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4346A - 배수구를 가진 봉지 - Google Patents

배수구를 가진 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346A
KR19980064346A KR1019970070600A KR19970070600A KR19980064346A KR 19980064346 A KR19980064346 A KR 19980064346A KR 1019970070600 A KR1019970070600 A KR 1019970070600A KR 19970070600 A KR19970070600 A KR 19970070600A KR 19980064346 A KR19980064346 A KR 1998006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ag
fusion
open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303B1 (ko
Inventor
오자와레츠
Original Assignee
키시모토요시노리
키시모토상교코.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시모토요시노리, 키시모토상교코.엘티디. filed Critical 키시모토요시노리
Publication of KR1998006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제1, 2합성 수지 필름이 함께 용접되어 융착부(5)와, 상기 융착부(5)에 의해 둘려싸인 충진부(1)와, 배수구(2)를 포함하는 융착부(5)의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 및 내용물 충진구(4)를 구비한 합성 수지 봉지(A)를 형성한다.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에는 개구(6)가 배수구(2)를 따라 배수구(2)의 반대쪽에 각각 형성되어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에 미치는 외력이 배수구(2)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Description

배수구를 가진 봉지
본 발명은 배수구(a spout)를 가진 봉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를 가진 합성 수지 봉지의 단단한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나 겔과 같은 형태의 내용물을 담기위한 용기는 대부분이 유리, 합성 수지 및 기타 유사 물질로 만들어진 고체 형태의 용기들이었다. 최근에는 환경 보호, 효과적인 자원 이용, 폐기물 감량 및 원료 절약의 관점에서 기존의 이러한 용기는 유연한 봉지로 대체되어 왔다.
종래의 단단한 일정한 형상을 갖는 용기를 대신해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 상부를 갖는 유연한 봉지에는, 경사진 배수구가 봉지의 세로변과 윗변이 만나는 상부 모서리중 한쪽 내부에 형성되고,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모서리는 유연한 봉지에 담긴 내용물을 쏟아낼 때 잘라서 배수구를 개봉하게 된다.
유연한 봉지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간단한 형태의 유연한 봉지는 두 개의 필름(films)이 포개지고두 필름의 가장자리 네 면을 함께 융착시켜 형성되며 또는 직립형의 유연한 봉지(a self-standing flexible bag)는 대체적으로 타원형인 넓은 바닥을 가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연한 봉지는 사각형 상단의 모서리중 한쪽내에 형성된 상기와 같은 배수구를 가진다.
이러한 유연한 봉지에 내용물이 충진되고 유연한 봉지가 밀봉된 상태에서, 배수구는 유연한 봉지의 상단부를 넓게 융착한 평면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내용물이 담겨 있는 이러한 유연한 봉지가 패키지내에 포장될 때, 유연한 봉지의 평면 구조가 꺽이고 겹친 상태에서 패기지내에 적재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평면 구조가 꺽여진 채로 패키지내에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계속 눌려 있게 된다면, 평면 구조가 탄성력에 의해 원형을 되찾기 위해서는 눌려져 있던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만약 꺽여 눌린 평면 구조의 부분이 배수구에 해당한다면, 배수구를 개봉해서 내용물을 밖으로 쏟아낼 때 그 배수구는 여전히 꺽여 있거나 어떤 경우에는 망가져 있다. 만약 꺽였거나 망가진 상태의 배수구로 내용물을 배출하려고 유연한 봉지를 누르면, 내용물은 흔히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배출되어 그 내용물을 목표 위치로 쏟아낼 수 없다.
두 개의 필름을 포개고 두 개의 필름의 주위를 함께 융착시켜 형성한 유연한 봉지는 비교적 넓은 융착 부위를 갖는데, 배수구는 융착 부위 중에서 미융착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유연한 봉지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만한 압력이 유연한 봉지에 가해지지 않을 때, 미융착 부분에 해당하는 두 개의 필름의 부분은 주위의 융착 부위의 영향을 받아 서로 밀접한 상태로 있게 된다. 유연한 봉지에 압력을 가해서 배수구로 내용물을 쏟아 낼 때, 두 필름의 미융착 부분은 강제적으로 서로 떨어져서 배수구를 관형으로 형성하고, 내용물은 유연한 봉지에서 관형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내용물의 유동압에 의해 강제적으로 관형으로 팽창된 배수구는 관의 직경 방향으로 연속적인 관형의 배수구를 형성하는 벽보다 2배 두께인 융착부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융착부가 뒤틀리거나 구부러지거나 또는 꺽여진 부분과 같은 비평탄 부위를 갖는다면, 관형의 배수구를 형성하는 융착부보다 얇은 벽이 비평활 융착부에 의해 망가질 수 있고, 관형의 배수구가 완전히 망가지지 않아서 막히지 않을 때 조차도, 관형 배수구의 유효 단면이 줄어들며, 만약 배수구가 불균일하게 망가진다면, 유체 내용물은 배수구를 통해서 뒤틀려 비정상적인 형태로 흐르거나, 유체 내용물의 압력은 배수구를 통해 흐름에 따라 변한다. 결국, 유체 내용물은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배출되거나, 분사되거나 또는 예기치 않은 방향으로 분사된다.
배수구의 벽 두께가 배수구의 벽에 인접한 융착부의 두께보다 보다 얇기 때문에, 관형 배수구의 모양은 융착부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영향 받기 쉽다. 배수구의 벽이 약하기 때문에, 융착부가 약간만 변해도 관형 배수구는 심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 내용물을 밀봉할 때 변형 작용과 배수구의 융착부내에 외력이 전달되는 영향을 억제하여 배수구가 정상적인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내부에 담긴 유체 내용물을 밖으로 쏟아낼 때 배수구 주변의 융착부 영역의 구조 특성상 생기는 변형 작용을 무력화하여 배수구를 정상적인 관모양으로 형성하여 유체물을 밖으로 원활히 쏟아낼 수 있게 하는 융착부내에 형성된 배수구를 갖는 유체 내용물 밀봉용 봉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재와, 배수구를 형성하는 융착부와 미융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부재에 부분적으로 융착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가 제공한다. 이런 봉지에 있어서, 개구(an opening)가 제1, 2부재 부위를 함께 융착하여 형성된 융착부에 있는 배수구 부근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결부된 하기 설명에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배수구를 가진 봉지의 상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봉지 필수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충진부 2. 배수구
3.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 4. 내용물 충진구
5. 융착부 6. 개구
A. 합성 수지 봉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도 1, 2를 참고하면, 배수구를 가진 합성 수지 봉지(A)는 두 개의 합성 수지 필름(부재)의 가장자리를 함께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합성 수지 봉지(A)는 충진부(a containing portion)(1) 및 충진부(1)에 연결된 배수구(2)를 가진다. 미융착부의 부분은 배수구(2)와 충진부(1)에 연결된 내용물 충진구(a filling-opening)(4)를 형성한다.
배수구(2)는 합성 수지 봉지(A)의 윗변의 일단부와 바로 그 봉지의 한쪽 세로변의 상단부에 의해 이루어진 모서리 근처에 배출단부를 가진다. 안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합성 수지 봉지(A)가 개봉되기 전의 상태에서, 배수구(2)의 배출단부는 두 개의 합성 수지 필름을 함께 융착시켜 형성된 융착부(5)에 의해 막혀있다. 배수구(2) 주위의 부분(융착된 배출 경로부)은 함께 융착되어 하나의 구조로 되어 배수구(2)를 형성한다.
배수구(2)의 배출단부를 막고 있는 융착부(5)의 일부를 잘라내서 배수구(2)를 개봉할 때 합성 수지 봉지(A)에 담긴 내용물을 적절히 쏟아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종 기술이 사용되었다. 합성 수지 봉지(A)에 담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식은 배수구(2)의 모양과 융착부(5)의 일부가 잘려서 형성된 배수구(2)의 배출단부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
잔류 내용물이 담겨 있는 합성 수지 봉지(A)가 바로 세워질 때, 융착부(5)는 배수구(2)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서로 밀착되어 간단한 덮개(cap)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간단한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다량의 잔류 내용물이 배수구(2)를 통해 합성 수지 봉지(A)에서 흘러나오는 것, 먼지가 배수구(2)를 통해서 합성 수지 봉지(A)로 들어가는 것, 그리고 잔류 내용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구(2)가 정상적인 상태라면, 배수구(2)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 수지 필름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서로 밀착되어 배수구(2)를 막을 수 있고, 융착부(5)의 일부를 잘라 배수구(2)를 개봉한 후에야 내용물이 정상적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다.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 즉, 융착부(5)의 배수구(2) 주위의 융착 부분이 정상 상태라면, 배수구(2)는 정상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출 경로 영역(3)이 곧고 평평한 판형이고, 전혀 휘지도, 접히지도, 꺽이지도, 구겨지지도 않았다면 개봉되기 전의 배수구(2)는 정상 상태이다. 한편, 배수구(2)의 유효 단면을 완전히 유통 경로로 이용할 수 있다면 개봉 후의 배수구(2)는 정상 상태이다. 배수구(2)는 합성 수지 봉지(A)의 내용물을 채우는 시간에서부터 합성 수지 봉지(A)에서 모든 물질을 배출하는 시간까지 정상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필름을 덧대거나 부가적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구(2)를 포함하는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을 정상 상태, 다시 말해 곧고 평평한 판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봉지(A)는 포개진 두 필름이 함께 융착되어 형성되는데, 여기서 융착부(5)는 소정의 미융착부를 제외하고 두 필름의 가장자리가 함께 융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소정의 미융착부는 배수구(2)에 해당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배수구(2)는 융착부(5)에 의해 둘러싸인 충진부(1)의 상부에 연결된 유입단(an inlet end) 및 융착부(5)의 일부에 의해 막힌 분출단(a spouting end)을 가진다.
배수구(2)를 세로변과 윗변이 결합된 합성 수지 봉지(A)의 모서리중 하나에 형성된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에 형성하여, 분출단이 모서리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은 융착부(5)의 일부이다. 개구(6)는 배수구(2) 근처의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에서 배수구와 접촉하지 않고 형성된다.
배수구(2)의 반대 측에 각각 두 개의 개구(6)를 형성함으로써, 합성 수지 봉지(A)의 하나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은 부분 상측, 부분 수직측, 중앙에 위치한 배수구(2)를 포함한 부분 경로 영역으로 구성된 세 구간으로 나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6)는 배수구(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은 배수구(2) 근처에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개구(6)는 배수구(2)와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이 정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배수구(2) 주위의 융착부(5)의 좁은 부분과 배수구(2) 자체가 곧은 형태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배수구(2)의 내구성이 좀 약하다면, 배수구(2)는 가해진 외압으로 휘게 된다. 외압은 대개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윗변이나 세로변 또는 모서리에 가해지고, 드물게는 두 필름중 한 면에서 부터 모서리 근처 부분으로는 가해진다. 만약 외부 힘이 위와 같이 가해진다면, 배수구(2) 주위의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은 쉽게 휘거나, 꺽이거나, 접히거나, 뒤틀리게 될 수 있다.
외압이 배수구(2)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개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변 부분이나 모서리에 작용한다. 만약 융착된 배출 경로(3)의 변 부분이나 모서리가 뒤틀리게 되면, 뒤틀린 부분의 변형이 배수구(2)에 전파되어 간접적으로 배수구(2)를 변형시키게 된다. 배수구(2)가 정상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은 배수구(2)에 변형이 전파되는 것이 단절됨으로써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배수구(2)를 막고 있는 융착부(5)의 부분을 자른 후, 충진부(1)를 눌러 충진부(1)에 담긴 내용물을 배수구(2)를 통해 쏟아낸다.
배수구(2)는 유동물의 압력에 의해 관형으로 팽창된다. 유체 내용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관형 배수구(2)의 단면적은 완전한 유효 단면적에 가까워 진다. 배수구(2)를 형성하는 벽의 두께, 즉, 필름의 두께는 배수구(2) 주위의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절반이고, 배수구(2)의 모양은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변형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 만약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이 손상되거나. 휘거나. 꺽이거나 또는 접히게 되면, 관형 배수구(2)의 모양은 변형될 것이고 관형 배수구(2)는 완전한 유효 단면적으로 팽창되지 않을 것이다. 최악의 경우에, 배수구(2)는 막히거나 손상되거나 또는 작은 단면적에 의해 압축되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게 된다. 개구(6)는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에서 배수구(2)의 근처에 형성되어,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일부 변형이 배수구(2)로 전파되는 것을 개구(6)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배수구(2)는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2)는 단단한 파이프의 형태로 배수구(2)를 통해 배출된 물질에 의해 팽창될 수 있고,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의 일부 변형에 영향을 받지 않게되어, 결국, 물질은 배수구(2)를 통해 충진부(1)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정상적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게 된다.
배수구(2)가 막혀 내용물이 배수구(2)를 통과하지 않을 때 조차도, 개구(6)의변형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배수구(2)는 영역(3)의 일부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필름을 덧대거나 부가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구(2)를 포함한 융착된 배출 경로 영역(3)을 정상 상태, 즉, 곧고, 평평한 판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하게 바람직한 형태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화, 개조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범위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한 명세서내에 상세히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2)

  1.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융착부 및 배수구를 형성하는 미융착부를 형성하는 제2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배수구의 부근의 상기 제1, 2부재의 융착부내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재는 유연한 평면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재는 합성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재는 같은 모양과 같은 면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재의 대응하는 가장자리가 함께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부재 모두는 장방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를 포함하는 융착부는 상기 제1, 2부재의 대응하는 모서리 부분을 함께 융착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9. 제 1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중 하나는 배수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중 다른 하나는 배수구의 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배수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융착부의 일부가 배수구에 연결된 충진부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융착부의 일부가 상기 배수구와 충진부에 연결된 내용물 충진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를 가진 봉지.
KR1019970070600A 1996-12-18 1997-12-19 배수구를가진봉지 KR100299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187/1996 1996-12-18
JP8354187A JP2889543B2 (ja) 1996-12-18 1996-12-18 注ぎ出し口を有する合成樹脂フィルム製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346A true KR19980064346A (ko) 1998-10-07
KR100299303B1 KR100299303B1 (ko) 2002-08-09

Family

ID=1843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600A KR100299303B1 (ko) 1996-12-18 1997-12-19 배수구를가진봉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889543B2 (ko)
KR (1) KR100299303B1 (ko)
CN (1) CN1070807C (ko)
HK (1) HK1010862A1 (ko)
MY (1) MY120715A (ko)
SG (1) SG83674A1 (ko)
TW (1) TW3620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7598B2 (ja) * 2000-11-22 2011-04-13 カウパック株式会社 流体包装袋
AU2003256134A1 (en) * 2002-12-18 2004-07-09 Jung-Min Lee Pouch container with spou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11102B2 (en) 2006-04-17 2009-11-03 Pouch Pac Innovations, Llc Holder with integral gripper for transporting a flexible pouch during manufacturing
US8573445B2 (en) 2006-04-28 2013-11-0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a tube spout fitment and flexible sleeve
US8083102B2 (en) 2006-04-28 2011-12-27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a tube spout fitment and flexible sleeve
US7661560B2 (en) 2006-04-28 2010-02-16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a tamper-evident outer cap fitment and method of forming
WO2008057937A2 (en) 2006-11-01 2008-05-15 Pouch Pac Innov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 flexible pouch using opening fingers
US8562274B2 (en) 2006-11-29 2013-10-22 Pouch Pac Innovations, Llc Load smart system for continuous loading of a pouch into a fill-seal machine
AU2018338124B2 (en) * 2017-09-25 2021-05-20 Colgate-Palmolive Company Self-sealing dosepa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2593D0 (en) * 1985-09-12 1985-10-16 Schering Chemicals Ltd Sachets
US4978232A (en) * 1990-02-12 1990-12-18 Colgate-Palmolive Co. Flexible pouch with folded spout
CH686777A5 (de) * 1993-08-25 1996-06-28 Ivers Lee Ag Beutel.
JP2678900B2 (ja) * 1994-09-20 1997-11-19 株式会社進洋 密封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9543B2 (ja) 1999-05-10
JPH10175649A (ja) 1998-06-30
HK1010862A1 (en) 1999-07-02
KR100299303B1 (ko) 2002-08-09
CN1070807C (zh) 2001-09-12
SG83674A1 (en) 2001-10-16
TW362085B (en) 1999-06-21
CN1189432A (zh) 1998-08-05
MY120715A (en)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7752B2 (ja)
EP1783061B1 (en) Liquid spouting nozzle with a packaging bag
RU2263615C2 (ru)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упаковки для жидкого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пленочный пакет
KR100299303B1 (ko) 배수구를가진봉지
EP0505388A1 (en) IMPROVED MONOBLOCK POURING SPOUT SEALED ON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S OF A SEALED BOX.
CN114981178A (zh) 用于包装的壶嘴、用于包装的盖与壶嘴组件和具有壶嘴的包装
KR20020093634A (ko) 액체 또는 페이스트-유사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용밀폐 요소
JP2008133003A (ja) 詰替え用袋
JP5226939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3046402B2 (ja) 包装容器
JP4077720B2 (ja) 包装構造体
JP2000079952A (ja) 注出機能付き包装袋
JPH11314652A (ja) 液体包装容器
JP2897978B2 (ja) 注ぎ出し口を有する合成樹脂フィルム製袋
JP4154778B2 (ja) 包装袋
US6196281B1 (en) Fluid transfer system for photoprocessing materials
JP3757631B2 (ja) 液体包装容器
JP5227450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H11310276A (ja) 液体用包装容器
US6213324B1 (en) Photochemical frangible closure
JP2000289754A (ja) ガセット包装袋
JP2025011391A (ja) 口栓溶着方法
JP3323796B2 (ja) 詰替え袋
EP0811561A1 (en) Multi-use controlled dosage sachet for liquid products
US6213322B1 (en) Container for photoprocess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