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1673B1 -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 Google Patents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73B1
KR102661673B1 KR1020230084881A KR20230084881A KR102661673B1 KR 102661673 B1 KR102661673 B1 KR 102661673B1 KR 1020230084881 A KR1020230084881 A KR 1020230084881A KR 20230084881 A KR20230084881 A KR 20230084881A KR 102661673 B1 KR102661673 B1 KR 10266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rotrusion
defecation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민
Original Assignee
오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민 filed Critical 오현민
Priority to KR102023008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의하면,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형 구조 등의 배변판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이 편안함을 느끼면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대에 의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본체에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배변로에 결합된 패드 고정대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Toilet plate for pets that can fix the toilet pad}
본 발명은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 구조로 이루어진 배변판 본체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을 위하여 배변판 본체 상에 소변을 흡수하는 배변 패드를 안착한 다음 이를 통해 소변을 보게 하되 배변 패드가 안정적으로 배변판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 특히 애완견용 배변판은 애완견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배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중 대변은 상부에 위치시키고 소변은 하부로 거르거나 이동시키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배변판은 본체에서 탈착 가능한 네트를 매개로 네트 상에 대변을 안착시키고 네트 아래로 빠진 소변을 임시로 저장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한편, 본 출원인의 특허인 국내 특허 제 1675032호인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 상기 블록 사이에서 상기 블록보다 좁은 폭과 너비로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블록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배변로; 둘레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된 벽체;로 구성되어. 상기 블록의 상면에 반려동물이 안착하고 상기 배변로에 반려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기존 배변판에 비하여 청소 및 운반,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특허에 의한 배변판은 물론 공지의 배변판에 올라가지 않으려는 반려동물이 있을 수 있고 행여 올라갔다고 하여도 상술한 특허의 블록이나 공지의 배변판의 네트에 의하여 바닥에서 전달되는 이물감으로 제대로 배변하지 못하는 반려동물이 존재할 개연성이 따른다.
따라서, 배변판에서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때까지 배변 패드를 배변판 본체에 안착하여 사용하면서 배변 훈련을 병행하되 배변판 본체에서 배변 패드가 흔들리거나 불필요한 유동 없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배변 패드의 제거 역시 간편한 구조를 가진 신규하고 진보한 배변판을 개발할 필요성이 따르는 실정이다.
국내 특허 제 1675032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에 소변을 흡수하는 배변 패드를 안착한 다음 이를 통해 소변을 보게 하면서 배변판에 반려동물을 적응시키거나 배변 훈련을 수행하되 배변 패드가 안정적으로 배변판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배변판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을 통해 패드 고정대를 본체에 편리하게 탈착하거나 소변을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이 돌기와 함께 매몰되거나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판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변로에 돌기가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스토퍼나 서브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은,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상판의 표면은, 상기 돌기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돌기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에 의하면,
1) 블록과 배변로를 구비한 평탄형 구조 등의 배변판에 적응하지 못한 반려동물이 편안함을 느끼면서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패드를 고정하는 패드 고정대에 의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본체에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배변로에 결합된 패드 고정대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으며,
3) 배변로에 돌기가 결합되면서 상판이 본체에 유착되거나 매몰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돌기가 배변로에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세부 수단을 제공하여 패드 고정대가 본체에서 불필요한 유동성 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와 배변 패드를 본체에 고정한 패드 고정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패드 고정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에 형성된 엠보싱 블록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패드 고정대의 상판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패드 고정대의 볼록부와 저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패드 고정대에 형성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패드 고정대의 돌기의 세부 구조 및 서브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와 배변 패드를 본체에 고정한 패드 고정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변판은 본체(10)와 패드 고정대(1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선 본체(10)는 본 출원인이 특허를 받은 한국 등록 특허 제 1675032호와 같이 공지의 배변판에서 대변을 받치는 네트를 없앤 구조로서, 행렬 구조의 요철 패턴, 즉 블록(12)과 배변로(13)를 형성한 다음 이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블록(12)과 배변로(13)를 감싸도록 둘레를 따라 기립 형성된 벽체(1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공지의 배변판의 문제, 즉 네트 및 본체(10)를 일일이 옮기거나 네트를 분리하여 청소할 필요 없이 블록(12)과 배변로(13)가 일체적인 단일 유닛으로 형성된 본체(10)만 청소하면 될 뿐 아니라 네트를 가진 공지의 배변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게도 가볍고 제작단가도 절감되면서 배변을 처리하기에도 편리하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패드 고정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패드 고정대(100)는 배변 패드(20)를 상술한 본체(10)의 표면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반려동물 중에서 아직 본체(10)에서 소변을 보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개연성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본체(10)의 사용 초기에는 본체에 배변 패드(20)를 안착하여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도록 하면서 본체(10)에 올라가는 것을 훈련한 다음, 이러한 훈련 과정을 거치면서 본체(10)에 익숙해지면 배변 패드(20) 없이도 본체(10) 상에서 반려동물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배변 패드(20)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사각 사이즈로 이루어진 공지의 반려동물 전용 패드를 의미한다.
이같이 배변 패드(20)를 본체(10)에 안착하였을 때 본체(10)가 올라간 반려동물의 움직임에도 배변 패드(20)가 움직이지 않고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패드 고정대(100)를 제공한다.
즉, 패드 고정대(100)는 본체(10)에 안착된 배변 패드(20)를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배변 패드(20)를 압박하면서 본체(10)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 배변로(13)에 탈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패드 고정대(100)는 상판(110)과 돌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상판(11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체적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돌기(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제공하고, 돌기(120)는 상판의 저면에서 일정 길이, 즉 배변로(13)의 깊이에 상응하거나 약간 더 긴 깊이(길이)로 연장된 구조체이다.
즉, 사용자가 본체(10) 상에 배변 패드(20)을 안착한 다음 도 1과 같이 배변 패드(20)의 일 측(테두리 주변 부위)에 패드 고정대(100)를 압박하면 배변 패드(20)의 해당 부위가 본체(10)의 배변로(13) 내부로 돌기(120)에 의해 눌리면서 결과적으로 배변 패드(20)가 본체(10)에 고정된다.
이때, 패드 고정대(100)가 2개로 구비되어 배변 패드(20)의 양측을 고정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배변 패드(20)에 반려동물이 소변을 본 다음 사용자는 상판(110)을 잡으면서 돌기를 배변로(13)에서 분리하여 배변 패드(20)를 수거한 다음 행여 소변이 묻었을 때 본체와 패드 고정대(100)를 씻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배변판은 공지의 배변판에 비하여 청소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본체(10)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본체(10)에 적응되지 않은 반려동물의 소변 훈련 및 적응을 위하여 본체(10)에 배변 패드(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패드 고정대(100)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의 소변 훈련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패드 고정대의 상판에 형성된 엠보싱 블록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패드 고정대(100)의 상판(110)에는 상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111)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블록(111)는 상판(110)의 표면에서 너무 높지 않게 돌출된 블록(12) 형상의 구조로서,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판(110) 표면보다 거친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엠보싱 돌기 사이에 끼웠을 때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패드 고정대(100)를 안정적으로 잡으면서 본체(10)에 고정된 패드 고정대(100)를 어렵지 않게 분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만일 미끄러운 상판(110)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패드 고정대(100)의 돌기(120)가 배변로(13)에 너무 타이트하게 고정되거나 배변로(13)에 깊숙이 고정될 경우 패드 고정대(100)를 쉽사리 본체(10)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엠보싱 블록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판(110)에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이를 통해 패드 고정대(100)를 본체(10)에서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변과 접촉 시 변색되는 소변 감지 시트(112)가 코팅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변 감지 시트(112)는 반려동물의 소변 검출 여부에 따라 변색, 다시 말해 소변을 검출하였을 때 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소변의 수분이나 요소를 검출할 수 있는 지시약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지시약 조성물을 예를 들자면, 소변의 pH로 변색(가령 알칼리성 소변에 반응하여 적색으로 변색되는 페놀프탈레인)하는 pH 지시약, 소변의 요소와 반응하여 변색하는 우레아제 효소와 같은 성분이 존재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공지의 조성물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점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이형지를 구비한 일종의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이 완료된 소변 감지 시트(112)를 제거한 다음 엠보싱 블록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는 패드 고정대(100)에 반려동물의 소변이 묻었는지를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일종의 인디케이터(indicator)와 같은 역할을 제공한다.
즉, 일반적으로 소변이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사용자가 맨눈으로 충분히 패드 고정대(100)에 묻은 소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소변이 노란색을 띠지 않을 수도 있거나 육안으로 잘 식별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이같은 경우에 소변 감지 스트랩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변 감지 시트(112)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변이 패드 고정대(112)에 묻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한 다음 직접 손으로 패드 고정대(100)를 만지지 않고 휴지로 감싸 만지는 등의 위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패드 고정대의 상판 표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추가적으로,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판(110)에 엠보싱 블록(111)이 형성된 구조에서 상판(110)의 표면에는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113)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손잡이(113)는 고리, 막대, 띠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도 4에서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113)가 좌우 양 측에 총 2개로 형성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즉, 소변 검사 시트를 통해 패드 고정대의 상판(110)에 소변이 묻은 것을 확인하였을 때 직접 상판(110)에 손을 대지 않고 이 상판(110)에서 돌출된 손잡이(113)를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패드 고정대(100)를 본체(10)에서 위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3)를 좌우 양 측에 2개로 고정하여 동시에 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 측에서 손잡이(113)를 잡아당길 때 쉽사리 패드 고정대(100)가 본체(10)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패드 고정대의 볼록부와 저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판(110)의 표면은 돌기(120)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114)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상판(110)을 손쉽게 손가락 등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볼록부(114)의 노출면, 즉 표면은 표면 스크래치 처리 방식으로 거칠기를 부여하거나 돌기(120)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볼록부(114)는 마치 돔 형상과 같이 돌기(120)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됨으로써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그림감이나 파지감을 상승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판(110)의 모서리 부위를 챔퍼(chamfer) 처리하여 모서리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긁히거나 찢기는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판(110)이 볼록부(114)가 이루어진 구조에서,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판(110)의 저면은 볼록부(114)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 공간과, 함입 공간의 둘레를 따라 하방 돌출된 둘레부(11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판 구조에 의하면, 본체(10)의 블록 사이, 또는 배변로(13) 사이에 상판(110)이 행여 끼이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판(110)의 볼록 돌출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판(110)의 저면에 중공, 즉 함입 공간을 마련한 다음 이 둘레 부위를 둘레부(116)로 인해 하방 돌출시켜 이 둘레부(116)의 돌출 높이만큼 마치 본체(10)가 안정적으로 본체(10)의 상부로 부상한 것과 같은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체(10)가 배변로(13)에 끼움 결합한 돌기(120)에 종속되어 본체(10) 쪽으로 불필요하게 쏠림으로써 패드 고정대(100)가 본체(10)에 유착되는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돌기(120)가 배변로(13)에 결합된 깊이와 관계없이 상판(110)의 안정적인 위치를 보장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판(11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도 6은 패드 고정대에 형성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돌기(120)는 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6에서는 총 2개)로 형성된 스토퍼(stopper)(121)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121)는 돌기(120)의 양 측면에서 돌기(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체로서, 이러한 스토퍼(121)와 돌기의 구조는 마치 십자(+) 형상을 띠는 것을 도 6을 보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21)는 돌기(120)의 폭이 배변로(13)의 폭보다 약간 좁아 헐거울 때 배변로(13)에 밀착 결합할 수 있는 물리적인 접촉 면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0)의 전체 연장 구조에서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총 2개로 스토퍼(121)가 설치되어 돌기가 어느 일 측으로 기울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패드 고정대의 돌기의 세부 구조 및 서브 스토퍼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돌기(120)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taper)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돌기(120)가 배변로에 인입/입출될 때 불필요하게 배변로(13) 내부에 끼이거나 아니면 배변로(13)에 쉽게 인입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돌기(120)가 배변로(13)에 더욱 원활하게 인입/인출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테이퍼 처리된 돌기의 하단에는, 돌기(12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향해 돌기(120)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서브 스토퍼(sub stopper)(12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돌기(120)가 테이퍼처리된만큼 그 폭이 얇아져서 배변로(13)에 긴밀하게 결합하지 못할 우려가 따를 수 있는데, 이 돌기(120)의 하단(끝단)을 수직 절곡 처리하여 서브 스토퍼(122)를 형성함으로써 이 서브 스토퍼(122)가 배변로(13) 내부 공간에 일종의 걸쇠와 같은 걸림 작용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테이퍼 처리 구조로 얇아진 돌기(120)의 끝단의 체적을 물리적으로 보완하여 결과적으로 배변로(13)에 긴밀하게 결합하여 패드 고정대(100)가 안정적으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변 패드(20)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본체 11: 벽체
12: 블록 13: 배변로
20: 배변 패드 100: 패드 고정대
110: 상판 111: 엠보싱 블록
112: 소변 감지 시트 113: 손잡이
114: 볼록부 115: 함입 공간
116: 둘레부 120: 돌기
121: 스토퍼 122: 서브 스토퍼

Claims (8)

  1.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으로서,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와, 상기 블록과 배변로를 감싸면서 둘레를 형성하도록 기립된 벽체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안착된 배변 패드를 상기 본체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변로에 탈착하는 돌기를 포함한 패드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표면은,
    상기 돌기보다 마찰계수가 큰 상태에서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되어 돌출된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의 저면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함입 형성된 함입 공간과, 상기 함입 공간의 둘레를 따라 하방 돌출된 둘레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엠보싱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변과 접촉 시 변색되는 소변 감지 시트가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의 반대 방향인 상부를 향해 돌출된 손잡이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돌기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돌기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taper) 처리되고,
    상기 테이퍼 처리된 돌기의 하단에는,
    상기 돌기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향해 상기 돌기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서브 스토퍼(sub stopper)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판.
KR1020230084881A 2023-06-30 2023-06-30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ctive KR10266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881A KR102661673B1 (ko) 2023-06-30 2023-06-30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881A KR102661673B1 (ko) 2023-06-30 2023-06-30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73B1 true KR102661673B1 (ko) 2024-04-26

Family

ID=9088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881A Active KR102661673B1 (ko) 2023-06-30 2023-06-30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7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15A (ko) * 2004-01-02 2005-07-08 최윤석 애완동물용 변기
KR20090004418U (ko)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패드
JP3154900U (ja) * 2009-08-18 2009-10-29 L.I.A.C.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KR101675032B1 (ko) 2015-04-20 2016-11-10 오현민 반려동물용 배변판
JP2021023277A (ja) * 2019-08-07 2021-02-22 保宏 野中 ペット用トイレ
KR20210147139A (ko) * 2020-05-27 2021-12-07 이상석 애완동물의 배변용 쿠션
JP2022041806A (ja) * 2020-08-31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KR102390454B1 (ko)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탈부착이 가능한 측벽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220002057U (ko)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15A (ko) * 2004-01-02 2005-07-08 최윤석 애완동물용 변기
KR20090004418U (ko) * 2007-11-06 2009-05-1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패드
JP3154900U (ja) * 2009-08-18 2009-10-29 L.I.A.C.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KR101675032B1 (ko) 2015-04-20 2016-11-10 오현민 반려동물용 배변판
JP2021023277A (ja) * 2019-08-07 2021-02-22 保宏 野中 ペット用トイレ
KR20210147139A (ko) * 2020-05-27 2021-12-07 이상석 애완동물의 배변용 쿠션
JP2022041806A (ja) * 2020-08-31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物品
KR20220002057U (ko) * 2021-02-16 2022-08-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배변패드 교체 및 수거가 용이한 애완동물용 배변처리기
KR102390454B1 (ko) * 2021-09-07 2022-04-22 오현민 탈부착이 가능한 측벽을 구비한 반려동물용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837A (en) Canine trainer and toilet station
CN101686648B (zh) 动物用厕所
EP2832211A1 (en) System toilet for dogs
JP6173145B2 (ja) 動物用トイレ
US3827401A (en) Sanitary receptacle for pets
US20110011347A1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JP6192468B2 (ja) 動物用トイレの包装体
JP7489176B2 (ja) 尿検査用容器及び尿検査キット
WO2011080853A1 (en) Animal system toilet and liquid permeable panel used therewith
KR20130087513A (ko) 개용 시스템 화장실
US6640355B1 (en) In-bowl stool sample collection device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KR102661673B1 (ko)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US20040025797A1 (en) Small animal litter tray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JP2006000044A (ja) ペット用トイレ
JP4510684B2 (ja) 愛玩動物用トイレ
KR200360422Y1 (ko) 애견용 배설물 받침
JPH056775Y2 (ko)
KR200407235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연결구조.
KR200306175Y1 (ko) 애완동물용 변기
JP3020470U (ja) ペット動物の排泄物等の処理用具
JP3739387B1 (ja) 動物用トイレ
KR200494880Y1 (ko) 반려견 화장실
KR20240001790U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