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80064007A -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007A
KR19980064007A KR1019970067508A KR19970067508A KR19980064007A KR 19980064007 A KR19980064007 A KR 19980064007A KR 1019970067508 A KR1019970067508 A KR 1019970067508A KR 19970067508 A KR19970067508 A KR 19970067508A KR 19980064007 A KR19980064007 A KR 19980064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fender
motorcycle
hole
holes
col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842B1 (ko
Inventor
도모야스 모토지마
세이지 하나후사
히토시 스즈키
유지 츠지모토
다다시 스가노
다카유키 모리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518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390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518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84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기켄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5/00Mud-guards for wheels
    • B62J15/02Fastening means; St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어 펜더 장착구조는 리어 펜더, 서브프레임 및 그랩 레일을 오토바이의 리어 프레임으로 조립하는 것을 단순화한 특성을 지닌다. 서브프레임 상에는 브래킷이 용접되어 있다. 브래킷은 구멍을 한정하는 돌출형 칼라를 갖춘 구멍을 구비한다. 리어 펜더는 러버 부싱에 정렬된 구멍을 갖추고 있다. 돌출형 칼라는 러버 부싱에 끼워 맞춰진다. 리어 펜더는 오토바이 프레임의 크로스바에 대하여 훅되는 브래킷을 구비한다. 리어 펜더는 브래킷을 크로스바를 중심으로 피벗함으로써 후단부로부터 리프팅된다. 브래킷 구멍과 리어 프레임의 구멍이 일렬로 정렬될 때에, 이들로부터 뻗어 있는 볼트를 구비한 연결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볼트는 위치정렬된 구멍을 통과한다. 다음에, 그랩 레일의 구멍은 볼트의 단부와 용이하게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너트는 배치상태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백 레스트 장착구조는 백 레스트를 그랩 레일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백 레스트의 진동을 댐핑하고 오토바이 외관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백 레스트 지지부재의 하부는 상하부 러버부재 사이에 삽입된다. 백 레스트 지지부재의 하부는 그랩 레일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45각도로 경사져서 그랩 레일의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본 발명은 리어 펜더 장착구조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공평 4-37033호의 공보에는 차체 프레임의 후부에 지지된 리어 펜더를 구비하는 오토바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펜더는 운전자용 시트의 후방으로 뻗어 있다. 리어 펜더의 좌우측부에 그랩(grab)레일이 장착되어 있다. 동승자용 시트는 리어 펜더에 배치되어 있고, 백 레스트는 동승자용 시트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어 펜더를 장착함에 있어서, 리어 펜더를 차체 프레임 후부와 그랩 레일 사이에 유지시키고, 차체 프레임 후부를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시키며, 그랩 레일을 리어 펜더의 외측에 배치시킨다. 볼트를 그랩 레일을 통과시킨 후 리어 펜더의 측부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시켜서 볼트의 선단부를 차체 프레임 후부에 미리 용접된 너트로 나사 맞물림시킨다. 그리하여, 리어 펜더는 차체 프레임 후부에 단단하게 지지된다.
또 다른 종래의 리어 펜더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은 리어 펜더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서브프레임은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리어 펜더의 외측에 배치된 차체 프레임 일부가 외관상으로 드러난다.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된 서브프레임은 테일라이트 및 머드 가드를 지지한다.
종래의 리어 펜더 장착구조에 의해서는 리어 펜더를 오토바이에 장착하기가 어렵다. 볼트를 위치정렬된 구멍을 통과하여 볼트의 단부상에 너트를 나사결합하면서 관련된 장착 구멍 전체를 위치정렬시키는 것이 아주 불편하다. 종래의 펜더 장착구조에 의하면, 오토바이에 리어 펜더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지연을 초래하여 아마도 이 작업을 이행하는데 1인 이상의 작업자의 노동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오토바이에 리어 펜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단순화된 리어 펜더 장착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일본국 실공평 4-37033호의 공보에는 백 레스트를 지지하는 백 레스트 지지 브래킷을 갖춘 오토바이가 개시되어 있다. 백 레스트 지지브래킷은 백 레스트의 좌우측부로부터 하향으로 뻗어 있다. 백 레스트 지지브래킷의 하단부는 그랩 레일의 후단부에 연속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의해, 백 레스트는 그랩 레일이 차체 프레임에 부착될 때에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백 레스트 지지구조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승자는 주행시에 백 레스트 지지 브래킷을 잡을 수 있다. 백 레스트 지지브래킷이 그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엔진의 진동은 동승자의 손에 전달된다.
기타 종래의 오토바이에 있어서는, 백 레스트 지지 브래킷은 그랩 레일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백 레스트 지지브래킷은 볼트 등을 사용하여 오토바이의 차체 측부 프레임 부재 또는 스테이에 고정된 하단부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구조에 의해 오토바이의 외관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부재 또는 스테이 구멍을 형성시켜야 한다.
따라서, 오토바이에 백 레스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고 오토바이 엔진에서 백 레스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댐핑할 수 있는 단순화된 백 레스트 장착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오토바이 펜더 및 백 레스트를 장착하기 위한 개선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갖춘 오토바이 프레임,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리어 펜더,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인접 배치된 크랩 레일 및 상기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구비하는 오토바이의 리어 펜더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리어 펜더에 프리어셈블리되어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 및 그랩 레일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펜더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갖춘 오토바이 프레임을 장착하는 단계, 리어 펜더, 서브 프레임 및 그랩 레일을 장착하는 단계, 서브프레임을 리어 펜더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서브프레임을 리어 펜더에 부착하여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 리어 펜더 프리 어셈블리를 좌우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그랩 레일을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펜더를 오토바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백 레스트, 각각 상기 백 레스트의 좌우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는 좌우측 지지부재, 오토바이프레임, 각각 상기 오토바이 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오토바이 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되는 대략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측 그랩 레일, 상기 좌우측 그랩 레일의 대략 u자형 단면의 내측에 배치된 좌우측 장착 플레이트, 및 각각 좌우측 지지부재에 형성되고 그 우측 하단부가 제1패스너에 의해 상기 우측 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좌측 하단부가 제2패스너에 의해 상기 좌측 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좌우측 하단부를 구비하는 오토바이의 백 레지스트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응용성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지만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예로서만 주어지며, 본 발명의 범위 및 의도내에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숙련공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오토바이 전체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토바이 전체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어 펜더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리어 펜더 장착구조를 예시하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백 레스트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백 레스트 장착구조를 예시하는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 프레임14:리어 스테이
16:그랩 레일18:서브 프레임
39:백 레스트41:리어 펜더
62;162:브래킷170:완충부재
171;173:러버부재
본 발명은 예로서만 주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오토바이가 도시되어 있다. 오토바이는 전륜(1)을 지지하는 프런트 포크(2)를 구비하고 있다. 프런트 포크는 하부 브리지(3) 및 상부 브리지(4)를 갖추고 있다. 프런트 포크(2)는 하부 브리지(3) 및 상부 브리지(4)와 상호작용하는 헤드 파이프(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어 있다. 핸들 바(6)는 상부 브리지(4)상에 장착되어, 상부 브리지(4)에 대하여 후방으로 배치된 그립(7)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5)는 주 프레임(10)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주 프레임(10)은 오토바이의 세로방향으로 뻗어있다. 좌우측 다운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5)의 하부의 좌우측부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다. 좌우측 다운 프레임(11)의 하부는 각각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속되어 좌우측 하부 프레임(12)을 형성한다. 좌우측 하부 프레임(12)은 세로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다.
좌우측 피벗 프레임(13)은 주 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뻗어 있다. 좌우측 피벗 프레임(13)은 좌우측 다운 프레임(11)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뻗어있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는 연속적으로 좌우측 하부 프레임(12)의 후단부로부터 상향 및 후방으로 경사지게 뻗어있다. 좌우측 피벗 프레임(13)의 하단부는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좌우측 시트 레일(15)은 주 프레임(10)의 후단부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후방으로 뻗어있다. 좌우측 시트 레일(15)의 후부는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상부와 접속되어 있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는 좌우측 시트 레일(15)에 접속된 상부 근처에서 구부러져 있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는 좌우측 시트 레일(15)에 접속된 상부 근처에서 구부려서 대략 수평으로 뻗어 있다.
각각의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외측면은 각각 좌우측 그랩 레일(16)으로 커버되어 있고, 좌우측 그랩 레일(16)은 장착부(17)에서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에 장착되어 있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후단부는 후술되는 서브프레임(18)의 한 쌍의 좌우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좌우측 리어 블링커(19)는 그랩 레일(16)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주 프레임(10), 다운 프레임(11), 하부 프레임(12), 피벗 프레임(13), 시트 레일(15) 및 리어 스테이(14)는 차체 프레임을 구성한다. 차체 프레임의 전부측은 주 프레임(10), 다운 프레임(11), 하부 프레임(12) 및 시트 레일(15)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의 전부측은 엔진(20)이 지지되어 있는 크레이들형 프레임 구조를 이룬다.
흡입공기는 카뷰레터(21)를 통해 엔진(20)에 공급된다. 카뷰레터(21)는 사이드 커버(22)의 뒤쪽에 배치된 에어 클리너로부터 흡기한다. 배기가스는 배기관(23)을 통해 머플러(24)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기된다.
스프로킷(30)은 후륜(29)과 동축상으로 장착되어, 체인(28)을 통해 엔진(20)의 드라이브 기어(27)에 의해 구동된다.
후륜(29)은 좌우측 리어 암(31)의 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측 리어 암(31)의 전단부는 피벗부(32)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벗부(32)는 피벗 프레임(13)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 댐퍼(33)는 좌우측 리어 암(31)의 후단부와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상부에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연료탱크(34)는 주 프레임(10)상에 지지되어 있다. 각종 인디케이터 및 미러를 나타내는 표시부(35)는 연료탱크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운전자용 시트(36)는 연료탱크(34)의 후방에 좌우 시트 레일(15)상에 지지되어 있다.
동승자용 시트(37)는 운전자용 시트(36)의 후방에 리어 펜더(41)상에 지지되어있다. 백 레스트(39)는 동승자용 시트(37)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백 레스트 지지부재(40; 후에 더욱 충분히 기술될 것임)에 의해 백 레스트(39)가 좌우 그랩 레일(16)에 부착된다.
테일 라이트(42) 및 머드 가드(43)는 서브 프레임(1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테일 라이트(42) 및 머드 가드(43)는 리어 펜더(41)의 후단부로부터 뻗어 있다.
오토바이는 또한 프런트 스텝(45), 브레이크 페달(46) 및 시프트 페달(47)을 구비한다. 스텝 및 페달은 엔진(20)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어, 운전자가 발을 전방으로 뻗을 수 있게 승차자세를 취하게 한다.
오토바이는 사이드 스탠드(48), 리어 스텝(49), 경합금제 등의 휠(50), 브레이크 디스크(51), 브레이크 캘리퍼스(52), 프런트 펜더(53),헤드 라이트(54), 프런트 블링커(55), 혼(56) 및 엔진(20)의 상측부를 커버하기 위한 프런트 사이드 커버(57)를 구비한다.
리어 펜더 장착구도는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리어 펜더(41)의 각 측면에는 장착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60)은 세로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방진 러버 부재(61)는 각 장착구멍(60)에 끼워 맞춰져 있다.
서브 프레임(18)은 좌우측 파이프부(18a)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 브래킷(62)은 좌우측 파이프부(18a)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측 파이프부(18a)는 리어 펜더(41)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토바이의 후부 주변에는 좌우측 파이프부(18a)가 대략 U자형으로 상호연결되어 테일 라이트(42)를 지지하고 있다.
좌우측 브래킷(62)은 각각 좌우측 파이프부(18a)의 전단부 외주면에 용접된다. 좌우측 브래킷은 서브 프레임이 리어 펜더(41)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리어 펜더(41)의 측면 대략 평행하게 부착되도록 외주면에 부착된다.
각 브래킷(62)에는 한 쌍의 장착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63)은 세로방향으로 소정간격져 있다. 장착구멍(63)의 간격은 리어 펜더(41)의 장착구멍(60)간의 간격에 대응한다. 각 칼라(64)의 한단부가 각 장착구멍(63)의 주변부에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칼라(64)는 각 브래킷(62)으로부터 돌출될 것이다. 오토바이의 조립시에, 서브프레임(18)은 방진 러버부재(61)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65)에 칼라(64)를 끼워 맞춤으로써 리어 펜더(41)에 장착된다.
2개의 패스닝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각 패스닝 어셈블리는 2개의 볼트(66)가 뻗어있는 연결 플레이트(67)를 구비한다. 2개의 볼트(66)는 브래킷(62)의 장착구멍(63)간의 간격과 동일한 거리를 두고 간격져 있는데, 이는 리어 펜더(41)의 장착구멍(6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2개의 볼트는 조립시에 칼라(64)를 관통한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는 리어 펜더(41)의 외측에 배치된다. 각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에는 리어 펜더의 장착구멍(6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장착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형 칼라(69)는 장착구멍(68)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볼트(66)의 나사선단부(70)는 리어 펜더(41)의 장착구멍(60)를 통해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사선단부(70)는 각각의 플랜지형 칼라(69)와 정렬되어 이것에 삽입될 수 있다. 일단 이것이 달성되면, 펜더는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에 대하여 유지될 것이다.
이제, 나사선단부(70)는 그랩 레일(16)의 측면(71)에 형성된 장착구멍(72)을 관통할 수 있다. 결국, 너트(73)는 나사선단부(70)에서 죄어져 고정된다.
각 그랩 레일(16)은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U자형 형상은 측면(71), 상부면(74) 및 저부면(75)을 구비한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후부는 U자형 그랩 레일(16)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좌우측 리어 스테이(14)는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 후부의 예로서 사용된다. 차체 프레임의 다른 구성부품을 이용하여 리어 펜더 및 그랩 레일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측 시트 레일의 후부는 후방으로 뻗어 있으며 리어 펜더(41)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의 후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볼트(66)와 너트(73)간의 관계는 역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트는 그랩 레일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브래킷(62)상에 미리 고정된 너트로 죄어진다.
또한, 2개의 정렬된 장착구멍 세트를 관통하는 2개의 볼트가 예시되어 있지만, 3개의 정렬된 장착구멍 세트를 관통하는 3개의 볼트 또는 다수의 정렬된 장착구멍 세트를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이제부터 리어 펜더, 서브프레임 및 그랩 레일을 오토바이의 리어 스테이에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18)은 처음에 방진 러버부재(61)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65)에 칼라를 끼워 맞춤으로써 리어 펜더(41)와 프리어셈블리된다. 그 다음에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좌우측 리어 스테이(14) 사이에 삽입된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대략 L자형 훅(77)은 리어 펜더(41)의 전단부상에 배치되어 있다. 훅(77)은 리어 펜더(41)의 상측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가 좌우측 리어 스테이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훅(77)은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파이프(78)에 놓이거나 로크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비교적 크기 및 중량이 큰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로크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향으로 용이하게 진동될 수 있다.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브래킷(62)의 칼라(64)가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칼라(69)와 위치정렬할 때까지 상 향으로 진동된다. 이때, 패스닝 어셈블리의 볼트(66)는 위치정렬된 칼라(66,69)를 통과한다. 각 볼트(66)의 나사선단부(70)가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칼라(69)외측으로 돌출될 때까지 연결 플레이트(67)를 밀친다. 이때,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좌우측 리어 스테이(14) 상에 지지되고,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해제될 수 있다.
다음에, 좌우측 그랩 레일(16)은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다. 볼트(66)의 나사선단부(70)는 좌우측 그랩 레일(16)의 장착구멍(72)을 관통한다. 결국, 좌우측 그랩 레일은 너트(73)를 볼트(66)의 나사선단부(70)상에 죔으로써 좌우측 리어 스테이(14)에 고정된다.
상술한 방법은 조립자에게 최소한의 중압감을 준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조립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그랩 레일(16), 리어 펜더(41) 및 서브프레임(18)은 공통 볼트(66) 및 너트(73)를 사용하여 리어 스테이(14)에 고정된다. 볼트(66)가 연결 플레이트(6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자는 너트(73)를 나사선단부(70)에 죌 때에 볼트(66)를 잡을 필요가 없다. 또한, 칼라(64)가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용 연결부재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는데 스크루 또는 너트 및 볼트 등의 분리형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리어 펜더 어셈블리는 단순화된다. 따라서, 칼라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서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이제부터, 오토바이의 백 레스트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레스트 지지부재(140)는 백 레스트(39)의 패드부(139a)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부(160)를 구비한다. 스테이부(161)는 프레임부(160)의 좌우측 하부로부터 하향으로 뻗어 있다. 브래킷(162)은 스테이부(16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각 브래킷(162)의 하부는 약 45도로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구부러져 경사부(163)를 형성한다. 경사부(163)에는 세로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한 쌍의 장착구멍(16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브래킷(162)은 완충부재(170)를 통해 그랩 레일(16)에 장착되어 있다. 완충부재(170)는 상부 러버부재(171), 하부 러버부재(173) 및 칼라(176)가 일체성형된 연결 워셔 플레이트(177)를 구비한다. 경사부(163)는 상부 러버부재(171)와 하부 러버부재(17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완충부재(170)는 볼트(178)로 브래킷(162)에 장착된다.
상부 러버부재(171)에는 경사부(163)의 장착구멍(1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관통구멍(17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러버부재(173)에는 경사부(163)의 장착구멍(1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한쌍의 관통구멍(174)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가장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외경이 장착구멍(16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돌기부(171a)는 상부 러버부재(171)의 관통구멍(172) 주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1a)는 경사부(163)와 접촉하는 상부 러버부재(171)측으로 부터 뻗어있다.
마찬가지로, 각각 외경이 장착구멍(16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돌기부(173a)는 하부 러버부재(173)의 관통구멍(174) 주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3a)는 경사부(163)에 가장 인접하는 하부 러버부재(173)측으로 뻗어 있다.
도 5에서 가장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71a)는 경사부(163)의 장착구멍(16)에 끼워 맞춰진다. 각 돌출부(173a)는 워셔(175)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맞물려 있다. 워셔(175)의 벽 두께는 경사부(263)의 벽두께와 거의 일치하며, 각 워셔(175)는 경사부(163)의 이면에 용접되어 있다.
한 쌍의 관통구멍(177a)은 관통구멍(172,174)에 대응하는 연결 워셔 플레이트(177)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칼라(176)는 관통구멍(177a)주변에 장착되어, 상기 러버부재(171) 및 하부 러버부재(173)의 관통구멍(172,174)에 끼워 맞춰져 있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좌우측 그랩 레일(16) 각각은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면(180), 측면(181) 및 하부면(182)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183)은 오토바이를 향해 내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랩 레일(16)의 공간(183)에서, 장착 플레이트(184)는 상부면(180)과 측면(181) 사이에 경사지게 용접되어 있다. 너트(186)는 장착 플레이트(184)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85) 주변에 용접되어 있다.
칼라(176)를 통과하는 볼트(178)의 나사 선단부(179)는 너트(186)로 죄어져 있다. 볼트(178)의 패스닝 축선(L)은 오토바이 방향에서 수평선에 대하여 약 45도로 경사져 있다. 수평선에 대하여 약 45도로 경사져 있는 것 이외에도, 볼트(178)의 패스닝 축선(L)은 오토바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L)은 그랩 레일(16)의 하부면(182)과 교차하고 있지 않다. 이때문에 패스닝 도구가 볼트의 헤드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백 레스트 장착구조가 어셈블리되면, 브래킷(162)의 경사부(13)는 상부 러버부재(171)와 하부 러버부재(173)사이에 유지된다. 돌기부(171a)는 장착구멍(164)에 끼워 맞춰져 있다. 돌기부(173a)는 경사부(163)의 이면에 용접된 워셔(175)의 관통구멍에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하여, 상하부 러버부재(171,173)는 상호 접촉되어 있다.
칼라(176)는 러버부재(171,173)의 관통구멍(172,174)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 워셔 플레이트(177)는 하부 러버부재(173)의 하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하여, 완충부재(170)는 브래킷(162)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한 후에 브래킷(162)의 하부는 그랩 레일의 공간(183)에 삽입된다. 완충부재(170)는 장착 플레이트(184)의 하부와 접촉된다. 이때, 칼라(176)의 선단은 장착 플레이트(184)의 관통구멍(185)과 일치한다.
볼트(178)는 하부로부터 연결 워셔 플레이트(177)의 관통구멍(177a)에 삽입된다. 볼트(178)는 칼라(176)를 통과한다. 그 다음에, 볼트(178)의 나사 선단부(179)는 너트(186)로 죄여진다. 그리하여, 백 레스트 지지부재(140)는 그랩 레일(16)에 탄성지지된다.
볼트(178)가 오토바이의 수평면 또는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패스닝 축선(L)이 그랩 레일(16)의 하부면(182)과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사용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따라서, 볼트를 너트로 죄는 것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백 레스트 장착구조에 의해 백 레스트 지지부재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 레스트 지지부재(140)를 동승자의 그립으로서 잡는다면, 오토바이, 특히 엔진의 진동은 감소된다. 패스닝 축선(L)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백 레스트에 가해진 하중은 완충부재(170)에 의해 받아들여 질때에 트러스트 및 방사상 방향으로의 성분력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성분력의 분할에 의해 쿠숀 효과가 향상되어, 오토바이의 진동이 덜 발생되는 백 레스트가 얻어진다.
백 레스트를 그랩 레일(16)의 내부공간에서 오토바이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균형 잡힌 균일한 외관을 가진 오토바이가 유지된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공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0)

  1.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갖춘 오토바이 프레임,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배치된 리어 펜더,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대하여 인접 배치된 크랩 레일 및 상기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된 서브 프레임을 구비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리어 펜더에 프리어셈블리되어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 및 그랩 레일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에 형성된 훅 및 상기 오토바이 프레임에 장착된 크로스 파이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훅은 크로스 파이프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 레일은 단면이 U자형이고, U자형 단면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커버하도록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좌우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측부는 제1구멍이 형성된 제1칼라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부는 제2구멍이 형성된 제2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펜더는 제3구멍이 형성된 우측부 및 제4구멍이 형성된 좌측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 펜더 프리에섬블리는 제1칼라를 제3구멍에 끼워 맞추고 제2칼라를 제4구멍에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제1칼라의 제1구멍을 통과하는 제1볼트 및 제2칼라의 제2구멍을 통과하는 제2볼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 우측부의 제3구멍을 라인하는 제1부싱 및 상기 리어 펜더 좌측부의 제4구멍을 라인하는 제2부싱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칼라는 제1부싱을 통과하며, 상기 제2칼라는 제2부싱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의 우측부는 제5구멍이 형성된 제3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좌측부는 제6구멍이 형성된 제4칼라를 구비하며, 상기 리어 펜더의 우측부는 제7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리어 펜더의 좌측부는 제8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는 추가로 제3칼라를 제7구멍에 끼워맞추고 제4칼라를 제8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펜더 우측부의 제3구멍을 라인하는 제1부싱, 상기 리어 펜더 좌측부의 제4구멍을 라인하는 제2부싱, 상기 리어 펜더 우측부의 제7구멍을 라인하는 제3부싱 및 상기 리어펜더 좌측부의 제8구멍을 라인하는 제2부싱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칼라는 제1부싱을 통과하며, 상기 제2칼라는 제2부싱을 통과하고, 상기 제3칼라는 제3부싱을 통과하며, 상기 제4칼라는 제4부싱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칼라, 제2칼라, 제3칼라 및 제4칼라는 러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제1칼라의 제1구멍을 통과하는 제1볼트, 제2칼라의 제2구멍을 통과하는 제2볼트, 제3칼라의 제5구멍을 통과하는 제3볼트 및 제4칼라의 제6구멍을 통과하는 제4볼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볼트의 헤드를 제3볼트의 헤드에 연결시키는 제1링크 장치 및 제2볼트의 헤드를 제4볼트의 헤드에 연결시키는 제2링크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장치는 리어 펜더의 우측부에 인접하는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링크장치는 리어 펜더의 좌측부에 인접하는 리어 펜더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배치구조.
  13. 좌우측 프레임 부재를 갖춘 오토바이 프레임을 장착하는 단계, 리어 펜더, 서브 프레임 및 그랩 레일을 장착하는 단계, 서브프레임을 리어 펜더의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 서브프레임을 리어 펜더에 부착하여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 리어 펜더 프리 어셈블리를 좌우측 프레임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그랩 레일을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2개의 구멍을 우측 프레임 부재에, 2개의 구멍을 좌측 프레임 부재에, 2개의 구멍을 리어 펜더의 우측부에, 2개의 구멍을 리어 펜더의 좌측부에, 2개의 구멍을 각각 돌출형 칼라에 의해 둘러 싸여진 서브프레임의 우측부에, 2개의 구멍을 각각 돌출형 칼라에 의해 둘러싸여진 서브프레임의 좌측부에, 2개의 구멍을 그랩 레일의 우측부에, 2개의 구멍을 그랩 레일의 좌측부에 형성시키는 단계 및 서브프레임을 리어펜더의 내측에 삽입할 때에, 각각의 돌출형 칼라를 리어 펜더의 각각의 구멍에 삽입하여 리어 펜더 프리어셈블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리어 펜더 상의 브래킷, 오토바이 프레임상의 크로스바 및 패스닝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브래킷을 크로스 바 상에 훅하는 단계, 리어 펜더의 구멍이 오토바이 프레임의 좌우측 프레임 부재의 구멍과 위치정렬될 때까지 리어 펜더를 크로스바를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리어 펜더부를 리프팅하는 단계 및 패스닝장치를 위치정렬된 구멍을 통해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조립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그랩 레일을 부착할 때에 패스닝 장치를 그랩 레일의 구멍을 통과시켜서 패스닝 장치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을 조립하는 방법.
  17. 백 레스트, 각각 상기 백 레스트의 좌우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는 좌우측 지지부재, 오토바이 프레임, 각각 상기 오토바이 프레임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오토바이 프레임에 대하여 개방되는 대략 u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측 그랩 레일, 상기 좌우측 그랩 레일의 대략 u자형 단면 내측에 배치된 좌우측 장착 플레이트 및 각각 좌우측 지지부재에 형성되고 그 우측 하단부가 제1패스너에 의해 상기 우측 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그 좌측 하단부가 제2패스너에 의해 상기 좌측 장착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좌우측 하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너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방향으로 뻗어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패스너는 패스닝 도구에 의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19. 제17항에 있어서, 우측 하단부와 우측 장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우측 완충부재 및 좌측 하단부와 좌측 장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좌측 완충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하단부는 2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하단부는 2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우측 장착 플레이트는 2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좌측 장착 플레이트는 2개의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패스너는 2개의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패스너는 2개의 볼트를 구비하며, 우측 하단부와 우측 장착 플레이트 간의 부착상태는 제1패스너의 2개의 볼트를 우측 하단부의 2개의 구멍 및 우측 장착 플레이트의 2개의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좌측 하단부와 좌측 장착 플레이트간의 부착상태는 제2패스너의 2개의 볼트를 좌측 하단부의 2개의 구멍 및 좌측 장착 플레이트의 2개의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의 부품 배치구조.
KR1019970067508A 1996-12-25 1997-12-10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5183 1996-12-25
JP34518396A JP3639072B2 (ja) 1996-12-25 1996-12-25 自動2輪車の背もたれ支持構造
JP34518496A JP3748470B2 (ja) 1996-12-25 1996-12-25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96-345184 1996-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007A true KR19980064007A (ko) 1998-10-07
KR100278842B1 KR100278842B1 (ko) 2001-01-15

Family

ID=2657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78842B1 (ko) 1996-12-25 1997-12-10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73948A (ko)
KR (1) KR100278842B1 (ko)
CN (2) CN122713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748A (zh) * 2018-10-25 2018-12-18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左/右前附板定位焊接工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2644U1 (de) * 1999-02-15 1999-05-06 Sks-Metaplast Scheffer-Klute Gmbh, 59846 Sundern Radschützer für Zweiräder
US6176602B1 (en) * 1993-02-01 2001-0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signal light
JP4023899B2 (ja) * 1998-03-18 2007-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背もたれ取付構造
JP3690713B2 (ja) * 1999-02-22 2005-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の取付構造
US6257362B1 (en) 1999-07-28 2001-07-10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Motorcycle fender mounting system
US6347804B1 (en) * 1999-08-06 2002-02-19 Big Dog Motorcycles, L.L.C. Motorcycle accessory quick-release attachment assembly
JP4144222B2 (ja) * 2002-01-11 2008-09-03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後部構造
US6854542B2 (en) * 2002-08-20 2005-02-15 Robert J. Schoonover Motorcycle V-twin engine heat deflector
JP4270899B2 (ja) * 2003-02-12 2009-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シート構造
JP4313590B2 (ja) * 2003-03-14 2009-08-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ェンダの取付構造
US6889990B2 (en) * 2003-05-01 2005-05-10 Milwaukee Iron, Inc. Self supportive motorcycle fender
US7036837B1 (en) 2003-07-01 2006-05-02 Polaris Industries, Inc. Motorcycle rear frame mounting system
US7234559B2 (en) * 2003-09-09 2007-06-26 Honda Motor Co., Ltd. Rear fender and related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same
US20050062278A1 (en) * 2003-09-24 2005-03-24 Griffin Larry L. Fender brackets
JP4751157B2 (ja) * 2005-09-14 2011-08-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ステップブラケット
PT103383B (pt) * 2005-11-14 2007-09-11 Polisport Pedro & Paulo Araujo Sistema de fixação do guarda-lamas em motociclos
JP2007314165A (ja) * 2006-04-28 2007-12-06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ES2296540B1 (es) * 2006-10-09 2009-03-16 Talleres Fr, S.L. Sistema amortiguado de sujecion de copiloto de motocicleta.
US7793747B2 (en) 2007-01-22 2010-09-14 Brown Peter L Touring motorcycle modification kit
US8579063B2 (en) * 2007-06-29 2013-11-12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Motorcycle having detachable support members
US7770683B2 (en) * 2008-07-16 2010-08-10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Inc. Three-wheeled vehicle
US8851496B2 (en) * 2008-07-16 2014-10-07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LLC Motorcycle having a multi-piece frame assembly
CN101786480B (zh) * 2010-03-19 2011-08-0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后围板与车架连接组合
JP5427672B2 (ja) * 2010-03-31 2014-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ライセンスライトの配線構造
US8382137B2 (en) * 2010-09-08 2013-02-26 Michael Nusret Motorcycle backrest with extension signal lights
ITMO20100341A1 (it) * 2010-11-25 2012-05-26 Manieri Andrea Protezione per elementi di trasmissione e strutturali di veicoli o macchine.
JP2012136161A (ja) * 2010-12-27 2012-07-19 Hond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US8985416B2 (en) 2013-01-10 2015-03-24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Group, LLC Mounting interface for a removable motorcycle accessory
JP6106491B2 (ja) * 2013-03-29 2017-03-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及び、後部装備品
JP2016013767A (ja) * 2014-07-02 2016-01-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N104590391B (zh) * 2014-12-09 2017-06-13 新兴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后防护栏挡泥装置
US10513301B2 (en) 2016-05-05 2019-12-24 Lyft, Inc. Fender and fender assembly for a cycling apparatus
US20170341693A1 (en) * 2016-05-31 2017-11-30 Josef Rzepecki Pivotable adaptor for a saddle-type sea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8A (en) * 1861-09-03 Machine for molding pipes
US733178A (en) * 1902-04-14 1903-07-07 Nat Carbon Co Dry battery.
US4095820A (en) * 1976-10-22 1978-06-20 Corbin Gentry, Inc. Seat assembly for a cycle
US4485884A (en) * 1981-09-03 1984-12-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cowling mounting structure and fender for motorcycle
USRE33178E (en) 1984-09-27 1990-03-13 Protective bar assembly for motorcycle
JPH0437033Y2 (ko) * 1987-03-09 1992-09-01
US5588698A (en) * 1994-05-23 1996-12-31 Hsueh; Tien-Chu Reclinable motorcycle backrest with saddle cushion cover having sun ray blocking function
US5667232A (en) * 1995-07-20 1997-09-16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Detachable sissy b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4748A (zh) * 2018-10-25 2018-12-18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左/右前附板定位焊接工具
CN109014748B (zh) * 2018-10-25 2023-11-10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左/右前附板定位焊接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842B1 (ko) 2001-01-15
CN1089703C (zh) 2002-08-28
CN1186745A (zh) 1998-07-08
CN1412066A (zh) 2003-04-23
US6073948A (en) 2000-06-13
CN1227132C (zh)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842B1 (ko) 오토바이의 펜더 및 백 레스트 장착구조 및 장착방법
US20120152643A1 (en) Muffle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and straddle-type four-wheel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7234559B2 (en) Rear fender and related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same
US4753314A (en) Attachment structure for rear wheel damper of motorcycle
US7503415B2 (en) Engine support structure of motorcycle
US6070846A (en) Vibration dampening rearview mirror support structure
EP2431266B1 (en) Direction indicator and saddle riding type vehicle including the same
EP0581318A2 (en) Frame structure for motorcycle
EP1642811B1 (en) Windscreen mounting structure in light vehicles
CN203740056U (zh) 跨乘式车辆的防护单元
JP2004276863A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クッションユニット取付構造
JP3623844B2 (ja) マフラーの取付構造
JPH11263263A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H04221285A (ja) 自動二輪車等の車両におけるリヤフェンダの取付け構造
JP3815753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クッション取付構造
JPS61139574A (ja) 車両における燃料系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3748470B2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JP3700956B2 (ja) 自動二輪車のキックストッパー構造
JP4073849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ヤフェンダ構造
JPH0569766A (ja) フロント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0344171A (ja) 自動二輪車のフォークブレース構造
JPS6017429Y2 (ja) 自動二輪車のバツクミラ−取付構造
JP7539433B2 (ja) 鞍乗り型車両
JP4078271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フェンダ構造
JPH10181648A (ja) 自動2輪車の背もたれ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