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7304A -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304A
KR19990007304A KR1019980023990A KR19980023990A KR19990007304A KR 19990007304 A KR19990007304 A KR 19990007304A KR 1019980023990 A KR1019980023990 A KR 1019980023990A KR 19980023990 A KR19980023990 A KR 19980023990A KR 19990007304 A KR19990007304 A KR 1999000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pixel
pixel data
image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629B1 (ko
Inventor
오사무 아키모토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0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62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7Switching ON and OFF the backlight within one fra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을 고효율로 재기입할 수 있고, 매우 빠른 반응속도 및 매우 높은 강도를 충족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상기 광학공간변조장치를 채택한 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각 화소에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달되는 제2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되어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화소의 편광상태를 변화기키는 구동수단이 배설되어 있다. 상을 표시할 때, 먼저, 상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 각각의 제1 메모리에 화소데이터를 기억시킨다. 다음에,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로부터 제2 메모리로 전달시킨다. 끝으로, 각 화소의 구동수단이 제2 메모리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화소의 편광상태를 변화시킨다.

Description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각 화소마다 표시될 상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조사(照射)된 광을 변조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이 광학공간변조장치를 채택한 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화소마다 표시될 상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조사된 광을 변조하는 광학 공간변조장치로서의 액정표시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광도가, 이른 바 트위스트네마틱액정, 즉 트위스트네마틱 동작모드에 사용된 액정의 어레이를 계속 변하는 상태로 넣어서 변조되는 형태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트위스트네마틱액정은 이하 TN액정으로 간단하게 칭한다. 이러한 액정물질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하여는, JIII(Japan Institute of Invention and Innovation)에서 발행하는 월간지 발명(Inventions)의 1995년 7월호 권92, 페이지 26 ∼ 31에 요코 와타나베가 저술한 논문인 제목 New Technology Seen from Patent Information: 13 Liquid Crystal,, JIII(Japan Institute of Invention and Innovation)에서 발행하는 월간지 발명(Inventions)의 1996년 8월호 권92, 페이지 62 ∼ 69에 타카시 히나쯔가 저술한 논문인 제목 New Technology Seen from Patent Information: 26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및 일본 과학진흥회 제142차 위원회에서 제안되고 Nikkan Kogyo Newspaper에서 제목 Liquid Crystal Device Handbook로 발간한 서적에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TN액정은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문제로 인하여, 고속으로 동작가능한 광학공간변조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고속으로 동작가능한 광변조용 액정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강유전성액정(ferroelectric liquid crystal) 및 비강유전성 유도액정(non-ferroelectric inductive liquid crystal)이 있다. FLC는 상태기억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로서, 단지 2개의 값일 수 잇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을 광변조에 사용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로는 계속적으로 광변조를 행할 수 없다. 즉 이러한 장치는 온에서 오프 또는 그 반대로 단지 변환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광변조용 액정물질로서는, 콜레스테릭액정 또는 상변이모드로 동작하는 카일러네마틱액정 및 등방성과 유리상 사이에서 기입 및 지우기 동작을 행하는 폴리머액정이 있다. 광변조용 물질로서 사용가능한 다른 액정물질은 이하 PLDC 라고 하는 폴리머분산액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변조용 물질을 사용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에 의하여 다중색조의 상을 표시할 때, 펄스폭변조(PWM)기술을 일반적으로 채택하여 사람 눈의 애프터글로(afterglow)를 이용하게 된다. 즉, 이러한 광학공간변조장치에 의하여 다중색조의 상을 표시할 때, 광은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그리고 그 반대로 제어된 타이밍에 따라 고속으로 전환되어 다중색조의 상이 표시되어 사람 눈에 보이게 된다.
다음에, 이러한 광학공간변조장치를 채택한 상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상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1)에서 발생된 광은 조사광학시스템(102)에 의하여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조사된 후, 이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의하여 변조된 광은 투사광학시스템(104)에 의하여 스크린(105)상에 투사되고, 이로써 스크린(105)상에 상이 표시된다.
도 23은 전술한 광학공간변조장치(103)의 조립해체된 구성품의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공간변조장치(103)는 구동층(106), 반사층(107), 변조층(108) 및 공통 전극(109)을 포함한다. 변조층(108)이 크리스털인 경우, 오리엔테이션층은 공통 전극(109)과 크리스털 사이에 배설되고, 다른 오리엔테이션층은 크리스털과 반사층(107) 사이에 배설된다.
이 광학공간변조장치(103)를 구동하는 동작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라인(11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주사라인(110)과 구동층(106)상에 생긴 데이터라인(111)의 교차점의 각 메모리셸(112)에 기입한다. 각각의 메모리셸(112)이 화소에 대응한다.
다음에, 반사층(107)상에 생긴 반사패드(113)와 공통 전극(109) 사이에 배설된 충전된 변조층(108)에 메모리셸(112)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라 전계를 가하여 각 화소를 반사시킨다. 변조층은 일반적으로 FLC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변조층(108)영역은 이 영역을 대면하는 화소에 따라 광투과상태 또는 광차단상태 중 하나로 된다.
그 후, 변조층(108)을 통과하여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조사된 광의 일부는 반사층(107)상의 반사패드(113)에 의하여 반사되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층(107)에 의하여 출력된다. 즉,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조사되어 변조층(108)을 통과하는 광의 일부만이 반사된다. 따라서, 광이 각 화소마다 변조된다.
이 상표시장치에 표시된 상을 계속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광원(101)으로부터 광의 조사를 매 번 중지하여 상을 변화시킨 후 변조층(108) 상태가 모든 화소에 대하여 변화된다. 그 후, 모든 화소에 대한 변조층(108)상태의 변화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광원(101)으로부터 광의 조사가 재개된다. 따라서, 화소마다 변조된 광이 스크린(105)상에 연속적으로 투사된다. 따라서, 상표시장치에 채택된 광학공간표시장치(103)의 변조층(108)상태가 변화되어 있는 동안, 광원(101)은 꺼진다. 변조층(108)상태의 변화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광이 광원(101)으로부터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조사된다.
일반적으로 FLC는 상태기억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계를 가하여 FLC를 원하는 상태로 하면, FLC에 잉여전하가 잔류한다. 따라서, FLC에 전계를 반대방향으로 가하여 잉여전하를 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잉여전하를 중화하는 기술로서, 특히 2-필드기술이 잘 알려져 있다. 2-필드기술에 있어서, 원하는 상의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전계를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층(108)에 가하여 원하는 상을 표시한다. 그 후, 표시된 상의 화소데이터를 반전하는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전계를 메모리셸(112)내에 신규로 기입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층(108)에 가한다. 즉, 이 2-필드기술에 있어서, 잉여전하는 전계를 변조층(108)에 반대방향으로 교대로 가함으로써 중화되어 하나의 그림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표시장치를 도 24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시된 예는 2-필드기술이 적용된 것이다. 이 경우, 주사라인(110)의 개수는 n이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 및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을 포함한다.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원하는 상의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전계를 원하는 상을 표시하는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층(112)에 가한다. 한 편,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표시된 상의 화소데이터를 중화하는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전계를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가해진 전계와 반대방향으로 변조층(108)에 가한다.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은 데이터 기입기간 및 발광기간을 포함한다. 데이터 기입기간동안,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변조층(108)을 표시될 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상태로 한다. 한 편, 발광기간동안, 광원(101)으로부터 광학공간변조장치(103)에 광이 조사되고, 변조층(108)이 표시될 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상태로 된다. 즉, 발광기간동안에만 상이 실제적으로 표시된다.
한 편,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은 반전데이터 기입기간 및 발광동등기간을 포함한다.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발광기간동안 표시되는 상의 화소데이터를 반전하는 화소데이터를 메모리셸(112)에 기입하여 변조층(108)을 반전상태로 한다. 발광동등기간은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의 길이를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는 데 필요한 기간이고, 이로써 잉여 전계가 완전하게 중화된다. 발광기간에 대응하는 발광동등기간중에, 변조층(108)은 반전상태로 지지된다.
데이터 기입기간동안, 주사라인(110)을 따라서 발생된 화소데이터를 데이터라인(111)에 공급하고 메모리셸(112)에 기입한다.
상술하면, 먼저, 화소데이터 D1을 데이터라인(111)에 공급하는 동시에 기입신호를 데이터 기입기간동안 제1 주사라인(110)에 공급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1이 제1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1은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일부, 즉 제1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제1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은 화소데이터 D1에 따라 광투과상태 또는 광차단상태로 된다. 즉, 제1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상태는 화소데이터 D1에 따라 설정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 D2가 데이터라인(111)에 공급되는 동시에 기입신호가 제2 주사라인(1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2가 제2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2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의 일부, 즉 제2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셀(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은 화소데이터 D2에 따라 광투과상태 또는 광차단상태로 된다. 즉, 제2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상태는 화소데이터 D2에 따라 설정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를 후속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하고,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상태는 화소데이터에 따라 동일방식으로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화소데이터 Dn이 데이터라인(111)에 공급되는 동시에 기입신호가 n번째 주사라인(1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n가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n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의 일부, 즉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셀(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n번째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은 화소데이터 Dn에 따라 광투과상태 또는 광차단상태로 된다. 즉,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상태는 화소데이터 Dn에 따라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화소는 데이터 기입기간동안 표시될 상을 반사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데이터 기입기간동안, 광원(101)을 꺼서 변조층(108)의 전이상태에서 반사된 광의 비정렬상태가 방지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화소데이터 D1'을 데이터라인(111)에 공급하는 동시에 기입신호를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제1 주사라인(110)에 공급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1'이 제1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1'은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일부, 즉 제1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제1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의 상태는 화소데이터 D1'에 따라 반전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 D2'가 데이터라인(111)에 공급되는 동시에 기입신호가 제2 주사라인(1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2'가 제2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2'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의 일부, 즉 제2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셀(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제2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의 상태는 화소데이터 D2'에 따라 반전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를 후속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하고,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대응하는 화소상태는 화소데이터에 따라 동일방식으로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화소데이터 Dn'이 데이터라인(111)에 공급되는 동시에 기입신호가 n번째 주사라인(1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n'가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12)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n'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의 일부, 즉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셀(112)에 대응하는 화소의 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화소에 대응하는 n번째 주사라인상의 메모리셸(112)에 대면하는 변조층(108)영역의 상태는 화소데이터 Dn'에 따라 광투과상태 또는 광차단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화소의 상태는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반전된다. 데이터 기입기간 및 발광동등기간에는 광원(101)은 꺼져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24의 타이밍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각 주사라인의 메모리셸에 기억된 데이터를 재기입하고, 모든 메모리셸의 데이터가 재기입된 후, 광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다. 따라서, 다수의 주사라인을 가진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발광시간이 단축되고, 이로써 고감도는 더 이상 얻을 수 없다.
또한, TN액정 보다 반응속도가 빠른 FLC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광학공간변조장치의 반응속도는 충분하지 않고. 반응속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잉여전하의 중화를 필요로하는 광변조물질을 사용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을 표시한 후 반전데이터를 기입하여 변조층에 주입된 전하를 중화하거나 또는 펄스전압을 공급하여 전하를 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하를 중화하는 기간은 상의 표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중화기간이 반응속도의 포화 및 감도의 열화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필드기술을 사용하여 전하를 중화하는 경우,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외에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프레임레이트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효율이 더욱 악화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소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된 상을 고효율과 매우 빠른 반응속도 및 매우 높은 감도로 재기입할 수 있는 광학공간변조장치 및 이 광학공간변조장치에 채택된 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될 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공간변조장치는 조사된 광을 상의 화소데이터에 따라 각 화소에 대하여 변조한다. 각 화소에 있어서, 광학공간변조장치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메모리와;
제2 메모리에 전송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동작을 행하여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먼저, 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제1 메모리에 화소데이터를 기입한다. 다음에, 제1 메모리에 기입된 화소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전송한다. 끝으로, 각 화소의 상태를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메모리에 전송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화시킨다.
한 편, 본 발명에 따른 상표시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광학공간변조장치를 포함한다. 표시될 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를 제공하여, 광학공간변조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의 화소데이터에 따라 각 화소에 대하여 변조시킨다.
각 화소에 대한 광학공간변조장치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메모리와;
제2 메모리에 전송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동작을 행하여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각 화소에 있어서, 광학공간변조장치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와;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송되는 제2 메모리와;
제2 메모리에 전송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동작을 행하여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먼저, 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제1 메모리에 화소데이터를 기입한다. 다음에, 제1 메모리에 기입된 화소데이터를 제2 메모리에 전송한다. 끝으로, 각 화소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구동수단에 의하여 제2 메모리에 전송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화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상표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조립해체된 구성품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적층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실시예의 메모리셸의 블록도이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및 상표시장치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구동타이밍차트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메모리셸의 블록도이고,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및 상표시장치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구동타이밍차트이고,
도 13은 제3 실시예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5는 제3 실시예의 메모리셸의 블록도이고,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원 및 상표시장치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구동타이밍차트이고,
도 17은 제4 실시예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9는 제4 실시예의 메모리셸의 블록도이고,
도 2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광원 및 상표시장치의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구동타이밍차트이고,
도 2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일반적인 구동신호파형의 선도이고,
도 22는 상표시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3은 광학공간변조장치의 조립해체된 구성품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2-필드기술을 적용한 상표시장치의 구동타이밍차트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주의깊게 검토하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상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광원(1), 조사 광학시스템(2), 광학공간변조장치(3), 투사 광학시스템(4) 및 스크린(5)를 포함하는 상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광원(1)은 고속으로 온 및 오프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1)은 광의 조사기간동안 온되고 다른 기간동안 오프된다. 색상은, 3원색광에 대응하는 적, 녹, 청색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1)으로 사용된 광원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독립된 광원을 3원색광에 대응하는 적, 녹, 청색광을 각각 조사히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디크로익미러(dichroic mirror)를 사용하여 하나의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광을 적, 녹, 청색의 광으로 분광할 수 있다.
조사 광학시스템(2)은 광을 광원(1)으로부터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조사하는 광학시스템이다. 즉,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은 광학시스템의 조사에 의하여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조사된다.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공간변조장치이다. 그 상세는 후술한다.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이 변조된 후 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에 대하여 반사되는 반사형 광학공간변조장치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반사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후술하는 메모리와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요소는 광을 반사하는 면의 반대 쪽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각 화소의 유효개구는 요소의 존재로 인하여 더 좁게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반사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경우에, 각 화소의 유효개구 영역은 확대될 수 있다.
그러나,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이 변조된 후 통과하는 전송형 광학공간변조장치(3)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전송 광학공간변조장치를 광학공간변조장치(3)로서 사용할 때,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후면상에는 역광이 일반적으로 배설된다. 역광에서 조사된 광이 광학공간변조장치(3)를 통과하여 상을 표시한다. 전송 광학공간변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표시장치를 매우 얇게 제조할 수 있다.
투사 광학시스템(4)은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의하여 변조 및 반사된 광을 스크린(5)상에 투사하는 광학시스템이다. 광원(1)에서 조사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에서 반사된 광이 투사 광학시스템(4)에 의하여 스크린(5)상에 투사된다. 즉, 이 상표시장치에 있어서,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의하여 변조되어 얻어진 상이 스크린(5)상에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상표시장치에 있어서,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은 조사 광학시스템(2)에 의하여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조사되고,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의하여 변조 및 반사된 광은 투사 광학시스템(4)에 의하여 스크린(5)상에 투사된다. 이로써, 상이 스크린(5)상에 표시된다.
이 상표시장치에 상을 표시할 때, 광원(1)은 고속으로 온 및 오프되는 동시에,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광원(1)의 깜박임과 동시에 구동된다. 상세하게는, 이 상표시장치(3)에 표시된 상이 변화될 때,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화소는 광원(1)이 오프상태에 있는 동안 재기입된다. 모든 화소를 재기입하는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광원(1)이 온으로 된다. 이렇게 하여, 각 상에 대하여 변조된 광으로 생긴 상이 스크린(5)상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화소를 재기입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관찰자가 재기입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없을 만큼 짧은 경우, 광원(1)을 오프시킬 필요는 없다.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구성
다음에, 전술한 상표시장치에 채택된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조립해체된 구성품의 예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적층구조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제어가능한 광학 반사율을 각각 가진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조사된 광은 표시될 상의 정보에 따라 각 화소에 대하여 변조 및 반사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구동층(6), 이 구동층(6) 위의 반사층(7), 이 반사층(7) 위의 변조층(8) 및 이 변조층(8) 위의 공통 전극(9)를 포함한다.
구동층(6)은 표시될 상에 따라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그 위에 배설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구동층(6)상에는, 복수의 주사라인(10) 및 복수의 데이터라인(11)이 배설되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라인(10)과 데이터라인(11)의 교차점 각각에는 메모리셸(12)이 형성된다. 각각의 메모리셸(12)은 화소에 대응한다. 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있어서, 전계는 각각의 화소, 즉 구동층(6)상에 배설된 각각의 메모리셸(12)의 변조층(8)에 가해질 수 있다. 구동층(6)상에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외에 후술하는 제어라인이 배설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어라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알루미늄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광반사물질로 제조된 반사층(7)은 광원(1)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층이다. 반사층(7)이 배설되어 광원(1)으로부터의 광이 반사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반사층(7)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화소마다 배설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패드(13)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반사층(7)은 광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각 화소마다 배설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패드(13)를 포함하는 반사층(7)의 경우, 광이 각 화소의 반사층(7)에 의하여 반사되어 화소간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 편, 광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반사층(7)을 디자인한 경우, 광원(1)으로부터의 광이 전체 영역에 걸쳐 반사되기 때문에 고감도를 얻을 수 있다.
광원(1)으로부터의 광을 변조하기 위하여, 변조층(8)은 FLC, PLDC 또는 TN액정과 같은 광 변조용 물질로 제조하고, 이것으로 반사층(7)과 공통 전극(9)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변조층(8)은 각 화소의 구동층(6)과 공통 전극(9) 사이에 가해진 전계에 따라 광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어함으로써, 변조층(8)을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크리스털과 같이 오리엔테이션을 필요로하는 물질로 제조된 변조층(8)의 경우, 물질을 오리엔테이션하는 오리엔테이션층은 변조층(8)의 내부에나 또는 매우 근접하게 배설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거기에 가해진 자계의 강도에 따라 2가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는 층이 변조층(8)으로서 사용된다. 2가지 상태는 광학투과율이 높은 상태 및 광학투과율이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변조층(8)은 각 화소가 2가지 값의 광학변조를 거치게 한다. 변조층(8)이 초기성을 가진 상태를 초기상태라고 한다. 초기상태는 2가지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초기상태의 투과율과 상이한 광학투과율을 나타내는 상태를 구동상태라고 한다. 예를 들면, 변조층(8)이 FLC로 제조된 경우, 화소의 초기상태는 전하가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일부분으로 주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한 편, 화소의 구동상태는 전하가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일부분으로 주입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변조층(8)은 단지 2가지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변조층은 3가지 이상의 상태로 되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변조층은 복수의 구동상태 중 임의의 하나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자체의 광학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화소의 광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변조층(8)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화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하고, 이러한 변조층(8)을 편광 광학시스템과 결합함으로써, 각 화소의 광량이 또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상세하게는,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 변조층(8)을 제조한 경우, 광의 편광상태에 따라 변하는 광학투과율을 가진 편광판 또는 편광빔 스플리터등으로 구성된 편광 광학시스템을 변조층(8)과 결합시킨다. 다음에,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어함으로써, 변조층(8)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광학시스템을 통과하는 광의 광학투과율 또한 변화된다. 이렇게 하여, 각 화소의 광량이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은 반사층(7)과 공통 전극(9)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FLC, PLDC 또는 TN액정과 같은 광변조용 물질로 제조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제한적인 의미로 설명하는 것이 아님을 주목하여야 한다. 즉, 변조층(8)의 구성은 이러한 구조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변조수단으로서, 변조층(8)은 광을 간섭하는 용도의 격자 광밸브 또는 금속 일래스토머(metallized elastomer)를 사용하는 변형가능한 미러격자에 의하여 충족될 수 있고, 그 형상은 전계에 의하여 변화된다. 이러한 광변조수단은 학술지 모음 SPIE Vol. 3013, 페이지 165 ∼ 171 및 SPIE Vol. 3013, 페이지 112 ∼ 125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광변조수단을 사용할 때, 반사층(7) 및 공통 전극(9)의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하여튼, 본 발명은 광변조수단이 거기에 가해진 신호에 의하여 최소한 2가지 화소상태로 될 수 있는 한, 어떤 광변조수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변조수단은 3가지 메인 카테고리, 즉 그 자체 또는 SPIE Vol. 3013, 페이지 112 ∼ 125에 개시된 변형가능 미러디스플레이에 의한 상태기억 특성을 가지지 않은 격자 광밸브와, SPIE Vol. 3013, 페이지 165 ∼ 171에 개시된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격자 광 밸브와, 쇼오이치 마쯔모토가 저술한 전자표시장치(Electronic Dispaly Devices)에 개시된 자석입자표시로 분류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투명 반도체물질로 제조된 공통 전극(9)은 구동층(6)상에 배설된 메모리셸(12)에 공통인 전극이다. 반사층(7) 및 변조층(8)은 구동층(6)과 이 구동층(6)에 대면하는 투명 반도체물질을 가진 공통 전극(9)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광원(1)에서 발생된 광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조사될 때, 광원(1)으로부터의 광은 투명 반도체물질로 제조된 공통 전극(9)를 통과하여, 변조층(8)으로 들어가 각 화소의 광에 대한 광학변조를 행한다. 그 후, 변조층(8)에서 변조된 광은 반사층(7)에 의하여 반사된다. 다음에, 반사된 광은 변조층(8)에 의하여 각 화소에 대한 광학변조를 다시 행한 후, 공통 전극(9)를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투사 광학시스템(4)으로 전송된다.
이 때, 각 화소의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어함으로써, 변조층(8)의 광학투과율이 각 화소마다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변조층(8)에 의하여 변조된 광이 반사광으로서 출력된다. 즉, 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있어서, 각 메모리셸(112)의 구동층(6)으로부터 변조층(7)에 가해진 전계를 제어함으로써, 변조층(8)의 반사율이 각 화소마다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후술하는 일괄처리 동작에서 전체면에 대한 변조층(8)의 상태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속도의 증가, 감도의 상승 및 다른 특성의 개선이 가능하다. 다음에,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채택된 상표시장치를 각각 충족하는 4가지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은 상태기억 특성을 가지지 않고, 따라서 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변조층(8)이 전술한 상태기억 특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전계를 변조층(8)에 계속 가하여 변조층(8)의 구동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 편, 변조층(8)이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경우, 변조층(8)이 일단 구동상태로 되면,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계속해서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구동층(6)상에는 제어라인(25)이 배설되어 있고,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메모리셸(12) 각각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메모리(21), 게이트(22), 제2 메모리(23) 및 드라이버(24)를 포함한다. 메모리셸(12)에 채택된 제2 메모리는(23)는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한 편,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제1 메모리(21)에 기입되어 있다.
제1 메모리(21)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으로부터의 입력신호로 인하여,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된 메모리셸(12)용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셀(12)의 제1 메모리(21)내에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인 가를 나타내는 각 화소데이터가 변조층(8)의 부분에 대응하는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21)에 기입된다.
제1 및 제2 메모리(21, 23) 사이에 배설된 게이트(22)는, 제어라인(25)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상태로 제어된다. 게이트(22)가 제어라인(25)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된 경우, 제1 메모리(2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제2 메모리(23)에 전달된다.
제1 메모리(2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는 게이트(22)에 의하여 제2 메모리(23)에 전달된다. 다음에, 드라이버(24)가 제2 메모리(2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즉, 제2 메모리(2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메모리(2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드라이버(24)가 화소상태를 변화시킨다. 싱세하게는, 드라이버(24)는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2 메모리(2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화시켜, 변조층(8)을 개시 또는 구동상태로 한다.
다음에, 전술한 메모리셸(12)이 각 화소마다 배설되어 있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채택된 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도 8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주사라인(10)의 개수는 n개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8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는 2개의 스크린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을 나타낸다. 즉, 기간은 제1의 상을 표시하는 기간 및 제1의 상 직후에 나타나는 제2의 상을 표시하는 기간을 포함한다. 상의 표시동작 동안, 하나의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밀리세컨드, 마이크로세컨드 또는 심지어 나노세컨드의 실제적으로 매우 짧은 기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간, 즉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발광기간 및 전달기간을 포함한다. 발광기간은 광원(1)이 온 상태로 되어 스크린(5)상에 상이 표시되게 하는 기간인 반면, 전달기간은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21)로부터 제2 메모리(23)로 전달되는 기간이다. 전달기간 동안, 광원(1)은 오프된다.
또한, 발광기간은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21)에 기입되는 기간이다. 즉, 제1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기간동안,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의하여 선택된 각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21)에 순차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제1의 상을 표시하는 발광기간동안, 먼저,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 D1은 데이터라인(11)에 공급되고, 기입신호는 제1의 주사선(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1은제1의 주사라인에 연결된 각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21)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1은 제1의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2)에 대응하는 화소용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음에,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 D2는 데이터라인(11)에 공급되고, 기입신호는 제2의 주사라인(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2는 제2의 주사라인에 연결된 각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21)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2는 제2의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2)에 대응하는 화소용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는 동일 방식으로 후속 주사라인(10)용으로 기입된다. 끝으로,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 Dn은 데이터라인(11)에 공급되고, 기입신호는 n번째 주사라인(10)에 공급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 Dn은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각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에 기입된다. 화소데이터 Dn은 n번째 주사라인에 연결된 메모리셸(12)에 대응하는 화소용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발광기간동안 제1 메모리(21) 모두에 기입된다. 발광기간동안,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21) 모두에 기입하는 동작만이 실행되고, 변조층(8)의 구동에 필요한 화소데이터는 제2 메모리(23)에 이미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화소의 상태는 그대로 변함없이 남는다. 따라서, 발광기간 내내 광원(1)이 온 되어 있더라도,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의하여 반사된 광에 혼란상태는 생기지 않는다. 즉, 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있어서, 변조층(8)의 구동에 필요한 화소데이터가 제2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화소데이터는 드라이버(24)가 제2 메모리(2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화소데이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동안에도 제1 메모리에 기입될 수 있다.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셸(12) 모두의 제1 메모리(21)에 기입된 후, 광원(1)이 오프되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전달기간이 된다. 전달기간에서, 제어라인(25)으로부터의 제어신호는 각 게이트(22)에 공급되어 게이트(22)를 메모리셸(12) 모두에 대하여 개방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는 메모리셸(12) 모두에 대하여 제1 메모리(21)로부터 제2 메모리(23)로 일괄 전달된다.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셸(12) 모두에 대하여 제1 메모리(21)로부터 제2 메모리(23)로 일괄 전달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제2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간으로 전환된다. 이 기간에, 드라이버(24)는 제2 메모리(23)에 기입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되고, 변조층(8)은 상표시상태, 즉 표시될 상에 따른 상태로 설정되어 제2의 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광원(1)이 온 된다. 이로써, 제2의 상이 스크린(5)상에 표시된다. 제2의 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 제2의 상에 후속하는 상의 화소데이터 D1', D2', ---, Dn'은,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 D1, D2, ---, Dn이 제1 메모리(21)에 기입되는 것과 동일 방식으로 제1 메모리(21)에 기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있어서, 주사라인유닛의 화소상태를 변화시키는 대신에, 모든 화소의 상태를 일괄처리 동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광학공간변조장치(3)을 사용함으로써, 표시된 상이 주사라인유닛에 최신으로 될 뿐만 아니라 전체 스크린용 배치로서 최신의 것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이 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변조층(8)의 상태는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21)로부터 제2 메모리(23)에 일괄 전달하는 전달기간동안 외에는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광원(1)을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에 대한 발광기간이 연장될 수 있고, 광의 이용율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변조층(8)의 잉여전하의 중화를 필요로 하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의 물질로서, 전계의 극성에 관계없이 가해진 전계에 반응하여 광변조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광변조물질이 사용된다. 즉, 제2 실시에에 있어서, 변조층(8)은 구동층(6)에 의하여 발생된 양 또는 음 전계가 거기에 가해질 때 구동상태로 된다. 한 편, 거기에 전계가 가해지지 않은 경우, 변조층(8)은 초기상태로 된다.
제2 실시에에 있어서, 제1 제어라인(36) 및 제2 제어라인(37)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구동층(6)상에 배설되고,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메모리셸(12) 각각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메모리(31), 제1 게이트(32), 제2 메모리(33), 제2 게이트(34) 및 드라이버(35)를 포함하는 디자인이다. 메모리셀(12)에 채택된 제2 메모리(3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한 편,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제1 메모리(31)에 기입된다.
제1 메모리(31)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으로부터의 입력신호로 인하여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된 메모리셸(12)의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31)에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인 가를 나타내는 각 화소데이터가, 변조층(8)에 대응하는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31)에 기입된다.
제1 및 제2 메모리(31, 33)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제1 게이트(32)는 제1 제어라인(36)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페상태로 제어된다. 제1 게이트(32)가 제1 제어라인(3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제1 메모리(3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제2 메모리(33)로 전달된다.
제1 메모리(3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는 제1 게이트(32)에 의하여 제2 메모리(33)에 전달된다. 다음에, 드라이버(35)는 제2 메모리(3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즉, 제2 메모리(3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메모리(33)와 드라이버(35) 사이에 배설된 제2 게이트(34)는 제2 메모리(33)로부터 드라이버(35)에 공급된 화소데이터의 극성을 제2 제어라인(37)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즉, 이 메모리셸(12)에 있어서, 제2 메모리셸(33)로부터 드라이버(35)에 공급된 화소데이터는 제2 게이트(34)에 의하여 반전가능하다.
드라이버(35)는 제2 게이트(34)에 의하여 제2 메모리(33)로부터 거기에 공급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층(8)을 구동하여 화소상태를 변화한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35)는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2 게이트(34)에 의하여 제2 메모리(33)로부터 거기에 공급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화하여, 변조층(8)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된다.
다음에, 각 화소마다 전술한 메모리셸(12)이 배설되어 있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채택된 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구동방법을 도 12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발광기간 및 전달기간을 포함한다. 발광기간은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31)에 기입되는 기간인 반면, 전달기간은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31)로부터 제2 메모리(33)로 일괄 전달되는 기간이다.
상세하게는, 제1의 상을 표시하는 발광기간동안, 제2의 상을 나타내는 화소데이터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의하여 선택된 각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31)에 순차 기입된다. 그 후, 다음 표시될 제2의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31)에 기입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제어신호가 제1 게이트(32)로부터 제1 제어라인(36)에 공급되는 전달기간으로 되어, 화소데이터의 모두가 제1 메모리(31)로부터 제2 메모리(33)로 일괄 전달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 모두가 전달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다시 발광기간으로 되어, 여기에서 제2 메모리(3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가 제2 게이트(34)에 의하여 드라이버(35)에 공급된다. 드라이버(35)는 변조층(8)을 제2 메모리(3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각 화소마다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 중 어느 하나로 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에 대한 발광기간이 연장될 수 있고, 광의 이용율이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1 실시예의 경우, 발광기간동안 드라이버(35)에 공급된 화소데이터는 반전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2 실시예의 경우, 발광기간동안 제2 제어라인(37)으로부터 제2 게이트(34)에 공급된 제어신호가 제2 게이트(34)의 드라이버(35)에 공급된 화소데이터를 반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기간은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 및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을 포함한다.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화소데이터는 그대로 드라이버(35)에 공급되는 반면,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반전 화소데이터가 드라이버(35)에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반전 화소데이터가 드라이버(35)에 공급된다. 따라서,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에 변조층(8)에 공급된 전계의 극성은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의 극성과 반대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의 물질로서, 전계의 극성에 관계없이 가해진 전계에 반응하여 광변조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광변조물질이 사용됨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변조층(8)에 의한 광변조는 반전데이터 기입기간동안 변조층(8)에 의한 광변조와 동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기간동안 드라이버(35)에 공급된 화소데이터를 반전함으로써, 변조층(8)에 가해진 양 및 음의 전계가 항상 유지되지는 않는다. 즉, 상을 표시할 때, 변조층(8)에는 음 전계가 가해진 기간과 동일한 기간동안 양 전계가 가해진다. 따라서, 변조층(8)에는 잉여전계가 축적되지 않으므로, 변조층(8)은 중성극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변조층(8)은 장시간동안 안정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화소데이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전될 때, 광원(1)은 비반전데이터 기입기간과 반전데이터 기입기간 사이의 전이상태로 오프될 수 있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의 물질로서, 전계의 극성에 관계없이 가해진 전계에 반응하여 광변조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광변조물질이 사용된다. 변조층(8)의 물질로서, 가해진 전계의 반전에 반응하여 광변조의 변화를 나타내는 광변조물질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은 주목할 만하다. 이 경우, 광원(1)은 반전데이터 기입기간으로 오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 있어서, FLC 및 PDLC와 같은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광변조물질을 변조층(8) 물질로서 사용한다. 상을 표시할 때, 변조층(8)을 초기상태로부터 구동상태로의 변화이 필요할 경우에만 변조층(8)에 전계를 가한다. 변조층(8)은 다음 상을 표시하기 전에 초기상태로 재설정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어라인(46), 제2 제어라인(47) 및 제3 제어라인(48)이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구동층(6)상에 배설되어 있고,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메모리셸(12) 각각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메모리(41), 제1 게이트(42), 제2 메모리(43), 제2 게이트(44) 및 드라이버(45)를 포함하는 디자인이다. 메모리셸(12)에 채택된 제2 메모리(4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제1 메모리(41)에 기입된다.
제1 메모리(41)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으로부터의 입력신호로 인하여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된 메모리셸(12)의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41)에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인 가를 나타내는 각 화소데이터가, 변조층(8)의 부분에 대응하는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41)에 기입된다.
제1 및 제2 메모리(41, 43)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제1 게이트(42)는 제1 제어라인(46)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페상태로 제어된다. 제1 게이트(42)가 제1 제어라인(4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제1 메모리(4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제2 메모리(43)로 전달된다.
제1 메모리(4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는 제1 게이트(42)에 의하여 제2 메모리(43)에 전달된다. 다음에, 드라이버(45)는 제2 메모리(43)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즉, 제2 메모리(4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메모리(43)와 드라이버(45) 사이에 배설된 제2 게이트(44)는 제2 제어라인(47)으로부터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페상태로 된다. 제2 게이트(44)가 제2 제어라인(4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제2 메모리(430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드라이버(45)에 공급된다.
드라이버(45)는 제2 게이트(44)에 의하여 제2 메모리(43)로부터 거기에 공급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층(8)을 구동하여 화소상태를 변화시킨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45)는 변조층(8)에 가해진 전계를, 제2 게이트(44)에 의하여 제2 메모리(43)로부터 거기에 공급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화시켜서, 변조층(8)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 중 어느 하나로 된다. 제3 제어라인(48)이 드라이버(45)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제어라인(4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됨으로, 드라이버(45)는 변조층(8)을 구동하여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다음에, 각 화소마다 전술한 메모리셸(12)이 배설되어 있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채택된 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구동방법을 도 16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발광기간, 재설정기간 및 전달기간을 포함한다. 발광기간은 광원(1)이 온으로 되어 상이 스크린(5)상에 표시되는 기간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광기간 동안에는,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41)에 기입되는 반면, 재설정 및 전달기간 동안에는, 광원(1)은 오프된다.
재설정기간은 변조층(8)이, 신규의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41)로부터 제2 메모리(43)로 전달되기 전에 초기상태로 재설정되는 기간이다. 즉, 재설정기간 동안, 모든 화소데이터는 초기상태로 된다.
재설정기간 동안, 변조층(8)을 초기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제어신호가 제3 제어라인(48)으로부터 드라이버(45)에 공급된다. 드라이버(45)는 제어신호에 따라 변조층(8) 전체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킨다. 변조층(8)은 전계를 직전에 가해진 전계와 반대방향으로 변조층(8)에 가하여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기상태가 아닌 변조층(8)의 부분상에만 동작을 행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즉, 재설정기간 동안, 초기상태가 아닌 화소에 대응하는 드라이버(45)만이 구동될 필요가 있다.
화소데이터 모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전달기간으로 된다. 전달기간 동안, 제1 제어라인(46)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제1 게이트(42) 각각에 공급되어 제1 게이트(42)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41)로부터 제2 메모리(43)로 일괄 전달된다. 즉,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달기간 동안,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41)로부터 제2 메모리(43)로 일괄 전달된다.
다음에,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41)로부터 제2 메모리(43)로 일괄 전달된 후,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다시 발광기간으로 되어, 여기에서 광원(1)이 온으로 되는 동시에, 발광기간 초기에, 제어신호가 제2 제어라인(47)으로부터 제2 게이트(44)에 공급되어 제2 게이트(44)를 개방상태로 한다. 제2 게이트(44)가 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될 때, 화소데이터가 제2 메모리(43)로부터 드라이버(45)에 공급되어 드라이버(45)를 구동시킨다.
이 때, 제2 게이트(44)는 드라이버(45)를 구동하여 변조층(8)을 구동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기간 동안 개방상태로 된다. 드라이버(45)는 제2 게이트(44)가 개방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 구동된다. 제2 게이트(44)의 개방상태가 종료될 때, 드라이버(45)의 구동 또한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층(8)이 상태기억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45)에 의하여 구동상태로 구동된 화소는, 드라이버(45)의 구동이 종료된 후에라도 구동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드라이버(45)는 구동상태로 할 필요가 있는 변조층(8) 부분에 대응하는 화소에만 구동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즉, 초기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변조층(8)의 부분에 대응하는 화소에는 드라이버(45)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구동상태가 필요한 변조층(8)의 부분에 대응하는 화소에만 드라이버(45)를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본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있어서, 표시된 상을 변화시킬 때, 상태의 변화가 필요한 화소의 상태만이 초기상태로부터 변화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상태의 화소는 일괄 재설정되어 2-필드기술에서 관찰된 프레임레리트의 감소없이 반응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전하전달수가 2-필드기술에 비하여 적어서 소비된 파워량이 저감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 있어서, FLC 및 PLDC와 같은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광변조물질을 변조층(8) 물질로서 사용한다. 스크린이 하나의 상에서 다른 상으로 변할 때, 스크린 변화에 포함된 화소만이 최신으로 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어라인(59), 제2 제어라인(60) 및 제3 제어라인(61)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층(6)상에 배설되어 있고, 광학공간변조장치(3)의 메모리셸(12) 각각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게이트(52), 제2 메모리(53), 매치검출회로(54), 제2 게이트(55), 제3 메모리(56), 제3 게이트(57) 및 드라이버(58)를 포함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메모리셸(12)에 채택된 제2 메모리(5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제1 메모리(51)에 기입된다. 제3 메모리(56)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와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와의 부합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하 매치표시데이터라고 한다.
제1 메모리(51)는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로부터의 입력신호정보로 인하여 주사라인(10) 및 데이터라인(11)에 연결된 메모리셸(12)의 화소데이터가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51)에 기입된다. 상세하게는,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이 초기상태 또는 구동상태인 가를 나타내는 각 화소의 데이터가 변조층(8)의 부분에 대응하는 메모리셸(12)의 제1 메모리(51)에 기입된다.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51, 53)에 배설된 제1 게이트(52)는 제1 제어라인(59)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상태로 제어된다. 제1 게이트(52)가 제1 제어라인(59)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제1 메모리(5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53)에 전달된다.
제1 메모리(5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는 제1 게이트(52)에 의하여 제2 메모리(53)에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메모리(5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매치검출회로(54)는 제1 메모리(5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를 제2 메모리(53)에 기억된 화소데이터와 비교하여 화소데이터 양자 모두가 서로 매치되는 가에 대한 판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셸(12)에 채택된 제2 메모리(53)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는 제1 메모리(51)에 기억된다. 즉, 매치검출회로(54)는 동작 전에 현재의 상의 화소데이터가 현재 상과 교체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는 가의 판정을 수행하고,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가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는 가를 나타내는 매치표시데이터를 출력한다.
제3 메모리(56)와 매치검출회로(54) 사이에 배설된 제2 게이트(55)는 제1 제어라인(60)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상태로 제어된다. 제2 게이트(55)가 제2 제어라인(6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매치검출회로(54)에 기억된 매치표시데이터가 제3 메모리(56)에 전달된다.
매치검출회로(54)에 기억된 매치표시데이터는 제2 게이트(55)에 의하여 제3 메모리(56)에 전달된다. 따라서, 표시될 현재 상의 변화 동작은, 동작 전에 현재 상의 화소데이터가 현재 상을 교체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는 가를 나타내는 매치표시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되는 제3 메모리(56)에 재기억함으로써 행해진다.
제2 메모리 및 제3 메모리(53, 56)와 드라이버(58) 사이에 배설된 제3 게이트(57)는 제3 제어라인(61)으로 공급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폐상태로 제어된다. 제3 게이트(57)가 제3 제어라인(61)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상태로 될 때, 제2 메모리(530에 기억된 화소데이터 및 제3 메모리(53)에 기억된 매치표시데이터가 드라이버(58)에 전달된다.
드라이버(58)는 제3 게이트(57)에 의하여 제2 메모리(53)로부터 공급된 화소데이터 및 제3 게이트(57)에 의하여 제3 메모리(56)로부터 공급된 매치표시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의 변화 동작에 있어서, 드라이버(58)는 동작 전의 현재의 상의 화소데이터가 현재의 상을 교체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만을 구동한다.
상세하게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의 변화 동작에 있어서, 화소에 대응하는 메모리셸(12)의 드라이버(58)가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에 전계를 가하여, 제2 메모리(53)로부터 공급된 화소데이터가 화소를 구동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이고, 제3 메모리(56)로부터 공급된 매치표시데이터가 동작 전의 현재의 상의 화소데이터가 현재의 상을 교체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만 화소를 구동상태로 한다.
마찬가지로,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의 변화 동작에 있어서 다른 화소를 초기상태로 하는 경우, 화소의 드라이버(58)는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에 전계를 가할 수 있어서, 제2 메모리(53)로부터 공급된 화소데이터가 화소를 초기상태로 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이고, 제3 메모리(56)로부터 공급된 매치표시데이터가 동작 전의 현재의 상의 화소데이터가 현재의 상을 교체할 상의 화소데이터와 매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만 화소를 초기상태로 한다.
다음에, 전술한 메모리셸(12)이 각 화소마다 배설되어 있는 광학공간변조장치(3)에 채택된 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도 20에 나타낸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발광기간 및 구동기간을 포함한다. 발광기간은 데이터기입기간, 매치표시데이터 전달기간 및 화소데이터 전달기간을 포함한다. 발광기간은 광원(1)이 온 으로 되어 상이 스크린(5)에 표시되는 기간인 반면, 구동기간은 드라이버(58)가 구동되어 드라이버(58)에 대응하는 화소 상태로 변화시키는 기간이다. 구동기간 동안, 광원(1)은 오프 된다.
발광기간의 데이터기입기간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발광기간의 경우와 같이,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가 제1 메모리(51)에 기억되는 기간이다.
동시에, 매치표시회로(54)는 제2 메모리(53)에 기억된 화소데이터, 즉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의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된 화소데이터, 즉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와 비교한다.
다음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 모두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이 완료되었을 때,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매치표시데이터 전달기간으로 되고, 이 기간동안 제2 제어라인(60)으로부터 제2 게이트(55)에 공급된 제어신호가 제2 게이트(55)를 개방상태로 한다. 따라서, 매치표시데이터가 매치검출회로(54)로부터 제3 메모리(56)에 일괄 전달된다.
매치검출회로(54)로부터 제3 메모리(56)에 매치표시데이터의 전달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화소데이터 전달기간으로 되고, 이 기간동안 제1 제어라인(59)으로부터 제1 게이트(52)에 공급된 제어신호가 제1 게이트(52)를 개방상태로 한다. 따라서, 다음 표시될 화소데이터가 제1 메모리(51)로부터 제2 메모리(53)에 일괄 전달된다.
제1 메모리(51)로부터 제2 메모리(53)에 화소데이터의 전달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광학공간변조장치(3)는 구동기간으로 되고, 이 기간동안 제3 제어라인(61)으로부터 제3 게이트(57)에 공급된 제어신호가 제3 게이트(57)를 개방상태로 한다. 따라서, 화소데이터는 제2 메모리(53)로부터 드라이버(58)에 전달되고, 매치표시데이터가 제3 메모리(56)로부터 드라이버(56)에 전달된다. 화소데이터 및 매치표시데이터를 수신하면, 드라이버(58)가 변조층(8)의 부분을, 매치표시데이터가 상의 변화 전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상의 화소데이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음 표시될 상으로 교체하는 화소데이터와 상이함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화소데이터에 의해 표시된 상태로 구동된다. 즉, 재기입이 필요한 화소의 드라이버(58)만이 구동기간 동안 화소에 대응하는 변조층(8)의 부분을 구동한다.
구동기간은 드라이버(58)가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기간이다. 즉, 표시된 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구동을 필요로 하는 드라이버(58)는 구동기간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구동된다.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태기억 특성을 가진 변조층(8)을 채택한다. 따라서, 드라이버(58)가 이와 같이 일정기간동안 구동되면, 드라이버(58)의 구동으로 변화된 상태를 가진 화소는 드라이버(58)의 구동이 즉시 종료된 후에도 그 상태를 유지한다.
도 21은 표시될 상에 따라 화소의 색을 다음 순서, 즉 백, 흑, 백, 백, 흑 및 흑으로 변화하는 드라이버(58) 구동신호의 일반적인 파형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드라이버(58)는 도 21의 부호 a, b, c, 및 e로 나타낸 시점의 기간에만 구동되고, 부호 d 및 f로 나타낸 시점의 기간에는 구동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면, 드라이버(58)는 스크린의 변화 동작 전에 상의 화소데이터가 상을 교체하는 화소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만 구동되는 것이 명백하다. 다른 경우에는, 화소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된 상을 교환할 때, 변화에 포함된 화소만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일괄 재기입된다. 따라서, 화소를 재기입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최소로 저감될 수 있고, 광학공간변조장치의 광사용율이 현저하게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최소 개수의 화소만이 재기입되기 때문에, 화소의 재기입동작에 따른 전계의 전달개수 또한 최소로 저감될 수 있어서, 광학공간변조장치를 구동하는 데 필요한 전력량이 상당하게 저감된다.
도 20의 타이밍차트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하는 동작은 발광기간 초기에 개시된다. 그러나,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하는 동작은, 화소데이터의 제2 메모리(53)에의 전달 종료 후에 또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즉,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하는 동작은 전달기간에도 또한 행해질 수 있다. 전달기간 동안 화소데이터를 제1 메모리(51)에 기억하는 동작은, 하나의 상을 표시하는 시간의 단축을 원할 때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공간변조장치는 각 화소에 대한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이 고효율로 재기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공간변조장치의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표시장치는 각 화소에 대한 복수의 메모리를 가지는 광학공간변조장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상이 고효율로 재기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표시장치의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발광기간의 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고, 상기 화소 각각에 대하여 조사(照射)된 광을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는 데 사용되는 상기 화소 각각에 대한 광학공간변조장치에 있어서,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와;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달되는 제2 메모리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수단과 결합된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상기 구동수단과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상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메모리내에 화소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화소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메모리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메모리에 전달된 상기 화소데이터에 따라 상기 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화소 각각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각각은, 상기 화소의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행해진 제어에 의하여,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편광상태를 가진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편광상태를 가진 제2 상태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모두에 대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화소 모두의 상태를 일괄처리(batch)동작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모두에 대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화소 모두의 상태를 소정의 간격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을 변화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먼저 상기 화소 모두에 대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표시된 상을 지움으로써 상기 화소 모두를 초기상태로 하고, 다음에 신규로 표시될 상에 따라 상기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을 변화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한 화소의 상태만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각각에 대한 상기 광학공간변조장치는,
    상기 표시된 상을 변화시키는 상기 동작 전에, 상기 표시된 상의 화소 각각의 상태가, 신규로 표시될 상기 상의 상기 화소의 상태와 동일한 가의 여부의 판정을 수행하는 판정수행수단과;
    상기 판정수행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판정의 결과를 기억하는 제3 메모리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표시된 상을 변화시키는 동작에 있어서, 변화가 필요한 화소의 상태만이 상기 제3 메모리에 기억된 상기 판정의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각각은 액정물질을 사용하고, 상기 액정물질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화소의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편광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물질은 상태기억 특성모드를 가지는 액정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물질은 강유전성 액정물질 또는 폴리머확산 액정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각각은 변화된 광투과율, 광반사율 또는 편광상태를 가진 상태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공간변조장치.
  13. 광을 조사하는 광원 및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고, 상기 화소 각각에 대하여 상기 광원에 의하여 조사된 상기 광을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에 따라 변조하는 데 사용되는 광학공간변조장치를 포함하는 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 각각에 대한 상기 광학공간변조장치는,
    표시될 상의 화소데이터를 기억하는 제1 메모리와;
    상기 제1 메모리에 기억된 화소데이터가 전달되는 제2 메모리와;
    상기 제2 메모리에 전달된 화소데이터에 따라 구동수단과 결합된 화소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상기 구동수단과를 또한 포함하고,
    상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상을 구성하는 모든 화소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메모리내에 화소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화소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메모리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메모리에 전달된 상기 화소데이터에 따라 상기 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화소 각각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표시장치.
KR10-1998-0023990A 1997-06-25 1998-06-24 광학공간변조장치및화상표시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89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9195 1997-06-25
JP16919597 1997-06-25
JP98-94877 1998-04-07
JP09487798A JP3900663B2 (ja) 1997-06-25 1998-04-07 光学空間変調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304A true KR19990007304A (ko) 1999-01-25
KR100489629B1 KR100489629B1 (ko) 2005-11-11

Family

ID=264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990A Expired - Lifetime KR100489629B1 (ko) 1997-06-25 1998-06-24 광학공간변조장치및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6942B1 (ko)
EP (1) EP0887786B1 (ko)
JP (1) JP3900663B2 (ko)
KR (1) KR100489629B1 (ko)
CN (1) CN1146852C (ko)
DE (1) DE698076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997B2 (ja) * 2000-02-18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と階調補正データ作成方法
JP3705086B2 (ja) * 2000-07-03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992652B2 (en) * 2000-08-08 2006-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796654B2 (ja) 2001-02-28 2006-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3767737B2 (ja) 2001-10-25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その階調駆動方法
US9530363B2 (en) 2001-11-20 2016-12-27 E Ink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9412314B2 (en) 2001-11-20 2016-08-09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10726798B2 (en) 2003-03-31 2020-07-28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operating electro-optic displays
JP4560275B2 (ja) * 2003-04-04 2010-10-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WO2005006290A1 (en) * 2003-06-30 2005-01-20 E Ink Corporation Methods for driving electro-optic displays
US7439965B2 (en) * 2004-03-05 2008-10-21 Anderson Daryl E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7705842B2 (en) * 2006-01-11 2010-04-27 Microsoft Corporation Fast display initialization and light up
JP5625287B2 (ja) * 2009-08-21 2014-1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源装置、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90398B1 (ko) 2010-04-09 2016-12-27 이 잉크 코포레이션 전기광학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CN112750397B (zh) * 2019-10-31 2022-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7996A3 (en) * 1987-04-20 1989-02-08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5111195A (en) * 1989-01-31 1992-05-05 Sharp Kabushiki Kaisha Driving circuit for a matrix type display device
JPH0563918A (ja) * 1989-12-21 1993-03-12 Xerox Corp 光学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
JPH03203776A (ja) * 1989-12-29 1991-09-05 Sharp Corp 強誘電性液晶パネルの表示制御装置
KR940008180B1 (ko) * 1990-12-27 1994-09-07 가부시끼가이샤 한도다이 에네르기 겐꾸쇼 액정 전기 광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E69231597T2 (de) * 1991-03-19 2001-05-31 Hitachi, Lt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US5307056A (en) * 1991-09-06 1994-04-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memory allocation for frame buffer for spatial light modulator
EP0530761B1 (en) * 1991-09-06 1996-04-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rtitioned frame memory for spatial light modulator
JP3251064B2 (ja) * 1991-11-07 2002-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表示制御装置
US5627557A (en) * 1992-08-20 1997-05-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apparatus
JP2974564B2 (ja) * 1993-12-20 1999-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電子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5499062A (en) * 1994-06-23 1996-03-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plexed memory timing with block reset and secondary memory
US5959598A (en) * 1995-07-20 1999-09-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Pixel buffer circuits for implementing improved methods of displaying grey-scale or color images
JPH0996786A (ja) * 1995-09-29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射型表示装置
US6181311B1 (en) * 1996-02-23 2001-01-3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color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07603D1 (de) 2002-10-10
KR100489629B1 (ko) 2005-11-11
EP0887786A2 (en) 1998-12-30
CN1146852C (zh) 2004-04-21
EP0887786B1 (en) 2002-09-04
JPH1175144A (ja) 1999-03-16
JP3900663B2 (ja) 2007-04-04
US6326942B1 (en) 2001-12-04
DE69807603T2 (de) 2003-04-24
CN1211782A (zh) 1999-03-24
EP0887786A3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1200B2 (ja) 液晶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489629B1 (ko) 광학공간변조장치및화상표시장치
US6542142B2 (en) Voltage generating circuit, spatial light modulating element,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system
US7190337B2 (en) Multi-configuration display driver
JP3667175B2 (ja) 表示装置
JP4169589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605781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bistable nematic liquid crysta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4668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636236A (zh) 液晶装置
US200700639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25646A (ko) 서로 다른 전자색차 물질을 구비한 전자색차 컬러디스플레이
JPH1152327A (ja) 液晶表示装置の表示制御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5548423A (en) Color liquid-crystal shutter array having unique pixel arrangemen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292220B2 (en)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S6167836A (ja) 液晶素子の駆動法
JP3944678B2 (ja) コレステリック液晶表示素子およびコレステリック液晶表示装置
JP2001051253A (ja) 液晶表示装置
JPH01304966A (ja) 表示装置
JPH075426A (ja) 液晶表示装置
JPH0943573A (ja) 表示装置の駆動法
KR100804116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구동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H0714044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598354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H11231284A (ja) 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JP200306649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12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