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07184A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184A
KR19990007184A KR1019980023318A KR19980023318A KR19990007184A KR 19990007184 A KR19990007184 A KR 19990007184A KR 1019980023318 A KR1019980023318 A KR 1019980023318A KR 19980023318 A KR19980023318 A KR 19980023318A KR 19990007184 A KR19990007184 A KR 19990007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er shell
output shaft
blower
attach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183B1 (ko
Inventor
다다아키 이시카와
아츠시 오구리
히사유키 마츠자와
야스히로 카토
도루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716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77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1715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3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67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48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67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4930B2/ja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0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6Cast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외부셸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부에 날개바퀴를 장착한 송풍기에 적합한 케이싱, 전동기의 외부셸 및 방진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출력축이 연장되는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과 날개바퀴의 측면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확보해서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와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기 위해, 외부셸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부에 날개바퀴를 장착한 송풍기에 대해서 그 모터의 외부셸에서 연장하는 출력축의 돌출량을 크게 하고 출력축을 관통해서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착판을 마련하고 이 부착판과 모터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구성한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와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수납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전장부품의 부착의 간이화를 추진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송풍기
본 발명은 외부셸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부에 날개바퀴(impeller)를 장착한 송풍기,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에 적합한 케이싱,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에 적합한 전동기의 외부셸 및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에 적합한 방진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종래의 직교류형 팬에서는 날개바퀴(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이 팬케이싱(32)의 한쪽 측에 마련되고, 다른쪽 측에 모터(31)을 운전시키기 위한 콘덴서나 임피던스를 전환모터(31)의 속도를 변경하는 릴레이 등의 전장부품(electric equipment)(33)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에 있어서 풍향을 변경하기 위해 팬케이싱(32)를 요동시키는 것에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웜기어기구(34)에 의한 감속기구를 내장한 모터(31)이 적용되고, 1개의 모터(31)에 의해 날개바퀴(30)과 팬케이싱(32)를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송풍기에 있어서는 모터(31)의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일뿐만 아니라 감속기구 등의 보수성도 나쁘다. 게다가, 전장부품(33)이 팬케이싱(32)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체가 대형화될 난점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바퀴(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과 팬케이싱(32)를 요동시키는 모터(35)를 개별로 마련하고, 날개바퀴(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과 나란히 팬케이싱(32)를 요동시키는 모터(35)를 배치한 개량형 송풍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 송풍기는 날개바퀴(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 주위에 팬케이싱(32)를 요동시키는 모터(35)를 포함하는 전장부품(33)이 배치되고 송풍기의 전체길이는 상술한 것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개량형 송풍기에도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즉, 팬케이싱(32)를 요동시키는 모터(35)나 콘덴서나 릴레이 등과 같은 전장부품(33)을 날개바퀴(30)을 회전시키는 모터(31)의 옆에 나란히 배치하므로 송풍기의 폭치수가 커짐과 동시에 전기배선의 배선루트도 복잡하게 되고 부착장소가 좁은 공간때문에 전장부품(33)의 부착도 번잡하게 된다.
상기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의 케이싱은 가늘고 긴 형상을 취하는 경우가 많고, 케이싱의 양끝을 구성하는 2개의 측판과 이 측판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긴쪽방향으로 가늘고 긴 흡입구와 취출구를 형성하는 2개의 대향형상의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판은 내측으로 만곡된 띠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고, 한쪽의 가이드판의 폭은 다른쪽의 가이드판의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각 가이드판은 그의 각 끝부에 있어서 각 측판에 고착되어 있다. 측판 사이를 가로놓인 상태로 양끝이 고정되는 각 가이드판은 띠형상이므로 측판과의 고정은 강고하게 이루어져 있다. 종래, 가장 많이 채용되고 있는 측판과 가이드판의 고정방법은 용접이고, 예를 들면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서 실행되어 왔다.
즉, 측판(23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판(231)의 끝가장자리를 수용하는 3개의 돌기부재(232)와 다른 하나의 가이드판(233)의 끝가장자리를 수용하는 2개의 돌기부재(234)가 둘레방향으로 배열되어 프레스가공에 의해 절단되어 세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가이드판(231)은 그의 끝가장자리의 내면측을 3개의 돌기부재(232)에 탑재하고, 끝면이 측판(230)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 각 돌기부재(232)에 스폿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가이드판(233)도 마찬가지로 그의 끝가장자리의 내면측을 2개의 돌기부재(234)에 대고 끝면이 측판(230)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 각 돌기부재(234)에 스폿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풍기의 케이싱에 있어서는 가이드판(231), (233)의 내면은 만곡되어 있는 것에 대해 돌기부재(232), (234)의 면이 평면인 점 및 용접시의 측판(230)과 가이드판(231), (233)의 유지가 곤란하다는 점에서 가이드판(231), (233)의 끝면과 측판(230)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생기기 쉽고, 케이싱이 풍향을 변경하도록 요동하는 구성의 것에서는 요동에 의한 가이드판(231), (233)의 끝면과 측판(230)의 접촉이 원인으로 소위 채터링음(chatter)이라고 불리는 이상음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가이드판(231), (233)과 측판(230)을 연결상태로 유지해서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하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또 조립후밖에 도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접 등에 의한 조립을 없애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52-77870호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3-25623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부림가공에 의해 잇는 방법을 채용하면 좋지만, 이러한 종류의 송풍기의 케이싱에는 가이드판(231), (233)과 측판(230)의 결합부분이 반드시 끝부끼리로 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공보에 개시되는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전동기중에는 출력축이 외부셸에서 길게 연장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직교류형 팬에 있어서의 날개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에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330)을 길게 하고 거기에 생기는 공간을 이용해서 전장부품(331)이나 날개케이싱(332)를 요동시키는 모터(333)이나 요동기구를 조립한 것이 있다. 이렇게 한 전동기의 구성은 송풍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장치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53-44963호에는 냉장고의 냉장고 외부에 부착된 전동기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날개바퀴를 회전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단열벽을 관통하기 위해 출력축이 긴 전동기가 사용되고 있다. 출력축이 길면 수송시 등에 있어서 출력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출력축이 요동하거나 휘어지고, 강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출력축이 소성변형하는 일이 발생한다.
상기 공보의 전동기에는 이러한 축요동을 방지하는 구조가 강구되고 있다. 즉, 전동기의 외부셸에서 돌출된 출력축을 단열벽에 마련한 가이드부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있다. 가이드부는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끝부의 내벽에는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실행하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출력축이 긴 전동기에 있어서, 그 출력축의 가이드부에 의한 요동방지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풍기의 전동기에서는 출력축을 격벽 등에 통과시키는 것이 아니고 날개바퀴 등의 피동체를 직접 축끝측에 장착하는 전동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 이 문제점과는 별도로 주물이나 다이캐스트에 의한 외부셸을 구비한 전동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프레임과 브래킷의 2부품 또는 2개의 엔드브래킷과 프레임의 3부품의 조립체에 의해 외부셸이 구성되고 개개의 부품을 개별로 제조하므로 외부셸 부품의 제조에 소요되는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
기기측과 고정상대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부재를 개재시켜 기기측의 부착부와 지지상대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연결하는 방진부착장치는 차량 등에는 널리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진부착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화60-67447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62-24050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33238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분할된 방진부재에 의해 프레임 등을 사이에 끼워 부착해서 지지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도 32에 도시한 종래의 방진부착장치는 송풍기(430)을 지지상대(421)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보의 것과 마찬가지로 분할된 방진부재(422), (423)을 지지상대(421)에 개재시키고, 볼트(425)의 긴쪽의 나사부를 방진부재(423)의 구멍과 지지상대(421)의 부착구멍과 방진부재(422)의 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너트(428)을 나사에 끼워서 지지상대(421)에 방진부재(422), (423)을 고정시킨다. 이 볼트(425)는 시트부(427)을 갖고, 시트부(427)의 양측에는 길고 짧은 2종류의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상대(421)에 고정된 볼트(425)의 짧은 쪽의 나사부에 송풍기(430)의 부착상대(424)의 부착구멍을 삽입해서 통과시켜 볼트(425)의 시트부(427)에 맞닿게 하고 너트(426)을 체결하여 송풍기(430)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진부착장치는 기기와 지지상대(421)과는 별도로 취급되며, 기기는 기기로서 취급되고 적당히 지지상대(421)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방진부착장치는 기기의 부착상대(424)에 볼트(425)를 부착하고 이 볼트(425)에 각 방진부재(422), (423)과 각 너트(426)을 세트한 가장착 상태로 되거나 부품상자 등에 수납해서 기기와 동일한 패키지로 되거나 하고 있다. 가장착 상태로 제공되고 있는 경우에는 부품의 분실 등은 피할 수는 있지만, 지지상대(421)로의 부착시에는 가장착 상태에서 해제하고 재차 정규의 상태로 다시 조립해서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부착조작이 번거롭고 작업성도 나쁘다. 또, 동일 패키지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부품의 분실 등에 의해 정규로 방진부재(422), (423)을 사용하지 않고 생략한 오부착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모터의 출력축이 연장되는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과 날개바퀴의 측면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확보해서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와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그 송풍기의 부품수납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그 송풍기의 부품수납공간을 더욱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나 전장부품의 부착의 간이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코킹(caulking)에 의한 조립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조립전에서의 도장처리가 가능한 송풍기의 케이싱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그 송풍기의 케이싱의 조립성의 향상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출력축이 길게 돌출된 전동기의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전동기 자체의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의 목적은 출력축이 길게 돌출된 전동기의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전동기 자체의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코스트의 저감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의 목적은 전동기의 외부셸의 코스트를 저감시키고 전동기의 외부셸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축심의 어긋남이 적은 외부셸을 구비한 전동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의 목적은 방진부재를 정규의 부착상태에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착상대에 장착해 둘 수 있는 조립성이 양호한 방진부착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의 목적은 그 방진부착장치의 부착의 적정화를 도모하고 방진기능을 확보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송풍기의 구동부의 내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각도를 변경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송풍기의 다른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정면도,
도 5는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주요부에 대한 부분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조립전의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조립전의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케이싱의 측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송풍기의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전동기의 외부셸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외부셸 요소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외부셸 요소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6은 제3 실시예의 다른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8은 제4 실시예의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외부셸 요소의 맞춤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0은 제5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1은 제5 실시예의 방진부재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제5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23은 제5 실시예의 제2 방진부재의 끝면도,
도 24는 제5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를 부착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제6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를 부착상태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송풍기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종래의 송풍기의 모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8은 종래의 다른 송풍기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정면도,
도 29는 종래의 송풍기의 조립전의 케이싱의 주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 30은 종래의 송풍기의 케이싱의 측판부분을 도시한 내측면도,
도 31은 종래의 송풍기의 전동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2는 종래의 방진부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외부셸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부에 날개바퀴를 장착한 송풍기에 대해서, 그 모터의 외부셸에서 연장하는 출력축의 돌출량을 크게 하고 출력축을 관통해서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착판을 마련하고, 이 부착판과 모터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구성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출력축이 외부셸에서 외부셸의 양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각 출력축의 축단부에 각각 날개바퀴가 장착되고, 그 각 날개바퀴를 둘러싸고 풍향을 변경하도록 요동하는 2개의 팬케이싱을 구비한 송풍기에 대해서, 그 모터의 외부셸에서 연장하는 출력축의 적어도 한쪽의 돌출량을 크게 하고, 이 돌출량이 큰 출력축을 관통해서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착판을 마련하고, 부착판과 모터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인 2개의 팬케이싱을 요동시키는 모터나 다른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구성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외부셸에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측을 제외한 전체를 외부셸과 일체로 성형한 보호슬리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피복하고 보호슬리브의 끝부를 부착판에 지지시키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제1∼제3까지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모터의 외부셸에 그 외부셸에서 돌출하는 스페이서를 마련하고 이 스페이서의 돌출단에 부착판을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의하면, 제1∼제4까지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부착판을 모터의 외부셸에 대향하는 수직면과 이 수직면과 대략 직각으로 모터측으로 연장하는 부착면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으로 구성하고, 수직면과 부착면의 쌍방에 전장부품 등을 장착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의하면, 제1∼제5까지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부착판에 부착판의 부착전에 미리 전장부품 등을 배치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의하면, 케이싱내에서 회전하는 날개바퀴의 외주의 일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날개바퀴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나머지의 외주부분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밖으로 취출하는 송풍기에 관한 케이싱으로서, 대략 원반형상의 측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플랜지를 중심선방향의 외측에 형성한 2개의 측판 및 이들 측판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각 측판을 대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반시킴과 동시에 날개바퀴의 외주에 근접해서 풍향을 변경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그 가이드판의 측판측의 각 끝부에 각 측판의 측면부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 플랜지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 및 플랜지의 자유단에 맞닿는 구부러짐부로 이루어지는 코킹구조를 마련하고, 각 측판의 플랜지를 이 코킹구조와 끼워 맞추고 구부러짐부를 구부려 넣어 플랜지를 둘러싸도록 코킹부착해서 가이드판을 측판에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의하면, 제7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가이드판의 코킹구조를 끼워 맞추는 부분의 각 측판의 플랜지에 다른 부분보다 돌출량이 적은 노치부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의하면, 케이싱내에서 회전하는 날개바퀴의 외주의 일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날개바퀴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나머지의 외주부분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밖으로 취출하는 송풍기에 관한 케이싱으로서, 대략 원반형상의 측면부를 갖는 2개의 측판 및 이들 측판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이 각 측판을 대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반시킴과 동시에 날개바퀴의 외주에 근접해서 풍향을 변경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그 각 측판의 측면부에 외측의 내측가장자리에 중심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마련한 둘레방향으로 가늘고 긴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가이드판의 측판측의 각 끝부에 각 측판의 끼워맞춤구멍의 내측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는 인접면, 플랜지의 외면부에 맞닿는 인접면 및 플랜지의 자유단에 맞닿는 구부러짐부로 이루어지고, 측판의 끼워맞춤구멍에 끼워맞춤가능한 코킹구조를 마련하고, 각 측판의 플랜지를 이 코킹구조와 끼워맞추고 구부러짐부를 구부려 넣어 플랜지를 둘러싸도록 코킹부착해서 가이드판을 측판에 고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의하면, 출력축이 외부셸에서 길게 그 외부셸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연장한 출력축의 축단측에 피동체를 장착하는 전동기에 대해서, 그 외부셸과 일체로 성형한 보호슬리브에 의해 외부셸에서 돌출하는 출력축의 축단측을 제외한 전체를 근접위치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피복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의하면, 제10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보호슬리브의 축단측의 끝부의 출력축 주위에 그 출력축에 아주 가까운 돌기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물이나 다이캐스트에 의한 외부셸을 구비한 전동기에 대해서 그 외부셸을 출력축과 직교하는 선으로 2등분으로 분할구성하고, 1종류의 외부셸 요소 2개를 대향시켜 접합해서 외부셸을 구성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의하면, 제12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외부셸 요소의 외부셸 요소끼리를 접합하는 맞춤면의 대칭위치에 끼워맞춤구조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 의하면, 제13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조를 돌기와 이것이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로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5 관점에 의하면, 제13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조를 융기(ridge)와 이것이 끼워맞춰지는 홈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6 관점에 의하면, 제12∼제15까지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외부셸 요소의 외주의 일부에 일체의 부착다리를 구비하고, 그 부착다리의 대향시키는 면의 대칭위치에 끼워맞춤구조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7 관점에 의하면, 부착부를 지지상대에 방진부재를 개재시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대향하는 형상으로 부착하는 방진부착장치에 대해서, 그 부착부의 한쪽면측에 장착하는 제1 방진부재, 부착부의 다른쪽면측에 장착하는 제2 방진부재, 지지상대를 부착부와 지지상대 사이에 제2 방진부재를 배치하도록 대향시키고, 제1 방진부재, 부착부, 제2 방진부재 및 지지상대에게 볼트를 삽입통과시켜 너트에 의해 체결하는 구성이고, 제1 방진부재 또는 제2 방진부재중의 어느 한쪽의 한쪽면에 부착부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에 대해 삽입통과 가능하게 해서 볼트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구멍을 중심에 갖는 지지통부를 마련하고, 다른쪽의 방진부재에 이 지지통부에 끼워맞추고 걸림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끼워맞춤구조를 마련하고, 볼트 및 너트를 삽입통과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 방진부재와 제2 방진부재가 부착부를 사이에 유지하는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8 관점에 의하면, 제17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지지통부를 제1 방진부재와 제2 방진부재의 과도의 압축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9 관점에 의하면, 제17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제1 방진부재와 제2 방진부재 사이에 제1 방진부재와 제2 방진부재의 과도의 압축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마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20 관점에 의하면, 제19 관점에 관한 상기 수단에 있어서의 스토퍼를 스토퍼에 의해 볼트를 삽입통과시키는 볼트삽입통과부가 형성되도록 통형상으로 구성하고, 스토퍼의 길이를 제1 방진부재와 제2 방진부재의 두께의 합보다 짧게 설정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제1 및 제2 관점에 의한 각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출력축이 연장하는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과 날개바퀴의 측면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확보해서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와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부품수납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다.
제4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제3까지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전장부품의 부착의 간이화를 추진할 수 있다.
제5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제4까지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부품수납공간을 더욱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6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제5까지 중의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전장부품 등의 부착이나 전기배선의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코킹부착에 의한 조립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이상음의 발생이 적고 조립전에서의 도장처리가 가능한 송풍기의 케이싱을 얻을 수 있다.
제8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7 관점에 의한 효과와 함께 케이싱의 조립성이 향상한다.
제9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코킹부착에 의한 조립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이상음의 발생이 적고 조립전에서의 도장처리가 가능한 조립성이 양호한 송풍기의 케이싱을 얻을 수 있다.
제10 및 제11 관점에 의한 각 발명에 의하면, 출력축이 길게 돌출된 전동기의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전동기 자체의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2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출력축이 길게 돌출된 전동기의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전동기 자체의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일 형상의 외부셸 요소 2개로 외부셸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제13∼제16 관점에 의한 각 발명에 의하면, 전동기의 외부셸의 부품제조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전동기의 외부셸의 조립성도 조립정밀도도 향상한다.
제17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방진부재를 정규의 부착상태에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착상대에 장착해 둘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한 방진부착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18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7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간소한 구성에 의해 방진부착장치의 부착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방진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9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제17 관점에 관한 상기 효과와 함께 방지부착장치의 부착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방진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20 관점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방진부재를 정규의 부착상태에서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착상대에 장착해 둘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한 방진부착장치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방진부착장치의 부착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방진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제1 실시예의 송풍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송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팬케이싱(1)내에서 회전하는 날개바퀴(2)의 외주의 일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날개바퀴(2)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나머지의 외주부분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밖으로 취출하는 직교류형 팬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것은 이연식(double casing type)이고, 중앙에 마련된 각 날개바퀴(2)를 회전시키는 모터(3) 및 팬케이싱(1)을 요동시키는 모터(4)를 중핵으로 하는 구동부(5)의 양측에 날개바퀴(2)와 팬케이싱(1)이 각각 1조씩 구성되어 있지만 좌우의 기본부분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한쪽에 대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른쪽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날개바퀴(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의 모터(3)은 송풍기의 프레임(6)의 긴쪽방향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이 모터(3)의 출력축(7)은 모터(3)의 외부셸(8)의 측면에서 양측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하고, 그의 적어도 한쪽(도 3에 있어서의 좌측)의 출력축(7)의 돌출량은 크게 되어 있다. 이 모터(3)의 외부셸(8)은 주물이나 알루미늄다이캐스트에 의해 성형되고 출력축(7)과 직교하는 선으로 분할구성된 외부셸 요소 2개를 대향시켜 접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셸(8)에는 그 양측으로 출력축(7)을 외부로 연장시키는 축구멍이 형성되고 이 축구멍의 외주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호슬리브(9)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보호슬리브(9)는 출력축(7)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통부로서 외부셸(8)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각 출력축(7)은 이 보호슬리브(9)에 날개바퀴(2)를 장착하는 축단측을 남기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셸(8)에서 돌출하는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피복된다. 돌출량이 큰 출력축(7)을 피복하는 보호슬리브(9)의 돌출단은 소직경부(10)으로서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셸(8)의 돌출량이 큰 출력축(7)측의 측면에는 보호슬리브(9)와 나란히 돌출하고 보호슬리브(9)를 둘러싸는 3개의 스페이서(11)이 일체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11)의 돌출단은 보호슬리브(9)의 소직경부(10)의 베이스부(root)와 동일한 위치에 있고 그 각 끝면에는 부착구멍(12)가 마련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스페이서(11)의 돌출단에 모터(3)의 외부셸(8)과 대향하는 수직면(13) 및 이 수직면(13)과 대략 직각으로 모터(3)측으로 연장하는 부착면(14)로 이루어지는 L자형 부착판(15)가 수직면(13)에 있어서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모터(3)의 외부셸(8)의 측면 사이에 스페이서(11)로 유지된 부품수납공간(16)이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15)의 수직면(13)의 대략 중앙에는 보호슬리브(9)의 소직경부(10)을 걸어맞추는 걸어맞춤구멍(17)이 개구되어 있고 보호슬리브(9)의 끝부는 이 걸어맞춤구멍(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부착판(15)에는 모터(3)을 구동시키기 위한 콘덴서(18)이나 회전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릴레이(19)나 팬케이싱(1)을 요동시키기 위한 모터(4) 등의 전장부품 및 팬케이싱(1)을 요동시키는 요동기구가 집약해서 부품수납공간(16)에 수납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면(13)에 모터(4)가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부착면(14)에 콘덴서(18)과 릴레이(19) 및 릴레이케이스(20)이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더욱 유효하게 부품수납공간(16)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터(4)는 감속장치를 내장하고 있고 그 회전축은 수직면(13)의 한쪽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부(21)에서 한쪽의 팬케이싱(1)측으로 인출되고, 요동기구의 크랭크(22)가 축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크랭크(22)에는 요동로드(23)이 연결되고 요동로드(23)에 연결된 연결로드(24)가 2개의 팬케이싱(1)에 연결되고 1개의 모터(4)에 의해 2개의 팬케이싱(1)이 풍향을 변경하도록 요동하는 구성이다. 부품수납공간(16)과 모터(3)은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구동부커버(25)에 의해 전체가 피복된다.
부착판(15)로의 전장부품 등의 부착은 부착판(15)를 모터(3)의 외부셸(8)의 스페이서(11)에 부착하기 이전에 실행하고 주요한 전기배선도 완성시켜 두면 부착판(15)를 전기부품을 실장한 회로기판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 전장부품 등의 부착작업이나 전기배선을 하는 것보다 작업이 간이하고 배선루트도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성도 좋다. 외부셸(8)에서 길게 연장하는 출력축(7)은 보호슬리브(9)로 거의 전체가 피복되고 또 보호슬리브(9)의 돌출단측이 끼워맞춤구멍(17)에 의해 부착판(15)에 지지되고 양끝이 고정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송시 등에 외력이 작용해도 보호슬리브(9)에 의해 요동이 방지되어 휘어지거나 변형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보호슬리브(9)와 스페이서(11)은 부품수납공간(16)을 다른 기능부품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또, 부품수납공간(16)은 송풍에 노출되지 않고 또 구동부커버(25)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전장부품 등에 대한 먼지의 부착도 경감한다. 즉, 이 송풍기는 모터(3)의 출력축(7)이 연장하는 모터(3)의 외부셸(8)의 측면과 한쪽의 날개바퀴(2)의 측면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16)을 확보했으므로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가 가능하게 되고, 또 팬케이싱(1)을 요동시키는 모터(4)를 별도로 한 것이므로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보호슬리브(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수납공간(16)을 확보하기 위해 돌출량을 크게 한 출력축(7)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지만, 출력축(7)은 부착판(15)를 관통하는 구성이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15)의 끼워맞춤구멍(17)을 출력축(7)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해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보호슬리브(9) 없이 부착판(15)만으로 출력축(7)의 요동방지를 실행할 수 있고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부착판(15)는 송풍기의 프레임(6)에 부착해도 좋고 부착판(15)의 구성을 다면구성으로 해서 부품수납공간(16)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도 5∼10은 제2 실시예의 송풍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송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케이싱(1)내에서 회전하는 날개바퀴(2)의 외주의 일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날개바퀴(2)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나머지의 외주부분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밖으로 취출하는 직교류형 팬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도시한 것은 이연식(double casing type)이고 중앙에 마련된 각 날개바퀴(2)를 회전시키는 모터(203) 및 팬케이싱(1)을 요동시키는 모터(204)를 중핵으로 하는 구동부(5)의 좌우에 날개바퀴(2)와 판금제 케이싱(1)이 각각 1조씩 구성되어 있지만 좌우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그의 한쪽에 대한 구성만을 설명하고 다른쪽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싱(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쪽방향의 양끝을 구성하는 2개의 측판(206) 및 이 측판(206)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긴쪽방향으로 가늘고 긴 흡입구(207)과 취출구(208)을 형성하는 안쪽으로 만곡된 2개의 대향하는 형상의 제1 및 제2 가이드판(209), (21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측판(206)은 중앙에 축지지용 둥근구멍(211)이 형성된 대략 원반형상의 측면부(212)의 둘레가장자리에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플랜지(213)을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213)은 측판(206)의 축선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어 측판(206)의 강성을 유지하고 있다. 2개의 가이드판(209), (210)은 측판(206)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각 측판(206)을 대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반시켜 날개바퀴(2)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해넣은 케이싱(1)을 구성하고 있다. 2개의 가이드판(209), (210)중의 한쪽은 다른쪽보다 폭넓게 형성되고, 그의 흡입구 가장자리로 되는 긴쪽방향 끝가장자리(214)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외측으로 구부려져 있고 측판(206)의 외주가장자리를 따라 그 긴쪽방향의 각 끝부가 고정되어 있다. 다른쪽의 가이드판(210)은 폭이 좁게 형성되고 그의 흡입구 가장자리로 되는 긴쪽방향 끝가장자리(214)는 원호형상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측판(206)의 외주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측면부(212)에 그 긴쪽방향의 각 끝부가 고정되어 있다.
측판(206)으로의 조립전의 제1 가이드판(209)의 긴쪽방향의 양끝부에는 각 측판(206)의 측면부(212)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215), 플랜지(213)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216), 플랜지(213)의 자유단에 맞닿는 내측을 향하는 구부러짐부(217)로 이루어지는 코킹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제1 가이드판(209)의 각 끝부를 결합시키는 부분의 각 측판(206)의 플랜지(213)에는 다른 부분보다 돌출량이 적은 부분으로 한 노치부(218)이 형성되어 있다(도 6, 도 7 참조).
한편, 각 측판(206)의 제2 가이드판(210)을 결합시키는 측면부(212)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의 내측가장자리에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19)를 마련한 둘레방향으로 가늘고 긴 끼워맞춤구멍(2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제2 가이드판(210)의 양끝부에는 각 측판(206)의 끼워맞춤구멍(220)의 내측구멍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인접면(221), 플랜지(219)의 외면부에 맞닿는 인접면(222) 및 플랜지(219)의 자유단에 맞닿는 내측으로 향하는 구부러짐부(223)로 이루어지고, 측판(206)의 끼워맞춤구멍(220)에 끼워맞춤가능한 코킹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2개의 가이드판(209), (210)과 2개의 측판(206)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해서 실행된다. 즉, 폭이 넓은 쪽의 제1 가이드판(209)에 대해서는 측판(206)의 노치부(218)부분의 플랜지(213)을 측판(206)의 측면부(212)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215), 플랜지(213)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216) 및 플랜지(213)의 자유단에 맞닿는 내측으로 향하는 구부러짐부(217)에 의해 형성된 채널부분에 외측에서 끼워맞춰 두고, 코킹구조의 구부러짐부(217)을 플랜지(213)의 내주면에 밀착할 때까지 구부려넣어 플랜지(213)을 코킹구조에 의해 둘러싸도록 코킹부착한다(도 9 참조). 다른쪽의 끝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다른쪽의 측판(206)의 노치부(218)부분의 플랜지(213)에 코킹부착해서 조립한다. 플랜지(213)에 노치부(218)을 마련하지 않아도 플랜지(213)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216)을 넓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코킹부착이 가능하지만, 노치부(218)에 의해 코킹구조가 둘레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이 구조의 것보다 조립시의 가이드판(209)의 위치결정이 약간 번거롭게 된다.
폭이 좁은 쪽의 제2 가이드판(210)에 대해서는 측판(206)의 끼워맞춤구멍(220)에 끝부의 코킹구조를 측판의 내측에서 끼워맞추고 측판의 외측의 내측가장자리로 돌출하는 플랜지(219)를 끼워맞춤구멍(220)의 내측구멍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인접면(221), 플랜지(219)의 외면부에 맞닿는 인접면(222) 및 플랜지(219)의 자유단에 맞닿는 내측으로 향하는 구부러짐부(223)에 의해 형성된 채널부분에 측판의 외측에서 끼워맞춰 두고 코킹구조의 구부러짐부(223)을 플랜지(219)의 내주면에 밀착할 때까지 구부려넣어 플랜지(219)를 코킹구조에 의해 둘러싸도록 코킹부착한다(도 10 참조). 다른쪽의 끝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다른쪽의 끼워맞춤구멍(220)의 플랜지(219)에 코킹부착해서 조립한다. 이 제2 가이드판(210)의 조립도 끼워맞춤구멍(220)에 코킹구조를 끼워맞추므로, 코킹구조의 위치가 규정되고 조립시의 가이드판(210)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케이싱(1)은 각 가이드판(209), (210)과 각 측판(206)과의 결합부에 틈도 생기지 않고 결합부분은 중합된 구조에 의해 진동하기 곤란하므로, 풍향을 변경하기 위해 요동시켜도 소위 채터링음이라 불리는 이상음의 발생은 거의 없어진다. 즉, 코킹부착한 상태의 코킹구조는 인접면(215), (221)과 구부러짐부(217), (223)의 끝부 사이에 측판(206)의 측면부(212)를 배치하여 내측 및 외측에서 유지하고, 플랜지(213), (219)를 인접면(215), (221)과 구부러짐부(217), (223) 사이에 배치해서 유지하고, 강고하게 가이드판(209), (210)과 측판(206)을 결합하고 진동하기 곤란한 구조로 하게 된다. 또, 이 케이싱(1)에서는 스폿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하므로, 조립전의 각 부재를 미리 도장해 둘 수 있고 큰 조립물을 도장하는 것보다 도장처리를 하기 쉬우며 품질의 유지도 용이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1∼도 17에 도시한 이 제3 실시예의 전동기의 외부셸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송풍기에 적합한 것이다. 제3 실시예의 전동기에 관한 외부셸(301)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류형 팬에 있어서의 날개바퀴(302)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에 대한 것으로서, 외부셸(301)에서 출력축(303)이 길게 연장하는 형태의 전동기에 적용하는 것이다. 전동기의 외부셸(301)은 주물이나 알루미늄다이캐스트에 의해 성형되고, 출력축(303)과 직교하는 선으로 2등분으로 분할구성된 동일형상의 외부셸 요소(304) 2개를 대향시켜 접합해서 구성되어 있다. 각 외부셸 요소(304)에는 그의 한쪽에 출력축(303)을 외부로 연장시키는 축구멍(3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구멍(305)의 내측은 축받이수납부(306)으로 둘러싸여지고 외측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호슬리브(307)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보호슬리브(307)은 출력축(303)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통부로서 외부셸(301)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출력축(303)은 이 보호슬리브(307)에 피동체인 날개바퀴(302)를 장착하는 축단측을 남기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셸(301)에서 돌출하는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피복된다. 보호슬리브(307)의 돌출단의 내주에는 출력축(303) 주위에 출력축(303)에 아주 가까운 돌기(308)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셸 요소(304)에는 전동기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다리(309)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2개 형성되어 있다. 외부셸 요소(304)의 맞춤면(310)에는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11)과 오목부(312)에 의한 끼워맞춤구조가 외부셸 요소(304)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위치에 대향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구조는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원호를 이루는 융기(313)과 이것이 끼워맞춰지는 홈(314)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외부셸 요소(304)의 맞춤면(310) 가까이에는 외부셸 요소(304)끼리를 맞춤면(310)에 있어서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체결하기 위한 볼트삽입통과구멍(315)를 갖는 플랜지(316)이 둘레방향으로 배열해서 3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전동기의 외부셸(301)은 동일 형상의 외부셸 요소(304)끼리를 대향시키고 맞춤면(310)을 접촉시켜 끼워맞춤구조를 끼워맞춤관계로 하고, 각 플랜지(316)끼리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전동기의 출력축(303)은 각각 보호슬리브(307)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노출되는 각 축단측에 날개바퀴(302) 등의 피동체가 장착된다. 즉, 이 전동기의 외부셸(301)은 단일의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조립도 맞춤면(310)에 형성된 끼워맞춤구조를 끼워맞추면, 외부셸 요소(304)끼리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정반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동일 형상의 외부셸 요소(304) 2개로 구성하기 때문에 부착다리(309)의 부착면의 평면도(平面度)도 얻기 쉽고 축심도 잘 어긋나지 않으므로 조립정밀도가 좋은 외부셸(301)로 된다. 그리고, 외부셸(301)에서 길게 연장하는 출력축(303)은 보호슬리브(307)로 거의 전체가 피복되어 있으므로, 수송시 등에 외력이 작용해도 보호슬리브(307)의 내면에 의해 요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특히, 보호슬리브(307)에 출력축(303)에 아주 가까운 돌기(308)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출력축(303)의 요동도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호슬리브(307)을 외부셸(301)과 일체로 성형해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적용개소의 제약도 적고 다른 부재에 의해 요동을 방지하는 것보다도 구성도 간소하게 되고 조립도 평이하게 된다.
또한, 보호슬리브(307)은 분할구성의 외부셸(301)이 아니라도 구성할 수 있고, 출력축(303)이 한쪽으로만 연장하는 전동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할 수 있다. 또, 피동체를 날개바퀴(302)가 아닌 각종 장치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기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도 18, 도 19는 제4 실시예의 전동기의 외부셸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전동기의 외부셸(301)도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동기의 외부셸(301)과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전동기의 외부셸(301)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맞춤면(301)에 마련한 끼워맞춤구조를 외부셸 요소(304)의 부착다리(309)의 대향시키는 면의 대칭위치에 마련한 것이다. 끼워맞춤구조는 돌출부(317)과 이것과 끼워맞춰지는 오목부(318)로 구성되고 외부셸 요소(304)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위치에 마련되고, 한쪽의 부착다리(309)측에 돌출부(317)이, 다른쪽의 부착다리(309)측에 오목부(318)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실시예의 끼워맞춤구조에 의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고, 특히 부착다리(309)의 부착면의 평면도를 한층 얻기 쉬어진다. 물론,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맞춤면(310)의 끼워맞춤구조를 병설한 외부셸(301)을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0∼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송풍기에 적합한 제5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방진부착장치는 예를 들면 송풍기 등의 기기(401)을 천정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401)에 마련된 플랜지형상의 부착부(402)를 지지상대로 되는 천정 등의 부착플랜지(403)에 제1과 제2 방진부재(404), (405)를 개재시켜 볼트(406) 및 너트(407)에 의해 대향하는 형상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부착부(402)와 부착플랜지(403)에는 각각 볼트(406)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걸어맞춤구멍(408)이 정합가능하게 개구되어 있다.
제1 방진부재(404) 및 제2 방진부재(405)는 모두 그 기본구성은 동일하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기능을 하는 방진고무나 스프링 등의 탄성재(409)를 그의 양끝면에 있어서 금구(410), (413), (418) 사이에 배치한 구성이다. 제1 방진부재(404)는 원통형의 탄성재(409)의 한쪽끝에 원반형상의 금구(410)이 장착되고, 다른쪽끝에 중앙에 슬리브형상의 지지통부(411)이 돌출된 금구(413)이 장착되고 그의 내측에는 탄성재(409)의 통형상의 돌출부(419)가 마련되어 있다. 원반형상의 금구(410)에는 볼트(406)을 삽입통과시킬 수 있는 볼트삽입통과구멍(41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재(409)의 중심의 구멍(417)은 이 볼트삽입통과구멍(41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멍(417)은 스토퍼(416)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지지통부(411)은 부착부(402)의 걸어맞춤구멍(408)에 끼워넣을 수 있는 외경과 부착부(402)에서 돌출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하고, 그의 내측에는 탄성재(409)의 통형상의 돌출부(419)가 끼워맞춰져 있다.
제2 방진부재(405)는 원통형 탄성재(409)의 양끝에 원반형상의 금구(410) 또는 금구(418)이 장착된 구성이다. 한쪽의 금구(410)에는 볼트(406)을 삽입통과시킬 수 있는 볼트삽입통과구멍(412)가 중심에 형성되고, 다른쪽의 금구(418)에는 제1 방진부재(404)의 금구(413)의 지지통부(411)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워맞춤구멍(414)가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구멍(414)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415)가 끼워맞춤구멍(414)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415)의 탄성변형에 의해 삽입통과한 지지통부(411)의 외주에 걸어고정되는 구성이다. 탄성재(409)의 중심구멍은 단차를 갖는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그 구멍의 1개는 끼워맞춤구멍(414)이 있는 금구(418)의 끼워맞춤구멍(414)와 동일형상이고, 또 하나의 구멍(420)은 볼트(406)의 통과가 가능한 내경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420)은 스토퍼(416)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끼워맞춤구멍(414)와 돌기(415) 및 탄성재(409)의 끼워맞춤구멍(414)와 동일형상부의 구멍에 의해 지지통부(411)을 끼워맞춰 걸림상태로 두는 끼워맞춤구조가 구성된다.
제1 방진부재(404)와 제2 방진부재(405)의 탄성재(409)의 중심의 구멍에는 양 탄성재(409) 사이에 걸쳐지는 슬리브형상의 스토퍼(416)이 개재된다(도 22, 도 24 참조). 스토퍼(416)은 볼트(406)을 통과하는 통과구멍을 중심에 형성함과 동시에 한쪽끝은 제1 방진부재(404)의 돌출부(419)의 구멍(417)의 내측구멍 가장자리와 맞닿게 하고, 다른쪽끝은 제2 방진부재(405)의 탄성재(409)의 구멍(420)에 틈(431)을 두고 면해 있다. 또한, 지지통부(411)을 제2 방진부재(405)측에 마련하고 걸어맞춤구조를 제1 방진부재(404)측에 마련해도 관계없다.
상기 구성의 방진부착장치는 우선 제1 방진부재(404)를 부착부(402)의 걸어맞춤구멍(408)에 한쪽에서 지지통부(411)을 통과시키고 지지통부(411)이 부착부(402)의 1면에서 돌출하도록 해두고, 스토퍼(416)을 지지통부(411) 끝에서 그의 한끝이 금구(410)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 후, 제2 방진부재(405)의 걸어맞춤구조를 돌출된 지지통부(411)에 끼워넣고 제1 방진부재(404)와 제2 방진부재(405) 사이에 부착부(402)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끼워맞춤구멍(414)의 돌기(415)에 의해 지지통부(411)의 외주가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고, 제1과 제2 방진부재(404), (405)는 연결상태에 있어 간단히 어긋나지 않는다(도 21 참조). 이렇게 해 두고, 제2 방진부재(405)의 금구(410)에 지지상대인 부착플랜지(403)을 맞닿게 하고, 걸어맞춤구멍(408)과 볼트삽입통과구멍(412)를 정합시키고 볼트(406)을 삽입통과시켜 너트(407)을 나사에 의해 끼우고 제1 방진부재(404), 부착부(402), 제2 방진부재(405) 및 부착플랜지(403)을 조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기기(401)을 방진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
볼트(406) 및 너트(407)의 조임을 지나치게 강하게 하면 탄성재(409)가 과도하게 압축되어 방진기능이 저하하지만, 이 방진부착장치에서는 스토퍼(416)의 길이가 제1 방진부재(404)와 제2 방진부재(405)의 두께의 합보다 짧게 설정되어 너무 조이면 스토퍼(416)의 끝부의 틈(431)이 없어져 그 이상의 볼트(406) 및 너트(407)의 조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볼트(406) 및 너트(407)의 과도한 조임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진기능은 주로 볼트(406)의 중심선방향의 진동에 대해 작용하지만, 지지통부(411)내의 탄성재(409)의 돌출부(419)에 의해 볼트(406)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도 작용한다.
이 방진부착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과 제2 방진부재(404), (405)를 정규의 부착상태에서 기기(401)의 부착부(402)에 장착해서 제공할 수 있고, 부착시에 재차 정규의 상태로 재부착할 필요가 없어 부착조작도 간단하고 작업성도 좋다. 그리고, 제1과 제2 방진부재(404), (405)를 배제한 것과 같은 부적당한 부착방법이 실행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도 25는 제6 실시예의 방진부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부분의 구성은 제5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5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5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방진부착장치는 제5 실시예에서 도시한 스토퍼(416)을 제1 방진부재(404)의 길이를 길게 한 지지통부(411)로 대용하고 있다. 지지통부(411)이 볼트(406) 및 너트(407)의 과도한 조임방지기능을 하도록 하고, 다른 부품으로서의 스토퍼(416)에 대해서는 삭제한 것이다. 이 구성의 채용에 의해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 및 기능 및 이점은 제5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출력축이 연장하는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과 날개바퀴의 측면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확보해서 송풍기의 폭치수의 축소와 보수성의 향상 및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출력축이 길게 돌출된 전동기의 출력축의 요동방지를 전동기 자체의 간이한 구조에 의해 실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일 형상의 외부셸 요소 2개로 외부셸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의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외부셸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모터의 출력축의 축단부에 날개바퀴를 장착한 송풍기로서,
    상기 모터의 외부셸에서 연장하는 출력축의 돌출량을 크게 하고 이 출력축을 관통해서 상기 모터의 외부셸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착판을 마련하고, 이 부착판과 상기 모터 사이에 송풍기의 운전에 필요한 전장부품 등을 집약해서 배치하는 부품수납공간을 구성한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제2 출력축을 갖고, 제2 출력축은 상기 제1 출력축이 돌출하는 외부셸의 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에서 돌출하고 제2 출력축은 축단부에 날개바퀴를 장착하고 여러개의 팬케이싱이 각 날개바퀴를 둘러싸고 요동해서 풍향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고 적어도 제1 출력축이 증대된 돌출량을 갖고, 상기 전장부품에는 팬케이싱을 요동시키는 모터가 포함되는 송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날개바퀴를 둘러싸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은 케이싱내에서 회전하는 날개바퀴의 외주의 일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그 날개바퀴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나머지의 외주부분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밖으로 취출하는 케이싱으로서, 대략 원반형상의 측면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플랜지를 축선방향의 외측에 형성한 2개의 측판 및 이들 측판 사이에 삽입해서 고정되고 이 각 측판을 대향시킨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반시킴과 동시에 상기 날개바퀴의 외주에 근접해서 풍향을 변경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한 구성이고, 그 가이드판의 상기 측판측의 각 끝부에 각 측판의 상기 측면부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 상기 플랜지의 외주부에 맞닿는 인접면 및 상기 플랜지의 자유단에 맞닿는 구부러짐부로 이루어지는 코킹구조를 마련하고, 상기 각 측판의 플랜지를 이 코킹구조와 끼워 맞추고 상기 구부러짐부를 구부려 넣어 상기 플랜지를 둘러싸도록 코킹부착해서 상기 가이드판을 상기 측판에 고정시킨 송풍기.
KR1019980023318A 1997-06-27 1998-06-22 송풍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265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71552 1997-06-27
JP17160397A JP3777726B2 (ja) 1997-06-27 1997-06-27 送風機
JP97-171603 1997-06-27
JP9171552A JPH1118351A (ja) 1997-06-27 1997-06-27 電動機
JP17567397A JP3704891B2 (ja) 1997-07-01 1997-07-01 防振取付装置
JP97-175672 1997-07-01
JP97-175673 1997-07-01
JP17567297A JP3484930B2 (ja) 1997-07-01 1997-07-01 送風機のケーシ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84A true KR19990007184A (ko) 1999-01-25
KR100265183B1 KR100265183B1 (ko) 2000-09-15

Family

ID=274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3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65183B1 (ko) 1997-06-27 1998-06-22 송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65183B1 (ko)
CN (1) CN1092766C (ko)
GB (1) GB2327817B (ko)
TW (1) TW46473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1Y1 (ko) * 2009-02-10 2010-02-04 임효진 전동차용 공기순환기
KR200460314Y1 (ko) * 2010-04-30 2012-05-21 임효진 팬의 탈착이 용이한 전동차용 공기순환기
KR200460313Y1 (ko) * 2010-04-30 2012-05-21 임효진 전동차용 공기순환기의 회전축 지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5216A1 (en) * 2003-05-22 2004-12-02 Giordano Riello International Group S.P.A. Electric motor for mounting in a motor a seat and method for mounting and positioning it
DE10325502A1 (de) * 2003-06-04 2004-12-23 Behr Gmbh & Co. Kg Motor, insbesondere dessen Befestigung
JP4994496B2 (ja) * 2008-02-26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CN102255450A (zh) * 2011-07-24 2011-11-23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江苏徐州工程机械研究院 一种矿用自卸车驱动电机新型固定机构
CN102386708B (zh) * 2011-11-04 2015-09-02 无锡天宝电机有限公司 一种轮毂电机外壳的制备方法
CN104279176B (zh) * 2013-07-04 2016-09-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风扇的电机支架结构及电风扇
US9912207B2 (en) * 2015-03-23 2018-03-06 Regal Beloit America, Inc. Electrical machine housing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DE102016224138A1 (de) 2016-12-05 2018-06-07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otor für eine Antriebseinheit eines Antriebsstrangprüfstands
DE102016224142A1 (de) 2016-12-05 2018-06-07 Zf Friedrichshafen Ag Modular aufbaubarer Antriebsstrangprüfstand für elektrische Kraftfahrzeugantriebe
JP7006913B2 (ja) * 2017-09-25 2022-01-24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およびダンパーのモニタリング方法
JP6980260B2 (ja) * 2017-09-25 2021-12-15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およびダンパーのモニタリ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963A (en) * 1977-08-24 1978-04-22 Hitachi Ltd Refrigerator
CN86209370U (zh) * 1986-11-26 1988-02-10 南昌电扇厂 节能电扇
US5288203A (en) * 1992-10-23 1994-02-22 Thomas Daniel L Low profile fan body with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01Y1 (ko) * 2009-02-10 2010-02-04 임효진 전동차용 공기순환기
KR200460314Y1 (ko) * 2010-04-30 2012-05-21 임효진 팬의 탈착이 용이한 전동차용 공기순환기
KR200460313Y1 (ko) * 2010-04-30 2012-05-21 임효진 전동차용 공기순환기의 회전축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766C (zh) 2002-10-16
TW464733B (en) 2001-11-21
KR100265183B1 (ko) 2000-09-15
CN1204011A (zh) 1999-01-06
GB2327817A (en) 1999-02-03
GB2327817B (en) 1999-07-14
HK1016241A1 (en) 1999-10-29
GB9813748D0 (en) 199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183B1 (ko) 송풍기
US4384226A (en) Small-sized electric motor
KR20010101482A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JP2000027799A (ja) ファン装置
CN219220828U (zh) 外转子轴流风扇的风叶总成、叶托及风扇
KR100365917B1 (ko) 전동모터
JP2910472B2 (ja) 遠心圧縮機
US9071088B2 (en) Axial gap type generator
JPH0145238Y2 (ko)
JP7463811B2 (ja) 電動ポンプ
JPS623610Y2 (ko)
JP3445736B2 (ja) 電動機
KR0122140Y1 (ko) 자동차용 발전기
CN213585444U (zh) 一种电动推杆驱动电机的安装结构
KR100442794B1 (ko) 룸 에어컨의 모터 장착구조
JPS6285655A (ja) 完全密閉式アウタ−ロ−タ型電動送風機
CN220307068U (zh) 一种汽车空调冷凝风机专用电机
KR0112396Y1 (ko) 냉각팬용 모터 하우징의 구조
KR200144706Y1 (ko) 모터
JPH0434342Y2 (ko)
JPH0135551Y2 (ko)
JPH0779539A (ja) ファンモータの防振装置
JPH1118351A (ja) 電動機
KR200358481Y1 (ko) 축류팬 모터 고정구조
JP2003018783A (ja) 回転電機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