결합은 이 핀 매입부를 이 벨트의 매입구멍내로 탄성적으로 압입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핀의 매입부를 이 벨트내에 그 제조시에 일체로 몰딩해도 무방하며, 또 이 핀은 이 벨트를 구성하는 탄성재료 또는 심체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 이핀을 벨트내에 끼워 넣은후에 기계적인 스톱피를 해도 된다. 또 상기 벨트에는 반드시 팽출부를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이 벨트는 일정 두께의 것이면 된다. 뿐만 아니라, 핀의 매입부 형상은 반드시 단면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장치에 한정되는 것도 물론 아님과 동시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물품을 반송 및 선별하는 장치로서, 복수조의 풀리(20)를 구비하고 ; 복수의 벨트(22)를 구비하고, 이들 벨트(22)는 탄성재료로 형성함과 동시에 무단상을 이루며, 이들 벨트(22)의 내부에는 종방향에는 신축하지 않는 심체(24)를 매입하고 있으며, 또 이들 벨트(22)는 상기 각조 풀리(20) 사이에 걸쳐 있으며, 이들 벨트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며 ; 복수의 핀(32)을 구비하고 이들 핀(32)은 상기 한쌍의 벨트(22)에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돌출 설치되며, 이들 핀(32)은 상기 심체(24)은 근방에 돌출 설치되며 ; 복수의 반송봉(4)을 구비하여, 이들 반송봉(4)은 상기 한쌍의 벨트(22) 사이에 이들 벨트(22)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들 반송봉(4)의 단부는 상기 핀(32)을 통하여 상기 벨트(22)에 취부되고 ; 복수의 반송판(5)을 구비하여 이들 반송판(5)은 상기 반송봉(4) 사이에 횡방향으로 미끄럼 동작 자재하게 끼워 지지하며 ; 후단부는 축에 취부되어 수직면내에서 회동되는 선별 가이드(7)로 구성된 한개의 선별수단을 구비하고, 이 선별수단은 상기 복수의 반송판(5)을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32)은 매입부와 끼워 맞춤부 등을 구비하며, 이들 매입부와 끼워 맞춤부와는 서로 편심하여 배치되며, 상기 매입부는 상기 벨트(22)내의 상기 심체(24)를 피한 위치에 매입하고 있으며, 또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벨트(22)의 심체(24)에 대체로 합치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 끼워 맞춤부는 상기 반송봉(4)의 단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부의 단면형상은 궁형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부의 단면형상은 궁형에 상당한 평면은 상기 벨트(22)의 심체(24)의 표면에 밀착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벨트(22)의 각 톱니부에 대응한 위치에 취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22)의 각 톱니부에 대응한 위치에는, 상기 심체(24)에 대하여 상기 톱니부와는 반대측에 팽출부가 형성되며, 이들 팽출부에는 벨트(22)의 횡방향에 매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매입구멍내에 상기 핀(32)이 끼워지며, 이 벨트(22)를 구성하는 탄성재료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 핀(32)이 조여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32)은 상기 벨트(22)의 심체(24)에 대하여 톱니부 측에 편심하여 배치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8. 물품을 반송 및 선별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상의 톱니가 달린 벨트 어셈브리로서 ; 벨트(22)를 구비하고, 이 벨트(22)는 탄성재료로 형성되며, 이 탄성재료내에는 종방향으로는 신축하지 않고 가요성을 구비한 심체(24)를 매입하며 ; 복수의 핀(32)을 구비하고, 이들 핀은 상기 벨트(22)의 측면에서 돌출하고, 이들 핀(32)은 상기 심체(24)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대체로 합치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용의 벨트 어셈브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32)은 매입부와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며, 이들 매입부와 끼워 맞춤부와는 서로 편심하여 배치되고, 상기 매입부는 상기 심체(24)의 위치를 피하여 상기 벨트(22)내에 매입되며, 또 상기 끼워 맞춤부는 상기 심체(24)의 두께 방향의 중심에 대체로 합치하여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용 벨트 어셈브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22)에는 그 톱니부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심체(24)에 대하여 상기 톱니부와는 반대측에 팽출부를 형성하며, 이들 팽출부에 이 벨트의 횡단방향에 매입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매입구멍내에는 상기 핀(32)의 매입부가 끼워 맞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용의 벨트 어셈브리.
KR1019850004241A 1984-06-18 1985-06-15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Expired KR89000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24873 1984-06-18
JP59124873A JPS617130A (ja) 1984-06-18 1984-06-18 物品分類装置
JP124873 1984-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200A KR860000200A (ko) 1986-01-27
KR890000597B1 true KR890000597B1 (ko) 1989-03-21

Family

ID=1489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241A Expired KR890000597B1 (ko) 1984-06-18 1985-06-15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37508A (ko)
JP (1) JPS617130A (ko)
KR (1) KR890000597B1 (ko)
DE (1) DE3521720A1 (ko)
GB (1) GB2161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488B2 (ja) * 1985-08-20 1994-12-14 株式会社マキ製作所 青果物の分配供給装置
JPH053276Y2 (ko) * 1987-02-27 1993-01-26
US4984675A (en) * 1989-09-27 1991-01-15 Nihon Cement Co., Ltd. Article sorting device
US4971190A (en) * 1989-09-29 1990-11-20 Automotion, Incorporated Conveyor cross switch
GB2237255A (en) * 1989-10-09 1991-05-01 Douglas Charles Mcrae Conveyor web or flexible ladder
US5027939A (en) * 1990-01-24 1991-07-02 Alvey Inc. Sorting conveyor system
CA2038878C (en) * 1990-03-29 1993-12-21 Yoshihiko Fujio Transfer apparatus
GB9017802D0 (en) * 1990-08-14 1990-09-26 Mead Corp Mechanical handling system for rotating & dividing a line of packages
US5127510A (en) * 1990-10-31 1992-07-07 Rapistan Demag Corporation Modular diverter shoe and slat construction
US5115902A (en) * 1990-12-24 1992-05-26 Thiele Engineering Company Lane divider
US5333715A (en) * 1991-12-16 1994-08-02 Fki Industries, Inc. Sorting conveyor system and divert switch and crossover switch for said system
US5191959A (en) * 1992-06-10 1993-03-09 Alvey Inc. Sorting conveyor with vertical switching system
DE4232387A1 (de) * 1992-09-26 1994-03-31 Dixie Union Verpackungen Gmbh Förder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von Produktportionen
GB9305681D0 (en) * 1993-03-19 1993-05-05 Reekie Mfg Ltd Open web
US5590758A (en) * 1995-06-06 1997-01-07 Western Atlas Inc. Slat sorter
US7530441B2 (en) * 2006-06-06 2009-05-12 Intelligrated, Inc. Sortation conveyor and crossover switch therefor
US7503447B2 (en) * 2006-07-17 2009-03-1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Turner/divider reject system
US7713018B2 (en) * 2006-09-28 2010-05-11 Goater George H Bottom board separator
US20100126831A1 (en) * 2008-11-26 2010-05-27 Applied Materials, Inc. Self cleaning belt conveyor
MX371482B (es) * 2015-05-27 2020-01-30 Univ Mexico Nac Autonoma Reductor de velocidad de tornillo impulsor y cadena.
US10781000B2 (en) * 2017-06-19 2020-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water soluble pouch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8925C (de) * 1949-10-07 1951-10-29 Kurt Basse Siebkette
DE1101274B (de) * 1959-11-24 1961-03-02 Wiese Hans Holger Stabrost-Foerderband
US3190432A (en) * 1963-08-29 1965-06-22 Scale Specialties Inc Conveyor switching device
DE2005856A1 (de) * 1970-02-10 1971-08-26 Khnkicht, Helmut, 2051 Stemwarde Siebstabband fur Forderer
JPH0236646B2 (ja) * 1981-09-01 1990-08-20 Toyota Motor Co Ltd Shintanyakiirebuhinnobubunyakimodoshihoh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1779A (en) 1986-01-22
JPS617130A (ja) 1986-01-13
DE3521720A1 (de) 1986-01-16
GB2161779B (en) 1987-12-09
GB8515176D0 (en) 1985-07-17
US4637508A (en) 1987-01-20
KR860000200A (ko) 198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597B1 (ko)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US7762388B2 (en) Belt of a chain conveyor with innovative drive links
EP1981785B1 (en) Conveyor with troughed low friction, positive drive belt
US7641045B2 (en) Top plate conveyor device
JPH02117511A (ja) 無端集積コンベア
NL2002878C2 (en) A conveyor having parallel conveyor members.
DE59701290D1 (de) Scheibenstapler, insbesondere für Käsescheiben
US4890724A (en) Conveyor with articles carriers mounted on an endless chain
WO1999035062A1 (en) Curved conveyor
US8689969B2 (en) Conveyors and transmission belts
JPH0680223A (ja) エンドレスベルトコンベヤ
CA1169801A (en) Apparatus for conveying sheets such as veneer having improved wicket construction
SE513797C2 (sv) Transportör för klädgalgar
US5054760A (en) Apparatus for conveying flat products
ATE61782T1 (de) Foerdervorrichtung.
US20050109579A1 (en) Pallet conveyor
EP0623531A2 (en) An improvement in a stocking belt conveyor
JP2006016137A (ja) 搬送仕分装置
JP3626817B2 (ja) コンベアベルト構成単位片と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コンベアベルト
NO882072L (no) Innretning for maskinell mottagelse av tomgods.
JPS61267606A (ja) チエ−ンコンベヤ
US4724952A (en) Single-belt conveyor
JPH04354708A (ja) 急傾斜・垂直コンベア
KR890009736A (ko) 굽힘 반송장치
KR100620246B1 (ko) 콘버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3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3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