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95412B1 - 부품 정렬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정렬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95412B1
KR102695412B1 KR1020207030260A KR20207030260A KR102695412B1 KR 102695412 B1 KR102695412 B1 KR 102695412B1 KR 1020207030260 A KR1020207030260 A KR 1020207030260A KR 20207030260 A KR20207030260 A KR 20207030260A KR 102695412 B1 KR102695412 B1 KR 10269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mponent
passage
section
welding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460A (ko
Inventor
코우지 사코타
요시하루 호리우치
세이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세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4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54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4Welding of a small piece to a great or broad piece
    • B23K11/0046Welding of a small piece to a great or broad piece the extremity of a small piece being welded to a base, e.g. cooling studs or fins to tubes or plates
    • B23K11/0053Stud welding, i.e. resis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7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the articles being discharged or distributed to several distinct separate conveyors or to a broader conveyor 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8Chutes with discontinuous guiding surfaces, e.g. arranged in zigzag or cascade formation
    • B65G11/081Chutes with discontinuous guiding surfaces, e.g. arranged in zigzag or cascade formation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분기부에 스토퍼를 배치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부품을 합류시킨다. 판별분배부(5)가, 도입통로(21)와 분기부(4) 사이에서, 용접너트(3)가 정지한 상태에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여,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용접너트(3)를 제 1 분기통로(40a)로 보내며, 또,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용접너트(3)를 제 2 분기통로(40b)로 보내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부품 정렬 이송 장치
본 발명은 너트 등의 부품을 정렬 이송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정렬 이송 장치로서,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입통로, 도입통로로부터 2갈래로 분기되는 2개의 분기통로, 및 각 분기통로가 합류하는 배출통로를 구비한 부품 정렬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정렬 이송 장치에서는, 분기통로의 한쪽에 표면 방향의 부품을, 분기통로의 다른 쪽에 이면 방향의 부품을 각각 통과시키고, 배출통로에서 각각의 부품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통로의 하류부에 스토퍼를 배치하여 부품이 배출통로의 합류부에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7-31555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는, 스토퍼 핀을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 점수가 늘어나버려 유지 관리 등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분기되는 부분에 스토퍼 핀을 배치하지 않고, 원활하게 부품을 합류시키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공급된 복수의 부품 각각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내보내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로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도입통로와, 상기 도입통로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이 표면 방향인 상태로 통과하는 제 1 분기통로와, 상기 부품이 이면 방향인 상태로 통과하는 제 2 분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분기통로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분기통로와 상기 제 2 분기통로가 합류하는 합류부와, 상기 도입통로와 상기 분기부 사이에서, 상기 부품이 정지(靜止)한 상태에서 당해 부품이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며, 또,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당해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로 보내는 한편,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당해 부품을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보내는 판별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표면이 평탄한 표면부와, 이면이 평탄한 이면부와, 당해 이면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를 갖는 너트이고, 상기 판별분배부는,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이, 상기 부품의 통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당해 부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부품의 표면 또는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을 구비하며, 상기 부품의 이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 경우의,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의 제 1 거리와, 상기 부품의 표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 경우의,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이면부까지의 제 2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거리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로, 상기 제 2 거리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은, 상기 분기부에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제 1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18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림으로써, 상기 합류부에서 상기 분기부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은, 상기 분기부에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제 1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소정의 제 1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며, 또, 상기 제 2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의 회전 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고,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의 합이 180°가 됨으로써, 상기 합류부에서 상기 분기부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가 90°이며, 또, 상기 제 2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품이 정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품이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여,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부품을 제 1 분기통로로,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부품을 제 2 분기통로로 차례로 보낸다. 이로써, 상기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 또는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간헐적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합류부에서, 상기 각 부품끼리의 충돌이 억제되므로, 상기 분기부에 스토퍼 핀을 배치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상기 부품을 보낼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부품의 이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할 때, 상기 부품의 돌기 선단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다. 이로써,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부품의 상기 표면부까지의 제 1 거리는, 상기 부품의 상기 돌기를 포함하는 두께분의 치수이다. 한편,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부품의 표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할 때, 상기 부품의 평탄한 표면부가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다. 이로써,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부품의 상기 이면부까지의 제 2 거리는, 상기 부품의 상기 돌기를 제외한 두께분의 치수이다. 따라서, 상기 부품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거리와 상기 제 2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부품이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방향의 상기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로, 이면 방향의 상기 부품을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간헐적으로 보낼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상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하류 단부에서는 180° 회전 변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과, 상기 제 2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동일 방향으로 향해진다. 따라서, 상기 각 부품은, 상기 부품의 표면이 동일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합류부에서 합류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상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하류 단부에서는 소정의 제 1 각도로 회전 변위된다. 한편, 상기 제 2 분기통로의 상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하류 단부에서는, 상기 제 1 분기통로를 통과한 상기 부품이 회전 변위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로 회전 변위된다.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의 합은 180°이므로,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과, 상기 제 2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동일 방향으로 향해진다. 따라서, 상기 각 부품은, 상기 부품의 표면이 동일 방향을 향한 상태로 상기 합류부에서 합류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상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하류 단부에서는 90° 회전 변위된다. 한편, 상기 제 2 분기통로의 상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하류 단부에서는, 상기 제 1 분기통로를 통과한 상기 부품이 회전 변위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과, 상기 제 2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의 표면은 동일 방향으로 향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이 상기 제 1 분기통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상기 부품이 상기 제 2 분기통로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분기통로에 간헐적으로 보내진 상기 각 부품이 합류부에서 서로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렬 이송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정렬 이송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용접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입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판별분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표면 방향의 용접너트의 방향을 판별할 때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면 방향의 용접너트의 방향을 판별할 때의 도 7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표면 방향의 용접너트를 분배할 때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면 방향의 용접너트를 분배할 때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정렬 이송 장치-
정렬 이송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및 "후"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정렬 이송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정렬 이송 장치(1)는, 예를 들어 너트피더 등의 부품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구성된다. 정렬 이송 장치(1)의 상류측(상측)에는, 부품이 투입되는 투입슈트(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한편, 정렬 이송 장치(1)의 하류측(하측)에는, 워크에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헤드(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정렬 이송 장치(1)는, 투입슈트로부터 보내진 부품의 표면을, 소정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공급헤드로 정렬 이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정렬 이송되는 부품으로는, 예를 들어 용접너트(3)를 들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용접너트(3)는, 원반 형상이고 중심에 나사공(31)이 형성된다. 용접너트(3)의 표면인 표면부(3a)는 평탄면이다. 한편, 용접너트(3)의 이면은, 평탄한 이면부(3b)와, 이면부(3b)의 외주연 전체 둘레에 형성된 돌기(32)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 표면부(3a)가 전방으로 향해진 상태를 "표면 방향", 이면부(3b)가 전방으로 향해진 상태를 "이면 방향"으로 한다.
정렬 이송 장치(1)는, 도입부재(2), 분기부(4), 및 판별분배부(5)를 구비한다.
〈도입부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부재(2)는,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육면체의 부재이다. 도입부재(2)의 상류측 단부는, 용접너트(3)가 투입되는 투입슈트에 접속된다. 즉, 도입부재(2)는, 투입슈트에 투입된 용접너트(3)가 자유낙하에 의해 도입부재(2)의 내부를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보내지도록 구성된다. 도입부재(2)는, 도입통로(21), 노치부(23), 및 출구부(25)를 구비한다.
도입통로(21)는,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도입통로(2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부재(2)의 앞쪽 위치에서,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형성된다.
도입통로(21)는,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입통로(21)의 횡단면 형상은, 장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단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두께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입통로(21)의 횡단면은, 장변이 좌우 방향으로, 단변이 전후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입통로(21)는, 용접너트(3)의 표면부(3a) 및 이면부(3b)가,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노치부(23)는, 도입통로(21)의 하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노치부(23)는, 도입부재(2)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도입통로(21)의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노치부(23)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용접너트(3)의 외경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다.
노치부(23)에는, 판별분배부(5)의 일부를 구성하는 분배부재(27)가 감합된다. 분배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출구부(25)는, 노치부(23)의 하단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출구부(25)는, 제 1 출구(25a)와 제 2 출구(25b)를 구비한다. 제 1 출구(25a)와 제 2 출구(25b)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제 1 출구(25a)는, 제 2 출구(25b)의 좌측에 위치한다. 제 1 출구(25a)와 제 2 출구(25b) 사이에는 격벽(37)이 형성된다. 각 출구(25a, 25b)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는, 도입통로(21)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용접너트(3)를 하방으로 보내기 쉽도록, 각 출구(25a, 25b)의 내벽에, 하방을 향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을 배치하여도 된다.
〈분기부〉
분기부(4)는, 도입통로(21)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분기부(4)는, 제 1 분기통로(40a)를 구성하는 제 1 스파이럴슈트(41a) 및 제 1 배출통로(60a)와, 제 2 분기통로(40b)를 구성하는 제 2 스파이럴슈트(41b) 및 제 2 배출통로(60b)를 구비한다.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제 1 접속관부(43a)에 의해 제 1 출구(25a)와 연통하도록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속관부(43a)는, 상단부가 제 1 출구(25a)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제 1 스파이럴슈트(41a)에 삽입된다.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가요성을 갖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튜브이다.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단면 형상은, 장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단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두께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상단부에서는, 장변이 좌우 방향으로, 단변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하단부가,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린 상태로 배출부재(6)에 고정된다. 즉,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하단부에서는, 장변이 전후 방향으로, 단변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제 2 접속관부(43b)에 의해 제 2 출구(25b)와 연통하도록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접속관부(43b)는, 상단부가 제 2 출구(25b)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제 2 스파이럴슈트(41b)에 삽입된다.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가요성을 갖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튜브이다. 제 2 스파이럴슈트(41b)의 단면 형상은, 장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단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두께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상단부에서는, 장변이 좌우 방향으로, 단변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하단부가,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을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시계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린 상태로 배출부재(6)에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회전 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린다. 즉,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하단부에서는, 장변이 전후 방향으로, 단변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배출통로(60a) 및 제 2 배출통로(60b)는, 배출부재(6)에 형성된다.
배출부재(6)는, 분기부(4)의 하류측에 구성되어, 공급헤드로 용접너트(3)를 보낸다. 배출부재(6)는, 대략 "Y"자형으로 형성된 배출통로(60)를 내부에 구비한다. 배출통로(60)에는, 제 1 배출통로(60a), 제 2 배출통로(60b), 합류통로(61), 및 합류부(63)가 형성된다. 배출통로(60)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이고, 장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외경보다 약간 크고, 단변의 치수가 용접너트(3)의 두께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된다. 배출통로(60)의 단면은, 장변이 전후 방향으로, 단변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배출통로(60a)와 제 2 배출통로(60b)는, 배출부재(6)의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간부에 걸쳐 병렬로 형성된다. 제 1 배출통로(60a)와 제 2 배출통로(60b)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제 1 배출통로(60a)는 제 2 배출통로(60b)의 앞쪽에 위치한다.
제 1 배출통로(60a)의 상단부에는,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제 1 배출통로(60a)는, 제 1 스파이럴슈트(41a)와 함께 제 1 분기통로(40a)를 구성한다. 제 1 배출통로(60a)는, 비틀리지 않고, 제 1 스파이럴슈트(41a)로부터 보내진 용접너트(3)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당해 용접너트(3)를 통과시킨다.
한편, 제 2 배출통로(60b)의 상단부에는, 제 2 스파이럴슈트(41b)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제 2 배출통로(60b)는, 제 2 스파이럴슈트(41b)와 함께 제 2 분기통로(40b)를 구성한다. 제 2 배출통로(60b)는, 비틀리지 않고, 제 2 스파이럴슈트(41b)로부터 보내진 용접너트(3)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당해 용접너트(3)를 통과시킨다.
제 1 배출통로(60a)와 제 2 배출통로(60b)는, 배출부재(6)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는 합류부(63)에서 합류한다. 즉, 제 1 분기통로(40a)와 제 2 분기통로(40b)는 합류부(63)에서 합류한다. 배출통로(60)에서의 합류부(63)의 하류측에는, 합류통로(61)가 연장된다.
<판별분배부>
판별분배부(5)는, 용접너트(3)가 정지한 상태에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한다. 판별분배부(5)는, 표면 방향의 용접너트(3)를 제 1 스파이럴슈트(41a)로 보내는 한편, 이면 방향의 용접너트(3)를 제 2 스파이럴슈트(41b)로 보낸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별분배부는, 분배부재(27)와 판별부재(8)를 구비한다.
분배부재(27)는, 노치부(23)에 배치된다. 분배부재(27)의 외형 치수는, 노치부(23)와 대략 동일하다. 분배부재(27)는, 전면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29)를 구비한다. 분배부재(27)는, 액추에이터(28)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29)는, 도입통로(21)와 좌우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연통한다. 홈부(29)에는, 도입통로(21)를 통과한 용접너트(3)가 수용된다. 홈부(29)는, 용접너트(3)를 표면부(3a) 및 이면부(3b)가 전후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유지된다. 즉, 홈부(29)는, 용접너트(3)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홈부(29)의 저면(35)은, 용접너트(3)의 표면부(3a) 또는 돌기(32)와 당접하는 당접면이다.
분배부재(27)는, 판별부재(8)에 의해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용접너트(3)를 제 1 출구(25a)로 분배하며 또,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용접너트(3)를 제 2 출구(25b)로 분배한다. 분배부재(27)의 분배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별부재(8)는, 도입부재(2)의 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판별부재(8)는, 노치부(23)의 앞쪽에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선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81)를 구비한 실린더(80)와 판정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판별부재(8)는, 분배부재(27)의 홈부(29)에서 정지 상태인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한다. 판별부재(8)는, 용접너트(3)의 돌기(32)가 저면(35)에 당접한 경우의, 저면(35)으로부터 표면부(3a)까지의 제 1 거리와, 용접너트(3)의 표면부(3a)가 저면(35)에 당접한 경우의, 저면(35)으로부터 이면부(3b)까지의 제 2 거리를 검출하고, 제 1 거리와 제 2 거리의 차이에 의해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80)는, 본체부(83)와 본체부(83)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81)를 구비한다. 신축부(81)는, 삽입부(85)와 누름부(87)를 구비한다. 삽입부(85)는, 신축부(81)의 선단부를 구성한다. 삽입부(8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85)의 외경은, 용접너트(3)의 나사공(31) 내경보다 작다. 삽입부(85)의 길이 치수는, 용접너트(3)의 두께보다 작다. 누름부(87)는, 삽입부(85)에 인접한다. 누름부(8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부(87)의 외경은, 용접너트(3)의 나사공(31) 내경보다 크고, 돌기(32) 내경보다 작다.
도 8은, 표면 방향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린더(80)는, 용접너트(3)가 홈부(29)에 수용됐을 때, 신축부(81)가 후방을 향해 신장된다. 삽입부(85)는, 신축부(81)가 신장되면, 나사공(31)에 삽입된다. 또한, 누름부(87)는, 용접너트(3)의 표면부(3a)에 당접하여, 용접너트(3)의 이면을 저면(35)에 누른다. 이때, 용접너트(3) 이면의 돌기(32)가 저면(35)에 당접하므로, 저면(35)으로부터 표면부(3a)까지의 제 1 거리는, 돌기(32)의 높이를 포함하는 용접너트(3)의 두께와 동등해진다.
한편, 도 9는, 이면 방향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삽입부(85)는, 신축부(81)가 신장되면, 나사공(31)에 삽입된다. 또한, 누름부(87)는, 용접너트(3)의 이면부(3b)에 당접하여, 용접너트(3)의 표면부(3a)를 저면(35)에 누른다. 이때, 용접너트(3)의 평탄한 표면부(3a)가 저면(35)에 당접하므로, 저면(35)으로부터 이면부(3b)까지의 제 2 거리는, 돌기(32)의 높이를 제외한 용접너트(3)의 두께와 동등해진다.
이와 같이,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 경우와 이면 방향인 경우에 따라, 저면(35)으로부터 표면부(3a)까지의 제 1 거리와, 저면(35)으로부터 이면부(3b)까지의 제 2 거리는 상이하다. 따라서, 용접너트(3)의 방향에 따라, 신축부(81)의 신축량이 상이하다. 판정부는, 예를 들어, 신축부(81)의 신축량을 검출함으로써,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한다.
-용접너트의 정렬 이송-
다음으로, 정렬 이송 장치(1)에서의 용접너트(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슈트로부터 보내진 용접너트(3)는, 도입통로(21) 내를 표리 방향이 특정되지 않고 자유낙하에 의해 통과한다. 즉, 도입통로(21) 내에서는, 표면 방향의 용접너트(3)와 이면 방향의 용접너트(3)가 혼재한다.
도입통로(21)를 통과한 용접너트(3)는, 분배부재(27)의 홈부(29) 내에 유지된다. 이때, 홈부(29)의 하측에는 격벽(37)이 있으므로, 자유낙하한 용접너트(3)는, 격벽(37)에 지지되어 정지한다.
용접너트(3)가 홈부(29)에 수용됐을 때, 실린더(80)가 작동하여, 상기 방법으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한다.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일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8)는, 분배부재(27)를, 홈부(29)와 제 1 출구(25a)와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좌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용접너트(3)는, 제 1 출구(25a)에 보내져 자유낙하에 의해 제 1 분기통로(40a)를 통과한다.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하단부가,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므로, 표면 방향의 용접너트(3)는, 제 1 스파이럴슈트(41a)를 통과하면, 제 1 배출통로(60a)에서는, 표면부(3a)가 우측으로, 이면부(3b)가 좌측으로 향해진다. 용접너트(3)는, 표면부(3a)가 우측으로, 이면부(3b)가 좌측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합류부(63)로 보내진다.
한편, 용접너트(3)가 이면 방향일 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28)는, 분배부재(27)를, 홈부(29)와 제 2 출구(25b)와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용접너트(3)는, 제 2 출구(25b)에 보내져 자유낙하에 의해 제 2 분기통로(40b)를 통과한다.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하단부가,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시계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므로, 이면 방향의 용접너트(3)는, 제 2 스파이럴슈트(41b)를 통과하면, 제 2 배출통로(60b)에서는, 표면부(3a)가 우측으로, 이면부(3b)가 좌측으로 향해진다. 용접너트(3)는, 표면부(3a)가 우측으로, 이면부(3b)가 좌측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합류부(63)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용접너트(3)는, 분기부(4)를 통과하면 동일 방향으로 향해진다. 합류통로(61)로 정렬 이송된 용접너트(3)는, 도시하지 않는 공급헤드로 보내진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품으로서의 용접너트(3)가 정지된 상태에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여,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용접너트(3)를 제 1 분기통로(40a)로,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된 용접너트(3)를 제 2 분기통로(40b)로 차례로 보낸다. 이로써, 용접너트(3)를 제 1 분기통로(40a) 또는 제 2 분기통로(40b)로 간헐적으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합류부(63)에서, 용접너트(3)끼리의 충돌이 억제되므로, 분기부(4)에 스토퍼 핀을 배치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부품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판별분배부(5)는, 도입통로(21)와 분기부(4)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29)에서 용접너트(3)의 표면 방향과 이면 방향을 판별한다. 따라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용접너트(3)를 별도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용접너트(3)의 이면이, 저면(35)과 당접할 때, 저면(35)은 용접너트(3)의 돌기(32) 선단과 당접한다. 따라서, 저면(35)으로부터 표면부(3a)까지의 제 1 거리는, 용접너트(3)의 돌기(32)를 포함하는 두께분의 치수이다. 한편, 용접너트(3)의 표면부(3a)가, 저면(35)과 당접할 때, 저면(35)으로부터 이면부(3b)까지의 제 2 거리는, 용접너트(3)의 돌기(32)를 제외한 두께분의 치수이다. 따라서, 제 1 거리와 제 2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용접너트(3)가 정지된 상태에서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분기통로(40a)의 제 1 스파이럴슈트(41a)는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린다. 한편, 제 2 분기통로(40b)의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용접너트(3)가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회전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린다. 즉, 제 1 스파이럴슈트(41a)와 제 2 스파이럴슈트(41b)는, 회전 변위량이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비틀린다. 이로써, 용접너트(3)가 제 1 분기통로(40a)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용접너트(3)가 제 2 분기통로(40b)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부(4)에 간헐적으로 보내진 복수의 용접너트(3)가 동시에 합류부(63)에 보내져, 용접너트(3)끼리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스파이럴슈트만이 크게 비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스파이럴슈트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슈트를 배치하는 공간이 작은 경우에도 제 1 스파이럴슈트(41a) 및 제 2 스파이럴슈트(41b)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품으로서, 표면부(3a)가 평탄면이며 또, 이면부(3b)의 외주연 전체 둘레에 돌기(32)가 형성된 용접너트(3)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는 부품의 이면 외주연에 단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돌기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판별부재(8)로서, 실린더(80)를 구비하고, 저면(35)으로부터 용접너트(3) 표면부(3a)까지의 제 1 거리와 저면(35)으로부터 용접너트(3) 이면부(3b)까지의 제 2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용접너트(3)가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재(8)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별부재로는, 예를 들어, 화상센서, 광센서, 음파센서, 근접센서 등을 이용하여도 되고, 여러 가지 판별 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하단부는,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고, 제 2 스파이럴슈트(41b)의 하단부는, 위에서 보아, 제 1 스파이럴슈트(41a)의 하단부의 회전 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렸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쪽의 스파이럴슈트는 비틀리지 않고, 다른 쪽의 스파이럴슈트의 하단부가,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18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려도 된다. 또한, 한쪽의 스파이럴슈트의 하단부는,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소정의 제 1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고, 다른 쪽의 스파이럴슈트의 하단부는, 위에서 보아, 상단부와 비교하여, 일방의 스파이럴슈트의 하단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고, 제 1 각도와 제 2 각도의 합이 180°가 되어도 된다. 즉, 각 스파이럴슈트가 비틀리는 각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분기통로(40a)를, 제 1 스파이럴슈트(41a) 및 제 1 배출통로(60a)에 의해 구성하고, 제 2 분기통로(40b)를, 제 2 스파이럴슈트(41b) 및 제 2 배출통로(60b)에 의해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분기통로를 단일 부재로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너트 등의 부품을 정렬 이송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에 유용하다.
1 : 정렬 이송 장치
3 : 용접너트(부품)
3a : 표면부
3b : 이면부
4 : 분기부
5 : 판별분배부
21 : 도입통로
29 : 홈부(유지부)
32 : 돌기
35 : 저면(당접면)
40a : 제 1 분기통로
40b : 제 2 분기통로
63 : 합류부

Claims (5)

  1. 공급된 복수의 부품 각각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내보내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로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도입통로와,
    상기 도입통로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이 표면 방향인 상태로 통과하는 제 1 분기통로와, 당해 부품이 이면 방향인 상태로 통과하는 제 2 분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분기통로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분기부와,
    상기 분기부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분기통로와 상기 제 2 분기통로가 합류하는 합류부와,
    상기 도입통로와 상기 분기부 사이에서, 상기 부품이 정지한 상태에서 당해 부품이 표면 방향인지 이면 방향인지를 판별하며, 또, 표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당해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로 보내는 한편, 이면 방향인 것으로 판별한 당해 부품을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보내며, 또, 상기 제 1 분기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과 상기 제 2 분기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부품이 상기 합류부에서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부품을 상기 분기부에 간헐적으로 보내는 판별분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표면이 평탄한 표면부와, 이면이 평탄한 이면부와 당해 이면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를 갖는 너트이고,
    상기 판별분배부는,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이, 상기 부품의 통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로 당해 부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부품의 표면 또는 이면과 당접하는 당접면을 구비하며, 상기 부품의 이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 경우의,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표면부까지의 제 1 거리와, 상기 부품의 표면이 상기 당접면에 당접한 경우의, 상기 당접면으로부터 상기 이면부까지의 제 2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거리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제 1 분기통로로, 상기 제 2 거리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부품을 상기 제 2 분기통로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은, 상기 분기부에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제 1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180°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림으로써, 상기 합류부에서 상기 분기부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의 표면 및 이면은, 상기 분기부에서,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지고,
    상기 분기부는,
    상기 제 1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소정의 제 1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며, 또,
    상기 제 2 분기통로가, 상기 부품이 통과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보아,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분기통로의 하류측 단부의 회전 변위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제 2 각도로 회전 변위되도록 비틀리고,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의 합이 180°가 됨으로써, 상기 합류부에서 상기 분기부를 통과한 상기 각 부품의 표면을 동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가 90°이며, 또, 상기 제 2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이송 장치.
KR1020207030260A 2018-04-11 2019-04-05 부품 정렬 이송 장치 Active KR102695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6024A JP6629380B2 (ja) 2018-04-11 2018-04-11 部品整送装置
JPJP-P-2018-076024 2018-04-11
PCT/JP2019/015174 WO2019198643A1 (ja) 2018-04-11 2019-04-05 部品整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60A KR20200141460A (ko) 2020-12-18
KR102695412B1 true KR102695412B1 (ko) 2024-08-16

Family

ID=6816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60A Active KR102695412B1 (ko) 2018-04-11 2019-04-05 부품 정렬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7753B2 (ko)
EP (1) EP3760558B1 (ko)
JP (1) JP6629380B2 (ko)
KR (1) KR102695412B1 (ko)
CN (1) CN111954633A (ko)
WO (1) WO2019198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3148B (zh) * 2020-11-23 2022-05-10 江苏科技大学 一种虎钳毛坯立体仓储装置
TWI792690B (zh) * 2021-11-17 2023-02-11 威光自動化科技股份有限公司 彈匣式鎖螺絲機
TWI792691B (zh) * 2021-11-17 2023-02-11 威光自動化科技股份有限公司 彈匣式鎖螺絲機
US20240059499A1 (en) * 2022-08-17 2024-02-22 Innovation Associates, Inc. Pneumatic conveyance jet diver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4972A (ja) * 2012-01-27 2013-08-15 Honda Motor Co Ltd ナット供給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857A (en) * 1964-07-09 1965-12-07 Holstein & Kappert Maschf Apparatus for orienting bottle caps and the like
US3823803A (en) * 1972-12-26 1974-07-16 Multifastener Corp Nut transfer and orienting device
JPS58919B2 (ja) * 1973-09-14 1983-01-08 マツナカ シゲオ ヒヨウリヒタイシヨウブツピン ノ ヒヨウリケンシユツソウチ
US3908859A (en) * 1974-01-31 1975-09-30 S J Agnew Agnew Environmental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US4033441A (en) * 1975-06-16 1977-07-05 Aluminum Company Of America Merging or blending techniques for small parts
JPS552878U (ko) * 1979-04-23 1980-01-10
US4265356A (en) * 1979-08-20 1981-05-05 The Lodge & Shipley Company Apparatus for combining articles from plural lanes into a single lane
JP2805073B2 (ja) * 1989-01-23 1998-09-30 株式会社木村電熔機製作所 ナット分別装置
JPH0616225A (ja) * 1991-09-07 1994-01-25 Taiyo Yuden Co Ltd 部品表裏選別整列供給装置
JPH07315554A (ja) * 1994-05-24 1995-12-05 Shinjiyou Seisakusho:Kk 部品の高速整送装置
US5394973A (en) * 1994-06-06 1995-03-07 Micron Technology, Inc. Sorte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JP4185635B2 (ja) * 1999-09-24 2008-11-26 セキ工業株式会社 ナット抵抗溶接用ナット供給装置
US7559435B2 (en) * 2003-09-16 2009-07-14 Seki Kogyo Co., Ltd. Nut feeder
JP4315989B2 (ja) * 2007-04-03 2009-08-19 セキ工業株式会社 ナット供給方法及びナット供給装置
CN104003157B (zh) * 2014-05-22 2016-03-23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翻转输送装置
CN104828760B (zh) * 2015-04-30 2018-01-09 泉州华硕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上底盖机
CN206871926U (zh) * 2017-05-26 2018-01-12 海宁上通优必胜轴承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套圈的送料装置
PL3498639T3 (pl) * 2017-12-14 2020-11-16 BEUMER Group GmbH & Co. KG Urządzenie do łączenia dwóch strumieni drobnicy usytuowanych na różnych wysokościa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4972A (ja) * 2012-01-27 2013-08-15 Honda Motor Co Ltd ナット供給装置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643A1 (ja) 2019-10-17
KR20200141460A (ko) 2020-12-18
JP2019182608A (ja) 2019-10-24
CN111954633A (zh) 2020-11-17
EP3760558A4 (en) 2021-04-28
EP3760558A1 (en) 2021-01-06
US20210016403A1 (en) 2021-01-21
EP3760558B1 (en) 2023-07-19
JP6629380B2 (ja) 2020-01-15
US11117753B2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95412B1 (ko) 부품 정렬 이송 장치
US20090041562A1 (en) Part-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08105058A (ja) 溶接機用ナットフィーダ
US10053849B2 (en) Flush toilet
CN107848056B (zh) 焊炬
TW201607866A (zh) 振動式零件搬送裝置
CN103770014B (zh) 湿式喷砂用喷枪
JP4441795B2 (ja) 部品供給管支持装置
JP2014159335A (ja) 部品送給通路構造
JP2010024050A (ja) フランジ付き部品の供給制御装置および通路構造
JP5758621B2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2017113777A (ja) スタッド溶接機におけるスタッドの保留、排出装置
JP2007186341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ナット用パーツフィーダ
JP4239098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ナット用パーツフィーダおよび分離方法
JP2008087911A (ja) ナットフィーダ
JP2010095370A (ja) クリップ搬送装置
JP2010001154A (ja) 部品の分配供給装置および分配供給方法
JP2010076092A (ja) 部品供給管支持装置
JPH11301850A (ja) バルクフィーダ
JP2014210649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5412567B1 (ja) 湿式ブラスト用噴射ガン
KR101508280B1 (ko) 나사 공급 장치
JP6580843B2 (ja) 粉粒体のエジェクター構造
JP2007001756A (ja) コネクタ供給装置
JP2009286598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