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2812B1 - 욕실 배관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욕실 배관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2812B1
KR102752812B1 KR1020230036928A KR20230036928A KR102752812B1 KR 102752812 B1 KR102752812 B1 KR 102752812B1 KR 1020230036928 A KR1020230036928 A KR 1020230036928A KR 20230036928 A KR20230036928 A KR 20230036928A KR 102752812 B1 KR102752812 B1 KR 10275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bathroom
trap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27829A (ko
Inventor
이종호
이혜선
이혜정
이종태
황기웅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파이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2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7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28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욕실 배관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는, 욕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슬래브,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공,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공, 상기 욕실의 층상 공간에 배치되는 세면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욕실의 층하 공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배수관,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배수 트랩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수관,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부, 일단이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트랩형 이음관 및 상기 트랩형 이음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배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실 배관 시공 구조{BATHROOM PLUMBING CONSTRUCTION STRUCTURE}
본 명세서는 욕실 배관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과 같은 다층 건물의 건축 과정에서 욕실에는 욕실 바닥, 욕조, 세면기 등에서 유입되는 하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 시공되어야 한다. 욕실의 배관 시공 구조는 슬래브의 하부 공간에 배관이 배치되는 층하 배관 시공 구조와, 슬래브의 상부 공간 배관이 설치된 후 마감재에 배관이 매설되는 동층 배관 시공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욕실의 바닥이나 세면기에는 배수관을 통해서 올라오는 악취나 벌레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 트랩이나 트랩형 배수관이 연결된다. 배수 트랩이나 트랩형 배수관에는 일정량의 봉수가 채워짐으로써 배수관을 통해서 올라오는 악취나 벌레가 욕실의 바닥이나 세면기를 통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세면기의 경우 사용횟수가 많으므로 트랩형 배수관에 자주 봉수가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욕실 바닥에서는 물청소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물이 거의 사용되지 않으므로 배수 트랩에 봉수가 잘 채워지지 않고, 봉수가 채워지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봉수가 증발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욕실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을 통해 악취나 벌레가 욕실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욕실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을 통해서 악취나 벌레가 욕실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 배관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는, 욕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슬래브,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공,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공, 상기 욕실의 층상 공간에 배치되는 세면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욕실의 층하 공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배수관,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배수 트랩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수관,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부, 일단이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트랩형 이음관 및 상기 트랩형 이음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배수관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욕실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을 통해서 악취나 벌레가 욕실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에 포함되는 메인 이음관의 종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는 슬래브(101), 제1 관통공(102), 제2 관통공(103), 제1 배수관(104), 배수 트랩(105), 제2 배수관(106), 배수관 연결부(107, 108, 109, 110), 트랩형 이음관(111), 제3 배수관(112)을 포함한다.
슬래브(101)는 욕실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을 형성하고 각 층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슬래브(101)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슬래브(101)에는 각각 제1 관통공(102) 및 제2 관통공(103)이 형성된다. 슬래브(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공(101)은 세면기(미도시)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슬래브(1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공(103)은 슬래브(101)의 상부면, 즉 욕실 바닥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1 배수관(104)의 일단은 욕실의 층상 공간, 즉 슬래브(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면기(미도시)의 하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관(104)은 제1 관통공(101)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배수관(104)의 타단은 욕실의 층하 공간, 즉 슬래브(101)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수관(104)은 트랩 구조를 갖는 트랩형 배수관일 수 있다. 도 1에는 제1 배수관(104)이 S형 배수관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배수관(104)은 다른 종류의 트랩형 배수관(예컨대, I형 배수관)일 수도 있다.
욕실의 바닥면, 즉 슬래브(101)의 상부면에는 배수 트랩(105)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 트랩(105)은 제2 관통공(10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트랩(105)으로 유입되는 하수 중 일부는 배수 트랩(105) 내부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배수 트랩(105)의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2 배수관(106)은 배수 트랩(105)과 연결되며 제2 관통공(10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욕실 바닥면에서 생성되는 하수는 배수 트랩(105)을 통과하여 제2 배수관(106)을 통해 층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107, 108, 109, 110)는 제1 배수관(104) 및 제2 배수관(106)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배수관(104) 및 제2 배수관(106)을 연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 연결부(107, 108, 109, 110)는 메인 이음관(108), 서브 이음관(107), 제1 연결관(109), 제2 연결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음관(108)은 제1 단부, 제2 단부, 제3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음관(108)의 제1 단부는 제2 배수관(106)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이음관(108)의 제2 단부는 제2 연결관(1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이음관(108)의 제3 단부는 제1 연결관(109)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이음관(107)은 제1 배수관(104) 및 제1 연결관(109)을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이음관(108)의 일단은 제1 배수관(104)의 타단과 연결되고, 서브 이음관(108)의 타단은 제1 연결관(109)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09)은 메인 이음관(108)과 서브 이음관(107)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09)의 일단은 메인 이음관(108)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제1 연결관(109)의 타단은 서브 이음관(107)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09)은 슬래브(101)의 하부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관(109)의 중심라인(CL)과 슬래브(101)의 하부면은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이음관(107)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관(109)의 타단과 슬래브(101)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는, 메인 이음관(108)의 제3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109)의 일단과 슬래브(101)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배수관(104) 및 서브 이음관(107)을 통과한 하수가 메인 이음관(108)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제2 연결관(110)은 메인 이음관(108)과 트랩형 이음관(111)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관(110)의 일단은 메인 이음관(108)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2 연결관(110)의 타단은 트랩형 이음관(11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111)은 제2 연결관(110) 및 제3 배수관(1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111)의 일단은 제2 연결관(110)의 타단과 연결되고 트랩형 이음관(111)의 타단은 제3 배수관(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관(104)이나 제2 배수관(106)을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 중 일부가 트랩형 이음관(111)의 하부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제3 배수관(112)의 타단은 입상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111)을 통해서 제3 배수관(112)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입상 배수관(미도시)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수관(104) 및 제2 배수관(106)이 배수관 연결부(107, 108, 109, 110)를 통해서 트랩형 이음관(111)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배수관(104)이나 제2 배수관(106)을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가 모두 트랩형 이음관(111)으로 유입되어 트랩형 이음관(111)의 하부면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111)에 저장된 봉수는 제3 배수관(112)을 통해서 유입되는 악취나 벌레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에 설치된 배수 트랩(105)에 봉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된 봉수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배수 트랩(105)을 통해 욕실 내부로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배수관(104)에 봉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된 봉수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제1 배수관(104)을 통해서 욕실 내부로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트랩형 이음관(111)에 저장된 봉수에 의해서 악취나 벌레가 1차적으로 차단되고, 배수 트랩(105)이나 제1 배수관(104)에 저장된 봉수에 의해서 악취나 벌레가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악취 및 벌레 차단 효과가 더 뛰어나다.
도 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는 슬래브(201), 제1 관통공(202), 제2 관통공(203), 제1 배수관(204), 배수 트랩(205), 제2 배수관(206), 배수관 연결부(207, 208, 209), 트랩형 이음관(210), 제3 배수관(211)을 포함한다.
슬래브(201)는 욕실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을 형성하고 각 층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슬래브(201)는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슬래브(201)에는 각각 제1 관통공(202) 및 제2 관통공(203)이 형성된다. 슬래브(2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공(201)은 세면기(미도시)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슬래브(20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공(203)은 슬래브(201)의 상부면, 즉 욕실 바닥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1 배수관(204)의 일단은 욕실의 층상 공간, 즉 슬래브(2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면기(미도시)의 하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관(204)은 제1 관통공(201)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배수관(204)의 타단은 욕실의 층하 공간, 즉 슬래브(201)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수관(204)은 트랩 구조를 갖는 트랩형 배수관일 수 있다. 도 2에는 제1 배수관(204)이 S형 배수관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배수관(204)은 다른 종류의 트랩형 배수관(예컨대, I형 배수관)일 수도 있다.
욕실의 바닥면, 즉 슬래브(201)의 상부면에는 배수 트랩(205)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 트랩(205)은 제2 관통공(20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트랩(205)으로 유입되는 하수 중 일부는 배수 트랩(205) 내부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배수 트랩(205)의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2 배수관(206)은 배수 트랩(205)과 연결되며 제2 관통공(20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욕실 바닥면에서 생성되는 하수는 배수 트랩(205)을 통과하여 제2 배수관(206)을 통해 층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관 연결부(207, 208, 209)는 제1 배수관(204) 및 제2 배수관(206)이 서로 연통되도록 제1 배수관(204) 및 제2 배수관(206)을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 연결부(207, 208, 209)는 메인 이음관(208), 서브 이음관(207), 제1 연결관(209)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음관(208)은 제1 단부, 제2 단부, 제3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이음관(208)의 제1 단부는 제2 배수관(206)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이음관(208)의 제1 단부의 일부는 제2 배수관(20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메인 이음관(208)의 제2 단부는 트랩형 이음관(21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이음관(208)의 제3 단부는 제1 연결관(209)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이음관(207)은 제1 배수관(204) 및 제1 연결관(209)을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이음관(208)의 일단은 제1 배수관(204)의 타단과 연결되고, 서브 이음관(208)의 타단은 제1 연결관(209)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209)은 메인 이음관(208)과 서브 이음관(207)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209)의 일단은 메인 이음관(208)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제1 연결관(209)의 타단은 서브 이음관(207)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관(209)은 슬래브(201)의 하부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관(209)의 중심라인(CL)과 슬래브(201)의 하부면은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즉, 서브 이음관(207)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관(209)의 타단과 슬래브(201)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는, 메인 이음관(208)의 제3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209)의 일단과 슬래브(201)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배수관(204) 및 서브 이음관(207)을 통과한 하수가 메인 이음관(208)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210)은 메인 이음관(208) 및 제3 배수관(21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210)의 일단은 메인 이음관(208)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트랩형 이음관(210)의 타단은 제3 배수관(2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수관(204)이나 제2 배수관(206)을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 중 일부가 트랩형 이음관(210)의 하부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제3 배수관(211)의 타단은 입상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210)을 통해서 제3 배수관(211)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입상 배수관(미도시)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수관(204) 및 제2 배수관(206)이 배수관 연결부(207, 208, 209)를 통해서 트랩형 이음관(210)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제1 배수관(204)이나 제2 배수관(206)을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가 모두 트랩형 이음관(210)으로 유입되어 트랩형 이음관(210)의 하부면에 봉수로서 저장될 수 있다.
트랩형 이음관(210)에 저장된 봉수는 제3 배수관(211)을 통해서 유입되는 악취나 벌레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바닥에 설치된 배수 트랩(205)에 봉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된 봉수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배수 트랩(205)을 통해 욕실 내부로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배수관(204)에 봉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된 봉수가 충분하지 않더라도 제1 배수관(204)을 통해서 욕실 내부로 악취나 벌레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트랩형 이음관(210)에 저장된 봉수에 의해서 악취나 벌레가 1차적으로 차단되고, 배수 트랩(205)이나 제1 배수관(204)에 저장된 봉수에 의해서 악취나 벌레가 2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악취 및 벌레 차단 효과가 더 뛰어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수관(106)의 타단이 슬래브(101)의 하부로 돌출되어 메인 이음관(108)의 제1 단부와 연결되며, 메인 이음관(108)과 트랩형 이음관(111)의 사이에는 제2 연결관(110)이 연결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이음관(108)의 제1 단부가 제2 배수관(206)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 배수관(206)과 메인 이음관(108)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메인 이음관(108)의 제2 단부는 트랩형 이음관(210)의 일단과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 상의 차이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슬래브(201)의 하부면으로부터 트랩형 이음관(210)의 하부면까지의 길이(H2)는, 도 1에 도시된 슬래브(101)의 하부면으로부터 트랩형 이음관(111) 하부면까지의 길이(H1)보다 짧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가 적용되면 슬래브(201) 하부, 즉 층하 공간에서 배관이 차지하는 공간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비해서 감소하므로 슬래브(201) 하부 층의 천장 높이가 보다 높아지고 슬래브(210) 하부 층의 욕실 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관 시공 구조에 포함되는 메인 이음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이음관(208)은 제1 단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301), 제2 단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부(302), 제3 단부가 형성되는 제3 몸체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301)의 길이(X1)는 제2 몸체부(302)의 길이(X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제2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301)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배수관(206)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메인 이음관(208)과 제2 배수관(206)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302)의 제2 단부는 트랩형 이음관(210)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몸체부(303)에 형성되는 제3 단부에는 제3 몸체부(303)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연결관(209)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캡(31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제3 몸체부(303)에 고정캡 결합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결합 구조가 적용되면 고정캡(31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의 내경(D1)은 제3 몸체부(303)의 내경(D2)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의 내경(D1)은 제3 몸체부(303)의 내경(D2)보다 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몸체부(303)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209)을 통해서 유입되는 하수는 제3 몸체부(303)를 통해서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제3 몸체부(303)를 통해서 유입된 하수가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와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소음은 제1 몸체부(301) 및 제2 배수관(206)을 통해서 욕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의 내경(D1)과 제3 몸체부(303)의 내경(D2) 간의 비율이 적절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표 1]은 제1 몸체부(301) 또는 제2 몸체부(302)의 내경(D1)과 제3 몸체부(303)의 내경(D2) 간의 비율을 다르게 하면서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양의 물을 제1 배수관(204)을 통해서 유입시켰을 때, 배수 트랩(205)에 설치된 소음 측정 장치를 통해서 측정된 소음의 크기를 각각 나타낸다.
D1:D2 소음(dB)
1:1 23.8
1:1.5 24.1
1:2 24.3
1:3 24.5
2:1 23.5
3:1 23.3
5:1 23.2
5:3 22.9
5:3.5 22.6
5:4 22.5
6:4 22.5
6:4.5 22.4
측정 결과 D2보다 D1을 크게 설정할수록 배수 트랩(205)을 통해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D1:D2의 비율이 5:3, 5:3.5, 5:4, 6:4, 6:4.5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면 배수 트랩(205)을 통해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가 23dB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한다.

Claims (9)

  1. 욕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슬래브;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관통공;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관통공;
    상기 욕실의 층상 공간에 배치되는 세면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서 상기 욕실의 층하 공간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배수관;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배수 트랩과 연결되며 상기 제2 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배수관;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이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배수관 및 상기 제2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 연결부;
    일단이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트랩형 이음관; 및
    상기 트랩형 이음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3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상기 제2 배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배수관으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제1 단부, 상기 트랩형 이음관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하수가 배출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배수관으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제3 단부를 갖는 메인 이음관;
    일단이 상기 제1 배수관과 연결되는 서브 이음관; 및
    일단이 상기 메인 이음관의 제3 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이음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이음관은
    상기 제1 단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상기 제2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와 연통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3 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연통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의 내경에 대한 상기 제1 단부의 내경의 비율은 5:3, 5:3.5, 5:4, 6:4, 6:4.5 중 어느 하나인
    욕실 배관 시공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보다 긴
    욕실 배관 시공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의 일부는 상기 제2 배수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욕실 배관 시공 구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의 중심 라인과 상기 슬래브의 바닥면이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형성하는
    욕실 배관 시공 구조.
  9. 삭제
KR1020230036928A 2023-02-16 2023-03-21 욕실 배관 시공 구조 Active KR10275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489 2023-02-16
KR20230020489 2023-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7829A KR20240127829A (ko) 2024-08-23
KR102752812B1 true KR102752812B1 (ko) 2025-01-14

Family

ID=9256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928A Active KR102752812B1 (ko) 2023-02-16 2023-03-21 욕실 배관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2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50B1 (ko) * 2016-07-27 2017-01-25 주식회사 티아이씨 욕조용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034A (ko) * 2008-09-19 2010-03-2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욕실의 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50B1 (ko) * 2016-07-27 2017-01-25 주식회사 티아이씨 욕조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7829A (ko) 202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5814A1 (en) Drain and a building structure having a drain
CN111173084B (zh) 一种积水排除器
KR102752812B1 (ko) 욕실 배관 시공 구조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210030919A (ko)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26825B1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CN109235609A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KR102422253B1 (ko) 건물의 위생 배관 시공방법
KR200498908Y1 (ko) 이중봉수구조를 가지는 배수트랩
KR102332765B1 (ko) 배수장치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JP3517397B2 (ja) 住戸の水抜き構造
KR102760060B1 (ko) 배수트랩
JP2016216910A (ja) 建築物構造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101507980B1 (ko)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JP2019124117A (ja) 建築物構造
CN112081190B (zh) 一种同层排水管
KR100589683B1 (ko) 건축물의 층상 배수장치
CN209429234U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KR101269425B1 (ko) 6방향접속구를 활용한 바닥배수공법
KR20090004408A (ko) 누수방지기능이 구비된 배관슬리브
AU785134B2 (en) Floor wast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