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18203Y1 -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 Google Patents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203Y1
KR200418203Y1 KR2020060007794U KR20060007794U KR200418203Y1 KR 200418203 Y1 KR200418203 Y1 KR 200418203Y1 KR 2020060007794 U KR2020060007794 U KR 2020060007794U KR 20060007794 U KR20060007794 U KR 20060007794U KR 200418203 Y1 KR200418203 Y1 KR 200418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lot
shelf
built
p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박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순 filed Critical 박영순
Priority to KR2020060007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20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는, 내부에 채널(30a)이 형성되고 채널(30a)의 격벽(301)에 관통슬롯(30b)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관통슬롯(30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30)와, 상기 포스트(30)의 채널(30a)내에 부착되는 걸림대(32)와, 상기 포스트(30)에 장착되어 걸림대(32)에 걸리는 방식으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한 지지브라켓(34)과, 한쌍의 대향되는 지지브라켓(34)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대(32)는 다수개의 수평톱니(321)가 아래위로 나열된 래크(rack)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상기 포스트(30)의 채널(30a)내에 삽입되는 걸림편부(341)와, 관통슬롯(30b)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부(341)와 연결되는 받침대부(342)로 구성되어 채널(30a)에서 이탈되지 않고 관통슬롯(30b)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걸림편부(341)와 받침대부(342) 사이에 관통슬롯(30b)이 형성된 격벽(301)의 두께를 충분히 초과하는 유격이 갖추어짐으로써 좌우방향으로의 기울임 작동에 의해 걸림편부(341)의 하단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에 걸림/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4)의 걸림편부(341)는 그 상단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에 걸리지 않도록 상단이 뾰족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의 수평을 조정하는 작업 또한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built-in type clothes rack}
도 1은 종래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지지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선반 높이조절 작동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선반 30: 포스트
30a: 채널 30b: 관통슬롯
32: 걸림대 321: 수평톱니
34: 지지브라켓 341: 걸림편부
342: 받침대부 343: 연결부
본 고안은 드레스룸 등에 사용되는 붙박이타입의 의복수납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복을 수납하는 선반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스룸에는 종래의 장롱 등의 가구와 달리 자리를 적게 차지하면서도 의복을 대량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활용도가 높은 형태의 의복수납대가 구비되는데, 상기 의복수납대는 천장과 바닥간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포스트(10)(10')와, 상기 각 포스트(10)(10')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개의 선반(20) 및 포스트(10)의 상단에 걸쳐지는 행거봉(1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의복수납대에 의하면 선반(20)에는 의복을 개어서 수납하고, 행거봉(12)에는 옷걸이를 이용하여 옷을 거는 방식으로 여러벌의 의복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서로 인접한 한쌍의 포스트(10)(10')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개의 선반(20) 즉, 세로열을 이루는 선반들은 아래위로 이격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지지되어 있는 바, 선반의 높이 조절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포스트(10)(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채널(10a)이 양 측면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채널(10a) 바깥쪽의 격벽(101)에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소정폭의 관통슬롯(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20)의 좌우 측면 테두리부(201) 외측에는 체결나사(22)에 의해 결속되는 커버플레이트(24)와, 커버플레이트(24) 바깥쪽에서 역시 상기 체결나사(22)에 의해 결속되는 이동편(26)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동편(26)은 포스트(10)의 상단으로부터 채널(10a)내로 인입되어 채널(10a)내에 위치되고, 커버플레이트(24)는 포스트(1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체결나사(22)에 의해 커버플레이트(24)와 이동편(26)이 서로 조여져 상기 커버플레이트(24)와 이동편(26) 사이에 있는 격벽(101)을 압박함으로써 선반(20)의 상하위치가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선반(2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체결나사(22)를 약간풀어서 커버플레이트(24)와 이동편(26)간의 조임상태를 느슨하게 한 다음, 선반(2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여 그 상하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선반(2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에는 다시 체결나사(22)를 조여서 커버플레이트(24)와 이동편(26)이 격벽(101)을 압박토록 하여 선반(20)의 높이를 고정하게 된다.
즉,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체결나사(2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관통슬롯(10b)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어느 높이에서나 선반(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선반(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나사(22)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고, 선반(20)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반면, 선반(20)의 좌우수평을 정렬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없기 때문에, 선반(20)의 좌우수평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선반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 정렬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수납대는, 내부에 채널이 형성되고 채널의 격벽에 관통슬롯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관통슬롯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채널내에 부착되는 걸림대와, 상기 포스트에 장착되어 걸림대에 걸리는 방식으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한 지지브라켓과, 한쌍의 대향되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대는 다수개의 수평톱니가 아래위로 나열된 래크(rack)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포스트의 채널내에 삽입되는 걸림편부와,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부로 구성되어 채널에서 이탈되지 않고 관통슬롯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걸림편부와 받침대부 사이에 관통슬롯이 형성된 격벽의 두께를 충분히 초과하는 유격이 갖추어짐으로써 좌우방향으로의 기울임 작동에 의해 걸림편부의 하단이 걸림대의 수평톱니에 걸림/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걸림편부는 그 상단이 걸림대의 수평톱니에 걸리지 않도록 상단이 뾰족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부터 도 5b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는, 도 2,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채널(30a)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30a)의 바깥쪽 격벽(301)에 소정폭의 관통슬롯(30b)이 채널(30a)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슬롯(30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30)와, 상기 포스트(30)의 채널(30a)안쪽 벽면에 부착되며, 다수개의 수평톱니(321)가 아래위로 나열된 래크(rack)형태로 이루어진 걸림대(32)와, 상기 포스트(30)에 장착되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에 걸리는 방식으로 그 높이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브라켓(34)과, 서로 인접한 포스트(30)의 대향면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브라켓(34)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34)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걸림편부(341)와, 받침대부(342) 및 상기 걸림편부(341)와 받침대부(342)를 연결하는 연결부(343)로 구성되는데, 걸림편부(341)는 그 상단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에 걸리지 않도록 상단이 뾰족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대부(342)는 절곡되어 옆에서 본 형상이 “ㄴ”형태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연결부(343)는 포스트(30)의 관통슬롯(30b)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서 격벽(301)의 두께를 약간 초과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343)를 기준으로하여 걸림편부(341)를 상하로 나누어 볼 때 걸림편부(341)의 하부에서는 받침대부(342)와의 사이 간격이 격벽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치우치고, 걸림편부(341)의 상부에서는 간격이 우측으로 치우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브라켓(34)은 수직선을 기준으로하여서는 걸림대(32)측(도면상 좌측)으로만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도 5a, 5b 참조)
또한, 상기 포스트(30)의 일측면에는 동일한 선반(20)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34)을 정확하게 수평정렬할 수 있도록 기준눈금(302)이 새겨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지지브라켓(34)에 선반(20)이 엊혀진 상태에서는 지지브라켓(34)이 선반(20)의 하중에 의해 걸림대의 반대측(도면상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작용을 받기 때문에 걸림편부(341)의 상단이 격벽(301)과 밀착되고, 받침대부의 하단이 격벽에 밀착되어 걸림편부의 하단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에 걸리는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브라켓(34)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되고 선반(20)의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선반(20)의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우선 선반(20)을 지지브라켓(34)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지지브라켓(34)이 걸림편부(341)의 하단에 형성된 유격폭만큼 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다음, 도 5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받침대부(342)를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지지브라켓(34)을 걸림대측으로 기울여서 걸림편부(341)의 하단이 걸림대(32)의 수평톱니(321)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지지브라켓(34)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려서 그 높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지지브라켓(34)을 원래대로 회동시켜 걸림편부(341)의 하단이 수평톱니(321)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브라켓(34)의 높이를 고정하게 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 지지브라켓(34)(34')의 받침대부(342)에 선반(20)을 올려놓게 된다.
또한, 선반(20)의 높이 조절과정에서, 작업자는 포스트(30)의 일측면에 새겨진 기준눈금(302)을 통해 하나의 선반(20)을 지지하는 양 지지브라켓(34)(34')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는 작업 즉, 수평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브라켓(34)을 일측으로 기울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지브라켓(34)과 걸림대(32)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며, 또 지지브라켓(34)과 걸림대(32)를 다시 결속하는 작업 또한 간단하기 때문에, 선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에 의하면, 선반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반의 수평을 조정하는 작업 또한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 바깥쪽의 격벽에 관통슬롯이 채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슬롯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포스트;
    다수개의 수평톱니가 아래위로 나열된 래크(rack)형태로서 상기 포스트의 채널내에 부착되는 걸림대;
    상기 포스트의 채널내에 삽입되는 걸림편부와, 관통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걸림편부와 연결되는 받침대부로 구성되어 채널에서 이탈되지 않고 관통슬롯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며, 걸림편부와 받침대부 사이에 관통슬롯이 형성된 격벽의 두께를 충분히 초과하는 유격이 갖추어짐으로써 좌우방향으로의 기울임 작동에 의해 걸림편부의 하단이 걸림대의 수평톱니에 걸림/해제되는 방식으로 그 높이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지지브라켓;
    서로 인접한 포스트의 대향면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브라켓의 받침대부에 좌우 양선단이 지지되는 방식으로 안착되는 선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걸림편부는 그 상단이 걸림대의 수평톱니에 걸리지 않도록 상단이 뾰족한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받침대부는 걸림편부와의 아래로 수직절곡된후 다시 수평절곡된 “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동일한 선반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을 정확하게 수평정렬할 수 있도록 기준눈금이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KR2020060007794U 2006-03-23 2006-03-23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Expired - Fee Related KR200418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94U KR200418203Y1 (ko) 2006-03-23 2006-03-23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94U KR200418203Y1 (ko) 2006-03-23 2006-03-23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203Y1 true KR200418203Y1 (ko) 2006-06-09

Family

ID=4176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8203Y1 (ko) 2006-03-23 2006-03-23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2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448B1 (ko) 2009-10-15 2012-07-27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KR102063007B1 (ko) * 2019-06-05 2020-02-11 김문곤 상품 진열장
KR20200141229A (ko) * 2019-06-10 2020-12-18 구슬이 다기능 제품 진열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448B1 (ko) 2009-10-15 2012-07-27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KR102063007B1 (ko) * 2019-06-05 2020-02-11 김문곤 상품 진열장
KR20200141229A (ko) * 2019-06-10 2020-12-18 구슬이 다기능 제품 진열대
KR102200733B1 (ko) * 2019-06-10 2021-01-08 구슬이 다기능 제품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3731B2 (en) Combination partition screen and hanging structure for use in a combination partition screen
US4974913A (en) Work-station arrangement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US8459475B2 (en) Convertible storage rack system
US20220338627A1 (en) Extendable Storage Component for a Storage System
CN101384194B (zh) 包含间隔元件的货架底托承载器
KR200418203Y1 (ko) 붙박이타입 의복수납대
US5358126A (en) Hanging-folder file frame
US6536858B1 (en) Elevated binder bin
US6357607B1 (en) Rack for wine glasses having shelf supports for slidably receiving a frame
JP4518815B2 (ja) 収納棚およびそれを備える実験台
US20070017888A1 (en) Shelving system
CN217885455U (zh) 一种一体式层板及置物架
EP1656049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US20050127018A1 (en) Versatile display rack
WO2007086002A1 (en) Stand for bearing an apparatus
CN212014916U (zh) 一种吊柜及衣帽间
WO2020143008A1 (zh) 置顶架
JP4388507B2 (ja) 収納棚
CN213849826U (zh) 一种层板以及使用该层板的展架
TWI693910B (zh) 置頂架
KR102643470B1 (ko) 조립식 가구
CN223095429U (zh) 一种厨房用品收纳架
KR200329188Y1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선반
CN219680296U (zh) 一种衣帽架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3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3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7031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