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305462B1 -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462B1
KR102305462B1 KR1020150062087A KR20150062087A KR102305462B1 KR 102305462 B1 KR102305462 B1 KR 102305462B1 KR 1020150062087 A KR1020150062087 A KR 1020150062087A KR 20150062087 A KR20150062087 A KR 20150062087A KR 102305462 B1 KR102305462 B1 KR 10230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self
coating
healing
window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074A (ko
Inventor
오혜진
박상일
오현준
이정섭
최민훈
황인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462B1/ko
Priority to US14/983,421 priority patent/US10331172B2/en
Priority to JP2016084588A priority patent/JP6812130B2/ja
Priority to CN201610248188.0A priority patent/CN106095153B/zh
Priority to TW105113225A priority patent/TWI716402B/zh
Publication of KR2016013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4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secured to a flexible b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62Self-repairing, self-h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가요성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외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가요성(可撓性)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경질(硬質)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경질 코팅층을 덮도록 형성되며 자가 복원(self-healing) 물질로 이루어지는 자가복원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휘거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 윈도우 기판과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출력 장치 중의 하나로 컴퓨터의 처리 결과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종류에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포함되며,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에는 컴퓨터 출력 장치의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텔레비전 수상기, 휴대용 통신기기, 웨어러블(wearable) 전자기기 등의 응용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에서 평판 형상의 모듈로 제작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전기영동 표시 장치 등은 대면적이 용이하고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나아가 가요성(可撓性) 또는 신축성 있는 소재를 기판으로 채택함으로써 장치 전체가 외력에 의해 구부리고 말리거나 신장될 수 있는 가요성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입력방식으로 개발되어, 손이나 펜을 이용하여 화면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작업을 직접 실행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 하에서 가장 이상적인 입력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현재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각종 의료장비의 제어화면, 은행이나 관공서, 관광 및 주요기관의 안내를 위한 정보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 또는 가요성 표시 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지만,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윈도우층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손이나 터치용 펜의 접촉에 의해 표면에 흠결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표면 흠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윈도우층이 강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장치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 기판 상에 경도가 높은 재질로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분할된 코팅층을 형성하고 이를 자가복원 물질로 커버함으로써 유연성과 고경도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경도가 높은 재질로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분할된 코팅층과 이를 커버하는 자가복원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가요성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외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가요성(可撓性)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경질(硬質)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경질 코팅층을 덮도록 형성되며 자가 복원(self-healing) 물질로 이루어지는 자가복원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은 고립적(孤立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코팅층의 복수의 코팅 타일은 매트릭스(matrix)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계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수소결합 또는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이용한 자가치유 가능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을 개별로 커버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코팅 타일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층의 돌기를 개별적으로 코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경질 코팅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팅 타일의 두께는 10 내지 1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의 두께는 20 내지 5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터치용 펜의 첨단의 곡률 반경을 r이라고 하고, 상기 코팅 타일의 두께를 d, 서로 인접한 상기 코팅 타일 간의 최대 간격을 S 라고 할 때, 상기 최대 간격은
Figure 112015042647171-pat00001
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코팅 타일 간의 간격은 20 내지 2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 타일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은 엘라스토머(elastome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I (polyimid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 타일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에 의하면,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윈도우 기판 상에 경도가 높은 재질로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분할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과 고경도 특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가 복원력과 탄성을 갖는 자가복원 코팅층으로 상기 경도가 높은 분할된 경질 코팅층을 덮어서 보호함으로써 경도가 높은 코팅층이 외부 충격으로 손상될 수 있는 부분에 복원력을 부여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 타일의 간격 설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경질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잘라서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과 터치 스크린 패널이 윈도우 기판으로 덮여 보호되도록 구성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구동 회로부나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표시 영역(ND)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비표시 영역(ND)은 표시 장치의 설계에 따라 구동 회로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최소화 되거나 전면(前面)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 기판(200)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층(210)을 포함하고, 베이스층(210)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2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경질 코팅층(2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210) 상에는 경질 코팅층(230)을 덮도록 자가복원 코팅층(250)이 형성되며,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자가복원(self-healing)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질 코팅층(230)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화면 상에서의 입력을 위해 터치용 펜(TP)을 윈도우 기판(200)의 표면에 접촉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질 코팅층(230)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윈도우 기판(200)의 베이스층(210)에 복수의 코팅 타일(231)이 부착되어 형성되며, 코팅 타일(231)은 베이스층(210)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베이스층(210) 상에서 경질 코팅층(230)을 덮도록 형성되며, 터치용 펜(TP)의 접촉 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경질 코팅층(23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10)의 단면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150)이 부착되고, 터치 스크린 패널(150)의 상부에 윈도우 기판(200)이 부착되어 표시 패널(100)과 터치 스크린 패널(150)을 커버하고 있다.
표시 패널(100)은 행렬(matrix)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畵素, pixel)를 구비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가요성 기판에 형성되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커브드(curved) 패널이나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또는 스트레쳐블(stretchable)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아래에는 하부 보호 필름(120)이 구비되어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고 있다. 하부 보호 필름(120)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PI (Polyimide) 또는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 접착층(115)이 하부 보호 필름(12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패널(100)을 하부 보호 필름(1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 접착층(115)은 광투명 접착체(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성 테이프 형태로 적용되거나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경화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 상에는 광학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광학 필름이 터치 스크린 패널(15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은 편광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광 필름은 표시 패널(100) 측으로 입사되는 입사광 및 상기 입사광이 표시 패널(10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편광시킬 수 있고, 위상차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보다 표시 패널(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입사광 및 반사광의 위상을 조절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150)이 부착된다. 표시 패널(100) 상에는 광학 필름(미도시)이 부착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광학 필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TSP 접착층(125)이 표시 패널(100)과 터치 스크린 패널(150) 사이에 개재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150)을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TSP 접착층(125)은 광투명 접착체(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성 테이프 형태로 적용되거나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경화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의 상부에는 윈도우 기판(200)이 결합되므로, 윈도우 기판(200)에서 발생되는 터치의 위치를 센싱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동하는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항막 방식(resistive film type), 초음파 방식(ultrasonic type)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동하는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 기판(200)은 표시 패널(100)과 터치 스크린 패널(150)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표시 패널(100)과 터치 스크린 패널(150)을 덮도록 형성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150)과 윈도우 기판(200) 사이에는 윈도우 접착층(175)이 개재되어 윈도우 기판(200)을 터치 스크린 패널(15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175)은 광투명 접착체(Optically Clear Adhesive, OC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성 테이프 형태로 적용되거나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경화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기판(200)은 외부를 향하는 제1 면(210a)과 그 반대 방향으로 표시 패널(100)을 향하는 제2 면(210b)을 갖는 가요성의 베이스층(21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210)의 제1 면(210a)에 복수의 코팅 타일(2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경질 코팅층(230)을 포함하고, 코팅 타일(231)을 덮도록 베이스층(210)의 제1 면(210a)에 형성되는 자가복원 코팅층(250)을 포함한다. 코팅 타일(231)은 베이스층(210)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자가 복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팅 타일(231)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외부에 노출되는 면이 평탄면을 갖도록 경질 코팅층(230)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코팅 타일(231)의 두께는 10 내지 1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자가복원 코팅층(250)의 두께는 20 내지 5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가복원 코팅층(250)의 경도는 적어도 1H 이상이 되어야 하며, 3H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베이스층(210)은, 일례로, 엘라스토머(elastome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I (polyimid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팅 타일(231)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 그래핀(graphene), 탄소나노튜브(CNT),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Si, SiOx, SiNx 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가복원 코팅층(250)을 이루는 자가복원 물질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계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며, 수소결합 또는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이용한 자가치유 가능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자가복원 물질을 포함한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고립적(孤立的)으로 형성되는 코팅 타일(231)의 손상 가능성이 있는 부분, 일례로 모서리 부분 등을 덮어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시 스스로 치유 복원될 수 있다.
일례로, 자가복원 물질은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에 기반한 자가복원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역반응(reversible reaction)에 기반한 자가복원 폴리머는 외부 에너지가 인가되면 단량체적인 상태(monomeric state)로부터 가교결합 고분자 상태(cross-linking polymeric state)로 가역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재치유 가능한(remendable) 자가복원 물질 반응 스킴(reaction scheme)으로 딜스-알더(Diels-Alder, DA) 반응과 역 딜스-알더(retro-Diels-Alder, rDA) 반응에 기반한 반응 스킴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가복원 물질은 초분자(supramolecular) 자가복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중의 상보적, 가역적 수소 결합(multiple complementary, reversible hydrogen bonds)을 통해 강한 말단기(end-group) 및/또는 측기(side-group)의 조합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폴리머는 자가복원 엘라스토머(self-healing elastomeric polymer)로 중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10)의 윈도우 기판(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코팅 타일(231)은 각각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면서 고립적(孤立的)으로 형성되고, 행렬(matrix)형으로 배열된다. 윈도우 기판(200)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이를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D)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코팅 타일(231)로 구성되는 경질 코팅층(230)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가복원 물질을 포함하는 자가복원 코팅층(250)은 코팅 타일(231)을 덮도록 형성되므로 코팅 타일(231)이 배열되는 영역의 경계 외측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코팅 타일(231)은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코팅 타일(23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s)은 평면 상에서 상하 좌우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코팅 타일(231) 간의 간격은 20 내지 2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질 코팅층(230)에 포함되는 코팅 타일(231)의 개수와 각각의 면적은 표시 장치의 크기와 설계된 유연성에 따라 결정하여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코팅 타일(23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소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 타일의 간격 설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0)의 표면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터치용 펜(TP)의 첨단의 곡률 반경을 r이라고 하고, 윈도우 기판(200)의 경질 코팅층(230)에 형성되는 코팅 타일(231)의 두께를 d, 서로 인접한 코팅 타일(231) 간의 최대 간격을 S 라고 할 때, 최대 간격(S)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5042647171-pat00002
본 실시예에서는 자가복원 물질로 이루어지는 자가복원 코팅층(250)이 코팅 타일(231)을 덮고 있지만, 자가복원 코팅층(250)이 자가복원력을 가지므로 터치용 펜(TP)에 의해 최대한 눌려졌을 때의 상태를 고려하여 코팅 타일(231)의 간격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활용하여 코팅 타일(231)의 간격 설계 과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팅 타일(231)의 두께(d)를 10㎛라고 할 때, 터치용 펜(TP) 첨단의 곡률 반경(r)에 따른 최대 간격(S)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코팅 타일의 두께
d=10㎛
터치용 펜 첨단의 곡률반경 (r)
[mm]
최대 간격 (S)
[㎛]
0.01 20
0.05 60
0.1 87.2
0.5 199.0
0.7 235.8
1.0 282.1
다음으로, 윈도우 기판(200)의 연신율을 30%와 100%로 가정하였을 때, 신장 전, 30% 신장 후, 100% 신장 후 코팅 타일(231)의 피치(pitch), 코팅 타일(231)의 폭(H), 코팅 타일(231) 간의 간격(S, S')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코팅 타일(231)의 피치는 폭(H)과 간격(S, S')을 합한 값으로 구할 수 있고, 신장 전의 최대 간격을 S, 신장 후의 최대 간격을 S'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신장 전 코팅 타일(231)의 폭(H)과 최대 간격(S)은 동일한 것으로 설계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신장 전 30% 신장 후 100% 신장 후
pitch
[㎛]
폭(H)
[㎛]
간격(S)
[㎛]
pitch
[㎛]
폭(H)
[㎛]
간격(S')
[㎛]
pitch
[㎛]
폭(H)
[㎛]
간격(S')
[㎛]
350 175 175 455 175 280 700 175 525
300 150 150 390 150 240 600 150 450
250 125 125 325 125 200 500 125 375
200 100 100 260 100 160 400 100 300
150 75 75 195 75 120 300 75 225
100 50 50 130 50 80 200 50 150
50 25 25 65 25 40 100 25 75
10 5 5 13 5 8 20 5 15
5 2.5 2.5 6.5 2.5 4 10 2.5 7.5
1 0.5 0.5 1.3 0.5 0.8 2 0.5 1.5
0.5 0.25 0.25 0.65 0.25 0.4 1 0.25 0.75
0.1 0.05 0.05 0.13 0.05 0.08 0.2 0.05 0.15
일례로, 터치용 펜(TP)의 첨단의 곡률반경(r)이 0.5mm이고, 코팅 타일(231)의 두께(d)를 10㎛라고 할 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허용되는 최대 간격(S)은 대략 199㎛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2를 참조하면, 30% 신장 시 최대 간격(S')이 200㎛가 되는 경우가 최대 허용값이 되며, 100% 신장 시 간격(S')이 150㎛가 되는 경우가 최대 허용값이 된다.
따라서 윈도우 기판(200)의 연신율이 30%인 경우에는, 코팅 타일(231)의 폭(H)과 최대 간격(S)을 각각 125㎛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윈도우 기판(200)의 연신율이 100%인 경우에는, 코팅 타일(231)의 폭(H)과 최대 간격(S)을 각각 50㎛까지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설계치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2)은 베이스층(210)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23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부착되는 경질 코팅층(230)을 포함하고, 자가복원 물질로 이루어져 코팅 타일(231)을 덮도록 형성되는 자가복원 코팅층(25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2)은 각각의 코팅 타일(231)을 개별적으로 덮는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웃한 코팅 타일(231)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를 각각 덮고 있는 자가복원 코팅층(252)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2)에 의하면 자가복원 코팅층(252)도 고립적 패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경도의 코팅 타일(231)로 이루어지는 경질 코팅층(230)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유연성이 부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3)의 베이스층(212)은 외부를 향하는 면에 패터닝된 복수 개의 돌기(212a)를 갖는다.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에는 고경도의 코팅 타일(231)이 각각 코팅되어 경질 코팅층(230)이 형성된다. 자가복원 물질은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와 코팅 타일(231)을 동시에 덮도록 코팅되어 자가복원 코팅층(253)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3)은 외부를 향하는 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4)의 베이스층(212)은 외부를 향하는 면에 패터닝된 복수 개의 돌기(212a)를 갖는다.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에는 고경도의 코팅 타일(231)이 각각 코팅되는 경질 코팅층(230)이 형성된다. 자가복원 물질은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와 코팅 타일(231)을 동시에 덮도록 코팅되어 자가복원 코팅층(254)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4)은 각각의 돌기(212a)와 코팅 타일(231)을 개별적으로 덮는 구조를 가지며, 서로 이웃한 돌기(212a) 및 코팅 타일(231)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를 각각 덮고 있는 자가복원 코팅층(254)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경질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경질 코팅층(230)의 코팅 타일(231)들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은 원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의 평면 형상은 코팅 타일(231)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는 원형, 정육각형 또는 정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복원 코팅층(252)이 각각의 코팅 타일(231)을 덮도록 패터닝 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복원 코팅층(254)이 각각의 코팅 타일(231)과 베이스층(212)의 돌기(212a)를 덮도록 패터닝 될 수 있다. 이 때 자가복원 코팅층(252, 254)의 평면 형상은 코팅 타일(231)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립적으로 형성되는 자가복원 코팅층(252, 254)의 평면 형상은 원형, 정육각형, 또는 정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6)의 베이스층(214)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패터닝된 복수 개의 돌기(214a)를 갖는다. 베이스층(214)의 돌기(214a)는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패터닝되며, 고경도의 코팅 타일은 돌기(214a)에 각각 코팅되어 경질 코팅층(234)이 형성된다. 자가복원 물질은 베이스층(214)의 돌기(214a)와 코팅 타일을 동시에 덮도록 코팅되어 자가복원 코팅층(256)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6)은 외부를 향하는 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층(214)의 돌기(214a)는 외부를 향하는 첨단부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윈도우 기판에 형성되는 코팅층 패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207)의 베이스층(215)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 패터닝된 복수 개의 돌기(215a)를 갖는다. 베이스층(215)의 돌기(215a)는 버섯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패터닝되며, 고경도의 코팅 타일은 돌기(215a)에 각각 코팅되어 경질 코팅층(235)이 형성된다. 자가복원 물질은 베이스층(215)의 돌기(215a)와 코팅 타일을 동시에 덮도록 코팅되어 자가복원 코팅층(257)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가복원 코팅층(257)은 외부를 향하는 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베이스층의 돌기의 단면 형상과 평면 형상은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경도의 코팅 타일의 평면 형상도 다각형,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가복원 코팅층을 윈도우 기판의 베이스층 전면(全面)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딥 코팅(dip coating), 바 코팅(bar coating), 또는 슬롯다이 코팅(slot-die coating) 공정을 적용하여 자가복원 물질을 베이스층 상의 코팅 타일에 코팅할 수 있다. 자가복원 코팅층을 베이스층 상의 코팅 타일 각각에 개별적으로 코팅하거나, 코팅 타일이 개별적으로 코팅된 베이스층의 돌기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적용하여 자가복원 물질을 베이스층에 패턴 코팅할 수 있다. 이렇게 코팅된 자가복원 물질은 열경화 또는 자외선(UV) 경화에 의해 경화되어 자가복원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가요성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15: 표시 패널 접착층 120: 하부 보호 필름
125: TSP 접착층 150: 터치 스크린 패널
175: 윈도우 접착층 210, 212, 214, 215: 베이스층
200, 202, 203, 204, 206, 207: 윈도우 기판
230, 234,235: 경질 코팅층 231: 코팅 타일
250, 252, 253, 254, 256, 257: 자가복원 코팅층

Claims (24)

  1.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덮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기판은,
    외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제2 면을 갖는 가요성(可撓性)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경질(硬質)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경질 코팅층을 덮도록 형성되며 자가 복원(self-healing) 물질로 이루어지는 자가복원 코팅층
    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은 고립적(孤立的)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코팅층의 복수의 코팅 타일은 매트릭스(matrix)형으로 배열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계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수소결합 또는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이용한 자가치유 가능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을 개별로 커버하도록 패터닝된, 가요성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돌기를 갖는, 가요성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코팅 타일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층의 돌기를 개별적으로 코팅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경질 코팅층은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타일의 두께는 10 내지 1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의 두께는 20 내지 5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터치용 펜의 첨단의 곡률 반경을 r이라고 하고,
    상기 코팅 타일의 두께를 d, 서로 인접한 상기 코팅 타일 간의 최대 간격을 S 라고 할 때,
    상기 최대 간격은
    Figure 112015042647171-pat00003

    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코팅 타일 간의 간격은 20 내지 200 ㎛의 범위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타일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가요성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엘라스토머(elastome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I (polyimide),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타일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 실리콘(silicone), PU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표시 장치.
  17. 외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면을 갖는 가요성(可撓性)의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층의 제1 면에 복수의 코팅 타일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경질(硬質) 코팅층; 및
    상기 베이스층 상에 상기 경질 코팅층을 덮도록 형성되며 자가 복원(self-healing) 물질로 이루어지는 자가복원 코팅층
    을 포함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은 고립적(孤立的)으로 형성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코팅층의 복수의 코팅 타일은 매트릭스(matrix)형으로 배열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중 어느 하나의 계열인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수소결합 또는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이용한 자가치유 가능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을 개별로 커버하도록 패터닝된, 가요성 윈도우 기판.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경질 코팅층의 코팅 타일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돌기를 갖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복원 코팅층은 상기 코팅 타일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층의 돌기를 개별적으로 코팅하도록 형성되는, 가요성 윈도우 기판.
KR1020150062087A 2015-04-30 2015-04-30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Active KR10230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87A KR102305462B1 (ko) 2015-04-30 2015-04-30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US14/983,421 US10331172B2 (en) 2015-04-30 2015-12-29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6084588A JP6812130B2 (ja) 2015-04-30 2016-04-20 フレキシブルウィンドウ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CN201610248188.0A CN106095153B (zh) 2015-04-30 2016-04-20 柔性窗口基底和具有其的柔性显示装置
TW105113225A TWI716402B (zh) 2015-04-30 2016-04-28 可撓性視窗基板及包含其之可撓性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87A KR102305462B1 (ko) 2015-04-30 2015-04-30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074A KR20160130074A (ko) 2016-11-10
KR102305462B1 true KR102305462B1 (ko) 2021-09-27

Family

ID=572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087A Active KR102305462B1 (ko) 2015-04-30 2015-04-30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31172B2 (ko)
JP (1) JP6812130B2 (ko)
KR (1) KR102305462B1 (ko)
CN (1) CN106095153B (ko)
TW (1) TWI7164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8975B2 (en) 2013-02-05 2020-02-2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Nanoparticle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rack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CA3094383C (en) 2013-03-15 2022-04-12 William B. Coe Pavement repair system
US8992118B2 (en) 2013-03-15 2015-03-31 William B. Coe Pavement repair system utilizing solid phase autoregenerative cohesion
US10485757B2 (en) 2015-01-27 2019-11-2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Hypotonic hydrogel formulations for enhanced transport of active agents at mucosal surfaces
KR102297856B1 (ko) * 2015-01-30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46955B1 (ko) * 2015-01-30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56723B1 (ko) * 2015-03-25 2022-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05462B1 (ko) 2015-04-30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CN106228910B (zh) * 2016-09-26 2020-03-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以及柔性显示装置
CN106409873B (zh) * 2016-10-12 2019-06-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制造方法
KR102739830B1 (ko) * 2016-11-22 2024-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732021B1 (ko) * 2016-12-26 2024-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MX385285B (es) 2017-02-14 2025-03-18 William B Coe Aparato y método para preparar mezcla de asfalto y agregado.
US10901461B2 (en) * 2017-05-03 2021-01-26 Innolux Corporation Flexible touch display cover window layer design
JP6985033B2 (ja) * 2017-05-26 2021-12-2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光学パネル
JP7105543B2 (ja) * 2017-05-26 2022-07-2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表示素子
TWI622971B (zh) * 2017-06-13 2018-05-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可撓性疊層結構及顯示器
CN109085726B (zh) 2017-06-13 2021-10-22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挠性叠层结构及显示器
CN107263946A (zh) * 2017-06-14 2017-10-20 颜琦 保护膜
CN107081951A (zh) * 2017-06-30 2017-08-22 颜琦 保护膜
CN107315507B (zh) 2017-07-05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US11429195B2 (en) * 2017-07-06 2022-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f-healing keyboards
US10497899B2 (en) 2017-07-17 2019-12-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Harden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lexible AMOLED display device
CN107415333A (zh) * 2017-07-17 2017-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硬化膜及其制备方法、柔性amoled显示装置
KR102355103B1 (ko) * 2017-09-29 2022-0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727529A (zh) * 2017-10-31 2019-05-07 纮宇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装置
KR102459607B1 (ko) 2017-11-08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그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376038B (zh) * 2018-01-18 2020-11-20 深圳市志凌伟业技术股份有限公司 可饶式透明基板做单面架桥sito触控面板制造方法
KR102534800B1 (ko) 2018-02-13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10197838B (zh) * 2018-02-27 2021-08-17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造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656629B (zh) * 2018-03-31 2019-04-11 律勝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顯示裝置覆蓋基板及使用其之柔性顯示裝置
KR102031801B1 (ko) * 2018-06-04 2019-10-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09037237B (zh) 2018-07-24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拉伸膜、其制备方法及包含它的显示装置
CN109216424B (zh) * 2018-09-18 2020-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基板保护膜及柔性基板
KR102555986B1 (ko) * 2018-10-29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1367103B (zh) * 2018-12-25 2023-03-1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654292B1 (ko) * 2019-02-01 202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1524456B (zh) * 2019-02-01 2022-06-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折叠显示屏及折叠屏终端
CN109693419A (zh) * 2019-02-25 2019-04-30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电子产品及其外壳、外壳的制作方法
US11442201B2 (en) * 2019-04-01 2022-09-13 Microcosm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cover substrate
CN111761903A (zh) * 2019-04-02 2020-10-13 南昌欧菲光学技术有限公司 柔性盖板及终端
KR102766590B1 (ko) 2019-04-11 2025-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JP7318170B2 (ja) 2019-05-20 2023-08-0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のカバーウィンドウ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338348B1 (ko) * 2019-05-20 202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63632A1 (en) * 2019-06-26 2020-12-30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CN112216206A (zh) * 2019-07-09 2021-01-12 陕西坤同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柔性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807990A (zh) * 2019-10-14 2020-0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耐弯折盖窗口及其制备方法
CN110853514A (zh) * 2019-11-18 2020-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盖板、显示模组及显示装置
WO2021108174A1 (en) 2019-11-30 2021-06-03 Dupont Electronics, Inc. Cover window assembly, related articles and methods
CN111063260B (zh) * 2019-12-27 2021-12-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弯折方法
KR20210085194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WO2021192789A1 (ja) * 2020-03-23 2021-09-30 東洋紡株式会社 積層体
CN111246347B (zh) * 2020-03-27 2025-01-21 歌尔股份有限公司 振膜和扬声器
CN114106388A (zh) * 2020-08-26 2022-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膜及其制造方法、触控板和显示装置
US20240180017A1 (en) * 2021-03-29 2024-05-3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KR20230049818A (ko) * 2021-10-06 2023-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870723B (zh) * 2021-11-26 2022-02-25 赛德半导体有限公司 一种可弯折盖板、制备方法、显示面板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8503A (en) 1997-07-30 1999-11-23 Kuo; Weiwu A. Anti-counterfeit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d
US6403223B1 (en) * 1999-01-05 2002-06-11 Telspan Services Inc. Circular polarizer comprising anti-reflection material
JP2000276298A (ja) * 1999-03-23 2000-10-06 Nissha Printing Co Ltd 透明タッチパネル
DE19934310A1 (de) * 1999-07-21 2001-01-25 Profil Vertrieb Gmbh Als Leichtbauprofil ausgebildetes Ständerprofil
JP2002094203A (ja) 2000-09-11 2002-03-29 Nec Yonezawa Ltd フレキシブル回路板および同用コネクタ
US6518330B2 (en) 2001-02-13 2003-02-11 Board Of Trustees Of University Of Illinois Multifunctional autonomically healing composite material
KR100550377B1 (ko) 2002-12-02 2006-02-09 전자부품연구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필름기판용 기능성 보호막 및 그의제조방법
JP2004196008A (ja) 2002-12-16 2004-07-15 Toyota Motor Corp 樹脂製自動車ウィンドウ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53768A1 (en) 2003-09-04 2005-03-10 Friedman Thomas J. Surface protection coating for glass sheets
US20060038745A1 (en) * 2004-08-19 2006-02-23 Alex Naksen Variable stiffness screen
EP2395497B1 (en) 2004-10-05 2013-11-1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KR100779501B1 (ko) 2005-04-29 2007-11-28 손상호 기능성 하드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하드코팅막의제조방법
KR20070003295A (ko) 2005-07-01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보호용 커버
JP5008049B2 (ja) 2005-08-10 2012-08-22 株式会社サカイ・シルクスクリーン 表示用貼付けシート
KR101168731B1 (ko) 2005-09-06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KR20070094184A (ko) 2006-03-16 2007-09-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4605788B2 (ja) 2006-04-27 2011-01-05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9213929B2 (en) 2006-05-30 2015-12-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ttern printed sheet
KR20080024757A (ko) * 2006-09-14 2008-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 및 이를 이용하는 키보드
KR20080062355A (ko) 2006-12-29 2008-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100891703B1 (ko) 2007-03-30 200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필름
US20090004478A1 (en) 2007-06-29 2009-0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hardcoat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US8223130B2 (en) * 2007-11-28 2012-07-17 Sony Corporation Touch-sensitive sheet membe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401838B2 (ja) * 2007-11-28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触覚シート部材、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EP2105288A1 (de) * 2008-03-28 2009-09-30 Carl Freudenberg KG Selbstheilendes Elastomersystem
US9829977B2 (en) * 2008-04-02 2017-11-28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oint haptic feedback texture systems
US20110032704A1 (en) 2008-04-08 2011-02-10 Sang Keun Oh Ligh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R2930777B1 (fr) * 2008-05-05 2011-07-01 Arkema France Procede de synthese de materiaux supramoleculaires
CN201222141Y (zh) * 2008-07-17 2009-04-15 达旭 一种液晶显示器保护屏
JP2010032938A (ja) 2008-07-31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5027760B2 (ja) 2008-08-20 2012-09-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硬質皮膜形成部材
GB2464111B (en) 2008-10-02 2011-06-15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342031B2 (en) 2008-10-27 2013-01-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pacitive strain sensor
KR101213788B1 (ko) 2008-12-29 2012-12-18 제일모직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내찰상성이우수한 수지필름, 편광판 및 하드코팅층 형성 방법
KR101563685B1 (ko)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50550A (ja) * 2009-04-15 2010-11-04 Sony Corp 液晶表示装置,情報入力装置
US20100309160A1 (en) 2009-06-09 2010-12-09 Teh-Zheng Lin Capacitive sensing assembly of touch panel
KR101026981B1 (ko) 2009-06-16 2011-04-11 주식회사 하이씨엔피 스크래치 자기 치유성 코팅제 제조 방법
TWI494828B (zh) 2009-07-29 2015-08-01 Cando Corp 具降低感測結構可視性之電容式觸控面板
KR101055514B1 (ko) 2009-12-03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리지드-플렉시블 기판의 제조방법
KR101093351B1 (ko) 2010-04-12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10128533A (ko) 2010-05-24 2011-11-30 (주)하이디스터치스크린 복층 구조의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1156866B1 (ko) 2010-06-09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20033480A (ko) 2010-09-30 2012-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101284640B1 (ko) * 2010-10-13 2013-07-10 에스. 케이. 티 코포레이션 (주) 자기복원층이 구비된 플레이트
KR101720588B1 (ko) 2010-12-07 2017-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101672345B1 (ko) 2010-12-08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TWI516868B (zh) * 2010-12-16 2016-01-11 日立化成股份有限公司 光硬化性樹脂組成物、影像顯示用裝置、其製造方法
KR20120118856A (ko) 2011-01-31 2012-10-30 조이식 하드 코팅층을 이용한 입체형태의 성형 제조 방법
KR101799520B1 (ko) 2011-02-01 2017-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252224A (ja) 2011-06-03 2012-1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KR20120138958A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압력기반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1381817B1 (ko) 2011-06-30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015230A (ko)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045823A (ja) 2011-08-23 2013-03-04 Cmk Corp 折り曲げ保持機能を備えたリジッドフレックスプリント配線板
KR101808535B1 (ko) 2011-08-25 2017-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3661B1 (ko) 2011-09-06 2012-02-14 이숙훈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기판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101974478B1 (ko) 2012-01-09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37865B1 (ko) 2012-02-09 2019-0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렌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3294113A (zh) * 2012-03-02 2013-09-11 联想(北京)有限公司 具有可折叠显示屏幕的电子装置
KR101332269B1 (ko) 2012-03-09 2013-11-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요성 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 광학 표시 장치
WO2013141292A1 (ja) 2012-03-21 2013-09-26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KR101905789B1 (ko) 2012-05-10 2018-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389967B1 (ko) 2012-05-31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11809A (ko) 2012-07-20 2014-01-29 (주)도 은 하드코트 필름
KR101940104B1 (ko) 2012-08-24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8762A (ko) 2012-11-06 2014-05-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KR101461341B1 (ko) * 2012-11-30 2014-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969320B (zh) * 2012-12-10 2015-10-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056928B1 (ko) 2013-01-16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0711B1 (ko) 2013-02-01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253826A1 (en) 2013-03-08 2014-09-11 Nanchang O-Film Tech. Co., Ltd.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076973A (zh) * 2013-03-26 2014-10-01 Lg伊诺特有限公司 触控面板和具有该触控面板的触控设备
KR102086718B1 (ko) * 2013-06-20 202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보호 장치
US9219515B2 (en) 2013-09-05 2015-12-22 Apple Inc. Protective film and related assembly and method
KR102209332B1 (ko) 2014-01-06 2021-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54833B1 (ko) 2014-01-28 2020-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264648B1 (ko) 2014-06-09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0140B1 (ko) 2014-09-15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이의 휘도 보상 방법
KR102223680B1 (ko) 2014-11-03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60188098A1 (en) 2014-12-26 2016-06-30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KR102300641B1 (ko) 2015-01-22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KR102346955B1 (ko) 2015-01-30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297856B1 (ko) 2015-01-30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05462B1 (ko) 2015-04-30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082410B1 (ko) 2016-07-22 2020-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95153B (zh) 2021-10-26
CN106095153A (zh) 2016-11-09
TWI716402B (zh) 2021-01-21
US20160320803A1 (en) 2016-11-03
JP6812130B2 (ja) 2021-01-13
TW201643841A (zh) 2016-12-16
JP2016212398A (ja) 2016-12-15
US10331172B2 (en) 2019-06-25
KR20160130074A (ko)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462B1 (ko)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US10444798B2 (en)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97856B1 (ko) 가요성 윈도우 기판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42869B1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11730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4284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53244B1 (ko) 윈도우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281847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926816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7201097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2017006463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37305B1 (ko) 터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70567A (ko) 표시장치
US20140043734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36169A (ko) 표시 장치
KR102380157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2927B1 (ko) 표시 장치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KR2024017069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