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9849B1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9849B1
KR102749849B1 KR1020190175634A KR20190175634A KR102749849B1 KR 102749849 B1 KR102749849 B1 KR 102749849B1 KR 1020190175634 A KR1020190175634 A KR 1020190175634A KR 20190175634 A KR20190175634 A KR 20190175634A KR 102749849 B1 KR102749849 B1 KR 10274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eat dissipation
oven
blower fan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041A (ko
Inventor
임태섭
박상준
이상진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98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98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28Food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고, 방열장치는,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방열유로 및 방열유로에 설치되며, 송풍팬의 오프(Off)시 방열유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카메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조리실과, 조리실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장치를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력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외근을 이루며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투입되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오븐 내부의 조리실에서 조리 중인 조리물의 상태를 스마트 기기를 통해 모니터링 하거나, 원격 제어하도록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오븐에는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기 위해 조리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븐은 조리 조건에 따라 조리실의 내부 온도는 섭씨 150 내지 450도까지 상승될 수 있고, 조리실의 외부 온도까지 함께 상승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가 손상될 수 있다.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오븐에 팬을 설치할 수 있다. 팬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카메라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전원 코드를 뽑거나 사용도중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등 팬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조리실 내부 잠열이 카메라에 복사되어 카메라가 과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카메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카메라 설치부의 잠열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열장치를 포함하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방열유로; 및 상기 방열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오프(Off)시 상기 방열유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 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상기 방열유로 상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방열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글래스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 유닛은 상기 제1브라켓의 저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Off)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는 이완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 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Off) 상태에서는 수축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시 카메라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설치홀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유로의 상기 제2개구는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팬을 향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다른 오븐은,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방열유로; 및 상기 방열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동작(On)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하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송풍팬의 오프(Off)상태에서는 상기 방열유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 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방열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는 이완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 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Off) 상태에서는 수축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은 방열장치에 의해 카메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열장치를 통해 조리실 내부에 의해 카메라 설치부로 복사되는 고온의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븐의 갑작스런 전원 차단에 의한 송풍팬의 동작 정지(Off)시 카메라의 이동으로 인해 내부 공간의 열이 순환될 수 있고, 자연적으로 열이 방출되어 카메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방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A-A'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동작(ON) 상태에서, 방열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동작 정지(OFF) 상태에서, 방열장치에 의한 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동작 정지(off) 상태에서, 방열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조리실(30)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20), 및 내부케이스(20)의 외측에 결합되어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20)와 외부케이스(미도시)는 각각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븐(1)은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체(10)는 외부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지 않고 수납이 가능한 시스템 키친의 캐비닛 등이 내부케이스(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조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5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20)는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 본체(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패널(22), 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23), 및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에는 개구가 마련되고, 개구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30)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면패널(21)의 전면 상부에는 전장실(4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장실커버(41)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커버(41)에는 디스플레이모듈(60)이 장착될 수 있다.
측면패널(23)과 후면패널(24)에는 각각 전장실(40)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입구(23a,24a)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23a,24a)를 통해 전장실(4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4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입구(23a,24a)는 전장실(40)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면패널(22)에는 후술하는 방열장치(100)로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홀(27)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홀(27)을 통해 방열장치(100)로 흡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카메라(3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 박스 형상을 갖고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실(30)은 상면판(31), 바닥판(32), 양 측면판(33), 및 후면판(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조리공간으로 전면패널(21)의 개구를 통해 전면이 개방되어 음식물을 출납할 수 있다.
양 측면판(33)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35)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35)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 가능한 랙(36)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35)에는 랙(36)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미 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일(미 도시)을 통해 랙(36)을 이동시키며 음식물을 꺼내거나 올려둘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에는 조리실(30)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37)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37)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 조리실(30a,30b)은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된 조리실(30a,30b)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디바이더(37)는 단열 재질로 마련되어 각각의 조리실(30)을 단열시킬 수 있다.
조리실(30)에는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히터(38)가 마련될 수 있고, 히터(37)는 전기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히터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히터(37)는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히터일 수 있다. 따라서, 오븐은 전기오븐 및 가스오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30)의 후면판(34)에는 조리실(30)의 공기를 순환시켜 음식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팬(39a), 및 순환팬(39a)을 구동시키는 순환모터(39b)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팬(39a)의 전면에는 순환팬(39a)을 커버하는 팬커버(39c)가 마련될 수 있고, 팬커버(39c)에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50)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50)는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의 하부의 힌지(5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어(5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리실(30) 전체를 개폐하는 제1도어(51)와, 제1도어(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도어(51)에 마련된 개구부(미도시)를 개폐하는 제2도어(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50)의 전면 상부인 제2도어(52)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56)이 마련되며, 도어 핸들(56)에는 도어(50)가 본체(1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거나, 제2도어(52)가 제1도어(51)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락킹장치(57)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더(37)에 의해 조리실(30)이 분할할 수 있고 조리실(30)은 디바이더(37)를 중심으로 아래부터 제 1조리실(30a)과 제 2조리실(30b)로 구획될 수 있다.
사용자는 락킹장치(55)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 2도어(52)를 열어 제 2조리실(30b)만 개방할 수 있으며, 제 1도어(51)를 열어 제 1조리실(30a)과 제 2조리실(30b)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50)는 단일개의 도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추가적으로 제 3도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븐(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모듈(60)은 전면패널(21)의 전면 상부에 마련된 전장실커버(41)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장실커버(41)에는 오븐(1)을 동작시킬 수 있는 조작부(62)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액정표시장치(LC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모듈과, 액정모듈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유닛으로는 LED(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액정표시장치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패널(6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61)은 단순히 액정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패널일 수 있지만,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전장실(40)과 조리실(20) 사이에는 조리실(20)의 열기가 전장실(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40)과 조리실(20)을 단열하는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미도시)는 전장실(40)과 조리실(20)사이 뿐만 아니라, 조리실(20)의 열기가 오븐(1)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조리실(2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40)의 내부는 각종 전장품의 열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오븐(1)에는 전장실(40) 주위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장실(40)을 냉각시킬 수 있는 송풍장치(60)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61)과 송풍팬(61)을 구동시키는 송풍팬모터(62) 및 송풍팬(6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7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1)은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한 후 반경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61)은 원심팬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 예와 달리 송풍팬(61)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측면패널(23)과 후면패널(24)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23a,24a)를 통해 전장실(40)로 흡입될 수 있고, 전장실(4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40)의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 배출유로(70)를 따라 배출구(71)를 통해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71)는 전면패널(21)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면패널(21)의 상단과 전장실커버(41)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30) 내부의 공기의 일부는 배출유로(70) 측으로 흡입되어 오븐(1)의 전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조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로베이스(70b), 및 유로베이스(70b)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유로커버(70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70)는 배출유로베이스(70a) 및 배출유로커버(7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70)는 베출유로베이스(70a), 베출유로커버(70b), 및 전면패널(21)의 상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베이스(70a) 및 배출유로커버(70b)는 이격될 수 있고, 배출유로베이스(70a) 및 배출유로커버(70b) 사이의 공간에 송풍팬(6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6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오븐(1)의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배출유로(7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오븐(1)의 외부의 공기는 측면패널(23)에 형성된 유입구(23a)를 통해 전장실(40)로 흡입되고, 전장실(4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4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킨 후에 배출유로(70)에 의해 가이드되어 오븐(1)의 전방 배출구(7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오븐(1)은 조리실(30)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전장실(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조리실(30)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 등을 촬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의 상면판(31)에는 상면판개구(31a)가 마련된다. 상면판개구(31a)는 조리실(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카메라(300)가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리실(30)이 밀폐될 수 있도록 상면판개구(31a)는 투명부재(31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오븐(1)의 동작 중에는 조리실(30)의 내부 온도는 고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하도록 조리실(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00)가 조리실(30)과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카메라(300)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300)가 손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븐(1)은 카메라(300)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는 방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80)가 방열장치(100)에 의해 냉각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방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카메라(300)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전장실(40)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장실 내부의 전장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 카메라(300)가 배치되는 전장실(40)은 조리실(30)의 상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조리실(3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카메라(300)의 온도가 높아지면 고장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화질이 나빠질 수 있다. 카메라(300)는 방열장치(10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본체(10)의 상면패널(22)에 형성된 복수의 홀(27)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카메라(300)를 냉각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팬(61)으로 유동시켜 배출유로(7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송풍장치(6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열장치는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열장치는 송풍장치의 근접한 위치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방열유로(130)와, 방열유로(130)에 설치되며 카메라(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조리실(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배출유로(70)의 배출유로커버(70b)에 설치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송풍장치(6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내부에 카메라(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카메라(30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마련되는 장착부(310)와, 장착부(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연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통(320)과, 경통(320)의 단부에 배치되어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하는 렌즈(3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의 장착부(310)는 홀더 브라켓(230)에 장착될 수 있다. 홀더 브라켓(230)은 후술하는 홀더 브라켓(23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는 본체(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110)과, 제1브라켓(110)과 결합하여 내부에 방열유로(130)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제1브라켓(110)에 마련되는 카메라 수용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은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바디(110a)와, 제1바디(110a)로부터 연장되는 제2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110a)는 본체(10)의 외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개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131)는 본체(10)의 상면패널(22)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27)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110b)는 제1바디(110a) 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10b)는 내부에 카메라 수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10b)의 저면은 개구(111)가 형성된다. 제2바디(110b)의 카메라 수용부(140)의 저면은 개구(111)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110)의 제2바디(110b)의 개구(111)에는 글래스 유닛(150)이 마련될 수 있다.
글래스 유닛(150)은 카메라(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 유닛(150)은 카메라(300)가 조리실(3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글래스 유닛(150)은 조리실(30)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30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글래스 유닛(150)은 글래스(151)와, 글래스(151)를 지지하기 위한 글래스 브라켓(152)을 포함한다. 글래스 브라켓(152)은 제1브라켓(110)의 제2바디(110b)의 개구(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110b)의 개구(111)는 조리실(30)의 상면판(31)에 형성된 상면판개구(31a)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글래스(151)는 글래스 브라켓(152)에 의해 고정되어 제1브라켓(1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글래스는 한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글래스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글래스(151)의 적어도 일면에는 열반사 코팅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반사 코팅층이 조리실(30)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래스(151)는 열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열에 강한 강화유리 또는 붕규산 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의 상측에는 제2브라켓(12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브라켓(110)의 제2바디(110b)에는 제2브라켓(120)이 결합되기 위한 제1결합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면(113)은 제2바디(110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라켓(120)은 제1브라켓(110)의 제1바디(110a)에 결합되는 제1부분(120a)과, 제1부분(120a)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바디(110b)에 결합되는 제2부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120)의 제1부분(120a)은 제1브라켓(110)의 제1바디(110a)와 결합하여 제1개구(1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부분(120b)은 제1부분(120a)으로부터 연장되며, 카메라 수용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부분(120b)은 제2브라켓(120)은 제2바디(11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부분(120b)의 하부에는 제2바디(110b)의 제1결합면(113)에 대응되는 제2결합면(123)이 형성된다. 제2부분(120b)은 제1개구(13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송풍팬(61) 측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1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브라켓(120)의 제2부분(120b)은 제1브라켓(110)의 제2바디(110b)와 결합하여 제2개구(13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에 의해 형성되는 방열유로(130)는 제1개구(131)와 제2개구(1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수용부(140)는 방열유로(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수용부(140)는 제1브라켓(110)의 제2바디(110b)와 제2브라켓(120)의 제2부분(12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수용부(140)에 수용되는 카메라(300)는 승강장치(200)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카메라(300)는 승강장치(200)에 연결되어 카메라 수용부(14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승강장치(200)는 제2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브라켓(120)에는 승강장치(2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홀(121)은 제2브라켓(120)의 제2부분(120b)에 형성될 수 있다. 승강장치(200)는 제2브라켓(120)의 제2부분(120b)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홀더 브라켓(230)에 의해 승강장치(2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 브라켓(230)은 카메라(300)와 승강장치(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홀더 브라켓(230)은 승강장치(20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홀더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홀(231)을 통해 홀더 브라켓(230)은 카메라(300)를 승강장치(200)에 연결할 수 있다. 홀더 브라켓(230)은 카메라(30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23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브라켓(230)의 홀더(232)는 카메라(300)의 장착부(310)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홀더(232)는 홀더 브라켓(230)의 하단에 돌출되어 장착부(310)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브라켓(230)의 홀더홀(231)은 승강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홀더 브라켓(230)은 승강장치(200)와 홀더 브라켓(23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홀더홀(231)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승강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와 홀더 브라켓(230) 사이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승강장치(200)는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밸브 바디(210a)와, 밸브 바디(210a)로부터 자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플런저(220)를 포함 할 수 있다. 플런저(220)는 밸브 바디(21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220)의 단부에는 홀더 브라켓(230)에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220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a)는 홀더 브라켓(230)의 홀더홀(231)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220a)는 탄성부재(240)를 통해 홀더 브라켓(230)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장치(200)에 의해 카메라(30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카메라 수용부(140)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열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은 도 5 의 A-A'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동작(ON) 상태에서, 방열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동작 정지(OFF) 상태에서, 방열장치에 의한 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의 동작 정지(off) 상태에서, 방열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0)는 방열장치(100)의 방열유로(130)내에 마련된다.
방열장치(100)는 본체(10)의 외기를 유입하여 카메라(300)를 냉각하도록 마련된다. 오븐(1)의 동작 시, 송풍장치(60)의 송풍팬(61)의 동작(on)에 의해 방열장치(100)의 방열유로(130)로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방열장치(100)의 제1개구(131)는 본체(10)의 상면패널(22)에 형성된 복수의 홀(27)에 연통되어 배치된다.
송풍팬(61)의 동작(on)시, 본체(10)에 형성된 복수의 홀(27)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방열유로(130)를 통해 카메라 수용부(140)에 수용된 카메라(300)에 직접 전달되고, 카메라(300)는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승강장치(200)의 솔레노이드 밸브(210)는 작동(이완)하여 플렌지(220)가 카메라(300)를 하측으로 위치시킨다. 카메라(300)는 조리실(30)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해 조리실(30) 측으로 밀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송풍팬(61)의 동작에 의해 방열유로(130)로 강제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카메라(300)는 냉각될 수 있다. 방열유로(130) 내에서 카메라(300)를 냉각시킨 공기는 제2개구(132)를 통해 송풍팬(61)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 참고)
송풍팬(61)의 동작 시, 본체(10)의 유입구(23a,24a)를 통해 전장실(40)로 흡입된 공기는 전장실(40) 내부를 유동하며 전장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방열유로(130)의 제2개구(132)는 송풍팬(61)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방열유로(1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2개구(132)를 전장실(40) 또는 송풍팬(61)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방열유로(130)의 제2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유로(7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븐(1)의 동작 정지(OFF)시, 즉, 송풍장치(60)의 송풍팬(61)과 카메라(300)의 동작정지(OFF) 시 승강장치(200)의 솔레노이드 밸브(210) 역시 자력이 없어지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10)의 동작이 정지(수축)되면 플렌지(220)는 카메라(3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오븐(1)의 동작 정지 시 조리실(30) 내부 잠열에 의해 고온의 열이 카메라(300)로 복사될 수 있다. 조리실(30)로부터 복사된 열이 카메라 수용부(140) 내에서 잔류된 상태에서, 승강장치(200)에 의해 카메라(3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열이 순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방열장치(100)의 제1개구(131)와 제2개구(132)를 통해 공기는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카메라(3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유로(130) 즉, 카메라 수용부(140)의 공기는 방열장치(100)의 제1개구(131)를 통해 본체(10)의 복수의 홀(27)로 배출될 수 있다. 또, 방열유로(130) 즉, 카메라 수용부(140)의 공기는 방열장치(100)의 제2개구(132)를 통해 전장실(40) 또는 송풍팬(61)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오븐(1)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카메라(3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오븐 10: 본체
30 : 조리실 40 : 전장실
100 : 방열장치 110 : 제1브라켓
120 : 제2브라켓 130 : 방열유로
131 : 제1개구 132 : 제2개구
200 : 승강장치 210 : 솔레노이드 밸브
230 : 홀더 브라켓 240 : 탄성부재
300 : 카메라 330 : 렌즈

Claims (20)

  1. 조리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방열을 위해 마련되는 방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브라켓;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방열유로;
    상기 제1브라켓의 상측에서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방열유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방열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의 동작(On)시 상기 카메라를 하측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송풍팬의 오프(Off)시 상기 방열유로 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카메라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승각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홀이 형성되는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 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에 마련되는 오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오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수용부는 상기 방열유로 상에 마련되는 오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구는 상기 복수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오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실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글래스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 유닛은 상기 제1브라켓의 저면에 마련되는 오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Off)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오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On) 상태에서는 이완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 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정지(Off) 상태에서는 수축하여 상기 카메라를 상기 조리실로부터 이격시키는 오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유로의 상기 제2개구는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송풍팬을 향해 배치되는 오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175634A 2019-12-26 2019-12-26 오븐 Active KR10274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34A KR102749849B1 (ko) 2019-12-26 2019-12-26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34A KR102749849B1 (ko) 2019-12-26 2019-12-26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041A KR20210083041A (ko) 2021-07-06
KR102749849B1 true KR102749849B1 (ko) 2025-01-07

Family

ID=7686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634A Active KR102749849B1 (ko) 2019-12-26 2019-12-26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9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949673A (zh) * 2023-11-07 2025-05-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摄像组件和食物烹饪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009A (ja) * 2007-05-22 2008-12-04 Hoya Corp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15B1 (ko) * 2016-09-01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009A (ja) * 2007-05-22 2008-12-04 Hoya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041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88862B (zh) 烤箱
KR102665015B1 (ko) 오븐
US8847133B2 (en) Door for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EP3309463B1 (en) Oven
US11274833B2 (en) Oven
KR102581788B1 (ko)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조리장치
EP2066974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08563B1 (ko) 조리기기
US11507126B2 (en) Knob assembly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KR102749849B1 (ko) 오븐
US8698057B2 (en)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US20240230103A9 (en) Cooking appliance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10064859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WO2008032897A1 (en) Cooking apparatus
KR20230092658A (ko) 조리 기기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JP6537885B2 (ja) 加熱調理器
JP49726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683542B1 (ko) 오븐
US20250216085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093876A1 (en) Cooking apparatus
EP2064492B1 (en) Cooking apparatus
TWI688733B (zh)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