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8347Y1 - 곤포체 및 곤포 용기 - Google Patents

곤포체 및 곤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347Y1
KR200498347Y1 KR2020190001180U KR20190001180U KR200498347Y1 KR 200498347 Y1 KR200498347 Y1 KR 200498347Y1 KR 2020190001180 U KR2020190001180 U KR 2020190001180U KR 20190001180 U KR20190001180 U KR 20190001180U KR 200498347 Y1 KR200498347 Y1 KR 200498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shaped member
glass plates
glass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83U (ko
Inventor
시흐체이 흐슈
쥐이촨 쑤
밍위 랴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34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0Packaging plate glass, tiles, or shi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8Stacking or destack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stacked sheets, e.g. spaces
    • B65G49/069Means for avoiding damage to stacked plate glass, e.g. by interposing paper or powder spacers in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 배판 및 빗형 부재를 갖는 곤포 용기이며, 상기 빗형 부재는 상기 배판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빗형 부재는, 복수의 유리판이 합지를 끼운 상태에서 곤포 용기에 적재될 때에 합지의 유리판의 상변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용기와, 상기 곤포 용기에, 복수의 유리판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의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곤포체 및 곤포 용기{PACKING BODY AND PACKING CONTAINER}
본 고안은 곤포 용기 및 유리판을 세로 배치로 곤포 용기에 복수매 탑재하는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FPD용 유리 등에 사용되는 대형 유리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형 유리판을 반송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복수매의 유리판을 세워서 배열한 상태로 각 유리판을 고정한 유리판 곤포 상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유리판 곤포 상자는, 유리판을 적재하는 받침대를 갖고, 해당 받침대의 탑재면 상에 상기 유리판의 하단부를 받치는 바닥 받침판과, 유리판의 두께 방향을 받치는 등 받침판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받침판 및 등 받침판에 유리판을 탑재할 때에는, 반송 중에 유리판끼리 직접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은 유리판 사이에 합지를 끼움 지지시키고 있다. 그 때, 유리판의 하역 시에 로봇 아암으로 합지를 흡착 보유 지지하여 유리판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합지를 유리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시켜 두고, 이를 로봇 아암으로 흡착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합지의 보유 지지부, 즉 유리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부분이, 일부가 기울지 않고 세워져 있거나, 기우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거나 하면, 로봇 아암의 보유 지지부에 대한 위치 결정이 양호하게 행해지지 못하여, 합지를 흡착 보유 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를 감안하여, 유리판의 상단에서 연장 돌출시킨 합지를, 유리판 곤포 상자의 등 받침판 방향으로 가지런히 기울이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12/102117호 공보
그러나, 합지 제거 작업에 있어서의, 합지의 보유 지지 방법이나, 로봇 핸드의 위치 결정 방법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고, 그 양태에 따라서는, 모든 합지의 연장 돌출 부분이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져 있는, 즉, 똑바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하역 시에 로봇 아암에 의해 유리판으로부터 합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합지의 연장 돌출 부분이 기울어지지 않고 똑바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곤포체 및 곤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곤포 용기는, 바닥 프레임, 배판 및 빗형 부재를 갖는 곤포 용기이며, 상기 빗형 부재는 상기 배판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빗형 부재는, 복수의 유리판이 합지를 끼운 상태에서 곤포 용기에 적재될 때 합지의 유리판의 상변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곤포 용기에 있어서 빗형 부재는 자석을 구비하고, 자석에 의해 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곤포체는, 탑재하는 유리판의 저변부를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과, 유리판의 한쪽 면측을 받치는 배판과, 빗형 부재를 갖는 세로 배치형 곤포 용기에 복수의 유리판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의 곤포체에 있어서, 배판에 유리판의 한쪽 면을 받치게 한 상태로, 바닥 프레임 상에 유리판이 복수 적재됨과 함께, 유리판 사이에, 합지가 유리판의 상변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돌출하여 연장 돌출부를 형성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고, 상기 빗형 부재에 의해 연장 돌출부가 보유 지지되고, 빗형 부재는 배판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곤포체에 있어서 빗형 부재는 자석을 구비하고, 자석에 의해 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곤포체에 있어서는, 합지의 하단이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들뜬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곤포체 및 곤포 용기에 의하면, 빗형 부재에 의해 합지의 연장 돌출부가 보유 지지되어 있고, 합지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도 1은 도 1의 (a) 및 1의 (b)는 본 고안의 곤포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는 정면도,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a)는, 탑재된 유리판 및 합지의 하단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단면도, 도 2의 (b)는 탑재된 유리판 및 합지의 상단부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빗형 부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곤포체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a) 및 1의 (b)는 본 고안의 곤포체의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a)는 정면도, 도 1의 (b)는 측면도이다. 도 1 중, 부호 1은 곤포체이며, 곤포체(1)는 빗형 부재(12)를 갖는 곤포 용기(2)와, 해당 곤포 용기(2)에 탑재된 유리판 G로 구성되어 있다.
유리판 G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장치나 EL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 유리 기판이 대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크기가 2500㎜×2200㎜ 정도이며, 두께가 0.3 내지 0.7㎜ 정도인 직사각형 판형의 유리 기판이 유리판 G로서 사용된다. 단, 본 고안은, 이러한 크기의 유리판 G의 보유 지지 고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나 두께의 유리판 보유 지지 고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FPD용 유리 기판 이외의 다양한 유리판도 적용 대상으로 된다.
곤포 용기(2)는, 유리판 G를 세로 배치로 탑재하는 세로 배치형 곤포 용기이며, 베이스(3)와, 베이스(3) 상에 배치된 바닥 프레임(4), 배판(5), 빗형 부재(1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는, 바닥이나 차의 적재대 등의 대략 수평면 상에 놓이는 것으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의 전방면측 및 배면측에 포크리프트의 포크(도시되지 않음)가 삽입 발출 가능한 개구부(6)가 복수(도면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의 측면에 대해서는, 개구시켜도 되고, 막은 구조로 해도 된다(도 1의 (b)에서는 막은 구조로 하고 있음). 또한, 베이스(3)는, 예를 들어 강재로 이루어져 있지만, 클린룸에 반입되는 경우의 도장 박리 방지를 고려하면, 스테인리스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배치」란, 유리판이 수평면에 대해 30° 이상 기운 상태에서 적재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닥 프레임(4)은, 베이스(3)의 상면(3a)에 마련된 직사각형 판형의 것으로, 탑재하는 유리판 G의 저변부를 지지한다. 이 바닥 프레임(4)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의 전방측 하부가 바닥편(7)을 개재해서 베이스(3) 상에 마련됨으로써, 베이스(3)의 상면(3a)에 대해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 프레임(4)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3)의 폭 방향으로 2군데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상면(경사면), 즉 유리판 G의 적재면이 동일 평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바닥 프레임(4)의 상면은, 유리판 G를 삽입하기 위한 홈 등이 형성되지 않은 실질상 평탄한 것으로, 복수의 유리판 G를 합지 P를 끼워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면, 물결 형상이나 거친 면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바닥 프레임(4)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배판(5)의 폭과 동일한 길이의 1매의 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바닥 프레임(4)은, 베이스(3)의 상면(3a)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내지 25°, 더 바람직하게는 10°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8°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유리판 G를 적재할 때의 유리판 G의 위치 결정 작업을 용이하면서, 또한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각 유리판 G는, 자중에 의해 배판(5)측의 유리판 G에 접함으로써, 각 유리판 G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적재하는 유리판 G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유리판 G의 어긋남이나 붕괴를 방지하고, 아울러 흠집이나 균열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바닥편(7)에 높이 조정 기능을 갖게 하여, 바닥 프레임(4)의 베이스(3)의 상면(3a)에 대한 각도 조정을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배판(5)은, 베이스(3)의 상면(3a)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8)에 한쪽 면측이 지지 고정되고, 하단부가 바닥 프레임(4) 상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은, 베이스(3)의 상면(3a)에 대해 상방으로 세워져서 배치된 지주(9)와, 베이스(3)의 상면(3a)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된 경사 프레임(10)과, 이들 지주(9)와 경사 프레임(10) 사이에 마련된 보강 프레임(11)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경사 프레임(10)은, 바닥 프레임(4)의 상면에 대해 90°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90°로 되도록 베이스(3)의 상면(3a) 상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주(9)도 경사 프레임(10)에 대응하여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11)은, 베이스(3)의 상면(3a) 상 및 지주(9), 경사 프레임(10)의 각각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복수개씩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배판(5)은,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8)의, 경사 프레임(10)의 외측에 부착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경사 프레임(10)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배판(5)은, 바닥 프레임(4) 상에 세로 배치된 유리판 G의 한쪽 면측을 받아서 이것을 지지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것으로, 탑재하는 유리판 G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배판(5) 및 상기 바닥 프레임(4)에는, 유리판 G를 탑재했을 때의 유리판 G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표면(유리판 G에 접하는 측의 면)에 고무나 경질의 발포성 수지 등의 쿠션재 C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유리판 G는, 예를 들어 100매 내지 800매 정도가 바닥 프레임(4)의 전후 방향, 즉 배판(5)의 외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져서, 세로 쌓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유리판 G의 각각의 사이에는, 직사각 형상의 합지 P가 끼움 지지되어 있다.
합지 P는, 유리판 G끼리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반송 중에 유리판 G끼리 간섭하여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합지 P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판 G보다 크고, 따라서 유리판 G를 적재했을 때 적어도 상단부가 유리판 G의 상변보다 상방으로 연장 돌출하여 연장 돌출부 P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판 G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도, 합지 P가 비어져 나온(연장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유리판 G의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 PE는 그 길이가 예를 들어 50 내지 80㎜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합지 P의 하단 PL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4)의 상면(적재면)보다 예를 들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정도 부상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닥 프레임(4) 상에 배판(5)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합지 P와 유리판 G를 교대로 배치했을 때, 합지 P의 하단부가 바닥 프레임(4) 상으로 펼쳐져, 펼쳐진 합지 P 상에 유리판 G가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합지 P 상에 유리판 G가 적재되면, 바닥 프레임(4) 상에서의 유리판 G의 움직임, 즉 자중에 의한 배판(5)측으로의 미끄럼 이동이 제한되어 버리고, 또한, 유리판 G의 하역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빗형 부재(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빗형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형 부재(12)의 빗살을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 사이에 삽입하고,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를 보유 지지시킨 상태에서, 빗형 부재(12)를 배판(5)의 상부에 고정함으로써, 연장 돌출부 PE를 경사지게 하지 않고 똑바로 연장 돌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빗형 부재(12)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빗살의 길이는, 빗형 부재(12)로 연장 돌출부 PE를 보유 지지하고, 배판(5)에 고정했을 때 빗살의 선단이 유리판 G의 단부에 접촉하여 흠집이 나지 않도록 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50㎜ 정도로 할 수 있다. 빗살의 길이는, 20㎜ 내지 80㎜여도 된다.
빗살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정도, 빗살 사이의 빈틈은 예를 들어 6㎜ 정도로 하고, 빗살 사이의 빈틈에는 예를 들어 10 내지 20매 정도의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를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살의 두께는, 0.5㎜ 내지 3㎜, 빗살 사이의 빈틈은, 3㎜ 내지 15㎜여도 된다.
또한,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 사이에의 빗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빗살 선단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형 부재(12)를 배판에 고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형 부재에 장착된 자석(12a)을 사용하여 배판(5)에 고정할 수 있다.
빗형 부재(12)를 배판에 고정하는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지 P의 크기에 맞춰서 적절히 증감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곤포체(1)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곤포 용기(2) 상에 유리판 G와 합지 P가 교대로 배치되고, 빗형 부재(12)에 의해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가 보유 지지되고, 빗형 부재(12)이 배판(5)에 장착된 후, 종래 공지된 다양한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로 유리판 G가 고정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지 시트가 피착되거나 또는 곤포 상자에 수납되는 것 등에 의해, 반송 등에 제공되는 최종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b)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유리판 누름 부재(13)가 사용되고, 유리판 G가 곤포 용기(2)에 고정된다. 유리판 누름 부재(13)는, 전방 프레임(14), 측방 프레임(15)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측방 프레임(15)이 지지 프레임(8)의 양측부에 장착되고, 전방 프레임(14)이 측방 프레임(15)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유리판 누름 부재(13)는, 예를 들어 측방 프레임(15)에 대해 전방 프레임(1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는 지지 프레임(8)에 대해 측방 프레임(1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유리판 누름 부재(13) 내로의 유리판 G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유리판 누름 부재(13)에는, 전방 프레임(14)의 내측에 에어백(16)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백(16)에 의해 유리판 G를 압박함으로써, 유리판 G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16)으로서는, 그 공기량을 조정하여 적절하게 부풀림으로써, 유리판 G를 압박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백(16)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몇개 구비해도 된다.
또한, 유리판 G의 고정구로서는, 유리판 G의 측변부를 고정하는 측방 누름 부재(도시되지 않음)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러한 곤포체(1)의 형성 방법, 즉 곤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b)에 나타내는 곤포 용기(2)의 바닥 프레임(4) 상에 유리판 G와 합지 P를 교대로 배치하고, 이에 의해 바닥 프레임(4) 상에 유리 G판을 복수 적재함과 함께, 해당 유리판 G 사이에 합지 P를 끼움 지지시킨다. 바닥 프레임(4) 상으로의 유리판 G의 적재에 대해서는, 전용 로봇 아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행한다. 또한, 유리판 G 상으로의 합지 P의 배치에 대해서도, 전용 로봇 아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행한다. 그 때,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 P의 하단 PL이 바닥 프레임(4)으로부터 예를 들어 5㎜ 정도 들뜨도록, 합지 P를 배치한다. 또한, 도 2의 (b)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를 유리판 G의 상변보다 50 내지 80㎜ 정도 연장 돌출시켜, 연장 돌출부 PE를 형성해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소정의 매수 유리판 G를 바닥 프레임(4) 상에 적재하고, 또한, 이들 유리판 G 사이에 각각 합지 P를 끼움 지지시킨 후, 빗형 부재(12)의 빗살을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에 삽입함으로써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를 보유 지지하고, 그 후 빗형 부재(12)를 배판(5)에 고정한다.
그 후, 도 1의 (b)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유리 누름 부재(13) 등에 의해 유리판 G를 곤포 용기(2) 상에 고정하고, 필요에 따라 유리판 G에 수지 시트를 피착하는 등,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반송 등에 제공되는 최종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곤포체(1)로부터의, 유리판 G의 적재 하역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지 시트 등이나 그 밖의 고정구를,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곤포 용기(2)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에, 빗형 부재를 배판으로부터 제거한다.
계속해서, 바닥 프레임(4) 상에서의 유리판 G의 적재 하역과, 유리판 G로부터의 합지 P의 제거를 행한다. 바닥 프레임(4) 상에서의 유리판 G의 적재 하역에 대해서는, 전용 로봇 아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진공 흡착용 구멍이나, 흡반을 갖는 로봇 아암에 의해, 유리판 G의 외면(배판과 반대측의 면)을 흡착 보유 지지하고, 컨베이어 등의 이송 장치 상으로 이송한다.
또한, 유리판 G 상으로부터의 합지 P의 제거에 대해서도, 전용 로봇 아암에 의해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최표면의 유리판 G가 적재 하역된 후, 최표면에 노출된 합지 P를, 로봇 아암에 의해 보유 지지하고, 컨베이어 등의 이송 장치 상으로 이송한다.
상기 곤포 방법에 의하면, 빗형 부재(12)에 의해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를 보유 지지하고, 빗형 부재(12)를 배판(5)에 고정하므로,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가 곧은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하역 시에 로봇 아암에 의한 연장 돌출부 PE의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합지 P를 안정되게 유리판 G로부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빗형 부재(12)가 자석(12a)을 구비하고, 당해 자석(12a)에 의해 배판(5)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빗형 부재(12)의 배판(5)에의 고정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 G 사이에 합지 P를 끼움 지지시킬 때,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합지 P를, 그 하단 PL이 바닥 프레임(4)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바닥 프레임(4) 상에 배판 측부터 순서대로 유리판 G와 합지 P를 교대로 배치했을 때, 합지 P의 하단부가 바닥 프레임(4) 상으로 펼쳐져, 펼쳐진 합지 P 상에 유리판 G가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곤포체(1)에 의하면, 배판(5)에 고정된 빗형 부재(12)에 의해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가 곧은 상태로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하역 시에 로봇 아암에 의한 연장 돌출부 PE의 보유 지지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합지 P를 안정되게 유리판 G로부터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상세히, 또한 특정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고안의 범위와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8년 3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실용 신안 출원 제2018-001097호 공보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하여 도입된다.
본 고안의 곤포체 및 곤포 용기에 의하면, 합지 P의 연장 돌출부 PE가 곧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하역 시에 로봇 아암에 의해 유리판으로부터 합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리판의 적재 하역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곤포 방법 및 곤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1: 곤포체
2: 곤포 용기
3: 베이스
4: 바닥 프레임
5: 배판
6: 개구부
7: 바닥편
8: 지지 프레임
9: 지주
10: 경사 프레임
11: 보강 프레임
12: 빗형 부재
12a: 자석
13: 유리판 누름 부재
14: 전방 프레임
15: 측방 프레임
16: 에어백
G: 유리판
P: 합지
C: 쿠션재
PE: 연장 돌출부
PL: 하단

Claims (4)

  1. 바닥 프레임, 배판 및 복수의 빗살을 갖는 빗형 부재를 갖는 곤포 용기이며, 상기 빗형 부재는 상기 배판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빗형 부재는, 복수의 유리판이 합지를 끼운 상태에서 곤포 용기에 적재될 때 합지의 유리판의 상변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가 빗살 사이의 빈틈에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형 부재는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에 의해 상기 빗형 부재는 상기 배판에 고정되는 곤포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곤포 용기에, 복수의 유리판이 탑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의 곤포체에 있어서,
    상기 배판에 유리판의 한쪽 면을 받치게 한 상태로, 상기 바닥 프레임 상에 유리판이 복수 적재됨과 함께, 상기 유리판 사이에, 합지가, 상기 유리판의 상변보다 소정 길이 연장 돌출하여 연장 돌출부를 형성한 상태로 끼움 지지되고,
    상기 빗형 부재에 의해, 상기 연장 돌출부가 보유 지지되고,
    상기 빗형 부재는 상기 배판에 고정되어 있는 곤포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의 하단이 상기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들뜬 상태인 곤포체.
KR2020190001180U 2018-03-26 2019-03-22 곤포체 및 곤포 용기 Active KR20049834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8-001097 2018-03-26
JP2018001097U JP3217035U (ja) 2018-03-26 2018-03-26 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83U KR20190002483U (ko) 2019-10-07
KR200498347Y1 true KR200498347Y1 (ko) 2024-09-12

Family

ID=6283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80U Active KR200498347Y1 (ko) 2018-03-26 2019-03-22 곤포체 및 곤포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17035U (ko)
KR (1) KR200498347Y1 (ko)
CN (1) CN210140069U (ko)
TW (1) TWM58248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0500A1 (ja) * 2018-11-02 2020-05-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KR102719901B1 (ko) * 2018-11-02 2024-10-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곤포체
JP7685819B2 (ja) * 2019-09-20 2025-05-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CN111977195B (zh) * 2020-08-18 2024-11-22 湖北玥研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搬运辅助移动推车
CN114368622A (zh) * 2022-01-14 2022-04-19 青岛融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玻璃间隔纸褶皱的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7483A (ja) * 2010-03-29 2011-10-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US20130008820A1 (en) * 2011-07-07 2013-01-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assette for accommodating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639B1 (ko) * 2010-01-13 2017-08-31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및 수납체 및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운반 차량
KR20140015310A (ko) * 2011-01-25 2014-02-0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곤포 방법 및 곤포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07483A (ja) * 2010-03-29 2011-10-20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US20130008820A1 (en) * 2011-07-07 2013-01-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assette for accommodating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82488U (zh) 2019-08-21
CN210140069U (zh) 2020-03-13
JP3217035U (ja) 2018-07-12
KR20190002483U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8347Y1 (ko) 곤포체 및 곤포 용기
JP5382027B2 (ja) 板状体梱包箱及び板状体搬送方法
JP4911276B2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
TWI405699B (zh) 玻璃板捆包用集裝架以及玻璃板捆包體
CN1956899B (zh) 基板收纳容器、基板收纳体及基板输送装置
WO2009084605A1 (ja) 板状体収納容器
US20040195142A1 (en) Packing of thin glass sheets
KR101493533B1 (ko) 유리 시트의 패킹 컨테이너 및 선적 베이스
JP5131471B2 (ja) 板状体の梱包容器、及び板状体の積込装置、並びに板状体の輸送方法
WO2012102117A1 (ja) 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
JPWO2008010358A1 (ja) 板状体の収納方法及び収納装置
KR101931818B1 (ko) 곤포 용기, 곤포체 및 곤포 방법
JP2007153395A (ja) 大型板状体梱包箱
CN114502477A (zh) 玻璃板捆包体
KR20100091153A (ko) 유리판 곤포대
JP2006327641A (ja) 積重体及び基板収納体
JP2003200962A (ja) 樹脂枠付きガラス板の収納方法
EP1561666B1 (en) Product conveying/Storing device
JP2006327640A (ja) 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体
KR20170021447A (ko)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WO2022176605A1 (ja) 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開梱方法
WO2018008213A1 (ja) 梱包装置及び梱包方法
KR100823902B1 (ko) 판형상체 곤포 상자, 판형상체 반송 방법 및 판형상체적재·취출 방법
JPH09254926A (ja) 積層板材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3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1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