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0505B1 - 수납선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선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0505B1
KR102770505B1 KR1020230179436A KR20230179436A KR102770505B1 KR 102770505 B1 KR102770505 B1 KR 102770505B1 KR 1020230179436 A KR1020230179436 A KR 1020230179436A KR 20230179436 A KR20230179436 A KR 20230179436A KR 102770505 B1 KR102770505 B1 KR 10277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in body
fixed
rib
pil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김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환 filed Critical 김국환
Priority to KR1020230179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0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0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선반을 지지하는 수직기둥에 수납선반을 고정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1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2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반대 측에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기둥 체결부, 상기 본체부의 타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기둥 체결부의 체결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는 체결 록킹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측의 종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수납선반의 체결 프레임을 구속하는 선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리브와 상기 제 2 가압 리브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기둥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수납선반 결합장치{Coupling device for storage shelves}
본 발명은 수납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선반을 지지하는 수직기둥에 수납선반을 고정하는 수납선반과 지지기둥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나 의류 등을 수납하는 수납선반은 적어도 한 쌍의 수직기둥에 고정설치되어 식기류나 의류, 생활용품 등을 수납하여 건조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 예로, 식기를 수납하여 건조하는 건조대는, 주방에 사용하는 필수품으로 싱크대 인근에 설치하여 그릇, 접시, 컵 등을 세척한 후 거치하여 수분을 자연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식기건조대는 크게 식기 세척대 주변에 설치하는 스탠드형 식기 건조대와, 식기 세척대 상에 세워서 설치하는 조립입식형 식기 건조대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탠드형 식기 건조대는 식기를 거치하는 받침대에 식기 거치대를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싱크대의 식기 세척대 주변 평평한 공간에 설치하야 하는 공간상 제약을 갖고, 식기로부터 흘러내리는 물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별도의 물받이부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전체 부피가 많이 차지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10-2002476호를 통하여 위치 가변형 식기 건조대를 제안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식기 건조대는 클램프가 수납선반을 기둥에 연결하여 설치하는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길이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식기 건조대는 수납선반을 기둥에 고정 결합하는 클램프의 결합력에 한계가 있어, 수납선반에 일정 중량 이상의 식기가 수납되는 경우 클램프 즉, 수납선반이 미끄러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즉, 클램프 내면과 기둥 외면 사이에 이들의 마찰계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42217호 한국등록특허 10-20024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수납선반의 체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기둥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선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기둥과의 결합과 해제가 쉽게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선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수납선반을 지지기둥에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수납선반 결합장치에 있어서,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1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2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반대 측에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기둥 체결부, 상기 본체부의 타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기둥 체결부의 체결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는 체결 록킹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측의 종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수납선반의 체결 프레임을 구속하는 선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리브와 상기 제 2 가압 리브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기둥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외면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체결부는 상기 고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선반 체결부의 체결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리브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 1 고정 리브 및 제 2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리브와 상기 제 2 고정 리브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1 고정 리브의 고정 돌부와 상기 제 2 고정 리브의 고정 돌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납선반과 지지기둥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높은 하중에도 안정적인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장치의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여 수납선반과 지지기둥과의 결합 및 해제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적인 사용에도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를 나타낸 전개도,
도 4는 도 2의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기둥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기둥 체결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둥 체결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선반 체결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선반 체결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내, 외,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납선반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기둥(11) 사이에 수납선반(14)이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수납선반(14)은 상하로 다단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수납선반(14)은 양 측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수납선반 결합장치(100)를 매개로 지지기둥에 고정 결합된다.
지지기둥(11)은 직경이 다른 제 1, 2 기둥(12,13)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2 기둥(12,13)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조립된다. 일 예로, 제 1 기둥(12) 내부에 제 2 기둥(13)의 단부가 삽입되어 조립되며, 제 2 기둥(13)을 소정의 길이로 인출하거나 삽입하여 지지기둥(11)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 후, 일 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조절된 길이가 고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지기둥(11)은 하단부와 상단부에 조립되는 제 1, 2 고정캡(11B, 11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고정캡(11B)은 제 1 기둥(12)의 하단부에 조립되어 지지기둥(11)을 바닥면에 고착시키고, 제 2 고정캡(11T)은 제 2 기둥(13)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지지기둥(11)을 천장에 고착시킨다. 이때, 제 2 고정캡(11T)은 탄성부재 또는 나사산 부재를 매개로 천장을 탄성 가압하여 지지기둥(11)이 압착 상태로 천장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수납선반(14)은 한 쌍의 지지기둥(11) 사이에서 수납선반 결합장치(100)를 매개로 지지기둥(11)에 고정 결합된다. 수납선반(14)은 플레이트(14) 또는 바스켓(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결합된 혼합형 선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납선반(14)의 양 측부에는 수납선반 결합장치(10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프레임(17)이 형성된다. 체결 프레임(17)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납선반(14)은 걸이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 프레임(18)은 수납선반(14)의 반대측에서 수납선반 결합장치(100)에 체결되어, 행주나 수세미 등의 주방부재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납선반 결합장치(100)는 수납선반(14)을 지지기둥(11)에 고정 결합하는 구성으로, 일 측은 수납선반(14)을 체결하고 타 측은 지지기둥(11)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수납선반 결합장치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기둥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기둥 체결 고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선반 결합장치의 선반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선반 체결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납선반 결합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일 측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기둥 체결부(120)와, 본체부(110)의 타 측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체결 록킹부(130)와, 본체부(110)의 상단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선반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부(110)는 기둥 체결부(120), 체결 록킹부(130) 및 선반 체결부(14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축으로 기능한다. 본체부(110)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며, 지지기둥(11)에 접촉하는 일 측면(즉, 내면)은 지지기둥(11)의 표면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제 1 가압 리브(111)를 형성한다. 제 1 가압 리브(111)는 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일 예로, 본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단부의 2개와 그 사이의 2개를 포함하는 4개의 제 1 가압 리브(111)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0)는 내면의 일 측부에 기둥 체결부(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1 힌지부(112)를 제공하고, 반대 측부에는 체결 록킹부(1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힌지부(113)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둥 체결부(120)와 체결 록킹부(130)는 각각 제 1, 2 힌지부(112,113)를 축으로 내측의 수평 방향(횡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본체부(110)에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110)는 외면 즉, 기둥 체결부(120)와 체결 록킹부(130)가 연결되는 반대면의 상단부에 선반 체결부(1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3 힌지부(114)를 제공하고, 외면의 중앙 영역에는 선반 체결부(140)의 체결을 고정하는 고정 리브(도 7의 115)를 제공한다. 선반 체결부(140)는 제 3 힌지부(114)를 축으로 외측 수평에서 수직 방향(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에 연결되고, 하측 수직으로 회동한 후에는 고정 리브(115)에 체결되어 회동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110)는 외면의 하단부에 수납선반(14)의 체결 프레임(17)이 거치되는 거치 리브(도 7의 117)를 제공한다. 거치 리브(117)는 체결 프레임(17)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체부(110)는 선반 체결부(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선반(14)이 체결될 때 하부의 체결 프레임(17)이 거치 리브(117)에 먼저 거치된 후, 선반 체결부(140)가 하측으로 회동하여 닫히면서 상하부 체결 프레임(17)을 구속하여 수납선반(14)의 체결을 고정하게 된다.
기둥 체결부(120)는 본체부(110) 일 측의 제 1 힌지부(112)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본체부(110)와 함께 지지기둥(11)을 감싸면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기둥 체결부(120)의 내면은 원호 형상을 이루어 마주하는 본체부(110)의 제 1 가압 리브(111)들과 함께 지지기둥(1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체부(110)와 기둥 체결부(120) 사이의 공간에 지지기둥(11)이 위치한 상태에서, 기둥 체결부(120)가 닫히도록 회동하면 본체부(110)와 기둥 체결부(120)가 지지기둥(11)을 양 측에서 가압하면서 지지기둥(11)에 결합된다.
또한, 기둥 체결부(120)는 내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표면에 제 2 가압 리브(121)를 형성한다. 제 2 가압 리브(121)는 기둥 체결부(120) 내면에 리세스(recess, 122)가 적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된다. 일 예로, 기둥 체결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단부의 2개와 그 사이의 3개를 포함하는 5개의 제 2 가압 리브(121)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기둥 체결부(120)의 제 2 가압 리브(121)는 본체부(110)의 제 1 가압 리브(111)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하측 단부의 가압 리브를 제외한 그 사이의 제 1 가압 리브(111)와 제 2 가압 리브(121)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서 각각 지지기둥(11)을 가압한다. 따라서, 지지기둥(11)의 표면에는 다수의 가압 리브(111,121)에 의하여 가압력이 지그재그 형태로 분산되어 작용하므로, 각 가압 리브(111,121)와 지지기둥(11)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계수가 쉽게 파괴되지 않아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둥 체결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걸이 프레임(18)이 체결될 수 있는 걸이 홈(123)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록킹부(130)는 본체부(110) 타 측의 제 2 힌지부(113)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기둥 체결부(120)의 일부를 덮으면서 체결되어 지지기둥(11)을 밀착하는 본체부(110)와 기둥 체결부(120)의 체결을 록킹한다. 체결 록킹부(130)는 제 2 힌지부(1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131)와, 회동부(13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걸림부(132)를 포함한다. 즉, 체결 록킹부(130)는 회동부(131)와 걸림부(132)가 힌지 연결부(133)를 매개로 연결되는 2단의 힌지 구조를 이룬다.
체결 록킹부(130)는 회동부(131)가 제 2 힌지부(113)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기둥 체결부(120) 원주의 연장선과 동일한 원주에 위치하도록 하고, 걸림부(132)는 힌지 연결부(133)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기둥 체결부(120)를 덮으면서 체결된다. 이때, 걸림부(132)의 일 측 단부(134)가 기둥 체결부(120)의 걸림 턱(124)에 걸리면서 체결되어, 기둥 체결부(120)의 체결이 록킹된다. 체결 록킹부(130)는 다시 걸림부(132)가 반대 방향으로 먼저 회동한 후, 회동부(131)가 추가로 회동하면서 기둥 체결부(120)의 록킹을 해제한다
한편, 체결 록킹부(130)의 록킹 해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걸림부(132)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손가락 끝으로 걸림부(132)의 타 측 단부(135)를 잡아 끌어당기게 되는데, 이때, 걸림부(132)가 기둥 체결부(120) 표면에 밀착되는 경우, 걸림부(132)가 손가락에 잘 잡히지 않아 록킹 해제 과정이 어렵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기둥 체결부(120)에는 받침 돌부(125)가 형성된다. 받침 돌부(125)는 걸림부(132)가 밀착되는 기둥 체결부(120)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132)가 기둥 체결부(120) 표면을 덮으면서 체결될 때, 걸림부(132) 내면이 기둥 체결부(120) 외면에 밀착되지 않고, 걸림부(132)의 타 측 단부(135)는 기둥 체결부(120)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되도록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 구조로 인하여 록킹 해제시 사용자가 쉽게 걸림부(132)의 타 측 단부(135)를 잡아당길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반 체결부(140)는 본체부(110) 상단의 제 3 힌지부(114)를 축으로 외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납선반(14)이 체결되도록 한다. 본체부(110)는 외면의 중앙 영역에 선반 체결부(140)의 체결을 고정하는 고정 리브(115)를 제공하고, 선반 체결부(140)는 고정 리브(115)에 대응하는 고정 홈(14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리브(115)가 고정 홈(141)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면서 선반 체결부의 체결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반 체결부(140)는 고정 홈(141)의 양 측부에 걸림 리브(142)를 제공하며, 걸림 리브(142)는 일 측의 제 1 걸림 리브(142-1)와 타 측의 제 2 걸림 리브(14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선반 체결부(140)는 개방된 상태에서 거치 리브(117)에 수납선반(14)의 체결 프레임(17)이 거치된 후, 하측으로 회동하여 닫히면서 수납선반(14)의 체결을 고정한다. 이때, 본체부(110)의 고정 리브(115)가 선반 체결부(140)의 고정 홈(141)에 삽입되면서 제 1, 2 걸림 리브(142-1,142-2)에 가압되어 체결이 록킹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 리브(115)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제 1 고정 리브(115-1)와 제 2 고정 리브(115-2)를 포함하고, 제 1, 2 고정 리브(115-1,115-2)의 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부(116)를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각 고정 리브(115-1,115-2)의 고정 돌부(1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제 1 고정 리브(115-1)의 고정 돌부(116)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고정 리브(115-2)의 고정 돌부(116)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 1 , 2 걸림 리브(142-1,142-2)의 단부는 내측 즉, 고정 홈(141)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부(143)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2 고정 리브(115-1,115-2)의 각 고정 돌부(116)가 제 1, 2 걸림 리브(142-1,142-2)의 걸림 돌부(143)에 맞물림 되어 선반 체결부(140)의 체결이 록킹된다.
이때, 제 1 고정 리브(115-1)와 제 2 고정 리브(115-2)가 독립되어 형성되고, 각 고정 돌부(116)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선반 체결부(140)가 반복적으로 체결되더라도 어느 일 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선반 체결부(14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제 1 걸림 리브(142-1)의 걸림 돌부(143)는 제 1 고정 리브(115-1)의 고정 돌부(116)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어내면서 체결되고, 제 2 걸림 리브(142-2)의 걸림 돌부(143)는 제 2 고정 리브(115-2)의 고정 돌부(116)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체결된다. 따라서, 선반 체결부(140)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각 걸림 돌부(143)와 각 고정 돌부(116) 사이에 발생하는 탄성 가압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선반 체결부(140)는 반복적인 체결에 의해서도 일 측으로 편향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수납선반 어셈블리
11 : 지지기둥 14 : 수납선반
17 : 체결 프레임 18 : 걸이 프레임
100 : 수납선반 결합장치
110 : 본체부 111 : 제 1 가압 리브
112 : 제 1 힌지부 113 : 제 2 힌지부
114 : 제 3 힌지부 115 : 고정 리브
116 : 고정 돌부
120 : 기둥 체결부 121 : 제 2 가압 리브
122 : 리세스 123 : 걸이 홈
124 : 걸림 턱 125 : 받침 돌부
130 : 체결 록킹부 131 : 회동부
132 : 걸림부 133 : 힌지 연결부
140 : 선반 체결부 141 고정 홈
142 : 걸림 리브 143 : 걸림 돌부

Claims (3)

  1. 수납선반을 지지기둥에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수납선반 결합장치에 있어서,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1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주 형상의 다수의 제 2 가압 리브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반대 측에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되는 기둥 체결부;
    상기 본체부의 타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기둥에 밀착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기둥 체결부의 체결을 록킹하거나 록킹을 해제하는 체결 록킹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측의 종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수납선반의 체결 프레임을 구속하는 선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 리브와 상기 제 2 가압 리브는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기둥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외면의 중앙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 체결부는 상기 고정 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선반 체결부의 체결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리브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는 제 1 고정 리브 및 제 2 고정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 리브와 상기 제 2 고정 리브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1 고정 리브의 고정 돌부와 상기 제 2 고정 리브의 고정 돌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납선반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179436A 2023-12-12 2023-12-12 수납선반 결합장치 Active KR102770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436A KR102770505B1 (ko) 2023-12-12 2023-12-12 수납선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9436A KR102770505B1 (ko) 2023-12-12 2023-12-12 수납선반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0505B1 true KR102770505B1 (ko) 2025-02-18

Family

ID=94825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9436A Active KR102770505B1 (ko) 2023-12-12 2023-12-12 수납선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05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8-06-30 김국환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US20080265568A1 (en) * 2004-05-26 2008-10-30 Bekkevold Knut Haavard Pipe Clamp
JP2012233491A (ja) * 2011-04-28 2012-11-29 Nifco Inc クランプ
KR200477434Y1 (ko) * 2014-01-28 2015-06-09 금강티. 에스주식회사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KR20180115852A (ko) * 2017-04-14 2018-10-24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KR102002476B1 (ko)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568A1 (en) * 2004-05-26 2008-10-30 Bekkevold Knut Haavard Pipe Clamp
KR100842217B1 (ko) 2007-12-27 2008-06-30 김국환 개폐식 수납 선반 고정클램프
JP2012233491A (ja) * 2011-04-28 2012-11-29 Nifco Inc クランプ
KR200477434Y1 (ko) * 2014-01-28 2015-06-09 금강티. 에스주식회사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KR20180115852A (ko) * 2017-04-14 2018-10-24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KR102002476B1 (ko) 2018-02-08 2019-07-22 김국환 가변형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225B1 (en) Appliance support base
US8015928B2 (en) Foldable table having multiple functions
US8408405B2 (en) Shelving system
US6966080B2 (en) Bed structure with storage area
US3233852A (en) Supporting shelf assembly
JP2004500920A (ja) 対象物乾燥装置
US10925391B1 (en) Hinged shelf container
KR102770505B1 (ko) 수납선반 결합장치
US5802990A (en) Computer rack
US20070051720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090065461A1 (en) Combination storage rack assembly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KR200418203Y1 (ko)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JPH0339053Y2 (ko)
US580383A (en) Display-rack
US2438886A (en) Rack
US3215280A (en) Folding coat rack
US2155742A (en) Collapsible clothesrack
KR101379750B1 (ko) 접철식 행거
CN213962493U (zh) 双形态置物架
KR100937360B1 (ko) 수건수납장
KR100986965B1 (ko) 수건 건조대
JPS6312750Y2 (ko)
TW201008520A (en) A rack
CN208510434U (zh) 一种连体带柜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