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862B1 - 보정 속옷 - Google Patents

보정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862B1
KR100573862B1 KR1020030026743A KR20030026743A KR100573862B1 KR 100573862 B1 KR100573862 B1 KR 100573862B1 KR 1020030026743 A KR1020030026743 A KR 1020030026743A KR 20030026743 A KR20030026743 A KR 20030026743A KR 100573862 B1 KR100573862 B1 KR 10057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retchable
underwear
stretch
gir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079A (ko
Inventor
유리코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유리코 히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리코 히구치 filed Critical 유리코 히구치
Publication of KR2004004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보정 속옷에 있어서, 속옷 본체는 속옷 본체의 전면(F)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중간부(3)로부터 가랑이(4)로 길게 수직으로 배치된 비신축성 천(6)과, 옆조임 존 (9A)과 실질적으로 U 형을 일반적으로 갖는 둔부 들어올림 존(9B)를 포함하는 측부(7,7)로부터 둔부(8)에 배치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을 포함한다.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수직 방향(X)으로 신축성을 갖는 제1 탄성 천 재료(10A)와, 원하는 경사각 (θ)으로 대각선으로 제1 신축성 천 재료의 편성 또는 제직된 텍스쳐상에 겹쳐지는 제2 신축성 천 재료(10B)로 구성된다. 그 구조에 따르면, 제2 신축성 천 재료(10B)가 그것의 sin θ의 신축력을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신축력에 부가하기 때문에, 두 신축력의 결과로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그것의 신축력을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X)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정 속옷은 허리 및 둔부 둘레의 측 부분과 같은 본질적인 부분들에서 신축성이 풍부하여 신뢰할 만하게 체형을 보정하며, 좋은 착용감을 주고, 높은 생산율과 낮은 조립 및 생산 비용으로 바느질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체형 보정, 속옷, 거들, 신축성, 천 재료, 편성, 제직.

Description

보정 속옷{BODY SHAPING UNDERWEAR}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는 거들에 적용한 보정 속옷의 부분 파단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구체예의 거들의 부분 파단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인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거들, 보디슈트(올인원)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보정 속옷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의 복부 및 측부의 군살을 조이고 둔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을 신뢰할만 하고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고, 몸에 타이트하게 맞게 착용하기에 편안한 보정 속옷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에는, 체형을 보정할 목적으로 여성이, 예를 들어서 그 몸의 군살을 조이기 위해 착용하는 보정 속옷으로서, 다리에 착용하는 거들, 다리, 몸통 및 가슴 에 착용하도록 거들 존, 허리 닙퍼 존 및 브래지어 존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보디슈트(올인원) 등이 있었다.
종래의 거들은 몸의 복부 및 하복부에 붙은 군살을 제거하기 위하여 거들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비신축성 천과,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절단되고 둔부를 들어 올리기 위해 거들의 후면에 둔부에서 꿰매어 붙임으로써 배치된 보정 신축성 천을 가졌다. 게다가, 또다른 신축성 천을 다른 영역에 꿰매어 거들을 완성하였다.
한편, 종래의 보디슈트는 다리, 몸통 및 가슴에 착용하도록 거들 존, 허리 닙퍼 존 및 브래지어 존에 대응하는 신축성 천을 꿰맴으로써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었다. 게다가, 수직으로 긴 비신축성 천이 허리 닙퍼 존과 거들 존에서 전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서 배치되어 복부, 하복부 및 위에 붙은 군살을 단단히 죌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절단된 별도의 보정 신축성 천이 둔부를 들어 올리기 위해 거들 존의 후면에 둔부에 배치되었다. 천을 결합하기 위해 인접부분들의 가장자리를 겹치고 뒤로 접어 꿰매고, 꿰맨 후에 가장자리 처리는 인접 가장자리에서 섬유의 웹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보강사를 매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거들 및 보디 슈트에서, 수직으로 긴 비신축성 천은 사용자의 복부, 하복부, 위 등에 적용되도록 전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제공되어 복부, 하복부 및 위에 붙은 군살을 단단히 죌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이,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절단된 둔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신축성 천은 둔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거들 또는 보디슈트의 후면에 둔부에 꿰매어졌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보정속옷을 입었을 때, 속옷 본체는 사용자의 전신을 단단히 죄는 기능을 발휘하여 보정 성능을 달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보정 속옷은 위에 붙은 군살을 주로 단단히 죔으로써 또는 둔부를 주로 들어올림으로써 체형을 보정할 목적으로 특수한 죄는 힘이 요구된 본질적 부분들에서 신축성이 불충분한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종래의 보정 속옷은 복부의 중심부를 향하는 둘레 영역으로부터 군살을 감싸는 방식으로 허리 둘레의 측부분들에 붙은 살을 단단히 죔으로써 둔부를 들어올리고 체형을 보정하기에 부적절하였다. 더욱이 종래의 보정 속옷은 전신을 단단히 죄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속옷을 입었을 때 너무 타이트하다고 느끼곤 했다.
또한,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절단된 둔부를 들어 올리기 위한 신축성 천은 후면에 둔부에 꿰매어졌고, 보정 신축성 천과 거들 또는 보디슈트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다른 신축성 천 사이의 상호연결은 인접 부분들의 가장자리를 겹치고, 뒤로 접어, 부분들을 꿰매어 결합시킴으로써 실현되었다. 게다가, 꿰맨 후에 가장자리 처리는 인접 가장자리에서 섬유의 웹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보강사를 맴으로써 행해졌다. 따라서, 꿰맬 부분의 수와 작업공정의 수가 증가되었고, 꿰매는 작업이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고 번거러우며 낮은 생산율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허리 둘레의 측 부분들에 붙은 살을 단단히 조이고 둔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특정한 단단히 죄는 힘이 요구되는 속옷 본체의 본질적인 부분들에서 신축성이 풍부하고, 신뢰할 만하게 체형을 보정하며, 속옷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높은 생산율과 낮은 조립 및 생산 비용으로 바느질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보정 속옷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의 관점에서 만들어졌고, 사용자가 속옷을 착용하기 위해 양다리를 삽입하는 바닥 부분의 양쪽에 다리구멍을 갖춘 속옷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속옷 본체는, 상기 속옷 본체의 전면의 중앙부에 중간부분에서 가랑이로 수직으로 길게 배치되고, 레이스 직물과 같은 장식용 천으로 덮힌 표면을 갖는 비신축성 천과, 상기 비신축성천의 양쪽 옆구리에서 후면의 둔부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긴 형태를 갖는 옆조임 존과 뒤에서 보아 U 형을 갖는 둔부 들어올림 존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은 수직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제1 신축성 천 재료와,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과 상이한 신축 방향을 갖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에 비스듬하게 겹쳐지는 제2 신축성 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거들, 보디슈트 등, 또는 생리대 보호용 쇼트팬츠와 같은 속옷에 적용하는 경우에, 신축성은 허리 둘레의 측 부분들에 붙은 살을 단단히 조이고 둔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특정한 단단히 죄는 힘이 요구되는 본체의 본질적인 부분들에서 신축성이 충분히 발휘될 것이며, 신뢰할 만하게 체형을 보정할 수 있고, 속옷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바느질 작업이 용이할 것이며, 생산율이 향상될 것이고, 조립 및 생산 비용이 낮아질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은,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과 상기 제2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이 30 내지 60°의 각도를 갖도록 제1 신축성 천 재료와 제2 신축성 천 재료를 겹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속옷 본체는 그것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에 대하여 측면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2장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 재료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을 갖추고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거들을 착용할 때, 거들은 허리 사이즈에 따라 거들의 폭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거들은 허리와 타이트하게 맞도록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이상의 관점에 따르면, 속옷 본체는 후면에서 중심선상에 고무 코드를 배치하여 개더를 구비함으로써 이로써 후면 자체가 수직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속옷을 착용할 때, 속옷의 높이는 고무 코드의 수축력을 저항하여 확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속옷을 느슨해짐 없이 몸에 타이트하게 맞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속옷 본체는 거들 및 보디슈트와 같은 보정 속옷과 생리대 보호용 쇼트팬츠 중 어느 한가지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부재번호 1로 표시한 것은 바닥부분에서 양쪽에서 다리 구멍(2,2)을 갖추고 있는 속옷 본체로서의 거들이다. 거들(1)은 사용자가 각각 다리 구멍(2,2)으로 다리를 삽입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거들(1)은 전면(F)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중간부(3)로부터 가랑이(4)로 길게 수직으로 배치되고 레이스 직물(5)과 같은 장식용 천으로 덮힌 비신축성 천(6)을 포함한다. 수직으로 긴 형태를 갖는 옆조임 존 (9A)과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을 일반적으로 갖는 둔부 들어올림 존(9B)으로 구성되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비신축성 천(6)의 오른쪽 및 왼쪽 가장자리로부터 측부(7,7)를 가로질러 뒤에서 둔부(8)로 이어지도록 거들의 표면에 배치된다.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수직 방향(X)으로 신축성을 갖는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와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가 원하는 경사각 (θ)으로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상에 겹쳐지는 제2 신축성 천 재료(10B)로 구성된다. 측면 방향(Y)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천(11)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에 의해 둘러싸인 후면 공간(K)에 배치된다.
상기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에서, 제2 신축성 천 재료(10B)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는,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B)에서 중심선(M)으로부터 왼쪽에 위로 또는 오른쪽에 위로 전면(F)을 향하여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에 관하여 30 내지 60°의 경사각(θ)으로 경사져 있다. 이 구체예에서, 경사각(θ)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45°이다. 도 3에서 지점 a, b, 및 c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내의 sin θ의 신축력을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에 부가함으로써, 두 신축력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X)으로의 신축력이 발휘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에 관하여 경사각(θ)으로 후면에서 중심선(M)으로부터 오른쪽에 위로 경사져 있는 제2 신축성 천 재료(10B)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의 단지 하나를 나타내고, 경사각(θ)으로 왼쪽에 위로 경사져 있는 다른 하나는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이 생략은 설명의 편의상 그렇게 한 것 뿐이다.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으로서, 직물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섬유, 고무 스트링 등과 같은 신축사를 편성 또는 제직한 파워넷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신축성 천(6)의 오른쪽 및 왼쪽 가장자리로부터 측부(7,7)를 가로질러 뒤에서 둔부(8)로 이어지도록 거들의 표면에 배치되는 제1 신축성 천 재료(10A)는 그 위에 제2 신축성 천 재료(10B)를 겹침으로써 맞대고, 두 신축성 천 재료(10A,10B)를 꿰맴으로써 결합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을 형성시킨다. 그러므로,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으로 절단된 별도의 보정 신축성 천을 다른 부분의 신축성 천 또는 비신축성 천에 인접 부분들의 가장자리 부분들을 겹치고, 뒤로 접어, 부분들을 꿰맴으로써 결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꿰맬 부분과 작업 단계의 수가 감소될 것이고, 바느질 작업이 많은 시간을 요하거나 번거롭지 않을 것이며, 거들(1)의 제조를 위한 생산효율이 향상될 것이다.
게다가, 거들(1)의 후면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허리 사이즈에 따라 본체의 폭방향으로 거들(1)을 확장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측면 방향(Y)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2장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 재료(12A 및 12B)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2)이 제공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거들(1)을 허리에 타이트하게 맞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고무 코드(13)는 거들(1)의 후면(B)에 개더(14)를 형성하도록 거들(1)의 뒤에 중심선(M)에 사전에 제공되고, 따라서, 후면이 높이 방향으로 (수직방향(X)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면의 높이는 수축된 상태로 소형크기로 감소될 수 있고, 거들(1)의 높이를, 사용자가 적절히 착용하도록 고무 코드(13)의 수축력을 저항하여 확장시킬 수 있다. 부재번호 15로 표시된 것은 거들(1)의 허리에서 개구(16)의 내부 가장자리에 꿰매어지는 고무 밴드이다. 부재번호 17로 표시된 것은 상기한 다리 구멍(2,2)의 내부 가장자리에 꿰매어지는 고무 밴드이다.
거들(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는 보정 속옷으로서 사용자는 거들의 바닥 부분에서 양쪽에서 형성되어 있는 다리 구멍(2,2)에 다리를 삽입함으로써 거들(1)을 착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뒤 중심선(M)에 고무 코드(13)를 제공함으로써 거들에 개더(14)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후면(B) 자체는 높이의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들(1)을 착용할 때 거들(1)은 고무 코드(13)의 수축력에 저항하여 확장될 것이고, 사용자의 몸에 느슨해짐 없이 타이트하게 맞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는 거들은 레이스 직물(5)과 같은 장식용 천으로 덮힌 비신축성 천(6)이 거들(1)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중간부분(3)에서 부터 가랑이(4)로 제공되어 있고, 이 비신축성 천(6)은 사용자의 복부, 하복부 등에 부착 및 압착되어 사용자의 몸을 단단히 조일 수 있고 보정할 수 있다.
반대로, 본 구체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수직으로 긴 형태를 갖는 옆조임 존 (9A)과 뒤에서 보아 실질적으로 U 형을 일반적으로 갖는 둔부 들어올림 존(9B)을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비신축성 천(6)의 오른쪽 및 왼쪽 가장자리로부터 측부(7,7)를 가로질러 뒤에서 둔부(8)로 이어지도록 거들의 표면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수직 방향(X)으로 신축성을 갖는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와,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가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에 관하여 원하는 경사각 (θ),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5°로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의 편성된 텍스쳐 또는 제직된 텍스쳐상에 겹쳐지는 제2 신축성 천 재료(10B)로 구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은 이러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점 a, b, 및 c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내의 sin θ의 신축력을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에 부가함으로써, 두 신축력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X)으로의 신축력이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거들(1)을 착용할 때,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와 제2 신축성 천 재료(10B)는 협력하여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X)으로 신축력을 발휘할 것이고, 사용자는 거들을 느슨해짐이 없이 몸에 타이트하게 맞게 착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옆 조임 존(9A,9A)이 충분한 조이는 힘을 가지고 허리 둘레의 측부(7,7)를 조일 것이며, 신뢰할 만한 보정을 보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할때,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에 의해 발휘된 수직 방향(X)의 신축력과 제2 신축성 천 재료(10B)에 의해 발휘된 삼각형 a, b, 및 c 내의 sin θ의 신축력이 수직 방향(X)으로의 결과적인 힘으로서 합해진다. 따라서, 거들(1)은 사용자의 몸에 타이트하게 맞을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의 선회 운동 및 비트는 운동에 따르는 충분한 신축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이 탁월한 거들(1)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후면(B)상에 사용자의 둔부(8)에 배치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0)의 둔부 들어올림 존(9B)은, 바람직하게는 45°의 경사각(θ)으로 겹쳐지는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와 제2 신축성 천 재료(10B)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신축성 천 재료(10A)에 의해 발휘된 수직 방향(X)의 신축력과 제2 신축성 천 재료(10B)에 의해 발휘된 삼각형 a, b, 및 c 내의 sin θ의 신축력이 같은 방법으로 수직 방향(X)으로의 결과적인 힘으로서 합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둔부가 신뢰할 만하게 들어올려질 수 있고 몸가짐이 효과적으로 좋아질 수 있다.
게다가, 측면 방향(Y)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2장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 재료(12A 및 12B)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12)이 거들(1)의 후면의 상부 가장자리에 제공된다. 따라서, 거들(1)은 사용자의 허리의 사이즈에 따라 본체의 폭 방향으로 확장될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거들(1)을 허리에 타이트하게 맞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체예에서, 보정 속옷은 거들(1)을 언급하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거들 존, 허리 닙퍼 존 및 브래지어 존을 일체로 결합하여 포함하는 보디슈트, 생리대 보호용 쇼트팬츠 등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거들, 보디슈트 등, 또는 생리대 보호용 쇼트팬츠와 같은 속옷에 적용하는 경우에, 신축성은 허리 둘레의 측 부분들에 붙은 살을 단단히 조이고 둔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특정한 단단히 죄는 힘이 요구되는 본체의 본질적인 부분들에서 신축성이 충분히 발휘될 것이며, 신뢰할 만하게 체형을 보정할 수 있고, 속옷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바느질 작업이 용이할 것이며, 생산율이 향상될 것이고, 조립 및 생산 비용이 낮아질 것이다.

Claims (5)

  1. 사용자가 속옷을 착용하기 위해 양다리를 삽입하는 바닥 부분의 양쪽에 다리구멍을 갖춘 속옷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속옷 본체는,
    상기 속옷 본체의 전면의 중앙부에 중간부분에서 가랑이로 수직으로 길게 배치되고, 레이스 직물과 같은 장식용 천으로 덮힌 표면을 갖는 비신축성 천과,
    상기 비신축성 천의 양쪽 옆구리에서 후면의 둔부로 배치되고, 수직으로 긴 형태를 갖는 옆조임 존과 뒤에서 보아 U 형을 갖는 둔부 들어올림 존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은 수직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제1 신축성 천 재료와,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과 상이한 신축 방향을 갖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에 비스듬하게 겹쳐지는 제2 신축성 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은, 상기 제1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과 상기 제2 신축성 천 재료의 신축 방향이 30 내지 60°의 각도를 갖도록 제1 신축성 천 재료와 제2 신축성 천 재료를 겹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 본체는, 그것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에 대하여 측면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2장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 재료를 겹침으로써 형성된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천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 본체는, 후면에서 중심선상에 고무 코드를 배치하여 개더를 구비함으로써 후면 자체가 수직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옷 본체는 거들 및 보디슈트와 같은 보정 속옷과 생리대 보호용 쇼트팬츠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 속옷.
KR1020030026743A 2002-11-20 2003-04-28 보정 속옷 KR100573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2-00007362 2002-11-20
JP2002007362U JP3094168U (ja) 2002-11-20 2002-11-20 補正下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079A KR20040044079A (ko) 2004-05-27
KR100573862B1 true KR100573862B1 (ko) 2006-04-25

Family

ID=3608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743A KR100573862B1 (ko) 2002-11-20 2003-04-28 보정 속옷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94168U (ko)
KR (1) KR100573862B1 (ko)
TW (1) TWI2295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894B1 (ko) 2020-01-20 2020-10-20 주식회사 비이엠코리아 항균 및 소취 기능성 보정 내의
KR102547946B1 (ko) 2022-06-14 2023-06-23 김수옥 선택적 브릿지 압박을 통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7231A (zh) * 2021-06-24 2021-09-17 上海衣你服饰有限公司 一种复合面料及衣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894B1 (ko) 2020-01-20 2020-10-20 주식회사 비이엠코리아 항균 및 소취 기능성 보정 내의
KR102547946B1 (ko) 2022-06-14 2023-06-23 김수옥 선택적 브릿지 압박을 통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4168U (ja) 2003-06-06
TWI229587B (en) 2005-03-21
TW200408358A (en) 2004-06-01
KR20040044079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181B1 (ko) 메쉬 영역을 갖는 보정 의복
US20210153573A1 (en) Body sculpting garment
CN110475489B (zh) 下半身用衣服
WO2012023208A1 (ja) ショーツ等の衣料
JP2896647B2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US11986035B2 (en) Swimwear garment with selective bottom control
WO2006080095A1 (ja) 股部を有する衣類
TWI662953B (zh) 內衣
JP3605808B1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KR100573862B1 (ko) 보정 속옷
JP3499726B2 (ja) ボトムウェア
JP5004676B2 (ja) 男性用下着
JP4953670B2 (ja) 姿勢補整用下着
WO2018221721A1 (ja) 機能性下着
JP3836039B2 (ja) 臀部被覆衣類
US8171571B2 (en) Garment with crotch pa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787281B2 (ja) ファウンデーション
JP2003027305A (ja) ボトム
JP3155508U (ja) 成形衣料
JP3118742U (ja) 補正用下着
US20190124998A1 (en) Floating darts for shapewear
JP3155507U (ja) 成形衣料
KR102662101B1 (ko) 협소 부위용 체형보정밴드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
JP7636616B1 (ja) 下半身用衣類
JP6744563B1 (ja) 下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