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0871B1 - 피부 첩부용 겔 시트 - Google Patents

피부 첩부용 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0871B1
KR102760871B1 KR1020207015610A KR20207015610A KR102760871B1 KR 102760871 B1 KR102760871 B1 KR 102760871B1 KR 1020207015610 A KR1020207015610 A KR 1020207015610A KR 20207015610 A KR20207015610 A KR 20207015610A KR 102760871 B1 KR102760871 B1 KR 102760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sheet
skin
mass
suitably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648A (ko
Inventor
케이고 와타나베
에미 시마다
신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20010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08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 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을 제공하는 것. 다음의 성분 (a) ~ (f); (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다가 알코올 40 ~ 93 중량%,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0.1 ~ 16 중량%, (e) 25℃에서 액상 유제 1.0 ~ 30 중량%, (f) 물 10 중량% 이하를 함유하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

Description

피부 첩부용 겔 시트
본 발명은,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품, 의약품 등에의 이용을 목적으로, 수계 성분, 보습 성분, 유효 성분 등을 수용성의 피막 형성제나 겔화제 등에 의해서 고화된 피부 첩부용의 시트 또는 패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피부 첩부용의 시트 또는 패치는, 피부 상에서 장시간 흘러 떨어지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성분을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습 효과나 약제의 침투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 또는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금까지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노화한 각질 세포를 필 오프(peel off)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팩을 베이스로, 부착성을 억제하여 보습 효과의 향상을 꾀하는 어프로치로서, 폴리아크릴산, 다가 알코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보수성(保水性)이 우수한 저박리력의 팩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겔, 수산화알루미늄 겔,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부형제에 의해 수계 성분을 고화한 보수성이 우수한 팩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수용성 다당류나 증점제에 의해 보습 성분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습 효과의 향상을 꾀하는 어프로치로는, 젤라틴과 폴리아크릴산염에 의해, 다가 알코올, 물 등을 고화한 시트상 팩제(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나, 젤란검(Gellan gum)과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다른 수용성 다당류를 조합한 겔 패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또한 물을 대량으로 포함하는 히드로겔이 아니라, 알코올을 메인으로 배합하는 것으로 보습 효과가 우수한 겔을 이용한 기술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수용성 고분자에 산을 작용시켜 다가 알코올을 겔화시킨 화장용 겔 시트(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에 유화(乳化) 조성물을 유지시킴으로써, 유제(油劑)에 의한 에몰리언트(emollient) 효과의 부여를 꾀하는 어프로치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보습제, 유제를 함유하는 유액(乳液)을 시트상 기재에 함침한 팩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폴리아크릴산계 고분자와 에폭시계 가교제에 의해 다가 알코올, 물, 오일 성분을 고화시켜 제작한 겔상 조성물을 지지체 상 및/또는 지지체 내에 유지시킨 화장용 겔 시트(예를 들면, 특허문헌 7 참조), 다가 알코올,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 이외의 유성 성분, 유화제, 및 물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을, 지지체 상 및/또는 지지체 내에 유지시킨 시트상 팩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8 참조), 다량의 다가 알코올, 물과 실리콘유를, 음이온성 활성제와 고급 알코올에 의해 유화한 조성물을 지지체 상 및/또는 지지체 내에 유지시킨 시트상 팩 화장료(예를 들면, 특허문헌 9 참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유효 성분의 침투성 향상을 꾀하는 어프로치로는, 폴리비닐 알코올에 경피 투여 유효 성분을 유지시킨 피부 첩부용 패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0 참조)나, 젤라틴 또는 그 유도체, 수용성 다당류를 조합한 히드로겔, 및 카로티노이드 함유 O/W형 에멀젼을 함유하고, 카로티노이드의 피부 침투성 향상을 꾀하는 생체용 점착 겔 시트(예를 들면, 특허문헌 11 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소 54-4933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고 소 63-1524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평 8-188527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2000-86496호 공보 특허문헌 5 : 일본 특허공개 2017-200899호 공보 특허문헌 6 : 일본 특허공개 2003-342125호 공보 특허문헌 7 : 일본 특허공개 평 11-228340호 공보 특허문헌 8 : 일본 특허공개 2004-35459호 공보 특허문헌 9 : 일본 특허공개 2009-84240호 공보 특허문헌 10 : 일본 특허공개 소 64-16718호 공보 특허문헌 11 : 일본 특허공개 2009-73764호 공보
그러나, 필 오프 팩을 베이스로 하고 보습 기능 향상을 꾀한 특허문헌 1 및 2의 기술은, 막이 딱딱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당김이나 땡김을 느껴 부담감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겔화제로서 수용성 다당류 또는 젤라틴을 이용한 특허문헌 3 및 4의 기술은, 막의 유연성이 우수하고 부담감은 경감되고 있지만, 휘발성이 높은 물이 메인의 액체 성분이 되어 형성되는 히드로겔이고, 시간 경과에 따라 물이 증발한 후에 남은 보습 성분의 양이 적기 때문에, 보습성의 점에서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10의 기술도, 폴리비닐 알코올에 물을 담지시킨 히드로겔 시트이기 때문에, 수용성 유효 성분의 침투 촉진에는 적합했지만, 보습성에 과제가 남는 것이었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메인 보습제를 다가 알코올로 한 특허문헌 5의 기술은, 보습성은 우수하지만, 겔의 지지체로서 수용성 부직포 또는 수용성 필름의 사용이 요구되어 제조 공정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사용 방법으로서 시트를 피부에 첩부한 후 적당량의 물을 가하고 마사지함으로써, 시트를 물에 용해시켜 피부에 적응시키는 수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시트를 구성하는 겔이 딱딱하고, 또한 지지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물에의 용해성의 점에서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수계의 보습 성분 외에, 에몰리언트 효과를 가지는 유제를 배합한 특허문헌 6 ~ 9의 기술은, 유화에 의해 막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지지체의 병용이 필수이고, 또한 한 장의 막으로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후에 피부 상에 남은 유액을 닦아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특허문헌 11의 기술에서는, 젤라틴 또는 그 유도체를 메인 겔화제로 하는 히드로겔에 O/W의 에멀젼을 첨가함으로써 유제를 배합하면서도, 지지체를 병용하지 않고 겔 조성물 단독으로 시트화를 실현하고 있지만, 특허문헌 3 및 4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히드로겔이기 때문에, 보습성의 점에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보습 효과를 부여하면서, 높은 막강도에 의해 사용성이 우수한 겔 시트를 실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너무 높은 막강도이면, 피부의 움직임 등에 유연하게 추종할 수 없어 부담감이 생기기 쉽고; 물에의 용해성도 낮아지기 쉬우며; 또한 피부에의 적응도 좋지 않은 것; 등이 있다. 반대로 막강도를 낮게 하면, 첩부할 때에 박리 기재로부터 겔 시트를 박리하기 어렵고; 박리한 겔 시트의 피부에의 첩부가 어려우며; 또한 피부 첩부 후에도 형상의 안정이나 유지 등을 위한 지지체가 겔 시트에 필요하게 되어, 지지체가 있는 것으로 마사지 등을 행하기 어려운 것;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겔을 베이스로서 유제를 고배합하면서도,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조성물 자체를 조제하여, 첩부 후에 지지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성이 우수한 겔 시트를 얻기 위한 기술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 때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 유제를 배합함으로써 상기 겔 시트의 에몰리언트 효과를 보다 양호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시트를 피부에 첩부 후 적당량의 물을 가해 성분을 피부에 적응시키는 사용 방법을 상정(想定)한 경우, 물에의 높은 용해성도 겸비하는 기술은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유저가 피부에 적용하기 쉬운 사용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우수한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을 가지고, 우수한 시트의 성형성도 가지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기 위한, 방향성이나 기술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는 것은 기술적 곤란성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보습 효과,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및 시트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피막 형성능이 있는 (a) 폴리비닐 알코올 및 (b) 아크릴산계 폴리머, 및 수계인 (c) 다가 알코올 및 (f) 물과, 유제인 (d) 특정량의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및 (e) 특정량의 액상의 유제를 혼합 분산시켜 O/W 에멀젼 조성물을 얻고,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로부터, 물을 특정량 이하로 한 겔 시트를 얻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우수한 보습성을 가지고, 또한 지지체가 없어도 사용할 수 있는 막강도를 가진 반면, 피부에의 유연한 추종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겔 시트는, 보습성이 우수하면서, 유연성과 강도를 겸비하기 때문에, 사용 시에 지지체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사용성도 우수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시트는, 유연성 및 강도를 겸비하는 특이한 성질을 가지지만, 제조시에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우수한 시트의 성형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시트는, 물에의 높은 용해성을 가짐과 동시에 사용 시에 지지체가 불필요함에 따라, 용이하게 물에 용해 또는 팽윤하여 피부에의 위화감도 없도록 피부에 적응시킬 수 있고, 또한, 겔 시트에 포함되는 성분을 피부에 적응시켜 쉽게 침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시트는, 첩부 후에 지지체가 없어도 상술의 보습 효과나 사용성 등이 우수한 이점이 있어, 지지체가 없어도 좋은 것으로, 본 발명의 겔 시트와 여러 가지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 등을 병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즉, 본 발명자는, (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특정량의 다가 알코올, (d) 특정량의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e) 특정량의 액상의 유제, (f) 특정량 이하의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찾아내, 이로 인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a) ~ (f);
(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다가 알코올 40 ~ 93 질량%
(d) 25℃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의 유제 0.1 ~ 16 질량%
(e) 25℃에서 액상의 유제 1.0 ~ 30 질량%
(f) 물 10 질량% 이하
를 함유하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겔 시트의 두께는 50 ~ 2000μm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a)와 성분(b)의 함유 질량 비율(a)/(b)는 3 ~ 160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a)와 성분(c)의 함유 질량 비율(a)/(c)는 0.02 ~ 0.5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d)와 성분(e)의 함유 질량 비율(d)/(e)는 0.001 ~ 3.5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c)는 글리세린 및/또는 1,3-부틸렌 글리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b)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b)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성분(a)의 비누화도(saponification degree)는 70 ~ 90 mol%이어도 좋다.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은, 1.5 ~ 29 질량%이어도 좋다.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은, 0.03 ~ 4.5 질량%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피부에 첩부하거나, 또는 피부에 첩부한 후에, 물 혹은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상기 첩부한 겔 시트에 가해 상기 겔 시트를 피부에 적응시키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겔 시트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기술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좁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백분율은 특별히 명시되지 않는 한 질량에 의한 표시이다. 또한, 질량%를 간단히 「%」라고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1.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다음의 성분(a) ~ (f);
(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다가 알코올 40 ~ 93 질량%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0.1 ~ 16 질량%
(e) 25℃에서 액상의 유제 1.0 ~ 30 질량%
(f) 물 10 질량% 이하; 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이다.
본 발명은, 피막 형성능이 있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및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와, 수계인 성분(c) 특정량의 다가 알코올과, 유제인 성분(d) 특정량의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및 성분(e) 특정량의 액상의 유제와, 성분(f) 물을, 혼합 분산시켜 O/W 에멀젼 조성물을 얻고,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로부터, 특정량 이하의 함수량의 겔 시트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성분(c) 특정량의 다가 알코올, 성분(d) 특정량의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성분(e) 특정량의 액상의 유제, 성분(f) 특정량 이하의 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유연성과 강도를 겸비하기 때문에 지지체가 없더라도 사용하기 쉽고, 또한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 성분을 겔 시트 중에서 매우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보습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또한 물에의 높은 용해성을 가지므로, 물 또는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한 후에 더 시술(施術)하면서, 시트의 형상을 붕괴시키면서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등의 사용성이 우수하고 보습 효과도 가진다.
<1 (1)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은, 화장료나 의약품 등의 원료로서 공지의 것이고, 수성의 피막 형성제로서 범용되는 것이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아세트산비닐의 아세틸기를 비누화하는 것으로 제조되어 거의 완전하게 비누화를 행한 완전 비누화형과, 아세틸기를 어느 정도 남긴 부분 비누화형으로 크게 나눠진다. 일반적으로 완전 비누화형(98 mol% 초과), 중간 비누화형(90 mol% 초과 98 mol% 이하), 부분 비누화형(70 mol% 이상 90 mol% 이하)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누화도가 다른 폴리비닐 알코올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은, 10 ~ 30℃ 정도의 물에서 용해할 수 있는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어떤 비누화형의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비누화도의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70 mol%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75 mol% 이상, 더 적합하게는 80 mol%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85 mol% 이상이고, 비누화도의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98 mol%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97 mol% 이하, 더 적합하게는 95 mol%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90 mol% 이하이고, 상기 수치 범위로서 보다 적합하게는 70 ~ 90 mol%, 더 적합하게는 80 ~ 90 mol%, 보다 더 적합하게는 85 ~ 90 mol%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서, 적합하게는 비누화도가 80 ~ 90 mol%의 부분 비누화형의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면, 성분(c) 다가 알코올에의 용해성이 높기 때문에 고배합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물에의 용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분자량이나 중합도는 필름 강도의 조절에 유효한 지표이지만,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와의 조합이나, 성분(a) 및 성분(b)의 각각의 함유량을 조정하면 좋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비누화도의 측정 방법>
비누화도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원료인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트산기(아세톡시기: -OCOCH3)가 비누화 공정에 의해 수산기로 변화한 비율을 유닛비(몰%)로 나타낸 것이고, 하기 식: 비누화도(몰%)=100×(수산기의 수)÷(수산기의 수+아세트산기의 수)로 정의된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품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중합도 100 ~ 4000, 보다 적합하게는 100 ~ 2000, 더 적합하게는 100 ~ 1000, 보다 더 적합하게는 200 ~ 700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은, 상술한 비누화도 및 중합도의 양쪽 모두를 조정한 것이어도 좋고, 적합하게는 부분 비누화형 및 중합도 100 ~ 4000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비누화도 80 ~ 90 mol% 및 중합도 100 ~ 1000, 보다 더 적합하게는 비누화도 80 ~ 90 mol% 및 중합도 200 ~ 700이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의 측정 방법>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는 JIS K6726-1994(폴리비닐 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해 용액 점도 측정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판품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200 ~ 3000이다.
상기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후술하는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a)의 폴리비닐 알코올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KURARAY POVAL 204C, KURARAY POVAL 205C, KURARAY POVAL 217C, KURARAY POVAL 220C, KURARAY POVAL 224C(모두 비누화도 88 mol%, Kuraray Co.Ltd. 제)나 GOHSENOL EG-05, GOHSENOL EG-40(모두 비누화도 88 mol%, Nippon Synthetic Chem Industry Co., Ltd. 제)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기술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여러 가지의 폴리비닐 알코올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은,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서 주골격이 되는 피막 형성성 폴리머이고, 성분(c) 다가 알코올을 고화시켜 유연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1.5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2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3 질량%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5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29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26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20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a)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1.5 ~ 29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2 ~ 26 질량%, 더 적합하게는 3 ~ 20 질량%, 보다 더 적합하게는 5 ~ 20 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 25 질량%이면, 시트 강도가 적절하여 보다 양호하고, 5.0 ~ 2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1 (2)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알칼리제를 병용(적합하게는 중화)함으로써 겔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로서 배합할 때 염의 형태이어도 좋다. 상기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수용성의 알칼리증점형 폴리머라고 칭해지는 것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C=C-COOH 골격을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산계 폴리머를 얻기 위한 상기 원료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비닐 아세트산, 티글린산, 2-트리플루오로메틸 아크릴산, 이타콘산, 푸말산, 말레인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글루콘산 등의 카르복실산류;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등의 설폰산류;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등의 에스테르류(상기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은 탄소수 1 ~ 4가 적합), 및 이들의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알킬 아민염 등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원료 모노머 가운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상기 원료 모노머 중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원료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모노머를 적어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주된 성분으로 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머 중의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이다.
상기 메타크릴산계 폴리머가, 메타크릴산 및 상기 메타크릴산과 공중합할 수 있는 모노머의 코폴리머인 경우, 모노머 전체량에 대한 메타크릴산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 100 몰%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100 몰% 미만이다.
이러한 아크릴산계 폴리머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과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과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 모노알킬 에테르)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 모노알킬 에테르)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이타콘산·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폴리옥시에틸렌 모노알킬 에테르)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및 이타콘산(폴리옥시에틸렌 모노알킬 에테르)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나트륨 공중합체,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나트륨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아크릴산계 폴리머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시판품으로서 이하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시판품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b)의 일례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Carbopol 940, Carbopol 941, Carbopol 980, Carbopol 981(이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AQUPEC HV-501, AQUPEC HV-504(이상, SUMITOMO SEIKA CHEMICALS CO.,LTD.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b)의 일례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Carbopol 1342, Carbopol 1382(이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PEMULEN TR-1, PEMULEN TR-2(이상, 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는,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알킬(바람직하게는 알킬기의 탄소수 8 ~ 30(보다 적합하게는 탄소수 10 ~ 30))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성분(b)의 일례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의 분산물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SEPIGEL 305, SEPIGEL 501(이상, SEPPIC 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b)의 일례인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의 분산물의 시판품으로는, SIMULGEL EG(SEPPIC 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b)의 일례인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나트륨 공중합체의 분산물의 시판품으로는, SIMULGEL NS, SIMULGEL FL(이상, SEPPIC 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가운데,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카보머라고도 한다),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이, 적절한 딱딱함의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산계 폴리머를 함유시킴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b)의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염; L-아르기닌, L-리신 등의 아미노산염 등의 중화제로 O/W 에멀젼 조성물을 얻을 때에 반응이나 중화하고 증점시켜 이용해도 좋고, 중화제로 반응이나 중화시킨 것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성분(b)의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5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500 이상 500만 이하이다.
상기 성분(b)의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수용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서 GPC(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참고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140056호 공보 등 참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03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05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0.2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4.5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4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2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b)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3 ~ 4.5 질량%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05 ~ 3 질량%이고, 더 적합하게는 0.1 ~ 2 질량%이고, 보다 더 적합하게는 0.1 ~ 1.5 질량%이고, 보다 더 적합하게는 0.1 ~ 1.0 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0.1 ~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시트화하기 전의 O/W 에멀젼의 점도를 적절하게 할 수 있어 전연(展延)하기 쉽고, 또한 (a) 폴리비닐 알코올과 조합한 경우에 적절한 유연성과 강도를 가지는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는, 균일성과 연속성이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유연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하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과 조합함으로써 강도가 뛰어난 부드러운 막을 형성하고,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서, 막강도나 부담감 없음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성분(a) 및 상기 성분(b)을 조정함으로써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과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함유 질량 비율(a)/(b)는,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2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3.5 이상, 더 적합하게는 4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5 이상, 더 적합하게는 6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9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160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150 이하, 더 적합하게는 100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70 이하이다. 상기 성분 함유 질량 비율(a)/(b)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3 ~ 160, 보다 적합하게는 4 ~ 150, 더 적합하게는 5 ~ 100, 보다 더 적합하게는 6 ~ 70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과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를 조합함으로써 겔 시트의 유연성과 딱딱함의 조정을 행하기 위해, 성분(a)와 성분(b)의 함유 질량 비율(a)/(b)는 4.0 ~ 150이 바람직하고, 5.0 ~ 100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적절한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막강도와 부담감 없음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얻어진다.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1 (3) 성분(c) 다가 알코올>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c) 다가 알코올은, 골격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구조의 알코올이고, 통상 화장료 등에 이용되는 것이면, 이것들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c) 다가 알코올은, 골격의 탄소수가 3 ~ 9인 것이 적합하다. 성분(c) 다가 알코올은, 골격 내에 알킬기 또는 알킬렌 글리콜 부분을 1 ~ 3개 가지는 구조가 적합하고, 또한 상기 알킬기 또는 알킬렌 부분의 탄소수는 3 ~ 6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성분(c) 다가 알코올은, 골격 내에 히드록실기를 2개 또는 3개 이상 가지는 구조가 적합하다.
이러한 다가 알코올로는, 1,3-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2-펜탄 디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2가 알코올 및/또는 3가 알코올이 적합하고, 또한 이들 중, 글리세린, 및/또는 1,3-부틸렌 글리콜이,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및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용해성,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염가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가 알코올을 함유시킴으로써,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가 알코올에 의해서, 상기 성분(a)와 성분(b)의 관계에서, 유연성 및 막강도가 보다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분산성이나 팽윤성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c)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35 질량%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40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45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50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95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94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93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90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85 질량%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8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c)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35 ~ 95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40 ~ 93 질량%, 더 적합하게는 50 ~ 80 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산성이나 팽윤성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c)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50 ~ 95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80 질량%이다. 이 범위 내이면 막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사용 후에 높은 보습성이 얻어지는 겔 시트가 된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의 3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25 ~ 85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40 ~ 80 질량%, 더 적합하게는 50 ~ 70 질량%이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의 2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1 ~ 30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1 ~ 20 질량%, 더 적합하게는 5 ~ 15 질량%이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함유 질량 비율(3가 알코올/2가 알코올)은, 적합하게는 3 ~ 9, 보다 적합하게는 4 ~ 8, 더 적합하게는 4 ~ 7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c)의 다가 알코올은,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형성하는 주용매이고, 피부에 대해서 높은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은, (c) 다가 알코올을 유지하여 겔을 형성하는 메인의 피막 형성능을 가지기 위해, 성분(a)와 성분(c)의 사이에는 적합한 배합 비율이 존재하므로, 상기 적합한 배합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와 성분(c)의 사이에는 적합한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분산성이나 팽윤성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등에 대해서도 보다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과 성분(c) 다가 알코올 함유 질량 비율(a)/(c)는,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01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02 이상, 더 적합하게는 0.03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0.04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05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5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0.4 이하, 더 적합하게는 0.3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0.25 이하이다. 상기 성분 함유 질량 비율(a)/(c)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2 ~ 0.5, 보다 적합하게는 0.03 ~ 0.4, 더 적합하게는 0.04 ~ 0.3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과 성분(c) 다가 알코올 함유 질량 비율(a)/(c)는, 0.03 ~ 0.4가 바람직하고, 0.05 ~ 0.3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막강도와 부담감 없음이 더 우수하고 물에의 용해성도 보다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얻어진다.
<1 (4)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d) 25℃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의 유제는, 25℃에서 고형상 또는 반고형상의 유제이고, 상기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이하,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라고도 한다)는 통상의 화장료 등에 함유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d)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로서 예를 들면,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 등을 기원으로 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고급 알코올계 오일, 에테르계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반고형상 내지 고형상이란, 레오미터(FUDO kougyou, Inc. 제)에 의해 측정한 겔 경도(검체 보존 온도 25℃, 감압축(어댑터)의 침경(針徑) 10 mmφ, 침입(針入) 속도 60 mm/min에서의 침입도(針入度) 시험에서, 감압축을 깊이 5 mm까지 밀어 넣을 때에 감압축에 걸리는 최대 하중)이 15 gf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gf 이상이고, 상온(약 20 ~ 30℃)에서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성분(d) 고형의 유제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계 고형유, 에스테르계 고형유, 고급 알코올계 고형유, 실리콘계 고형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몬탄 왁스, 피셔 트롭쉬 왁스(Fischer-Tropsch Waxes) 등의 탄화수소계 고형유, 수소 첨가 호호바유, 밀랍,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라이스 왁스, 에이코센/비닐 피롤리돈) 코폴리머, α-올레핀·비닐 피롤리돈 공중합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등의 에스테르계 고형유, 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계 고형유, (아크릴레이츠/아크릴산베헤닐/메타크릴산디메티콘) 코폴리머, (아크릴레이츠/아크릴산 스테아릴/메타크릴산디메티콘) 등의 실리콘계 고형유를 들 수 있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d) 반고형의 유제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계 반고형유, 에스테르계 반고형유, 에테르계 반고형유, 실리콘계 반고형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반고형유,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신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신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등의 디펜타에리트리트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경화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경화 피마자유, 히드록시스테아린산 경화 피마자유 등의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등의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올레인산 피토스테릴, 마카데미안넛트유 지방산 피토스테릴 등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소 첨가 야자유, 수소 첨가 팜유 등의 수소 첨가 식물유,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 펜타히드록시스테아린산 수크로오스,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옥틸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 등의 에스테르계 반고형유, 히드록시알킬다이머실리놀레일 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반고형유, 트리베헤닌 등의 트리글리세리드계 반고형유, 디메티콘 크로스 폴리머,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 폴리머 등의 실리콘계 반고형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는, 겔 시트의 막강도를 높이고, 또한 시트화 전의 O/W 에멀젼에 점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완수하기 때문에, 성형성의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 관점에서, 융점이 50℃ 이상에 있는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고급 알코올계, 실리콘계 등의 고형유가, 막강도 및 성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성분(d) 전체량 중에 30 ~ 10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성분(a)와 성분(b)의 관계에서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05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08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19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16 질량%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1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d)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8 ~ 19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1 ~ 16 질량%, 더 적합하게는 0.5 ~ 15 질량%, 보다 더 적합하게는 1 ~ 15 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의 함유량은,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0.1 ~ 16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질량%이다. 이 범위 내이면 막강도와 물에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양호한 겔 시트가 된다.
<1 (5)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이하, 「액상의 유제」라고도 한다)는, 25℃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유제를 의미하는 것이고,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로서 예를 들면, 휘발성, 비휘발성이나, 동물유, 식물유, 합성유 등의 기원에 관계없이, 탄화수소류, 유지류, 자외선 흡수제도 포함하는 에스테르 오일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실리콘 오일류, 불소계 오일류, 라놀린 유도체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예를 들면, 극성유)로서 구체적으로는, 올리브유, 피마자유, 밍크유, 마카데미안넛트유, 아보카도유, 메도우폼(Meadowfoam)유 등의 유지류; 호호바유,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아디핀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디-2-헵틸 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 알킬 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산산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2-에틸 헥산산 세틸, 올레인산 올레일, 올레인산 옥틸 도데실, 올레인산 데실, 디카프린산네오펜틸 글리콜, 구연산 트리에틸, 석신산 2-에틸헥실,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스테아린산 부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젖산 세틸, 젖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2-에틸헥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헵틸 운데실, 디펜타에리트리트 지방산 에스테르,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2-옥틸 도데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우린산 에틸, 라우린산 헥실, 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데카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릴, 미리스틴산 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트리멜리트산 트리트리데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 도데실 에스테르,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아릴·2-옥틸 도데실) 등의 에스테르류; 이소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의 지방산류; 올레일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 알코올 등의 라놀린 유도체류, 등의 극성유를 들 수 있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예를 들면, 비극성유)로서 구체적으로는, 저중합도 디메틸 폴리실록산, 고중합도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불소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류; 퍼플루오로데칸, 퍼플루오로옥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의 불소계 유제류;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α-올레핀 올리고머, 스쿠알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등의 탄화수소류, 등의 비극성유를 들 수 있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로서 에스테르계, 고급 알코올계, 실리콘오일계, 및 탄화수소계 등의 액상유가 적합하다. 상기 액상의 유제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성분(e) 전체량 중에 3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는, 이러한 극성유 및 비극성유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는, 에몰리언트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서 보습 효과의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막에 가소성을 부여하여 부담감 없음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는, 유용성 유효 성분을 배합했을 때에, 피부에의 침투를 촉진하는 역할을 완수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20℃에서의 점도가 500 mPa·s 이하인 저점도 액상유를 포함하면 더 바람직하고, 특히 200 mPa·s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점도 액상유는, 성분(e) 전체량 중에 30 ~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점도유로는, 유동 파라핀,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테트라 2-에틸 헥산산 펜타에리스리틸, 디메틸폴리실록산, 2-에틸헥산산 세틸,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틸도데칸올, 데실테트라데칸올,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리놀레산 에틸, 및 젖산 세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성분(e) 액상의 유제의 점도는, 다음의 방법으로 구해진다. 브룩필드형 점도계인, 단일 원통형 회전 점도계 비스메트론(Vismetron)(등록상표)(SHIBAURA SYSTEM  사 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 방법은, 측정 시료를 외경 45 mm, 내경 38 mm, 높이 82 mm의 유리제 병에 에어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도록 충전하고, 뚜껑을 덮어 20℃ 항온조에서 일주야(一晝夜) 방치한다. 다음날, 20℃로 조정한 실내에서, 단일 원통형 회전 점도계 비스메트론(등록상표)에서, 부속의 1 ~ 4호 로터를 이용하여 6 ~ 30 회전으로 1 분 후의 측정치를 읽어내고, 각각의 승수를 곱해, 점도치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의 성분(e) 액상의 유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1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3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32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25 질량%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e)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5 ~ 32 질량%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1 ~ 30 질량%이고, 더 적합하게는 1 ~ 20 질량%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성분(e) 액상의 유제의 함유량은, 1.0 ~ 30%가 바람직하고, 1.0 ~ 2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보습 효과가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는, 겔 시트의 막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고,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는, 막의 가소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적절한 막강도로 조정하기 위해, 성분(d)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와 성분(e) 액상의 유제의 함유 질량 비율(d)/(e)는,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001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005 이상, 더 적합하게는 0.01 이상, 보다 더 적합하게는 0.05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1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5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4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3.5 이하, 더 적합하게는 3.1 이하, 보다 더 적합하게는 3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2.5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2 이하이다. 상기 성분 함유 질량 비율(d)/(e)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01 ~ 3.5, 보다 적합하게는 0.003 ~ 3.1, 더 적합하게는 0.1 ~ 2.5, 보다 더 적합하게는 0.5 ~ 2이다.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적절한 막강도로 조정하기 위해, 성분(d)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와 성분(e) 액상의 유제의 함유 질량 비율(d)/(e)는, 0.003 ~ 3.1이 바람직하고, 0.003 ~ 3.0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 3.0이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으면, 막강도와 부담감 없음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얻어진다.
<1 (6) 성분(f) 물>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는, 성분(f) 물을 함유해도 좋다. 물은 통상 화장료 등의 조성물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정제수, 식물 등의 수증기 증류수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분(f)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10 질량% 이하이면, 보습 효과, 막강도,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상기 성분(f) 물의 함유량은, 적합하게는 8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5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f)의 물의 함유량은, 본 기술의 O/W 에멀젼 조성물로부터 겔 시트를 형성시킬 때, 건조 등에 의해 10 ~ 0 질량%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성분(f) 물의 양의 조정은, 조제된 O/W 에멀젼 조성물을, 소망한 두께, 형상의 시트로 성형한 후, 열풍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 건조, 흡인 건조, 증기 건조, 핫 플레이트 건조, 냉동 건조 등의 공지의 건조 방법에 따라, 수분을 건조 제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함량의 측정 방법: 칼 피셔(Karl-Fischer)법>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서의 물의 함유량은, JIS K 0068 기재의 칼 피셔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칼 피셔법을 이용한 수분계로는, 칼 피셔 용량법 수분계(HIRANUMA SANGYO Co., Ltd. 제의 미량 수분 측정 장치(AQV-7) 등)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매로는 메탄올을 사용한다.
<1 (7)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되는 임의 성분, 예를 들면, 분말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성분(a) 및 (b)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나 피막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pH 조정제, 피부 영양제, 비타민,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조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호한 에멀젼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작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는, 성분(g)으로서 계면활성제를 더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성분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친유성 및 친수성)를 들 수 있고,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예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고급 지방산 아미드 설폰산염(적합하게는, 스테아로일메틸 타우린 나트륨 등) 및/또는 인지질(적합하게는, 레시틴, 수소 첨가 레시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 그 하한치로서 적합하게는 0.05 질량% 이상, 보다 적합하게는 0.1 질량% 이상, 더 적합하게는 0.5 질량% 이상이고, 그 상한치로서 적합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적합하게는 2.5 질량% 이하, 더 적합하게는 2 질량%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1 ~ 3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5 ~ 2 질량%이다. 계면활성제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기 위한 양호한 O/W 에멀젼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성분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연성 및 막강도가 양호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물 팽윤에 의한 붕괴성이나 성형성,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해서도 양호하게 조정된 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지방산 비누(예를 들면, 라우린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등); 고급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칼륨 등);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POE-라우릴 황산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나트륨 등); N-아실 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 사르코신나트륨 등); 고급 지방산 아미드 설폰산염(예를 들면, N-미리스토일-N-메틸 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 타우리드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 타우린나트륨, 라우릴메틸 타우리드나트륨 등); 설포석신산염(예를 들면, 디-2-에틸헥실 설포석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설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설포석신산나트륨 등); 알킬 벤젠 설폰산염(예를 들면, 리니어 도데실 벤젠 설폰산나트륨, 리니어 도데실 벤젠 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 도데실 벤젠 설폰산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염(예를 들면,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등); N-아실 글루타민산염(예를 들면, N-라우로일 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등); 황산화유(예를 들면, 로트유 등); POE-알킬에테르 카르복실산; POE-알킬알릴에테르 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 설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2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 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 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카제인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염화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등); 알킬 피리디늄염(예를 들면, 염화세틸 피리디늄 등); 염화디알킬 디메틸 암모늄염(예를 들면, 염화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염 등); 염화폴리(N,N'-디메틸-3, 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 디메틸 벤질 암모늄염; 알킬 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 몰포늄염; POE-알킬 아민; 알킬 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린계 양성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드-1-카르복시에틸옥시 2 나트륨염 등);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알킬 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인지질(예를 들면, 레시틴, 수소 첨가 레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레시틴의 유래로서 대두, 계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 소르비탄 등);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르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사과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 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 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린산 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 에테르, POE-올레일 에테르, POE-스테아릴 에테르, POE-베헤닐 에테르, POE-2-옥틸 도데실 에테르, POE-콜레스타놀 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 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모노부틸 에테르, POE·POP-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 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 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Tetronic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말레인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밀랍 등); 알칸올 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린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 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 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에톡시 디메틸 아민 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 분말(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소석고), 인산칼슘, 불소 아파타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예를 들면, 미리스틴산아연, 팔미틴산칼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유기 분말(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산화철, 저차(低次) 산화티탄 등); 무기 자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된 마이카, 산화티탄 코팅된 옥시 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 산화티탄 코팅된 마이카, 옥시 염화비스무트, 어린박(魚鱗箔) 등); 금속 분말 안료(예를 들면, 알루미늄 파우더, 구리 파우더 등);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안료(예를 들면,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등색(橙色)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청색 404호,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및 청색 1호 등); 천연색소(예를 들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검, 갈락탄, 구아 검, 카로브(CAROB) 검, 카라야(KARAYA)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씨드(QUINCE SEED)(마르멜로), 조류 콜로이드(algae colloid)(갈조 추출물),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시리진산); 미생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플루란 등); 동물계 고분자(예를 들면,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전분계 고분자(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전분, 메틸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알긴산계 고분자(예를 들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비닐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 검, 카라기난, 카라야 검, 트라가칸트 검, 카로브 검, 퀸스씨드(마르멜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CMC,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PVM, PVP, 로커스트 콩검, 구아 검, 타마린드 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오스, 크산탄 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VEEGUM), 라포나이트,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파라아미노안식향산(이하, PABA로 약칭한다), PABA 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부틸 에스테르, N,N-디메틸 PABA 에틸 에스테르 등);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호모멘틸-N-아세틸 안트라닐레이트 등);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아밀 살리실레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파놀페닐 살리실레이트 등);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 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시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 3-(4'-메틸벤지리덴)-d,l-캄퍼-, 3-벤지리덴-d,l-캄퍼-; 2-페닐-5-메틸벤족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진; 디아니소일 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닐리덴)-3-펜탄-2-온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4 나트륨염, 에데트산 2 나트륨, 에데트산 3 나트륨, 에데트산 4 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석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 히드록시에틸 3 아세트산 3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적합하게는 탄소수 1 ~ 4)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 알코올, t-부틸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면, 3탄당(예를 들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 아세톤 등); 4탄당(예를 들면, D-에리트로오스, D-에리트룰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스리톨 등); 5탄당(예를 들면, L-아라비노스, D-크실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오스, D-리불로오스, D-크실룰로오스, L-크실룰로오스 등); 6탄당(예를 들면,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럭토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7탄당(예를 들면, 알드헵토오스, 헵토오스 등); 8탄당(예를 들면, 옥툴로오스 등); 데옥시당(예를 들면, 2-데옥시-D-리보오스, 6-데옥시-L-갈락토오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 아미노당(예를 들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우론산(예를 들면, D-글루쿠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Iduronic acid)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면, 자당, 군티아노오스, 운벨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프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오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운비리신(umbilicin), 스타키오스베르바스코오스(stachyose verbascose)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퀸스씨드, 콘드로이틴 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 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 황산, 히알루론산, 트라가칸트 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크산탄검, 무코이틴 황산, 구아 검, 덱스트란, 케라토 황산, 로커스트 콩검, 석시노글루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 중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염기성 아미노산(예를 들면, 히드록시리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 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 나트륨, 글루타치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몰포린,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면, 젖산-젖산 나트륨, 구연산-구연산 나트륨, 석신산-석신산 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는, 예를 들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토코페롤류,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갈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조제로는, 예를 들면, 인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말레인산, 말론산, 석신산, 푸말산, 세팔린(cephalin),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 디아민 4 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함유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소염제(예를 들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 아연, 알란토인 등); 미백제(예를 들면, 태반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각종 추출물(예를 들면, 황벽나무, 황련, 자근, 작약, 자주쓴풀, 자작나무, 세이지, 비파나무,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의이인(薏苡仁), 수세미, 백합, 샤프란, 천궁,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등), 부활제(예를 들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혈행 촉진제(예를 들면, 노닐산바닐릴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 팅크(cantharides tincture), 이크타몰(ichthammol),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cyclandelate), 신나리진(cinnarizine),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verapamil), 세파란틴(cepharanthine), γ-오리자놀 등); 항지루제(예를 들면, 황, 티안톨(thianthol) 등); 항염증제(예를 들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품이나 의약 부외품 등에 배합할 수 있는 유효 성분, 예를 들면, 미백 효과,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배합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균제, 미백제, 항주름 성분, 항염증제, 세포 부활제, 활성 산소 제거제, 보습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균제는, 예를 들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파라옥시 안식향산에스테르, 염화벤잘코늄, 페녹시 에탄올,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미백제는, 썬탠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흑화, 색소 침착에 의해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알부틴, 엘라그산(ellagic acid), 리놀레산, 비타민 C 및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글리시리진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 유도체, 트라넥삼산, 태반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감초 추출물, 찔레꽃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고삼 추출물, 계혈등(鷄血藤)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미강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캡사이신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산편두(山扁豆)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선복화(旋覆花) 추출물, 대두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백련 추출물, 포도 추출물, 홉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목화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주름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레티놀, 레티노인산, 아세트산 레티놀, 팔미틴산레티놀 등의 레티노이드, 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구연산, 과일산, 글리콜산, 젖산 등의 α-히드록시산, α-히드록시산콜레스테롤, 루틴 당 유도체, N-메틸세린, 엘라스틴, 콜라겐, 세리신, 병풀(Centella asiatica) 엑기스, 황금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는, 썬탠 후의 피부의 화끈거림이나 홍반 등의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황 및 그 유도체, 글리시리진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 유도체, 알테아(Althea) 추출물, 아시타바(Ashitaba) 추출물, 아르니카(Arnica) 추출물, 인진호(茵蔯蒿)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황벽나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카밀레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캄프리 추출물, 사루비아 추출물, 자근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세포 부활제는, 피부염의 개선 등의 목적에 이용되고, 예를 들면, 카페인, 계관 추출물, 패각 추출물, 로열 젤리, 실크 프로테인 및 그 분해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 락토페린 또는 그 분해물,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 등의 무코 다당류 또는 이들의 염, 콜라겐, 효모 추출물, 젖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발효 대사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대맥 추출물, 자주쓴풀 추출물, 대추 추출물, 당근 추출물, 로즈메리 추출물, 글리콜산, 구연산, 젖산, 사과산, 주석산, 석신산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산소 제거제는, 과산화 지질 생성 억제제 등의 작용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슈퍼옥시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만니톨, 퀘르세틴, 카테킨 및 그 유도체, 루틴 및 그 유도체, 보탄피 추출물, 야샤열매 추출물, 멜리사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카로티노이드 등의 비타민 A류, 티아민 및 그 유도체, 리보플라빈 및 그 유도체, 피리독신 및 그 유도체, 니코틴산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E류, 디부틸 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 히드록시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는, 예를 들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의 단백질 또는 이들의 유도체, 가수분해 및 이들의 염, 글리신, 세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르기닌, 테아닌 등의 아미노산 및 이들의 유도체, 트레할로오스, 이노시톨, 글루코오스, 자당 및 그 유도체, 덱스트린 및 그 유도체, 벌꿀 등의 당류, D-판테놀 및 그 유도체, 요소, 인지질, 세라미드, 황련 추출물, 창포 추출물, 지황 추출물, 천궁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타임(Thymus vulgaris)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하마멜리스(Hamamelis)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마르멜로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2.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원료 조성물 및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i) 상기 성분(a) ~ 성분(f) 및 적절히 상기 <임의 성분>을 포함하는 O/W 에멀젼 원료 조성물을 제작하는 것, (ii)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하고 소정의 수분량까지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i)에서의 조성물을 에멀젼화하는 제조 방법은, 공지의 에멀젼화의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O/W 에멀젼 조성물은, 상기 성분(a) ~ 성분(f) 및 적절히 상기 <임의 성분>을 혼합 등에 의해서 유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은, 성분(d)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및 성분(e) 액상의 유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유상(油相)과,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성분(c) 다가 알코올, (f) 물을 적어도 포함하는 수상을, 유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성분(c) 다가 알코올 및 성분(f) 물을 포함하는 수계 중에,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및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를 용해시켜, 이 수계에, 성분(d) 및 성분(e)의 고형유 등을 포함하는 유제를 분산시켜 얻을 수 있다. 이 제조 공정에서, 적절하게 계면활성제 등의 임의 성분을 첨가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거나 효과를 기대하는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성분(f)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분산액과 성분(d) 및 성분(e)의 고형유 등을 포함하는 유제를 혼합 분산시키고, 이 분산액에,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성분(c) 다가 알코올 및 성분(f) 물을 포함하는 수계를 분산시켜 얻을 수 있다. 이 제조 공정에서, 적절히 계면활성제 등의 임의 성분을 첨가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거나 효과를 기대하는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O/W 에멀젼 조성물의 상기 성분(a) ~ 성분(f) 및 적절히 상기 <임의 성분>의 각 함유량 또는 질량 함유 비율은, 상술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각 성분의 함유량 또는 질량 함유 비율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W 에멀젼 조성물에서, 성분(f) 물 이외의 성분의 전체량을 100 질량%로 한 경우의 조성물(이하,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이라고도 한다) 중의 각 조성물의 함유량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합하게는 2 ~ 26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3 ~ 20 질량%, 더 적합하게는 5 ~ 20 질량%이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0.05 ~ 3 질량%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0.1 ~ 2 질량%이고, 더 적합하게는 0.1 ~ 1.5 질량%이고, 보다 더 적합하게는 0.1 ~ 1.0 질량%이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c)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35 ~ 94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40 ~ 95 질량%, 더 적합하게는 50 ~ 80 질량%이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d)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0.08 ~ 19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1 ~ 16 질량%, 더 적합하게는 0.5 ~ 15 질량%, 보다 더 적합하게는 1 ~ 15 질량%이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e) 액상의 유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0.5 ~ 32 질량%이고, 보다 적합하게는 1 ~ 30 질량%이고, 더 적합하게는 1 ~ 20 질량%이다.
또한,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성분(f)량 제외) 중의 성분(g)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0.1 ~ 3 질량%, 보다 적합하게는 0.5 ~ 2 질량%이다.
또한, O/W 에멀젼 조성물에 사용하는 물의 양은, O/W 에멀젼 형성 가능한 양으로 또한 건조 후에 소망한 수분 함량의 겔 시트로 형성 가능한 양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수분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O/W 에멀젼 조성물 중에, 10 ~ 50 질량%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 중의 함유 질량 비율(a)/(b)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3 ~ 160, 보다 적합하게는 4 ~ 150, 더 적합하게는 5 ~ 100, 보다 더 적합하게는 6 ~ 70이다.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 중의 함유 질량 비율(a)/(c)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2 ~ 0.5, 보다 적합하게는 0.03 ~ 0.4, 더 적합하게는 0.04 ~ 0.3이다.
상기 O/W 에멀젼 조성물 중의 함유 질량 비율(d)/(e)의 보다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서 적합하게는 0.001 ~ 3.5, 보다 적합하게는 0.003 ~ 3.1, 더 적합하게는 0.1 ~ 2.5, 보다 더 적합하게는 0.5 ~ 2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시트는, 상기 O/W 에멀젼 원료 조성물을, 소망한 두께, 형상의 시트로 성형한 후, 공지의 건조 방법(예를 들면, 열풍 건조, 적외선 건조, 진공 건조, 흡인 건조, 증기 건조, 핫플레이트 건조, 냉동 건조 등)에 의해, 수분을 소망한 함유량이 되도록, 건조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성형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면, 겔 시트 형성용의 조성물을 박리 기재 필름 상에 균일의 두께가 되도록 전개하고, 가열 건조 후에, 절단하여 소정 형상의 시트를 얻는 방법(캐스트법), 롤, 블레이드, 캘린더 등을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박리 기재 필름에 소망한 두께로 코팅을 행하고, 가열 건조 후에, 절단하여 소정 형상의 시트를 얻는 방법(코팅법),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부(트레이)에 상기 조성물을 충전하고, 그 후 가열 건조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시트를 얻는 제조하는 방법, 겔 시트의 형상에 대응한 개공(開孔)이 형성되어 있는 공판을 이용하여 상기 개공에 상기 조성물을 충전하고, 박리 기재 필름 상에 상기 조성물을 인쇄한 후에, 가열 건조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시트를 얻는 제조하는 방법(공판 인쇄) 등을 들 수 있지만, 어떤 수법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박리 기재를 붙인 상태로 플라스틱제 등의 포장 용기에 수납 또는 밀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박리 기재는,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사용 시에 박리할 수 있는 기재가 바람직하고, 필름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 등이어도 좋고, 그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박리 기재 필름이나 트레이의 재질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종이,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가 박리하기 쉽도록, 표면에 실리콘이나 불소 등, 각종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겔 시트의 형상으로는, 첩부 대상 부위에 첩부하기 쉽도록 최적의 형상으로 하면 좋고, 원형, 타원형, 스퀘어상, 구옥상(勾玉狀), 페이스상 등,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얻어진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유연성과 강도를 겸비하기 때문에, 지지체가 불필요하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더욱 높은 수용성에 의해, 용이하게 물에 용해하여 피부에 적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으로는, 시트 단독으로의 사용은 물론, 시트를 피부에 첩부한 후에, 적당량의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등의 조성물을 상기 첩부한 시트에 가해 마사지하는 사용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이하게 시트가 물에 용해되어, 보습 성분 및 배합 유효 성분 등의 각종 성분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지지체가 없어도 취급하기 쉽고, 물에 녹기 쉽기 때문에, 여러가지 사용법에 적용하기 쉽다.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성분(b) 아크릴산계 폴리머, 성분(c) 다가 알코올 및 성분(f) 물 및 적절히 임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겔 내에, 성분(d) 및 성분(e)의 유제가 분산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유제에 의한 가소 효과에 의해 겔이 부드러워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유제를 배합하지 않는 종래의 겔 시트와 비교하여, 현격히 물에 용해하기 쉽고, 마사지했을 때 녹고 남은 파편을 일으키지 않는 것에 큰 특징을 가진다.
또한, 막강도, 보습 효과, 물에의 용해성을 보다 양호하게 양립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막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 때 막의 두께로서 50 ~ 2000μm가 바람직하고, 100 ~ 1000μm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겔 시트의 막의 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터(Mitutoyo Corporation 제: MDE-25MJ)를 이용하여 겔이 건조한 후에 측정을 행한 값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다음의 성분(a) ~ (f);
(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다가 알코올 40 ~ 93 질량%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0.1 ~ 16 질량%
(e) 25℃에서 액상의 유제 1.0 ~ 30 질량%
(f) 물 10 질량% 이하
를 함유하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
[2] 상기 겔 시트의 두께가 50 ~ 2000μm인, 상기 [1]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3] 상기 성분(a)와 성분(b)의 함유 질량 비율(a)/(b)는 3 ~ 160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상기 (a)/(b)는 4.0 ~ 150이다.
[4] 상기 성분(a)와 성분(c)의 함유 질량 비율(a)/(c)는 0.02 ~ 0.5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5] 상기 성분(d)와 성분(e)의 함유 질량 비율(d)/(e)는 0.001 ~ 3.5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d)/(e)는, 0.003 ~ 3.0이다.
[6] 상기 성분(c)는 글리세린 및/또는 1,3-부틸렌 글리콜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7] 상기 성분(b)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상기 폴리머 중의 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이다.
[8] 상기 성분(b)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인,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9] 상기 성분(a)의 비누화도는 70 ~ 90 mol%인,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비누화도는 80 ~ 90 mol%이다.
[10]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은, 1.5 ~ 29 질량%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3.0 ~ 25 질량%이다.
[11]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은, 0.03 ~ 4.5 질량%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0.1 ~ 2.0 질량%이다.
[12] 상기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는, 중합도 100 ~ 4000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13] 상기 성분(b)의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적합하게는 500 이상 500만 이하인,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14] 성분(c) 다가 알코올은, 골격에 히드록실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구조의 알코올인, 상기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다가 알코올로는,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트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2-펜탄 디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15] 또한 성분(g)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적합하게는 0.1 ~ 3 질량%이다.
[16]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피부에 첩부하거나, 또는 피부에 첩부한 후에, 물 혹은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상기 첩부한 겔 시트에 가해 상기 겔 시트를 피부에 적응시키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
[17] 상기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겔 시트를 사용하는, 상기 [16] 기재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
[18]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성분(a) 폴리비닐 알코올, (b) 아크릴산계 폴리머, (c) 다가 알코올,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e) 25℃에서 액상의 유제, 성분(f) 물을 포함하는 O/W 에멀젼 조성물이고,
성분(f) 물 이외의 성분의 전체량을 100 질량%로 한 경우, 상기 (c) 다가 알코올이 40 ~ 93 질량%, 상기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가 0.1 ~ 16 질량%, 상기 (e) 25℃에서 액상의 유제가 1.0 ~ 30 질량%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O/W 에멀젼 조성물.
더 적합하게는, 성분(f) 물 이외의 성분의 전체량을 100 질량%로 한 경우, 상기 성분(a)의 함유량은 1.5 ~ 29 질량%, 및/또는 상기 성분(b)의 함유량은 0.03 ~ 4.5 질량%이다.
[19] 상기 [18]의 O/W 에멀젼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형성하고, 소정의 수분량까지 건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 또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제조 방법.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 피부 첩부용 겔 시트>
표 1 ~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하기 제조 방법에 따라 조제하고,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각 항목에 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방법 및 판정 기준으로 평가 판정하여, 결과를 함께 표 1 ~ 표 5에 나타냈다.
*1: Resinol S-10 (Nikko Chemicals Co., Ltd. 제)
*2: Nikkol SMT (Nikko Chemicals Co., Ltd. 제)
*3: PERFORMALENE 500 (New Phase Technologies 제)
*4: T.I.O (Nisshin OilliO Group, Ltd. 제)
*5: CARBOPOL 980(카르복시비닐 폴리머)(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6: CARBOPOL 1382(아크릴레이츠/아크릴산알킬(C10-30)) 크로스 폴리머)(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7: SIMULGEL EG(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Na) 코폴리머(SEPPIC 사 제)
*8: METOLOSE 65SH4000 (Shin-Etsu Chemical Co., Ltd. 제)
*9: KELTROL (CPKelco 제)
*10: PVA-205(Kuraray Co.Ltd. 제)
*11: PVA-105(Kuraray Co.Ltd. 제)
또한 성분(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의 표 중의 No.3 폴리에틸렌 왁스 및 No.4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No.5 바셀린은, 겔 경도(검체 보존 온도 25℃, 감압축(어댑터)의 침경 10 mmφ, 침입 속도 60 mm/min에서의 침입도 시험에서, 감압축을 깊이 5 mm까지 밀어 넣을 때에 감압축에 걸리는 최대 하중)이 15 gf 이상이다.
또한, 표 중의 No.6 유동 파라핀, No.7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No.9 디메틸 폴리실록산은, 성분(e) 25℃에서 액상의 유제이다.
또한, 표 중의 No.10 카보머, No.11 아크릴산·메타크릴산 공중합체, No.12(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Na)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분석(표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에서, 500 이상 500만 이하이다.
(제조 방법)
A: 성분(1) ~ (2)에 물 1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3) ~ (9)를 9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C: 성분(10) ~ (22)에 물 3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D: A에 B를 가하고, 7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E: 70℃에서 D를 교반하면서 C를 가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해, O/W 유화형의 원료 조성물을 얻는다.
F: E를 두께 50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닥터 블레이드로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전연 성형하고, 60℃의 송풍 건조기로 1시간 가열 건조시켜, 실온으로 냉각함으로써, 막의 두께 300μm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었다. 이 때 얻어진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중의 물 함유량은, 「수분이 완전하게 증발하였다」라고 가정하여, 0 질량%로 하고 있다. 또한 <물함량의 측정 방법: 칼 피셔법>에서,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11의 겔 시트 중의 물 함유량은 1 질량% 미만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1 질량% 미만을 0 질량%로 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0 및 비교예 12에서의 성분(f) 물의 양은, 건조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소정의 양으로 조정하였다.
[보습 효과]
처음에 전완 내측부에 아무것도 도포되어 있지 않은 피부의 초기 수분량을, SKICON-200EX(IBS 사 제)로 측정한 후, 한 변 2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한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의 각 겔 시트를 전완 내측부에 첩부하고, 첩부 6시간 후에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다. 각 샘플은, 5명의 정상인에서 측정하고, 초기 상태의 수분량을 100으로 한 경우, 6시간 후의 수분량을 상대치로서 산출하고, 각 패널의 상대치 평균 수분량에 의해 이하의 4 단계 판정 기준에 따라서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4 단계 평가 판단 기준
(평가)                   : (판정 기준)
초기 수분량에 대해서 상대치 평균 수분량이 150% 이상
: ◎(우수)
초기 수분량에 대해서 상대치 평균 수분량이 150% 미만 130% 이상
: ○(양호)
초기 수분량에 대해서 상대치 평균 수분량이 130% 미만 110% 이상
: △(약간 불량)
초기 수분량에 대해서 상대치 평균 수분량이 110% 미만
: ×(불량)
[막강도]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의 각 시트에 대해서, 기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시트의 강도를, 전문 평가자 한 명이, 이하의 4 단계 판정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 기준에 이용하는 한 장의 막이란, 기재 필름으로부터 겔 시트를 박리할 때에, 시트가 찢어지지 않고 한 장의 막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4 단계 평가 판단 기준
(평가)                     : (판정 기준)
시트에 균열이 전혀 들어가지 않고 한 장의 막으로서 박리할 수 있다
: ◎(우수)
시트에 약간 균열이 들어가지만 한 장의 막으로서 박리할 수 있어 사용에 문제는 없다 : ○(양호)
시트가 박리의 도중에 찢어져서 한 장의 막으로서 박리할 수 없다
: △(약간 불량)
시트가 고화되어 있지 않아 한 장의 막으로서 박리할 수 없다
: ×(불량)
[막의 부담감 없음]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의 각 시트에 대해서, 전문 패널 5명에 의한 사용 테스트를 행했다. 4 cm×8 cm의 구옥상으로 재단한 각 시트를 패널 각자가 눈 아래의 부위에 첩부하고, 직후에 하기 평가 기준으로 평점을 매겨 패널 전원의 평점 합계로부터 평균치를 산출해, 하기 판정 기준에 따라 종합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평점): (평가)
4점: 피부의 움직임이나 형상에 유연하게 추종하고, 당김을 느끼지 않는다
3점: 피부가 움직이면 약간의 들뜸이 생기지만, 당김은 느끼지 않는다
2점: 피부가 움직이면 약간의 당김을 느낀다
1점: 막이 딱딱해서, 부착시킨 상태에서 강한 당김을 느낀다
<판정 기준>
(판정) : (평점의 평균치)
◎(우수)   : 3.5점 이상
○(양호)    : 2.5점 이상 3.5점 미만
△(약간 불량) : 1.5점 이상 2.5점 미만
×(불량)   : 1.5점 미만
본 발명에서는, ○ 이상의 판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한다.
[물에의 용해성]
한 변 2 cm의 정방형으로 재단한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의 각 겔 시트를 전완 내측부에 첩부하고, 물 1 mL를 첨가하고, 손가락으로 마사지했을 때의 시트의 물에의 용해성을, 전문 평가자 한 명이, 이하의 4 단계 판정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4 단계 평가 판단 기준
(평가)                       : (판정 기준)
마사지하지 않고, 물의 첨가로 신속하게 팽윤하여 크림상으로 된다
: ◎(우수)
물을 첨가한 후 손가락으로 마사지하면 완전하게 팽윤하여 크림상으로 된다 : ○(양호)
물을 첨가한 후 손가락으로 마사지해도 완전하게는 팽윤하지 않고 시트의 파편이 남는다 : △(약간 불량)
물을 첨가한 후 손가락으로 마사지해도 완전하게는 팽윤하지 않고 시트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있다 : ×(불량)
[시트의 성형성]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15의 겔 시트를 작성할 때에, O/W 유화형의 원료 조성물을 기재인 두께 50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닥터 블레이드로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전연 성형하고, 60℃의 송풍 건조기로 1시간 가열 건조시키는 공정을 취하지만, 전연 성형한 원료 조성물이 기재로부터 튕겨져 수축하고, 변형해 버리는지 여부를, 전문 평가자 한 명이, 이하의 4 단계 판정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4 단계 평가 판단 기준
(평가)                       : (판정 기준)
전연 성형 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해도, 기재로부터 튕겨지지 않고 완전하게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 ◎(우수)
전연 성형 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하면, 단부보다 4 mm 미만의 균일한 수축이 생기지만, 형태는 유지하고 있다. : ○(양호)
전연 성형 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하면, 단부보다 4 mm 이상 10 mm 미만의 수축이 불균일하게 생겨 형태를 유지할 수 없다. : △(약간 불량)
전연 성형 후, 실온에서 10분간 정치하면, 단부보다 10 mm 이상의 수축이 불균일하게 생겨 대폭 변형한다. : ×(불량)
표 1 ~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12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이었다. 반면, (a) 폴리비닐 알코올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작은 비교예 1 및 2는, 막강도와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져 있었다. 반대로, (a) 폴리비닐 알코올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큰 비교예 3은, 물에의 용해성과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작은 비교예 4 및 5는, 막강도와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져 있었다. 반대로, (b) 아크릴산계 폴리머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큰 비교예 6은,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이 특히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c)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작고, 또한 (d) 25℃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의 유제 및 (e) 25℃에서 액상의 유제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큰 비교예 7은, 과잉량의 유제에 의해 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막강도, 물에의 용해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반대로, (c) 다가 알코올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크고, 또한 (d) 25℃에서 고형 또는 반고형의 유제 및 (e) 25℃에서 액상의 유제의 배합량이 바람직한 영역보다 작은 비교예 10 및 11은, 보습 효과 및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유제의 밸런스에 대해서는, (d)와 (e)의 비율(d)/(e)가 바람직한 범위보다 큰 비교예 8은, 막의 부담감 없음과 물에의 용해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반대로, (d)/(e)가 바람직한 범위보다 작은 비교예 9는, 막강도와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a) 폴리비닐 알코올에서, 비누화도가 높은 것을 이용한 비교예 13은, 막의 부담감 없음과 물에의 용해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그리고, (b)의 아크릴산 폴리머 대신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크산탄 검을 이용한 비교예 14 및 15는, 성막성이 대폭 저하해, 막강도,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물을 10% 이상 함유하고 있는 비교예 12도 마찬가지로 성막성이 낮아, 막강도, 시트의 성형성이 특히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계와, 피막 형성능 및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비닐 알코올과, 피막 형성능 및 강도가 우수한 아크릴산계 폴리머와, 고형유 또는 반고형유 및 액상유를 포함하는 유제를, 혼합 분산시킨 O/W 에멀젼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전연 후, 물을 특정량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사용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유연성과 강도를 겸비하기 때문에,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사용성이 우수하고 시트의 성형성도 우수하고 또한 물에의 높은 용해성을 가지므로 물 또는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시트가 용이하게 붕괴하면서 유효 성분을 용이하게 피부에 적응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6에서, 실시예 1의 물 함유량 및 글리세린 함유량을, 각각 2 질량% 및 70.84 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 함유량 2 질량%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7에서, 실시예 1의 물 함유량 및 글리세린 함유량을, 각각 5 질량% 및 87.84 질량%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수분 함유량 5 질량%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 실시예 16 및 실시예 17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각각 물 함유량 2 질량% 및 5 질량%)는,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겔 시트를 첩부하고 10 분 후에 시판의 화장수를 이용하여 마사지하도록 하여 적응시킨 후, 피부의 보습 효과의 지속이 우수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물 함유량이 0 질량% 초과 10 질량% 이하에서도, 보습 효과와 사용성(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3: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성분)                         (%)
1. 수소 첨가 레시틴 *1                 1.0
2. 스테아로일메틸 타우린 Na *2           0.3
3. 밀랍(융점 60 ~ 67℃) *12           3.0
4. 베헤닐알코올(융점 65 ~ 73℃)          2.0
5. 다이머디리놀레산(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융점 35 ~ 38℃) *13      1.0
6.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 폴리머(디메티콘 용해물) *14                          1.0
7.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15             2.0
8. 2-에틸 헥산산세틸 *16            1.0
9. 옥틸도데칸올 *17               1.0
10. 디메틸 폴리실록산                 0.2
11.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의 40% 분산물 *18           1.0
12. 폴리비닐 알코올(비누화도 88 mol%, 중합도 2400) *19                            6.0
13. 글리세린 잔량
14. 1,3-부틸렌 글리콜             10.0
15. 디프로필렌글리콜                20.0
16. L-아스코르빈산 2-글루코시드            2.0
17. 구연산                       0.03
18. 구연산 나트륨                   0.2
19. 수산화나트륨                     0.3
20. 메틸파라벤                     0.05
21. 향료                        0.1
*12: WHITE BEES WAX(MIKI CHEMICAL INDUSTRIES Co.,Ltd. 제)
*13: PLANDOOL-S(Nippon Fine Chemical 사 제)
*14: KSG-16(Shin-Etsu Chemical Co., Ltd. 제)
*15: IPM-EX(NIPPON SURFACTANT INDUSTRIES CO., LTD. 제)
*16: SALACOS 816T(Nisshin OilliO Group, Ltd. 제)
*17: RISONOL 20SP(KOKYU ALCOHOL KOGYO CO., LTD.  제)
*18: SEPIGEL 305(SEPIC 사 제)
*19: PVA-224(Kuraray Co.Ltd. 제)
(제조 방법)
A: 성분(1) ~ (2)에 물 1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3) ~ (10)를 9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C: 성분(11) ~ (21)에 물 3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D: A에 B를 가하고 7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E: 70℃에서 D를 교반하면서 C를 가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해, O/W 유화형의 원료 조성물을 얻는다.
F: E를 두께 50μm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에 캐스터기로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가열 건조하면서 전연 성형하여, 두께 400μm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로 한 후에, 구옥상으로 재단하였다.
실시예 13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겔 시트를 첩부하고 10 분 후에 시판의 화장수를 이용하여 마사지하도록 하여 적응시킨 후, 피부의 보습 효과의 지속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4: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성분)                          (%)
1. 수소 첨가 레시틴 *1                   1.0
2. 스테아로일메틸 타우린 Na *2            0.3
3.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융점 76 ~ 83℃) *20
                             1.0
4. 파라핀 왁스(융점 61 ~ 65℃)         2.0
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융점 50 ~ 63℃)       3.0
6.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옥틸 도데실/피토스테릴/베헤닐)(융점 33℃) *22               1.0 
7.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 폴리머(디메티콘 용해물) *23                       1.0
8. 폴리부텐(30℃의 점도: 400,000 ㎟/s)   1.0
9.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2 *24       1.0
10.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25           2.0
11. 데실테트라데칸올 *26             1.0
12. 디메틸 폴리실록산               0.2
13.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C10-30)) 코폴리머 *27                            0.4
14. 폴리비닐 알코올(비누화도 88 mol%, 20℃에서의 4% 수용액 점도 5.4 mPa·s) *28            10.0
15. 글리세린 잔량
16. 1,3-부틸렌 글리콜              10.0
17. 디글리세린               3.0
18. 트리프로필렌글리콜            5.0
19. 니코틴산아미드                    5.0
20. 수산화나트륨                    0.2
21. 1,2-펜탄 디올                0.5
22. 향료                          0.1
*20: MULTIWAX W445(SONNEBORN 사 제)
*21: PARACERA P(PARAMELT 사 제)
*22: ELDEW PS-306(AJINOMOTO CO.,INC.  제)
*23: KSG-710(Shin-Etsu Chemical Co., Ltd. 제)
*24: Cosmol 43V(Nisshin OilliO Group, Ltd. 제)
*25: SALACOS 913(Nisshin OilliO Group, Ltd. 제)
*26: RISONOL 24SP(KOKYU ALCOHOL KOGYO CO., LTD. 제)
*27: PEMUREN TR-1(LUBRIZOL ADVANCED MATERIALS 사 제)
*28: GOHSENOL EG-05(Nippon Synthetic Chem Industry Co., Ltd. 제)
(제조 방법)
A: 성분(1) ~ (2)에 물 1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3) ~ (12)를 9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C: 성분(13) ~ (22)에 물 3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D: A에 B를 가하고 7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E: 70℃에서 D를 교반하면서 C를 가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해, O/W 유화형의 원료 조성물을 얻는다.
F: 구옥 형상의 구멍을 뚫은 메탈 마스크를 이용하여 두께 50μm의 폴리염화비닐 기재 상에 E를 공판 인쇄한 후,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400μm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4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겔 시트를 첩부하고 10 분 후에 시판의 화장수를 이용하여 마사지하도록 하여 적응시킨 후, 피부의 보습 효과의 지속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5: 피부 첩부용 겔 시트
(성분)                          (%)
1. 수소 첨가 레시틴 *1                   1.0
2. 스테아로일메틸 타우린 Na *2           0.3
3. 합성 왁스(융점 80 ~ 88℃) *29         3.0
4.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융점 95℃) *30   2.0
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융점 50 ~ 63℃)       3.0
6. 파라핀(융점 56 ~ 61℃) *3           1.0
7. 마카데미아넛트 지방산 피토스테릴(융점 35 ~ 38℃) *32
                             0.5 
8. 트리베헤닌(융점 57 ~ 65℃) *33         1.0
9. (카프릴/카프린/미리스틴/스테아린산) 트리글리세릴(융점 35 ~ 45℃) *34                  0.5
10. 비스디글리세릴 폴리아실아디페이트-2(융점 39℃) *35
                             0.5
11. 디페닐디메티콘 *36            1.0
12.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37            1.0
13.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38             2.0
14. 젖산 세틸 *39                  2.0
15. 디메틸 폴리실록산                 0.2
16. (아크릴산/아크릴산알킬(C10-30)) 코폴리머 *26                            0.4
17. 폴리비닐 알코올(비누화도 88 mol%, 20℃에서의 4% 수용액 점도 44.0 mPa·s) *40            6.0
18. 글리세린 잔량
19. 1,3-부틸렌 글리콜              10.0
20.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1
21. 수산화나트륨                    0.2
22. 1,2-펜탄 디올                0.5
23. 향료                          0.1
*29: CIREBELLE 108(CIREBELLE 사 제)
*30: EP-700(BakerPetrolite 사 제)
*31: PARACERA 256(PARAMELT 사 제)
*32: PLANDOOL-MAS(Nippon Fine Chemical 사 제)
*33: SYNCROWAX HRC(Croda Japan K.K. 제)
*34: SALACOS 334(Nisshin OilliO Group, Ltd. 제)
*35: SOFTISAN 649(SASOL GERMANY GMBH 사 제)
*36: KF-54(Shin-Etsu Chemical Co., Ltd. 제)
*37: Cosmol 222(Nisshin OilliO Group, Ltd. 제)
*38: SALACOS 99(Nisshin OilliO Group, Ltd. 제)
*39: CERAPHYL 28(ASHLAND SPECIALITY INGREDIENTS 사 제)
*40: GOHSENOL EG-40(Nippon Synthetic Chem Industry Co., Ltd. 제)
(제조 방법)
A: 성분(1) ~ (2)에 물 1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B: 성분(3) ~ (15)를 9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C: 성분(16) ~ (23)에 물 30%를 가하고 70℃로 가열해 균일하게 혼합 용해한다.
D: A에 B를 가하고 7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E: 70℃에서 D를 교반하면서 C를 가해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해, O/W 유화형의 원료 조성물을 얻는다.
D: 구옥 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폴리스티렌제의 트레이에 E를 흘려 넣고, 60℃에서 1시간 가열 건조시켜, 두께 400μm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5의 피부 첩부용 겔 시트는, 「보습 효과」, 「막강도」, 「막의 부담감 없음」, 「물에의 용해성」, 「시트의 성형성」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겔 시트를 첩부하고 10 분 후에 시판의 화장수를 이용하여 마사지하도록 하여 적응시킨 후, 피부의 보습 효과의 지속이 우수한 것이었다.

Claims (13)

  1. 다음의 성분(a) ~ (f);
    (a) 비누화도가 70 ~ 90mol%인 폴리비닐 알코올 1.5 ~ 26 질량%
    (b) 아크릴산계 폴리머 0.06 ~ 3 질량%
    (c) 다가 알코올 40 ~ 93 질량%
    (d) 25℃에서 고형 및/또는 반고형의 유제 0.1 ~ 16 질량%
    (e) 25℃에서 액상의 유제 1.0 ~ 30 질량%
    (f) 물 10 질량% 이하
    를 함유하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시트의 두께는 50 ~ 2000μm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와 성분(b)의 함유 질량 비율(a)/(b)는 3 ~ 160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a)와 성분(c)의 함유 질량 비율(a)/(c)는 0.02 ~ 0.5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d)와 성분(e)의 함유 질량 비율(d)/(e)는 0.001 ~ 3.5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는 글리세린 및/또는 1,3-부틸렌 글리콜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의 원료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머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b)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 설폰산의 가교 코폴리머, 아크릴산 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인, 피부 첩부용 겔 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피부 첩부용 겔 시트를,
    피부에 첩부하거나, 또는 피부에 첩부한 후에, 물 혹은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상기 첩부한 겔 시트에 가해 상기 겔 시트를 피부에 적응시키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지지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겔 시트를 사용하는, 피부 첩부용 겔 시트의 사용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7015610A 2017-12-27 2018-12-21 피부 첩부용 겔 시트 Active KR102760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016 2017-12-27
JPJP-P-2017-251016 2017-12-27
PCT/JP2018/047181 WO2019131484A1 (ja) 2017-12-27 2018-12-21 皮膚貼付用ゲル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48A KR20200103648A (ko) 2020-09-02
KR102760871B1 true KR102760871B1 (ko) 2025-02-03

Family

ID=6706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610A Active KR102760871B1 (ko) 2017-12-27 2018-12-21 피부 첩부용 겔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84804B2 (ko)
KR (1) KR102760871B1 (ko)
CN (1) CN111372551B (ko)
TW (1) TWI805668B (ko)
WO (1) WO2019131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3920B (zh) * 2019-08-26 2022-12-02 江苏远恒药业有限公司 一次性医用水凝胶眼贴
CN110772440B (zh) * 2019-11-03 2022-06-28 上海悦目化妆品有限公司 一种加水变为冰沙果酱状的粉状面膜及其制备方法
CN113967175A (zh) * 2020-07-24 2022-01-2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片型面膜凝胶组合物、包含其的面膜片及面膜片制备方法
JP7044284B1 (ja) * 2021-01-29 2022-03-30 株式会社東洋新薬 皮膚外用剤
JP7608217B2 (ja) 2021-03-10 2025-01-0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皮膚外用組成物
CN113244224B (zh) * 2021-05-27 2022-06-03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鞣花酸缓释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36477B (zh) * 2022-05-18 2023-04-25 浙江大学 一种抗冻水凝胶、其制备方法及适用于极低温响应的柔性温度传感器
KR102579369B1 (ko) * 2022-12-28 2023-09-15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소듐카보머와 카올린, 옥수수 전분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기능이 구비된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459238B (zh) * 2023-05-08 2023-12-05 乐明药业(苏州)有限公司 一种促进氨基葡萄糖持续释放的组合物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760A (ja) * 2002-01-17 2003-07-30 Lion Corp ゲル組成物、ゲル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334A (en) 1977-09-27 1979-04-18 Riido Kemikaru Kk Pack agent
JPH07278511A (ja) * 1994-04-06 1995-10-24 Sekisui Chem Co Ltd 粘着剤組成物
JPH08169809A (ja) * 1994-12-16 1996-07-02 Kanebo Ltd 皮膜型パック剤
JP3553174B2 (ja) 1995-01-09 2004-08-11 久光製薬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剤
JPH11228340A (ja) 1998-02-12 1999-08-24 Nitto Denko Corp 化粧用ゲルシート
FR2781667B1 (fr) 1998-07-30 2001-06-01 Oreal Patch cosmetique, pharmaceutique, ou dermatologique
JP2000063230A (ja) * 1998-08-20 2000-02-29 Shiseido Co Ltd シート状化粧料
JP2003342125A (ja) 2002-05-24 2003-12-03 Utena:Kk 乳液を含浸した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3739731B2 (ja) 2002-07-03 2006-01-25 カネボウ株式会社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5259040B2 (ja) * 2003-06-05 2013-08-07 積水メディカル株式会社 外用シート
JP2005343849A (ja) * 2004-06-04 2005-12-15 Sekisui Chem Co Ltd 角栓除去用粘着シート
JP2006249030A (ja) * 2005-03-11 2006-09-21 Kanebo Ltd シート状化粧料、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の使用方法
JP2009073764A (ja) 2007-09-20 2009-04-09 Fujifilm Corp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084240A (ja) 2007-10-02 2009-04-23 Kracie Home Products Kk シート状パック化粧料
JP5217422B2 (ja) * 2007-12-26 2013-06-19 ライオン株式会社 含水粘着剤、貼付剤及び含水粘着剤の製造方法
JP5645302B2 (ja) * 2010-04-02 2014-12-24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医薬乳化製剤
JP5688578B2 (ja) * 2010-11-17 2015-03-25 アルケア株式会社 粘着性ゲル
JP6430128B2 (ja) * 2014-02-17 2018-11-28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53994B2 (ja) 2016-04-28 2021-04-07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化粧用アルコゲ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2760A (ja) * 2002-01-17 2003-07-30 Lion Corp ゲル組成物、ゲ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8146A (zh) 2019-10-01
TWI805668B (zh) 2023-06-21
JP7184804B2 (ja) 2022-12-06
CN111372551B (zh) 2023-07-04
WO2019131484A1 (ja) 2019-07-04
KR20200103648A (ko) 2020-09-02
JPWO2019131484A1 (ja) 2020-12-24
CN111372551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60871B1 (ko) 피부 첩부용 겔 시트
US9125839B2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cosmetic, and cleaning agent
US10583070B2 (en) Solid powder cosmetic
US9943474B2 (en) Water-based cosmetic
EP2550954B1 (en) Vaseline-like composi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JP2008231010A (ja) 皮膚外用剤
US20200093712A1 (en) Oil-in-water type composition
US12059489B2 (en) Oil-in-water type dermatolog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JP4442751B2 (ja) 透明固形組成物及びこれを基剤として含有する透明固形化粧料
KR20200044831A (ko) 비수계용 증점제 및 증점 조성물
JPWO2015033757A1 (ja) 皮膚外用組成物
JPH1127902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18030326A1 (ja) 透明固形組成物
TW202034890A (zh) 油中水型皮膚外用組成物
JP2006249049A (ja) 皮膚外用組成物
US20230404877A1 (en) Powder-containing composition
WO2022259877A1 (ja) 化粧料
EP4233835A1 (en) Oil-in-water type composition
CN116472020A (zh) 水性组合物
JP2022147108A (ja) 皮膚貼付用ゲルシート
JP2006213697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6188477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