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476B1 -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 Google Patents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1476B1 KR101931476B1 KR1020180113271A KR20180113271A KR101931476B1 KR 101931476 B1 KR101931476 B1 KR 101931476B1 KR 1020180113271 A KR1020180113271 A KR 1020180113271A KR 20180113271 A KR20180113271 A KR 20180113271A KR 101931476 B1 KR101931476 B1 KR 101931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defecation
- elastic
- handle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abstract 2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25 A-lik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180 Psychiatric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는,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를 구비한 배변판 및, 상기 배변판의 일 측에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의 대향 측인 상기 배변판 측벽 일 측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배변판의 측벽 일 측에서 기립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변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으로, 절곡 부위가 위로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탄성 절곡부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에 의하면, 배변판의 손잡이는 배변판의 일 측에 장착된 배변 받이로 배변판 내 임시 수용한 배변의 이동을 용이하게 제공하면서 배변 처리 및 청소의 편리함과 간편함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A defecation device having an elastic rotat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flecto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ing in a matrix structure and a defrosting path formed between the defrosting blocks,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n escape portion mount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toilet seat, which is an opposite side of the espresso cup, to th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toilet seat; And a knob having a resilient bent portion chamfered so that the bent portion is rounded upward.
According to the defecation device having the elastic pivot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of the defecation plate can easily move the defecation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defecation plate with the defecat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plate,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convenience and simplicity of the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체형 블록 장치 구조의 배변판에 일 측에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장착함으로써, 배변을 처리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 손잡이보다 파지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탄성 회동에 의한 유연성으로 배변을 보다 편리하고 안정성 있게 처리할 수 있는 배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ation device having an elastic rotating knob,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ecation device having an integral block device structure, in which a handle which is elastically rotatable on one side is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ation device capable of handling a defecation more conveniently and stably with flexibility due to elastic rotation.
경제가 성장되고 인구의 고령화가 지속됨에 따라 독신남녀 및 독거노인과 같은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비례하여, 인간의 정서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로움을 달래고자 애완동물의 종류와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As the economy grows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continues,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 applicants, such as single men and women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In proportion to this, the kinds and demands of pets are also increasing in order to secure human emotional stability and to alleviate loneliness.
현재, 많은 종류의 동물이 애완동물로서 사육되고 있지만, 그 중 개와 고양이가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Currently, many kinds of animals are kept as pets, but dogs and cats have a much higher percentage.
그 중 개의 경우 배변의 장소가 정해지지 않아 출생 2-3개월 후부터 지정된 곳에서 배변을 하도록 교육시키는데 이때 배변패드 혹은 배변판을 이용해 그 위치를 지정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dogs, the location of the bowel movement is not fixed, so the baby is instructed to bowel move from the designated place 2-3 months after birth. In this case, use the bowel pad or the bowel plate to designate the position.
배변패드는 기저귀와 비슷한 소재로서 소변 및 대변의 일부에서 나오는 액체를 수차례에 걸쳐 흡수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고 배변의 처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모품으로서 재사용 할 수 없고, 흡수되는 액체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빨리 포화되어 자주 교체해주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The bowel pad is similar to a diaper, and can absorb liquid from a part of the urine and feces several times, has a merit of being easy to install and easy to dispose of but it can not be reused as a consumable, The capacity is relatively quickly saturated and it is troublesome to frequently replace it.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배변 수단으로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배변판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As a result, the use of a bowel plate that can be reused semi-permanently as a means for defecating a pet is increasing.
도 1은 공지의 분리형 배변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nown separable type stool.
도 1은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된 네트가 본체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배변판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8-0068265호를 비롯하여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조이다.FIG. 1 is a baffle plat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detachably coupled to a main body, and this structure is the most commonly used structure at present including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8-0068265.
이러한 선행기술은 네트에는 대변이 본체의 하부에는 소변이 모이는데 이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네트는 물론 본체까지 일일이 세척을 해야 하며 세척은 물론 배변 처리 시 본체를 180도 뒤집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변이 사방으로 튀게 되어 배변을 버리는 과정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따랐다.In this prior art, the urine collects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stool. In order to clean the net,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net to the body as well as the body. In case of defecation, the body must be turned 180 degrees. The process of splashing and throwing away bowel movements was cumbersome.
도 2는 공지의 일체형 배변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nown integral-type bowel plate.
도 2에 따른 선행기술은 도 1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584610호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The prior art according to FIG. 2 improves the structure of FIG. 1, and Korean Patent No. 1584610 is a representative example.
구체적으로, 도 2에 대한 실시예는 네트가 없는 구조로서 배변판에 요철 패턴 및 배변로를 형성하고 배변판의 일 측에 배변판을 수용하는 배변받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네트 및 본체를 일일이 옮기거나 청소할 필요 없이 일체적인 단일 유닛으로 형성된 배변판만 청소를 하면 될 뿐 아니라 도 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게도 가볍고 제작단가도 절감되면서 배변을 처리하기에도 편리하다는 특성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a netting-free structure, in which a deflector pattern and a defecation pattern are formed on a defecation plate, and a defecation receptacle for accommodating the defecation plate on one side of the defecation plat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not only the net and the main body need to be moved or cleaned individually, but only the single-unit stool is cleaned. In addition, the weight and the manufacturing cost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in Fig. 1 It provides the characteristic that
이 구조는 필연적으로 배변받이의 대향 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들어 올리는 과정을 통해 중력에 의해 배변로를 따라 배변받이에 배변(대소변)을 수용하거나 배변받이에 소변이 수용되어 상태로 배변 처리를 하기 위해 손잡이를 들고 이동해야 한다. 다시 말해, 도 1의 구조에서는 굳이 손잡이가 필요 없으나 도 2의 구조는 손잡이가 필수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This structure necessarily has a hand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fecation tray so that the user lifts the handle and the defecation is accommodated in the defecation tray along the defecation path by gravity or the urine is received in the defecation tray To carry out bowel movements, the handle should be moved.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FIG. 1 does not require a handle, but the structure of FIG. 2 is a structure in which a handle is essential.
도 2와 같은 구조 기반에서, 만일 사용자가 손잡이를 순간적으로 들어 올릴 경우 관성이나 반발력에 의하여 배변판의 배변(주로 소변)이 주변으로 튈 수 있어 손잡이를 들어 올릴 때 보다 부드럽게 배변판이 들리거나 일시적인 딜레이 타임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손잡이가 하드 재질 내지 비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할 수 있다.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instantaneously, the defecation (mainly urine) of the defecator can bounce around due to inertia or repulsive force, so that the defecator can be heard more smoothly than when the handle is lifted, It is important to have time. Particularly, when the handle is made of a hard material or a non-elastic material,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relatively large.
따라서 도 2와 같은 배변 장치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들어 올릴 때 발생하는 외력을 일부 완화하거나 배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배변이 주변이 튀는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이동 및 청소 시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lifting the handle, a part of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is reduced or the impact applied to the bowel plate is reduced to prevent the problem of splashing around the bowel movemen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fecation device having a new and advanced handle that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handle more stably at the time of cleanin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변판에 장착된 손잡이를 라운딩 챔퍼 처리한 구조적 변형에 의해 탄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들었을 때 발생하는 외력을 일부 완화시키도록 탄성 회동하여 배변이 주변에 튀는 문제를 방지하는 배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asticity by a structural deformation in which a knob mounted on a bow plate is rounded and chamfe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ecation device that prevents a defecation from being scattered arou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절곡되는 손잡이 부위를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적 개선에 의해 손잡이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andle by a structural improvement capable of moving the knob region to be elastically bent in the gravity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가 본체에서 탈착 가능하여 제작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nience of manufacture and storage by allowing the handle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손잡이가 배변판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탈착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can be more reliably and firm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wel pl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는,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과 상기 블록 사이에 형성된 배변로를 구비한 배변판 및, 상기 배변판의 일 측에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변 받이의 대향 측인 상기 배변판 측벽 일 측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배변판의 측벽 일 측에서 기립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변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으로, 절곡 부위가 위로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탄성 절곡부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fecation device having an elastic rotat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ol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ed in a matrix structure and a stool formed between the blocks; A rising portion which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defecation plate opposite to the defecation receptacle and which is standing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defecation plate; And a knob having an elastic bending portion chamfered to bend inward from the end of the bodyside plate so that the bending portion is rounded upward.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기립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배변판은,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andle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ising portion, wherein the bowel plate has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and the hand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wel plate .
더불어, 상기 기립부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 홈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곡 연장된 베이스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 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연장된 탈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홈의 외측 벽에는, 상기 탈착 돌기를 수용하도록 탈착 홈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ase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ising portion, the base extending and bending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portion may extend downwar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base, And a detachment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ment unit to a spacing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ment unit and the bas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ment protrusion, And a detachable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defecator equipped with the elastic rotat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손잡이를 들어 올렸을 때 손잡이가 탄성 회동됨으로써 배변이 주변이 튀는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안정적으로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고,1) When the handle is lifted, the handle is elastically rotated so that the defecation does not bounce around, and the handle can be stably held,
2) 탄성 회동 부위를 중력 방향으로 일부 이동시켜 보다 안정감 있는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확보하며,2) Move the elastic rotation par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secure the use condition of a more stable grip,
3) 손잡이가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배변 장치 자체의 보관 및 제작의 편의성을 가질 뿐 아니라,3) The hand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ol so that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manufacture the stool itself,
4) 손잡이의 탈착 구조를 개선하여 결합의 편의성과 견고한 결합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4) The detachment structure of the handle is improv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coupling and the rigid coupling can be ensured at the same time.
도 1은 공지의 분리형 배변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공지의 일체형 배변판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배변판에 장착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탄성 절곡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배변판에 탈부착되는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와 배변판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손잡이의 내측 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외측 면에 슬릿 및 코어 확장체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nown separable type stool.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known integral type bowel plate.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in which 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owel plate. FIG.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lastic bend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tructure in which 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owel plat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handle and a bow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side surfac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lit and a core extension a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배변 장치에 장착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defecator.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변 장치는 애완동물이 안착하여 배변을 보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판(10)과, 배변판(10)의 일 측에 장착된 배변 받이(20), 배변판(10)의 타 측, 다시 말해 배변 받이(20)의 대항 측의 장착된 손잡이(100)로 이루어져 있다.3, the defe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우선, 공지의 배변판(10)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배변 공간을 가진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네트가 안착된 일명 '분리형 네트 결합 구조'(도 1의 배변판)와, 행렬 구조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블록이 안착판의 역할을 하고 블록과 블록 사이마다 배변을 흘려보내는 배변로가 함께 있는 일명 '일체형 블록 장착 구조'(도 2의 배변판)로 구분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배변판(10)은 후자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known
더불어, 배변 받이(20)는 배변판(10)의 일 측에 장착이 된 것으로 이 때 배변 받이(20)는 배변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수용부의 종단면의 구조가 C 구조를 비롯하여 V 구조 등의 입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배변 받이(20)의 수용부는 배변판(10)과의 장착 시 배변판(10)의 일 측과 같은 길이로써 이격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변 받이(20)는 공지의 구조를 따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앞서 언급했듯이, 본 발명의 손잡이(100)는 배변판(10)에서 배변 받이(20)의 대항 측에 ㄱ자와 유사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00)를 들어 올렸을 때 배변 받이(20)가 아래로 향하게끔 기울여 배변판(10)에 임시 수용된 배변을 배변 받이(20)로 이동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변 장치는 필히 손잡이(100)를 매개로 배변판(10)을 기울여 수용된 배변을 배변 받이(20)로 이동시켜 처리하기 때문에 손잡이(100)의 효과적인 개선을 통해 배변 처리의 편의성은 물론 배변 튐 방지와 안정적인 손잡이의 파지성을 증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손잡이(100)는 도 2와 같이 공지의 ㄱ 자 유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되, 이에 탄성 회동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손잡이(100)는 ㄱ 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립부(200)를 구비하되 ㄱ 자의 절곡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손잡이(100)는 결합부(300)를 포함 할 수 있으며, 결합부(300)는 손잡이(100)를 배변판(10)에서 탈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그립부(200)는 기립부(220)와 탄성 절곡부(210)로 이루어져 있다.3, the grip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구체적으로, 기립부(220)는 배변판(10)의 측벽으로부터 배편판(10)과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한 것으로, 후술할 탄성 절곡부(210)와 배변판(10) 사이를 이격 시켜 사용자가 그립부(200)를 파지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립부(220)는 그립부(200)를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손가락이 배변판(10)과 닿지 않도록 손가락의 두께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nding
본 발명의 탄성 절곡부(210)는 기립부(220)의 상측 단에서 배변판(1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것이다. 탄성 절곡부(210)의 절곡 부위(211)는 공지의 손잡이(100)처럼 수직한 형태는 아니고 수직과 유사하게 위로 볼록한 라운딩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해, 기립부(220)와의 경계가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되었다는 의미이다. 이를 위해, 탄성 절곡부(210)는 여러 가지 재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용자가 파지할 때 적절한 휘어짐을 제공할 수 있는 PET, PP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손잡이(100)의 탄성 절곡부(2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부위이며, 절곡 부위(211)가 탄성 회동 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공지의 수직한 손잡이에 비해 더 용이하게 배변판(10)을 기울이도록 제공할 수 있다. The
즉, 공지의 ㄱ자 형태의 손잡이(100)보다 더 라운딩지게 되어 사용자의 힘이 배변 장치에 가하게 되는 면적을 넓혀 이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더 적은 힘으로 배변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격 할 수 있어, 유격된 배변 장치의 배변 처리를 비교적 간편하게 처리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more rounded than the known
또한, 탄성 절곡부(210)는 손잡이(100)의 휨성을 제공할 수 있어 외부에서 충격이 주어졌을 때, 휘어지며 힘을 받는 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 절곡부(210)는 같은 충격량이더라도 공지의 수직한 손잡이(100)보다 오랜 시간동안 힘을 흡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손잡이(100)에 부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더불어, 탄성 절곡부(210)는 상기 배변 장치를 세척한 이후 건조할 경우 벽에 장착된 걸림 수단이 있는 구조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걸이 수단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추가적으로, 탄성 절곡부(210)는 후술할 베이스(240)보다 상측 단이 길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파지 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the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패드(230)는 탄성 절곡부(210)의 내측 면 또는 탄성 절곡부(210)의 내측 면에서 기립부(220)의 내측 면까지의 부위와 결합되는 얇은 시트 형태의 구조체를 말한다. The
이러한 미끄럼 방지 패드(230)는 탄성 절곡부(210)의 재질에 비해 마찰계수가 큰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재질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잡이(100) 파지 시 미끄러짐의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미끄럼 방지 패드(230)는 탄성 절곡부(210)의 끝단 부위를 보다 두껍게 처리하여 사용자가 파지 할 때,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더불어, 미끄럼 방지 패드(230)는 상기 탄성 절곡부(210)가 상술한 걸이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제공 할 때, 벽에 장착된 못과 같은 걸림 부재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더 안정적으로 장착 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도 3a는 탄성 절곡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lastic bending portion.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탄성 절곡부(210)는 외측 절곡 부위(211b)와 내측 절곡 부위(211a)가 같은 곡률 반경을 유지하면서 동일 폭으로 절곡 연장되는 되는 구조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탄성 절곡부(210)의 내측 절곡 부위(211a)에 보조 절곡 파트(21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3A,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보조 절곡 파트(212)는 상기 탄성 절곡부(210)의 내측 절곡 부위(211a)에 부착되거나 혹은 이 부위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기립부(220)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절곡 부위(211)의 중앙에서 법선(N)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a)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 섹션(212a)과,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탄성 절곡부(210)의 끝단을 향한 상기 탄성 절곡부(210)의 외측 절곡 부위(211b)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상기 제 1 라운딩 섹션(212a)의 단부(a)로부터 상기 탄성 절곡부(210)의 끝단을 향한 방향으로 제 2 라운딩 섹션(212b) 및, 상기 제 2 라운딩 섹션(212b)의 단부(b)에서 변곡되어 상기 탄성 절곡부(210)의 끝단 측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제 3 라운딩 섹션(212c)으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제 1 라운딩 섹션(212a)은 연장이 진행 되면서 보조 절곡 파트(212)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도입 부위를 의미한다.The first rounding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제 1 라운딩 섹션(212a)에 의해 내측 절곡 부위(211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원래의 탄성 절곡부의 곡률반경, 즉 외측 절곡 부위(211b)(물론, 외측 절곡 부위와 곡률반경이 같은 내측 절곡 부위도 마찬가지)와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절곡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1 라운딩 섹션(212a)에 의해서 이격 증가된 절곡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rounding
다시 말해, 제 2 라운딩 섹션(212b)은 제 1 라운딩 섹션(212a)의 시작 부위보다 두꺼워진 부위로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했을 때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라운딩 섹션(212a)으로 절곡 부위(211)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분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탄성 절곡부(210)를 파지했을 때 상기 절곡 부위(211)에 가해지는 외력이 법선(N)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기립부(220)측 방향 즉, 중력 방향인 B 방향으로 외력을 분산 이동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rounding
이로 인해, 손잡이(100)를 들어 올렸을 때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부위가 절곡 부위의 중앙 부위인 법선(N) 주변 내지 A 방향이 아닌 B 방향으로 쏠리도록 하여 절곡이 이루어지는 일명 무게중심을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탄성 절곡부(21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여 탄성 절곡부(210)가 쉽사리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us, when the
제 3라운딩 섹션(212c)은 도3a에 도시된 것처럼 자연스럽게 내측 절곡 부위(211a)에 접하도록 연장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더 나아가 내측 절곡 부위(211a)와 단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챔퍼(chamfer)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rounding
정리하면, 보조 절곡 파트(212)는 실직적인 절곡 부위(211)를 기립부(220) 측 방향, 즉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 절곡부(21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summary, the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배변판에 탈부착되는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tructure in which a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a bowel plate.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그립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이다. 더불어, 본체의 결합 홈(400)은 배변 받이(20)가 위치된 배변판(10)의 대항 측벽에서 배변판(10)의 하방으로 연장된 홈을 가진 구조이다. 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engaging
본 발명의 결합부(300)는 물리적인 외력을 통해 결합 홈(400)에 슬라이딩 방식의 탈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배변판(10)과 손잡이(100)가 일체적으로 사출되는 구조에 비해 제작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공간이 절약되어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손잡이와 배변판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ngaging portion between the handle and the bowe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300)는 기립부(220)의 하단에 직접 위치할 수 있지만 도 5의 실시예로서 베이스(240)를 매개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제시한다.5,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그립부(200)는 베이스(240)를 추가로 구비하는바, 이러한 베이스(240)는 기립부(220)의 하단에서 결합 홈(4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곡 연장되어 있다. 이 베이스(240)로 인해, 앞서 설명한 결합부(300)는 베이스(24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결합부(300)는 베이스(240)와 동일 폭이 아니라 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데, 즉 결합부(300)는 베이스(24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로 인해, 베이스(240)와 결합부(300)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이격된 공간이 발생된다. Specifically, the grip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이격공간(320)은 결합부(300)의 외측 면(310)에서 이격된 공간이며, 보조 이격공간(321)은 결합부(300)의 내측 면(330)에서 발생한 공간을 의미한다. The
또한, 탈착 돌기(311)는 결합부(300)의 외측 면(310)에서 돌출된 것으로서, 결합부(300)의 외측 면(310)에서부터 이격공간(320)의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수평파트(311a)와, 수평파트(311a)의 끝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결합부(300)의 외측 면(310)의 일 측에 접하는 경사파트(311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attaching
탈착 홈(420)은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 일 측이 관통된 것으로, 결합부(300)의 탈착 돌기(311)와 상응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탈착 돌기(311)를 수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탈착 홈(420)은 사각형과, 삼각형 및,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탈착 돌기(311)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기본이다.The
추가적으로,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은 탈착 홈(420)에 이르기까지 다른 부위보다 함입된 도입 슬릿(43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입 슬릿(430)은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이 일정한 두께로 함입하여 형성된 것을 기본으로 하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함입되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빗변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introduction slit 43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hypotenus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but not limited thereto, although the
상술한 구성을 가진 결합부(300)와 결합 홈(40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초기에 사용자가 결합 홈(400)에 결합부(300)를 장착 할 때, 탈착 돌기(311)가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에 접촉 진입된다. 다시 말해, 탈착 돌기(311) 중 경사파트(311b)의 일부분이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에 접촉 하강하면서 결합 홈(4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지속되면서 결합부(300)가 결합 홈(400)에 삽입되면서 결합부(300)와 결합 홈(400)이 결합 관계를 가진다. Initially, when the user attaches the engaging
이 과정에서, 탈착 돌기(311)의 경사 파트(311b)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결합 홈(400)의 내부로 진입할 때 수평파트(311a) 끝단이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에 접하여 수평파트(311a)와 결합 홈(400) 사이에 반발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반발력으로 결합부(300)는 보조 이격공간(321) 방향으로 수평파트(311a)의 길이만큼 밀리는데 이와 동시에 경사파트(311b)는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로 하강되면서 경사방향을 따라 결합부(300)를 보조 이격공간(321)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는 안내 역할을 한다. In this process, when the inclined part 311b of the attaching
더불어, 도입 슬릿(430)은 결합부(300)가 결합 홈(400)에 진입하는 초기과정에서 탈착 돌기(311)가 과도하게 보조 이격공간(321) 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바, 다시 말해 탈착 돌기(311)가 결합 홈(400) 측에 근접한 상태로 반발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할 수 있는 기능, 즉 진입 안내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troduction slit 430 prevents the
베이스(240)가 결합 홈(400)의 입구에 장착될 때 탈착 돌기(311)가 탈착 홈(420) 주변에 위치하다가 탈착 돌기(3110)가 탈착 홈(311)으로 진입되어 결합부(300)와 결합 홈(400)의 결합이 완료된다. The
이와 같이 결합부(300)와 결합 홈(400)이 결합된 이후, 사용자가 결합부(300)를 잡아당기면 수평파트(311a)가 탈착 홈(420)의 상측 벽에 걸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손잡이(100)가 쉽사리 결합 홈(400)에서 이탈되지 않아 사용자가 배변 처리를 위해 손잡이(100)를 들어 올릴 때 손잡이(100)가 배변판(10)에서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탈착식 결합 구조는 마치 공지의 케이블타이와 같이 일 방향으로는 결합이 쉽고 타 방향으로는 분리가 어렵도록 함으로써 결합의 편의성과 견고한 결합 관계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After the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손잡이의 내측 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side surfac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손잡이(100)의 내측 면(330)은 함입파트(331)와, 보강파트(332) 및, 함입면(331a)으로 이루어진다.6, the
본 발명의 함입파트(331)는 내측 면(330)의 둘레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입되어 있는 부위이며, 내측 면(330)의 둘레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mbedding
이 함입파트(331)는 결합부(300)를 본체 결합 홈(400)에서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를 결합 홈(4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탈착 돌기(311)가 탈착 홈(420)에서 빠져나갈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만일 탈착 돌기(311)의 대향 측, 즉 결합부(300)의 내측 면이 뻣뻣한(rigid) 상태일 경우 탈착 돌기(311)를 탈착 홈(에420)서 분리시키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Specifically, in order to separate th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100)를 배변판(10)에서 분리하기 위한 충분한 힘이 주어질 때 함입파트(331)의 함입 구조의 도움으로 결합부(300)의 내측 면(330)이 배변판 방향으로 일부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이로써 탈착 돌기(311)를 탈착 홈에서 분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when th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보강파트(332)는 함입파트(331)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함입 파트(331)의 둘레 상하 일 측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구조체이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파트(332)는 외력이 결합부(300)의 내측 면(330)에 집중 될 때 자칫 함입 파트(331)의 함입 구조로 인해 결합부(300)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보강파트(332)는 바람직하게 결합부의 이동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적절히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reinforcing
이때, 보강파트(332)는 함입 파트(331) 양단 사이를 수직 일직선 방향, 경사 방향 등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탈착 돌기(311)를 탈착 홈(420)에서 분리하는 힘, 즉 측 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함입파트의 둘레 중앙 측 상하 부위를 연결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추가적으로, 함입파트(331)는 함입된 바닥면, 즉 함입면(331a)이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테이퍼(331b) 처리되었다. In addition, the recessed
이러한 함입면(331a)은 결합부(300)를 배변판(10)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가 억지로 결합부를 잡아 비트는 경우가 많은바, 이 때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이기 때문에 파손의 우려가 따르는 함입파트(331), 특히 함입파트(331)의 상측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상술한 함입파트(331)의 본연의 탄성 제공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When the engaging
즉, 함입면(331a)은 외력이 닿는 부위에 가까운 함입파트(331)의 상측은 두껍게, 그 하측은 얇게 처리하여 함입파트(331)의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결합부(300)와 결합 홈(400)의 분리 시 결합부(300)가 밀려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면서 탄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외측 면에 탄성 슬릿 및 접촉부를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astic slit and a contact portion ar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부(300)의 외측 벽(410)에서 상기 탈착 돌기(311)와 베이스(240)의 사이 부위에는, 결합부(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함입 연장된 복수 개의 탄성 슬릿(312a)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7, a portion of the
이러한 탄성 슬릿(312a)은 결합부(300)를 결합 홈(40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결합부(300) 자체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부여 기능을 수반한다. 이때, 결합부(300)는 기본적인 휨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졌다는 전제가 따른다. 특히, 이 탄성 슬릿(312a)은 결합부 외측, 즉 탄성 절곡부(210)와 같은 부위가 아닌 결합부(300) 자체에 구비됨으로써 결합부(300)가 결합 홈(400)에 결합하였을 경우에는 결합 홈(400)의 내면에 접촉/근접하기 때문에 결합부(400)가 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잡이(100) 자체가 탄성 절곡부(210)가 제공하는 탄성 기능 이상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탄성 절곡부(210)의 기능을 일부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lastic slit 312a is accompanied by an elasticity imparting function that allows the engaging
이와 같은 탄성 슬릿(312a)을 통해, 결합부(300)가 보다 유연하게 배변판(400)과 결합/분리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such an elastic slit 312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ndation by which the engaging
더 나아가, 복수 개의 탄성 슬릿(31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 내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의 접촉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slits 312a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312 having a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접촉부(312)는 결합부(300)가 결합 홈(400)에 결합/분리 시 탄성 슬릿(312a)에 수용될 때 일부가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또는 도입 슬릿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결합 홈(400)과 결합부(300)의 결합/분리 시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의 내면의 이동반경을 따라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결합부(300)가 이동하도록 한다. The contact portion 312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러한 접촉부(312)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 홈(400)의 외측 벽(410)과의 접촉 시 회전 가능한 이동 롤러(312b)로 이루어졌다. 이때, 이동 롤러(312b)가 수용되는 접촉부(312) 역시 원통 형상 자체이거나 원통 형상에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은 물론이다.At least one of the contact portions 3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mposed of a moving roller 312b that is rotatable upon contact with the
이러한 이동 롤러(312b)에 의하여 결합부(300)가 결합 홈(400)에 결합/분리 시 앞서 설명한 구조보다 더욱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 상태를 보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moving roller 312b provides a function of ensuring a smooth and smooth moving state when the engaging
이 때, 이동 롤러(312b)가 수용되는 탄성 슬릿(312a)의 입구 폭은 이동 롤러(31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롤러(312b)가 탄성 슬릿(31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entrance width of the elastic slit 312a in which the movement roller 312b is accommodate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vement roller 312b, the movement roller 312b is rota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elastic slit 312a .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efecator having the elastic pivot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mer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배변판 20: 배변 받이
100: 손잡이 200: 그립부
210: 탄성 절곡부 211: 절곡 부위
211a: 내측 절곡 부위 211b: 외측 절곡 부위
212: 보조 절곡 파트 212a: 제 1 라운딩 섹션
212b: 제 2 라운딩 섹션 212c: 제 3 라운딩 섹션
220: 기립부 230: 미끄럼 방지 패드
240: 베이스 300: 결합부
310: 외측 면 311: 탈착 돌기
311a: 수평파트 311b: 경사파트
312: 접촉부 312a: 탄성 슬릿
312b: 이동 롤러 320: 이격공간
321: 보조 이격공간 330: 내측 면
331: 함입파트 331a: 함입면
331b: 테이퍼 332: 보강파트
400: 결합 홈 410: 외측 벽
420: 탈착 홈 430: 도입 슬릿10: Bowel plate 20:
100: handle 200: grip part
210: elastic bending portion 211: bent portion
211a:
212: auxiliary bending
212b: second rounding
220: standing portion 230: non-slip pad
240: Base 300: Coupling portion
310: outer side 311: detachment projection
311a: Horizontal part 311b: Bevel part
312: contact portion 312a: elastic slit
312b: moving roller 320: spacing space
321: auxiliary spacing space 330: inner side
331: Embedding
331b: taper 332: reinforcement part
400: coupling groove 410: outer wall
420: releasable groove 430: introduction slit
Claims (11)
상기 배변 받이의 대향 측인 상기 배변판 측벽 일 측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배변판의 측벽 일 측에서 기립된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단부에서 상기 배변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으로 절곡 부위가 위로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탄성 절곡부 및, 상기 기립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를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배변판은,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결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배변판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립부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 홈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곡 연장된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외측 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연장된 탈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홈의 외측 벽에는, 상기 탈착 돌기를 수용하도록 탈착 홈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1. A defe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defibrilla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blocks protruding in a matrix structure and a defecation passage formed between the blocks, and a defecation container receiving a defecation at one side of the defecation plate,
A rising portion tha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side plate opposite to the defecation receptacle and that is raised from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side plate and a bent portion that is bent i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side plate at an end portion of the rising portion, And a knob having a resilient bent portion chamfered to be convexly rounded and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ising portion,
Wherein the bellows plate has an engaging groove to which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the handl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ellows plate,
And a bas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ising portion, the base extending and being bent to have a length equal to the width of the coupling groove,
The engaging portion extends downwar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base to generate a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base,
And a detachment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o a spaced-apart space between the base and the bas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detachable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so as to receive the detachment protrusion.
상기 기립부와 상기 탄성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 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ising portion and the elastic folding portion has an inner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pad is attached thereto.
상기 탄성 절곡부의 내측 절곡 부위에는,
상기 기립부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절곡 부위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 섹션과,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탄성 절곡부의 끝단을 향한 상기 탄성 절곡부의 외측 절곡 부위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제 2 곡률반경으로서 상기 제 1 라운딩 섹션의 단부로부터 상기 탄성 절곡부의 끝단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라운딩 섹션 및,
상기 제 2 라운딩 섹션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상기 탄성 절곡부의 끝단 측 절곡 종료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3 라운딩 섹션으로 이루어진 절곡 보조 파트;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an inner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ending portion,
A first rounding section extending at a first radius of curvature from the rising point of the side of the standing part to the point of meeting the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norm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ent part,
A second rou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rounding section toward the end of the elastic bent portion, the second rounding radius being equal to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bent portion of the elastic bent portion from the imaginary line toward the end of the elastic bent portion, Section,
And a third rounding section bent at an end of the second rounding section and extending to a bend end point of the end of the elastic bend at a third radius of curvature, A defecator with a handle
상기 결합 홈의 외측 벽은,
상기 탈착 홈에 이르기까지 다른 부위보다 함입된 도입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oduction sl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rom the other part of the insertion groove 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결합부의 내측 면은,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 파트와,
상기 함입 파트 상하 일 측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보강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 recessed portion in which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periphery are embedded to a certain depth,
And a reinforcing part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ngaging part in a straight line.
상기 함입 파트의 함입 면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테이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ngaging surface of the engaging part
Wherein the tapered handle is tapered so as to decrease in thickness as it extends downward.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에서 상기 탈착 돌기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결합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함입 연장된 복수 개의 탄성 슬릿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detachment protrusion and the bas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silient slits extending along the height of the engaging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복수 개의 상기 탄성 슬릿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 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의 접촉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slits is provided with: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ct portion of a material having a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s accommodated.
상기 접촉부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홈에 결합 시 상기 결합 홈과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회동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배변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act portion
A deflector comprising a handle which is resiliently rotatable and which is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groove when the engaging portion engages with the engaging rec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271A KR101931476B1 (en) | 2018-09-20 | 2018-09-20 |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3271A KR101931476B1 (en) | 2018-09-20 | 2018-09-20 |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1476B1 true KR101931476B1 (en) | 2018-12-20 |
Family
ID=6495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3271A Active KR101931476B1 (en) | 2018-09-20 | 2018-09-20 |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147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968B1 (en) * | 2020-08-26 | 2021-01-25 | 오현민 | Defecation board with connecting wing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nection |
KR102377524B1 (en) | 2021-08-12 | 2022-03-22 | 김장운 | Pad rod for defecation pad and defecation processor for companion animals having the same |
KR102535854B1 (en) * | 2022-10-28 | 2023-05-30 | 박요셉 |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850Y1 (en) | 2004-04-06 | 2004-06-30 | 이원규 | toilet for pet |
KR200360422Y1 (en) | 2004-06-11 | 2004-08-30 | 이광훈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dog |
KR101175052B1 (en) | 2012-01-30 | 2012-08-17 | 천장호 | Pet toilet |
KR101584610B1 (en) | 2015-06-18 | 2016-01-22 | 오현민 |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with pee container |
-
2018
- 2018-09-20 KR KR1020180113271A patent/KR1019314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4850Y1 (en) | 2004-04-06 | 2004-06-30 | 이원규 | toilet for pet |
KR200360422Y1 (en) | 2004-06-11 | 2004-08-30 | 이광훈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dog |
KR101175052B1 (en) | 2012-01-30 | 2012-08-17 | 천장호 | Pet toilet |
KR101584610B1 (en) | 2015-06-18 | 2016-01-22 | 오현민 |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with pee contain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968B1 (en) * | 2020-08-26 | 2021-01-25 | 오현민 | Defecation board with connecting wing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nection |
KR102377524B1 (en) | 2021-08-12 | 2022-03-22 | 김장운 | Pad rod for defecation pad and defecation processor for companion animals having the same |
WO2023018091A1 (en) * | 2021-08-12 | 2023-02-16 | 김장운 | Pad rod for defecation pad and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same for companion animal |
KR102535854B1 (en) * | 2022-10-28 | 2023-05-30 | 박요셉 |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1476B1 (en) | Defecator with an elastically pivoted handle | |
US5558840A (en) | Specimen cup holder | |
US4958871A (en) | Hand tool for picking up animal droppings | |
US6581541B2 (en) | Pet bowl with suction cup | |
US5419453A (en) | Trash receptacle with bag retainer | |
US5887545A (en) | Pet dish, kit and method of assembling | |
US2053594A (en) | Training commode for pets | |
US20040164568A1 (en) | Pet waste disposal system | |
US6681719B1 (en) | Pet dish | |
US20090275004A1 (en) | Feeding Aid | |
US6925964B2 (en) | Pet drain and capture device | |
JPH0474984B2 (en) | ||
EP2052657A2 (en) | Toilet cleaning device | |
KR102349801B1 (en) | Indoor Pet Potty Tray | |
EP0808566A2 (en) | Service unit for small pets | |
US9386891B1 (en) | Urinal device for nighttime use in men | |
KR20100121932A (en) | Litter box for cat | |
JP2009288127A (en) | Urine collector | |
US6736356B1 (en) | Toothbrush holder adapter | |
US20160165838A1 (en) | Pet Feeding Device | |
US20230320320A1 (en) | Pet bowl handling device | |
JP6488471B1 (en) | Urination treatment equipment | |
GB2246698A (en) | Disposable cleaning aid | |
KR200360422Y1 (en) | An excrement prop for a pet dog | |
KR102535854B1 (en) | Indoor potty system for a petdo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