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안내홈을 갖는 디스크의 소정회전마다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생성기, 이 펄스생성기의 출력펄스를 입력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의 안내홈을 검출하는 수단, 이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 상기 재생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이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사용해서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3 제어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수단,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수단 및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3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제3 제어수단을 선택하는 제어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재생신호의 최대 또는 최소반전간격 혹은 최대 또는 최소주기를 검출하는 재생신호 검출수단, 이 재생신호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4 제어수단, 상기 재생신호가 재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3 판정수단 및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신호가 재생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4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제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재생신호가 재생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제4 제어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디스크의 소정회전마다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생성기, 이 펄스생성기의 출력펄스를 입력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 상기 안내홈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안내홈검출수단, 이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생성수단, 이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사용해서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이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어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데이타의 기록을 금지하는 제3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안내홈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안내홈검출수단, 상기 디스크의 재생전용영역을 검출하는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 이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의 재생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신호와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선택하는 제1 선택수단, 이 제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수단, 이 제1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재생전용영역과 상기 기록가능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수단 및 이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와 상기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선택하는 제2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안내홈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안내홈검출수단, 상기 디스크의 재생전용영역을 검출하는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 이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의 재생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신호와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선택하는 제1 선택수단, 이 제1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수단, 이 제1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재생전용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수단, 이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판별신호와 상기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를 선택하는 제2 선택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기록가능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판별신호를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수단 및 이 제3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록가능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판별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기록데이타를 출력하고 상기 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검출수단, 상기 재생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기준신호를 소정주파수의 신호로 분주하는 분주수단, 이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상기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와 소정값을 비교하여 오차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비교수단, 이 주파수비교수단으로부터의 오차신호에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재생신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재생신호가 상기 기억수단에 라이트될 때의 어드레스를 인가하는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 상기 기억수단에서 신호를 리드할 때의 어드레스를 인가하는 리드용 어드레스카운터 및 상기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와 리드용 어드레스카운터의 카운트값차가 소정값에서 변화한 경우에 상기 주파수비교수단에 의해 생성된 오차신호를 보정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기준신호를 소정주파수의 신호로 분주하는 분주수단, 이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상기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를 계측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 및 정지동작개시에서 상기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에서 디스크의 정지시간을 산출해서 소정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크정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회전제어장치는 안내홈을 갖는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의 소정회전마다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생성기, 상기 디스크의 안내홈을 검출하는 수단, 이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수단, 상기 디스크에서 재생된 재생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 상기 재생신호와 동기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수단,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수단,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수단, 기준신호를 소정주파수의 신호로 분주하는 분주수단, 이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상기 제1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를 계측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 상기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상기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를 계측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 상기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상기 펄스생성기의 출력펄스를 계측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제3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 정지동작개시부터 상기 제1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에서 디스크의 정지시간을 산출해서 소정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디스크정지수단, 정지동작개시부터 상기 제2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에서 디스크의 정지시간을 산출해서 소정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디스크정지수단, 정지동작개시부터 상기 제3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에서 디스크의 정지시간을 산출해서 소정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디스크정지수단 및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3 정지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정지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건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정지수단을 사용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제1∼제3 정지수단을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1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고 또한 제1 판정수단에 의해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2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3 제어수단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1 판정수단에 의해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또한 제3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재생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4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 제3 판정수단에 의해 재생신호가 재생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고 또한 제2 판정수단에 있어서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2 제어수단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판정수단에 의해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1 제어수단이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2 제어수단이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제어되고, 또 상기 판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3 제어수단에 의해서 기록데이타의 기록이 금지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2 선택수단에 의해서 판정수단에 의해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가 선택되고, 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선택되고, 제1 선택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2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나타내는 구간 또는 상기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가 나타내는 구간에 있어서는 재생신호가 선택되고, 그 밖의 구간에서는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2 선택수단에 의해서 판정수단에 의해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가 선택되고, 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판별신호가 선택되고, 제1 선택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2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판별신호가 나타내는 구간 또는 상기 재생전용영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재생전용영역을 나타내는 신호가 나타내는 구간에 있어서 재생신호가 선택되고, 그 밖의 구간에서는 안내홈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선택된다. 또,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기록수단에 의해서 기록동작이 금지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6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와 리드용 어드레스카운터의 카운트값차가 소정값에서 변화한 경우에 보정수단의 보정에 의해서 주파수비교수단의 오차신호가 보정되고 제어수단의 제어동작이 보정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이 변화해서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의 갱신속도가 변화하고, 비교수단에 있어서의 카운트값차가 소정값으로 되돌아 오도록 제어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7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 의해서 분주수단에 의해 분주된 신호의 소정간격마다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의 주파수가 계측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이 회전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수단이 출력되고, 디스크정지수단에 의해서 정지동작개시부터 상기 디스크회전수 계측수단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계측되고, 이 계측시간에서 디스크의 정지시간이 산출되어 소정의 정지신호가 출력되고 디스크가 정지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2 판정수단에 의해서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선택수단에 의해서 제3 정지수단이 사용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제2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안내홈검출수단에서 정상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되고 또한 제1 판정수단에 의해서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제1 정지수단이 사용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제1 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동기신호가 소정간격으로 검출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서 제2 정지수단이 사용되어 상기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50)은 워블신호가 기록된 DVD-RAM디스크, (51)은 광픽업(P.U.), (52)는 재생신호의 등화 및 워블신호추출을 실행하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 (53)은 프리피트영역(미리 디스크(50)상에 DVD-ROM과 동등한 데이타피트가 형성된 리드전용영역)의 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 (54)는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와 동기한 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 (55)는 데이타영역(워블홈이 형성되고 데이타리드, 라이트가 가능한 디스크(50)상의 영역)의 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타영역 검출회로, (56)은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와 동기한 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 (57)은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4)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와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을 입력해서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디지탈신호 처리회로이다.
또, (68)은 스핀들모터(M), (58)은 스핀들모터(68)의 1회전당 여러개의 펄스가 출력되는 펄스생성기(FG), (59)는 주파수비교기, (60)은 위상비교기, (61)은 수정발진기 등에서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는 분주기, (62)는 연산기, (63)은 셀렉터, (64)는 저역필터, (65)는 PWM신호생성회로, (67)은 스핀들모터의 구동앰프이다.
또, (69)는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의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식별신호 생성회로, (70)은 워블신호를 체배해서 채널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 (71)은 주파수비교기, (72)는 위상비교기, (73)은 수정발진기 등에서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는 분주기, (74)는 연산기이다.
또, (75)는 주파수비교기, (76)은 위상비교기, (77)은 수정발진기 등에서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는 분주기, (78)은 연산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블럭도에 있어서 스핀들모터(68)을 동작시킬 때의 흐름도로서, 이하 이것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START(81)에 의해 초기화가 실행된 후, CLV ON(82)에 의해 CLV기동되면 디스크(50)이 회전을 시작하고, 광픽업(51)내의 포커스 및 트랙서보의 상태의 체크(FOCUS TRACK)(83)이 이루어진다. 만일, 기동시 또는 포커스 혹은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어 재생신호가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펄스생성기(68)을 사용한 스핀들제어로 된다. DVD-RAM에서는 존(디스크(50)상의 동심원형상의 작은 영역)마다 대략의 디스크회전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ZONE SET(84)에 의해 재생되는 영역의 회전수에 따른 소정의 분주비가 분주기(61)에 대해서 세트된다. 1예로서 분주비M은 분주기(61)에 입력되는 수정발진기 등의 주파수f, 소정 존의 디스크(50)의 회전수n, 펄스생성기의 디스크(50)의 1회전당 출력되는 펄스수를 k로 하면
로 구할 수 있다.
다음에, FG AFC(85)에 의해 분주기(61)의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펄스생성기(58)에서 입력되는 펄스수를 주파수비교기(59)에 의해 계측한다. 디스크(50)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다면 1회전당 분주기(61)의 출력클럭수와 상기 펄스수는 동일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한다. 주파수비교기(59)에서는 이 오차펄스수가 1회전마다 또는 소정회전수마다 출력된다.
그런데, LOCK(86)에서는 주파수비교기(59)의 상태가 항상체크되고, 오차펄스수가 소정값 이하(디스크(50)의 회전수가 존마다 결정된 소정수에 근접했을 때)로 되면 FG APC(87)로 진행하고, 위상비교기(60)에 의해 분주기(61)의 출력신호와 펄스생성기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타이밍의 위상이 비교된다. 만일, 출력펄스의 타이밍과 분주기(61)의 출력신호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오차분이 계측되어 출력된다.
다음에, 주파수비교기(59)의 출력과 위상비교기(60)의 출력은 모두 연산기(62)에 입력되고, 각각 이득조정을 위해 실수배되고 나서 가산된다. 이 가산된 오차분의 출력은 셀렉터(63)에 입력되고, STOP(100)에서 디스크(50)의 정지상태로 되지 않는 한 포커스 및 트랙서보의 상태의 체크(83)의 결과,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에는 연산기(62)의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출력이 선택되어 PWM신호생성회로(65)에 입력되고 오차분이 PWM변조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은 저역필터(64)에 입력되고 신호의 고역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저역필터(64)는 아날로그회로를 상정해서 PWM신호생성회로(65)에 의해 PWM변조되고 나서 출력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저열필터(64)를 디지탈필터로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PWM신호생성회로(65)는 불필요하다(PWM변조에 의해 오차분을 시간축변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디지탈필터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에, 저역필터(64)의 출력은 앰프(67)에 입력되고,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캔슬되도록 스핀들모터(68)이 제어된다. 상기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디스크(50)은 존마다 소정회전수로 회전하고 있고, 상기 동작에 의해서 디스크(50)은 CAV(각속도일정)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 재생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디스크(50)의 과회전, 정지 또는 역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재생신호가 리드되는 상태로 되면, 광픽업(51)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입력되고, 데이타의 등화나 2진화의 처리가 실행되고,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PLL회로(54)에서는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또, 상기 위상동기한 클럭은 상기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리드에 사용되고 데이타는 외부로 출력되어 주로 디스크(50)상의 어드레스정보로서 사용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서는 상기 동기신호는 소정의 데이타간격마다 디스크(50)상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상기 PLL회로(54)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상기 동기신호의 간격을 계측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AM LOCK)(88)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일 소정 클럭수가 아닐 때에는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가 재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54)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상기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의 스핀들제어(CAV)로 되돌아 간다.
다음에,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서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을 통해서 출력된 재생신호가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입력되면,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또, PLL회로(56)에서는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와 PLL회로(56)에서 생성된 클럭은 디지탈신호 처리회로(57)에 입력되고 데이타복조나 에러정정처리 등이 실행된다.
또 상기 처리에 있어서, 소정의 클럭간격으로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는 상기 데이타영역의 동기신호도 소정의 데이타간격마다 디스크(50)상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상기 동기신호의 간격을 계측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SYNC LOCK)(89)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일 소정 클럭수가 아닐 때에는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상기 종래예와 동등한 워블신호에 의한 스핀들모터(68)의 제어가 실행되고 워블 AFC(WOBBLE AFC)(97)로 진행한다.
우선,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의해 워블신호가 추출되면, 이 추출된 워블신호는 PLL회로(70)에 입력된다. 다음에,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LL회로(70)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다음의 주파수비교기(71)에 입력되는 것 이외에 기록시에 기록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으로서도 사용된다. 한편, DVD-RAM에서는 디스크(50)을 선속도일정하게 회전시킨 경우의 데이타리드 클럭주파수는 29.18MHz이므로, 이 주파수의 클럭이 기준클럭으로서 수정발진기 등에서 주파수비교기(71)에 인가된다. 주파수비교기(71)에서는 PLL회로(70)에서 출력된 상기 클럭과 상기 기준클럭의 주파수가 비교되어 주파수오차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LOCK(98)에서는 주파수비교기(71)의 상태가 항상 체크되고, 상기 오차신호가 소정값 이하(PLL회로(70)의 출력클럭주파수가 상기 기준클럭주파수에 근접했을 때)로 되면 WOBBLE APC(99)로 진행한다. 한편, 분주기(73)에는 상기 주파수비교기(71)과 마찬가지로 수정발진기 등에서 29.18MHz의 기준클럭이 인가되고, 이것이 PLL회로(70)에서 출력된 클럭과 워블신호의 분주비에 상당하는 분주비로 분주된다(분주된 클럭의 주파수는 디스크(50)이 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워블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위상비교기(72)에 의해 분주기(73)의 출력신호와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의해 추출된 워블신호의 출력타이밍의 위상이 비교된다. 만일, 상기 워블신호의 타이밍과 분주기(73)의 출력신호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오차분이 계측되어 위상오차신호로서 출력된다.
상기 주파수오차신호와 위상오차신호는 모두 연산기(74)에 입력되고, 각각 실수배되어 이득조정된 후 가산되어 출력된다. 이 연산기(74)의 출력은 셀렉터(63)에 입력된다. 여기서, STOP(100)에서 디스크(50)이 정지상태로 되지 않는 한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는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있지만,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연산기(74)의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출력이 셀렉터(63)에 의해 선택되어 PWM신호생성회로(65)에 입력되고 오차분이 PWM변조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은 저역필터(64)에 입력되고 신호의 고역성분이 제거된다.
단, 상기와 같이 저역필터(64)를 디지탈필터로 구성했을 때에는 PWM변조에 의해 오차분을 시간축변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디지탈필터에 의해 실행되므로 PWM신호생성회로(65)는 불필요하다.
다음에, 저역필터(64)의 출력은 구동앰프(67)에 입력되고,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캔슬되도록 스핀들모터(68)이 제어된다.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재생된 워블신호가 기준클럭과 위상동기하고 있으므로, 디스크(50)에는 선속도일정(CLV)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타영역상에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이 재생되기 시작했을 때 PLL회로(56) 등이 위상동기하기 쉬운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50)에 있어서 프리피트영역에는 워블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이 영역을 재생중에서 워블신호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서 식별신호 생성회로(69)에 재생신호가 입력되고,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식별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주파수비교기(71)과 위상비교기(72)는 식별신호에 따라서 비교동작을 변경, 중단 또는 정지한다. 예를 들면, 프리피트영역일 때에는 프리피트영역식별신호가 출력되기 직전의 오차신호를 유지해서 출력하고, 데이타영역식별신호가 출력되면 비교동작을 재개해서 오차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워블신호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있다.
또, 프리피트영역에 있어서는 주파수비교기(71)에 PLL회로(54)의 출력클럭을 PLL회로(70)의 출력클럭 대신에 입력하고, 또 위상비교기(72)에 대해서는 PLL회로(54)의 출력클럭을 분주기(73)과 동일 분주비분으로 분주하고, 워블신호 대신에 입력해서 비교동작을 속행시켜도 좋다.
또, 프리피트영역에 있어서는 주파수비교기(71)만 PLL회로(54)의 출력클럭을 사용한 비교동작을 실행하고, 위상비교기(72)는 상기와 같이 오차신호출력을 유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쌍방의 영역경계에서 발생하는 위상오차출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영향(워블신호위상과 상기 PLL회로(54)의 분주클럭이 위상동기하지 않을 때)이 경감된다.
다음에,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의 간격을 계측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 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89)가 이루어지고, 소정 클럭수일 때에는 그 클럭은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하고 있고, 이 클럭을 기준으로 한 스핀들모터(68)의 제어가 실행된다.
이 경우는 AFC(90)으로 진행하고, PLL회로(56)에서 생성된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주파수비교기(75)에 입력된다. 한편, DVD-RAM에서는 디스크(50)을 선속도일정하게 회전시킨 경우의 데이타리드클럭의 주파수는 29.18MHz이므로, 이 주파수의 클럭이 기준클럭으로서 수정발진기 등에서 주파수비교기(75)에 인가된다. 주파수비교기(75)에서는 PLL회로(56)에서 출력된 클럭과 기준클럭의 주파수가 비교되어 주파수오차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LOCK(91)에서는 주파수비교기(75)의 상태가 항상 체크되고 상기 오차신호가 소정값 이하(PLL회로(56)의 출력클럭주파수가 상기 기준클럭주파수에 근접했을 때)로 되면 APC(92)로 진행한다. 한편, 분주기(77)에는 주파수비교기(75)와 마찬가지로, 수정발진기 등에서 29.18MHz의 기준클럭이 인가된다. 여기서,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의 주기를 p, PLL회로(56)의 출력클럭신호의 주기를 q로 하면, 분주비 R은
로 구할 수 있고, 기준클럭은 분주기(77)에 의해 이 분주비 R에 상당하는 분주비로 분주된다(분주된 클럭의 주기는 디스크(50)이 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상기 동기신호의 주기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위상비교기(76)에 의해 분주기(77)의 출력신호와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의 출력타이밍의 위상이 비교된다. 만일, 상기 동기신호의 타이밍과 분주기(77)의 출력신호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오차분이 계측되어 위상오차신호로서 출력된다.
상기 주파수오차신호와 위상오차신호는 모두 연산기(78)에 입력되고, 각각 실수배되어 이득조정된 후 가산되어 출력된다. 이 연산기(78)의 출력은 셀렉터(63)에 입력된다. 여기서, STOP(100)에서 디스크(50)이 정지상태로 되지 않는 한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는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있고, 또한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고 PLL회로(56)의 클럭이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하고 있을 때(통상의 데이타재생상태)에는 연산기(78)의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출력이 셀렉터(63)에 의해 선택되어 PWM신호생성회로(65)에 입력되고 오차분이 PWM변조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은 저역필터(64)에 입력되고 신호의 고역성분이 제거된다.
단, 상기와 같이 저역필터(64)를 디지탈필터로 구성했을 때에는 PWM변조에 의해 오차분을 시간축변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디지탈필터로 실행되므로, PWM신호생성회로(65)는 불필요하다. 다음에, 상기 저역필터(64)의 출력은 앰프(67)에 입력되고,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캔슬되도록 스핀들모터(68)이 제어된다. 이 제어방법은 통상의 데이타재생시에 선택되는 방법이다.
또,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 각각에서 재생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을 사용하여 스핀들모터(68)의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식별별신호 생성회로(69)의 식별신호출력에 따라 주파수비교기(75)에 입력되는 클럭은 PLL회로(54)의 출력과 PLL회로(56)의 출력에 의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또, 위상비교기(76)에 입력되는 동기신호는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의 출력과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의 출력에 의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처리에 있어서, STOP(100)에서 디스크(50)이 정지상태로 될 때에는 BRAKE(101)로 진행하고, 셀렉터(66)에서 브레이크신호가 저역필터(64)를 거쳐서 앰프(67)에 인가된다. 그리고, 디스크(50)이 정지하면 CLV OFF(102)에서 브레이크신호해제로 되어 END(103)으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이상과 같이 동작하므로, 디스크(50)은 통상재생에서는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CLV제어되고, 상기 클럭이 위상동기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타의 반전간격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 데이타영역의 데이타가 결락 또는 미기록부분에서는 워블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으면 펄스생성기(58)을 사용한 CAV제어로 되므로, 디스크(50)의 재생상태에 따른 적절한 스핀들모터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1과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66)은 셀렉터, (79)는 데이타영역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의 최대 또는 최소반전간격을 검출하는 반전간격 검출회로, (80)은 비교기이다.
이하,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신호유무의 체크(HFD)(93)에 의해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고, 재생신호가 있는 경우는 MIN/MAX(94)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이 아직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므로,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의 반전간격을 사용해서 스핀들모터(68)의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는 설정에 따라 MIN/MAX(94)인 곳에서 최대반전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MAX(95)로 진행하고, 최소반전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MIN(96)으로 진행한다. 우선, 최대반전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전간격 검출회로(79)에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 데이타영역의 재생신호가 입력되면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신호의 최대반전간격이 검출된다.
여기서, 최대반전간격이 발생하는 것은 동기신호가 재생된 경우이므로, 상기 소정의 검출기간내에는 반드시 동기신호가 재생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 반전간격은 신호의 상승에지에서 하강에지까지를 검출하는 것 보다 동일 상승에지에서 상승에지까지, 또는 하강에지에서 하강에지까지를 검출한 쪽이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있어서의 데이타슬라이스(2진화)레벨변동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4-71269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에, 반전간격 검출회로(79)에 의해 검출된 반전간격의 최대값은 비교기(80)에 입력되고, 수정발진기 등에 의해 입력된 기준클럭을 사용해서 디스크(50)이 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을 때의 반전간격의 최대값과 비교된다. 이 때, 반전간격 검출회로(79)에 의해 검출된 반전간격이 짧을 때에는 비교기(80)에서 스핀들모터(68)을 감속하는 신호, 길 때에는 가속하는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셀렉터(66)(재생신호유무의 체크(93)에서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고, 재생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비교기(80)의 출력이 선택된다), 저역필터(64)를 거쳐서 앰프(67)에 인가되어 스핀들모터(68)이 제어된다. 이 경우, 스핀들모터(68)에는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에 따라서 선속도일정(CLV)의 제어가 걸려 있고, 상기 워블신호에 따른 제어보다 더욱 세밀하게 제어되게 된다.
또, 최소반전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전간격 검출회로(79)에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 데이타영역의 재생신호가 입력되면 소정기간에 있어서의 신호의 최소반전간격이 검출되고, 비교기(80)에서는 디스크(50)이 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을 때의 반전간격의 최소값과 비교된다.
상기 제어에 있어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의 각각에 있어서 데이타의 반전간격을 검출해서 스핀들모터(68)의 제어를 하는 경우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69)의 식별신호출력에 따라서 반전간격 검출회로(79)에 입력되는 신호를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출력과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출력에 의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또는 데이타영역중의 어느 한쪽에서 반전간격의 검출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69)의 식별신호출력에 따라서 검출하지 않는 측에서는 비교기(80)에서 스핀들모터(68)을 제어하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또는 셀렉터(66)에 의해 비교기(80)측이 선택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4)는 워블신호가 기록된 DVD-RAM디스크, (105)는 광자기헤드(P.U.), (106)은 재생신호의 등화 및 워블신호추출을 실행하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 (107)은 프리피트영역(미리 디스크(104)상에 DVD-ROM과 동등한 데이타피트가 형성된 리드전용영역)의 데이타 및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회로, (108)은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 의해 검출된 데이타와 동기한 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이다. 또, (119)는 스핀들모터(M), (120)은 스핀들모터(119)의 1회전당 여러개의 펄스가 출력되는 펄스생성기(FG), (121)은 주파수비교기, (122)는 위상비교기, (123)은 수정발진기 등에 의해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는 분주기, (124)는 연산기, (115)는 셀렉터, (117)은 저역필터, (116)은 PWM신호생성회로, (118)은 스핀들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앰프이다. 또, (110)은 상기 프리피트영역과 상기 데이타영역의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식별신호 생성회로, (109)는 상기 워블신호를 체배해서 채널클럭을 생성하는 PLL회로, (111)은 주파수비교기, (112)는 위상비교기, (113)은 수정발진기 등에 의해 입력된 클럭을 분주하는 분주기, (114)는 연산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블럭도에 있어서 스핀들모터(119)를 동작시킬 때의 흐름도로서,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START(125)에서 초기화가 실행된 후, CLV ON(126)에서 CLV기동되면 디스크(104)가 회전을 시작하고, 광자기헤드(105)내의 포커스 및 트랙서보의 상태의 체크(FOCUS TRACK)(127)이 이루어진다. 만일, 기동시 또는 포커스 혹은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고 재생신호를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펄스생성기(120)을 사용한 스핀들제어로 된다. DVD-RAM에서는 존(디스크(104)상의 동심원형상의 작은 영역)마다 대략의 디스크회전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ZONE SET(128)에서 재생되는 영역의 회전수에 따른 소정의 분주비가 분주기(123)에 대해서 세트된다. 분주비 M은 상기 식 1에 의해 구해진다.
다음에, FG AFC(129)에서 분주기(123)의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해서 펄스생성기(120)에서 입력되는 펄스수를 주파수비교기(121)에 의해 계측한다. 디스크(104)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으면 1회전당 분주기(123)의 출력클럭수와 상시 펄스수는 동일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차가 발생한다. 주파수비교기(121)에서는 상기 오차펄스수가 1회전마다 또는 소정회전수마다 출력된다.
그런데, LOCK(130)에서는 주파수비교기(121)의 상태가 항상 체크되고, 상기 오차펄스수가 소정값 이하(디스크(104)의 회전수가 존마다 결정된 소정수에 근접했을 때)로 되면 FG APC(131)로 진행하고, 위상비교기(122)에 의해 분주기(123)의 출력신호와 펄스생성기(120)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타이밍의 위상이 비교된다. 만일, 출력펄스의 타이밍과 분주기(123)의 출력신호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오차분이 계측되어 출력된다.
다음에, 주파수비교기(121)의 출력과 위상비교기(122)의 출력은 모두 연산기(124)에 입력되고, 각각 이득조정을 위해 실수배되고 나서 가산된다. 이 가산된 오차분의 출력은 셀렉터(115)에 입력되고, STOP(136)에서 디스크(104)의 정지상태로 되지 않는 한 포커스 및 트랙서보의 상태의 체크(127)의 결과,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에는 연산기(124)의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출력이 선택되어 PWM신호생성회로(116)에 입력되고, 오차분이 PWM변조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은 저역필터(117)에 입력되고 신호의 고역성분이 제거된다.
단, 도 5에서는 저역필터(117)은 아날로그회로를 상정해서 PWM신호생성회로(116)에 의해 PWM변조되고 나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저역필터(117)을 디지탈필터로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PWM변조에 의해 오차분을 시간축변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디지탈필터로 실행되므로 PWM신호생성회로(116)은 불필요하다.
다음에, 저역필터(117)의 출력은 앰프(118)에 입력되고,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캔슬되도록 스핀들모터(119)가 제어된다.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없는 상태일 때에는 디스크(104)는 존마다 소정회전수로 회전하고 있고, 상기 제어동작에 의해서 디스크(104)는 CAV(각속도일정)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 재생신호가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디스크(104)의 과회전, 정지 또는 역회전이 방지된다.
다음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재생신호를 리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광자기헤드(105)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 입력되고, 데이타의 등화나 이진화의 처리가 실행되고,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 입력된다. 여기서는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PLL회로(108)에서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또, 상기 위상동기한 클럭은 상기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리드에 사용되고, 데이타는 외부로 출력되어 주로 디스크(104)상의 어드레스정보로서 사용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는 동기신호는 소정의 데이타간격마다 디스크(104)상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PLL회로(108)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동기신호의 간격을 계측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AM LOCK)(132)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일 소정클럭수가 아닐 때에는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가 재생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108)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상기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의 스핀들제어(CAV)로 되돌아 간다.
또,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재생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예와 동등한 워블신호에 의한 스핀들모터(119)의 제어가 실행되고, WOBBLE AFC(133)으로 진행한다. 우선,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 의해 워블신호가 추출되면, 이 추출된 워블신호는 PLL회로(109)에 입력된다. 다음에,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LL회로(109)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다음의 주파수비교기(111)에 입력되는 것 이외에 기록시에 기록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클럭으로서도 사용된다. 한편, DVD-RAM에서는 디스크(104)를 선속도일정하게 회전시킨 경우의 데이타리드클럭 주파수는 29.18MHz이므로, 이 주파수의 클럭이 기준클럭으로서 수정발진기 등에서 주파수비교기(111)에 인가된다. 주파수비교기(111)에서는 PLL회로(109)에서 출력된 상기 클럭과 상기 기준클럭의 주파수가 비교되고 주파수오차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LOCK(134)에서는 주파수비교기(111)의 상태가 항상 체크되고, 오차신호가 소정값 이하(PLL회로(109)의 출력클럭주파수가 상기 기준클럭주파수에 근접했을 때)로 되면, WOBBLE APC(135)로 진행한다. 한편, 분주기(113)에는 주파수비교기(111)과 마찬가지로 수정발진기 등에서 29.18MHz의 기준클럭이 인가되고, 이것이 PLL회로(109)에서 출력된 클럭과 워블신호의 분주비에 상당하는 분주비로 분주되고(분주된 클럭의 주파수는 디스크(104)가 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는 경우의 워블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된다), 위상비교기(112)에 의해 분주기(113)의 출력신호와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 의해 추출된 워블신호의 출력타이밍의 위상이 비교된다. 만일, 워블신호의 타이밍과 분주기(113)의 출력신호가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으면 오차분이 계측되고 위상오차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PLL회로(109)의 출력클럭은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하고 있으므로 위상비교기(112)에는 워블신호 대신에 PLL회로(109)에서 출력된 클럭을 분주해서 워블신호상당의 클럭으로서 입력하고, 이것과 분주기(113)의 출력신호를 위상비교해도 좋다.
상기 주파수오차신호와 위상오차신호는 모두 연산기(114)에 입력되고, 각각 실수배되어 이득조정된 후 가산되어 출력된다. 이 연산기(114)의 출력은 셀렉터(115)에 입력된다. 여기서, STOP(136)에서 디스크(104)가 정지상태로 되지 않는 한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는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있지만,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연산기(114)의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출력이 셀렉터(115)에 의해 선택되어 PWM신호생성회로(116)에 입력되고 오차분이 PWM변조되어 출력된다. 이 출력은 저역필터(117)에 입력되고 신호의 고역성분이 제거된다.
단, 상기와 같이 저역필터(117)을 디지탈필터로 구성했을 때에는 PWM변조에 의해 오차분을 시간축변동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디지탈필터로 실행되므로 PWM신호생성회로(116)은 불필요하다.
다음에, 저역필터(117)의 출력은 구동앰프(118)에 입력되고,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캔슬되도록 스핀들모터(119)가 제어된다. 주파수 및 위상오차분이 없는 상태에서는 재생된 워블신호가 기준클럭과 위상동기하고 있으므로, 디스크(104)에는 선속도일정(CLV)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스크(104)에 있어서, 프리피트영역에 워블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고, 이 영역을 재생중에서 워블신호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10)에 의해서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서 재생신호가 입력되고,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식별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때, 주파수비교기(111)과 위상비교기(112)는 식별신호에 따라 비교동작을 변경, 중단 또는 정지한다. 예를 들면, 프리피트영역일 때에는 프리피트영역 식별신호가 출력되기 직전의 오차신호를 유지해서 출력하고, 데이타영역 식별신호가 출력되면 비교동작을 재개해서 오차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워블신호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있다.
또, 프리피트영역에 있어서는 주파수비교기(111)에 PLL회로(108)의 출력클럭을 PLL회로(109)의 출력클럭 대신에 입력하고, 또 위상비교기(112)에 대해서는 PLL회로(108)의 출력클럭을 분주기(113)과 동일 분주비분으로 분주해서 워블신호 대신에 입력해서 비교동작을 속행시켜도 좋다.
또, 프리피트영역에 있어서는 주파수비교기(111)만 PLL회로(108)의 출력클럭을 사용한 비교동작을 실행하고, 위상비교기(112)는 상기와 같이 오차신호출력을 유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쌍방의 영역경계에서 발생하는 위상오차출력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영향(워블신호위상과 상기 PLL회로(108)의 분주클럭이 위상동기하지 않을 때)가 경감된다.
상기 워블신호에 의한 스핀들모터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프리피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정보가 리드되고, 데이타기록하고자 하는 소정의 어드레스인 것이 판명되면 기록신호 생성회로(136)에서 신호처리된 기록신호는 데이타영역인 곳에서 PLL회로(109)의 출력클럭과 동기해서 리드된다. 이 리드된 기록신호는 (137)의 아날로그처리회로를 통해서 광자기헤드(105)를 거쳐 디스크(104)에 기록된다.
또한, 상기 제어에 있어서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을 때, 스핀들제어가 CAV의 상태에서는 워블신호를 리드할 수 없으므로 기록동작은 금지된다.
이상의 제어에 있어서, STOP(136)에서 디스크(104)가 정지상태로 될 때에는 BRAKE(137)로 진행하고, 브레이크신호가 저역필터(117)을 거쳐서 앰프(118)에 인가된다. 그리고, 디스크(104)가 정지하면 CLV OFF(138)에서 브레이크신호해제로 되어 END(139)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이상과 같이 동작하므로, 디스크(104)는 통상기록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CLV제어되고, 클럭이 위상동기하지 않거나 또는 포커스 혹은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으면 펄스생성기(120)을 사용한 CAV제어로 되므로, 디스크(104)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스핀들모터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워블신호를 리드할 수 없고 CLV제어되지 않을 때에는 기록이 금지되므로, 잘못된 위치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원래의 데이타가 소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CAV제어에 의해서 디스크(104)가 과회전, 정지 또는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펄스생성기(120)에 의해서 워블신호를 리드할 수 있게 되었을 때 PLL회로(109)가 위상동기하기 쉽도록 CAV제어된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40), (141)은 셀렉터, (142)는 PLL회로, (143)은 프리피트영역 및 데이타영역을 판별하여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식별신호 생성회로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재생신호를 리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광픽업(P.U.)(51)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입력되고, 데이타의 등화나 이진화의 처리가 실행되어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 입력되고, 여기서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한편,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서 셀렉터(140)에 프리피트영역이 재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가 선택되어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으로 출력된다. 이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의 출력은 셀렉터(141)에 입력되고, 셀렉터(141)에서는 프리피트영역일 때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로부터의 재생신호가 PLL회로(142)에 입력되는 쪽에 접속되고, 또 프리피트영역 이외에서는 워블신호가 선택된다.
다음에, PLL회로(142)에서는 프리피트영역에서는 재생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되고, 그 이외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서는 PLL회로(142)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의 동기신호의 간격이 계측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일 소정클럭수가 아닐 때에는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가 재생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142)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 소정 클럭수일 때에는 위상동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검출결과가 셀렉터(140)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위상동기인 경우에는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서 PLL회로(142)의 출력클럭에서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에 따라 생성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셀렉터(140)에 의해 선택되어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에 입력된다. 따라서, PLL회로(142)에는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문에, PLL회로(142)에서는 위상동기하고 있다는 것의 검출결과가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서 출력되고, 이 후 판별신호에 의해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에서는 재생신호가 입력되고 각각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되어 출력되고,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과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입력되어 데이타가 리드되게 된다.
또,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에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기간에서는 셀렉터(141)에서는 워블신호가 선택되므로, PLL회로(142)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이하, 주파수비교기(71)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의 출력과 PLL회로(142)의 출력이 입력되고, 위상비교기(72)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의 출력과 워블신호가 입력되고, 주파수비교기(75)에는 PLL회로(142)의 출력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과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의 쌍방에서 PLL회로(142)의 출력클럭의 위상동기가 검출될 때에는 연산기(78)의 출력이 셀렉터(63)에 의해 선택된다. 그리고, 데이타영역에서는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 프리피트영역에서는 데이타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 프리피트영역에서는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스핀들모터(68)이 CLV제어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만 위상동기가 검출될 때에는 비교기(80)의 출력이 셀렉터(66)에 의해 선택되고, 데이타영역에서는 데이타의 반전간격에 따라서 CLV제어된다. 또,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에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기간에서는 연산기(74)의 출력이 셀렉터(63)에 의해 선택되므로,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CLV제어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에서 위상동기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펄스생성기(58)을 기준으로 한 CAV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이상과 같이 동작하므로, 프리피트영역과 데이타영역, 그 밖의 영역의 재생신호에 대해서 하나의 PLL회로에서 위상동기클럭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영역에 있어서의 PLL회로(142)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스핀들모터(68)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5와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44), (145)는 셀렉터, (146)은 PLL회로, (147)은 프리피트영역 및 데이타영역을 판별하여 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식별신호 생성회로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걸려 재생신호를 리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광자기헤드(105)의 출력신호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 입력되어 데이타의 등화나 이진화의 처리가 실행되고,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 입력된다. 여기서,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동기신호가 검출된다.
한편,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에서 셀렉터(144)에 프리피트영역이 재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가 선택되어 식별신호 생성회로(147)로 출력된다. 이 식별신호 생성회로(147)의 출력은 셀렉터(145)에 입력되고, 셀렉터(145)에서는 프리피트영역일 때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으로부터의 재생신호가 PLL회로(146)에 입력되는 쪽에 접속되고, 또 프리피트영역 이외에서는 워블신호가 선택된다.
다음에, PLL회로(146)에서는 프리피트영역에서는 재생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되고, 그 이외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는 PLL회로(14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의 동기신호의 간격이 계측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만일 소정클럭수가 아닐 때에는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가 재생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146)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또, 소정 클럭수일 때에는 위상동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검출결과가 셀렉터(144)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위상동기인 경우에는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PLL회로(146)의 출력클럭에서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에 따라 생성된 프리피트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셀렉터(144)에 의해 선택되어 식별신호 생성회로(147)에 입력된다. 따라서, PLL회로(146)에는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106)으로부터의 프리피트영역이 재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라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로부터의 프리피트영역의 동기신호에 따라 생성된 프리피트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입력되고, 재생신호와 동기한 것 보다 정확한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이 때문에, PLL회로(146)에서는 위상동기하고 있다는 것의 검출결과가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출력되고, 이 후 판별신호에 의해서 프리피트영역의 재생신호가 보다 정확하게 입력되고,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되어 출력되고,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 입력되므로, 데이타가 모두 리드되게 된다. 단, 데이타기록동작의 경우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43)에서 프리피트영역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기간은 셀렉터(145)에서는 워블신호가 선택되므로, PLL회로(146)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이 생성된다.
한편, 상기 판별신호는 기록신호 처리회로(136)에도 입력되고, 프리피트영역의 데이타리드에 의해서 소정의 어드레스인 것을 알 수 있으면, 이 판별신호에서 데이타영역을 나타내는 신호도 생성되고, 이 데이타영역일 때 기록신호 처리회로(136)에서 기록데이타가 리드된다. 이 기록데이타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리드된다. 단,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검출신호가 출력되면, 기록데이타의 리드는 실행되지 않고 기록이 정지된다.
이하, 주파수비교기(111)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47)의 출력과 PLL회로(146)의 출력이 입력되고, 위상비교기(112)에는 식별신호 생성회로(146)의 출력과 워블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PLL회로(146)출력의 클럭의 위상동기가 검출될 때에는 연산기(114)의 출력이 셀렉터(63)에 의해 선택되고, 그리고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에서 스핀들모터(119)는 CLV제어된다. 또,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107)에서 위상동기가 검출되지 않을 때에는 펄스생성기(120)을 기준으로 한 CAV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이상과 같이 동작하므로, 프리피트영역에서는 프리피트데이타와 위상동기한 클럭, 그 밖의 영역에서는 워블신호와 위상동기한 클럭과 같이 하나의 PLL회로에서 각각 위상동기클럭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영역에 있어서의 PLL회로(146)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한 스핀들모터(120)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48)은 복조회로, (149)는 메모리인터페이스, (150)은 메모리, (151)은 에러정정회로, (152)는 메모리리드후의 디지탈신호 처리회로, (153)은 메모리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 (154)는 메모리리드용 어드레스카운터, (155)는 어드레스카운터(153)과 어드레스카운터(154)의 카운트값차를 검출하는 검출회로, (156)은 검출회로(156)에서 카운트차가 발생했을 때 주파수비교기(7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 PLL회로(56)의 출력클럭에서 리드된 데이타는 복조회로(148)에 입력되고, 복조처리(DVD에서는 16 → 8비트복조)되고, 메모리인터페이스(149)를 거쳐서 메모리(150)에 라이트된다. 이 때의 라이트어드레스는 어드레스카운터(153)에서 메모리(150)에 인가된다. 이 어드레스카운터(153)은 데이타의 소정단위마다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 출력되는 동기클럭(또는 그 밖에 동기클럭을 분주한 클럭,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의 분주클럭에서 동기클럭과 위상동기한 것이어도 좋다)에서 갱신된다.
다음에, 메모리(150)에 라이트된 데이타는 에러정정회로(151)에 의해 에러검출, 정정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정정된다. 그리고, 정정후의 데이타는 메모리(150)에서 수정발진기 등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리드되고, 후단의 디지탈신호 처리회로(152)로 보내져 처리된다. 이 때, 리드어드레스는 어드레스카운터(154)에서 메모리에 인가된다. 이 어드레스카운터(154)는 데이타의 소정 단위마다 분주기(77)에서 출력되는 기준클럭(또는 그 밖에 기준클럭을 분주한 클럭, 수정발진기 등에 의해 생성된 클럭의 분주클럭에서 기준클럭과 위상동기한 것이어도 좋다)에서 갱신된다.
상기 동작에 있어서,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153)과 리드용 어드레스카운터(154)의 카운트값은 각각 검출회로(155)에 입력된다. 여기서, 라이트용 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클럭을 동기클럭, 리드용 카운터의 카운트클럭을 기준클럭으로 하고, 각각 클럭의 양 에지에서 갱신되도록 한 경우, 위상비교기(76)에 의해 완전히 동기클럭과 기준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출회로(155)에 있어서의 카운트값차는 항상 일정하고, 메모리(150)상에서 리드어드레스와 라이트어드레스가 중첩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된다.
그런데, 프리피트영역 검출회로(53)과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 쌍방에서 PLL회로(54)와 (56)의 출력클럭의 위상동기가 검출되고 연산기(78)의 출력이 선택되어 스핀들모터(68)이 CLV제어되고 있을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때가 있다. 즉, 디스크(50)의 재생상태나 스핀들모터(68)의 회전변동 등에 따라서 아날로그신호 처리회로(52)에 있어서의 파형등화나 이진화시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10에 있어서 재생신호(160)이 얻어질 때에는 이진화되어 도 10의 (a)로 되지만, 재생신호(161)의 경우에는 도 10의 (b)로 되어 2T의 구간이 발생해 버린다. 도 10의 (b)의 경우에는 PLL회로(56)이 위상동기하고 있고, 그의 주기가 T일 때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는 데이타가 2T로서 리드되어 데이타에러로 된다.
또, 도 10의 (b)에 있어서는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는 동기신호에서 다음의 동기신호까지의 간격이 3T → 2T로 된 분만큼 짧아진 것으로 된다. 따라서, 주파수비교기(75)나 위상비교기(76)에는 오차가 발생하지만, 통상은 1T정도의 약간의 오차는 저역필터(64)에 의해서 무시(커트)되어 스핀들모터(68)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또, 저역필터(64)를 통과하지 않더라도 스핀들모터(68)의 제어대역자체는 그다지 높지 않으므로 무시된다. 그런데, 도 10의 (b)와 같은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오차가 축적되면 위상비교기(76)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
도 11에 있어서, 분주기(77)의 기준클럭출력을 도 11의 (a)로 하면, 통상 오차가 적은 상태에서는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의 동기클럭출력은 도 11의 (b)이지만, 어느 정도 커지면 도 11의 (c)로 된다. 여기서, 기준클럭(a)에 대해서 1/2클럭의 위상오차가 발생하면, 신호(a)의 상승에지에서 본 오차e와 신호(b)의 하강에지에서 본 오차f가 동일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호(c)는 신호(a)의 상승과 하강중 어느 한쪽의 방향에서도 위상보정이 걸린다. 최악의 경우, 도 11의 (d)의 상태에서 위상동기하면, 검출회로(155)에서 「일정값 + 1」카운트분의 카운트값차가 발생한다.
상기 도 11의 (d)의 상태에서 일단 위상동기하면, 위상비교기(76)의 오차신호는 없어지고, 또 비록 오차가 발생해도 그 오차를 없애는 쪽으로 스핀들모터(68)이 제어되기 때문에, 도 11의 (d)의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 때문에, 검출회로(155)의 카운트값차는 「일정값 + 1」카운트분의 카운트값으로 되는 상태가 계속된다. 다음에, 재차 도 10의 (b)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고 도 11의 (d)에 대해서 도 11의 (a)로는 되지 않고, 도 11의 (e)와 같이 위상동기하면 검출회로(155)의 카운트값차는 더욱 확대되고, 「일정값 + 2」카운트분의 카운트값으로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카운트값차가 확대되고 메모리(150)의 허용량을 초과하면 최악의 경우,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과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의 값이 동일하게 되고, 리드중의 데이타를 라이트데이타에 의해 소거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회로(156)은 검출회로(155)에서 상기 일정값보다 카운트값차가 확대했을 때 주파수비교기(75)의 비교오차신호에 소정값을 가산 또는 감산하는 신호를 출력시키고, PWM신호생성회로(65)를 거쳐서 앰프(67)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에 대한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값차가 감소했을 때, 주파수비교기(75)에 있어서 비교오차신호에 소정값을 가산(분주기(77)의 출력클럭 1주기마다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을 계측하여 비교오차신호를 생성하고 있는 경우, 계측된 클럭수값에 가산한다. 이 경우, 가산에 의해서 디스크(50)이 보다 빠르게 회전한 것과 동등한 상태로 된다)하고, 앰프(67)에 대해서 스핀들모터(68)을 감속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크(50)은 감속되고 재생신호에서 검출된 동기클럭에서 카운트되는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속도가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의 카운트속도보다 느리게 되고, 검출회로(155)의 카운트값차가 증대하도록 제어된다.
또, 제어회로(156)은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에 대한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값차가 증대했을 때, 주파수비교기(75)에 있어서 비교오차신호에 소정값을 감산(분주기(77)의 출력클럭 1주기마다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을 계측하여 비교오차신호를 생성하고 있는 경우, 계측된 클럭수값에 감산한다. 이 경우, 감산에 의해서 디스크(50)이 보다 느리게 회전한 것과 동등한 상태로 된다)하고, 앰프(67)에 대해서 스핀들모터(68)을 가속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디스크(50)은 가속되고 재생신호에서 검출된 동기클럭에서 카운트되는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속도가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의 카운트속도보다 빠르게 되고, 검출회로(155)의 카운트값차가 감소하도록 제어된다.
이상의 제어동작은 제어회로(156)의 동작의 1예이다. 일반적으로는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에 대한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의 카운트값차가 변화한 것이 검출회로(155)에서 검출하면, 제어회로(156)은 주파수비교기(75)의 구성에 의해서 적절히 비교기오차신호에 소정값을 가산 또는 감산시켜서 스핀들모터(68)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고, 상기 카운트값차가 항상 일정값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서,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과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의 값차가 확대하고, 라이트어드레스카운터(153)과 리드어드레스카운터(154)의 값이 동일하게 되고, 리드중의 데이타를 라이트데이타에 의해 소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시예 7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62)는 스핀들모터(68)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 (163)은 검출기(162)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브레이크펄스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서 검출된 동기신호의 간격이 계측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일 때, 즉 통상의 재생상태에 있을 때 도 4에 도시한 BRAKE(101)로 진행해서 디스크(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BRAKE(101)로 되면 분주기(77)에 의해 분주된 기준클럭은 검출기(162)에 입력되고, 또 PLL회로(56)에서 생성된 클럭도 입력되고 그리고 주파수비교기(75)와 마찬가지로 기준클럭의 소정주기마다 PLL회로(56)의 생성클럭수가 계측된다. 다음에, 생성클럭수가 소정값 이하(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으면 일정값을 취하지만 회전속도가 저하하면 생성클럭수도 감소한다), 예를 들면 2/3회전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가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163)으로 출력된다. 단, 검출기(162)가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값에는 PLL회로(56)이 위상동기할 수 있는 범위에서 통상 선속도일정회전시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값이 선택된다.
한편,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163)에서는 BRAKE(101)로 되고 나서 검출기(162)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계측된다. 그리고, BRAKE(101)로 되면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163)은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하고, 셀렉터(66)은 이 브레이크펄스를 선택해서 저역필터(64), 구동앰프(67)을 거쳐서 스핀들모터(68)에 인가하므로 디스크(50)의 회전이 감속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163)은 상기 계측시간에 소정의 시간을 더한 시간 동안(계측값에서 디스크(50)이 정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한 후, 출력을 정지하므로 디스크(50)은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도 13에 상기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163)의 1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64)는 셀렉터, (165)는 업다운카운터, (166)은 플립플롭, (167)은 올O검출회로, (168)은 플립플롭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시간계측은 분주기(77)의 기준클럭 또는 기준신호에 의해 계측한다. 우선, BRAKE(101)로 되면 플립플롭(168)이 세트되고 브레이크펄스가 출력된다. 또, 업다운카운터(165)는 리세트되고, 플립플롭(166)이 세트됨과 동시에 셀렉터(164)에 의해서 기준클럭 또는 기준신호가 업다운카운터(165)의 업카운트측에 입력되고, 상기 검출기(162)에서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카운트된다. 여기서, 검출기(162)는 디스크(50)이 상기와 같이 2/3회전으로 되면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셀렉터(164)에 의해서 상기 기준클럭 또는 기준신호가 업다운카운터(165)의 다운카운터측으로 전환된다. 이 때, 다운카운트에 의해서 빌림수(borrow)출력(카운터가 다운카운트되고, 리세트값 0을 초과하면 빌림수가 나온다)이 출력되고, 다음 단의 플립플롭(166)에 클럭입력되고 그 출력은 0(리세트상태)으로 된다. 그 후, 업다운카운터(165)는 계속 다운카운트되고, 리세트값 0으로 되면 올0검출회로(167)은 앞의 플립플롭(166)이 0이므로 플립플롭(168)을 리세트한다. 따라서, 브레이크펄스출력은 이 시점에서 해제된다.
결국, 상기 구성에서는 플립플롭(166)이 업다운카운터(165)의 다운카운트를 1비트분 즉 2배 확장하도록 동작하므로, 업다운카운터(165)의 업카운트시간의 2배 다운카운트된 시점에서 올0검출회로(167)에서 리세트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업카운트시간이 디스크회전 2/3로 되는 시간으로 하면, 올0검출회로(167)에서 리세트신호가 출력된 시점에서 디스크(50)이 정지하게 되고 여기서 브레이크펄스가 해제되어 역회전이 방지된다.
실시예 8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디스크회전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각각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69)는 스핀들모터(68)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A, (170)은 디스크회전수검출기A(169)의 검출결과에 따라 브레이크펄스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 (171)은 스핀들모터(68)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B, (172)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B(171)의 검출결과에 따라 브레이크펄스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 (173)은 스핀들모터(68)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C, (174)는 디스크회전수검출기C(173)의 검출결과에 따라 브레이크펄스를 발생하는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 (175)는 셀렉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데이타영역 검출회로(55)에 의해 검출된 동기신호의 간격이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계측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일 때 즉 통상의 재생상태에 있을 때, 도 4에 도시한 BRAKE(101)로 진행해서 디스크(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BRAKE(101)로 되면 분주기(77)에 의해 분주된 기준클럭은 검출기A(169)에 입력되고, 또 PLL회로(56)에서 생성된 클럭도 입력되고 그리고 주파수비교기(75)와 마찬가지로 기준클럭의 소정주기마다 PLL회로(56)의 생성클럭수가 계측된다. 다음에, 생성클럭수가 소정값 이하(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다면 일정값을 취하지만, 회전속도가 저하하면 생성클럭수도 감소한다), 예를 들면 2/3회전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가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으로 출력된다. 단, 검출기A(169)가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값으로는 PLL회로(56)이 위상동기할 수 있는 범위에서 통상 선속도일정회전시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값이 선택된다.
한편,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에서는 BRAKE(101)로 되고 나서 검출기A(169)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가지의 시간이 계측된다. 그리고, BRAKE(101)로 되면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은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하고, 셀렉터(175) 및 셀렉터(66)에서는 이것을 선택해서 저역필터(64), 앰프(67)을 거쳐서 스핀들모터(68)에 인가하므로, 디스크(50)의 회전은 감속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은 상기 계측시간에 소정의 시간을 더한 시간 동안(계측값에서 디스크(50)이 정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한 후 출력을 정지하므로, 디스크(50)은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다음에, 상기 처리에 있어서 동기신호의 간격이 PLL회로(56)에 의해 생성된 클럭에서 계측되고, 임의의 동기신호가 검출되고 나서 다음의 동기신호검출까지의 기간이 소정의 클럭수인지의 여부의 체크(89)가 이루어졌을 때, 만일 소정클럭수가 아니고 데이타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PLL회로(56)의 출력클럭이 위상동기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워블신호에 의한 스핀들모터(68)의 제어가 실행되고, 도 4에 도시한 WOBBLE AFC(97)로 진행한다. 이 때에는 BRAKE(101)로 되면 분주기(73)에 의해 분주된 기준클럭이 검출기B(171)에 입력되고 또 PLL회로(70)에 의해 생성된 클럭이 입력되고, 주파수비교기(71)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준클럭의 소정주기마다 PLL회로(70)의 생성클럭수가 계측된다. 다음에, 생성클럭수가 소정값 이하(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다면 일정값을 취하지만, 회전속도가 저하하면 생성클럭수도 감소한다), 예를 들면 2/3회전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가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172)로 출력된다. 단, 검출기B(171)이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값으로는 PLL회로(70)이 위상동기할 수 있는 범위에서 통상 선속도일정회전시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값이 선택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172)에서는 BRAKE(101)로 되고 나서 검출기B(171)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계측된다. 이 때, BRAKE(101)로 되면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172)는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하고, 셀렉터(175) 및 셀렉터(66)은 이것을 선택해서 저역필터(64), 앰프(67)을 거쳐서 스핀들모터(68)에 인가하므로 디스크(50)의 회전은 감속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172)는 상기 계측시간에 소정의 시간을 더한 시간 동안(계측값에서 디스크(50)이 정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한 후 출력을 정지하므로, 디스크(50)은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다음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나 있어 워블신호를 정상적으로 리드할 수 없는 경우, 펄스생성기(58)을 사용한 스핀들제어가 실행되고, 도 4에 도시한 FG AFC(85) 또는 FG APC(87)일 때 BRAKE(101)로 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분주기(61)에 의해 분주된 기준클럭이 검출기C(173)에 입력되고 또 펄스생성기(58)에서 생성된 펄스가 입력되고, 주파수비교기(59)와 마찬가지로 기준클럭의 소정주기마다 펄스생성기(58)의 생성펄스수가 계측된다. 다음에, 생성펄스수가 소정값 이하(선속도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다면 일정값을 취하지만, 회전속도가 저하하면 생성펄스수도 감소한다), 예를 들면 2/3회전 이하로 되었을 때 검출신호가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174)로 출력된다. 단, 검출기C(173)이 검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값으로는 통상 각속도일정회전시보다 낮은 회전수로 회전하고 있을 때의 값이 선택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174)에서는 BRAKE(101)로 되고나서 검출기C(173)에서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이 계측된다. 그리고, BRAKE(101)로 되면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174)는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하고, 셀렉터(175) 및 셀렉터(66)은 이것을 선택해서 저역필터(64), 앰프(67)을 거쳐서 스핀들모터(68)에 인가하므로 디스크(50)의 회전은 감속한다. 그리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174)는 계측시간에 소정의 시간을 더한 시간 동안(계측값에서 디스크(50)이 정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브레이크펄스를 출력한 후 출력을 정지하므로, 디스크(50)은 역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이상의 제어동작에 있어서 통상의 재생상태에 있을 때, 검출기A(169), 검출기B(171) 및 검출기C(173)은 BRAKE(101)로 되면 모두 동작하고,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 B(172) 및 C(174)에서 각각 브레이크펄스가 출력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때에는 셀렉터(175)에 의해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의 출력이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브레이크동작중에 PLL회로(56)의 위상동기가 어긋나고, 검출기A(169)에 의해 생성클럭수를 계측해도 위상은 어긋남때문에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을 때에는 위상은 어긋남시점에서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B(172)의 출력으로 전환되므로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 마찬가지로, 브레이크동작중에 포커스 또는 트랙서보가 어긋났을 경우에는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C(174)의 출력으로 전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셀렉터(175)에 의해서 재생상태에 따라 적절히 브레이크펄스 발생회로A(170), B(172) 및 C(174)의 출력이 전환되므로, 정확하게 디스크를 정지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