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07980B1 -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80B1
KR101507980B1 KR20140019913A KR20140019913A KR101507980B1 KR 101507980 B1 KR101507980 B1 KR 101507980B1 KR 20140019913 A KR20140019913 A KR 20140019913A KR 20140019913 A KR20140019913 A KR 20140019913A KR 101507980 B1 KR101507980 B1 KR 10150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lab
bathroom
bottom sla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세
Original Assignee
전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세 filed Critical 전영세
Priority to KR2014001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층 건물의 공동구(1)에 설치되는 수직배관(2)과 연결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슬라브(10); 상기 바닥슬라브(10)에 설치되는 선반식 벽체(20); 상기 선반식 벽체(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배수관(30); 상기 바닥슬라브(10)에 함몰 형성되는 집수홈(40); 상기 바닥슬라브(10) 및 상기 집수홈(4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수층(50); 및 상기 집수홈(40)에 집수되는 누수(漏水)를 상기 수직배관(2)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관(6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욕실의 노후 등으로 슬라브층에 물이 고였을 시 이를 배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위생적인 욕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BATHROOM PLUMBING SYSTEM ON FLOOR}
본 발명은 층상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상으로 유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는 현대 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주거 형태로서, 인구대비 거주할 수 있는 면적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가장 효율적인 주택이다. 이러한 아파트는 좁은 면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지만, 층과 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층간 소음은 아파트의 대표적인 단점이다.
아파트에서의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욕실 소음은 입주자만의 문제가 아닌 건물구조와 관련된 문제로서, 위층 욕실에 설치된 욕조, 세면대 및 변기와 연결된 배관이 바닥 슬라브를 관통하여 아래층의 천장에 설치됨에 따라 위층에서 욕실을 사용할 시 배관으로 흐르는 물소리가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층간 소음이 유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배관 구조는 배관 보수 시 아래층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층상 배관 구조는 욕실에서 사용되는 배관을 아래층 천장이 아닌 해당 층 내에 설치한다. 즉, 배관이 마감층 저면에 있는 슬라브를 관통함으로써 아래층에 설치되지 않고, 슬라브상에 배치되어 공동배관으로 연결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층상 배관 구조로 인해 슬라브를 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층간에 욕실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층상 배관 구조는 욕실로부터 하수관이 설치되는 바닥슬라브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바닥슬라브에 고인 물이 바닥슬라브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하수관 등에 장기간 접촉할 경우 하수관이 손상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라브에 집수 공간을 마련하고, 집수 공간에 배수 장치를 구비하여 슬라브상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다층 건물의 공동구에 설치되는 수직배관과 연결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슬라브; 상기 바닥슬라브에 설치되는 선반식 벽체; 상기 선반식 벽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배관과 연결되는 배수관; 상기 바닥슬라브에 함몰 형성되는 집수홈; 상기 바닥슬라브 및 상기 집수홈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수층; 및 상기 집수홈에 집수되는 누수를 상기 수직배관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욕실의 노후 등으로 슬라브층에 물이 고였을 시 이를 배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위생적인 욕실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일부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유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일부 도시한 측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일부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유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을 일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바닥슬라브(10); 바닥슬라브(10)에 설치되는 선반식 벽체(20); 선반식 벽체(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수직배관(2)과 연결되는 배수관(30); 바닥슬라브(10)에 함몰 형성되는 집수홈(40); 바닥슬라브(10) 및 집수홈(4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수층(50); 및 집수홈(40)에 집수되는 누수(漏水)를 수직배관(2)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관(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수직배관(2)에 관해 설명하면, 수직배관(2)은 공동배관으로서, 다층 건물의 공동구(1)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배관(2)에는 연결배관(3)이 연결되는데, 연결배관(3)은 후술할 배수관(30)과 수직배관(2)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관(3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수직배관(2)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관이다. 그리고 연결배관(3)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배수관(30)과 슬리브(4)를 통해 연통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바닥슬라브(10)는 건물(아파트)의 각 층을 구분하는 구조물로서, 각 층의 바닥에 해당되고, 외측에는 건물의 외벽(W)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욕실 위치의 바닥슬라브(10)는 욕실 배관 설치 구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중 슬라브 구조일 경우 상기 바닥슬라브(10)는 배관을 마감층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다른 바닥슬라브(10)보다 한 단계 더 아래에 형성된다. 하지만 이중 슬라브 구조의 경우 마감층으로 인해 후술할 배수안내관(60)이 설치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층상 배관 구조 중에서도 배수관(30)이 마감층(12)과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되며, 바닥슬라브(10)가 다른 슬라브층과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마감층(12)은 바닥슬라브(10)상에 설치되어 육안으로 보이는 바닥으로서, 바닥슬라브(10) 상부에 타설되는 몰탈층(13); 및 몰탈층(13) 상부에 설치되며, 사이에 실링재(14)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타일(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몰탈층(13)은 바닥슬라브(10)로부터 바닥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몰탈층(13)은 바닥슬라브(10)상에 타설 시 후술할 선반식 벽체(20)가 설치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타설된다.
타일(15)은 몰탈층(13)상에 복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며, 사이에 실링재(14)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층(12)상에는 배수구(16)가 설치되어 마감층(12)에 고인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일(15)은 배수구(16)를 향해 물이 흐르도록 구배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한다.
선반식 벽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선반형의 벽체로서, 바닥슬라브(10)상에 설치되며, 건물의 외벽(W)과 접한다. 선반식 벽체(20)는 후술할 배수관(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선반형이므로 상부에 욕실에 필요한 물건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배수관(30)은 욕실에서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 선반식 벽체(20)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단이 배수구(16)와 연결되며, 타단이 슬리브(4)를 통해 연결배관(3)과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관(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6)측에서 연결배관(3)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구배가 형성되어 내부에 물이 용이하게 흐른다.
집수홈(40)은 바닥슬라브(10)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바닥슬라브(10)상에 고인 물이 모이는 곳이다. 집수홈(40)은 배수관(30)이 빠져나가는 길목,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30)과 슬리브(4)가 연결되는 부분의 바닥슬라브(10)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배수안내관(60)이 연결배관(3)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집수홈(40)은 선반식 벽체(20)에 가까워질수록 깊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량의 물도 용이하게 배수시키기 위함이다.
욕실에서 사용된 물이 집수홈(40)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욕실에서 샤워를 하는 등 물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사용된 물은 배수구(16)를 통해 배수되어 배수관(30), 연결배관(3), 수직배관(2) 순서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만약 실링재(14)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선반식 벽체(20) 및 마감층(12) 사이에 틈이 생길 경우 상기 사용된 물은 바닥슬라브(10)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닥슬라브(10)으로 유입되는 물이 많아지면 상기 물은 결국 집수홈(40)에 고인다.
한편, 집수홈(40)은 배수관(30)의 기울기를 더 가파르게 할 수 있다. 배수관(30)은 마감층(12)의 높이 이상으로 올릴 수가 없으므로 구배를 형성시키는데 한계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집수홈(40)으로 인해 배수관(30)이 더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배수가 더욱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방수층(50)은 바닥슬라브(10) 및 집수홈(40)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물이 슬라브 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층(50)은 바닥슬라브(10)에 습기가 차는 현상의 방지뿐만 아니라 집수홈(40)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는데, 만약 방수층(50) 없이 집수홈(40)에 물이 고일 경우, 상기 물은 고여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바닥슬라브(10)로 스며들 가능성이 크다. 즉, 집수홈(40)에 물이 지속해서 고여 수위가 높아져야 후술할 배수안내관(60)을 통해 배수되므로 방수층(50)의 역할이 중요하다.
배수안내관(60)은 집수홈(40)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이 집수홈(40)에 위치되고, 타단이 수직배관(2) 또는 연결배관(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집수홈(40)에 고인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안내관(60)은 집수홈(4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물유입홀(61)이 형성되는 유입관(62); 및 유입관(62)과 배수관(30) 사이에 연결되어 유입관(62) 내부의 물을 수직배관(2)으로 배출시키는 유출관(64)으로 구성된다.
유입관(6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슬라브(10)의 집수홈(40)상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유입관(62)에는 물유입홀(61)이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천공되어 집수홈(40)에 고인 물이 유입관(62)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유출관(64)은 유입관(62)에 유입된 물이 수직배관(2)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62)에 연결되는 전방 유출관(64a); 연결배관(3)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수직배관(2)과 연결되는 후방 유출관(64b); 전방 벽체(W) 내에 설치되며, 전방 유출관(64a) 및 후방 유출관(64b) 사이를 연결하는 슬리브(64c)로 구성된다. 유출관(64)은 전방 유출관(64a)에서 후방 유출관(64b)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구배가 형성됨으로써 수직배관(2)으로부터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출관(64)은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슬라브(10) 위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유출관(64a)이 바닥슬라브(10) 위에 해당하는 유입관(62)의 위치에 설치되면, 바닥슬라브(10)를 뚫을 필요 없이 후방 유출관(64b) 및 슬리브(64c)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위의 경우에는 유출관(64)이 집수홈(40)의 바닥에 고인물까지 배출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바닥슬라브(10)를 일정부분 가공한 뒤에 유출관(64)을 바닥슬라브(10)에 매립시킴으로써 집수홈(40)에 고인물의 대부분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후방 유출관(64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배관(3)과 연결될 수도 있는데, 다만 이 경우는 유출관(64)이 연결배관(3)과 동일한 높이 내지는 연결배관(3) 보다는 좀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할 경우인 것이 역류 가능성이 낮으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유출관(64) 내부에는 수직배관(2) 내부를 흐르는 물이 유입관(62) 방향으로 역류가 되더라도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재(66)가 설치된다. 탈취재(66)는 숯과 같이 탈취기능이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은 집수홈(40)에 물이 차면 유입관(62) 내부로 물이 유입되며, 유출관(64) 높이만큼 물이 유입되면 물이 연결배관(3)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배수안내관(60)은 필요에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어 수직배관(2)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1: 공동구 2: 수직배관
3: 연결배관 4, 64c: 슬리브
10: 바닥슬라브 12: 마감층
13: 몰탈층 14: 실링재
15: 타일 16: 배수구
20: 선반식 벽체 30: 배수관
40: 집수홈 50: 방수층
60: 배수안내관 61: 물유입홀
62: 유입관 64: 유출관
64a: 전방 유출관 64b: 후방 유출관
66: 탈취재

Claims (5)

  1. 다층 건물의 공동구(1)에 설치되는 수직배관(2)과 연결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슬라브(10);
    상기 바닥슬라브(10)에 설치되는 선반식 벽체(20);
    상기 선반식 벽체(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배관(2)과 연결되는 배수관(30);
    상기 바닥슬라브(10)에 함몰 형성되는 집수홈(40);
    상기 바닥슬라브(10) 및 상기 집수홈(4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수층(50) 및
    상기 집수홈(40)과 상기 수직배관(2)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집수홈(40)에 집수되는 누수(漏水)를 상기 수직배관(2)으로 안내하는 배수안내관(6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안내관(60)은, 상기 집수홈(40)상에 위치되며, 다수의 물유입홀(61)이 형성되는 유입관(62); 및 상기 유입관(62)과 상기 수직배관(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62) 내부의 물을 상기 수직배관(2)으로 배출시키는 유출관(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64) 내부에 탈취제(6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40)은 상기 배수관(30)이 외벽(W)과 연결되는 지점의 상기 바닥슬라브(10)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KR20140019913A 2014-02-20 2014-02-20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Active KR10150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9913A KR101507980B1 (ko) 2014-02-20 2014-02-20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9913A KR101507980B1 (ko) 2014-02-20 2014-02-20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980B1 true KR101507980B1 (ko) 2015-04-07

Family

ID=53032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9913A Active KR101507980B1 (ko) 2014-02-20 2014-02-20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92369A (ko) 2023-12-14 2025-06-24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층상벽면배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96A (ko) * 1996-08-16 1998-05-25 오달환 구리(Cu)를 이용한 하수관의 악취 및 가스 제거방법
JP2010031498A (ja) * 2008-07-28 2010-02-12 Bridgestone Corp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96A (ko) * 1996-08-16 1998-05-25 오달환 구리(Cu)를 이용한 하수관의 악취 및 가스 제거방법
JP2010031498A (ja) * 2008-07-28 2010-02-12 Bridgestone Corp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92369A (ko) 2023-12-14 2025-06-24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층상벽면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10025712A (ko)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507980B1 (ko) 욕실 층상배관 시스템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188012B1 (ko)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119526B1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20210000700U (ko) 층상 및 매립 배관용 이중배관식 바닥배수장치
KR20090108348A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20160116928A (ko) 욕실 바닥 구조물
KR101517696B1 (ko)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JP3517397B2 (ja) 住戸の水抜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