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19901B1 - 유리판 곤포체 - Google Patents

유리판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19901B1
KR102719901B1 KR1020217006738A KR20217006738A KR102719901B1 KR 102719901 B1 KR102719901 B1 KR 102719901B1 KR 1020217006738 A KR1020217006738 A KR 1020217006738A KR 20217006738 A KR20217006738 A KR 20217006738A KR 102719901 B1 KR102719901 B1 KR 10271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laminate
protruding
sheet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429A (ko
Inventor
세츠오 우치다
히로시 야스다
요시노리 니시카와
카이 장
밍하오 리
홍궈 추이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릭 글래스 (광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일렉트릭 글래스 (광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99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B65D57/004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panels, e.g. wooden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직사각형상의 유리판(3)과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비어져 나옴부(2a)를 갖는 보호 시트(2)가 평평하게 놓인 자세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4)와, 적층체(4)를 적재하는 팰릿(5)을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1)에 대해서, 팰릿(5)이, 적층체(4)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2)의 비어져 나옴부(2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유지구(11)를 구비하고, 유지구(11)가 적어도 적층체(4)에 포함된 최하방의 유리판(3)의 코너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했다.

Description

유리판 곤포체
본 발명은 유리판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으로 대표되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 유리 기판으로서 유리판이 사용된다. 유리판은 파손되기 쉬우므로, 보관이나 수송을 행할 때의 유리판의 곤포 형태가 매우 중요해진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는 상기와 같은 유리판의 곤포에 적합한 유리판 곤포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곤포체에서는 직사각형상의 유리판과 보호 시트를 평평하게 놓인 자세로 교대로 적층해서 적층체로 하고, 이 적층체를 팰릿에 적재한 상태로 곤포하고 있다. 또, 보호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합지가 채용된다. 보호 시트는 유리판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비어져 나옴부를 갖는다. 이러한 곤포 형태에 의하면, 유리판의 중량이 주로 유리판의 주면에서 지지되는 것에 추가해서, 비어져 나옴부로 유리판의 단부를 덮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강도가 약한 유리판의 단부를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224182호 공보
그런데, 상기 유리판 곤포체를 개곤해서 적층체로부터 유리판을 취출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취출의 형태를 채용하는 일이 있다.
동 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적층체(100)로부터 최상층의 유리판(200)을 흡착해서 취출하는 로봇(300)과, 도 12에 나타내는 적층체(100)로부터 최상층의 보호 시트(400)를 흡착해서 취출하는 바형상의 로봇(500)을 교대로 동작시킨다. 이렇게 해서, 유리판(200)과 보호 시트(400)를 교대로 적층체(100)로부터 취출해 간다. 또, 적층체(100)는 받침대부(60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팰릿(600)에 적재되어 있다.
양 로봇(300,500)을 동작시킬 때에는 각각 유리판(200) 및 보호 시트(400)의 취출을 쉽게 하기 위한 보조를 행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로봇(300)을 동작시킬 때에는 누름부재(700)에 의해,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유리판(200)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호 시트(400)의 비어져 나옴부(400a)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로봇(300)이 흡착한 최상층의 유리판(200)과 함께, 이것에 달라붙은 바로 아래의 보호 시트(400)까지 취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듯이, 로봇(500)을 동작시킬 때에는 당해 로봇(500)이 흡착한 최상층의 보호 시트(400)와, 이것의 바로 아래의 유리판(200)이 달라붙지 않도록, 양자를 박리시키기 위해 분사노즐(800)로부터 가스(800a)(예를 들면 공기 등)를 분사한다.
그러나, 유리판 곤포체의 개곤에 있어서 상기 형태를 채용한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보호 시트(400)가 비어져 나옴부(400a)를 갖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듯이, 하층에 배치된 보호 시트(400)의 비어져 나옴부(400a)가 하방으로 절곡한다. 그리고, 이 비어져 나옴부(400a)의 절곡이 이하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개곤전에 최하층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보호 시트(400)를 로봇(500)으로 취출할 때에, 취출 대상인 보호 시트(400)의 절곡된 비어져 나옴부(400a)가 취출 대상이 아닌 보호 시트(400)나 유리판(200)의 코너부에 걸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듯이, 보호 시트(400)의 위치가 보다 하층이 됨에 따라, 절곡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보호 시트(400)의 위치가 보다 하층이 될수록 상기 걸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로봇(500)에 대해서 보호 시트(400)가 미끄러져 어긋나는 등해서 보호 시트(400)의 취출 불량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일단 취출 불량이 발생해 버리면, 개곤을 위한 작업을 장시간(예를 들면 0.5시간 정도)에 걸쳐서 중단할 필요가 발생하여 제품의 제조 효율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버린다.
상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유리판 곤포체를 개곤해서 적층체로부터 유리판과 보호 시트를 취출함에 있어서,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에 기인한 보호 시트의 취출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유리판과 유리판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비어져 나옴부를 갖는 보호 시트가 평평하게 놓인 자세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적층체를 적재하는 팰릿을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로서, 팰릿이,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의 비어져 나옴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지지부가, 적어도 적층체에 포함된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서는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에 대해서, 이들 보호 시트에 있어서의 유리판의 코너부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가 지지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각 비어져 나옴부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즉, 유리판의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이 회피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 곤포체의 개곤전에 최하층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보호 시트를 로봇 등으로 취출할 때에 있어서도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이 회피되어 있음으로써, 취출 대상인 보호 시트의 비어져 나옴부가 취출 대상이 아닌 보호 시트나 유리판의 코너부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보호 시트의 취출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가,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의 단부와 타방의 변의 단부 중 적어도 비어져 나옴부의 비어져 나옴 길이가 긴 쪽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각 보호 시트에 대해서, 적층체에 포함된 유리판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와, 타방의 변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 중 상대적으로 절곡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 비어져 나옴 길이가 긴 쪽의 비어져 나옴부가 지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의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을 효율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가,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의 단부와 타방의 변의 단부 중 편방의 단부를 따라서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부가, 편방의 단부를 따라서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부의 개수의 증가에 기인한 팰릿 구조의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개수가 억제됨으로써, 지지부 위에 진애 등이 퇴적될 우려를 가급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또, 편방의 단부를 따라서만의 지지부의 배치이어도, 하기와 같이,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은 적확하게 회피가 가능하다. 우선, 편방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를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당해 비어져 나옴부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그리고, 편방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이 회피됨에 따라, 상기 비어져 나옴부와 이어진 나머지의 편방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에 대해서도 자연히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이렇게 해서,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이 회피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팰릿이, 적층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부를 갖고, 지지부의 상단부가, 받침대부에 있어서의 적층체를 지지하는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절곡되지 않을 정도로 비어져 나옴부를 하방으로 휘게 할 수 있고, 휘어진 비어져 나옴부에 의해 유리판의 단부를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단부를 기점으로 한 파손이나 상처의 발생으로부터 유리판을 적합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상단부와 받침대부의 상면 사이에 단차가 존재함으로써, 가령 적층체에 포함된 유리판이 진동 등에 기인해서 횡 어긋남(수평방향의 이동)을 일으킨 경우에도, 지지부와 유리판의 충돌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지지부가,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따라서만 배치되고, 팰릿이,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유리판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규제부재가, 적층체에 포함된 각 유리판의 이웃하는 코너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지지부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규제부재가 배치되므로, 유리판의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의 회피와, 유리판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의 이동의 규제를 효율적으로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판 곤포체를 개곤해서 적층체로부터 유리판과 보호 시트를 취출함에 있어서, 비어져 나옴부의 절곡에 기인한 보호 시트의 취출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팰릿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팰릿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의 받침대부의 측면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적층체에 포함되는 유리판과 보호 시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팰릿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팰릿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의 받침대부의 측면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있어서의 받침대부의 측면 주변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구비된 팰릿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12의 동그라미로 둘러싼 Z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는 최하층에 보호 시트(2x)(이하, 최하층 시트(2x)라고 표기)를 배치한 상태에서 유리판(3)과 보호 시트(2)가 평평하게 놓인 자세로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4)와, 적층체(4)를 적재하는 팰릿(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최하층 시트(2x)를 제외한 다른 보호 시트(2)의 단부가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고 면일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호 시트(2)는 유리판(3)에 비해서 큰 면적을 갖고 있어 실제로는 보호 시트(2)의 단부가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있다(도 4 및 도 5를 참조).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보호 시트(2)의 단부는 비어져 나옴부(2a)를 구성한다.
적층체(4)를 구성하는 유리판(3)의 두께는 0.2mm∼1.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2mm∼0.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판(3)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한변의 길이가 G5사이즈(1100mm∼13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G8.5사이즈(2200mm∼250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판(3)의 밀도는 2.0g/㎤∼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4)를 구성하는 보호 시트(2)의 두께는 0.05mm∼0.2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mm∼0.1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2)는 유리판(3)보다도 면적이 큰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한변의 길이가 G5사이즈(1100mm∼13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G8.5사이즈(2200mm∼2500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시트(2)로서 합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합지 대신에 발포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팰릿(5)은 공장의 바닥면이나 수송차의 짐받이 등에 재치되는 기대부(6)와, 기대부(6) 위에 배치되고, 또한 적층체(4)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부(7)를 갖는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받침대부(7)에 최하층 시트(2x)가 고정되어 있다. 기대부(6)와 받침대부(7) 양자는 예를 들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에 기대부(6)와 받침대부(7)의 쌍방이 직사각형상을 이룸(도 3을 참조)과 아울러, 받침대부(7)는 기대부(6)에 비해서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리판(3)이 이루는 직사각형상과, 받침대부(7)가 이루는 직사각형상이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대부(6) 위에 받침대부(7)가 겹쳐 쌓여져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대부(7)를 제거해서 기대부(6)에 받침대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기대부(6)의 네모서리의 각각에는 지주(도시생략)를 삽입해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삽입구(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구(8)에 부착된 지주는 유리판 곤포체(1)를 상하 복수단으로 겹쳐 쌓을 때에, 상단의 유리판 곤포체(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기대부(6)의 네측면의 각각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포크용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부(7)의 네측면(7a)의 각각에는 적층체(4)에 포함된 복수의 유리판(3)의 횡 어긋남(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로서의 규제판(10)이 부착되어 있다. 규제판(10)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측면(7a)에 대해서 2매(합계로 8매)의 규제판(10)이 배치되어 있다. 각 규제판(10)은 그 하단부가 고정구(예를 들면 볼트 등)에 의해 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판(10)은 유리판 곤포체(1)를 개곤해서 적층체(4)로부터 유리판(3)을 취출할 때에는 분리된다.
적층체(4)의 상면에는 누름판(도시생략)이 배치되어 있고, 이 누름판을 벨트 등의 체결구(도시생략)를 개재하여 기대부(6)에 고정함으로써, 적층체(4)가 받침대부(7) 위에 유지된다. 또, 누름판으로서는 보호 시트(2)보다도 두께가 크고, 경도가 높은 발포 수지제의 완충판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적층체(4)를 구성하는 유리판(3)에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적층체(4)의 주위는 수지 시트(도시생략)로 덮여진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받침대부(7)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격자상으로 형성된 베이스(7x)와, 고무나 발포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판(7y)을 겹친 구조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완충판(7y)의 상면이, 적층체(4)를 지지하는 받침대부(7)의 상면(7b)을 구성함과 아울러, 베이스(7x) 및 완충판(7y)의 측면이, 상면(7b)으로 이어지는 받침대부(7)의 측면(7a)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규제판(10)(동 도면에서는 분리되어 있어 도시생략), 및, 후술하는 최하층 시트(2x)만을 받침대부(7)에 고정하는 유지구(11)는 모두 베이스(7x)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이스(7x) 위에 직접적으로 완충판(7y)을 겹치고 있지만, 베이스(7x)와 완충판(7y)의 상호간에 알루미늄 합금제나 스테인레스제의 판을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완충판(7y)은 단일의 판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복수의 소판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받침대부(7)의 네측면(7a) 중, 평행한 이측면(7a)의 각각에는 유지구(11)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유지구(11)는 제 1의 기능으로서 최하층 시트(2x)(동 도면에서는 도시생략)를 끼워 넣어 유지함으로써, 최하층 시트(2x)를 받침대부(7)에 고정하는 고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2의 기능으로서 적층체(4)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2)(최하층 시트(2x)를 제외함)의 비어져 나옴부(2a)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제 2의 기능에 의해, 유리판(3)의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2a)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이하, 유지구(11)의 배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유지구(11)는 상기 제 2의 기능(지지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적층체(4)에 포함된 최하방의 유리판(3)(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에 있어서의 4개의 코너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각 코너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코너부는 유리판(3)의 변(3a)의 단부(3aa)와 변(3b)의 단부(3ba)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구(11)가 2개의 단부(3aa,3ba) 중, 단부(3aa)를 따라서만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규제판(10)(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은 유리판(3)의 이웃하는 코너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적층체(4)에 포함되는 유리판(3)과 보호 시트(2)의 관계를 도 5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시트(2)의 비어져 나옴부(2a)에 대해서, 변(3a)으로부터의 비어져 나옴 길이(X)와, 변(3b)으로부터의 비어져 나옴 길이(Y)를 비교하면, 비어져 나옴 길이(X)의 쪽이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단부(3aa,3ba)의 양자간에서 비어져 나옴 길이를 비교하면, 단부(3aa)로부터의 비어져 나옴 길이(비어져 나옴 길이(X)와 같다)의 쪽이 길게 된다. 이 비어져 나옴 길이가 긴 쪽의 단부(3aa)를 따라서만 유지구(11)를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하고 있는 것은 제 1의 목적으로서 비어져 나옴 길이가 길수록 절곡이 쉬워지므로, 절곡을 효율적으로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제 2의 목적으로서는 가급적으로 유지구(11)의 개수를 억제해서 팰릿(5)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함과 아울러, 유지구(11) 위에 진애 등이 퇴적될 우려를 가급적으로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1 목적 및 제 2 목적을 감안해서 비어져 나옴 길이(Y)의 쪽이 비어져 나옴 길이(X)보다도 긴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나타내듯이, 유지구(11)가 2개의 단부(3aa,3ba) 중, 단부(3ba)를 따라서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어져 나옴 길이(X)와 비어져 나옴 길이(Y)의 쌍방이 과도하게 긴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로서 도 7에 나타내듯이, 유지구(11)가 2개의 단부(3aa,3ba)의 쌍방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유지구(11)는 상기 제 1 기능(고정부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적층체(4)에 포함된 최하방의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최하층 시트(2x)의 단부가 유지구(11)에 의해 받침대부(7)의 측면(7a) 위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구(11)는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표리로부터 끼워 넣는 한쌍의 끼움부(11a,11b)를 갖고, 한쌍의 끼움부(11a,11b)에 의해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절곡된 상태로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한쌍의 끼움부(11a,11b)는 경첩(12)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최하층 시트(2x)의 이면측에 배치된 끼움부(11b)는 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최하층 시트(2x)의 표면측에 배치된 끼움부(11a)는 도 4에 화살표 A-A로 나타내듯이, 경첩(12)에 구비된 축(12a)의 주위를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회에 따라 끼움부(11a)가 도 4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하, 끼움 위치라고 표기)로 이동하면, 한쌍의 끼움부(11a,11b)가 협동해서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끼워 넣는다. 또,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마그넷 시트)의 자력을 이용해서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끼워 넣고 있다. 한편, 선회에 따라 끼움부(11a)가 끼움 위치로부터 이반되면, 최하층 시트(2x)의 단부의 끼워 넣기가 해제된다. 끼워 넣기를 해제한 상태에 있는 끼움부(11a)는 예를 들면 도 4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하, 대기위치라고 표기)에서 대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대기위치는 마그넷의 자력으로 끼움부(11a)가 이동하지 않도록, 끼움 위치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다.
끼움부(11b)는 받침대부(7)의 측면(7a)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고정된 측판(13)과, 측판(13)의 하단부로 이어져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저판(14)과, 측판(13) 및 저판(14)을 따라 부착된 수지재(15)와, 수지재(15)의 상방에서 측판(13)에 부착된 마그넷 시트(16)를 구비하고 있다.
측판(13) 및 저판(14)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저판(14)의 일단에는 받침대부(7)의 측면(7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12a)이 구비되어 있다. 수지재(15)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채용하고 있다. 수지재(15)는 받침대부(7)의 측면(7a)측을 향해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수지재(15)에 있어서의 최하층 시트(2x)의 단부와의 접촉부(15a)가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마그넷 시트(16)는 끼움부(11a)의 후술하는 마그넷 시트(17)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끼움부(11a)는 경첩(12)에 구비된 축(12a)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가 가능한 선회판(18)과, 선회판(18)을 따라 부착된 수지재(19)와, 수지재(19)에 고정된 상태로 자력에 의해 마그넷 시트(16)에 가까이 끌어 당기는 것이 가능한 마그넷 시트(17)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판(18)은 상기 측판(13) 및 저판(1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수지재(19)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수지재(15)와 마찬가지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채용하고 있다. 수지재(19)에 있어서의 최하층 시트(2x)의 단부와의 접촉부(19a)는 상기 수지재(15)에 있어서의 접촉부(15a)에 따라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수지재(19)의 상단부에는 함몰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함몰부(19b)에 사람의 손가락 등을 걺으로써, 자력에 저항해서 마그넷 시트(17)를 마그넷 시트(16)로부터 이반시키기 위한 힘을 부여하기 쉽게 되어 있다.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는 한쌍의 끼움부(11a,11b)에 대한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즉,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는 자신에게 부여되는 외력(예를 들면 유리판 곤포체(1)의 수송시의 진동에 따라 부여되는 외력)에 따라, 한쌍의 끼움부(11a,11b)에 대해서 임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힘으로 끼워 넣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최하층 시트(2x)가 깨지거나 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쌍의 끼움부(11a,11b)가 최하층 시트(2x)의 단부를 끼워 넣는 힘의 크기는 예를 들면 양 마그넷 시트(16,17)의 두께를 변경해서 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이 밖에, 수지재(19)에 있어서의 마그넷 시트(17)와의 계면에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에 따라 변형된 마그넷 시트(17)와 최하층 시트(2x)의 단부의 접촉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끼워 넣는 힘의 크기를 조절해도 좋다. 또한 양 수지재(15,19)의 재질을 변경하고, 마찰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최하층 시트(2x)가 슬라이딩하기 시작할 때의 힘의 크기를 조절해도 좋다.
유지구(11)의 상단부는 유지구(11) 위에서 겹친 복수의 비어져 나옴부(2a)를 지지함에 있어서, 최하방의 비어져 나옴부(2a)의 하면을 지지하고 있다. 또, 각 비어져 나옴부(2a)는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돌출해서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휜 상태에 있다. 유지구(11)의 상단부는 받침대부(7)의 상면(7b)보다도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어 양자간에는 상하 방향의 단차가 존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어져 나옴부(2a)가 절곡되지 않을 정도로 하방으로 휘고, 비어져 나옴부(2a)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유리판(3)의 단부가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3)이 단부를 기점으로 한 파손이나 상처의 발생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단차의 존재에 의해, 가령 유리판(3)이 횡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에도, 유지구(11)와 최하방의 유리판(3)의 충돌(최하층 시트(2x)를 개재한 충돌)이 회피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어져 나옴부(2a)를 유지구(11)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유지구(11)의 두께(받침대부(7)의 측면(7a)에 대해서 연직인 방향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3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구(11)의 상단부와 지지대(7)의 상면(7b)의 단차는 예를 들면 10∼20mm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유리판 곤포체(1)에 의한 주된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유리판 곤포체(1)에서는 적층체(4)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2)에 대해서, 유리판(3)의 변(3a)의 단부(3aa)로부터 각각 비어져 나온 비어져 나옴부(2a)가,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유지구(11)에 의해 합쳐져서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각 비어져 나옴부(2a)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판(3)의 코너부의 주변에 있어서의 비어져 나옴부(2a)의 절곡이 회피된다. 그 때문에 유리판 곤포체(1)의 개곤전에 최하층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보호 시트(2)를 로봇 등으로 취출할 때에 있어서도, 비어져 나옴부(2a)의 절곡이 회피되어 있음으로써, 취출 대상의 보호 시트(2)의 비어져 나옴부(2a)가 취출 대상이 아닌 보호 시트(2)나 유리판(3)의 코너부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보호 시트(2)의 취출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1)에 대해서 비어져 나옴부(2a)의 절곡에 기인한 보호 시트(2)의 취출 불량의 발생률을 검증했다. 검증은 유리판 곤포체(1)를 15체 준비하고, 이 중의 몇체에 취출 불량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해서 행했다. 또, 도 5에 나타낸 비어져 나옴 길이(X, Y)는 각각 40mm, 20mm이다. 또한 유지구(11)의 두께는 20mm이다. 검증의 결과, 취출 불량이 발생한 유리판 곤포체(1)는 15체 중 0체이며, 전혀 취출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비교를 위해서, 유지구(11)를 제거한 상태에서 같은 검증을 행한 결과, 15체 중 3체에 취출 불량이 발생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8에 나타내듯이, 제 2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은 최하층 시트(2x)의 받침대부(7)에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점과, 유지구(11) 대신에 케이스(20)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0)가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케이스(20)는 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된 직육면체상의 케이스 본체(20a)와, 케이스 본체(20a)의 개구부(20aa)를 막는 케이스 뚜껑(20b)과, 케이스 본체(20a)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20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20a)의 상면 및 케이스 뚜껑(20b)의 상면에 의해 복수의 비어져 나옴부(2a)가 지지되어 각 비어져 나옴부(2a)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또, 케이스(20) 대신에, 예를 들면 상자체나 블록을 사용해도 좋다. 상자체는 예를 들면 복수의 금속판이나 수지판을 접합해서 직육면체상으로 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블록은 예를 들면 직육면체상의 금속덩어리나 수지덩어리로 구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에 나타내듯이, 제 3 실시형태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은 최하층 시트(2x)의 받침대부(7)에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점과, 유지구(11) 대신에 지지판(21)이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판(21)이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지지판(21)은 L자형상의 단면형상을 이루고, 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된 고정판부(21a)와, 고정판부(21a)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판부(21b)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평판부(21b)에 의해 복수의 비어져 나옴부(2a)가 지지되어 각 비어져 나옴부(2a)의 하방으로의 절곡이 회피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0에 나타내듯이, 유리판(3)의 코너부의 굴곡을 따라 지지판(21)을 배치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나 마그넷 시트에 의해 최하층 시트(2x)의 단부가 받침대부(7)(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되어 있다. 마그넷 시트에 의해 최하층 시트(2x)의 단부가 받침대부(7)(받침대부(7)의 측면(7a))에 고정될 경우, 지지대(7)의 측면(7a)은 철, 코발트, 니켈 등이라는 강자성체로 구성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주된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곤포체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제 3 실시형태로부터 유지구(11), 케이스(20), 지지판(21)을 각각 제거하고, 대신에 받침대부(7)의 상면(7b)의 면적을 유리판(3)의 면적보다도 크게 해서 상면(7b)에 있어서의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영역을 지지부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유지구(11), 케이스(20), 지지판(21)을 유리판(3)의 코너부를 따라서만 배치하고 있지만, 이들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부재를 코너부를 따른 위치 이외에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이들 부재를 이웃하는 규제판(10)의 상호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상의 보호 시트(2)가 갖는 네변의 단부의 전체에 유리판(3)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비어져 나옴부(2a)가 형성되어 있지만, 일부의 변의 단부에만 비어져 나옴부(2a)를 형성해도 좋다. 유리판(3)의 단부를 보호하는 관점에서는 보호 시트(2)가 갖는 네변의 단부의 전체에 비어져 나옴부(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판(3)의 단부를 비어져 나옴부(2a)에 의해 적확하게 덮는 관점에서는 비어져 나옴부(2a)의 비어져 나옴 길이(도 5에 나타낸 비어져 나옴 길이(X, Y))는 1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지구(11)로 비어져 나옴부(2a)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비어져 나옴부(2a)의 비어져 나옴 길이는 3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용 삭감의 관점으로부터, 비어져 나옴부(2a)의 비어져 나옴 길이의 상한은 8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60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0mm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1: 유리판 곤포체
2: 보호 시트
2a: 비어져 나옴부
3: 유리판
3a: 변
3aa: 변의 단부
3b: 변
3ba: 변의 단부
4: 적층체
5: 팰릿
7: 받침대부
7b: 받침대부의 상면
10: 규제판
11: 유지구(지지부)
20: 케이스(지지부)
21: 지지판(지지부)
X: 돌출길이
Y: 돌출길이

Claims (5)

  1. 직사각형상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비어져 나옴부를 갖는 보호 시트가 평평하게 놓인 자세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를 적재하는 팰릿을 구비한 유리판 곤포체로서,
    상기 팰릿이,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 시트의 상기 비어져 나옴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적어도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팰릿이, 상기 적층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가, 상기 받침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적층체를 지지하는 상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의 단부와 타방의 변의 단부 중 적어도 상기 비어져 나옴부의 비어져 나옴 길이가 긴 쪽의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형성하는 일방의 변의 단부와 타방의 변의 단부 중 편방의 단부를 따라서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최하방의 유리판의 코너부를 따라서만 배치되고,
    상기 팰릿이,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복수의 유리판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재가,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각 유리판의 이웃하는 코너부의 상호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5. 삭제
KR1020217006738A 2018-11-02 2019-10-17 유리판 곤포체 Active KR102719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7386 2018-11-02
JPJP-P-2018-207386 2018-11-02
PCT/JP2019/040905 WO2020090501A1 (ja) 2018-11-02 2019-10-17 ガラス板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429A KR20210084429A (ko) 2021-07-07
KR102719901B1 true KR102719901B1 (ko) 2024-10-23

Family

ID=70462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738A Active KR102719901B1 (ko) 2018-11-02 2019-10-17 유리판 곤포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92303B2 (ko)
KR (1) KR102719901B1 (ko)
CN (1) CN112888640B (ko)
TW (1) TWI816925B (ko)
WO (1) WO202009050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786A (ja) 2004-07-23 2006-10-05 Asahi Glass Co Ltd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JP2011207483A (ja) * 2010-03-29 2011-10-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WO2012115109A1 (ja) 2011-02-25 2012-08-30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948A (ja) * 2008-08-04 2010-02-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5532506B2 (ja) *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JP2010168045A (ja) 2008-12-26 2010-08-0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CN106364794B (zh) * 2010-11-30 2019-11-19 康宁股份有限公司 包装多个玻璃板的方法及玻璃板的包装
WO2012099070A1 (ja) * 2011-01-21 2012-07-26 旭硝子株式会社 梱包容器および梱包体
JP3217035U (ja) * 2018-03-26 2018-07-12 旭硝子株式会社 梱包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4786A (ja) 2004-07-23 2006-10-05 Asahi Glass Co Ltd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JP2011207483A (ja) * 2010-03-29 2011-10-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WO2012115109A1 (ja) 2011-02-25 2012-08-30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88640B (zh) 2022-12-23
WO2020090501A1 (ja) 2020-05-07
TW202100424A (zh) 2021-01-01
CN112888640A (zh) 2021-06-01
JPWO2020090501A1 (ja) 2021-11-25
KR20210084429A (ko) 2021-07-07
JP7292303B2 (ja) 2023-06-16
TWI816925B (zh)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052B2 (en) Robotic head for palletizing full boxes, tray packs and spot packs
JP4911276B2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
TWI330164B (ko)
WO2006009225A1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KR200498347Y1 (ko) 곤포체 및 곤포 용기
KR100996987B1 (ko) 판상물의 포장구조물 및 그 포장방법
JP72657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5790112B2 (ja) 基板保持用枠体と薄板基板の梱包体
KR102719901B1 (ko) 유리판 곤포체
WO2021106451A1 (ja) ガラス板梱包体
JPWO2011055714A1 (ja) ガラス板梱包体のアダプタ
JP2004067249A (ja) 大型ガラス板の搬送方法及び搬送用トレイ
KR102719900B1 (ko) 유리판 곤포체
CN102616487A (zh) 大型板状体包装箱
TW202304789A (zh) 玻璃板捆包體的製造方法以及玻璃板捆包體
CN207293106U (zh) 玻璃板包装体
WO2004009472A1 (ja) 大型ガラス板の搬送方法及び搬送用トレイ
JP2020132231A (ja) 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その運搬方法
JP5429257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KR100823902B1 (ko)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KR20050022002A (ko) 대형 유리판의 반송방법 및 반송용 트레이
JP2016003021A (ja) 板状物の梱包方法および板状物の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