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1084B1 -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1084B1
KR102731084B1 KR1020230153608A KR20230153608A KR102731084B1 KR 102731084 B1 KR102731084 B1 KR 102731084B1 KR 1020230153608 A KR1020230153608 A KR 1020230153608A KR 20230153608 A KR20230153608 A KR 20230153608A KR 102731084 B1 KR102731084 B1 KR 10273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band
elastic
compression band
sew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하연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우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우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우먼
Priority to KR102023015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1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10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6Corsets or girdles provided with means preventing the riding-up of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는 허리부와, 다리통과홀이 성형된 몸통부를 포함하는 팬티에서, 몸통부는 하단이 착용자의 엉덩이를 덮으면서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히는 부위까지 재단되고 다리통과홀의 테두리 중 허벅지와 생식기가 접히는 부위와, 허벅지와 엉덩이가 접히는 부위에 봉제된 밀착심재를 포함하고, 허리부는 착용자의 아랫배 부위에 위치되는 제1압박부, 옆구리에 위치되는 제2압박부, 뒤 허리에 위치되는 제3압박부와, 이들 제1압박부,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밀착심재에 의해 착용시 밀착되면서도 조이는 느낌이 배제되고, 허리부에서 제1압박부가 위치한 아랫배가 압박되면서도 나머지 부위가 편안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면서 체형 보정도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Panties improved wearing for correcting body}
본 발명은 체형을 보정하기 위한 팬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 부위에는 탄력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원단을 교번으로 배치되고, 가랑이 부위에는 밀착심재가 배치됨으로써, 아랫배를 압박하면서도 착용감이 부드럽고, 엉덩이 부위를 감싸면서 팬티 라인이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한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티의 경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모두 착용하는 의류의 일종이고, 크게는 삼각형 형태 또는 반바지 형태가 있다. 이 팬티는 땀을 흡수하거나 신체의 보호기능을 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최근에는 체형을 교정하거나 특정부위를 압박하도록 하여 여성의 신체를 아름답게 표현하도록 하는 기능성 속옷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랫배를 압박하여 체형을 교정하는 삼각형 팬티의 경우, 허리부위는 너무 강하게 조이는 불편함이 있다. 또, 착용 후 다리통과홀의 테두리가 말려 올라가기도 하고, 엉덩이 부위의 팬티 라인이 외부에 표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91063호(2022.06.30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727호(2003.05.13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신축성이 다른 2종의 밴드가 교번으로 배치되고, 다리통과홀의 테두리 중 가랑이 부위에 밀착심재가 봉제됨으로써, 아랫배의 부위는 압박하면서 옆구리와 뒤 허리 부위는 신축이 보장되고, 밀착심재에 의해 밀착감이 향상되도록 한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는 허리부와, 다리통과홀이 성형된 몸통부를 포함하는 팬티에서, 몸통부의 하단은 착용자의 엉덩이를 덮으면서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히는 부위까지 재단되고, 다리통과홀의 테두리 중 허벅지와 생식기가 접히는 부위와, 허벅지와 엉덩이가 접히는 부위에 봉제된 밀착심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밀착심재는 테두리와 함께 신축하고, 허벅지와 엉덩이의 접히는 부위에 의해 파지되어 테두리 부위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밀착심재가 다리통과홀의 테두리의 접혀진 끝부위에 감싸여서 봉제되고, 다리통과홀에서 밀착심재가 위치하지 않는 테두리의 나머지 부위는 시접이 배제되는 프리 커팅됨으로써, 종래와 대비하여 보면, 다리통과홀의 테두리 전체에 심재 또는 밴드가 부착된 경우 느낄 수 있는 압박감과, 엉덩이 부위의 팬티 라인이 외부에 표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허리부는 착용자의 아랫배 부위에 위치되는 제1압박부, 옆구리에 위치되는 제2압박부, 뒤 허리에 위치되는 제3압박부와, 이들 제1압박부,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압박부,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는 외측의 제1압박밴드, 좌우 신축이 억제된 내측의 제2압박밴드와, 이들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도록 좌우로 배치된 신축억제심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 및 제2압박밴드와 박음질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제1압박밴드, 제2압박밴드와 신축억제심재는 제2압박밴드의 상하 방향의 신축에 대해 상호 별도로 작용하는 상하 2줄이고, 좌우 방향의 신축에 대해 억제되도록 신축억제심재의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2줄 박음질)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허리부와 몸통부 또는, 제1압박부와 탄성부는 제1압박부에서 중앙부보다 봉제부위에 감소된 압박감이 제공되도록 제1봉제부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는 반으로 접히고, 접힌 부위가 상단에 위치하며,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할 수있다.
이때, 탄성부와 제2압박부 또는, 탄성부와 제3압박부의 봉제 부위는 제1압박부와 탄성부를 봉제하는 제1봉제부보다는 강한 파지력을 게공하는 제2봉제부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신축억제심재는 제1압박밴드와 제2압박밴드의 상단 부위가 접혀지면서 대향 위치되어 외측에서부터 제1압박밴드의 외측면과 접힘부,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와 내측면 순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와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압박밴드의 접힘부, 제2압박밴드)의 접힘부와 내측면과 함께 박음질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박음질로 인해 제1압박밴드의 외측면의 신축이 보장되고, 착용시 신축억제심재가 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박음질은 제2압박밴드의 상하 방향의 신축에 대해 상호 별도로 작용하는 상하 2줄이고, 좌우 방향의 신축에 대해 억제되도록 신축억제심재의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2줄 박음질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팬티의 원형상인 다리통과홀 중에서 허벅지와 생식기가 접하는 부위에서 허벅지와 엉덩이가 접하는 부위까지 밀착심재가 위치됨으로써, 착용시 밀착감이 향상되면서 조이는 느낌이 배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착심재가 위치한 뒤쪽 이후로는 프리 커팅됨으로써, 종래의 다리통과홀 전체에 걸쳐 심재 또는 밴드가 개재되거나 시접된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엉덩이 부위의 팬티 라인이 외부로 표출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착용 중에 다리통과홀의 테두리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리부에서 좌우 방향 신축이 억제된 제2압박밴드를 갖는 제1압박부, 제2압박부와 제3압박부가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 다방향 탄력을 갖는 탄성부가 개재되어 제작됨으로써, 제1압박부 내지 제3압박부가 위치한 부위가 압박되면서도 탄성부가 위치한 부위가 편안하여 착용감이 향상됨은 물론 체형 보정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압박부, 제2압박부 또는 제3압박부의 상단 부위에 신축억제심재가 내장되고, 제1압박밴드의 접혀진 상단 부위만 신축억제심재와 함께 봉제되어 제1압박밴드의 대부분의 부위에서 신축이 보장됨으로써, 좌우 방향 신축이 억제된 제2압박밴드에 대한 신축이 더욱 억제되어 압박 기능 역시 더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압박부와 탄성부가 제1봉제부로 봉제되고, 신축억제심재가 2줄 박음질로 봉제되고, 이들 제1봉제부와 2줄 박음질이 상호 교차됨으로써, 착용하는 동안 신축억제심재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봉제부를 최대한 많이 사용함으로써, 시접이 배제되어 피부에 닿는 부위에 부드러움이 극대화되면서 거칠함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의 전면부의 외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측면부의 외,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의 후면부의 외, 내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A'부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허리부의 일부위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서 허리부의 상단이 펼쳐진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주요 부위가 확대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몸통부(100)와 허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통부(100)는 착용자의 다리가 통과되면서 골반 부위를 감싸는 부위로서, 앞면부(110)와 뒷면부(120)가 다리통과홀(130)이 형성되도록 커팅되어 상호 봉제되고, 다리통과홀(130)의 일부위에 밀착심재(140)가 부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 몸통부(100)는 허리부(200)와 제1봉제부(S2)로 봉제될 수 있다. 이 제1봉제부(S2)를 비롯하여 제2봉제부(S3)와 제3봉제부(S4)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앞면부(110)와 뒷면부(120)는 시접 없이 그대로 커팅(raw edge, 프리 커팅)하여 다리통과홀(130)을 성형하여도 올 풀림이 없으면서 다방향으로 신축성이 뛰어난 원단일 수 있다. 이외에도 재단된 테두리 부위를 접어서 봉제하는 원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면부(110)의 폭은 도 1에서 보듯이, 제1압박부(210)의 폭과 동일하고, 이로 인해 뒷면부(120)와의 봉제 부위가 제1압박부(210)와 탄성부(220)의 봉제 부위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 앞면부(110)의 하단은 도 4에서 보듯이 착용자의 회음부, 즉 몸통부(100)의 최하단에서 뒷면부와 제1봉제부(S2)로 봉제될 수 있다.
또한, 뒷면부(120)의 하단은 엉덩이를 감싸면서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히는 라인(이하, 설명의 편의상 '접힘라인'이라고 함)을 따라 가공될 수 있다. 이 하단의 위치는 밀착심재(140)의 일부위가 접힘라인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 후에도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에도 접힘라인에 밀착심재(140)가 끼이게 되고, 이러한 끼임 현상에 의해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부위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앴다.
또한, 밀착심재(140)는 팬티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일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서 보듯이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중 허벅지와 생식기가 접하는 부위와,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하는 부위에 부착되는 정도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착심재(140)는 테두리를 따라 신축이 가능한 탄성밴드 또는 고무밴드일 수 있다. 이 밀착심재(140)는 접힘라인에 위치하게 되므로 착용 후 움직임에도 접힘라인이 밀착심재(140)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테두리 부위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심재(140)는 테두리의 끝부위가 접혀서 감싸진 다음 봉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몸통부(100)의 원단과 밀착심재(140)의 자유로운 신축이 보장되는 제3봉제부(S4)로 봉제되거나 통상의 방식으로 봉제될 수 있다. 이 제3봉제부(S4)는 지그재그 형태로 봉제되면서 테두리 부위의 접힘 부위와 안 접힘 부위가 맞닿아 봉제된 부위도 있고, 접힘 부위와 안 접힘 부위와 밀착심재(140)가 함께 봉제된 부위도 있도록 하여 테두리 부위와 밀착심재(140)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중 밀착심재(140)가 끝나는 부위는 도 7의 'B'부위에서 보듯이 별다른 시접 없이 프리 커팅된 상태로 마감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착용 시 엉덩이 부위의 팬티라인이 배제될 수 있다. 이외에, 밀착심재(140)가 끝나는 부위에서 뒷면부(120) 끝까지 테두리를 접은 상태로 하여 봉제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밀착심재(140)에 의해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중 일부가 몸에 밀착되고, 밀착심재(140)가 부착되는 않은 부위에 의해 테두리 부위의 조임이 배제되며, 착용 후 테두리 부위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종래와 대비하여 보면,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전체에 심재 또는 밴드가 부착된 경우 느낄 수 있는 압박감과, 엉덩이 부위의 팬티 라인이 외부에 표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허리부(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박부(210), 탄성부(220), 제2압박부(230)와 제3압박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앞쪽의 제1압박부(210)와 뒤쪽의 제3압박부(240)가 위치되고, 이 둘 사이에 탄성부(220)와 제2압박부(230)가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밴드'는 의류를 제작하는 원단들 중 신축이 뛰어난 원단과 신축이 억제된 원단이거나, 이들 원단이 단독 또는 상호 봉제되어 제작된 구성품일 수 있다.
먼저, 제1압박부(210)는 착용시 착용자의 아랫배에 위치되어 압박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제1압박부(21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외측의 제1압박밴드(B1)와 내측의 제2압박밴드(B2)가 상호 봉제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압박밴드(B1)는 다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이 높은 원단일 수 있다. 이 제1압박밴드(B1)는 다방향으로 신축성이 좋은 원단이거나,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이 좋은 원단이며, 결 방향 즉, 신축성이 높은 좌우로 배치됨으로써, 일 예로 아랫배에 위치되는 경우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다.
제2압박밴드(B2)는 상하 방향으로만 신축성이 높고, 좌우 방향으로는 신축성이 억제된 원단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압박밴드(B2)는 결 방향의 직각 방향 즉, 신축성이 억제되는 상하로 배치됨으로써, 일 예로 아랫배에 위치되는 경우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강하게 압박 또는 조여줌으로써 체형이 보정될 수 있다. 또,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부 봉제는 2줄 박음질(S1)로 봉제되고, 이는 제2압박밴드(B2)의 좌우 방향으로의 신축을 최소 또는 방지하거나, 제1봉제부(S2) 또는 제2봉제부(S3)보다 현저히 낮은 신축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2줄 박음질(S1)은 전문용어로 2줄 삼봉일 수 있다.
또, 도 11에서 보듯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부 봉제 부위에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하는 것을 최소 또는 방지하기 위해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억제심재(C)는 일 예로, 형상기억합금 소재이거나 모빌론 테이프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신축억제심재(C),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봉제 구조는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을 제외하고, 제1압박밴드(B1)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 제2압박밴드(B2)의 내측면(d)과,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개재된 신축억제심재(C)가 2줄 박음질(S1)로 봉제될 수 있다. 이때, 2줄 박음질(S1)의 봉제는 도 10에서처럼 상부와 하부에 별개로 박음질 되고, 신축억제심재(C)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제2압박밴드(B2)의 상하 신축에 따른 상부 박음질과 하부 박음질 간의 간섭이 완전 배제되고, 좌우 신축에 따른 상호 간의 간섭이 최소 또는 방지되며, 좌우 신축에 대해 강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 도 11에서처럼 신축억제심재(C)는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에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에 감싸져 봉제될 수도 있다. 또, 2줄 박음질(S1)이 제2압박밴드(B2)의 내측면(d) 및 접힘부(c)와,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를 봉제하도록 작업될 수 있다. 이는 2줄 박음질(S1)이 되지 않은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의 자유로운 신축이 보장되고, 신축억제심재(C)와 함께 접힘부(c)와 내측면(d)이 2줄 박음질(S1)된 부위에서의 제2압박밴드(B2)의 신축이 극히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랫배가 나왔다 들어갈 때 제2압박밴드(B2)는 아랫배를 압박하게 되고, 제1압박밴드(B1)는 보다 자유로이 신축됨으로써 신축억제심재(C) 부위에서의 뒤집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부(210)에 기본 배치되고, 필요에 의해 제2압박부(230)와 제3압박부(240) 중 적어도 하나에 더 배치되며, 탄성부(220)에서는 배제될 수 있다. 이는 제1압박부(210), 제2압박부(230) 또는 제3압박부(240)에서와 같이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가 신축억제심재(C)와 함께 2줄 박음질(S1)로 만들어지는 구성에서는 장시간 착용에도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탄성부(220)에서처럼 1장의 탄성밴드(B3)를 접어서 만들어지는 구성에서는 단시간의 착용에도 신축억제심재(C)가 쉽게 뒤집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부(210), 제2압박부(230) 또는 제3압박부(240)의 상단 전체 길이에 배치되거나, 일부 길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압박부()의 2줄 박음질(S1)된 상부를 제외한 좌측부, 우측부와 하부의 제1봉제부(S2)는 제2봉제부(S3)보다 낮은 파지력(봉제로 잡아주는 힘)이 제공되어 봉제부위에서의 압박이 하향 조정되는 봉제 방식이 적용되고, 이 제1봉제부(S2)는 메로우 스티치일 수 있다. 또, 메로우 스티치는 제2봉제부(S3)보다 파지력이 낮음으로써, 넓은 폭의 제1압박부(100)가 강한 압박감을 주면서도 봉제 부위에서 다소 여유로운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박부(100)의 중앙부위는 강한 압박이 제공되고, 양측 주면에는 여유로운 압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제1봉제부(S2)는 제1압박부(210), 탄성부(220), 제2압박부(230)와 제3압박부(240) 전체에 걸쳐 하단이 몸통부(100)의 상단과 봉제되는 방식일 수 있다. 물론, 제2봉제부(S3)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22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제1압박부(210)의 양측에 위치되고, 다방향 신축이 가능한 원단으로 제작되며, 이로 인해 호흡시 충분히 늘어나 옆구리에 대한 압박이 최소화되거나, 제1압박부(210), 제2압박부(230)와 제3압박부(240)보다 압박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20)는 도 1, 도 9와 도 10에서 보듯이 1장의 탄성밴드(B3)로 이루어지고, 반으로 접힌 후 접힌 부위가 상부에 위치되며, 접힌 상태에서 하부의 양단 부위가 제1봉제부(S2)를 통해 상호 봉제될 수 있다. 물론, 제1봉제부(S2)를 제2봉제부(S3)가 대신할 수 있다.
또, 탄성부(220)는 좌우 양측 부위 중 일측 부위가 제1압박부(210)와 제1봉제부(S2)로 봉제되고, 타측 부위가 제2압박부(230)와 제2봉제부(S3)로 봉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봉제부(S2)는 제1압박부(100)의 중심의 강한 압박이 봉제 부이에서 다소 여유로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2봉제부(S3)는 높은 신축성을 갖는 탄성부(200)에 대해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여 탄성부(200)의 높은 신축성을 보장하면서 봉제부위에서 강하게 봉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봉제부(S3)는 오드람프 스티치일 수 있다. 이 오드람프 스티치는 도 10에서 보듯이 제1봉제부(S2)보다 폭이 더 넓고, 탄성밴드(B3)의 신축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봉제 부위에서의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봉제 방식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20)의 상단 부위가 봉제가 되지 않으면서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성밴드(B3)의 신축성이 최대한 보장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제심재(C)가 개재되지 않음으로써, 착용시 신축억제심재(C)가 뒤집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압박부(230)는 탄성밴드(B3)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2압박부(230)는 제1압박부(210)와 동일하게 제1압박밴드(B1), 제2압박밴드(B2), 신축억제심재(C)와 2줄 박음질(S1)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재심재(C)는 배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좌우 폭이 제1압박부(100)보다 짧고, 양측에 이웃한 탄성밴드(B3)와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는 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압박부(300)는 강한 압박감을 제공하는 제1압박부(100) 보다는 다소 낮은 압박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봉제 부위에서도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B3)가 적용되어 전체 면적에 대해 고른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허리 착용시 옆구리에 대해 제2압박부(300)가 압박보다는 조이는 느낌과 더불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봉제부(B2) 대신 제1봉제부(B2)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3압박부(240)는 착용자의 뒤 허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제3압박부(240)는 제1압박부(210)와 동일하게 제1압박밴드(B1), 제2압박밴드(B2), 신축억제심재(C)와 2줄 박음질(S1)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축억재심재(C)는 배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차이점으로는 좌우 폭이 제1압박부(100)보다 짧으면서 제2압박부(300)보다는 넓고, 양측에 이웃한 탄성밴드(B3)와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는 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3압박부(400)는 강한 압박감을 제공하는 제1압박부(100) 보다는 다소 낮은 압박감을 제공하면서 제2압박부(300) 보다는 다소 높은 압박감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봉제 부위에서도 강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제2봉제부(B3)가 적용되어 전체 면적에 대해 고른 압박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허리 착용시 뒤 허리에 대해 제3압박부(400)가 압박보다는 조이는 느낌과 더불어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봉제부(B2) 대신 제1봉제부(B2)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압박부(400)는 제2압박부(3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다만 면적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압박부(210)와 제3압박부(240) 사이에 탄성부(220)와 제2압박부(230)가 배치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시계방향으로 제1압박부(210), 탄성부(220), 제2압박부(230), 탄성부(220), 제3압박부(240), 탄성부(220), 제2압박부(230)와 탄성부(220)로 배치되어 8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압박부(210)와 탄성부(220)로만 이루어지거나, 탄성부(220)와 제2압박부(230)의 개수가 변경되거나, 제2압박부(230) 또는 제3압박부(240)가 배제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 제1압박부(210)에 적용된 제1봉제부(S2)를 제외한 부위에서는 제1봉제부(S2)와 제2봉제부(S3)가 상호 대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몸통부
110:앞면부 120:뒷면부
130:다리통과홀 140:밀착심재.
200:허리부
210:제1압박부 220:탄성부
230:제2압박부 240:제3압박부
B1:제1압박밴드 B2:제2압박밴드
B3:탄성밴드 C:신축억제심재
S1:2줄 박음질 S2:제1봉제부
S3:제2봉제부 S4:제3봉제부.

Claims (9)

  1. 허리부(200)와, 다리통과홀(130)이 성형된 몸통부(100)를 포함하는 팬티에서,
    상기 몸통부(100)의 하단은 착용자의 엉덩이를 덮으면서 엉덩이와 허벅지가 접히는 부위까지 재단되고,
    상기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 중 허벅지와 생식기가 접히는 부위와, 허벅지와 엉덩이가 접히는 부위에 봉제된 밀착심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부(200)는 착용자의 아랫배 부위에 위치되는 제1압박부(210), 옆구리에 위치되는 제2압박부(230), 뒤 허리에 위치되는 제3압박부(240)와, 이들 제1압박부(210), 제2압박부(230)와 제3압박부(24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압박부(210), 제2압박부(230) 또는 제3압박부(240)는 외측의 제1압박밴드(B1), 좌우 신축이 억제된 내측의 제2압박밴드(B2)와, 이들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단 부위에 개재되어 좌우 신축을 억제시키도록 좌우로 배치된 신축억제심재(C)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심재(140)는 테두리와 함께 신축하고, 허벅지와 엉덩이의 접히는 부위에 의해 파지되어 테두리 부위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배제되고,
    상기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밴드(B1) 및 제2압박밴드(B2)와 박음질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2. 청구항 1에서,
    상기 밀착심재(140)는 다리통과홀(130)의 테두리의 접혀진 끝부위에 감싸여서 봉제되고,
    상기 다리통과홀(130)에서 밀착심재(140)가 위치하지 않는 테두리의 나머지 부위는 시접이 배제되는 프리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압박밴드(B1), 제2압박밴드(B2)와 신축억제심재(C)는 제2압박밴드(B2)의 상하 방향의 신축에 대해 상호 별도로 작용하는 상하 2줄이고, 좌우 방향의 신축에 대해 억제되도록 신축억제심재(C)의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2줄 박음질(S1)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4. 청구항 1에서,
    상기 허리부(200)와 몸통부(100) 또는, 제1압박부(210)와 탄성부(220)는 제1압박부(100)에서 중앙부보다 봉제부위에 감소된 압박감이 제공되도록 제1봉제부(S2)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5. 청구항 1에서,
    상기 탄성부(220)는 반으로 접히고, 접힌 부위가 상단에 위치하며, 다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밴드(B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220)와 제2압박부(230) 또는, 탄성부(220)와 제3압박부(240)의 봉제 부위는 제1압박부(210)와 탄성부(220)를 봉제하는 제1봉제부(S2)보다는 강한 파지력을 게공하는 제2봉제부(S3)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6. 청구항 1에서,
    상기 신축억제심재(C)는 제1압박밴드(B1)와 제2압박밴드(B2)의 상단 부위가 접혀지면서 대향 위치되고, 외측에서부터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과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순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 사이에 배치되고, 제1압박밴드(B1)의 접힘부(b), 제2압박밴드(B2)의 접힘부(c)와 내측면(d)과 함께 박음질로 고정되며,
    상기 박음질로 인해 제1압박밴드(B1)의 외측면(a)의 신축이 보장되고, 착용시 신축억제심재(C)가 접히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7. 청구항 6에서,
    상기 박음질은 제2압박밴드(B2)의 상하 방향의 신축에 대해 상호 별도로 작용하는 상하 2줄이고, 좌우 방향의 신축에 대해 억제되도록 신축억제심재(C)의 길이 방향으로 봉제되는 2줄 박음질(S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8. 삭제
  9. 삭제
KR1020230153608A 2023-11-08 2023-11-08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Active KR10273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608A KR102731084B1 (ko) 2023-11-08 2023-11-08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3608A KR102731084B1 (ko) 2023-11-08 2023-11-08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1084B1 true KR102731084B1 (ko) 2024-11-15

Family

ID=9345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3608A Active KR102731084B1 (ko) 2023-11-08 2023-11-08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10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27Y1 (ko) 2003-01-23 2003-05-13 차승진 여성용 바이오 건강 속하의
KR200315985Y1 (ko) * 2003-03-19 2003-06-11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기능성 팬티
KR101487849B1 (ko) * 2014-10-20 2015-02-02 주식회사 세노 아랫배 누름 기능성팬티
JP2020059942A (ja) * 2018-10-09 2020-04-16 花王株式会社 ショーツ
JP2021188147A (ja) * 2020-05-26 2021-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ショーツ
KR102410917B1 (ko) * 2022-01-27 2022-06-22 (주)라엠코리아 복대용 팬티
KR2022009106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프렌치엘 팬티
KR20230056447A (ko)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에프티코퍼레이션 위생 팬티
KR20230168567A (ko) * 2022-06-07 2023-12-14 주식회사 제이더블유파크 보정 속옷 및 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27Y1 (ko) 2003-01-23 2003-05-13 차승진 여성용 바이오 건강 속하의
KR200315985Y1 (ko) * 2003-03-19 2003-06-11 주식회사 신영와코루 기능성 팬티
KR101487849B1 (ko) * 2014-10-20 2015-02-02 주식회사 세노 아랫배 누름 기능성팬티
JP2020059942A (ja) * 2018-10-09 2020-04-16 花王株式会社 ショーツ
JP2021188147A (ja) * 2020-05-26 2021-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ショーツ
KR2022009106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프렌치엘 팬티
KR20230056447A (ko)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에프티코퍼레이션 위생 팬티
KR102410917B1 (ko) * 2022-01-27 2022-06-22 (주)라엠코리아 복대용 팬티
KR20230168567A (ko) * 2022-06-07 2023-12-14 주식회사 제이더블유파크 보정 속옷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1568A (en) Legless panty
US7669248B2 (en) Clothing such as shorts or bathing suit
TWI686146B (zh) 具有罩杯部的女性內衣
KR20200052942A (ko)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GB2273646A (en) Garment for at least the lower body.
KR102731084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체형보정용 팬티
JP7328333B2 (ja) 水着
JP3605808B1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3176715U (ja) 被服
JP2005307390A (ja) バストカップを備えた女性用衣類
JP2006328625A (ja) パンツ
KR102662101B1 (ko)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JP2005068609A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JPH09217206A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被服
KR200399204Y1 (ko) 거들
JP4311595B2 (ja) 臀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JP4397004B2 (ja) 腹部裏打ち布を有する衣料
KR100573862B1 (ko) 보정 속옷
CN219982185U (zh) 一种轻薄透气型塑身内衣
JP3179880U (ja) オーバーパンツ付ショーツ
JP7429449B2 (ja) 男性用パンツ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JP3118292U (ja) スラックス
JP5456809B2 (ja) インナーボトム
JP3155507U (ja) 成形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406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