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7434Y1 -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34Y1
KR200477434Y1 KR2020140000653U KR20140000653U KR200477434Y1 KR 200477434 Y1 KR200477434 Y1 KR 200477434Y1 KR 2020140000653 U KR2020140000653 U KR 2020140000653U KR 20140000653 U KR20140000653 U KR 20140000653U KR 200477434 Y1 KR200477434 Y1 KR 200477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ing
scaffold
pipe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헌
Original Assignee
금강티. 에스주식회사
서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티. 에스주식회사, 서상헌 filed Critical 금강티. 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3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식 또는 회전식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클램프덮개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타측단에 링크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클램핑볼트에 조립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비계파이프를 90도 방향 또는 요구하는 임의 방향으로 교차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에 제공된 비계파이프의 클램핑표면에 비계파이프를 지그재그식으로 감싸는 원호 형상의 결착리브를 다수 개로 돌출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를 열간 프레스 성형에 의한 단조품으로 제작함으로서, 파이프 클램프에 의한 비계파이프의 결착력과 파이프 클램프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전한 비계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토록 하며, 특히 LNG선이나 LPG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건조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에 필요한 고층 비계의 구축작업시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용도로 최적화시킨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 for a scaffold}
본 고안은 고정식 또는 회전식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클램프덮개와, 상기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타측단에 링크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클램핑볼트에 조립되는 조임너트를 이용하여 비계파이프를 90도 방향 또는 요구하는 임의 방향으로 교차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공사현장이나 조선소의 선박 건조현장 등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지지하거나,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작업통로와 발판을 설치하거나, 이물질 또는 작업도구 등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비계구조물이 가설된다.
상기와 같은 비계구조물은 통상 파이프 클램프를 이용하여 강철 재질의 비계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90도 방향 또는 요구하는 임의의 방향에 맞추어 교차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구축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파이프 클램프는 비계파이프간의 교차 연결부위에서 비계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기존에 널리 사용되었던 파이프 클램프는 3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를 일차적으로 제작한 다음,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일측단에 클램프덮개를 연결시키고,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타측단에 조임너트가 조립된 클램핑볼트를 연결시킴에 따라, 파이프 클램프의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클램핑볼트를 따라 조임너트를 조여서 클램프덮개를 비계파이프와 함께 클램프본체측으로 견고하게 결착(結着)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만,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가 얇은 두께의 금속판으로 제작됨에 따라, 비계파이프의 결착 과정에서 클램프의 변형이나 손상이 쉽게 발생하고,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에 제공되는 비계파이프의 클램핑 면적 또한 충분하지 못하므로 비계파이프의 축방향 요동이 쉽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비계파이프간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지탱하여야 할 파이프 클램프가 그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비계구조물 전체에 걸쳐 가해지는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요인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심한 경우에는 비계구조물이 붕괴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 파이프 클램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강(鑄鋼: Cast Steel, FCD45)이나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이용하여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를 주조 성형함으로서, 파이프 클램프에 요구되는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비계용 클램프 어셈블리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2272호(공고일자: 2004년 02월 18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계용 클램프 어셈블리의 경우도, 주강이나 알루미늄 합금의 용융액을 주형에 부어 이를 단순히 고형화시키는 주조 방식의 특성상, 기존 제품보다 현격한 강도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LNG선이나 LPG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건조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에 필요한 고층 비계의 구축작업시,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계용 클램프 어셈블리는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에 제공되는 비계파이프의 클램핑표면이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계파이프의 축방향 요동 현상을 적절하게 억제시킬 수 없었고, 최근에 들어 상기 클램핑표면을 엠보싱 형태의 마찰표면으로 형성시킨 제품도 시판되었으나, 이는 점접촉에 의한 마찰저항만이 부여되는 비효율적이고 소극적인 대처방안에 불과하며, 비계파이프의 축방향 요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도 비계파이프의 결착력은 보다 더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에 제공된 비계파이프의 클램핑표면에 비계파이프를 감싸는 원호 형상의 결착리브를 다수 개로 돌출 형성시키는 한편, 각각의 결착리브가 비계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비계파이프의 축방향 요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도 비계파이프의 결착력은 보다 더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상기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를 열간 프레스 성형에 의한 단조품으로 제작함으로서, 주조 성형된 제품과 비교하여 파이프 클램프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 클램프의 조임너트를 와셔 일체형 너트로 하되, 이 와셔너트의 두께를 기존에 적용되는 규격보다 두껍게 하여 클램핑 작업에 따른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클램프 제품과 비교하여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전한 비계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토록 하며, 특히 LNG선이나 LPG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건조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에 필요한 고층 비계의 구축작업시,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고, 비계파이프간의 연결작업 역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용도로 최적화시킨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토록 함이 그 기술적 과제가 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일측단에 클램프덮개가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본체는 열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클램프덮개가 90도 각도로 교차되도록 하는 고정식 본체 또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회전지지축에 의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식 본체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며, 상기 클램프본체의 상,하부 타측단에는 클램프덮개를 클램프본체와 조립하여 비계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볼트가 링크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볼트에는 조임너트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덮개의 선단측에는 클램핑볼트가 삽입되는 "∪"자형의 볼트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에 제공된 비계파이프의 클램핑표면에는 다수 개의 결착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결착리브는 비계파이프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해당 클램핑표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돌출 형성된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에 형성된 결착리브와 클램프덮개에 형성된 결착리브는 비계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본체와 클램프덮개는 구조용 탄소강을 이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된 단조품인 되며, 상기 조임너트는 하단부에 플랜지와셔가 일체로 형성된 와셔너트로 하되, 상기 와셔너트의 두께는 클램핑볼트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는 너트 규격의 1.5~2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 클램프에 의한 비계파이프의 결착력과 파이프 클램프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보다 더 견고하고 안전한 비계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LNG선이나 LPG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건조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에 필요한 고층 비계의 구축작업시,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고, 비계파이프간의 연결작업 역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기능과 품질의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식 파이프 클램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클램프본체의 외관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가 되는 클램프덮개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파이프 클램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 정단면도.
도 7은 도 5의 파이프 클램프를 회전시킨 상태의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클램프의 강도 시험성적서.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역시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1)와, 상기 클램프본체(1)의 상,하부 일측단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클램프덮개(2)와, 상기 클램프본체(1)의 상,하부 타측단에 링크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클램핑볼트(3)와, 상기 클램핑볼트(3)에 조립되는 조임너트로서의 와셔너트(4)가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포함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은 비계파이프(11)를 90도 각도로 교차 연결시키도록 한 고정식 파이프 클램프(10)가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프본체(1)는 개략 열십자(十)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한편, 그 상부측과 하부측에 비계파이프(11)의 결착을 위한 클램핑표면(1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덮개(2)는 클램프본체(1)의 클램핑표면(12)과 대응하는 또 다른 클램핑표면(12)을 제공하도록 개략 원호상으로 굴곡된 몸체를 가진다.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본체(1)의 상부면 일측단에는 클램프덮개(2)의 설치를 위한 힌지결합부(8)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클램프본체(1)의 상부면 타측단에는 클램핑볼트(3)의 설치를 위한 링크소켓부(9)가 일체로 형성되며, 클램프본체(1)의 하부면에도 상부면에 제공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힌지결합부(8) 및 링크소켓부(9)가 뒤집어진 형태로 하여 90도 각도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소켓부(9)는, 클램핑볼트(3) 후단측의 링크축(3c)이 수납되는 케이스 형상의 링크축수납부(9b)와, 상기 링크축(3c)을 제외한 클램핑볼트(3)의 나머지 부분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링크축수납부(9b)의 중앙측을 따라 형성되는 링크구멍(9a)으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링크축(3c)이 링크소켓부(9)에 걸려 있는 상태로 클램핑볼트(3)가 링크구멍(9a)을 따라 클램프덮개(2)측으로 회전(각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4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클램프덮개(2)의 선단측에는 클램핑볼트(3)의 삽입식 장착을 위한 "∪"자 형태의 볼트장착홈(6)이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덮개(2)의 후단부측에는 리벳축(5)에 의하여 클램프본체(1)의 힌지결합부(8)와 연결되는 한 쌍의 리벳숄더(Rivet Shoulder)(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결합부(8)는 리벳숄더(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리벳숄더(7)와 힌지결합부(8)에는 리벳축(5)의 장착을 위한 리벳조립구멍(7a)과 리벳삽입구멍(8a)이 대응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리벳조립구멍(7a)은 리벳축(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리벳축(5)이 클램프덮개(2)에 고정식으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리벳삽입구멍(8a)은 리벳축(5)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하여 클램프덮개(2)가 리벳축(5)과 함께 힌지결합부(8)를 중심으로 각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핑볼트(3)는 와셔너트(4)가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볼트부(3a)와, 상기 볼트부(3a)의 후방에 형성되는 로드부(3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축(3c)은 로드부(3b)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와셔너트(4)는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플랜지와셔(4a)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너트와 와셔를 분리시켜 사용함에 따른 불편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에 제공된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표면(12)에 다수 개의 결착리브(Clamping Rib)(13)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각각의 결착리브(13)는 비계파이프(11)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해당 클램핑표면(12)을 따라 원호(圓弧)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의 클램핑표면(12)에 원호상의 결착리브(13)를 돌출 형성시키게 되면, 클램핑볼트(3)를 따라 와셔너트(4)를 조여서 클램프덮개(2)를 비계파이프(11)와 함께 클램프본체(1)측으로 가압시킬 경우, 각각의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외주연부를 국부적으로 강하게 압착하여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의 사이에서 비계파이프(11)가 한층 더 견고히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원호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축방향(길이 방향)과 90도 각도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선접촉 방식에 의한 강한 마찰저항을 제공함으로서, 엠보싱 형태의 마찰표면에 의한 점접촉 방식의 마찰저항만을 제공하였던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파이프 클램프(10)에 결착된 비계파이프(11)의 축방향 요동 및 이로 인한 비계구조물의 시설강도 저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상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의 클램핑표면(12)에 걸쳐 각각 4열(列)의 결착리브(1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이보다 적거나 많은 개수로도 결착리브(13)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비계파이프(11) 자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클램핑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결착리브(13)의 돌출두께는 0.5~1.5mm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착리브(13)의 단면은 반원형이나 사다리꼴 형태가 유리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클램프본체(1)에 형성된 결착리브(13)와 클램프덮개(2)에 형성된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결착리브(13)의 배치구조를 조정시키는 것만으로도 파이프 클램프(10)에 의한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 성능을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일 면적에 걸쳐 결착리브(13)에 의한 마찰저항이 작용하는 포인트 간격을 보다 더 촘촘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착리브(13)에 의하여 압축식 마찰저항이 아닌 전단식 마찰저항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비계파이프(11)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고 비계파이프(11)의 축방향 요동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한층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의 클램핑표면(12)에 결착리브(13)를 형성시키는 것과 연계하여,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힌지결합부(8)가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의 표면 부분 또한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표면을 제공토록 하고, 해당 표면에도 결착리브(13)와 동일한 형태의 보강리브(14)를 형성시키게 되면, 비계파이프(11)와 접촉되는 클램핑표면(12)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기술적 사항은, 구조용 탄소강을 이용하여 상기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를 단조품으로 제작함으로서, 파이프 클램프(10)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인 바, 도 8a 및 도 8b에 걸쳐 첨부된 시험성적서에서와 같이 유럽 규격에 따른 3회의 인장강도 시험(BS EN 74-1: 2005)에서 최대 57.7kN으로부터 최소 53.0kN에 달하는 인장력이 발현되었으며, 이는 주조 방식으로 제작되었던 종래의 클램프 제품과 비교하여 약 2~3배 정도의 강도 향상을 이루어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조품으로서의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를 제작하는 과정은, 구조용 탄소강, 바람직하게는 S20C(탄소함량이 0.2%인 기계구조용 강) 재질의 환봉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시킨 다음, 이를 단조처리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시킨 후, 유압프레스를 이용하는 C형 단조기의 단조금형에 가열된 환봉 소재를 투입하여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를 성형시키는 열간 프레스 단조방식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단조방식은 구조용 탄소강의 내부결함 요인이 되는 기공이나 편석 또는 과대조직 등을 압착하여 결정립을 미세화시킴으로서 경도나 연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프레스 성형에 의한 치수정밀도를 보장하여 제품의 후가공 처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 적용되는 각각의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에 요구되는 충분한 강성을 발현토록 하는 측면에서 최적의 가공방식이 된다.
상기와 같이 열간 프레스 단조방식으로 제작된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에 표면광택과 내부식성 및 내구성 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전기도금이나 아연도금을 추가로 행하게 되며, S20C 이외에도 S15C로부터 S25C 범위내의 구조용 탄소강이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볼트(3) 및 와셔너트(4)의 경우도 S10C와 S15C와 S20C 등의 구조용 탄소강 소재가 주로 적용되고, 그 표면처리에는 전기도금 방식이 주로 적용되며, 상기 리벳축(5)은 통상 탄소함량이 거의 없는 구조용 압연강재로서 SS41 소재가 주로 적용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와셔너트(4)의 두께(높이)는 클램핑볼트(3)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는 너트 규격의 1.5~2배가 되도록 하는 바, 예를 들어 그 직경이 10mm인 볼트(호칭 M10)에 사용되는 너트는 그 두께가 8mm로 규격화되어 있지만, 본 고안에서 직경 10mm인 클램핑볼트(3)가 사용될 경우 플랜지와셔(4a)를 포함하는 와셔너트(4)의 두께는 12~16mm 정도가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볼트(3)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여 기존 규격보다 와셔너트(4)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이유는, 스패너(Spanner) 등을 이용하여 와셔너트(4)를 조임으로서 비계파이프(11)를 클램핑하는 작업시, 스패너로부터 와셔너트(4)가 쉽게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와셔너트(4)의 조임작업, 즉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 작업을 수행토록 함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와셔너트(4)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스패너를 이용한 클램핑 작업성은 향상되지만, 와셔너트(4)의 두께를 과도하게 증대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와 파이프 클램프(10)의 원가 및 무게 상승을 초래하므로, 작업성의 향상과 경제적인 잇점을 동시에 고려하여 와셔너트(4)의 두께는 기존 너트 규격의 1.5~2배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것은 비계파이프(11)간의 교차각도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각도로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한 회전식 파이프 클램프(10)로서, 클램프본체(1)가 상부본체(1a)와 하부본체(1b)의 2부분으로 분할되는 한편, 이 상부본체(1a)와 하부본체(1b)가 회전지지축(15)에 의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 것이다.
상기 회전식 파이프 클램프(10) 또한 고정식 파이프 클램프(10)와 함께 비계구조물의 가설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며, 상부본체(1a)와 하부본체(1b)의 중앙에는 회전지지축(15)의 설치를 위한 요홈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축(15)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해당 요홈부(15a)에 걸리도록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고정식 파이프 클램프(10)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클램프(10)는,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에 제공된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표면(12)에 비계파이프(11)를 감싸는 원호 형상의 결착리브(13)를 다수 개로 돌출 형성시키는 한편, 각각의 결착리브(13)가 비계파이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비계파이프(11)의 축방향 요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면서도 비계파이프(11)의 결착력은 보다 더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를 열간 프레스 성형에 의한 단조품으로 제작함으로서, 주조 성형된 제품과 비교하여 파이프 클램프(10)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 클램프(10)용 조임너트를 와셔너트(4)로 하되, 이 와셔너트(4)의 두께를 기존에 적용되는 규격보다 두껍게 하여 클램핑 작업에 따른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기존의 클램프 제품과 비교하여 한층 더 견고하고 안전한 비계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하고, 특히 LNG선이나 LPG선과 같은 대형 선박의 건조 또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에 필요한 고층 비계의 구축작업시, 비틀림토크나 강풍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으며, 비계파이프(11)간의 연결작업 역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기능과 품질의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클램프본체 1a : 상부본체 1b : 하부본체
2 : 클램프덮개 3 : 클램핑볼트 3a : 볼트부
3b : 로드부 3c : 링크축 4 : 와셔너트
4a : 플랜지와셔 5 : 리벳축 6 : 볼트장착홈
7 : 리벳숄더 7a : 리벳조립구멍 8 : 힌지결합부
8a : 리벳삽입구멍 9 : 링크소켓부 9a : 링크구멍
9b : 링크축수납부 10 : 파이프 클램프 11 : 비계파이프
12 : 클램핑표면 13 : 결착리브 14 : 보강리브
15 : 회전지지축 15a : 요홈부

Claims (4)

  1. 클램프본체(1)의 상,하부 일측단에는 클램프덮개(2)가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본체(1)는 열십자(十)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클램프덮개(2)가 90도 각도로 교차되도록 하는 고정식 본체 또는 상부본체(1a)와 하부본체(1b)가 회전지지축(15)에 의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식 본체 중에서 택일한 것이 되며, 상기 클램프본체(1)의 상,하부 타측단에는 클램프덮개(2)를 클램프본체(1)와 조립하여 비계파이프(11)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볼트(3)가 링크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볼트(3)에는 조임너트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덮개(2)의 선단측에는 클램핑볼트(3)가 삽입되는 "∪"자형의 볼트장착홈(6)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에 제공된 비계파이프(11)의 클램핑표면(12)에는 다수 개의 결착리브(1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결착리브(13)는 비계파이프(11)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해당 클램핑표면(12)을 따라 원호(圓弧)상으로 돌출 형성된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10)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본체(1)에 형성된 결착리브(13)와 클램프덮개(2)에 형성된 결착리브(13)는 비계파이프(11)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본체(1)와 클램프덮개(2)는 구조용 탄소강을 이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된 단조품인 되며,
    상기 조임너트는 하단부에 플랜지와셔(4a)가 일체로 형성된 와셔너트(4)로 하되, 상기 와셔너트(4)의 두께는 클램핑볼트(3)의 직경을 기준으로 하는 너트 규격의 1.5~2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0653U 2014-01-28 2014-01-28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Expired - Lifetime KR200477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53U KR200477434Y1 (ko) 2014-01-28 2014-01-28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653U KR200477434Y1 (ko) 2014-01-28 2014-01-28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34Y1 true KR200477434Y1 (ko) 2015-06-09

Family

ID=5351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653U Expired - Lifetime KR200477434Y1 (ko) 2014-01-28 2014-01-28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37B1 (ko) * 2017-10-20 2019-01-30 박치형 충격완화기능을 가진 로봇 행거
KR102617123B1 (ko) * 2023-02-27 2023-12-27 주식회사 와이엠테크 핸드 레일을 활용한 안전 펜스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770505B1 (ko) * 2023-12-12 2025-02-18 김국환 수납선반 결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537B1 (ko) * 1992-09-25 1997-10-20 마사다로오 사도오 관재연결용 클램프 금속기구 조립체
KR20090006264U (ko) * 2007-12-20 2009-06-24 기세진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537B1 (ko) * 1992-09-25 1997-10-20 마사다로오 사도오 관재연결용 클램프 금속기구 조립체
KR20090006264U (ko) * 2007-12-20 2009-06-24 기세진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37B1 (ko) * 2017-10-20 2019-01-30 박치형 충격완화기능을 가진 로봇 행거
KR102617123B1 (ko) * 2023-02-27 2023-12-27 주식회사 와이엠테크 핸드 레일을 활용한 안전 펜스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770505B1 (ko) * 2023-12-12 2025-02-18 김국환 수납선반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9899B2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brace, in particular a stay cable,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extent thereof
KR200477434Y1 (ko) 비계용 파이프 클램프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CN113833286A (zh) 一种钢管柱现场对接定位装置及施工方法
WO2010085051A2 (ko) 풀림방지턴버클
AU2025203057A1 (en) Torque absorbing surface
KR20140002205U (ko) 용접판재의 전도방지용 래싱 클램프장치
WO2018081895A1 (en) Anchor system for fiber reinforced polymers
CN214423778U (zh) 一种装配式钢筋保护层厚度控制装置
US20050204690A1 (en) Method of reinforcing opening of steel frame girder
KR101375346B1 (ko)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KR102097007B1 (ko) 모듈형 철근 커플러
KR20110017551A (ko) 철근 연결용 압착식 커플러
KR101542067B1 (ko) 회전형 파이프 클램프
CN111364762A (zh) 预埋件的锥形螺母安装结构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JP2012057411A (ja) 鋼管杭の防食施工方法
EP3471839B1 (en) Toggle and assembly of toggle and support member
KR20200041503A (ko) 패널폼 고정 장치
WO2012173492A1 (en) A grating clamp and method for fixing a grating to a support
RU2679016C2 (ru) Сб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меющая составную часть
JP3185939U (ja) セパ溶接用連結金物
KR20041275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CN105442829A (zh) 一种带防滑块的箍式防滑万向连墙件
CN210800305U (zh) 一种快装管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6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22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7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