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8358B1 -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8358B1
KR102738358B1 KR1020220112928A KR20220112928A KR102738358B1 KR 102738358 B1 KR102738358 B1 KR 102738358B1 KR 1020220112928 A KR1020220112928 A KR 1020220112928A KR 20220112928 A KR20220112928 A KR 20220112928A KR 102738358 B1 KR102738358 B1 KR 10273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pport boom
electric forklift
boom
forkl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3960A (ko
Inventor
고영도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8358B1/ko
Publication of KR2024003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83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36Floating elements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in supply or take-up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포크레인용 전력 케이블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수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웨이트수단의 중량 조절작업이 간편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웨이트수단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전선케이블의 텐션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A count weight structure for electric fork crane}
본 발명은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포크레인용 전력 케이블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수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웨이트수단의 중량 조절작업이 간편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웨이트수단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전선케이블의 텐션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라 함은 토목 공사에 쓰는 중량이 큰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기중기, 굴삭기, 지게차, 로우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류의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중장비 중에서도 굴삭기는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건설기계 중 대표적인 것으로 "포크레인"이라는 다른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굴삭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에 캐터필러가 장착되어 이동부가 구성되고, 이동부 상부에는 회동부가 설치되며, 회동부 상부 전방에는 캐빈(운전석)과 관절식 아암이 각각 장착되며, 아암의 선단부에는 굴착용 디퍼가 장착되어 땅을 파거나 깎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의 후방에는 기계식 엔진이 장착되고, 상기 엔진 일측에는 유압펌프가 장착되며, 상기 엔진 타측에는 엔진 냉각을 위한 냉각수 라디에이터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 후방에는 카운터웨이트가 장착되어 굴삭기의 균형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는 보통 엔진에서 구동력을 얻어 유압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한 엔진을 구동하기 위하여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타입 굴삭기는 경유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매연과 유해 물질이 다량 배출되고, 소음이 심각하여 대기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 유류비의 상승으로 인해 굴삭기의 구동시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굴삭기의 구동이 경제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되고, 유류를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특성상 엔진오일 및 각종 오일의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이 소요되며, 사용 후 교체되는 폐오일의 처리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타입 굴삭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전기구동타입의 굴삭기가 개발되었고, 상기 굴삭기와 같은 이동장치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027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등록일자 : 2011.04.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수신받아 공급하는 전력수신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게 설치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 일정하게 회전하되 길이 방향 삽탈되며 길이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붐과 상기 붐의 삽탈 간격에 맞추어 승강하며 무게 중심을 조정하는 무게 중심부재와 상기 붐에 설치되어 전력선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전력선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전력공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게 중심부재는 기둥을 따라 배치된 중량물 안내레일과, 상기 중량물 안내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중량물과 상기 붐 단부와 중량물을 연결하는 중량물 와이어와 중량물 와이어를 안내하는 지지 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붐은 빈 내부에는 붐의 인출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인출감지센서가 구비한 각 형태로 형성하고, 다수개의 붐이 서로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고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윤활재를 도포하여 길이 방향으로 삽탈되면서 길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수신부가 전력공급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상태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며 전력선을 통해 전력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기존 전기포크레인과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0782호 "포크레인 시스템"(등록일자 : 2010.03.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과; 상기 포크레인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포크레인용 포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포크레인용 포스트 상측으로는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링이 형성된 포크레인 포스트부와; 상기 포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감겨있는 케이블 드럼; 및 케이블 릴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작동시 연동하여 회전되되, 일측으로 강자성체가 결합되어 있는 동력전달 회전체로 구성되어 있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동력전달부의 강자성체와 반응하는 영구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동력수신 회전체를 포함하는 동력수신부와; 상기 동력수신부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케이블 드럼 구동장치;로 이루어진 케이블 릴과; 상기 케이블 릴의 케이블 드럼에 감겨있는 케이블을 포크레인에 공급하기 위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측에 결합하되, 포스트의 상측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 회전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회전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포스트에 의해 이동하는 케이블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판으로 구성된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 전기 포크레인은 붐에 지지되는 케이블 배선의 길이 및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개로 구성된 중량추를 이용하고 있으나, 중량의 경감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1027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등록일자 : 2011.04.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0782호 "포크레인 시스템"(등록일자 : 2010.03.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포크레인용 전력 케이블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웨이트수단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웨이트수단의 중량 조절작업이 간편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웨이트수단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전선케이블의 텐션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지지붐; 및 상기 지지붐의 회전을 보조하는 웨이트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웨이트수단은 상기 지지붐의 일단부에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부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끼움공이 형성된 웨이트블록과, 상기 복수의 끼움공 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부재, 및 상기 웨이트부재가 인출입되는 웨이트블록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개폐도어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웨이트블록의 일측에 상기 지지붐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수용공 내에 삽입된 지지붐의 일단부와 상기 웨이트블록의 일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상기 원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케이블은 상기 지지붐의 타단부를 거쳐 전기 포크레인의 수신포스트측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붐은 상기 포스트부재의 상단부에 회전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핀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이다.
상기 지지붐은 단일붐 구조로 형성되며, 회전핀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의 일측단까지의 길이보다 회전핀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타측단까지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된 것이다.
상기 웨이트부재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515) 내부로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클램프와, 상기 잠금클램프와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을 포크레인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붐의 회전 균형을 유지하고 전선케이블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웨이트수단의 무게 조절을 서로 다른 부피와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부재를 복수의 끼움공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끼움공이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복수의 웨이트부재들이 이에 대응하는 부피와 중량을 갖도록 함에 따라, 웨이트수단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선케이블의 텐션을 균형감있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 포크레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웨이트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개폐도어의 잠금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웨이트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웨이트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100)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케이블(300)을 가이드하는 지지붐(200); 및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을 보조하는 웨이트수단(500);을 구비하며,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매달리도록 결합되고 전면에 복수의 끼움공(515)이 형성되는 웨이트블록(510)과, 상기 복수의 끼움공(515) 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웨이트부재(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부재(100)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설치되는 기둥으로서, 상기 지지붐(2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전선케이블(300)은 지중에 매설된 메인 전력배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포크레인(10)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며, 지지붐(200)의 타단부를 거쳐 전기 포크레인(10)의 수신포스트측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붐(200)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부에 회전핀(110)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핀(110)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핀(110)을 기준으로 도면상의 우측단(일단부)에 상기 웨이트블록(510)이 매달리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붐(200)은 상부에 상기 전선케이블(3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붐(200)은 다단식 붐이 아니라 단일붐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핀(1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의 일측단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회전핀(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타측단까지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포크레인의 움직임 반경에 맞추어 상기 지지붐(200)이 상기 회전핀(11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전선케이블(300)이 처지거나 긴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블록(510) 및 웨이트부재(520)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블록(510)은 직육면체의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끼움공(515)이 오와 열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끼움공(515)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전면에 웨이트부재(520)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웨이트블록(510)은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연결부재(505)로 매달리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상기 웨이트부재(520)는 상기 끼움공(515) 내부로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부피와 중량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부피와 중량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지중에 매설된 메인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포크레인(10)측에 공급하도록 전선케이블(300)을 포스트부재(100)와 지지붐(200)을 통해 포크레인(10)측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붐(200)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부에 회전핀(11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포크레인(10)의 이동 반경에 따라 전선케이블(300)의 처짐이 발생하게 될 경우, 상기 지지붐(200)이 상기 회전핀(1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선케이블(300)의 처짐량이 더 증가하게 되는 것을 상기 웨이트수단(500)으로 균형을 유지시켜 상기 전선케이블(3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트수단(500)은 웨이트블록(510)의 끼움공(515) 내에 각각 웨이트부재(520)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상기 지지붐(200)의 무게 및 균형을 고려하여 초기 세팅값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게 지지붐(200)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상기 복수의 끼움공(515)들 중 선택적으로 웨이트부재(520)를 결합시킴에 따라, 웨이트부재(520)가 결합된 개수에 따라 웨이트수단(500)의 총 중량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수단(500)의 초기 중량 세팅시 상기 지지붐(200) 및 전선케이블(300)의 중량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회전핀(110)을 중심으로 지지붐(200)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끼움공(515)에 결합되는 웨이트부재(520)의 개수에 따른 웨이트부재(520)의 중량과 웨이트블록(510)의 자체 중량을 더하게 됨에 따라, 웨이트수단(500)의 총 중량을 웨이트부재(520)의 개수 조절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블록(510)은 상기 끼움공(515)의 입구가 형성된 전면 부위를 개폐하는 개폐도어(530)를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530)의 닫힘동작시 상기 끼움공(515)에 대한 상기 웨이트부재(52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도어(530)는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전면 부위를 개폐하도록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잠금장치(540)에 의해 잠금동작되거나 잠금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잠금장치(5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클램프(544)와 상기 잠금클램프(544)와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542)를 이용하여 잠금동작시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에 관계없이 안전하게 개폐도어(530)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웨이트수단(500)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끼움공(515)은 서로 다른 내경(부피)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부재(520)는 서로 다른 내경(부피)의 끼움공(515)에 각각 끼워지도록 서로 다른 부피 및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웨이트수단(500)의 다른 변형 예는, 서로 중량이 다른 웨이트부재(520)를 선택적으로 각각의 끼움공(515)에 결합시킴에 따라, 미세한 중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지지붐(200)과 포크레인(10)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케이블(300)의 처짐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웨이트수단(500)의 다른 변형 예는 예를 들어 상기 웨이트부재(520)의 중량이 1kg,3kg,5kg,10kg 등의 서로 다른 중량과 부피를 갖는 웨이트부재(520)로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크기 및 부피의 웨이트부재(520)를 서로 대응되는 끼움공(515)에 끼움 결합시켜 웨이트수단(500)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선케이블(300)을 포크레인(10)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붐(200)의 회전 균형을 유지하고 전선케이블(300)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웨이트수단(500)의 무게 조절을 서로 다른 부피와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부재(520)를 복수의 끼움공(515)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끼움공(515)이 서로 다른 내경(부피)을 가지고, 복수의 웨이트부재(520)들이 이에 대응하는 부피와 중량을 갖도록 함에 따라, 웨이트수단(500)의 전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선케이블(300)의 텐션을 균형감있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100)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케이블(300)을 가이드하는 지지붐(200); 및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을 보조하는 웨이트수단(500);을 구비하며,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착탈수단(51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부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끼움공(515)이 형성된 웨이트블록(510)과, 상기 복수의 끼움공(515) 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부재(520), 및 상기 웨이트부재(520)가 인출입되는 웨이트블록(5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잠금장치(540)가 구비된 개폐도어(530)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수단(513)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511)이 형성된 원통부(512)와, 상기 수용공(511) 내에 삽입된 지지붐(200)의 일단부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상기 원통부(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볼트(6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용공(511)이 형성된 원통부(51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511) 내에 삽입된 지지붐(200)의 일단부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상기 원통부(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볼트(610)를 구비한다.
상기 웨이트블록(510)은 상기 수용공(511)이 형성된 일측 부위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부(512)와, 상기 원통부(51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520)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끼움공(515)이 형성된 몸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512)는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볼트(610)로 상기 지지붐(200)과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원통부(512)는 내부에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수용공(511) 내에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붐(20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결합볼트(610)가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웨이트블록(510)은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같이 연동 회전되며, 상기 웨이트부재(520)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붐(200)측에 카운트 웨이트 하중을 부여하게 되어 상기 전선케이블(300)의 장력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웨이트블록(510)이 지지붐(200)의 단부에 매달리는 행거방식이 아니라,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간편하고 견고하게 웨이트블록(510)을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부피와 중량을 갖는 웨이트부재(520)를 각각 웨이트블록(510)의 끼움공(515) 내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붐(200)에 지지되고 전기 포크레인(10)측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케이블(300)의 장력 조절작업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포크레인 100 : 포스트부재
110 : 회전핀 200 : 지지붐
300 : 전선케이블 500 : 웨이트수단
505 : 연결부재 510 : 웨이트블록
511 : 수용공 512 : 원통부
514 : 몸체부 520 : 웨이트부재
530 : 개폐도어 540 : 잠금장치
542 : 걸림고리 544 : 잠금클램프

Claims (6)

  1.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부재(100)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선케이블(300)을 가이드하는 지지붐(200); 및
    상기 지지붐(200)의 회전을 보조하는 웨이트수단(500);을 구비하며,
    상기 웨이트수단(500)은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에 착탈수단(51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부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끼움공(515)이 형성된 웨이트블록(510)과, 상기 복수의 끼움공(515) 중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서로 다른 중량을 갖는 복수의 웨이트부재(520), 및 상기 웨이트부재(520)가 인출입되는 웨이트블록(5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잠금장치(540)가 구비된 개폐도어(530)로 구성되고,
    상기 착탈수단(513)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에 상기 지지붐(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수용공(511)이 형성된 원통부(512)와, 상기 수용공(511) 내에 삽입된 지지붐(200)의 일단부와 상기 웨이트블록(510)의 일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상기 원통부(5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볼트(6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케이블(300)은 상기 지지붐(200)의 타단부를 거쳐 전기 포크레인(10)의 수신포스트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200)은 상기 포스트부재(100)의 상단부에 회전핀(110)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핀(110)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붐(200)은 단일붐 구조로 형성되며, 회전핀(1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의 일측단까지의 길이보다 회전핀(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의 타측단까지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5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515) 내부로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540)는 잠금클램프(544)와, 상기 잠금클램프(544)와 걸림결합되는 걸림고리(5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KR1020220112928A 2022-09-06 2022-09-06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Active KR10273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928A KR102738358B1 (ko) 2022-09-06 2022-09-06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928A KR102738358B1 (ko) 2022-09-06 2022-09-06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960A KR20240033960A (ko) 2024-03-13
KR102738358B1 true KR102738358B1 (ko) 2024-12-06

Family

ID=9029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928A Active KR102738358B1 (ko) 2022-09-06 2022-09-06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8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978098B (zh) * 2024-10-22 2025-03-21 河南省大方重型机器有限公司 一种配重可调节悬臂式旋转起重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470A (ja) * 1999-11-30 2001-06-05 Aichi Corp 作業車のカウンタウェイト
JP2004143766A (ja) * 2002-10-23 2004-05-20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カウンタウェイト
KR101031027B1 (ko) *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1B1 (ko) * 2008-06-13 2010-06-22 이한준 굴삭기용 전원 공급장치
KR100950782B1 (ko) 2009-10-28 2010-04-02 주식회사 3국산업 포크레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470A (ja) * 1999-11-30 2001-06-05 Aichi Corp 作業車のカウンタウェイト
JP2004143766A (ja) * 2002-10-23 2004-05-20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カウンタウェイト
KR101031027B1 (ko) *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960A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67B1 (ko) 캡 라이저를 구비한 파이프 부설기
US9702250B2 (en) Power shovel hoist machinery with auxiliary weight box
KR102738358B1 (ko) 전기 포크레인용 카운트 웨이트 구조체
KR20200075679A (ko) 굴착기용 회전형 퀵 커플러
AU2013206737A1 (en) Bail assembly
KR20110110192A (ko) 정비가 용이한 중장비의 카운터 웨이트 구조
US20190186212A1 (en) Negative angle capable blasthole drilling mast
JP7359344B2 (ja) 削孔作業車及び削孔方法
JP3615892B2 (ja) 掘削機の排土装置
JP4931665B2 (ja) 杭打機
JP2002173947A (ja) 掘削機
KR102095899B1 (ko) 오거 결합용 크레인 및 오거 결합 방법
JP3637173B2 (ja) 掘削機の昇降装置
JP4650904B2 (ja) 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装置と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JP2771843B2 (ja) 拡底杭用穴の掘削機
JP2743350B2 (ja) 地中掘削機用ホース等の吊下げ装置
JP2860978B2 (ja) 懸垂型掘削機
JP7619835B2 (ja) アースドリル機、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交換方法
KR101716501B1 (ko) 틸팅캐빈이 설치된 중장비용 호스가이드
JP2019203333A (ja) 建設機械
JP2908738B2 (ja) 矢板圧入引抜装置
JP3250658B2 (ja) ケーソン掘削機のケーブル引線装置
JPS592191Y2 (ja) 地下連続壁構築用掘削装置
JPH09217349A (ja) 作業機のリーダ
US20210002849A1 (en) Drill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