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2745B1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2745B1 KR102752745B1 KR1020220096873A KR20220096873A KR102752745B1 KR 102752745 B1 KR102752745 B1 KR 102752745B1 KR 1020220096873 A KR1020220096873 A KR 1020220096873A KR 20220096873 A KR20220096873 A KR 20220096873A KR 102752745 B1 KR102752745 B1 KR 1027527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astigmine
- release
- microspheres
- sustained
- in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시료 2-3, 시료 3-3 및 시료 3-4에 따른 리바스티그민 함유 미립구의 생체 외(in vitro) 약물 방출율을 시간별(0일-49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시료 3-7에 따른 미립구를 랫드에 단회 근육투여하고 시간별로 측정한 약물동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시료 3-8에 따른 미립구를 랫드에 단회 근육투여하고 시간별로 측정한 약물동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시료 3-9에 따른 미립구를 랫드에 단회 근육투여하고 시간별로 측정한 약물동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료 | 반응 몰 비율 (리바스티그민:파모산) |
리바스티그민 사용량 (g) |
파모산 사용량 (g) |
시료 1-1 | 1:0.3 | 10.01 | 4.66 |
시료 1-2 | 1:0.5 | 10.01 | 7.77 |
시료 1-3 | 1:0.7 | 10.01 | 10.87 |
시료 1-4 | 1:1 | 10.01 | 15.54 |
시료 | 고분자 사용량 (g) |
유효성분 사용량 (g) |
용매 사용량 (g) |
연속상 사용량 (mL) |
시료 2-1 | PLA (6.68) | 1.18 | 16.68 | 2,502 |
시료 2-2 | PLA (2.56) | 0.64 | 6.41 | 758 |
시료 2-3 | PLA (4.45)/PLGA (2.22) | 2.23 | 33.37 | 5,003 |
시료 | 고분자 사용량 (g) |
유효성분 사용량 (g) |
용매 사용량 |
연속상 사용량 (mL) |
시료 3-1 | PLA (3.80) | 1.20 | 디클로로메탄 (9.51 g)/ N-메틸피롤리돈 (2.400 mL) |
1,100 |
시료 3-2 | PLA (4.12)/PLGA (2.06) | 3.83 | 디클로로메탄 (21.70 g)/ 디메틸설폭사이드 (8.418 mL) |
4,630 |
시료 3-3 | PLA (4.40)/PLGA (2.20) | 2.40 | 디클로로메탄 (33.01 g) | 4,952 |
시료 3-4 | PLA (3.81)/PLGA (1.91) | 3.28 | 디클로로메탄 (27.15 g)/ 디메틸설폭사이드 (3.318 mL) |
4,172 |
시료 3-5 | PLGA (1.98) | 1.23 | 디클로로메탄 (13.32 g)/디메틸설폭사이드 (4.082 mL) | 1,975 |
시료 3-6 | PLA R 203H (1.61)/PLA R 205S (4.84) | 3.55 | 디클로로메탄 (32.47 g) | 4,836 |
시료 3-7 | PLGA (6.45) | 3.55 | 디클로로메탄 (33.07 g) | 4,836 |
시료 3-8 | PLGA (6.45) | 3.55 | 디클로로메탄 (32.29 g) | 4,836 |
시료 3-9 | PLGA (6.45) | 3.55 | 디클로로메탄 (32.26 g) | 4,836 |
시료 3-10 | PLA (5.56) | 4.44 | 디클로로메탄 (27.85 g) | 4,171 |
시료 3-11 | PLA (2.64)/PLGA (2.64) | 4.22 | 디클로로메탄 (31.09 g) | 4,661 |
시료 3-12 | PLGA (1.17) | 0.43 | 디클로로메탄 (9.02 g)/디메틸설폭사이드 (1.417 mL) | 1,351 |
시료 3-13 | PLGA (3.50) | 4.00 | 디클로로메탄 (31.86 g) | 4,779 |
시료 | 고분자 사용량 (g) |
유효성분 사용량 (g) |
용매 사용량 (g) |
지방산 사용량 (g) |
연속상 사용량 (mL) |
시료4-1 | PLA (3.31) | 1.00 | 디클로로메탄 (8.27) | 카프르산 (0.69) | 950 |
시료4-2 | PLA (3.20) | 1.00 | 디클로로메탄 (8.00) | 라우르산 (0.80) | 900 |
시료4-3 | PLA (3.09) | 1.00 | 디클로로메탄 (7.72) | 미리스트산 (0.91) | 900 |
시료4-4 | PLA (3.50) | 1.00 | 디클로로메탄 (8.75) | 팔미트산 (0.50) | 1,000 |
시료4-5 | PLA (3.43) | 1.00 | 디클로로메탄 (8.58) | 스테아르산(0.57) | 1,000 |
시료 | 함량 분석 결과 | |
리바스티그민 (중량%) | 파모산 (중량%) | |
시료 1-1 | 57.47 | 40.49 |
시료 1-2 | 52.45 | 40.47 |
시료 1-3 | 41.10 | 53.79 |
시료 1-4 | 32.19 | 68.93 |
구분 | 원료 | 함량 분석 결과 | ||
TL (%) | Riv (%) | E.E. (%) | ||
비교시료 1 | 리바스티그민 타르타르산염 | 15 | 3.12 | 21 |
시료 2-1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15 | 4.61 | 31 |
시료 3-3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15 | 10.28 | 69 |
시료 3-4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15 | 11.52 | 77 |
시료 3-5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15 | 14.27 | 95 |
비교시료 2 | 리바스티그민 타르타르산염 | 20 | 6.98 | 35 |
시료 2-2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20 | 8.43 | 42 |
시료 2-3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25 | 8.62 | 34 |
시료 3-6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0 | 14.69 | 73 |
시료 3-7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0 | 16.75 | 84 |
시료 3-8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0 | 16.07 | 80 |
시료 3-9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0 | 15.46 | 77 |
시료 3-10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5 | 19.62 | 78 |
시료 3-11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25 | 22.26 | 89 |
시료 3-12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15 | 10.30 | 69 |
시료 3-13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 30 | 26.89 | 90 |
구분 | 약물의 누적 방출률(%) | ||||||||
0일 | 0.04일 | 0.13일 | 0.25일 | 1일 | 4일 | 7일 | 10일 | 14일 | |
시료 2-3 |
0 | 0.40 | 43.04 | 76.11 | 89.23 | 91.67 | 93.33 | 94.32 | 94.65 |
시료 3-3 | 0 | 0.15 | 0.15 | 0.19 | 0.19 | 0.52 | 14.15 | 42.14 | 65.98 |
시료 3-4 | 0 | 0.14 | 0.16 | 0.16 | 0.18 | 0.19 | 0.19 | 1.61 | 7.95 |
구분 | 약물의 누적 방출률(%) | ||||||||
17일 | 21일 | 28일 | 35일 | 42일 | 49일 | ||||
시료 2-3 |
95.08 | 95.26 | 96.00 | 96.00 | 96.21 | 96.28 | |||
시료 3-3 | 74.49 | 81.89 | 87.44 | 89.53 | 89.53 | 90.31 | |||
시료 3-4 | 15.12 | 29.75 | 54.55 | 64.18 | 68.14 | 70.88 |
구분 | 원료 | 함량 분석 결과 | ||
TL (%) | Riv (%) | E.E. (%) | ||
시료 2-2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20 | 8.43 | 42 |
시료 4-1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C10:0 지방산 | 20 | 9.70 | 49 |
시료 4-2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C12:0 지방산 | 20 | 14.01 | 70 |
시료 4-3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C14:0 지방산 | 20 | 15.26 | 76 |
시료 4-4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C16:0 지방산 | 20 | 11.22 | 56 |
시료 4-5 | 리바스티그민 프리베이스 + C18:0 지방산 | 20 | 12.33 | 62 |
구분 | D50 (μm) |
비교시료 1 | 71.74 |
비교시료 2 | 100.54 |
시료 2-1 | 54.62 |
시료 3-1 | 119.50 |
시료 3-2 | 137.94 |
시료 3-3 | 45.42 |
시료 3-4 | 54.67 |
시료 3-5 | 64.87 |
시료 3-6 | 41.25 |
시료 3-9 | 41.07 |
시료 3-11 | 52.88 |
시료 3-12 | 106.87 |
시료 4-1 | 53.57 |
구분 | 투여 후 경과일에 따른 약물의 누적 방출률(%) | |||||||
0 일 | 0.04 일 | 0.25 일 | 1 일 | 4 일 | 7 일 | 10 일 | 14 일 | |
시료 3-7 | 0 | 0.01 | 0.06 | 0.19 | 6.37 | 25.23 | 60.85 | 95.26 |
시료 3-8 | 0 | 0.01 | 0.07 | 0.18 | 7.02 | 21.28 | 34.07 | 51.76 |
시료 3-9 | 0 | 0.01 | 0.05 | 0.10 | 0.96 | 15.26 | 34.24 | 45.02 |
구분 | 투여 후 경과일에 따른 약물의 누적 방출률(%) | |||||||
17 일 | 21 일 | 28 일 | 35 일 | 42 일 | 49 일 | 56 일 | 63 일 | |
시료 3-7 | 99.01 | 99.91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시료 3-8 | 66.77 | 82.90 | 97.33 | 99.84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시료 3-9 | 51.04 | 61.81 | 81.13 | 93.27 | 98.35 | 99.86 | 100.00 | 100.00 |
Claims (17)
- 난용성 유효성분 및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로서, 상기 유효성분은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이고, 상기 유효성분은 리바스티그민으로서 전체 미립구 중량 대비 9 중량% 이상 내지 35 중량% 이하로 포함되며,
상기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mg/ml이하이며, 상기 유효성분은 1일 이내에 15% 미만으로 방출되는 것이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2주 이상 방출하는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중의 리바스티그민:파모산의 몰 비는 1:0.3 내지 1:1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중의 파모산 부분의 함량은 전체 미립구 중량 대비 2.0 내지 50 중량%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은 동결건조 분말, 감압건조 분말 또는 열풍건조 분말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고유점도가 0.16 내지 1.9 dL/g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의 락타이드 대 글리콜라이드의 몰 비가 40:60 내지 90:10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240,000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제1항에 있어서, 미립구의 평균입도가 10μm 이상인 것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
- (a) 유효성분으로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및 1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고분자 용액(분산상)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고분자 용액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수용액상(연속상)에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에멀젼 중의 분산상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연속상으로 추출 및 증발시켜 미립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연속상으로부터 미립구를 회수하여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 함유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인, 제1항에 따른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제제용 서방성 미립구는 상기 유효성분을 2주 이상 방출하는 것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과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량비(유효성분:생분해성 고분자)는 1:9 내지 3:1인 것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되는 리바스티그민의 파모산염은 동결건조, 감압건조 또는 열풍건조된 것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단계 (d)사이에 체과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계면활성제는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연속상은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 제1항에 따른 미립구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예방 또는 치료용 주사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84775 | 2019-07-12 | ||
KR1020190084775 | 2019-07-12 | ||
KR1020210068590A KR20210065921A (ko) | 2019-07-12 | 2021-05-27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8590A Division KR20210065921A (ko) | 2019-07-12 | 2021-05-27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737A KR20220112737A (ko) | 2022-08-11 |
KR102752745B1 true KR102752745B1 (ko) | 2025-01-10 |
Family
ID=7421104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6399A Ceased KR20210007924A (ko) | 2019-07-12 | 2020-07-13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10068590A Ceased KR20210065921A (ko) | 2019-07-12 | 2021-05-27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39981A Active KR102752744B1 (ko) | 2019-07-12 | 2022-03-30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96873A Active KR102752745B1 (ko) | 2019-07-12 | 2022-08-03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6399A Ceased KR20210007924A (ko) | 2019-07-12 | 2020-07-13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10068590A Ceased KR20210065921A (ko) | 2019-07-12 | 2021-05-27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39981A Active KR102752744B1 (ko) | 2019-07-12 | 2022-03-30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57518A1 (ko) |
EP (1) | EP3998065A4 (ko) |
JP (2) | JP7437074B2 (ko) |
KR (4) | KR20210007924A (ko) |
CN (1) | CN114126592A (ko) |
AU (1) | AU2020312361B2 (ko) |
BR (1) | BR112022000413A2 (ko) |
CA (1) | CA3143471C (ko) |
MX (1) | MX2022000489A (ko) |
WO (1) | WO2021010719A1 (ko) |
ZA (1) | ZA20220146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8232A (ko) * | 2020-06-23 | 2021-12-30 |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 치매치료를 위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
WO2022199707A1 (zh) * | 2021-03-26 | 2022-09-29 | 上海博志研新药物技术有限公司 | 哌马色林药用盐、制备方法、含其的药物组合物及应用 |
CN113877000B (zh) * | 2021-10-13 | 2023-01-24 | 科笛生物医药(无锡)有限公司 | 注射用微球组合物及其应用 |
WO2023249465A1 (ko) * | 2022-06-23 | 2023-12-28 |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 엔테카비르를 포함하는 장기지속성 미립구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CN119744167A (zh) * | 2022-06-23 | 2025-04-01 | G2G生物公司 | 含有药物和帕莫酸的缓释微球 |
KR20240115109A (ko) * | 2023-01-18 | 2024-07-25 | 주식회사 아울바이오 | 고용량 바레니클린을 포함하는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WO2025135778A1 (ko) * | 2023-12-18 | 2025-06-26 | 주식회사 포스테라헬스사이언스 | 약물의 특성에 따른 활성형 미립자의 제조 방법, 이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활성형 미립자 및 상기 활성형 미립자를 이용한 약물을 포함하는 장기 지속 제형의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45355A1 (ko) * | 2017-08-29 | 2019-03-07 | 대원제약 주식회사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E188375T1 (de) * | 1992-11-17 | 2000-01-15 | Yoshitomi Pharmaceutical | Ein antipsychotikum enthaltende mikrokugel zur verzögerten freisetzung und verfahren für ihre herstellung |
CA2671670C (en) * | 2006-12-18 | 2015-02-10 |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BRPI0921048B1 (pt) * | 2008-11-14 | 2022-02-15 | Ewh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 Método para preparar microsferas, microsferas produzidas por esse método, e composição para liberação de fármaco compreendendo a mesma |
CN101708164A (zh) | 2009-12-18 | 2010-05-19 | 苏州大学 | 一种卡巴拉汀缓释微球及其制备方法 |
KR20120011344A (ko) * | 2010-07-21 | 2012-02-08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고분자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미립구 |
KR101424163B1 (ko) | 2010-12-24 | 2014-08-01 |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 수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마이크로입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481859B1 (ko) * | 2011-05-20 | 2015-01-14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초기 약물 방출이 감소된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미립자 |
WO2013078608A1 (en) | 2011-11-29 | 2013-06-06 | Ziqiang Gu | Donepezil pamoat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KR101307729B1 (ko) * | 2012-11-19 | 2013-09-11 |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 초기 약물 방출이 감소된 고분자 미립자를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811797B1 (ko) * | 2013-04-03 | 2017-12-22 | 동국제약 주식회사 |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
US11154510B2 (en) * | 2015-06-11 | 2021-10-26 | Alrise Biosystems Gmbh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rug loaded microparticles |
KR101961848B1 (ko) * | 2016-08-25 | 2019-03-25 | 영진약품 주식회사 |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900482B1 (ko) | 2017-01-17 | 2018-09-19 | 한국화학연구원 | 미립구형 서방출 주사제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2047983B1 (ko) * | 2017-11-30 | 2019-11-22 |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 안전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7-13 MX MX2022000489A patent/MX2022000489A/es unknown
- 2020-07-13 CN CN202080050894.9A patent/CN114126592A/zh active Pending
- 2020-07-13 US US17/625,831 patent/US20220257518A1/en active Pending
- 2020-07-13 WO PCT/KR2020/009221 patent/WO2021010719A1/ko unknown
- 2020-07-13 JP JP2022502172A patent/JP7437074B2/ja active Active
- 2020-07-13 CA CA3143471A patent/CA3143471C/en active Active
- 2020-07-13 EP EP20840297.4A patent/EP3998065A4/en active Pending
- 2020-07-13 AU AU2020312361A patent/AU2020312361B2/en active Active
- 2020-07-13 KR KR1020200086399A patent/KR20210007924A/ko not_active Ceased
- 2020-07-13 BR BR112022000413A patent/BR112022000413A2/pt unknown
-
2021
- 2021-05-27 KR KR1020210068590A patent/KR20210065921A/ko not_active Ceased
-
2022
- 2022-02-01 ZA ZA2022/01465A patent/ZA202201465B/en unknown
- 2022-03-30 KR KR1020220039981A patent/KR102752744B1/ko active Active
- 2022-08-03 KR KR1020220096873A patent/KR102752745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11-10 JP JP2023192384A patent/JP2024010233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45355A1 (ko) * | 2017-08-29 | 2019-03-07 | 대원제약 주식회사 | 리바스티그민 파모산염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5921A (ko) | 2021-06-04 |
JP7437074B2 (ja) | 2024-02-22 |
AU2020312361B2 (en) | 2024-05-09 |
MX2022000489A (es) | 2022-02-03 |
AU2020312361A1 (en) | 2022-03-03 |
CA3143471A1 (en) | 2021-01-21 |
BR112022000413A2 (pt) | 2022-03-03 |
JP2024010233A (ja) | 2024-01-23 |
EP3998065A1 (en) | 2022-05-18 |
EP3998065A4 (en) | 2023-07-12 |
KR20220044921A (ko) | 2022-04-12 |
KR20210007924A (ko) | 2021-01-20 |
KR20220112737A (ko) | 2022-08-11 |
JP2022541011A (ja) | 2022-09-21 |
WO2021010719A1 (ko) | 2021-01-21 |
KR102752744B1 (ko) | 2025-01-10 |
CA3143471C (en) | 2023-10-31 |
ZA202201465B (en) | 2023-11-29 |
CN114126592A (zh) | 2022-03-01 |
US20220257518A1 (en) | 2022-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52745B1 (ko) |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47982B1 (ko) | 도네페질을 함유하는 서방성 주사제제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120496A (ko) |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20180131077A (ko) |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 |
EP1317254B1 (de) | Retardpartikeldispersion | |
KR102235011B1 (ko) | 약물 함유 plga 미립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396461B1 (ko) | 옥살리플라틴의 나노 입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RU2799939C1 (ru) |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дли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содержащая ривастигмин,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
DE3701625A1 (de) | Perorale arzneimittelzubereitung mit verzoegerter wirkstofffreigabe | |
KR20190078017A (ko) |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3786393A (zh) | 一种利伐沙班微球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2706487B1 (ko) | 엔테카비르를 포함하는 장기지속성 미립구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51185B1 (ko) | 도네페질 함유 지속방출형 미립구 | |
KR102706488B1 (ko) | 도네페질과 파모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 |
Zhang |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and in situ forming implants/microparticles containing drugs in different physical states | |
KR102809234B1 (ko) | 약물과 파모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 |
KR102709458B1 (ko) | 서방출 클로니딘 미립구형 주사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25523523A (ja) | 薬物とパモ酸を含有する徐放性微粒球 | |
EP2238972A2 (de) | Zusammensetzung umfassend einen hydrophoben Wirkstoff sowie ein Phospholipi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0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5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6859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