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701907A - 흡수제품 - Google Patents

흡수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907A
KR19980701907A KR1019970705304A KR19970705304A KR19980701907A KR 19980701907 A KR19980701907 A KR 19980701907A KR 1019970705304 A KR1019970705304 A KR 1019970705304A KR 19970705304 A KR19970705304 A KR 19970705304A KR 19980701907 A KR19980701907 A KR 19980701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sheet
absorbent article
web
topsheet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오시마
히로아키 시카타
Original Assignee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4555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7019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Publication of KR1998070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90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longitudinal raised end, e.g. cup-shaped gluteal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e.g. with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2013/451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 A61F2013/45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 A61F2013/456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lded in special shape during use with a special transverse section cup-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전체적으로 컵 형태이고,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고, 착용시 충분히 만족스러운 감촉을 주며,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리대(2)와 같은 흡수제품이 제공된다. 이러한 흡수제품을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흡수제품은 상부시이트(4), 배면시이트(6) 및 상부시이트(4)와 배면시이트(6)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8)를 포함한다. 흡수제품은 또한 상부시이트(4) 또는 배면시이트(6)에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된 탄성 단편(20)을 갖는다. 탄성 단편(20)은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평면 형태로 형상화된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형성된다.

Description

흡수제품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생리대로 유리하게 사용되는 흡수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를 갖는다. 이러한 흡수제품은 착용자의 비뇨생식기 영역에 일치하고, 특히 측방향으로의 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흡수제품은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컵 형태를 갖도록 고안되고, 폭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소위 커프스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 형성되도록 고안된다.
본원에 사용된 종방향이란 용어는 착용자의 비뇨생식기 영역을 덮는 필요 상태로 착용된 흡수제품을 따라 신체의 전후방에서 연장되는 방향(흡수제품을 기립한 신체의 가랑이 영역 아래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편평한 형태로 놓았을 때, 신체의 전후방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폭방향이란 용어는 착용자의 비뇨생식기 영역을 덮는 필요 상태로 착용된 흡수제품을 따라 신체의 좌우에서 연장되는 방향(흡수제품을 기립한 신체의 가랑이 영역 아래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편평한 상태로 놓았을 때 신체의 좌우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제품을 컵형으로 만들고 커프스를 형성하는 선행 기술분야에서 제 1 제안은, 흡수제품이 컵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를 원래의 편평한 형태로 만들기 보다는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커프스를 형성하도록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 자체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제안을 개시하고 있는 선행 참조문헌으로는 미국 특허 제 3,575,174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4,678,527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86-76156 호)의 명세서와 도면, 및 미국 특허 제 4,834,739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0-4371 호)를 들 수 있다.
선행 기술분야의 제 1 제안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은 다음의 문제들을 수반한다. (1)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를 필요한 형태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한다. (2) 커프스의 자유 말단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된다. 커프스를 구성하는 부분은 연신 특성이 없기 때문에, 착용자를 매우 불편하게 하여 착용시 불량한 느낌을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제품을 컵형으로 만들고 커프스를 형성하는 선행 기술분야에서 제 2 제안은,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상태의 탄성적으로 팽창가능하고 수축가능한 밴드형 탄성 단편을 흡수제품의 폭방향으로 양 측면에서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밴드형 탄성 단편으로서, 고무 스트립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스트립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밴드형 탄성 단편이 달린 흡수제품에서,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는 컵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지지고,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는 밴드형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커프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2 제안을 개시하고 있는 선행 참조문헌으로는 미국 특허 제 4,579,556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4,701,177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4,758,241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4,770,657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4,944,735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85-19346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5,032,121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5,074,856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5,234,422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5,308,346 호의 명세서와 도면, 미국 특허 제 5,312,386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0-277453 호)의 명세서와 도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557,047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3-220191 호)의 명세서와 도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534,488 호의 명세서와 도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590,675 호의 명세서와 도면, 영국 특허 제 2,195,541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88-122451 호)의 명세서와 도면, 및 국제 특허 공개 공보 제 92/07536 호(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4-501409 호)의 명세서와 도면을 들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제 2 제안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에서, 고무 스트립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밴드형 탄성 단편의 존재로 인하여 흡수제품에 탄성 연신 특성이 부여된다. 그 결과, 착용시 제 1 제안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보다 더 우수한 감촉을 준다. 그러나, 제 2 제안에 따른 흡수제품은 다음의 문제들을 갖는다. (1) 비교적 고가의 고무 스트립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밴드형 탄성 단편의 사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된다. (2) 상부 시이트에 밴드형 탄성 단편을 수용할만한 공간을 만들고/만들거나, 필요에 따라, 탄성 단편을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부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제품을 컵형으로 만들고 커프스를 형성하는 선행 기술분야에서 제 3 제안은,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상태의, 열가소성 탄성 단편의 종방향 대향하는 말단 및 폭방향 바깥쪽 부분을, 결합된 상부시이트의 상부 표면의 필요에 부위에, 필요에 따라, 흡수제품의 각 측면에서 코어 및 배면시이트에 열접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단편이 달린 흡수제품에서, 상부시이트, 코어 및 배면시이트는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컵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탄성 단편은 폭방향 안쪽으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커프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3 제안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93-8632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 기술분야의 제 3 제안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에서, 상부시이트에 열접합된 열가소성 탄성 단편 자체는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커프스를 형성한다. 또한, 열접합은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제안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이 직면한 상기 언급한 문제에 대하여 몇몇 개선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 3 제안에 따른 흡수제품은 다음의 문제들을 갖는다. (1) 탄성 단편은 전방 및 후방이 평면인 통상적인 필름 형태이다. 따라서, 탄성 단편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비교적 큰 구역을 가지며, 흡수제품의 착용시 감촉은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2) 열가소성 탄성 단편은 충분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비교적 고가이어서, 제조 비용이 상당히 부가된다. (3) 열가소성 탄성 단편은 통상적으로 분자 구조의 면에서 상부시이트 물질과 상당히 상이한, 충분한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열가소성 탄성 단편을 상부시이트에 충분히 만족스럽게 열접합시키는 것은 어렵다. (4) 코어와 배면시이트는 상부시이트에 결합하여 흡수제품의 본체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시이트의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과 폭방향 대향 말단 부분의 두께는 그 곳에 코어가 없기 때문에 급격하게 변하였다. 그 후, 열가소성 탄성 단편은 상부시이트에 열접합되므로 열가소성 탄성 단편을 열접합시키는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사실에 비추어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체적으로 컵 형태를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고,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고, 착용시 충분히 만족스러운 감촉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체적으로 컵 형태를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고,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고, 착용시 충분히 만족스러운 감촉을 주고, 또한 충분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체적으로 컵 형태를 가지고,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는 흡수제품을 충분히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하게 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제 1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탄성 단편은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평면 형태의 웹으로부터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 및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탄성 단편이 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고; 이 때, 각 탄성 단편이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평면 형태의 웹으로부터 형성되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제 1 기술적 문제는 물론 제 2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가공 이전에, 필요한 탄성이 부족한 열가소성 필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블렌딩된 필름과 같은 폴리올레핀 필름을 기계가공에 의해 탄성 단편으로 성형된 웹으로서 사용한다. 기계가공된 합성 수지 필름은 기계가공에 의해 비평면 형태로 변형시킨 변형 부분, 및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태로 유지되는 비변형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비변형 부분은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은 주로 비변형 부분에 의해 발생한다. 탄성 단편이 신장될 때, 비변형 부분은 실질적으로 분자수준의 변형을 겪으며, 변형 부분은 실질적으로 기하하적인 변형을 겪는다.
각 탄성 단편의 비변형 부분의 면적비율은, 탄성 단편이 비신장 상태이고 변형 부분이 평면 형태라고 가정하여 계산하였을 때,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이다. 비변형 부분의 면적비율이 너무 크면, 피부와의 접촉시 착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이 증가한다. 비변형 부분의 면적비율이 너무 작으면, 대조적으로 흡수제품을 컵과 같은 모양으로 만드는 수축 작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탄성 단편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절첩선(fold-back lines)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가지고, 후방절첩선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상부 가장자리를 정한다. 각 탄성 단편의 변형 부분 및 비변형 부분이 폭방향으로 나란한 관계로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면, 후방절첩선은 비변형 부분 또는 변형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후방절첩선이 비변형 부분에 있을 때, 탄성 단편의 상부 가장자리(후방절첩선)는 비교적 날카롭게 되어 착용자의 피부와 양호하게 접촉된다. 후방절첩선이 변형 부분에 있을 때, 탄성 단편의 상부 가장자리(후방절첩선)는 무디게 되어, 착용자가 흡수제품을 착용하였을 때 부드러운 감촉을 주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탄성 단편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시이트위에 배치되고, 코어는 상부시이트보다 작고, 코어의 종방향 대향 말단은 상부시이트의 종방향 대향 말단의 안쪽에 위치하고, 적어도 각 탄성 단편의 비변형 부분은 코어의 종방향 대향 말단이 있는 영역에서 상부시이트에 결합된다. 각 탄성 단편은 적어도 종방향 대향 말단이 있는 영역내 다수의 이격된 부위에서 상부시이트에 열접합된 비변형 부분을 갖는다. 코어의 종방향 대향 말단이 있는 영역에서 탄성 단편을 상부시이트에 결합시킴으로써,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 코어를 컵과 같은 모양의 흡수제품으로 만드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가 이들의 전방 말단의 모서리에서 국소적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각 탄성 단편은 후방절첩선이 폭방향 안쪽 가장자리를 정하도록 상부시이트 위에 배치되고, 각 탄성 단편은 각 탄성 단편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및 종방향 대향 말단에서 상부시이트에 결합되고, 탄성 단편은 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폭방향 안쪽 방향에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형태의 각 탄성 단편은, 종방향 중심 부분에, 상부시이트에 결합된 탄성 단편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더 연장되고, 뒤로 접히어 폭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부가 부분을 포함한다. 탄성 단편의 부가 부분은 또한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폭방향 바깥쪽 방향에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각 탄성 단편의 부가 부분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은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각 탄성 단편은 후방절첩선이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정하도록 배치되고,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형태의 각 탄성 단편은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상부시이트의 양 측면 가장자리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각 탄성 단편은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및 종방향 대향 말단에서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탄성 단편은 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 1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각 탄성 단편은 배면시이트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탄성 단편에 결합되지 않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은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위로 연장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 코어, 및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 부분이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고; 이 때 각 탄성 단편이 배면시이트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탄성 단편에 결합되지 않는 흡수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상부시이트는 그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정하는 후방절첩선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가지고, 상부시이트의 2층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은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탄성 단편은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상부시이트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를 이루는 부분을 갖는다.
제 3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탄성 단편의 쌍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출발 웹을,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출발 웹에 결합시킨 다음,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출발 웹에 결합시키고, 코어는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는 출발 웹에 결합시킨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 및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부시이트의 탄성 단편 또는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흡수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웹에, 예정된 부위에 탄성 단편 쌍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제 2 웹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웹에, 예정된 부위에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다른 하나 및 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 3 웹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제 1 웹, 제 2 웹 및 제 3 웹은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웹 및 제 3 웹의 제 1 웹에 대한 결합은 각각 열접합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에서,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어 커프스를 형성하는 탄성 단편은 각각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평면 형태의 웹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웹은 기계가공되지 않은 전체적으로 평면인 웹과 비교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상당히 감소된다. 이러한 이유 및 다른 이유로 인하여,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불편함은, 있다면, 훨씬 감소된다. 따라서, 흡수제품의 착용시 감촉은 종래의 흡수제품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된다. 열가소성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블렌딩된 필름과 같은 폴리올레핀 필름을 기계가공에 의해 탄성 단편으로 성형되는 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재료로서 탄성 단편의 비용은 충분히 낮다. 또한,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의 분자 구조 및 탄성 단편의 분자 구조는 서로 실질적으로 같거나 유사함으로써,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에 대한 탄성 단편의 열접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충분히 낮추고 흡수제품을 용이하게 충분히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에서, 탄성 단편보다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은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어 커프스를 형성한다. 상부시이트 자체가, 액체 투과성이도록 만드는 기계가공에 의해, 본질적으로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 할지라도, 이러한 불편함은 충분히 적어서 종래의 흡수제품에 비하여 흡수제품의 착용시 감촉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구성된 제조 방법에서, 한 쌍의 탄성 단편을 형성하기 위한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웹을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웹에 결합시킨 다음,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웹에 결합시키고, 코어는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웹에 결합시킨다(따라서,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웹은 전체에 걸쳐 두께 등이 충분히 균일하다). 따라서, 요구되는 우수한 결합은 용이하게 충분히 얻어진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분명히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결론지어지지만, 다음의 도면들과 함께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제품, 더 구체적으로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흡수제품이란 용어는 비뇨생식기 영역을 덮도록 착용하였을 때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생리혈 및 뇨와 같은 체액을 흡수하고 보유하도록 고안된 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요실금자용 패드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생리대의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를 편평하게 만드는 탄성 단편을 갖는, 도 1의 생리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탄성 단편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웹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웹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탄성적으로 다소 신장된 상태의, 도 4에 도시된 웹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보다 더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의, 도 4에 도시된 웹의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웹에서 종방향으로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 사이의 관계, 및 기계가공에 의해 도 4의 웹으로 변환시키기 전의 통상의 편평한 웹에서 종방향으로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는 도 4의 웹을 형성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되는 가공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비변형 부분을 따라 뒤로 접힌, 도 4의 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형 부분을 따라 뒤로 접힌, 도 4의 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생리대의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신장되어 생리대 전체를 편평하게 만드는 탄성 단편을 갖는, 도 12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생리대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신장되어 생리대 전체를 편평하게 만드는 탄성 단편을 갖는, 도 15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평편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생리대의,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생리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생리대의,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생리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생리대의,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생리대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생리대의,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의 실시태양인 생리대를 도시한다. 그 전체가 도면부호 2로 제시된 생리대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태가 아니라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컵 형태이다. 도 2에서, 전체 생리대(2)는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탄성 단편을 갖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생리대(2)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4),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6), 및 상부시이트(4)와 배면시이트(6)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8)를 갖는다.
상부시이트(4)는 중요하게는 착용자로부터 나온 신체 배출물이 흡수코어(8)를 신속하게 침투하게 하고, 상부시이트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착용자에게 과도하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부시이트(4)는 유리하게 천연 또는 합성 섬유; 천공된 열가소성 필름;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망상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scrim)의 직물 또는 부직물과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상부시이트(4)는 제 1 상부시이트 층(10) 및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 1 상부시이트(10)는 전체적으로 거의 직사각형이며, 그의 종방향(도 2에서 위아래 방향) 대향 가장자리는 볼록하게 연장되고, 그의 대향 측면 가장자리는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일직선으로 연장되지만,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는 오목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은 바람직하게는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 제 4,324,246 호, 제 4,342,314 호, 제 4,463,045 호 및 제 5,006,394 호의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천공된 폴리올레핀계 필름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은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의 내표면, 즉 하부표면에 결합된다.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은 직사각형이고, 그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는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보다 작고,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의 주변 말단 부분은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의 주변 말단 부분 너머로 연장된다.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을 통과한 체액을 주로 종방향으로 분산시키고, 흡수코어(8)로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부직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을 형성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부직물로는 미국 사우쓰 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화이버웹 코포레이션(Fiberweb Corporation)으로부터 상품명 셀레스트라(CELESTRA)로 구할 수 있는 P-9로 표현되는 스폰본딩(spunbonding)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부직물; 및 일본 소재의 하빅스 캄파니(Havix Company)로부터 S2146으로서 구할 수 있는 직물인, 폴리에틸렌 시이드(sheath) 및 폴리에스테르 코어/폴리에틸렌 시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코어를 갖는 이성분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물을 들 수 있다. 제 1 상부시이트 층(10) 및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은 유리하게 적합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제 접합, 초음파 웰딩(welding) 또는 다수의 분리된 구역에서 수행되는 열접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 3에서,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의 접합, 웰딩 또는 열접합 구역은 도시의 편리를 위하여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배면시이트(6)는 중요하게는 흡수코어(8)에 흡수된 체액이 생리대로부터 흘러나와 착용자 및/또는 착용자의 의복을 더럽히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배면시이트(6)는 유리하게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같은 가요성의 액체 불투과성 열가소성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배면시이트(6)를 형성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필름으로는 두께가 0.01 내지 0.05mm, 특히 약 0.025mm인 저밀도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에틸 코포레이션 비스퀸 디비젼(Ethyl Corp., Visqueen Divion)에서 모델 XP-39385로, 또한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에 의해 소플렉스(SOFLEXX) 1401로 시판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배면시이트(6)는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의 형태 및 치수와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 및 치수를 갖는다.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 및 배면시이트(6)는 이들의 주변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열접합된다. 예시의 편리를 위해,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배면시이트(6) 사이의 열접합 구역(16)은 도 2에 교차 대각선으로 나타내고, 도 3에서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 제 1 상부시이트 층(10) 및 배면시이트(6)는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착용자의 언더가멘트 내표면상의 필요 부위에 생리대(2)를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감압성 접착제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밴드에서 배면시이트(6)의 외표면(즉, 하부표면)에 도포할 수 있다. 적합한 감압성 접착제는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부스 소재의 센츄리 어드히시브 코포레이션(Century Adhesive Corporation)에 의해 시판되는 센츄리 어드히시브 A-305-IV이다. 감압성 접착제를 배면시이트(6)의 아래쪽에 도포할 때, 감압성 접착제를 실리콘 피복된 종이로 덮어 사용전에 더럽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3, 특히 도 3을 참조로 한다. 상부시이트(4)와 배면시이트(6)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8)는 중요하게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후 상부시이트(4)에 침투한 체액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흡수코어(8)는 유리하게 소위 에어펠트(airfelt)라는 분쇄 목재 펄프; 크레이핑(creping)된 셀룰로즈 와딩(wadding); 용융취입 중합체; 화학적으로 강화되거나, 개질되거나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 흡수성 발포체; 티슈지 층; 흡수성 겔화 물질(액체를 흡수하면 겔화되는 물질);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물과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코어(8)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는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배면시이트(6)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보다 작고, 코어(8)는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배면시이트(6) 사이의 열접합 구역(16)의 안쪽에 위치한다. 유리하게는, 상부시이트(4)의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는 코어(8)의 종방향 및 폭방향 치수보다 다소 작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같다. 코어(8)의 상부 표면은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의 하부 표면에 결합되고, 코어(8)의 하부 표면은 배면시이트(6)의 내표면 또는 상부 표면에 결합된다. 코어(8)와 제 2 상부시이트 층(12)의 결합 및 코어(8)와 배면시이트(6)의 결합은 유리하게 다수의 분리된 구역에서 수행되는, 적합한 접착제에 의한 접합에 의해 수행된다. 경우에 따라, 코어(8)는 초음파 웰딩 또는 열접합과 같은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제 2 상부시이트 층(12) 및/또는 배면시이트(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코어(8)와 제 2 상부시이트 층(12) 사이의 접합, 웰딩 또는 열접합의 분리된 구역(18), 및 코어(8)와 배면시이트(6) 사이의 접합, 웰딩 또는 열접합의 분리된 구역(19)은 예시의 편리를 위하여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예시된 생리대(2)는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20a,20b)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 밴드형 탄성 단편(20a,20b)은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상부시이트(4) 위에 위치하고, 필요 부위에서 상부시이트(4)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쉽게 알 수 있듯이, 개개의 탄성 단편(20a,20b)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절첩선(22a,22b)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가지고, 상부시이트(4)의 양 측면에 배열되고, 후방절첩선(22a,22b)은 폭방향 안쪽에 위치한다. 탄성 단편(20a,20b)이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2)가 편평하게 된,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탄성 단편(20a,20b)의 폭방향 안쪽 가장자리, 즉 후방절첩선(22a,22b)은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한편, 각 탄성 단편(22a,22b)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및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는 상부시이트(4)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및 대향 가장자리와 일치하게 된다. 각 탄성 단편(20a,20b)은 서로 열접합되는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와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에서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에 열접합된다. 이러한 열접합 구역(26a,26b)은 예시의 편리를 위해 도 2에 교차 대각선으로 또한 도 3에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쉽게 알 수 있듯이, 열접합 구역(26a,26b)은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6)의 상기 언급한 열접합 구역(16)의 주된 부분(즉, 탄성 단편(20a,20b)이 존재하지 않는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의 폭방향 중심 구역을 제외한 가열 구역(16)내의 부분)에 실질적으로 일치된다. 또한, 각 탄성 단편(20a,20b)은 서로 열접합되는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내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부위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실선으로 묘사된 3개의 열접합 부위(28a,28b)에서 열접합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에 열접합된다. 중요하게는, 다수의 열접합 부위(28a,28b)의 적어도 일부는 코어(8)의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이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 아래에 위치하는 영역내에 존재한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탄성 단편(20a,20b)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하나의 열접합 부위(28a) 및 하나의 열접합 부위(28b)는 코어(8)의 종방향 말단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한편, 나머지 두 열접합 부위(28a,28b)는 코어(8)의 종방향 말단의 안쪽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열접합 대신에, 다른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탄성 단편(20a,20b)을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필요하다면, 2층 구조의 개개 층을 서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탄성 단편(20a,20b)은 신장된 상태로 상부시이트(4) 위에 위치하고, 열접합 부위(28a,28b)는 물론 열접합 구역(26a,26b)에서 상부시이트에 열접합된다. 그 후, 탄성 단편(20a,20b)을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킨 힘이 해제된다. 그 결과, 탄성 단편(20a,20b)의 비열접합 부분이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탄성 단편(20a,20b)은 원래의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탄성 단편(20a,20b)에 발생된 이러한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시이트(4), 배면시이트(6) 및 코어(8)는, 도 1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30)의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변위된다. 따라서, 생리대(2)는 전체적으로 컵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종방향 중심 부분(32)에서, 각 탄성 단편(20a,20b)은 폭방향 안쪽 방향으로(따라서 상기 후방절첩선(22a,22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생리대(2)의 종방향 중심 부분(32)의 양 측면에서, 탄성 단편(20a,20b)은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를 형성한다. 열접합하는 동안 탄성 단편(20a,20b)의 신장은 생리대 자체의 전체 형태 및 치수에 좌우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체 길이는 비신장시의 전체 길이의 약 110 내지 160%, 특히 약 115 내지 145%의 신장율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따라, 열접합을 열접합 부위(28a,28b)에서 수행하지 않는다면, 상부시이트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배면시이트(6)는,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 및 배면시이트(6)가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 단편(20a,20b)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생리대(2)의 네 모서리에서 국소적으로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열접합이 열접합 부위(28a,28b)에서 수행될 때, 탄성 단편(20a,20b)의 탄성적 수축 작용은 열접합 부위들(28a,28b) 사이에서 국소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탄성 단편(20a,20b)은 제 1 상부시이트 층(10)을 경유하여 비교적 매우 딱딱한 코어(8)에 국소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탄성 단편(20a,20b)의 수축 작용은 코어(8)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생리대(2)의 네 모서리에서 상부시이트(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0)과 배면시이트(6)의 원치않는 국소적 구부러짐이 방지되고, 상부시이트(4), 배변시이트(6) 및 코어(8)는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30)에서, 경우에 따라,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생리대(2)에서, 탄성 단편(20a,20b)은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평면 형태의 웹으로부터 형성된다. 기계가공에 의해 비평면 형태로 변형된 변형 부분 및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태로 유지되는 비변형 부분을 적합하게 조합하여 포함하는, 열가소성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계 필름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으로 이루어진 웹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비변형 부분은 연속 방식 또는 불연속 방식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단편(20a,20b)이 변형 부분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웹으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상부시이트(4)에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된 탄성 단편(20a,20b)의 수축 작용은 이하에 제공될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비변형 부분의 탄성 회복 효과에 의해 주로 발생된다.
도 4 및 도 5는 탄성 단편(20a,20b)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할 수 있는 웹(34)을 도시한다. 이 웹(34)은 기계가공에 의해 비평면 형태로 변형된 변형 부분(36), 및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태로 유지되는 비변형 부분(38)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듯이, 변형 부분(36) 및 비변형 부분(38)은 화살표(43)로 나타낸 폭방향(도 4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한 관계로 교대로 배열되고, 화살표(44)로 나타낸 종방향(도 4의 위아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변형 부분(36)은 제 1 변형 부분(40), 및 그의 폭방향으로 양 측면에 위치한 제 2 변형 부분(42)을 포함한다. 제 1 변형 부분(40)의 종방향 단면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거의 파형인 형태이고, 그의 폭방향 단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일직선 형태이다. 제 2 변형 부분(42)은 제 1 변형 부분(40) 및 비변형 부분(38)의 전이 영역이다. 웹(34)중의 비변형 부분(38)의 비율은, 웹(34)이 비신장된 상태이고 변형 부분(36)(제 1 변형 부분(40) 및 제 2 변형 부분(42)을 포함하여)이 비변형된 평면 형태, 즉 도 4(비신장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도시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면적비율로서 계산하였을 때, 약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이다. 달리 말하자면, 웹(34)중의 변형 부분(36)(제 1 변형 부분(40) 및 제 2 변형 부분(42)을 포함하여)의 비율은, 웹(34)이 비신장된 상태이고, 변형 부분(36)(제 1 변형 부분(40) 및 제 2 변형 부분(42)을 포함하여)이 비변형된 평면 형태, 즉 도 4(비신장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도시된 상태라고 가정하여 면적비율로서 계산하였을 때, 약 7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7%, 더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5%이다. 웹(36)중의 비변형 부분(38)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탄성 단편(20a,20b)의 탄성 신장은 비교적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웹(36)중의 비변형 부분(38)의 비율이 너무 낮으면, 상부시이트(4)에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탄성 단편(20a,20b)의 수축 작용은 최소가 되어 생리대(2)가 목적하는 컵형 형태로 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다음의 사실도 또한 웹(36)중의 비변형 부분(38)의 비율과 관련하여 인지하여야 한다. 변형 부분(36)은 비평면 형태이기 때문에, 이들은 다수의 작은 이격된 영역에서 생리대(2)의 착용자의 피부에 국소적으로만 닿는다. 그 결과, 변형 부분이 착용자에게 일으키는 불편함은, 있다면, 한정된다. 대조적으로, 비변형 부분(38)의 비율이 너무 크고 비변형 부분(38)이 생리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주요 장소라면, 평면 형태의 비변형 부분(38)은 비교적 큰 면적에 걸쳐 연속적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다. 따라서, 이들은 착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변형 부분(36)의 폭(W1)은 0.25 내지 50.80mm(0.01 내지 2.00인치), 바람직하게는 3.18 내지 25.40mm(0.13 내지 1.00인치)이고, 비변형 부분(38)의 폭(W2)은 0.25 내지 12.70mm(0.01 내지 0.50인치), 바람직하게는 0.76 내지 6.35mm(0.03 내지 0.25인치)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웹(34)은 화살표(44)로 나타낸 종방향의 탄성 단편(20a,20b)으로서 목적하는 탄성을 나타낸다. 종방향 인장력이 웹(34)에 가해져 이를 신장시킬 때, 그의 횡방향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변화되며, 그의 파형 기복은 서서히 감소된다. 더 신장되면, 파형 형태는 도 7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라지게 된다. 변형 부분(36)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 변형 부분(36)의 신장에 대한 저항력은 현저하게 낮다. 한편, 비변형 부분(38)은 구성 물질 자체의 분자수준의 변형에 의해 신장되고, 웹(34)의 신장에 대한 저항력은 주로 비변형 부분(38)의 저항력이다. 달리 말하자면, 변형 부분(36)의 신장이 분자 자체의 분자수준의 변형보다는 기하하적 변형 때문인 범위에서, 웹(34)에 가해진 인장력이 해제될 때 웹(34)의 수축 작용은 주로 자체 공지의 물질의 분자수준의 변형으로 인하여 신장된 비변형 부분(38)의 수축 작용으로부터 기인한다.
웹(34)의 신장 및 수축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도 8은 특정 웹에서 종방향으로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곡선 A는 비면형 부분으로만 이루어진 통상의 웹에서 종방향으로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곡선 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를 갖도록 기계가공된 웹에서 종방향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곡선 A에 의해 표현되는 결과를 제공한 측정에서, 비변형 웹으로만 이루어진 웹은 두께가 약 0.025mm이고, 미국 오하이오주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으로부터 구입가능한 샘플명 1401인,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곡선 B에 의해 표현되는 결과를 제공한 측정에서, 예정된 기계가공에 적용된 동일한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웹을 사용하였다. 곡선 B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계가공에 의해 도 4 및 도 5의 형태로 제조된 웹(34)은 비교적 높은 신장을 위해 비교적 낮은 인장력을 갖는 단계 I, 및 신장을 위해 급격하게 증가된 인장력을 갖는 단계 II를 갖는다. 단계 I의 신장율 범위에서, 인장력을 해제하면 충분히 만족스러운 탄성 수축이 일어난다. 웹(34)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탄성 단편(20a,20b)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웹(34)의 신장율은 단계 I의 영역으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8의 곡선 B의 형태, 즉 출발 웹(34)에서 종방향으로 가해진 인장력과 신장율 사이의 관계, 웹(34)중의 변형 부분(36) 및 비변형 부분(38)의 비율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목적하는 기계가공을 적용할 때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가공 수단(44)을 도시한다. 가공 수단(44)은 연동하는 한쌍의 회전가공 롤러(46,48)를 포함한다. 가공 롤러(46)는 폭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가공 영역(50) 및 비가공 영역(52)을 가지며, 가공 영역(50)은 그 주위 전체에 걸쳐 다수의 가공 돌출부(54)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가공 롤러(48)는 폭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가공 영역(56) 및 비가공 영역(58)을 가지며, 가공 영역(56)은 그 주위 전체에 걸쳐 다수의 가공 돌출부(60)를 갖는다. 가공 롤러(46)의 가공 영역(50)과 가공 롤러(48)의 가공 영역(56)은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가공 돌출부(54) 및 가공 돌출부(60)는 연동된다. 가공 롤러(46)의 비가공 영역(52)은 가공 롤러(48)의 비가공 영역(58)과 일치하게 위치한다. 통상의 비가공된 웹이 화살표(62)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가공 롤러들(46,48) 사이에 공급될 때, 가공 롤러(46,48)의 가공 영역들(50,56)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일부가 기계가공되어 변형 부분(36)이 제조된다. 가공 롤러(46,48)의 비가공 영역들(52,58)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일부는 기계가공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태로 남아서 비변형 부분(38)을 이룬다. 변형 부분(36) 및 비변형 부분(38)을 포함하는 웹을 제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기계가공되는 적합한 웹 물질은 열가소성 필름, 특히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비롯한 폴리올레핀 필름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변형 부분(36)과 비변형 부분(38)을 포함하는 웹을 제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기계가공되는 웹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퇴비화가능하거나 생분해가능한 중합체, 열수축성 중합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메탈로센 촉매계 중합체(예컨대,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mpany)에서 구입가능한 인사이트(INSITE) 및 엑손(Exxon)으로부터 구입가능한 이그잭트(Exxact), 및 통기성 중합체일 수도 있다. 합성 직물, 합성 편직물, 부직물, 천공 필름,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성형 필름, 흡수성 또는 섬유상 물질, 발포체, 충전 조성물 및 라미네이트 및/또는 이들의 조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한 웹(34)에서, 변형 부분(36) 및 비변형 부분(38)은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경우에 따라, 예정된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변형 부분은 적합하게 이격된 장소에서 분리되어 적합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변형 부분 및/또는 비변형 부분을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시키는 대신에, 이들 부분을 적합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시키거나 적합하게 구부러지도록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생리대(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단편(20a,20b)은 후방절첩선(22a,22b)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갖는다. 탄성 단편(20a,20b)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웹(34)으로부터 형성된다면, 후방절첩선(22a,22b)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변형 부분(38)을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절첩선(22a,22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부분(36)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후방절첩선(22a,22b)이 비변형 부분(38)을 따라 연장되면, 절첩부분의 상부 가장자리는 비교적 날카롭게 되어 착용자의 피부와 양호하게 접촉하게 된다. 후방절첩선(22a,22b)이 변형 부분(36)을 따라 연장되면, 후방절첩선은 비교적 무디게 되어 착용시 생리대의 감촉이 개선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한 웹(36)으로부터 탄성 단편(20a,20b)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음의 사실을 또한 인지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언급한 것과 같이, 탄성 단편(20a,20b)은 열접합 영역(26a,26b)은 물론 다수의 열접합 부위(28a,28b)에서 상부시이트(4)에 열접합된다. 탄성 단편(20a,20b)의 수축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비변형 부분(38)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열접합 부위(28a,28b)가 비변형 부분(38)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열접합이 비변형 부분(38)에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변형 부분(36)으로도 연장되면, 변형 부분(36)의 기계적 변형은 열접합에 의해 파괴된다. 이러한 손상 부위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다면, 이들은 피부에 자극을 줄 것이다. 따라서, 열접합 부위(28a,28b)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비교적 큰 면적의 하나의 열접합 부위(28a) 및 하나의 열접합 부위(28b)를 제공하는 대신에 비교적 적은 면적의 다수의 열접합 부위(28a,28b)가 이격된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의 다른 실시태양인 생리대를 나타낸다. 그 전체가 (102)로 표시된 생리대에서, 각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에 의해 정해지는 볼록한 호의 반경은 비교적 작게 정해지고,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는 각각 거의 반원 형태를 갖는다. 생리대(102)의 한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120a,120b)은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절첩선(122a,122b)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갖는다. 이들 탄성 단편(120a,120b)은 후방절첩 가장자리(122a,122b)가 폭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달리 말하자면 후방절첩 가장자리(122a,122b)가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정하도록 생리대(102)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탄성 단편(122a,122b)이 신장되어 생리대(102)가 편평하게 된,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종방향 중심 부분(132)에서 상부시이트(104) 및 배면시이트(106)의 측면 가장자리는 오목한 활 형태로 연장된다. 한편, 탄성 단편(122a,122b)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122a,122b)는 종방향 중심 부분(132)에서도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종방향 중심 부분(132)에서, 탄성 단편(122a,122b)은 상부시이트(104) 및 배면시이트(106)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14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각 탄성 단편(122a,122b)은 생리대(102)의 양 측면에서 상부시이트(104)와 배면시이트(106)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시이트(104) 및 배면시이트(106)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와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열접합 구역(126a,126b)(도 13에 교차 대각선으로 표시되고 도 14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에서, 탄성 단편(120a,120b)은 각각 서로 열접합된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상부시이트(1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10) 및 배면시이트(106)에 열접합된다.
탄성 단편(120a,120b)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된 상태로 상부시이트(104)(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제 1 상부시이트 층(110)) 및 배면시이트(106)에 열접합된다. 열접합 후, 탄성 단편(120a,120b)을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킨 힘을 해제한다. 그 결과, 탄성 단편(120a,120b)의 비열접합된 부분, 즉 종방향 중심 부분(132)에서 상부시이트(104)와 배면시이트(106)의 측면 가장자리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폭방향 및 종방향으로 열접합 구역(126a,126b)의 안쪽에 위치한 부분은 탄성적으로 수축하며, 탄성 단편(120a,120b)은 원래의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탄성 단편(120a,120b)에 발생한 이러한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시이트(104), 배면시이트(106) 및 코어(108)는 도 12에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130)에서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변위된다. 따라서, 생리대(102)는 전체적으로 컵 형태로 된다. 또한, 종방향 중심 부분(132)에서, 각 탄성 단편(120a,120b)은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따라서, 전술한 후방절첩선(122a,122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생리대(102)의 종방향 중심 부분(132)의 양 측면에서, 탄성 단편(120a,120b)은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를 형성한다.
상기 전술한 것 이외의,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생리대(10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도 있다. 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흡수제품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전체를 (202)로 나타낸 생리대에서도, 각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로 정해지는 볼록한 호의 반경도 비교적 작게 정해지고,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는 각각 거의 반형 형태를 갖는다. 생리대(202)는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220a,220b)을 포함한다. 밴드형 탄성 단편(220a,220b) 쌍은 각각 주요 부분(221a,221b) 및 부가 부분(223a,223b)을 갖는다. 탄성 단편(220a,220b)의 주요 부분(221a,221b)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탄성 단편(20a,20b)과 실질적으로 같으며, 후방절첩선(222a,222b)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주요 부분(221a,221b)은 상부시이트(4)의 양 측면에 배열되고, 후방절첩선(222a,222b)은 폭방향 안쪽에 위치한다. 탄성 단편(220a,220b)이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202)가 편평하게 된, 도 16에 도시된 상태에서, 탄성 단편(220a,220b)의 개개의 주요 부분(221a,221b)의 폭방향 안쪽 가장자리, 즉 후방절첩선(222a,222b)은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탄성 단편(220a,220b)의 개개의 부가 부분(223a,223b)은 주요 부분(221a,221b)의 상부 층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부로서 연장되고, 부가의 후방절첩선(225a,225b)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갖는다. 탄성 단편(221a,221b)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각각 정하는 부가의 후방절첩선(225a,225b)은, 탄성 단편(220a,220b)이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202)가 편평하게 된, 도 16에 도시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도 17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탄성 단편(220a,220b)의 개개의 부가 부분(223a,223b)의 하부 층의 폭방향 안쪽 부분은 배면시이트(206)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주요 부분(221a,221b) 및 부가 부분(223a,223b)을 갖는 탄성 단편(220a,220b)은 각각 서로 직접 열접합되고/열접합되거나 상부시이트(204)(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에 의해 열접합되고, 열접합 구역(226a,226b)(도 16에서 교차 대각선으로 나타내고, 도 17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낸)에서 상부시이트(204) 및 배면시이트(206)에 열접합된다. 도 16 및 도 13을 비교 참조하면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202)의 열접합 구역(226a,226b)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생리대(102)의 열접합 구역(126a,126b)과 형태가 거의 같다. 도 16 및 도 17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2)의 종방향 중심 부분(232)에서,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은 열접합 구역(226a,226b)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시이트(2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의 양 측면 가장자리는, 탄성 단편(220a,220b)이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202)가 편평하게 된, 도 16에 도시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생리대(202)의 종방향 중심 부분(232), 상부시이트(2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는 열접합 구역(226a,226b)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됨으로써,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의 두 층 사이에 위치한다. 상부시이트(2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에 사용되는 물질의 양을 절약하는 면에서, 상부시이트(2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는, 경우에 따라, 열접합 구역(226a,226b)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실질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열접합 구역의 약간 안쪽일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탄성 단편(220a,220b)의 주요 부분(221a,221b)은 각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탄성 단편(20a,20b)과 같이, 서로 열접합된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다수의 이격된 부위에서, 더 구체적으로는 도 15 및 도 16에 실선으로 묘사된 3개의 열접합 부위(228a,228b)에서 열접합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상부시이트(2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에 열접합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202)에서, 탄성 단편(220a,220b)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장된 상태로 상부시이트(204)(더 구체적으로는 그의 제 1 상부시이트 층(210)) 및 배면시이트(206)에 열접합된다. 이러한 열접합 후, 탄성 단편(220a,220b)을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킨 힘을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단편(220a,220b)의 비열접합된 부분, 즉 열접합 구역(226a,226b)의 내외에 위치한 부분(열접합 부위(228a,228b)는 제외한다)은 탄성적으로 수축하고, 탄성 단편(220a,220b)은 원래의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탄성 단편(220a,220b)에 발생한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시이트(204), 배면시이트(206) 및 코어(208)는, 도 15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230)에서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변위된다. 따라서, 생리대(202)는 전체적으로 컵 형태로 된다. 또한, 종방향 중심 부분(232)에서, 탄성 단편(220a,220b)의 개개의 주요 부분(221a,221b)은 폭방향 안쪽 방향으로(따라서, 상기 언급한 후방절첩선(222a,222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탄성 단편(220a,220b)의 주요 부분(221a,221b)은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를 형성한다.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도 또한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따라서, 상기 언급한 부가의 후방절첩선(225a,225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은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를 형성한다.
상기 기술한 것 이외의,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20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 및/또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생리대(102)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도 있다. 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에 의해 부가 커프스를 구성하는 대신에, 특히 생리대(202)의 종방향 중심 부분(232)에서 탄성 단편(220a,220b)의 부가 부분(223a,223b)의 폭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길이는, 경우에 따라, 도 16 및 도 17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크게 제조될 수도 있어, 부가 부분(223a,223b)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은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압성 접착제를, 필요하다면, 부가 부분(223a,223b)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의 하부표면(이들 영역이 뒤로 접힐 때 팬티의 외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에 도포할 수도 있다. 감압성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을지라도, 부가 부분(223a,223b)이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힐 때, 이들 부분(223a,223b)은 이들의 탄성 때문에 팬티의 외표면과 충분히 긴밀한 접촉이 유지됨으로써, 생리대(202)는 팬티에 대하여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된 생리대(302)에서, 탄성 단편(320a,320b) 쌍은 각각 2층 형태보다는 단층 형태로 형성된다. 생리대(302)를 구성하는 다른 사항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19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생리대(10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된 생리대(402)에서, 탄성 단편(402a,420b) 쌍의 각각의 폭방향 안쪽 부분은 상부시이트(4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410) 및 배면시이트(406) 사이에 위치지 않고, 상부시이트(4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410) 위에 위치한다. 생리대(402)를 구성하는 다른 사항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생리대(502)에서, 한 쌍의 날개 단편(507a,507b)이 배면시이트(506)의 하부표면, 즉 배면시이트의 외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탄성 단편(520a,520b)이 신장되어 생리대(502)가 편평하게 된,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 날개 단편(507a,507b)쌍은 각각 종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폭방향 안쪽 가장자리를 가지며,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열접합 구역(509a,509b)에서 배면시이트(506)에 결합된다. 편리를 위하여, 열접합 구역(509a,509b)은 도 20에 실선으로 묘사되고, 도 21에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날개 단편(507a,507b) 쌍은 각각 상부시이트(5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510) 또는 배면시이트(506)의 경우와 동일한 물질과 같은 적합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날개 단편(507a,507b)은 탄성 단편(520a,520b)에서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들은 비신장된 상태 또는 종방향으로 약간 신장된 상태로 배면시이트(506)에 열접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날개 단편(507a,507b)은 열접합 대신에 초음파 웰딩 또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배면시이트(506)에 결합될 수 있다. 생리대(502)의 종방향 중심 부분(532)에서, 날개 단편(507a,507b) 쌍은 상부시이트(504) 및 배면시이트(506)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이들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은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힐 날개로서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감압성 접착제는 날개 단편(507a,507b)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의 하부표면(이들 영역이 뒤로 접힐 때 팬티의 외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감압성 접착제는 실리콘-도포된 종이(도시되지 않음)로 덮힐 수도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생리대(502)를 구성하기 위한 다른 사항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22에 도시된 생리대(602)에서, 날개 단편(607a,607b) 쌍의 폭방향 안쪽 가장자리는 상부시이트(6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610)과 탄성 단편(620a,620b) 사이에서 열접합 구역(626a,626b)을 따라 연장되고, 열접합 구역(626a,626b)과 일치하는 구역에서 배면시이트(606)에 열접합된다. 생리대(602)의 다른 구성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생리대(502)의 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생리대(702)에서,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 배면시이트(706) 및 탄성 단편(720a,720b)은 생리대(702)의 종방향 중심 부분(732)의 양 측면상에서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연장부는 거의 반형 형태이다.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 및 배면시이트(706)는 형태가 거의 같고, 전체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열접합 구역(716)에서 서로 결합된다. 각 탄성 단편(720a,720b)은 서로 열접합된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그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 및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열접합 구역(726a,726b)에서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에 열접합된다. 열접합 구역(726a,726b)은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 및 배면시이트(706) 사이에 상기 언급한 열접합 구역(716a,716b)의 주요 부분(즉, 탄성 단편(720a,720b)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종방향 대향 가장자리의 폭방향 중심 구역을 제외한 가열 구역(716)중의 일부)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각 탄성 단편(720a,720b)은 종방향 중심 부분(732)의 각 탄성 단편(720a,720b)의 폭방향 중심 부분에서 활모양으로 연장되는 부가의 열접합 구역(727a,727b)에서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에 열접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탄성 단편(720a,720b)은 서로 열접합된 2층 구조로 된 개개의 층을 가지며,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730)내의, 도 23에 실선으로 묘사된 3개의 열접합 부위(728a,728b)에서, 열접합 도구(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에 열접합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생리대(702)에서도, 탄성 단편(720a,720b)은 상부시이트(704)에 위치하고, 신장된 상태로 열접합 구역(726a,726b), 부가의 열접합 구역(727a,727b) 및 열접합 부위(728a,728b)에서 상부시이트(704)에 열접합된다. 이러한 열접합 후, 탄성 단편(720a,720b)을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킨 힘을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단편(720a,720b)의 비열접합된 부분은 탄성적으로 수축하고, 탄성 단편(720a,720b)은 원래의 길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탄성 단편(720a,720b)에 발생된 이러한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시이트(704), 배면시이트(706) 및 코어(708)는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730)에서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변위된다. 따라서, 생리대(702)는 전체적으로 컵 형태가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중심 부분(732)에서, 부가의 열접합 구역(727a,727b)의 폭방향 안쪽인 탄성 단편(720a,720b)의 부분은 폭방향 안쪽 방향으로(따라서, 상기 언급한 후방절첩선(722a,722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가 생리대(702)의 종방향 중심 부분(732)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 배면시이트(706) 및 부가의 열접합 구역(727a,727b)의 폭방향 바깥쪽에 존재하는 탄성 단편(720a,720b)의 부분은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힐 날개로서 사용된다. 필요하다면, 배면시이트(706)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의 하부표면(이들 영역이 뒤로 접힐 때 팬티의 외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고, 감압성 접착제는 실리콘-피복된 종이(도시되지 않음)로 덮힐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생리대(702)의 종방향 중심 부분(732)에서, 탄성 단편(720a,720b) 및 배면시이트(706)만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달리 말하자면, 생리대(702)의 종방향 중심 부분(732)에서, 상부시이트(7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710)은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지만, 제 1 상부시이트 층(710)의 양 측면 가장자리는 배면시이트(706)는 물론 탄성 단편(720a,720b)의 양 측면 가장자리의 안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는 배면시이트(706)는 물론 탄성 단편(720a,720b)의 폭방향 바깥쪽 영역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기술한 것 이외의,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생리대(70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생리대(70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생리대(802)에서, 생리대(802)의 종방향 중심 부분(832)에서, 상부시이트(8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810) 및 배면시이트(806)는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지만, 탄성 단편(820a,820b) 쌍은 각각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로서 사용되는 부분은 두 층, 즉 상부시이트(8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810) 및 배면시이트(806)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생리대(802)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생리대(702)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흡수제품의 또 다른 실시태양인 생리대를 나타낸다. 그 전체를 (902)로 나타낸 생리대는 또한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904),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906) 및 상면시이트(904)와 배면시이트(906)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908)를 포함한다. 상부시이트(904)는 제 1 상부시이트 층(910) 및 제 2 상부시이트 층(912)으로 이루어진다. 도 28에서 알 수 있듯이, 생리대(902)의 양 측면에서, 상면시이트(9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이 후방절첩선(911a,911b)(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정한다)을 따라 후방 아래쪽으로 접히어, 배면시이트(906)의 하부표면상에 겹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뒤로 접히기 전의 상태는 생리대(902)의 양 측면에서 상부시이트(9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이 배면시이트(906)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부시이트(9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 및 배면시이트(906)는 열접합 구역(916)에서 서로 열접합된다. 예시의 편리를 위하여, 열접합 구역(916)은 도 27에서 교차 대각선으로 나타내고, 도 28에서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 상부시이트(904)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은 열접합 대신에, 초음화 웰딩 또는 접착제 접합과 같은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도 27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생리대(902)의 종방향 중심 부분(932)에서, 열접합 구역(916)은 배면시이트(906)의 양 측면 가장자리는 물론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의 후방절첩선(911a,911b)의 폭방향 안쪽에 위치한다. 달리 말하자면, 생리대(902)의 종방향 중심 부분(932)에서, 함께 2층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상부시이트 층(910) 및 배면시이트(906)는 열접합 구역(916)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생리대(902)는 배면시이트(906) 아래에 배치된 한 쌍의 탄성 단편(920a,920b)을 추가로 갖는다. 탄성 단편(920a,920b) 쌍은 각각 탄성 단편(920a,920b)의 폭방향 안쪽 부분에서 활모양으로 연장되는 열접합 구역(926a,926b)에서 배면시이트(906)에 열접합된다(예시의 편리를 위하여, 열접합 구역(926a,926b)은 도 27에 교차 대각선으로 나타내고, 도 28에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 탄성 단편(920a,920b) 쌍은 열접합 대신에 초음화 웰딩 또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배면시이트(906)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된 태양에서, 열접합 구역(926a,926b)은 상기 언급한 열접합 구역(916)의 일부에 일치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열접합 구역(926a,926b)은 열접합 구역(916)에 대하여 폭방향 내외로 다소 변위될 수도 있다. 탄성 단편(920a,920b)이 신장되어 전체 생리대(902)가 편평하게 된, 도 27에 도시된 상태에서, 각 탄성 단편(920a,920b)은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의 후방절첩선(911a,911b)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각 탄성 단편(920a,920b)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는 활모양으로 연장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생리대(902)에서, 탄성 단편(920a,920b)은 배면시이트(906) 아래에 위치하고, 열접합 구역(926a,926b)에서 배면시이트(906)에 신장된 상태로 열접합된다. 그 후, 탄성 단편(920a,920b)을 신장된 상태로 유지시킨 힘을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단편(920a,920b)의 비열접합 부분은 탄성적으로 수축하여, 탄성 단편(920a,920b)은 원래의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복하려고 한다. 탄성 단편(920a,920b)에 발생된 이러한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상부시이트(904), 배면시이트(906) 및 코어(908)는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930)에서 종방향 대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록 변위된다. 따라서, 생리대(902)는 전체적으로 컵 형태로 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중심 부분(932)에서, 2층 구조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이 열접합 구역(916)의 폭방향 바깥쪽에 존재하고, 2층 구조의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에 의해 둘러싸인 배면시이트(906)의 양 측면 가장자리 부분은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따라서, 상기 언급한 후방절첩선(911a,911b)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체액이 폭방향 바깥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차단재로서 작용하는 커프스가 생리대(902)의 종방향 중심 부분(932)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생리대(902)를 팬티 안쪽의 필요 부위에 고정한 후, 착용자가 팬티를 착용하고 하부 다리를 폐쇄할 때, 제 1 상부시이트 층(910)의 후방절첩선(911a,911b)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탄성 단편(920a,920b)의 부분은 착용자의 팬티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로서 작용한다.
상기 기술한 것 이외의,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생리대(902)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생리대(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도 있다. 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 기술한 생리대들(2,102,202,302,402,502,602,702,802,902)은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조와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을 인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흡수코어는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보다 두껍다. 따라서, 코어가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의 필요 부위에 결합될 때, 생리대는 코어가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고, 코어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얇으며, 이로 인하여 두 유형의 부분 사이에 상당한 두께 차이가 생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신장되는 탄성 단편은 코어가 상부시이트 및/또는 배면시이트에 결합한 후 결합되고,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합은 상기 두께 차이로 인하여 방해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한 쌍의 탄성 단편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웹은 코어가 결합되기 전에 상부시이트(상부시이트가 제 1 상부시이트 층 및 제 2 상부시이트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 1 상부시이트 층만 또는 제 1 상부시이트 층 및 이에 결합된 제 2 상부시이트 층 둘다) 또는 배면시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웹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롤에 의해 공급되는 제 1 웹을 필요 경로를 따라 다수의 롤러 쌍에 의해 운반하고, 롤에 의해 공급되는 제 2 웹을 필요 경로를 따라 다수의 롤러 쌍에 의해 동시에 운반하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모든 웹을 위치시키고, 이들을 예정된 부위에 결합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제 2 웹은 제 1 웹에 신장된 상태로 결합시켜야 한다. 따라서, 제 2 웹을 다수의 롤러 쌍에 의해 운반하는 동안, 예정된 부위의 롤러 쌍 업스트림(upstream)의 주속은 예정된 부위의 롤러 쌍 다운스트림(downstream)의 주속보다 낮게 정해진다. 롤러 쌍의 이러한 주속 차이 때문에, 제 2 웹은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그 다음, 제 2 웹은 제 1 웹에 대하여 필요한 위치로 위치된다. 이들은 중요한 수단이다. 제 1 웹과 제 2 웹이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면, 제 1 웹과 제 2 웹의 결합은 필요한 결합 부위의 제 1 및 제 2 웹에서 열접합 도구를 조작하면서 열접합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상부시이트가 제 1 상부시이트 층 뿐만아니라 제 2 상부시이트 층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사전에 제 2 상부시이트 층을 제 1 상부시이트 층에 결합시키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전에 예정된 이격된 장소에서 결합된 코어를 갖는, 배면시이트 또는 상부시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제 3 웹은, 제 1 웹 및/또는 제 1 웹에 신장된 상태로 결합된 제 2 웹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또한 롤에 의해 공급되는 제 3 웹을 필요 경로를 따라 다수의 롤러 쌍에 의해 운반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 웹에 대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3 웹이 또한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3 웹의 제 1 웹 및/또는 제 2 웹에의 결합이 필요한 결합 부위에서 열접합 도구를 조작하면서 열접합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전에 코어(및 제 2 상부시이트 층)를 제 3 웹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이격된 장소에서 제 2 웹이 결합된 제 1 웹에 코어(및 제 2 상부시이트 층)를 결합시킨 다음, 제 3 웹을 제 1 웹 및/또는 제 2 웹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제 1, 제 2 및 제 3 웹으로부터 필요한 형태를 절단함으로써 생리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에 의해 제 2 웹에 가해진 인장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생리대는 탄성 단편에 의해 발생되는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편평한 형태로부터 필요한 컵 형태(전체적으로)로 변화된다. 또한, 필요한 커프스는 생리대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은 전체적으로 컵 형태이고,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며, 착용시 충분히 만족스러운 감촉을 준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구성된 흡수제품은 전체적으로 컵 형태이고,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고, 착용시 충분히 만족스러운 감촉을 주며, 또한 충분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라, 전체적으로 컵 형태이고,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커프스를 형성하는 생리대를 충분히 용이하게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을 예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을 행할 수 있음을 분명히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이러한 모든 변화 및 변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포함시키려 한다.

Claims (9)

  1.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 및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탄성 단편이 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고; 이 때
    각 탄성 단편이 기계가공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평면 형태의 웹으로부터 형성되는
    흡수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웹이 열가소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흡수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탄성 단편이 기계가공에 의해 비평면 형태로 변형된 변형 부분, 및 실질적으로 평면인 형태로 유지되는 비변형 부분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탄성 단편의 비변형 부분이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이 주로 비변형 부분에서 발생되는 흡수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 단편이 신장될 때, 비변형 부분이 실질적으로 분자수준의 변형을 겪고, 변형 부분이 실질적으로 기하학적인 변형을 겪는 흡수제품.
  6.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 및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고; 이 때
    각 탄성 단편이 배면시이트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부시이트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탄성 단편에 결합되지 않는
    흡수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상부시이트가 그의 폭방향 바깥쪽 가장자리를 정하는 후방절첩선(fold-back lines)을 따라 뒤로 접히어 2층 형태를 가지고, 상부시이트의 2층의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폭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흡수제품.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각 탄성 단편이,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에서 상부시이트 너머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팬티의 외표면상으로 뒤로 접히는 날개를 이루는 부분을 갖는 흡수제품.
  9.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코어, 및 이들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중 하나 이상에 종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흡수제품의 양 측면에 배열된 한 쌍의 밴드형 탄성 단편을 포함하고; 상부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가 흡수제품의 각 종방향 대향 말단 부분에서 종방향 말단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부시이트의 탄성 단편 또는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탄성 단편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흡수제품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양 측면에서 위로 연장되는 흡수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웹에, 예정된 부위에 탄성 단편 쌍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탄성적으로 신장되는 제 2 웹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웹에, 예정된 부위에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중 다른 하나 및 흡수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제 3 웹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KR1019970705304A 1995-02-02 1996-01-24 흡수제품 Ceased KR19980701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35921A JP2909877B2 (ja) 1995-02-02 1995-02-02 吸収性物品
JP95-35921 1995-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907A true KR19980701907A (ko) 1998-06-25

Family

ID=1245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304A Ceased KR19980701907A (ko) 1995-02-02 1996-01-24 흡수제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806925B1 (ko)
JP (1) JP2909877B2 (ko)
KR (1) KR19980701907A (ko)
AU (1) AU711610B2 (ko)
CA (1) CA2211745C (ko)
MX (1) MX9705884A (ko)
TW (1) TW302282B (ko)
WO (1) WO1996023471A1 (ko)
ZA (1) ZA967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738A (en) * 1995-12-04 1998-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ngled band structural elastic-like film cuffs
US5667609A (en) * 1996-02-14 1997-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attaching barrier cuffs to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US5885268A (en) * 1996-12-18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having decoupled topsheet and topsheet support strip
US6315765B1 (en) 1997-01-17 2001-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ized absorbent pad
US6171290B1 (en) 1998-06-30 2001-01-09 Mcneil-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double side cuffs
JP2000254173A (ja) * 1999-03-11 2000-09-19 Uni Charm Corp 生理用ナプキン
JP3859420B2 (ja) 2000-03-13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62469B2 (ja) 2000-03-13 2006-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22897B2 (ja) 2001-07-12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730068B2 (en) 2001-07-12 2004-05-04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4632779B2 (ja) * 2004-12-28 2011-02-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159943A (ja) * 2005-12-15 2007-06-28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4597085B2 (ja) * 2006-03-28 2010-1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84841B2 (ja) * 2006-04-14 2010-06-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75323B2 (ja) * 2009-05-18 2014-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059533A (ja) * 2011-09-14 2013-04-04 Kao Corp 吸収性物品
JP6759333B2 (ja) * 2015-08-21 2020-09-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バリアカフを備える婦人用パッド
JP6607778B2 (ja) * 2015-12-28 2019-11-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37658B1 (ja) * 2018-03-28 2019-07-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57440B2 (ja) * 2018-05-18 2023-10-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09600B2 (ja) * 2019-07-30 2023-01-2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174A (en) 1969-07-11 1971-04-20 Personal Products Co Sanitary napkin
US4944735A (en) 1984-02-21 1990-07-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haped napkin with elasticized edges
US4678527A (en) 1984-09-17 1987-07-07 Personal Products Company Method for making nonplanar absorbent products
US4579556A (en) 1984-11-16 1986-04-01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bow-shaped dual baffle pad
US5074856A (en) 1986-01-13 1991-12-24 Kimberly-Clark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haped absorbent article with a bicomponent baffle
US4701177A (en) 1986-01-13 1987-10-20 Kimberly-Clark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haped feminine pad with narrow, absorbent center and winged edges
US4770657A (en) 1986-05-28 1988-09-13 Kimberly-Clark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haped feminine pad with absorbent in the elasticized edges
US4758241A (en) 1987-06-18 1988-07-19 Papajohn Elissa D Menstrual and incontinence pad
US4834739A (en) 1987-12-17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External feminine protection device with skid-resistant coating for holding the device in place
DK0426235T3 (da) * 1989-11-01 1996-08-26 Procter & Gamble Hygiejnebind med tværstrækbare organer til fastgørelse på bærerens underbeklædning
US5234422A (en) * 1991-12-20 1993-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ized sanitary napkin
EP0575611B1 (de) * 1992-01-13 1998-12-09 Uni-Charm Company Limited Monatsbinde
JP2559755Y2 (ja) * 1992-11-17 1998-01-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BR9204863A (pt) * 1992-11-25 1994-03-01 Johnson & Johnson Ind Com Absorvente intimo feminino descarta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2282B (ko) 1997-04-11
EP0806925A1 (en) 1997-11-19
EP0806925B1 (en) 2004-08-11
JPH08215244A (ja) 1996-08-27
MX9705884A (es) 1997-10-31
AU4764196A (en) 1996-08-21
WO1996023471A1 (en) 1996-08-08
CA2211745A1 (en) 1996-08-08
EP0806925A4 (en) 2000-02-02
ZA96798B (en) 1996-08-12
AU711610B2 (en) 1999-10-14
JP2909877B2 (ja) 1999-06-23
CA2211745C (en) 2001-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907A (ko) 흡수제품
RU2706413C2 (ru) Растягивающаяс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нижнего белья
US7335810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extended cushion layer with corrugated topsheet
JP4246413B2 (ja) シート状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CN100356899C (zh) 锥形复合卫生巾
JP488419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005027B2 (ja) 吸収性物品
EP1275359A2 (en) Sanitary napkin
JP2000510376A (ja) フラップと延伸性ゾーンとを有する体にフィットする複合生理用ナプキン
EP1133965B1 (en) Absorbent article
PL170459B1 (pl) Wyrób chlonny PL PL
KR20160132846A (ko) 팬츠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H06254119A (ja) 改良された脚まわり漏れ防止構造を備える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2015100502A5 (ko)
JPH09502897A (ja) パターンをなした伸長性領域を有する下着カバー構成要素を備えた吸収体物品
JP2006271898A (ja) 吸収性物品
TWI450708B (zh) Absorbent items
US20030040731A1 (en) Absorbent article
JP449296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307960C (zh) 具有不同硬度区域的护翼的卫生巾
JP5401234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024218B2 (ja) 吸収性物品
JP2002052041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763761U (zh) 吸收性物品
JP738223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1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