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13470A -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70A
KR19990013470A KR1019980025043A KR19980025043A KR19990013470A KR 19990013470 A KR19990013470 A KR 19990013470A KR 1019980025043 A KR1019980025043 A KR 1019980025043A KR 19980025043 A KR19980025043 A KR 19980025043A KR 19990013470 A KR19990013470 A KR 19990013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ated
meth
monomer
acrylat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커슁-예
라우윌리
로젠린드에릭지구르트
Original Assignee
에들러마크에스.
롬앤드하스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들러마크에스., 롬앤드하스캄파니 filed Critical 에들러마크에스.
Publication of KR1999001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08F220/24Esters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perhaloalkyl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12Monomers containing a branched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or a ring substituted by an alk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8Vinylidene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2Ester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D1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물, 표면활성제, 최소 하나의 불소화 단량체, 높은 수용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및 낮은 수용성을 갖는 임의의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불소화 에멀젼 중합체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본 발명은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화된 중합체들은 우수한 내후성, 내고온성, 발수성 및 발유성, 낮은 표면 장력, 화학적 불활성, 및 낮은 가연성과 같은 수많은 바람직한 특성들을 갖는다. 이들 특성들은 많은 산업 분야에서 직물과 다양한 기질용 코팅 물질로서 불소화된 중합체를 사용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과불소화된 단량체, 특히 4 ~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기와 같은 과불소화된 알킬 사슬을 함유하는 것들로부터 에멀젼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이는 이들 단량체들이 본래 물불용성이며 대부분의 유기 탄화수소 용매와 단량체에서 불량한 용해도를 갖기 때문이다. 과불소화된 단량체들의 불용성은 단량체 소적으로부터 중합하는 입자로 이동되는 능력을 제한한다. 결과로서, 입자 크기 분포가 넓으며, 공중합체 조성물이 균일하지 않으며 중합중 고수준의 겔이 형성된다. 이러한 겔 형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과 과불소화된 단량체 모두에서 높은 용해도를 갖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이 불소화된 단량체를 중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매들은 단량체 소적으로부터 중합 입자로의 단량체의 이송을 돕는다. 다른 방법들로는 겔 또는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와 과불소화된 분획과 탄화수소 분획을 함유하는 화합제(compatabilizer)와의 혼합물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의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들을 사용한다. 이들 방법 모두는 외부(foreign)성분들을 중합체 라텍스로 도입시키는 불이익을 갖는다.
용매들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성분의 원인이 되며, 과불소화된 표면활성제들은 중합체 성분을 희석시키며 이들이 이동함으로써 박막의 표면 조성물과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합체 박막에서 끝난다. 또한, 대량의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중합체 라텍스의 비용을 능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의 양을 감소시키면 겔 형성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특허 제 5,521,266(Lau) 에는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는 소수성 탄화수소 단량체의 에멀젼 중합이 개시되어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의 존재는 수성상을 통한 소수성 긴 알킬 사슬 단량체들의 이동을 촉진하게 하여 종래의 에멀젼 중합 방법으로 단일- 또는 공중합될 수 있도록 한다. 과불소화된 단량체를 이 에멀젼 중합 방법에 적용하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비-스틱 조리기구 표면용 플루오로카본 코팅액의 사용으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플루오로카본과 탄화수소 또는 물과의 불화합성은 잘 알려져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의 공동은 히드록실화된 탄화수소를 갖는 설탕 고리이다. 에멀젼 중합에서 수성상을 통해 불소화된 단량체를 운반하는데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기대되지 않으며 미국특허 제 5,521,266에 나타나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 제조를 위한 알려진 방법에 관련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와 높은 수용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를 중합된 단위체로서 포함하며,
a) ⅰ) 물,
ⅱ) 표면활성제,
ⅲ)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 1 ~ 99 중량%, 높은 수용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1 ~ 10 중량%, 및 낮은 수용성을 갖는 최 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0 ~ 98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 물,
ⅳ)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
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과, 중합된 단위체로서,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 1 ~ 99 중량%,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1 ~ 10 중량%, 및 낮은 수용해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0 ~ 98 중량%를 포함하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기질을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에 대한 필요성을 경감시키거나 제거하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겔 형성을 감소시킨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낮은 수용성을 갖는은 25 ~ 50℃의 온도 범위에서 200 mmol/L 이하의 물 용해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은 25 ~ 50℃의 온도 범위에서 200 mmol/L 이상의 물 용해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용어 (메트)아크릴은 메타크릴과 아크릴을 의미하며, 용어 (메트)아크릴아미드는 메타크릴아미드와 아크릴아미드를 의미한다. 용어 플루오로알킬은 부분적으로 불소화되거나 과불소화된 (C1-C20)알킬을 의미한다.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을 의미한다. 다른 표시가 없으면, 모든 양들은 중량%이며, 모든 중량% 범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음의 약어들이 사용된다:
g = 그램; AATCC = 미국 직물 화학자 및 착색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 BA = 부틸 아크릴레이트; 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AA = 메타크릴산; 2-EHA =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STY = 스티렌.
적합한 불소화된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플루오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술포아미도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아미도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플루오로알킬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술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에틸 비닐 에테르; 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비닐 에테르; 펜타플루오로 스티렌; 플루오로알킬 스티렌; 불소화된 α-올레핀; 퍼플루오로부타디엔; 1-플루오로알킬퍼플루오로부타디엔; αH, αH, ωH, ωH-퍼플루오로알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β-치환된 플루오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불소화된 단량체들은 4 ~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플루오로(C6-C20)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불소화된 단량체로는 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이다.
낮은 수용해성을 갖는 적합한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1차 알켄과 같은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스티렌과 알킬치환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 2-에틸헥사노에이트와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와 같은 (C4-C30)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옥틸 아크릴아미드와 말레산 아미드와 같은 N-알킬 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 알킬 또는, (C3-C30)알킬기를 갖는 스테아릴 비닐 에테르와 같은 아릴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일 (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트)아크릴산의 (C1-C30)알킬 에스테르; 지방산과 지방산 알코올로부터 유도된 것들과 같은(메트)아크릴산의 불포화된 비닐 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기능성 단량체; 및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등을 포함한다. 이들 단량체들은 또한 히드록시, 아미도, 알데히드, 우레이도, 및 폴리에테르와 같은 기능기를 함유한다.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적합한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들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트)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퓨마르산, 크로톤산, 모노알킬 말레이트, 모노알킬 퓨마레이트 및 모노알킬 이타코네이트를 포함하는 최소 하나의 카복시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들과 같은, 산 기능기를 함유하는 α,β-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산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포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필술폰산과 이러한 산 기능성 및 산-치환된 단량체의 알칼리 금속과 암모늄염과 같은, 산 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차-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민 치환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염기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와,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롤레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표면활성제로는 에멀젼 중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면활성제로는 불소화되지 않은 그리고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들을 포함한다. 불소화되지 않고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표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표면활성제로는 불소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되지 않은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된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불소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와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불소화되지 않은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로는, 이에 한정되는 않지만, 에톡실화된 옥틸페놀; 에톡실화된 노닐페놀; 및 에톡실화된 지방산 알코올을 포함한다. 적합한 불소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소디움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노닐페놀, 옥틸페놀, 및 지방산 알코올의 황화되고 에톡실화된 유도체; 및 에스테르화된 술포숙시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불소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로는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지방산 염들 및 황화된 노닐페녹시폴리(에톡실렌옥사이드)에탄올 암모늄염 등이다. 적합한 불소화되지 않은 양이온성 표면활성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라우릴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디메틸 아민 아세테이트; 및 (C8-C18)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플루오로(C6-C20)알킬카복시산염; 플루오로(C4-C20)알킬술폰산염; 플루오로(C4-C20)알킬벤젠 술폰산염; 플루오로(C4-C20)알킬폴리(에틸렌옥사이드)에탄올; 3-플루오로(C1-C6)알킬에톡시-프로피온산염; 3-플루오로(C1-C6)알킬에틸티오-프로피온산염; 3-플루오로(C1-C6)알킬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염; 플루오로(C4-C20)알킬 트리(C1-C6)알킬암모늄염; 플루오로(C4-C20)알킬폴리(플루오로알킬렌옥사이드)술폰산염; 플루오로(C4-C20)알킬아미도-알킬렌 트리(C1-C6)알킬암모늄염; 플루오로(C4-C20)알킬술포아미도 알킬렌 트리(C1-C6)알킬 암모늄염; 및 3-플루오로(C4-C20)알킬술포아미도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염을 포함한다. 불소화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반대이온으로는 1가, 2가, 또는 3가 금속 양이온들이다.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불소화된 표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로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에틸렌옥사이드)에탄올과 3-(퍼플루오로알킬에틸티오)프로피온산 리튬염이다.
표면활성제의 총량은 단량체 에멀젼내의 단량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이다.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의 총량은 단량체 에멀젼내의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 5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 ~ 2 중량%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불소화된 단량체 90 중량% 이상과 같이 높은 백분율을 갖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경우,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불소화된 단량체 약 90 중량% 미만을 갖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경우,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를 불소화되지 않은 표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화되지 않은 표면활성제는 음이온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불소화된 것과 불소화되지 않은 표면활성제 모두를 사용할 경우, 불소화된 표면활성제 대 불소화되지 않은 표면활성제의 중량비는 80:20 ~ 2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들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 5,521,266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시클로덱스트린과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시클로이눌로헥소오스, 시클로이눌로헵토오스 및 시클로이눌로옥토오스와 같은 소수성 공동을 갖는 고리형 올리고당류; 캐비탄드(cavitands)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용한 시클로덱스트린과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특정 중합 조건하에서 이들의 용해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적합한 시클로덱스트린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적합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메틸, 트리아세틸, 히드록시프로필, 및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및 γ-시클로덱스트린의 히드록시에틸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소수성 공동을 갖는 바람직한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로는 시클로덱스트린과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들이다. 바람직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는 메틸 β-시클로덱스트린이다.
물, 표면활성제, 단량체 혼합물 및 거대분자 화합물은 어떠한 순서로도 반응 용기에 첨가할 수 있다.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할 수 있다.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은 불소화된 단량체와 혼합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을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표면활성제 및 어떠한 임의의 단량체들을 반응 용기에 첨가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단량체 혼합물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기 전에,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을 단량체 혼합물과 혼합시킬 수 있다. 또다른 대안으로, 이 단량체 혼합물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기전, 도중, 또는 이후에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을 반응 용기에 첨가할 수 있다. 단량체 혼합물을 첨가하기전에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을 반응 용기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 대 불소화된 단량체의 몰비는 5:1 ~ 1:5000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1 ~ 1:1000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 1:500의 범위이다. 통상적으로 1:1 ~ 1:500과 같은 촉매 범위의 몰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교차결합제의 종류와 양의 선택, pH 조절, 여러 성분들의 첨가 속도, 고형물의 수준, 및 에멀젼 중합을 위한 반응 온도는 에멀젼 중합 기술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자유 라디칼 개시제가 에멀젼 중합에서 사용된다. 적합한 자유 라디칼 개시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과산화수소; ter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나트륨, 칼륨, 리튬 및 암모늄 퍼술페이트 등을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 메타비술파이트, 하이드로술파이트, 및 하이포술파이트; 및 소디움 포름알데히드 술폭실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술파이트와 같은 환원제;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환원당을 개시제와 혼합하여 사용하여 산화환원계를 형성할 수 있다. 개시제의 양은 통상적으로 단량체 총량을 기준으로 통상적으로 0.01 ~ 2 중량%이다. 산화환원계를 사용할 경우, 환원제의 양은 단량체 총량을 기준으로 0.01 ~ 2 중량%의 범위이다. 철염과 같은 전이 금속 촉매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온도 범위는 통상적으로 10 ~ 100℃이다. 퍼술페이트계의 경우에 온도 범위는 75 ~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환원계의 경우, 상기 온도 범위는 20 ~7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임의로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불소화된 표면활성제가 조성물내에 존재할 경우, 이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는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에틸렌옥사이드)에탄올과 3-(퍼플루오로알킬에틸티오)프로피온산 리튬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들은 섬유와 직물, 타일, 벽돌, 시멘트, 콘크리트용 코팅물 및 왁스 또는 실리콘을 대신한 어떠한 배합물내의 혼합 성분들과 같은 고성능 코팅물에 유용하다. 왁스 또는 실리콘 대신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들을 종래의 배합물에 첨가하면 이 배합물로 코팅된 표면에 증대된 발수성을 제공한다. 불소화된 중합체들은 또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매우 소수성 표면에 접착성을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불소화된 중합체들은 접착제로서, 코팅물로서 또는 적용될 코팅물에 혼합된 상태로 매우 소수성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60 및 325 메쉬 스크린 모두로부터 여과되지 않은 물질을 수집하고, 물질을 압축하여 과량의 물을 배출한 다음 저울상에서 압축된 물질을 칭량함으로써 습윤 겔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다음의 표면활성제와 단량체들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RohdapexCO-436 : 59% 수용액으로서의 황화 폴리에톡시노닐페놀의 나트륨염
SLS : 소디움 라우릴 술페이트, 28% 수용액으로 사용됨
ZonylTM : 퍼플루오로알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CH2=C(CH3)CO2CH2CH2(CF2)nCF3, n = 3-19
ZonylTAN :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
CH2=CHCO2CH2CH2(CF2)nCF3, n = 5-17
ZonylFSN : 퍼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에틸렌옥사이드)에탄올, 50/50 물/이소프로 판올 혼합물내의 40% 용액으로서의 비이온성 불소화된 표면활성제
ZonylFSA : 3-(퍼플루오로알킬에틸티오)프로피온산 리튬염, 50/50 물/이소프로판 올 혼합물내의 25% 용액으로서의 음이온성 불소화된 표면활성제
CD : 메틸-b-시클로덱스트린
Zonyl은 DuPont 사의 상표명이다. Rhodapex은 Rhone-Poulenc Chimie사의 상표명이다.
실시예 1
단량체 에멀젼 제조.
부틸 아크릴레이트 15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40g, Zonyl TM 500g 및 메타크릴산 10g의 단량체 혼합물과 탈이온수 300g, Rhodapex CO-436 6.7g 및 Zonyl FSN 10g의 수성 혼합물을 별도의 용기에서 60℃로 가열시켰다. 다음으로 2개의 고온의 혼합물을 혼합하고 균질화하여 안정한 단량체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이 안정한 에멀젼을 고온 상태로 또는 상온으로 냉각시킨후 사용하였다.
중 합
3-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응축기, 기계 교반기, 열전쌍, 단량체 공급라인, 개시제 공급 라인 및 질소 유입구를 장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탈이온수 400g, Rhodapex CO-436 표면활성제 10g 및 Zony FSN 표면활성제 15g을 첨가하였다. 이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교반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81℃로 가열시켰다. 이 플라스크에 50.3% CD 수용액에 이어 탈이온수 20g을 첨가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상기한 단량체 에멀젼 35.5g과 탄산나트륨 3.5g과 탈이온수 20g의 완충 용액을 첨가하였다. 2분간 교반한후, 암모늄 퍼술페이트 2g과 탈이온수 20g의 개시제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후 약 2℃의 발열 반응이 보통 관측되었다. 발열반응의 최고 온도에 이른지 10분후,온도를 81℃로 유지하면서 60분에 걸쳐 단량체 에멀젼의 나머지 부분 및 암모늄 퍼술페이트 1g과 탈이온수 50g의 제2 개시제 용액을 서서히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공급이 완료된 후 추가로 15분간 플라스크의 함유물들을 81℃로 유지한 다음 50℃로 냉각시켰다. 냉각중, 70℃에서 0.1% 황산 제일철 용액 1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2분후,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 0.15g을 별도로 첨가하였다. 50℃에서,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용액의 또다른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의 또다른 0.15g을 플라스크에 별도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수산화 암모늄 용액을 적정 첨가하여 최종 에멀젼을 pH 8 - 9로 중화시켰다. 다음으로 중화된 에멀젼을 60 및 325 메쉬 스크린을 통해 여과시켰다. 이 중합체에 대한 데이터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 6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와 CD의 양이 변화되었으며 실시예 5에서 다른 탄화수소 표면활성제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절차들을 따랐다.
비교 실시예 C-1 - C-4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D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의 양이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절차들을 따랐다.
실시예 탄화수소표면활성제 중량% Zonyl FSN중량% CD 중량% 습윤 겔(g)
123456C-1C-2C-3C-4 Rhodapex CO-436Rhodapex CO-436Rhodapex CO-436Rhodapex CO-436SLSRhodapex CO-436SLSRhodapex CO-436Rhodapex CO-436Rhodapex CO-436 11110.4210.42111 1110.50.500.5115 0.5111110000 1162010122649036025011
상기 데이터는 불소화된 단량체의 에멀젼 중합에서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면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며 중합중 형성된 겔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
단량체 에멀젼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80g, 스티렌 410g, Zonyl TM 300g 및 메타크릴산 10g을 포함하는 60℃ 유기 혼합물과, 탈이온수 300g, Rhodapex C0-436 10g과 Zonyl FSN 용액 15g을 포함하는 60℃ 수성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단량체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안정한 에멀젼은 가온하거나 상온으로 냉각시킨후 사용하였다.
중 합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탈이온수 400g, Rhodapex CO-436 표면활성제 용액 15g 및 Zonyl FSN 표면활성제 용액 22.5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 플라스크의 함유물을 85℃로 가열한 다음 50.3% CD 수용액 20g과 탈이온수 헹굼액 20g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단량체 에멀젼 35.5g 및 탄산 나트륨 3.5g과 탈이온수 20g의 완충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2분간 교반한 후, 암모늄 퍼술페이트 2g과 탈이온수 20g의 개시제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후 약 2℃의 발열반응이 보통 관측되었다. 발열반응의 최고 온도에 이른지 약 10분후, 온도를 81℃로 유지하면서 단량체 에멀젼의 나머지 부분 및 암모늄 퍼술페이트 1g과 탈이온수 50g의 제2 개시제 용액을 60분간에 걸쳐 플라스크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공급 완료후 플라스크의 함유물을 추가로 15분간 81℃로 유지한 다음 50℃로 냉각시켰다. 냉각중, 약 70℃에서 0.1% 황산제일철 용액 1g을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용액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 0.15g을 별도로 첨가하였다. 50℃에서,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용액의 또다른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의 또다른 0.15g을 플라스크에 별도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최종 에멀젼을 수산화 암모늄 용액의 적정 첨가로써 pH 8 - 9로 중화시켰다. 다음으로 중화된 에멀젼을 60 및 325 메쉬 스크린으로 여과시켰다.
실시예 8
표면활성제 수준이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단량체 에멀젼에 사용된 표면활성제의 양은 Rhodapex CO-436 용액 9.33g과 Zonyl FSN 용액 6g이었다. 플라스크에 첨가된 표면활성제의 양은 Rhodapex CO-436 용액 14g과 Zonyl FSN 용액 9g이었다.
실시예 9
사용된 불소화된 표면활성제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Zonyl FSA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 기술된 절차들을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A
불소화된 표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단량체 조성이 부틸 아크릴레이트 150g, 스티렌 340g, Zonyl TM 500g 및 메타크릴산 10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다른 작동기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절차들을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단량체 조성이 부틸 아크릴레이트 150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40g, Zonyl TAN 500g 및 메타크릴산 10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단량체 조성이 부틸 아크릴레이트 90g, 스티렌 200 g, Zonyl TM 700g 및 메타크릴산 10g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술된 절차를 사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단량체 에멀젼
Zonyl TM 990g과 메타크릴산 10g을 포함하는 60℃ 유기 혼합물과, 탈이온수 300g과 Zonyl FSN 용액 15g을 포함하는 60℃ 수성 혼합물을 균질화함으로써 단량체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중 합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여, 탈이온수 400g과 Zonyl FSN 표면활성제 용액 10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 플라스크의 함유물을 85℃로 가열한 다음 50.3% 메틸-b-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 20g과 탈이온수 헹굼액 20g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단량체 에멀젼 35.5g 및 탄산 나트륨 3.5g과 탈이온수 20g의 완충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2분간 교반한 후, 암모늄 퍼술페이트 2g과 탈이온수 20g의 개시제 용액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개시제 용액 첨가후 약 2℃의 발열반응이 보통 관측되었다. 발열반응의 최고 온도에 이른지 약 10분후, 온도를 81℃로 유지하면서 단량체 에멀젼의 나머지 부분 및 암모늄 퍼술페이트 1g과 탈이온수 50g의 제2 개시제 용액을 60분간에 걸쳐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공급 완료후 추가로 15분간 플라스크의 함유물을 81℃로 유지한 다음 50℃로 냉각시켰다. 냉각중, 약 70℃에서 0.1% 황산제일철 용액 1g을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용액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 0.15g을 별도로 첨가하였다. 50℃에서, 탈이온수 10g과 혼합된 70%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용액의 또다른 0.3g과 탈이온수 10g에 용해된 소디움 술폭실레이트 포름알데히드의 또다른 0.15g을 플라스크에 별도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최종 에멀젼을 수산화 암모늄 용액 적정 첨가에 의해 pH 8 - 9로 중화시켰다. 다음으로 중화된 에멀젼을 60 및 325 메쉬 스크린으로 여과시켰다.
표 2의 데이터는 단량체 총중량을 기준으로한 중량%이다.
실시예No. 단량체 조성 RhodapexCO-436 불소화된표면활성제 CD 습윤겔
BA 2-EHA MMA Sty ZonylTM ZonylTAN MMA 중량% 형 태 중량% 중량% g
7899A1011121314 000015151590 2828282800000 00000343400 414141413400200 30303030505007099 0000005000 111111111 1.51.41.41.51110.60 Zonyl FSNZonyl FSNZonyl FSA없음Zonyl FSNZonyl FSNZonyl FSNZonyl FSNZonyl FSN 1.50.60.601111.41 111111111 1.72.51.545200.10.10.10.6
상기 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에서 단량체와 표면활성제의 양의 범위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또한 유기 용매 또는 화합제를 중합체 라텍스에 도입시키지 않고 불소화된 표면활성제 부재하에 불소화된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로 처리된 직물을 물에 의한 젖음에 대한 저항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4의 중합체와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불소화되지 않은 아크릴성 결합제인, RhoplexST-954 결합제(Rohm and Haas사의 상표명)을 표준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나일론 직물상에서의 발수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처리된 나일론 시료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에멀젼 중합체의 수성 분산물 10 중량%를 제조하였다. 이 결합제 배합물을 1.72 x 105Pa의 압력(25 PSI)과 8.23 m/min(27 ft/min)의 속도로 Birch Brothers 패더상에서 패딩하였다. 이 시료를 4분간 150℃의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나일론 시료에 결합제 첨가물의 양은 약 6 중량%였다.
AATCC Test Method 22-1980 Water Repellency Spray Test를 사용하여 패딩된 시료들을 평가하였다. 0 등급은 상하 표면을 완전히 적신 것을 나타내며; 90 등급은 상부 표면을 약간 적신 것을 의미하며; 그리고 100 등급은 상부 표면이 전혀 적셔지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분사 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시 료 분사 시험 등급
실시예 4 90상업용 결합제 0
이들 데이터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가 직물로부터 물을 반발시키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를 함유하는 코팅물로 처리된 타일을 발수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16-1 ~ 16-6로 표시된 6개의 시료와, 16-C로 표시된 비교 시료들을 하기 표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 시료 16-C는 상업용으로 시판중인, 불소화되지 않은 아크릴성 결합제인 AcryloidB-66 결합제(Rohm and Haas Company의 상표명)로부터 제조하였다. Saltillo Mexican 타일상에 각 시료중 하나를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각 타일을 물 투과성, 물 기포성, 물 얼룩 및 광택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처리되지 않은 타일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표에 나타내었다. 물 투과력은 물이 코팅물을 투과하는 시간(시)였다. 물 기포성은 1을 최저로하고 10을 최고로하여, 1 ~ 10의 범위로 등급을 매겼다. 물 얼룩과 광택은 육안 검사로 측정하였다.
시 료 16-1 16-2 16-3 16-4 16-5 16-6 미처리된대조군 16-C
암모늄 퍼플루오로알킬술포네이트(1%), g실리콘 소포제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g가소제, g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g플루오로 중합체(20%)실시예 No. 0.32 방울1.500.313 0.32방울1.10.20.313 0.32방울1.500.311 0.32방울1.10.20.311 0.32방울1.500.312 0.32방울1.10.20.312 -----없음 B-66
총중량, g 20 20 20 20 20 20 -
박막 데이터:물 투과력, 시간물 기포성물 얼룩광택: 2 이상10없음높음 0.510없음높음 2 이상10없음높음 2이상10없음높음 2이상10없음높음 0.510없음높음 0없음있음매우낮음 2미만1있음매우낮음
상기 데이터로부터,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를 함유한 코팅물은 코팅되지 않은 타일 또는 불소화되지 않은 중합체 코팅물로 코팅된 타일에 비해 고광택, 물 투과력에 대한 큰 저항성 및 증대된 물 기포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불소화 에멀젼 중합체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와 높은 수용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를 중합된 단위체로서 포함함으로써 불소화된 표면활성제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0)

  1.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와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를 중합된 단위체로서 포함하며,
    a)ⅰ) 물,
    ⅱ) 표면활성제,
    ⅲ)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 1 ~ 99 중량%,
    높은 수용해성를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1 ~ 10 중량%, 및 낮은 수용해성를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0 ~ 98 중량% 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ⅳ) 소수성 공동을 갖는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
    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된 단량체는 플루오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술포아미도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아미도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플루오로알킬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알킬렌옥사이드)(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술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알킬에틸 비닐 에테르; 플루오로알킬에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비닐 에테르; 펜타플루오로 스티렌; 플루오로알킬 스티렌; 불소화된 α-올레핀; 퍼플루오로부타디엔; 1-플루오로알킬퍼플루오로부타디엔; αH,αH,ωH,ωH-퍼플루오로알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β-치환된 플루오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된 단량체는 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퍼플루오로옥틸에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은 시클로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시클로이눌로헥소오스; 시클로이눌로헵토오스; 시클로이눌로옥토오스 ; 캘릭사렌(calyxarene) 및 캐비탠드(cavitand)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는 산 기능기를 함유하는 α,β-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산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술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산 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염기성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치환된(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롤레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수용해성을 갖는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스티렌과 알킬치환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C4-C30)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N-알킬 치환된 (메틸)아크릴아미드; (C3-C30)알킬기를 갖는 비닐 알킬 또는 아릴 에테르; (메트)아크릴산의 (C1-C30)알킬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의 불포화된 비닐 에스테르; 다기능성 단량체 및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된 단량체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 대 불소화된 단량체의 몰비는 5:1 ~ 1:5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활성제는 불소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되지 않은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불소화된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거대분자 유기 화합물과, 중합된 단위체로서, 최소 하나의 불소화된 단량체 1 ~ 99 중량%, 높은 수용해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1 ~ 10 중량%, 및 낮은 수용성을 갖는 최소 하나의 불소화되지 않은 단량체 0 ~ 98 중량%를 포함하는 불소화된 에멀젼 중합체로 이루어진 조성물.
  10. 제9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기질을 포함하는 물품.
KR1019980025043A 1997-07-11 1998-06-29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KR199900134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26897P 1997-07-11 1997-07-11
US60/052,268 1997-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70A true KR19990013470A (ko) 1999-02-25

Family

ID=2197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043A KR19990013470A (ko) 1997-07-11 1998-06-29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5969063A (ko)
EP (1) EP0890592B1 (ko)
JP (1) JPH1171417A (ko)
KR (1) KR19990013470A (ko)
CN (1) CN1144822C (ko)
AU (1) AU745074B2 (ko)
BR (1) BR9802419A (ko)
CA (1) CA2242730C (ko)
DE (1) DE69814249T2 (ko)
HK (1) HK1018280A1 (ko)
ID (1) ID21261A (ko)
IL (1) IL125133A0 (ko)
MY (1) MY116758A (ko)
SG (1) SG74057A1 (ko)
TW (1) TW494125B (ko)
ZA (1) ZA9856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088B2 (ja) * 1998-07-10 2009-04-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粒状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US6858229B1 (en) * 1999-04-26 2005-02-2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In situ forming hydrogels
EP1238004B1 (en) * 1999-11-16 2004-01-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ain resistant compositions
DE19963586A1 (de) * 1999-12-29 2001-07-12 Dupont Performance Coating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ckbindemitteln und deren Verwendung in Überzugsmitteln
IT1318805B1 (it) 2000-09-01 2003-09-10 Ausimont Spa Formulazione a base di ptfe per l'isolamento di circuiti integrati
US7279522B2 (en) * 2001-09-05 2007-10-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polymer dispersions containing no or little low molecular weight fluorinated surfactant
EP1333072A3 (en) * 2002-01-30 2003-11-12 Rohm And Haas Company Ink composition
JP2005522495A (ja) 2002-04-11 2005-07-28 カルボマー インク 新規な糖尿病イメージングプローブ
AU2003234709A1 (en) * 2002-04-11 2003-10-27 Carbomer Fluorinated or paramagnetic alginate polymer, annexin paramagnetic conjugate, and their use as contrasting agent in mri
AU2003228489A1 (en) * 2002-04-11 2003-10-27 Carbomer Biocompatible materials and probes
US7307118B2 (en) * 2004-11-24 2007-12-11 Molecular Imprints, Inc. Composition to reduce adhesion between a conformable region and a mold
US20060108710A1 (en) * 2004-11-24 2006-05-25 Molecular Imprints, Inc. Method to reduce adhesion between a conformable region and a mold
US20050160934A1 (en) 2004-01-23 2005-07-28 Molecular Imprints,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int lithography
US7186769B2 (en) * 2003-08-12 2007-03-06 Hexion Specialty Chemicals, Inc. Water-dispersible polyester stabilized fluoroalkyl compositions
US20070149437A1 (en) * 2004-01-30 2007-06-28 Janet Boggs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compositions, surfactants, monomer units, metal complexes, phosphate esters, glycols, aqueous film forming foams, and foams stabilizers
CA2554029A1 (en) * 2004-01-30 2005-08-18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Compositions, halogenated compositions, chemical production and telomerization processes
US7943567B2 (en) 2004-01-30 2011-05-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compositions, surfactants, monomer units, metal complexes, phosphate esters, glycols, aqueous film forming foams, and foam stabilizers
WO2005074593A2 (en) * 2004-01-30 2005-08-18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compositions, surfactants, monomer units, metal complexes, phosphate esters, glycols, aqueous film forming foams, and foam stabilizers
DE602004021467D1 (de) * 2004-03-01 2009-07-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Verfahren zum Beschichten eines Gegenstands mit einer fluorhaltigen Kunststoffsdispersion
US20050252628A1 (en) * 2004-05-11 2005-11-17 Day James F Stabilizing compositions
US20060135681A1 (en) * 2004-12-22 2006-06-22 Cavanaugh Robert J Viscosity control for reduced fluorosurfactant aqueous fluoropolymer dispersions by the addition of cationic surfactant
ITMI20042554A1 (it) * 2004-12-30 2005-03-30 Solvay Solexis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dispersioni di fluoropolimeri
GB0514398D0 (en) 2005-07-15 2005-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fluorinated monomers using a fluorinated surfactant
GB0525978D0 (en) * 2005-12-21 2006-0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luorinated Surfactants For Making Fluoropolymers
US7671112B2 (en) 2005-07-15 2010-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fluoropolymer dispersion
GB0514387D0 (en) * 2005-07-15 2005-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fluorinated monomers using a perfluoropolyether surfactant
GB0523853D0 (en) * 2005-11-24 2006-0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Fluorinated surfactants for use in making a fluoropolymer
US20080015304A1 (en) * 2006-07-13 2008-01-17 Klaus Hintzer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fluoropolymers
US20070027349A1 (en) * 2005-07-28 2007-02-01 Stephan Brandstadter Halogenated Compositions
EP1907343A2 (en) * 2005-07-28 2008-04-09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compositions, surfactants, monomer units, metal complexes, phosphate esters, glycols, aqueous film forming foams, and foam stabilizers
US8142703B2 (en) 2005-10-05 2012-03-27 Molecular Imprints, Inc. Imprint lithography method
US7728087B2 (en) * 2005-12-23 2010-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opolymer dispers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754795B2 (en) 2006-05-25 2010-07-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composition
US20070276103A1 (en) * 2006-05-25 2007-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Surfactants
US8119750B2 (en) 2006-07-13 2012-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plosion taming surfactants for the production of perfluoropolymers
US7678859B2 (en) * 2006-09-14 2010-03-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paration and stabilization of fluoropolymer dispersions
CN100432112C (zh) * 2006-12-29 2008-11-12 陕西科技大学 含羧基氟碳表面活性剂复合物作用下含氟乳液的制备方法
CN101050250B (zh) * 2007-05-18 2010-05-19 上海三爱富新材料股份有限公司 稳定的水性含氟聚合物分散乳液及其制备方法
CN101679569A (zh) 2007-06-06 2010-03-24 3M创新有限公司 氟化醚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方法
US8318656B2 (en) 2007-07-03 2012-11-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duction processes and systems, compositions, surfactants, monomer units, metal complexes, phosphate esters, glycols, aqueous film forming foams, and foam stabilizers
US20090148653A1 (en) * 2007-12-07 2009-06-1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emulsions
US20100109195A1 (en) * 2008-11-05 2010-05-06 Molecular Imprints, Inc. Release agent partition control in imprint lithography
CN102317403A (zh) 2008-12-18 2012-01-11 3M创新有限公司 使含烃地层与氟化醚组合物接触的方法
CN102653580B (zh) * 2011-03-01 2016-02-17 河北工业大学 一种Janus结构复合乳胶粒子的制备方法
WO2014111292A1 (en) 2013-01-18 2014-07-24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WO2014186962A1 (en) * 2013-05-23 2014-11-27 Evonik Specialty Chemicals (Shanghai) Co., Ltd. Process for emulsion polymerizing fluorine-containing monomers
CN105131913B (zh) * 2015-02-11 2017-08-11 中国石油大学(北京) 适用于低渗透特低渗透储层的润湿反转剂和储层保护剂组合物及其应用
EP3059265B1 (en) 2015-02-23 2020-10-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oxide curable fluoropolymers obtainable by polymerization with non-fluorinated emulsifiers
CN108660760B (zh) * 2017-04-01 2020-10-20 江苏纳纤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保暖抗湿自洁净丝巾及其制备方法
CN108059898B (zh) * 2018-01-24 2020-06-05 广东砂鸵涂料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建筑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US11945890B2 (en) 2022-03-23 2024-04-02 Mexichem Specialty Resins Inc. Fluorinated PVC copolymer compositions for increased ultraviolet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3122A (en) * 1967-12-22 1968-09-24 Minnesota Mining & Mfg Emulsion polymerization of water insoluble omega-(n-perfluoroalkanesulfonyl) aminoalkyl acrylates or methacrylates
JPH0233722B2 (ja) * 1982-03-30 1990-07-30 Nippon Starch Refining Monomaanorajikarujugohoho
IT1189092B (it) * 1986-04-29 1988-01-28 Ausimont Spa Processo di polimerizzazione in dispersione acquosa di monomeri fluorurati
DE3842539A1 (de) * 1988-06-08 1989-12-21 Bayer Ag Perfluoralkylgruppen enthaltende copolymerisate
US5214452A (en) 1988-12-19 1993-05-25 Ciba-Geigy Corporation Hydrogels based on fluorine-containing and saccharide monomers
ES2066834T3 (es) 1988-12-19 1995-03-16 Ciba Geigy Ag Hidrogeles a base de monomeros que contienen fluor y monomeros de sacarido.
FR2656316B1 (fr) * 1989-12-21 1993-12-31 Norsolor Sa Nouveaux copolymeres acryliques et leur application comme revetements.
JP3275402B2 (ja) * 1992-12-02 2002-04-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性分散組成物およびその製法、ならびに撥水撥油剤および離型剤
US5376709A (en) * 1993-03-12 1994-12-27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thickeners for aqueous systems
AU681598B2 (en) 1993-03-26 1997-09-04 W.L. Gore & Associates, Inc. Microemulsion polymerization systems and coated materials made therefrom
JP3298321B2 (ja) * 1994-08-31 2002-07-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ビニリデンフルオライド系共重合体水性分散液、ビニリデンフルオライド系シード重合体水性分散液およびそれらの製法
JP3399107B2 (ja) * 1994-09-05 2003-04-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撥水撥油性を有する防汚加工剤組成物
FR2725721B1 (fr) * 1994-10-18 1998-12-04 Atochem Elf Sa Latex et melanges de latex acryliques et methacyliques fluores,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et leurs applications dans le domaine des revetements hydrophobes
US5521266A (en) * 1994-10-28 1996-05-28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forming polymers
IT1283136B1 (it) * 1996-07-09 1998-04-07 Ausimont Spa Lattici acquosi a base di fluoropolime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91998A (en) 1999-01-21
CN1144822C (zh) 2004-04-07
BR9802419A (pt) 2000-01-18
CA2242730C (en) 2003-03-11
CN1206721A (zh) 1999-02-03
SG74057A1 (en) 2000-07-18
EP0890592A2 (en) 1999-01-13
ZA985650B (en) 1999-01-26
IL125133A0 (en) 1999-01-26
US6218464B1 (en) 2001-04-17
TW494125B (en) 2002-07-11
AU745074B2 (en) 2002-03-14
DE69814249T2 (de) 2004-04-01
HK1018280A1 (en) 1999-12-17
US5969063A (en) 1999-10-19
EP0890592B1 (en) 2003-05-07
CA2242730A1 (en) 1999-01-11
MY116758A (en) 2004-03-31
DE69814249D1 (de) 2003-06-12
ID21261A (id) 1999-05-12
JPH1171417A (ja) 1999-03-16
EP0890592A3 (en) 199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3470A (ko) 불소화된 중합체 제조방법
JPH0649153A (ja) クロトン酸エステル含有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MXPA02003170A (es) Revestimiento mejorado, y composicion de revestimiento.
US5328952A (en) Multi-stage polymer latex cement modifier and process of making
JPH08208727A (ja) 改良されたポリマー形成方法
CN1156727A (zh) 通过乳液聚合制备聚合物
CA3027057A1 (en) Aqueous dispersion of microspheres p-acid functionalized polymer particles
JPH05202321A (ja) 重合体増粘剤
BR112018074548B1 (pt) Uso de uma dispersão aquosa de polímero e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US20240110102A1 (en) Polymerizable surfactants having water whitening resistance and methods for use
US6174960B1 (en) Coating compositions prepared with an acrylic modified ethylene-vinyl acetate polymer
CA1129130A (en) Plastics dispersion having a high wet adhe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0768156B1 (ko) 수성 분산물의 제조방법
JP2018529796A (ja) オキサゾリン基含有ポリマーの水性分散液
JP2772479B2 (ja) 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に基づいた熱架橋性重合体の水性分散液、その製造法及び特に結合剤及び/又は含浸剤としてのその用途
JPS6256889B2 (ko)
MXPA98005400A (en) Preparation of fluora polymers
KR100577497B1 (ko) 상역전 코어/쉘형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
JPH0747608B2 (ja) 改質剤および改質方法
JPH0757764B2 (ja) 水性樹脂分散液およびその用途
JPH0662685B2 (ja) 乳化重合用乳化剤
JP2001072918A (ja) 水系防水コーティング剤と防水塗膜
TW202440809A (zh) 具有改善特性的包含由可聚合界面活性劑形成的聚合物之塗料組成物
JP2684212B2 (ja) 反応性乳化剤及び水分散型樹脂組成物
JPH08157773A (ja) 無機多孔質基材用水性下塗分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9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