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4292B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92B1
KR102654292B1 KR1020190013738A KR20190013738A KR102654292B1 KR 102654292 B1 KR102654292 B1 KR 102654292B1 KR 1020190013738 A KR1020190013738 A KR 1020190013738A KR 20190013738 A KR20190013738 A KR 20190013738A KR 102654292 B1 KR102654292 B1 KR 10265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elastom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359A (ko
Inventor
하승화
정승호
김규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92B1/ko
Priority to US16/726,074 priority patent/US11108014B2/en
Priority to EP20154775.9A priority patent/EP3690601B1/en
Priority to CN202010078495.5A priority patent/CN111524934A/zh
Publication of KR2020009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는 기판 위에 여러 층과 소자를 형성하여 제조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서 유리(glass)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리 기판은 무겁고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은 일반적으로 리지드(rigid) 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을 변형시키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며 변형이 쉬운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그 용도나 형태에 따라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스트레처블(stretchable)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 위에 커버 윈도우가 부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또는 스트레처블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또한 플렉서블 해야 한다. 하지만 플렉서블 윈도우는 리지드 윈도우보다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내충격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기능층,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층은 편광층 또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접착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능층, 그리고 상기 제2 기능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능층은 편광층 또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7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엘라스토머층의 계면 점착력이 400 gf/in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100 k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엘라스토머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감압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엘라스토머 기본층 및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은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보다 높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둥은 하단이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접할 수 있고 상단이 상기 제2 감압 접착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제3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2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3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적어도 한 표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절단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엘라스토머층, 제2 엘라스토머층 및 제3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은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엘라스토머층 및 제2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엘라스토머층 및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은 서로 접하는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내부에 형성된 공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기능층 사이 및 상기 기능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은 복수의 감압 접착층 및 상기 복수의 감압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엘라스토머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감압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엘라스토머 기본층 및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내충격성이 개선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1 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Ⅳ-Ⅳ'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듈러스(modulus)는 상온(25℃)에서 모듈러스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서 폴더블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할지라도, 폴더블 표시 장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벤더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같은 다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부호 x는 제1 방향이고, y는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이고, z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이다.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 장치(1)의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1)의 제1 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2 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폴더블 표시 장치(1)(이하, 간단하게 표시 장치라고도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플랫(flat)하게 펼쳐질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벤딩 영역(bending area)(BA) 및 벤딩 영역(BA) 양측에 제1 플랫 영역(flat area)(FA1) 및 제2 플랫 영역(FA2)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벤딩되는 영역이고, 제1 플랫 영역(FA1) 및 제2 플랫 영역(FA2)은 실질적으로 벤딩되지 않는 영역이다. 벤딩 영역(BA)은 표시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하나의 벤딩 영역(BA)이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 장치(1)는 서로 이격되어 있거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으로 벤딩되는 복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는 2개 이상의 벤딩 영역과 3개 이상의 플랫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on-display area)(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들(PX)이 배열되어 있는 화면(screen)에 대응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은 베젤(bezel)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폴딩(이하, 아웃폴딩(out-folding) 또는 제1 폴딩이라고 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시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마주하도록, 즉 제1 플랫 영역(FA1)의 화면과 제2 플랫 영역(FA2)의 화면이 마주하도록 폴딩(이하, 인폴딩(in-folding) 또는 제2 폴딩이라고 함)될 수 있다. 아웃폴딩 상태에서 벤딩 영역(BA)의 화면은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노출될 수 있고, 인폴딩 상태에서 벤딩 영역(BA)의 화면은 가려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아웃폴딩과 인폴딩 중 하나만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가 복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경우, 그 중 하나는 아웃폴딩이 가능한 벤딩 영역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인폴딩이 가능한 벤딩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하우징(housing)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에는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 예컨대 표시 패널, 구동 장치, 프로세서, 메모리, 인쇄 회로 기판, 배터리, 통신 모듈, 스피커, 각종 센서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Ⅳ-Ⅳ'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여러 구성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CW)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CW)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FL1, FL2)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아래에는 베이스 필름(BF)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 아래에는 쿠션층(CL)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DP), 커버 윈도우(CW), 기능층(FL1, FL2), 베이스 필름(BF) 및 쿠션층(CL)은 접착층(AL1-AL5)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소들이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패널이다. 표시 패널(DP)은 화소들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이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적어도 표시 장치(1)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영역이 플렉서블하고 벤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층으로, 그 표면이 표시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 윈도우(CW)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구성들, 특히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적어도 일부분이 벤딩될 수 있는 플렉서블 윈도우이다. 예컨대, 커버 윈도우(CW)는 적어도 표시 장치(1)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영역이 플렉서블하고 벤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할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위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필름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전체적으로 얇게(예컨대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 또는 표시 장치(1)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영역을 국부적으로 얇게 형성한 유리 필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CW)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함에서 리지드한 커버 윈도우(예컨대, 약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 두께의 유리판)보다 취약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CW) 사이에는 제1 기능층(FL1) 및 제2 기능층(FL2)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능층은 접착 기능 외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층된 층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 기능층(FL1) 및 제2 기능층(FL2) 중 어느 하나는 터치 패널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같은 폴리머 필름 위에 터치 센서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사용자의 접촉 및/또는 비접촉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 메탈 메시(metal mesh) 등으로 형성된 터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전극들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터치 패널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의 표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은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층으로 편광층 및/또는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고, 편광층 및/또는 위상 지연층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표시 패널(DP) 위에 직접 형성, 예컨대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시 패널(DP) 아래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BF)은 비교적 높은 모듈러스(modulus)(또는 탄성 계수라고 함)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은 벤딩 영역(BA)의 변형을 개선하고, 벤딩 영역(BA)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 필름(BF)은 표시 장치(1)의 배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표시 장치(1)의 취급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찍힘 등으로 인한 영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은 금속, 또는 인바(Invar), 스테인리스 스틸(SUS라고도 함) 같은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두께, 예컨대 약 15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이 금속 필름인 경우 약 10 내지 약 100 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고, 100 GPa 이상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도 있다. 베이스 필름(BF)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베이스 필름(BF)이 폴리머 필름인 경우 약 1 내지 약 10 GPa, 또는 약 4 내지 약 6 GPa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 아래에 위치하는 쿠션층(CL)은 그 위에 위치하는 구성들, 특히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쿠션층(CL)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고, 표시 패널(DP)을 프레임, 브라켓, 하우징 등의 다른 부품에 손상 없이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쿠션층(CL)은 예컨대 폼 수지(foam resin)가 같은 다공성 층(porous layer)일 수 있다. 베이스 필름(BF) 아래에는 쿠션층(CL) 외에, 차광 시트, 발열 시트, 방수 테이프 같은 기능성 시트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CW)와 제1 기능층(FL1) 사이, 제1 기능층(FL1)과 제2 기능층(FL2) 사이, 제2 기능층(FL2)과 표시 패널(DP) 사이, 표시 패널(DP)과 베이스 필름(BF) 사이, 그리고 베이스 필름(BF)과 쿠션층(CL) 사이에는 각각 이들 간의 결합을 위한 접착층(AL1-AL5)이 위치한다. 각각의 접착층(AL1-AL5)을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만으로 형성할 경우, 표시 장치(1)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의 전면(front surface)에 펜 낙하(pen drop) 등으로 인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CW)는 그러한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할 수 있고, 표시 패널(DP)이나 터치 패널에서 균열, 합선(short),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CW), 제1 기능층(FL1) 및/또는 제2 기능층(FL2)에서 버클링(buckling)이나 크랙(crack)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의 플렉서블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층(AL1-AL5)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4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수평 단면도이다. 전술한 접착층(AL1-AL5) 중 적어도 하나는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접착층(AL)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엘라스토머층(20)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엘라스토머층(20)으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PU) 같은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20)은 충격 흡수력과 회복력이 우수하므로, 접착층(AL)을 감압 접착층 단층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표시 장치(1)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접착층(AL)이나 표시 장치(1)의 원래의 형태를 유지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의 벤딩 시 응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접착층(AL)에서 전단 변형(shearing deformation)이 잘 일어나지 않으면 기능층(FL1, FL2)이나 커버 윈도우(CW)에서 버클링이 발생할 수 있고, 층들의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버클링이나 층 분리(decoupling)를 방지하기 위해, 접착층(AL)의 전단 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층(20)은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과 유사한 모듈러스, 예컨대 약 100 k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AL)은 두 감압 접착층(11, 12) 사이에 엘라스토머층(20)이 개재되어 있더라도 응력에 대해 마치 하나의 층처럼 거동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20)의 모듈러스는 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엘라스토머층(20)은 저온(-20℃)에서 약 10 MPa 이하, 상온(25℃)에서 약 100 kPa 이하, 고온(80℃)에서 약 10 k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벤딩 영역(BA)의 벤딩 시 접착층(AL)에서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과 엘라스토머층(20)의 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과 엘라스토머층(20)의 계면 접착력이 약 400 gf/in2 이상일 수 있다.
접착층(AL)이 두꺼우면 표시 장치(1)의 두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층(AL)에 의해 부착되는 층들에 버클링을 유발할 수 있다. 왜냐하면, 두께가 얇을수록 버클링이 발생하기 쉬운데, 접착층(AL)이 두꺼우면 접합되는 층들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층(AL)은 약 75 마이크로미터 이하, 약 60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는 약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20)은 예컨대 제1 감압 접착층(11) 또는 제2 감압 접착층(12) 두께의 약 1배 내지 약 5배, 또는 약 2배 내지 약 3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20)이 얇을수록 접착층(AL)에 의한 충격 흡수력이 저하될 수 있고, 엘라스토머층(20)이 두꺼울수록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의 두께가 얇아져야 하므로 접착층(AL)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감압 접착층(11)과 제2 감압 접착층(12)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AL)의 두께가 약 75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의 두께는 각각 약 15 마이크로미터이고, 엘라스토머층(20)의 두께는 약 3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접착층(AL)의 탄성적 거동(elastic behavior)이 높으면 접착층(AL)에 의해 접합되는 층들의 버클링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접착층(AL)은 90% 이상 또는 95% 이상의 복원(recover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복원 특성은 정상적인 위치에서 변형되고 1초 후 원래의 형상과 치수로 복원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도 5의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엘라스토머층(20)이 감압 접착층(11, 12, 15)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엘라스토머층(20)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되어 있고, 엘라스토머층(20)의 측면을 측면 감압 접착층(15)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의 수직 단면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접착층(AL)은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엘라스토머층(20)의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엘라스토머층(20)은 보다 낮은 모듈러스의 엘라스토머 기본층(25) 내에 보다 높은 모듈러스의 기둥들(26)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엘라스토머층(20)은 모듈러스가 약 1 내지 약 100 kPa인 연질 엘라스토머 기본층(25)에 모듈러스가 약 1 내지 약 10 MPa인 경질 엘라스토머 기둥들(26)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기둥들(26)은 10 MPa 이상의 MPa 단위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기둥(26)의 하단은 제1 감압 접착층(11)과 접할 수 있다. 각각의 기둥(26)의 상단은 제2 감압 접착층(12)과 접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20)은 제1 감압 접착층(11), 제2 감압 접착층(12) 및 측면 감압 접착층(15)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엘라스토머층(20)의 측면이 감압 접착층에 의해 둘러싸지 않을 수도 있다.
엘라스토머 기본층(25) 내에 경질의 기둥들(26)을 포함하도록 엘라스토머층(20)을 형성 시 기둥들(26)이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1)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벤딩 시 벤딩 영역(BA)에서 경질 기둥들(26)이 접착층(AL)을 소정의 두께로 유지시킴으로써 벤딩 영역(BA)의 변형을 개선하고, 벤딩 영역(BA)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질 엘라스토머층(25)에 경질 엘라스토머가 기둥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기둥들(26)은 전단력을 받으면 기울어지기 쉽다. 따라서 접착층(AL)이 경질 엘라스토머 기둥들(26)을 포함하더라도 전단 변형이 일어나기도 쉬워 접착층(AL)에 의해 부착되는 층들에서 버클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 기본층(25) 내의 기둥들(26)은 예컨대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레이저로 저 모듈러스의 엘라스토머층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고 모듈러스 수지를 채움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저 모듈러스 엘라스토머층에서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엘라스토머 기본층(25)이 되고, 구멍에 채워진 고 모듈러스 수지는 기둥들(26)이 된다. 다른 방법으로, 예컨대 마스크를 사용하여 저 모듈러스의 엘라스토머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기둥들(26)을 형성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층에서 경화되지 않은 부분은 엘라스토머 기본층(25)이 되고, 경화된 부분은 기둥들(26)이 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복수의 엘라스토머층(21, 22)을 포함한다. 예컨대,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제1 엘라스토머층(21), 제2 감압 접착층(12), 제2 엘라스토머층(22) 및 제3 감압 접착층(13)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접착층(AL)이 복수의 엘라스토머층(21, 22)을 포함 시 접착층(AL)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도록, 각각의 엘라스토머층(21, 22)은 전술한 실시예들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접착층(AL)의 두께가 약 65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제1, 제2 및 제3 감압 접착층(11, 12, 13)의 두께는 각각 약 15 마이크로미터이고, 제1 및 제2 엘라스토머층(21, 22)의 두께는 각각 약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층(AL)이 감압 접착층(12)에 의해 접합된 복수의 엘라스토머층(21, 22)을 포함할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단층의 엘라스토머층(20)을 포함하는 구조보다 접착층(AL)의 굴곡성(flexi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감압 접착층(11), 엘라스토머층(20)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엘라스토머층(20)가 표면으로부터 사선 방향(즉, 제3 방향(z)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소정 간격 및 소정 깊이로 절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개된 부분들을 절단 패턴(cutting pattern)(CP)이라고 한다. 절단 패턴(CP)으로 인해 엘라스토머층(20)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여 엘라스토머층(20)과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의 접착력이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절단 패턴(CP)에 의해 엘라스토머층(20)에 공기층(air layer)이 형성되면 엘라스토머층(20)의 완충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절단 패턴(CP)에서 절개 방향(이하 간단하게 절단 패턴(CP)의 방향이라고 함)을 사선 방향으로 형성한 것은 절단 패턴(CP)이 가급적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절단 패턴(CP)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화면의 반대쪽에서 접착층(AL)에 입사하는 광이 절단 패턴(CP)에 의해 전반사되어 절단 패턴(CP)이 시인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단 패턴(CP)이 더욱 시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감압 접착층(11)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은 헤이즈(haze) 처리될 수 있다. 헤이즈 처리는 예컨대 감압 접착층(11, 12)을 형성하는 재료에 예컨대 미립자를 혼합하거나 갑압 접착층(11, 12)의 표면을 코팅하는 것일 수 있다.
절단 패턴(CP)이 엘라스토머층(20)의 양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절단 패턴(CP)은 엘라스토머층(20)의 한 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가 인폴딩되는 표시 장치인 경우 제2 감압 접착층(12)과 접하는 상부 표면에만 절단 패턴(CP)이 형성될 수 있고, 표시 장치(1)가 아웃폴딩되는 표시 장치인 경우 제1 감압 접착층(11)과 접하는 하부 표면에만 절단 패턴(CP)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절단 패턴(CP)이 벌어져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도 11은 표시 장치(1)가 펼쳐진 상태에서 접착층(AL)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12는 표시 장치(1)가 폴딩된 상태에서 접착층(AL)의 단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제1 엘라스토머층(21), 제2 엘라스토머층(22), 제3 엘라스토머층(23)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사이에 엘라스토머층(21, 22, 23)이 개재된 구조인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3개의 엘라스토머층(21, 22, 23)이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1, 23) 사이의 제2 엘라스토머층(22)의 양측 표면에는 음각 패턴(groove pattern)(GP)이 형성되어 있다.
엘라스토머층(22)은 감압 접착층(11, 12)처럼 전단 변형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엘라스토머층(22)의 표면에 음각 패턴(GP) 같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러한 공간을 통해 전단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과의 계면 분리를 줄이고, 버클링을 방지하거나, 버클링이 발생하더라도 그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제1 엘라스토머층(2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3)은 각각 제2 엘라스토머층(22)의 양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GP)을 덮어서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의 재료(점착제)가 음각 패턴(GP)으로 압입되거나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의 재료가 음각 패턴(GP)으로 압입되면(pressed in) 음각 패턴(GP)이 시인될 수 있고 접착층(AL)의 표면이 울퉁불퉁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음각 패턴(GP)과 제1 엘라스토머층(2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은 에어(air)로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음각 패턴(GP)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엘라스토머층(22)과 제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1, 23)은 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음각 패턴(GP)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제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1, 23) 및/또는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은 헤이즈 처리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제1 엘라스토머층(21), 제2 엘라스토머층(22)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접착층(AL)은 복수의 엘라스토머층(21, 22)이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엘라스토머층(21, 22)에는 음각 패턴(GP)이 형성되어 있다. 음각 패턴(GP)은 제1 및 제2 엘라스토머층(21, 22)의 서로 접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음각 패턴(GP)은 제1 엘라스토머층(21)의 상부 표면과 제2 엘라스토머층(22)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음각 패턴(GP)은 제1 엘라스토머층(21)과 제2 엘라스토머층(22) 사이에 위치한다. 음각 패턴(GP)은 엘라스토머층(21, 22)의 전단 변형을 좀더 용이하게 하여 계면 분리와 버클링을 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엘라스토머층(21, 22)에 모두에 음각 패턴(GP)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엘라스토머층(21, 22) 중 어느 하나에만 음각 패턴(GP)이 형성될 수 있다. 음각 패턴(GP)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제1 및 제3 엘라스토머층(21, 23) 및/또는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은 헤이즈 처리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AL)은 제1 감압 접착층(11), 엘라스토머층(20) 및 제2 감압 접착층(12)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엘라스토머층(20)의 내부에는 공극 패턴(pore pattern)(PP)이 형성되어 있다. 공극 패턴(PP)은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들에서 전술한 음각 패턴(GP)과 같이, 엘라스토머층(20)의 전단 변형 발생이 잘 일어날 수 있게 하여 계면 분리와 버클링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극 패턴(PP)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엘라스토머층(20) 및/또는 제1 및 제2 감압 접착층(11, 12)은 헤이즈 처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은 접착층(AL)의 적용 시,
통상적인 점작체층과 같이 부착되는 층들의 응력을 줄이면서 전단 응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에 더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포함할 수 있는 표시 패널(DP)의 구성에 대해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의 적층 구조의 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단면은 대략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기본적으로 기판(SUB), 기판(SUB) 위에 형성된 트랜지스터(TR), 그리고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머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은 외부에서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SUB)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층과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고, 폴리머층과 배리어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SUB) 위에는 제1 절연층(IN1)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IN1)은 버퍼층으로 불릴 수 있으며, 반도체층(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SUB)으로부터 반도체층(A)으로 확산될 수 있는 불순물을 차단하고 기판(SUB)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리어층 및 제1 절연층(IN1)은 산화 규소, 질화규소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1)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A)이 위치하고, 반도체층(A) 위에는 제2 절연층(IN2)이 위치한다. 반도체층(A)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이들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반도체층(A)은 다결정 규소, 산화물 반도체, 비정질 규소 등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2)은 게이트 절연층으로 불릴 수 있고,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2)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위치한다. 게이트 도전체는 몰리브덴(Mo),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탄탈륨(Ta), 티타늄(Ti)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도전체 위에는 제3 절연층(IN3)이 위치한다. 제3 절연층(IN3)은 층간 절연층으로 불릴 수 있고,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3)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위치한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 제3 절연층(IN3) 및 제2 절연층(IN2)에 형성된 접촉 구멍들을 통해 반도체층(A)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도전체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백금(Pt), 팔라듐(Pd), 탄탈륨(Ta), 텅스텐(W), 티타늄(Ti), 니켈(N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도전체 위에는 제4 절연층(IN4)이 위치한다. 제4 절연층(IN4)은 평탄화층으로 불릴 수 있고,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층(IN4) 위에는 제1 전극(E1)이 위치한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불릴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4 절연층(IN4)에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드레인 전극(D)과 연결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휘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4 절연층(IN4) 위에는 제5 절연층(IN5)이 위치한다. 제5 절연층(IN5)은 화소 정의층으로 불릴 수 있고, 제1 전극(E1)과 중첩하는 개구(opening)를 가진다. 제5 절연층(IN5)의 개구에는 제1 전극(E1) 위로 발광층(EL)이 위치하고, 발광층(EL)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한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CE)으로 불릴 수 있다.
제1 전극(E1), 발광층(EL) 및 제2 전극(E2)은 함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구성한다. 제1 전극(E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일 수 있고,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제2 전극(E2) 위에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EC)이 위치한다. 봉지층(EC)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EC)은 하나 이상의 무기 물질층과 하나 이상의 유기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 물질층과 유기 물질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SUB) 아래에는 표시 패널(DP)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PF)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커버 윈도우(CW), 기능층(FL1) 및/또는 제2 기능층(FL2)은 표시 패널(DP)의 봉지층(EC) 위에 전술한 접착층(AL)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 필름(BF) 및/또는 쿠션층(CL)은 전술한 접착층(AL)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보호 필름(PF)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표시 패널(DP)은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표시 장치
11, 12, 13, 15: 감압 접착층
20, 21, 22, 23: 엘라스토머층
AL, AL1, AL2, AL3, AL4, AL5: 접착층
CW: 커버 윈도우
DP: 표시 패널
FL1, FL2: 기능층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된 절단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패턴은 상기 엘라스토머층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기능층,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접착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기능층은 편광층 또는 터치 패널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2 접착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기능층, 그리고
    상기 제2 기능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접착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접착층은 제1 감압 접착층, 제2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2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기능층은 편광층 또는 터치 패널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7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상기 엘라스토머층의 계면 점착력이 400 gf/in2 이상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100 k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엘라스토머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감압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엘라스토머 기본층 및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은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보다 높은 모듈러스를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은 하단이 상기 제1 감압 접착층과 접하고 상단이 상기 제2 감압 접착층과 접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제3 감압 접착층, 그리고 상기 제2 감압 접착층과 상기 제3 감압 접착층 사이의 엘라스토머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엘라스토머층, 제2 엘라스토머층 및 제3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은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연속적으로 적층된 제1 엘라스토머층 및 제2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엘라스토머층 및 상기 제2 엘라스토머층은 서로 접하는 표면에 형성된 음각 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내부에 형성된 공극 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기능층 사이 및 상기 기능층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접착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복수의 감압 접착층 및 상기 복수의 감압 접착층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층을 포함하고,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적어도 한 표면에 형성된 절단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패턴은 상기 엘라스토머층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엘라스토머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면 감압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엘라스토머 기본층 및 상기 엘라스토머 기본층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90013738A 2019-02-01 2019-02-01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tive KR10265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38A KR102654292B1 (ko) 2019-02-01 2019-02-01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6/726,074 US11108014B2 (en) 2019-02-01 2019-12-23 Flexible display device
EP20154775.9A EP3690601B1 (en) 2019-02-01 2020-01-31 Flexible display device
CN202010078495.5A CN111524934A (zh) 2019-02-01 2020-02-03 柔性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738A KR102654292B1 (ko) 2019-02-01 2019-02-01 플렉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359A KR20200096359A (ko) 2020-08-12
KR102654292B1 true KR102654292B1 (ko) 2024-04-03

Family

ID=6942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738A Active KR102654292B1 (ko) 2019-02-01 2019-02-01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08014B2 (ko)
EP (1) EP3690601B1 (ko)
KR (1) KR102654292B1 (ko)
CN (1) CN1115249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3921B (zh) * 2018-12-12 2021-07-2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127923B2 (en) * 2018-12-18 2021-09-2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KR102733093B1 (ko) * 2019-04-16 2024-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59254A (ko) * 2020-03-27 2022-12-02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기기
CN111415589A (zh) * 2020-04-02 2020-07-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模组
CN111584602B (zh) * 2020-05-28 2023-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815961B1 (ko) * 2020-06-22 202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01035A (ko) *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2035197A (ja) * 2020-08-20 2022-03-04 株式会社Joled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12038500B (zh) * 2020-08-27 2021-12-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
KR20230069964A (ko) * 2020-09-15 2023-05-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폴더블 장치
KR20220039939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4486A (ko) * 2020-10-23 2022-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924982B2 (en) 2020-11-17 2024-03-05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Curv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curved display apparatus
KR102395757B1 (ko) * 2021-01-28 2022-05-1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US12115771B2 (en) 2021-06-07 2024-10-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ultilayer adhesive
WO2022260806A1 (en) * 2021-06-07 2022-12-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multilayer adhesive
CN114038323B (zh) * 2021-11-22 2024-11-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30075191A (ko) * 2021-11-22 2023-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14078392A (zh) * 2021-11-23 2022-0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360381B (zh) * 2022-01-07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7532A1 (en) 2013-11-28 2015-05-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50207102A1 (en) 2014-01-23 2015-07-2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88451B1 (ko) * 2017-08-31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3050B2 (en) * 2013-05-21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83583A (ko) * 2014-12-31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KR102305462B1 (ko) * 2015-04-30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DE102016121942B4 (de) 2015-11-30 2024-07-25 Lg Display Co., Ltd. Faltbare Anzeigevorrichtung
KR20170064453A (ko)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04018B1 (ko) 2016-07-07 202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0139B1 (ko) 2016-09-28 2023-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94498B1 (ko) 2016-09-30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762585B1 (ko) 2016-11-30 2025-0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65776B1 (ko) 2017-01-18 2024-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부재,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접착 부재의 제조 방법
JP6747342B2 (ja) * 2017-03-10 2020-08-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センサーパネ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7532A1 (en) 2013-11-28 2015-05-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50207102A1 (en) 2014-01-23 2015-07-2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88451B1 (ko) * 2017-08-31 2018-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제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0601A1 (en) 2020-08-05
EP3690601B1 (en) 2024-03-20
US11108014B2 (en) 2021-08-31
KR20200096359A (ko) 2020-08-12
US20200251679A1 (en) 2020-08-06
CN111524934A (zh)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292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82409B1 (ko) 표시 장치
KR102568821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118032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2589214B1 (ko) 표시 장치
CN106875845B (zh) 可折叠显示装置
KR102559524B1 (ko) 표시 장치
KR2021001867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65785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WO2018221256A1 (ja) 表示装置
CN109994646A (zh) 显示装置
CN112447928A (zh) 显示装置
CN118135896A (zh) 显示装置
US20240224722A1 (en) Cover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98191A (ko) 전자 장치
KR20240073205A (ko) 표시 장치
KR20250024580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