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1673B1 -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 Google Patents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73B1
KR102661673B1 KR1020230084881A KR20230084881A KR102661673B1 KR 102661673 B1 KR102661673 B1 KR 102661673B1 KR 1020230084881 A KR1020230084881 A KR 1020230084881A KR 20230084881 A KR20230084881 A KR 20230084881A KR 102661673 B1 KR102661673 B1 KR 10266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rotrusion
defecation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현민
Original Assignee
오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민 filed Critical 오현민
Priority to KR102023008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의하면,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형 구조 등의 배변판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이 편안함을 느끼면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대에 의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본체에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배변로에 결합된 패드 고정대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litter board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fixing the litt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ing in a matrix structure, a litter path formed between the blocks, and an erection that surrounds the blocks and the waste path to form a perimeter. A body with walls; The defecation pad seated on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d fixer including a top plate and a protrusion that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fec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litter board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fixing the litt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ts that are not adapted to the litter board, such as a flat structure equipped with a block and a litter path, can perform bowel movements while feeling comfortable. In addition to providing an environment,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ly and stably fixing the defecation pad to the main body by the pad holder that fixes the defecation pad, and provides a basis for conveniently separating the pad holder attached to the defecation passage. It has a possible effect.

Description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본 발명은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 구조로 이루어진 배변판 본체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을 위하여 배변판 본체 상에 소변을 흡수하는 배변 패드를 안착한 다음 이를 통해 소변을 보게 하되 배변 패드가 안정적으로 배변판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ter board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fixing a litter pa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ter board for companion animals that is capable of fixing a litter pa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ter box for pets that are not adapted to the flat structure of the litter box body having blocks and a toilet channel. It relates to a defecation plate that includes a pad holder for seating a defecation pad that absorbs urine and then urinating through it, while allowing the defecation pad to be stably fixed to the defecation plate main body.

반려동물 특히 애완견용 배변판은 애완견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중 대변은 상부에 위치시키고 소변은 하부로 거르거나 이동시키는 구조체를 의미한다.A litter box for pets, especially for dogs, is a structure that provides a toilet space where the dog can come up and defecate, and also places feces at the top and filters or moves urine to the bottom during defecation.

이러한 배변판은 본체에서 탈착 가능한 네트를 매개로 네트 상에 대변을 안착시키고 네트 아래로 빠진 소변을 임시로 저장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These defecation plates were generally structured to seat feces on the net using a net that wa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to temporarily store urine that fell under the net.

한편, 본 출원인의 특허인 국내 특허 제 1675032호인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 상기 블록 사이에서 상기 블록보다 좁은 폭과 너비로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블록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배변로; 둘레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된 벽체;로 구성되어. 상기 블록의 상면에 반려동물이 안착하고 상기 배변로에 반려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Meanwhile, the applicant's patent, Domestic Patent No. 1675032, includes a litter board for companion animals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blocks; A toilet path is formed between the blocks and has a width narrower than that of the blocks, and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floor surf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blocks; It consists of a wall formed at a certain height along the perimeter. A structure is proposed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and the companion animal's excrement can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toilet passag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기존 배변판에 비하여 청소 및 운반,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of cleaning,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compared to existing litter boards,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그런데 상술한 특허에 의한 배변판은 물론 공지의 배변판에 올라가지 않으려는 반려동물이 있을 수 있고 행여 올라갔다고 하여도 상술한 특허의 블록이나 공지의 배변판의 네트에 의하여 바닥에서 전달되는 이물감으로 제대로 배변하지 못하는 반려동물이 존재할 개연성이 따른다.However, there may be pets that do not want to climb on the litter tray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as well as the known litter tray, and even if they do climb on it, they do not feel properly safe due to the foreign body sensation transmitted from the floor by the block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or the net of the known litter tr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are companion animals that cannot defecate.

따라서, 배변판에서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때까지 배변 패드를 배변판 본체에 안착하여 사용하면서 배변 훈련을 병행하되 배변판 본체에서 배변 패드가 흔들리거나 불필요한 유동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배변 패드의 제거 역시 간편한 구조를 가진 신규하고 진보한 배변판을 개발할 필요성이 따르는 실정이다.Therefore, toilet training is carried out in parallel by using the toilet pad seated on the toilet board body until the toilet activity can be performed smoothly on the toilet board, but the toilet pad can be firmly and stably fixed in the toilet board body without shaking or unnecessary movement. Of course, the removal of the defecation pad also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new and advanced defecation board with a simple structure.

국내 특허 제 1675032호Domestic Patent No. 1675032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에 소변을 흡수하는 배변 패드를 안착한 다음 이를 통해 소변을 보게 하면서 배변판에 반려동물을 적응시키거나 배변 훈련을 수행하되 배변 패드가 안정적으로 배변판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배변판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by placing a urine-absorbing toilet pad on a main body made of a flat structure with a block and a toilet channel, and then allowing the pet to urinate through the toilet pad to adapt the pet to the litter box.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toilet plate including a pad holder that allows the toilet pad to be stably fixed to the toilet plate body while performing toilet trai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을 통해 패드 고정대를 본체에 편리하게 탈착하거나 소변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convenient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pad holder to the main body or identifying urine through the top plate of the pad hol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이 돌기와 함께 매몰되거나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판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top plate while preventing it from being buried or coalesced with protrusion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변로에 돌기가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스토퍼나 서브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pper or sub-stopper whose protrusions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defecation pass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tter board for pets capable of fixing a litt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ing in a matrix structure and a litter path formed between the blocks, and surrounding the blocks and the litter path. a main body with walls standing up to form a perimeter; The defecation pad seated on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d fixer including a top plate and a protrusion that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fecation passage.

또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mbossed block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protrude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더불어, 상기 상판의 표면은, 상기 돌기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unded convexly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consists of a protruding convex portion, with a coefficient of friction great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추가적으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돌기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is formed in plural piec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includes stoppers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litter plate for companion animals capable of fixing the litter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형 구조 등의 배변판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이 편안함을 느끼면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대에 의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본체에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1) It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pets that are not accustomed to a flat litter box with a block and a litter box can do bowel movements while feeling comfortable, and the pad holder that secures the litter pad provides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It has the advantage of stably fixing the toilet pad to the main body,

2) 배변로에 결합된 패드 고정대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으며,2) It can provide a base for conveniently separating the pad holder attached to the toilet.

3) 배변로에 돌기가 결합되면서 상판이 본체에 유착되거나 매몰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Not only can it effectively prevent the problem of the upper plate adhering to or being buried in the main body as the protrusions are combined with the toilet passage.

4) 돌기가 배변로에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세부 수단을 제공하여 패드 고정대가 본체에서 불필요한 유동성 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4) By providing a variety of detailed means for the protrusion to be closely coupled to the toilet passage, the pad fixture provides the effect of allowing unnecessary fluidity to be more stably fixed in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와 배변 패드를 본체에 고정한 패드 고정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패드 고정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에 형성된 엠보싱 블록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패드 고정대의 상판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패드 고정대의 볼록부와 저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패드 고정대에 형성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패드 고정대의 돌기의 세부 구조 및 서브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d fixer fixing the defecation pad to the main bod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ad fixture.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ssing block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pad fixtur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pad fixtur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nvex portion and bottom of the pad fixtur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formed on the pad fixtur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otrusion of the pad fixture and the sub stopp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와 배변 패드를 본체에 고정한 패드 고정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d fixer for fixing the defecation pad to the main body.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변판은 본체(10)와 패드 고정대(1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toile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including a main body 10 and a pad fixer 100.

우선 본체(10)는 본 출원인이 특허를 받은 한국 등록 특허 제 1675032호와 같이 공지의 배변판에서 대변을 받치는 네트를 없앤 구조로서, 행렬 구조의 요철 패턴, 즉 블록(12)과 배변로(13)를 형성한 다음 이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블록(12)과 배변로(13)를 감싸도록 둘레를 따라 기립 형성된 벽체(1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First, the main body 1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net supporting feces is removed from a known defecation plate, as in Korean Patent No. 1675032,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has an uneven pattern of a matrix structure, that is, a block 12 and a defecation path 13. ) is formed, and then a wall 1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o surround the block 12 forming this uneven pattern and the toilet passage 13.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공지의 배변판의 문제, 즉 네트 및 본체(10)를 일일이 옮기거나 네트를 분리하여 청소할 필요 없이 블록(12)과 배변로(13)가 일체적인 단일 유닛으로 형성된 본체(10)만 청소하면 될 뿐 아니라 네트를 가진 공지의 배변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게도 가볍고 제작단가도 절감되면서 배변을 처리하기에도 편리하다는 특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block (12) and the toilet passage (13) are formed as an integrated single unit without the need to individually move the net and the main body (10) or separate the net for cleaning, which is a problem with known defecation plates. ) Not only does it need to be cleaned, but it is also relatively light in weight compared to known litter boards with a net, reduces manufacturing costs, and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for handling bowel movements.

도 2는 패드 고정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ad fixture.

도 1 및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패드 고정대(100)는 배변 패드(20)를 상술한 본체(10)의 표면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s 1 and 2, the pad fix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unction of fixing the defecation pad 20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described above.

즉, 반려동물 중에서 아직 본체(10)에서 소변을 보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개연성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본체(10)의 사용 초기에는 본체에 배변 패드(20)를 안착하여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하면서 본체(10)에 올라가는 것을 훈련한 다음, 이러한 훈련 과정을 거치면서 본체(10)에 익숙해지면 배변 패드(20) 없이도 본체(10) 상에서 반려동물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some pets are not yet accustomed to urinating in the main body 10, so at the beginning of use of the main body 10, the toilet pad 20 is placed on the main body and the pet is allowed to urinate through this. After training the pet to climb on the main body 10, if it gets us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is training process, the pet can urinate on the main body 10 without the toilet pad 20.

이때, 배변 패드(20)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사각 사이즈로 이루어진 공지의 반려동물 전용 패드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defecation pad 20 refers to a known pet pad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urine and made of various square siz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et.

이같이 배변 패드(20)를 본체(10)에 안착하였을 때 본체(10)가 올라간 반려동물의 움직임에도 배변 패드(20)가 움직이지 않고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패드 고정대(100)를 제공한다.In this way, when the defecation pad 20 is seated on the main body 1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d so that the defecation pad 20 can be stably fixed to the main body 10 without moving even when the pet moves up the main body 10. A fixture 100 is provided.

즉, 패드 고정대(100)는 본체(10)에 안착된 배변 패드(20)를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배변 패드(20)를 압박하면서 본체(10)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 배변로(13)에 탈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hat is, the pad fixer 100 fixes the defecation pad 20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 the groov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while pressing the defecation pad 20. A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oilet passage (13) is provided.

구체적으로, 패드 고정대(100)는 상판(110)과 돌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pad holder 100 is based on including a top plate 110 and a protrusion 120.

상판(11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체적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돌기(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제공하고, 돌기(120)는 상판의 저면에서 일정 길이, 즉 배변로(13)의 깊이에 상응하거나 약간 더 긴 깊이(길이)로 연장된 구조체이다.The top plate 110 not only provides a volume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but also serves as a support base capable of supporting the projections 120, and the projections 120 have a certain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hat is, a bowel movement path ( It is a structure that extends to a depth (length) equivalent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depth of 13).

즉, 사용자가 본체(10) 상에 배변 패드(20)을 안착한 다음 도 1과 같이 배변 패드(20)의 일 측(테두리 주변 부위)에 패드 고정대(100)를 압박하면 배변 패드(20)의 해당 부위가 본체(10)의 배변로(13) 내부로 돌기(120)에 의해 눌리면서 결과적으로 배변 패드(20)가 본체(10)에 고정된다.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defecation pad 20 on the main body 10 and then presses the pad holder 100 on one side (the area around the border) of the defecation pad 20 as shown in FIG. 1, the defecation pad 20 As the corresponding part is pressed into the defecation passage 13 of the main body 10 by the protrusion 120, the defecation pad 20 is consequently fixed to the main body 10.

이때, 패드 고정대(100)가 2개로 구비되어 배변 패드(20)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have two pad fixers 100 to fix both sides of the defecation pad 20.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배변 패드(20)에 반려동물이 소변을 본 다음 사용자는 상판(110)을 잡으면서 돌기를 배변로(13)에서 분리하여 배변 패드(20)를 수거한 다음 행여 소변이 묻었을 때 본체와 패드 고정대(100)를 씻을 수 있다.After the pet urinates on the defecation pad (20) stably fixed to the main body (10), the user holds the upper plate (110) and separates the protrusion from the defecation path (13) to collect the defecation pad (20). If urine gets on the body, you can wash the main body and the pad holder (100).

정리하면, 본 발명의 배변판은 공지의 배변판에 비하여 청소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본체(10)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본체(10)에 적응되지 않은 반려동물의 소변 훈련 및 적응을 위하여 본체(10)에 배변 패드(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패드 고정대(100)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의 소변 훈련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In summary, the litter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10) that provides convenience for cleaning and management compared to known litter trays, and also provides a main body (10) for urine training and adaptation of pets that are not adapted to this main body (10). A pad holder 100 that can stably fix and detach the litter pad 20 is provided at (10), providing a featur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for urine training of a pet.

도 3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에 형성된 엠보싱 블록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ssing block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pad fixture.

도 3을 참조하면, 패드 고정대(100)의 상판(110)에는 상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111)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plate 110 of the pad holder 100 has a plurality of embossing blocks 111 protruding up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110. It can be seen that this was formed.

이러한 엠보싱 블록(111)는 상판(110)의 표면에서 너무 높지 않게 돌출된 블록(12) 형상의 구조로서,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판(110) 표면보다 거친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엠보싱 돌기 사이에 끼웠을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패드 고정대(100)를 안정적으로 잡으면서 본체(10)에 고정된 패드 고정대(100)를 어렵지 않게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This embossing block 111 is a block 12-shaped structure that protrudes not too high from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and may have rougher characteristics tha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on which no embossing protrusions are formed, thus preventing the user's fingers.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pad holder 100 without slipping the fingers when inserted between the embossing protrusions, and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easily separate the pad holder 100 fixed to the main body 10.

즉, 만일 미끄러운 상판(110)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패드 고정대(100)의 돌기(120)가 배변로(13)에 너무 타이트하게 고정되거나 배변로(13)에 깊숙이 고정될 경우 패드 고정대(100)를 쉽사리 본체(10)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엠보싱 블록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판(110)에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이를 통해 패드 고정대(100)를 본체(10)에서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f the protrusion 120 of the pad holder 100 is too tightly fixed to the defecation passage 13 or is deeply fixed to the defecation passage 13 in the state of the slippery upper plate 110, the pad holder 100 Sinc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main body 10, a foundation for conveniently supporting the user's fingers on the top plate 110 is provided using an embossing block, thereby attaching the pad holder 100 to the main body 10. It is design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변과 접촉 시 변색되는 소변 감지 시트(112)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mbossing blocks 111 to be coated with a urine detection sheet 112 that discolors when in contact with urine.

본 발명의 소변 감지 시트(112)는 반려동물의 소변 검출 여부에 따라 변색, 다시 말해 소변을 검출하였을 때 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urine detection sheet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color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et's urine is detected, that is, it provides a function of changing color when urine is detected.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소변의 수분이나 요소를 검출할 수 있는 지시약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This urine detection sheet 112 may include an indicator com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moisture or urea in urine, and the type may vary.

지시약 조성물을 예를 들자면, 소변의 pH로 변색(가령 알칼리성 소변에 반응하여 적색으로 변색되는 페놀프탈레인)하는 pH 지시약, 소변의 요소와 반응하여 변색하는 우레아제 효소와 같은 성분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공지의 조성물이 존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dicator composition may contain components such as a pH indicator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pH of urine (e.g., phenolphthalein, which changes color to red in response to alkaline urine) and a urease enzyme that changes color in response to urea in urine, and is limited to these. This is not the case, and various known compositions may exist.

또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점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이형지를 구비한 일종의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이 완료된 소변 감지 시트(112)를 제거한 다음 엠보싱 블록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rine detection sheet 112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kind of sticker with release paper in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applied, so that the user can periodically remove the used urine detection sheet 112 and then attach it to the embossing block.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패드 고정대(100)에 반려동물의 소변이 묻었는지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일종의 인디케이터(indicator)와 같은 역할을 제공한다.This urine detection sheet 112 serves as a kind of indicator that can immediately notify whether a pet's urine is on the pad holder 100.

즉, 일반적으로 소변이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사용자가 맨눈으로 충분히 패드 고정대(100)에 묻은 소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소변이 노란색을 띠지 않을 수도 있거나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같은 경우에 소변 감지 스트랩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at is, because urine is generally yellow, the user can sufficiently check with the naked eye whether urine is on the pad holder 100. However, the urine may not be yellow or may not be clearly visible to the naked eye, so urine is detected in this case. Straps can be useful.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변이 패드 고정대(112)에 묻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한 다음 직접 손으로 패드 고정대(100)를 만지지 않고 휴지로 감싸 만지는 등의 위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urine detection sheet 112, a hygienic environment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urine is on the pad holder 112 and then cover the pad holder 100 with a tissue without directly touching it with their hands. there is.

도 4는 패드 고정대의 상판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pad fixture.

추가적으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판(110)에 엠보싱 블록(111)이 형성된 구조에서 상판(110)의 표면에는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113)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as can be seen from FIG. 4,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mbossing block 111 is formed on the top plate 110,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has at least one handle 113 protruding up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sion 12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이러한 손잡이(113)는 고리, 막대, 띠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도 4에서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113)가 좌우 양 측에 총 2개로 형성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This handle 113 can be mad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ring, a bar, or a band. In Figure 4, a structure in which a total of two ring-shaped handles 113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s presented.

즉, 소변 검사 시트를 통해 패드 고정대의 상판(110)에 소변이 묻은 것을 확인하였을 때 직접 상판(110)에 손을 대지 않고 이 상판(110)에서 돌출된 손잡이(113)를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패드 고정대(100)를 본체(10)에서 위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rough the urine test sheet that the top plate 110 of the pad fixture is stained with urine, the pad is pulled by the handle 113 protruding from the top plate 110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top plate 110.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hygienically separate the fixture 100 from the main body 10 can be provided.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3)를 좌우 양 측에 2개로 고정하여 동시에 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 측에서 손잡이(113)를 잡아당길 때 쉽사리 패드 고정대(100)가 본체(10)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wo handles 113 are fix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y can be pulled at the same time, so that when the handle 113 is pulled from either side, the pad holder 100 is easily attached to the main body. In (10), the problem that is not well separated can be solved.

도 5는 패드 고정대의 볼록부와 저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nvex portion and bottom of the pad fixtu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판(110)의 표면은 돌기(120)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114)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first,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is rounded to be convex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0 in a state where the friction coefficien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120, and the protruding convex portion 114 is formed. ) can be seen to be composed of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상판(110)을 손쉽게 손가락 등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볼록부(114)의 노출면, 즉 표면은 표면 스크래치 처리 방식으로 거칠기를 부여하거나 돌기(120)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This structure allows the user to easily hold the upper plate 110 with the fingers, etc.,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14, i.e., the surface, is roughened by surface scratch treatment or is roughened with a fric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120. It is made of material to prevent the user's fingers from slipping.

더불어, 볼록부(114)는 마치 돔 형상과 같이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됨으로써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그림감이나 파지감을 상승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 114 is rounded and protrudes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0, like a dome shape, thereby providing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 of enhancing the user's drawing or gripping sensation.

또한, 상판(110)의 모서리 부위를 챔퍼(chamfer) 처리하여 모서리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긁히거나 찢기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chamfering the corners of the top plat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issues such as scratching or tearing the user's fingers on the corners.

더 나아가 상판(110)이 볼록부(114)가 이루어진 구조에서,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판(110)의 저면은 볼록부(114)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 공간과, 함입 공간의 둘레를 따라 하방 돌출된 둘레부(11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in the structure where the upper plate 110 is formed with the convex portion 114, as can be seen in FIG. 5,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10 has an indented space formed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14, and an indented spac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eripheral portion 116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perimeter.

이러한 상판 구조에 의하면, 본체(10)의 블록 사이, 또는 배변로(13) 사이에 상판(110)이 행여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판(110)의 볼록 돌출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판(110)의 저면에 중공, 즉 함입 공간을 마련한 다음 이 둘레 부위를 둘레부(116)로 인해 하방 돌출시켜 이 둘레부(116)의 돌출 높이만큼 마치 본체(10)가 안정적으로 본체(10)의 상부로 부상한 것과 같은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op plate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top plate 110 being caught between blocks of the main body 10 or between the toilet passages 13, that i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rotruding shape of the top plate 110. A hollow, or recessed, spac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10, and then this peripheral portion is protruded downward due to the peripheral portion 116, so that the main body 10 is stably stabilized by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eripheral portion 116. ) can present a structure similar to the one that emerged at the top.

이로써 본체(10)가 배변로(13)에 끼움 결합한 돌기(120)에 종속되어 본체(10) 쪽으로 불필요하게 쏠림으로써 패드 고정대(100)가 본체(10)에 유착되는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돌기(120)가 배변로(13)에 결합된 깊이와 관계없이 상판(110)의 안정적인 위치를 보장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판(11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As a result, the main body 10 is subordinated to the protrusion 120 fitted into the toilet passage 13 and is unnecessarily tilted toward the main body 10, thereby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the pad fixture 100 adhering to the main body 10. Regardless of the depth at which the protrusions 120 are coupled to the toilet passage 13, a stable position of the top plate 110 can be ensured, resulting in a characteristic that enhances the durability of the top plate 110.

도 6은 패드 고정대에 형성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pper formed on the pad fixture.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돌기(120)는 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6에서는 총 2개)로 형성된 스토퍼(stopper)(121)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6, the protrusio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s 121 (a total of two in FIG. 6) at regular interval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스토퍼(121)는 돌기(120)의 양 측면에서 돌기(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체로서, 이러한 스토퍼(121)와 돌기의 구조는 마치 십자(+) 형상을 띠는 것을 도 6을 보아 알 수 있다.The stopper 121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0.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121 and the protrusion are shown to have a cross (+) shape. You can see this by looking at 6.

이러한 스토퍼(121)는 돌기(120)의 폭이 배변로(13)의 폭보다 약간 좁아 헐거울 때 배변로(13)에 밀착 결합할 수 있는 물리적인 접촉 면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is stopper 121 functions to provide a physical contact area that can be closely coupled to the defecation passage 13 whe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20 is slightly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defecation passage 13 and is loose.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0)의 전체 연장 구조에서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총 2개로 스토퍼(121)가 설치되어 돌기가 어느 일 측으로 기울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 total of two stoppers 121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 the entire extension structure of the protrusion 120,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the protrusion being tilted to one side.

도 7은 패드 고정대의 돌기의 세부 구조 및 서브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otrusion of the pad fixture and the sub stopper.

도 7을 참조하면, 돌기(120)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taper)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sion 120 is tapered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as it extends downward.

이는 돌기(120)가 배변로에 인입/입출될 때 불필요하게 배변로(13) 내부에 끼이거나 아니면 배변로(13)에 쉽게 인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돌기(120)가 배변로(13)에 더욱 원활하게 인입/인출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This is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protrusion 120 being unnecessarily stuck inside the defecation passage 13 or not being easily introduced into the defecation passage 13 when the protrusion 120 enters or exits the defecation passage. It can serve as a guide to allow smoother entry/extraction into and out of the furnace 13.

이에 대응하여 테이퍼 처리된 돌기의 하단에는, 돌기(12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향해 돌기(120)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서브 스토퍼(sub stopper)(12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response to this, at the bottom of the tapered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ub stopper 122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120 toward either side of the protrusion 120. do.

즉, 돌기(120)가 테이퍼처리된만큼 그 폭이 얇아져서 배변로(13)에 긴밀하게 결합하지 못할 우려가 따를 수 있는데, 이 돌기(120)의 하단(끝단)을 수직 절곡 처리하여 서브 스토퍼(122)를 형성함으로써 이 서브 스토퍼(122)가 배변로(13) 내부 공간에 일종의 걸쇠와 같은 걸림 작용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테이퍼 처리 구조로 얇아진 돌기(120)의 끝단의 체적을 물리적으로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배변로(13)에 긴밀하게 결합하여 패드 고정대(100)가 안정적으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protrusion 120 is tapered, its width becomes thinner, so there may be a concern that it may not be tightly coupled to the defecation passage 13. The lower end (end) of this protrusion 120 is vertically bent to form a sub stopper. By forming (122), this sub stopper (122) not only provides a kind of latch-like locking a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toilet passage (13), but also physically complements the volume of the end of the protrusion (120), which has become thinner with a tapered structure. As a result, it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toilet passage 13 to provide a basis for the pad fixture 100 to be s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20)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tter plate for pets capable of fixing the litter pa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of cours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벽체
12: 블록 13: 배변로
20: 배변 패드 100: 패드 고정대
110: 상판 111: 엠보싱 블록
112: 소변 감지 시트 113: 손잡이
114: 볼록부 115: 함입 공간
116: 둘레부 120: 돌기
121: 스토퍼 122: 서브 스토퍼
10: Body 11: Wall
12: Block 13: Toiletway
20: toilet pad 100: pad holder
110: Top plate 111: Embossing block
112: Urine detection sheet 113: Handle
114: convex portion 115: indentation space
116: peripheral portion 120: protrusion
121: stopper 122: sub stopper

Claims (8)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으로서,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표면은,
상기 돌기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함입 형성된 함입 공간과, 상기 함입 공간의 둘레를 따라 하방 돌출된 둘레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 litter box for pets that can hold a litter pad,
A main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ing in a matrix structure, a toilet path formed between the blocks, and a wall erected to form a perimeter while surrounding the blocks and the toilet path;
Fixing the defecation pad seated on the main body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comprising an upper plate and a pad holder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including a protrusion that is detachable from the defecation passage,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is,
It is made of a convex portion that is rounded and protrudes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in a state wher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protrusi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is,
A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dentation spac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dentation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ccording to clause 1,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A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embossed block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and protrude toward the upper por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변과 접촉 시 변색되는 소변 감지 시트가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ccording to clause 2,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mbossing blocks,
A toile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ted with a urine detection sheet that changes color when in contact with uri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ccording to clause 3,
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A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andle protrudes toward the top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돌기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ccording to clause 1,
The protrusions are,
The defecation plate is formed in plural piec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includes a stopper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taper) 처리되고,
상기 테이퍼 처리된 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돌기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향해 상기 돌기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서브 스토퍼(sub stopp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According to clause 7,
The protrusions are,
The width is tapered to become narrower as it extends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tapered protrusion,
A defecation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sub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toward one of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KR1020230084881A 2023-06-30 2023-06-30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Active KR1026616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881A KR102661673B1 (en) 2023-06-30 2023-06-30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881A KR102661673B1 (en) 2023-06-30 2023-06-30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73B1 true KR102661673B1 (en) 2024-04-26

Family

ID=9088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881A Active KR102661673B1 (en) 2023-06-30 2023-06-30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7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15A (en) * 2004-01-02 2005-07-08 최윤석 A urinal for pet
KR20090004418U (en)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et Pad
JP3154900U (en) * 2009-08-18 2009-10-29 L.I.A.C.株式会社 Pet toilet
KR101675032B1 (en) 2015-04-20 2016-11-10 오현민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JP2021023277A (en) * 2019-08-07 2021-02-22 保宏 野中 Pet toilet
KR20210147139A (en) * 2020-05-27 2021-12-07 이상석 Pet's toilet cushion
JP2022041806A (en) * 2020-08-31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for pet
KR102390454B1 (en)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Veterinary plate for pets with detachable sidewalls
KR20220002057U (en)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ecal treatment machine for pets that facilitates replacement and collection of defecation pad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15A (en) * 2004-01-02 2005-07-08 최윤석 A urinal for pet
KR20090004418U (en)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et Pad
JP3154900U (en) * 2009-08-18 2009-10-29 L.I.A.C.株式会社 Pet toilet
KR101675032B1 (en) 2015-04-20 2016-11-10 오현민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JP2021023277A (en) * 2019-08-07 2021-02-22 保宏 野中 Pet toilet
KR20210147139A (en) * 2020-05-27 2021-12-07 이상석 Pet's toilet cushion
JP2022041806A (en) * 2020-08-31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for pet
KR20220002057U (en)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ecal treatment machine for pets that facilitates replacement and collection of defecation pads
KR102390454B1 (en)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Veterinary plate for pets with detachable sidewa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6648B (en) Animal toilet
US5355837A (en)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JP6173145B2 (en) Animal toilet
EP2832211A1 (en) System toilet for dogs
US3827401A (en) Sanitary receptacle for pets
US20110011347A1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JP6192468B2 (en) Animal toilet packaging
JP7489176B2 (en) Urine test containers and urine test kits
KR20120096572A (en) Animal system toilet and liquid permeable panel used therewith
KR20130087513A (en) System toilet for dogs
JP2010239914A (en) Pet litter box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KR102661673B1 (en) 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KR102349801B1 (en) Indoor Pet Potty Tray
KR101931476B1 (en)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KR20220131044A (en) Drainage plate
WO2020090065A1 (en) Animal toilet
KR200377774Y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JP2006000044A (en) Pet toilet
JP4510684B2 (en) Toilet for pet animals
KR200360422Y1 (en) An excrement prop for a pet dog
JPH056775Y2 (en)
KR200407235Y1 (en) Cat litter connection structure.
JP4245529B2 (en) Set for pet manure treatment
KR200306175Y1 (en) Stool for p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