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4507B1 -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4507B1
KR102754507B1 KR1020190129953A KR20190129953A KR102754507B1 KR 102754507 B1 KR102754507 B1 KR 102754507B1 KR 1020190129953 A KR1020190129953 A KR 1020190129953A KR 20190129953 A KR20190129953 A KR 20190129953A KR 102754507 B1 KR102754507 B1 KR 10275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frame
battery modul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342A (ko
Inventor
최종화
성준엽
박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12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450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080029873.9A priority patent/CN113767509B/zh
Priority to US17/437,618 priority patent/US12068467B2/en
Priority to PCT/KR2020/008431 priority patent/WO2021075666A1/ko
Priority to EP20877950.4A priority patent/EP3920314B1/en
Priority to HUE20877950A priority patent/HUE067569T2/hu
Priority to ES20877950T priority patent/ES2983865T3/es
Priority to JP2021555269A priority patent/JP7366449B2/ja
Publication of KR2021004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45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전지 모듈 프레임;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장착되는 전지팩 프레임;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와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 전달 현상을 방지하는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및 전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에너지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에너지 자원으로서, 에너지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이차 전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병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다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전지 모듈 프레임, 전지 모듈 프레임에 형성되어 전지 모듈 프레임이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 프레임이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전지팩 프레임에서 전지 모듈 프레임으로 열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 프레임(10)이 전지팩 프레임(20)에 장착시, 전지 모듈 프레임(10)의 전후면에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1)가 전지팩 프레임(20)의 상단에 형성된 전지 모듈 마운팅부(21)와 접촉하고, 엔드 플레이트(11)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가 마운팅 부재(40)를 통해 결합되었다. 이때 전지팩의 온도가 전지팩 프레임(20)의 전지 모듈 마운팅부(21) 및 이와 접촉한 엔드 플레이트(11) 및 전지 모듈 프레임(10)로 전달되어, 전지 모듈 프레임(10) 내부에 수용된 전지셀 적층체의 복수의 전지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자동차 등 디바이스에 장착된 전지팩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전지팩 외부에 형성된 자동차 관련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고온, 저온의 온도 구배가 전지팩 프레임을 통해 전지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팩 외부가 고온 또는 저온으로 형성될 경우 전지팩 내부에 형성된 전지 모듈에 전지팩 외부의 온도 구배가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전지 모듈에 형성된 복수의 전지셀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지팩 내외부 간의 열 전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전지 모듈 프레임;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장착되는 전지팩 프레임;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와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와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은 마운팅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은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마운팅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재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관통구의 상면과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와 상기 관통구의 상면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 부재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재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관통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마운팅 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관통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지팩 프레임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부재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팩 프레임과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팩 프레임 내부에는 히트 싱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장착되는 상기 전지팩 프레임의 프레임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절연 부재를 통해 전지팩 외부와 전지팩 내부의 전지 모듈 간의 열 전달 현상을 방지하여 전지팩 외부의 온도가 전지 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 프레임이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전지팩 프레임에서 전지 모듈 프레임으로 열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된 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된 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전지 모듈 프레임(100), 전지 모듈 프레임(100)이 장착되는 전지팩 프레임(200), 전지팩 프레임(200)에 형성되어 전지 모듈 프레임(100)이 전지팩 프레임(200)에 장착되도록 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를 포함하고,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전지 모듈 프레임 사이에 절연 부재(300)가 형성된다.
전지셀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지셀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지셀은 각각 전극 조립체, 전지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모듈 프레임(100)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형성된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여, 전지셀 적층체를 물리적으로 보호한다. 전지 모듈 프레임(100)은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10) 및 전지셀 적층체의 상하좌우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중앙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10)는 중앙 프레임(120)과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 있고, 엔드 플레이트(110)와 전지셀 적층체 사이에 형성된 버스바 프레임과 전지셀 적층체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전지팩 프레임(200)은 전지 모듈 프레임(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지팩 프레임(200)은 전지 모듈 프레임(100)에 수용된 복수의 전지셀들을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전력을 요구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전지팩 프레임(300) 내부에 형성된 전지 모듈들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디바이스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 모듈 프레임(100)은 전지팩 프레임(200)의 상측에 장착된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팩 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전지 모듈 프레임(100)이 장착될 수 있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가 형성되고, 전지 모듈 프레임(100)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전지팩 프레임(200)과 결합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전지 모듈 프레임(1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모듈 프레임(100)의 전후방에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10)의 양단에는 관통구(111, 112)가 형성되고, 전지팩 프레임(200)의 상단에 형성된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에도 관통구(211, 212)가 형성되며, 마운팅 부재는 엔드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111, 112)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에 형성된 관통구(211, 212)를 일체로 관통하여 엔드 플레이트(110)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의 관통구(211, 212)를 통과하여 전지팩 프레임(20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팅 부재(400)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410) 및 바디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는 엔드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111, 112)의 상단에서 바디부(420)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관통구(111, 112)를 통과한 바디부(420)는 관통구(111, 112)의 하단에 동축으로 만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의 관통구(211, 212)를 통과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420)의 끝 부분이 전지팩 프레임(200)의 내부까지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헤드부(410)는 관통구(111, 112)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10)의 하단은 관통구의 상면(111a, 112a)과 접촉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팅 부재(400)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운팅 부재는 볼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실시예를 활용하여 전지 모듈 프레임과 전지팩 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전지 모듈 프레임(100)이 장착되는 전지팩 프레임(200)면 내부에는 히트 싱크(500)가 장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500)를 통해, 전지 모듈 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전지셀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절연 부재(300)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전지 모듈 프레임(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지팩 프레임(200) 및 이와 연결된 전지 모듈 프레임(100)으로 이동하는 열 전달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전지팩 프레임(200)과 전지 모듈 프레임(200)이 모두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종래에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전지팩 프레임(200) 사이에서 열 전달이 발생하여,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아 온도 구배가 발생한 전지팩 프레임(200)과 전지 모듈 프레임(200) 사이에 열 전달이 이루어져, 전지 모듈 프레임(200)에 수용된 복수의 전지셀들이 전지팩 프레임(200)의 온도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었다. 온도 변화에 민감한 전지셀들의 특성상, 외부 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경우 전지 모듈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부재(300)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전지 모듈 프레임(100)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형성되어,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와 엔드 플레이트(110)가 더이상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금속끼리의 접촉에 의한 열 전달을 미연에 차단하고, 외부의 온도가 전지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조립되기 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300')는, 마운팅 부재(400)의 헤드부(410)와 엔드 플레이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111, 112)의 상면(111a, 11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는 엔드 플레이트(110)의 관통구(111, 112)와 전지 모듈 마운팅부(210)의 관통구(211, 212)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팩 프레임(200)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마운팅 부재(400)를 통해 전지 모듈 프레임(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의 헤드부(410)는 관통구(111, 112)의 상면(111a, 112a)과 접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마운팅 부재(400)의 헤드부(410)로 전달된 열은 엔드 플레이트(110)의 관통구 상면(111a, 112a)을 통해 전지 모듈 프레임(100) 및 이에 수용된 복수의 전지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팅 부재(400)와 엔드 플레이트(110)가 접촉할 수 있는 마운팅 부재(400)의 헤드부(410)와 관통구 상면(111a, 112a)사이에 절연 부재(300')가 형성되어, 마운팅 부재(400)와 엔드 플레이트(110)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접촉에 따른 열 전달을 미연에 차단하고, 외부의 온도가 전지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내용 이외의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부재(300'')는, 엔드 플레이트(110)의 관통구(111, 112)와, 관통구(111, 112)에 삽입된 마운팅 부재(400) 사이에 절연 부재(30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팅 부재(400)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410)와 바디부(420)를 포함하고, 절연 부재(300'')는 바디부(420)와 관통구(111, 1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 부재(300'')는 마운팅 부재(40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 부재(400)를 관통구(111, 112)에 삽입시, 마운팅 부재(400)의 외면과 관통구(111, 112)의 내면이 서로 접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마운팅 부재(400)와 관통구(111, 112)가 접촉할 경우 전지팩 프레임(200)과 연결된 마운팅 부재(400)와 관통구(111, 112)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10), 엔드 플레이트(110)와 연결된 버스바 프레임(130)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전지셀들 간의 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팅 부재(400)와 엔드 플레이트(110)가 접촉할 수 있는 마운팅 부재(400)의 외면과 관통구(111, 112)의 내면 사이에 절연 부재(300'')를 삽입하여, 마운팅 부재(400)와 관통구(111, 112) 내면의 접촉에 따른 열 전달을 미연에 차단하고, 외부의 온도가 전지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지팩은, 전지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해 주는 전지 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과 냉각 장치 등을 추가하여 패킹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지 모듈 프레임
110: 엔드 플레이트
120: 중앙 프레임
130: 버스바 프레임
111, 112: 관통구
111a, 112a: 관통구 상면
200: 전지팩 프레임
210: 전지 모듈 마운팅부
211, 212: 관통구
300, 300', 300'': 절연 부재
400: 마운팅 부재
410: 헤드부
420: 바디부
500: 히트 싱크

Claims (15)

  1.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전지 모듈 프레임;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장착되는 전지팩 프레임; 및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상기 전지팩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하는 전지 모듈 마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와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와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은 마운팅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하며,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마운팅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관통구와 상기 마운팅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전지팩.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관통구의 상면과 접하도록 장착되는 전지팩.
  5. 제4항에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관통구의 상면 사이에 절연 부재가 형성되는 전지팩.
  6. 제1항에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 부재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가 형성되는 전지팩.
  7. 제6항에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관통구 사이에 형성되는 전지팩.
  8. 제6항에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마운팅 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전지팩.
  9. 제1항에서,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관통 결합하는 전지팩.
  10. 제9항에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의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지팩 프레임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지팩.
  11. 제1항에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볼트로 형성되는 전지팩.
  12. 제1항에서,
    상기 전지팩 프레임과 상기 전지 모듈 마운팅부는 금속으로 형성된 전지팩.
  13. 제1항에서,
    상기 전지팩 프레임 내부에는 히트 싱크가 장착되는 전지팩.
  14. 제13항에서,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전지 모듈 프레임이 장착되는 상기 전지팩 프레임의 프레임면 내부에 장착되는 전지팩.
  15. 제1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90129953A 2019-10-18 2019-10-18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ctive KR10275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53A KR102754507B1 (ko) 2019-10-18 2019-10-18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17/437,618 US12068467B2 (en) 2019-10-18 2020-06-29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08431 WO2021075666A1 (ko) 2019-10-18 2020-06-29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20877950.4A EP3920314B1 (en) 2019-10-18 2020-06-29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CN202080029873.9A CN113767509B (zh) 2019-10-18 2020-06-29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装置
HUE20877950A HUE067569T2 (hu) 2019-10-18 2020-06-29 Akkumulátorcsomag és azt tartalmazó jármû
ES20877950T ES2983865T3 (es) 2019-10-18 2020-06-29 Paquete de baterías y vehículo que incluye el mismo
JP2021555269A JP7366449B2 (ja) 2019-10-18 2020-06-29 電池パックおよび該電池パックを含むデバイ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953A KR102754507B1 (ko) 2019-10-18 2019-10-18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42A KR20210046342A (ko) 2021-04-28
KR102754507B1 true KR102754507B1 (ko) 2025-01-13

Family

ID=7553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953A Active KR102754507B1 (ko) 2019-10-18 2019-10-18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068467B2 (ko)
EP (1) EP3920314B1 (ko)
JP (1) JP7366449B2 (ko)
KR (1) KR102754507B1 (ko)
CN (1) CN113767509B (ko)
ES (1) ES2983865T3 (ko)
HU (1) HUE067569T2 (ko)
WO (1) WO2021075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4314B1 (ko) * 2020-01-06 2025-03-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813936B1 (ko) * 2021-07-06 2025-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067150A (ko) * 2021-11-09 202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팩 케이스
KR20230102739A (ko) * 2021-12-30 2023-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이를 이용하는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4189716A1 (ja) * 2023-03-13 2024-09-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397A (ja) * 2005-08-02 2007-02-1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池ボックス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999A (en) * 1934-02-24 1935-08-06 Grant John Leslie Insulator for handled vessels
JP3972884B2 (ja) 2003-10-10 2007-09-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2005347159A (ja) * 2004-06-04 2005-12-15 Nissan Motor Co Ltd 接触抵抗低減装置およびその方法
FR2882535B1 (fr) 2005-02-28 2007-04-13 Michelin Soc Tech Dispositif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nappes ondulees
JP4992244B2 (ja) 2005-04-07 2012-08-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JP2006331648A (ja) 2005-05-23 2006-12-07 Toyota Motor Corp マウント構造体を組み込んだ燃料電池エンドプレート
KR101064240B1 (ko) 2006-11-27 2011-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복사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 시스템
KR101403930B1 (ko) * 2010-08-16 201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314416B1 (ko) 2011-02-23 2013-10-04 세방전지(주) 축전지 수납 장치
CN203983360U (zh) * 2014-05-30 2014-12-03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股份公司 电动汽车动力电池箱加热装置
KR101820935B1 (ko) 2014-06-02 2018-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948180B1 (ko) 2015-04-30 2019-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CN104802354B (zh) * 2015-05-18 2018-07-27 温岭市旭日滚塑科技有限公司 滚塑成型二次加料装置和滚塑模具
DE102015011895A1 (de) * 2015-09-11 2016-04-07 Daimler Ag Batterie
KR20170033070A (ko) 2015-09-16 2017-03-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냉각용 유로공을 갖는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KR102066197B1 (ko) 2015-12-09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17216087A (ja) 2016-05-30 2017-12-07 株式会社東芝 組電池
KR102101906B1 (ko) 2016-10-21 2020-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 가이드 기능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310990B1 (ja) * 2016-10-26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固定構造
KR102273881B1 (ko) 2017-08-14 2021-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조절 성능이 개선된 배터리 팩
US20200365853A1 (en) * 2018-02-09 2020-11-19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nd power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said power supply device
KR102563880B1 (ko) 2018-03-26 2023-08-04 에이치그린파워 주식회사 냉각 효율 증대 카트리지
CN208923207U (zh) 2018-11-01 2019-05-3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端板及其电池模组
CN209344284U (zh) 2019-02-26 2019-09-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397A (ja) * 2005-08-02 2007-02-1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池ボックス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6449B2 (ja) 2023-10-23
EP3920314B1 (en) 2024-06-26
EP3920314A1 (en) 2021-12-08
JP2022525331A (ja) 2022-05-12
US12068467B2 (en) 2024-08-20
KR20210046342A (ko) 2021-04-28
US20220190404A1 (en) 2022-06-16
CN113767509B (zh) 2024-07-05
CN113767509A (zh) 2021-12-07
WO2021075666A1 (ko) 2021-04-22
HUE067569T2 (hu) 2024-10-28
ES2983865T3 (es) 2024-10-25
EP3920314A4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4507B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7292654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75450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25817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750487B1 (ko)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46482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79901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220039301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41284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7594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2355089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2254171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102807487B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802981B1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01023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802978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1204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5170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6942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1304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2541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6071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92563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13754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133528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