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762A -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 Google Patents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8762A KR20140058762A KR1020120124551A KR20120124551A KR20140058762A KR 20140058762 A KR20140058762 A KR 20140058762A KR 1020120124551 A KR1020120124551 A KR 1020120124551A KR 20120124551 A KR20120124551 A KR 20120124551A KR 20140058762 A KR20140058762 A KR 201400587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rd coating
- layer
- cover window
- film
- coating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16 photochemical c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23 electro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1 silica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EPOKWHJYJXUGD-UHFFFAOYSA-N 2-(3-phenylmethoxyphenyl)-1,3-thiazole-4-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SC(C=2C=C(OCC=3C=CC=CC=3)C=CC=2)=N1 OEPOKWHJYJXUG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DSUVTROAWLVJA-UHFFFAOYSA-N 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C=C.OC(=O)C=C.OC(=O)C=C.OC(=O)C=C.OCC(CO)(CO)COCC(CO)(CO)CO FDSUVTROAWLV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CDWUDYQOTSW-UHFFFAOYSA-N 2-ethylbut-3-enal Chemical compound CCC(C=C)C=O CBECDWUDYQOT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compound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65 Polyparaphen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3 acrylonitril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WCCWEUUXYIKHB-UHFFFAOYSA-N benzophe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1=CC=CC=C1 RWCCWEUUXYIK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9 colloidal sil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4 diacet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6 doctor blad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THNLKXLWOXOQK-UHFFFAOYSA-N n-propyl vin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O)C=C JTHNLKXLWOXOQ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83 poly(ethyl meth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SCUZVMOVTVSBLE-UHFFFAOYSA-N prop-2-enenitril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N.C=CC1=CC=CC=C1 SCUZVMOVTVSB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CTAWXVAICEBSD-UHFFFAOYSA-N prop-2-enoyloxy prop-2-eneperoxoate Chemical compound C=CC(=O)OOOC(=O)C=C KCTAWXVAICEB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63 reverse roll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57 sulf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나노섬유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층이 적층된 하드코팅필름을 적용함으로써, 플렉시블(flexible)과 동시에 내충격강도 및 연필경도가 7H 이상으로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과 동시에 연필경도가 우수한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물질은 플라스틱의 형태로 우리의 실생활에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고 있고 지금도 가공의 용이성, 대량생산성, 가격의 안정성 측면에서 기존 고분자 재료들이 많은 부분에 새롭게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각종 디스플레이 분야에 고분자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자발광 디스플레이(EL)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윈도우 보호용 하드코팅 판넬이다.
외부에 노출된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의 윈도우는 일상 생활에서의 내스크래치성, 각종 유기용제에 대한 저항성 및 증착, 플렉시블(flexible) 등의 가공에 따른 특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종래의 하드코팅제로 사용되는 고분자로는 아크릴성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에폭시 중합체, 규소 중합체, 또는 실리카 화합물 등이 있다. 이러한 중합물들은 모노머나 올리고머 형태로 존재하여 이들에 광개시제를 부가하여 열이나 자외선(UV)에 의해 중합물을 형성시킴으로 하드코팅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코팅제는 가교 밀도를 증가시킬수록 내마모성은 증가하지만 코팅층의 수축성으로 인해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으며 코팅 이음매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재질과의 접착력이 감소되어 약간의 접촉에도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흠집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내충격성과 동시에 종이처럼 접거나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갖는 하드코팅필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코팅필름을 적용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나노섬유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층이 적층된 하드코팅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나노섬유층은 두께가 500nm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층은 직경이 50 내지 100nm 범위이고 전기방사하여 형성된 나노섬유가 망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0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하드코팅필름이 적층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연필경도가 7H 이상이고, 크랙이 발생하기 않는 굴곡률(mandrel 봉의 직경)이 10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필름 상에, 직경이 50 내지 100nm범위인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인쇄하여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하고, 50 내지 90℃에서 2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 및 80 내지 110?에서 열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코팅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필름 상에, 직경이 50 내지 100nm범위인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인쇄하여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하고, 50 내지 90℃에서 2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상기 하드코팅층을 라미네이션한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하고 80 내지 110?에서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 및 커버 윈도우는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연필경도가 7H 이상이므로 상용 양태에 따른 접촉이나 충돌에 의해 그 표면이 벗겨지거나 스크래치와 같은 흠집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 및 커버 윈도우는 플렉시블(flexible) 하여 종이처럼 접거나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 및 커버 윈도우는 플렉시블과 동시에 연필경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디스플레이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과 동시에 연필경도가 우수한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은 이형필름(10), 상기 이형필름 상에 나노섬유층(20) 및 상기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층(30)이 적층된다(도 1).
이형필름은 기재필름의 일면에 이형 코팅액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 및 경화시켜 이형 코팅층을 형성한다.
기재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콜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형 코팅액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례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는 바코드법, 닥터 블레이드법, 리버스롤코트법 또는 그라비어롤 코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막의 건조 및 열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 등의 경화공정은 개별 또는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 100℃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열경화는 100℃ 이상에서 3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온도가 100℃ 이하 및 30초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하면 도막의 경화가 불완전하며 도막의 탈락 등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형필름 상에, 나노섬유를 인쇄하여 나노섬유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는 평균 직경이 500㎚ 이하인 섬유를 지칭한다. 나노섬유는 일반적으로 섬유 직경이 1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이때, 입자가 나노섬유 상에 존재하고 불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공지의 기법(예, 전자현미경과 연결된 화상 분석 도구)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섬유의 무-입자 부분에 대한 첨가된 입자의 존재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확대되는 섬유의 부분은 제외한다.
상기 나노섬유는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기방사는 유체 역학과 하전된 표면상에서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용액으로부터 나노크기의 섬유를 생성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 섬유의 형성은 전압 공급원과 전기 소통하는 신체내의 오리피스에 용액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전기력은 접지될 수 있는 표면상에서 또는 신체 이외의 낮은 전압에서 부착되는 미세한 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전기방사 시 니들, 슬롯 또는 기타의 오리피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된 중합체 용액 또는 용융물은, 수집 그리드에 비하여 높은 전압으로 하전된다. 전기력은 표면 장력을 극복하며, 중합체 용액 또는 용융물의 미세한 분사가 접지되거나 또는 반대로 하전된 수집 그리드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분사는 표적에 도달하기 이전에 훨씬 더 미세한 섬유 흐름으로 퍼질 수 있으며, 작은 섬유의 상호 연결된 웹으로서 수집된다.
다양한 형태의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의 예로는 분지된 나노섬유, 튜브, 리본 및 분할 나노섬유, 나노섬유 얀, 표면-코팅된 나노섬유(예, 탄소, 금속 등을 지님), 진공하에서 생성된 나노섬유 등이 있다. 전기방사 섬유의 생성은 예를 들면 문헌[P. W. Gibson et al., "Electrospun Fiber Mats: Transport Properties," AIChE Journal, 45(1): 190-195 (January 1999)]을 비롯한 다수의 문헌 및 특허에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된 나노섬유층은 망상구조를 형성한다. 망상구조는 하드코팅필름의 플렉시블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나노섬유층은 두께가 1 내지 5㎛일 수 있다. 두께가 1㎛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약할 수 있으며 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학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한 후, 건조 및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코팅액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드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유기실란제, 무기 충전제 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등의 첨가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하드코팅액 조성물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90?에서 2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는 500 내지 1000mJ/㎠ 광량 범위에서 수행되는 완전 경화가 아니라 5 내지 50mJ/㎠ 광량 범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반경화를 수행한다. 상기 광량 범위가 5mJ/㎠미만이면 그 양이 미미하여 반경화가 수행되지 않거나 장시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mJ/㎠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완전 경화가 발생하여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두께가 10㎛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곡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을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라미네이션한 후, 광경화 및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기재 필름은 당 분야에서 광학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고분자 기재필름과 하트코팅층이 접합되도록 라미네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경화 및 열경화에 의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경화의 상기 하드코팅필름 제조와 동일하며, 열경화는 80 내지 11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4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하드코팅필름이 적층된 커버 윈도우에 특징이 있다(도 3).
이때, 기재필름은 상기 이형필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연필경도가 7H 이상이고, 크랙이 발생하기 않는 굴곡률(mandrel 봉의 직경)이 10㎜미만으로, 내충격성과 동시에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두께가 100um인 이형필름상에, 전기방사 나노섬유(에프티이엔이제조사, 파인텍스제품명)를 랜덤하게 인쇄(하부 멀티 노즐로부터 액을 정전기에 의하여 발사하여 상부에 움직이는 필름표면에 랜덤하게 인쇄)하여 두께가 500nm인 나노섬유층을 형성하였다.
이후에 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을 코팅한 후, 70℃에서 3분 동안 건조한 후, 30mJ/㎠의 광량으로 경화시켜서 나노섬유층 상에 두께가 15㎛인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두께가 80u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에 상기에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을 라미네이션한 후, 720mJ/cm2으로 광경화한 후 150℃에서 2시간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드코팅층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접합되도록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두께가 100um인 이형필름상에, 전기방사 나노섬유(에프티이엔이제조사, 파인텍스제품명)를 랜덤하게 인쇄(하부 멀티 노즐로부터 액을 정전기에 의하여 발사하여 상부에 움직이는 필름표면에 랜덤하게 인쇄)하여 두께가 500nm인 나노섬유층을 형성하였다.
이후에 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을 코팅한 후, 70℃에서 3분 동안 건조한 후, 30mJ/㎠의 광량으로 경화시켜서 나노섬유층 상에 두께가 5㎛인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두께가 80u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에 상기에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을 라미네이션한 후, 720mJ/cm2으로 광경화한 후 150℃에서 2시간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드코팅층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접합되도록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1
두께가 100um인 이형필름상에, E-glass(두께 35um)를 놓는다.
이 위에 하드코팅층 형성 조성물을 코팅한 후, 70℃에서 3분 동안 건조한 후, 30mJ/㎠의 광량으로 경화시켜서 E-glass 상에 두께가 15㎛인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하드코팅필름을 제조하였다.
두께가 80u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에 상기에서 제조된 하드코팅필름을 라미네이션한 후, 720mJ/cm2으로 광경화한 후 150℃에서 2시간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드코팅층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접합되도록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2
두께가 80um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에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일본화약) 35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MEK-ST, 일산화학) 5중량%, 1-히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시바게이지) 1중량%, 메틸이소부틸케톤 68.9중량% 실록산계 계면활성제(BYK-325, 빅케미사) 0.1중량%의 조성물인 하드코팅층으로 코팅한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얻어진 커버 윈도우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연필경도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한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한다. 기스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평가기준]
OK: 기스가 0 또는 1개
NG: 기스가 2개 이상
2.
굴곡률
2.5㎝×20㎝ 크기의 커버 윈도우와 원하는 직경의 만드렐(Mandrel) 봉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커버 윈도우의 전극 면이 만드렐 봉 바깥쪽으로 위치하게 한 후 만드렐 봉에 대고 커버 윈도우를 접듯이 눌러주었다. 이후에 삼파장 램프를 이용하여 표면처리의 깨짐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변색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만드렐 직경이 10㎜이하이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3.
내충격강도
커버 윈도우에 30g의 볼을 30㎝의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견디면 OK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4. 광학적 특성
시야각이 45℃인 측면에서 표면의 색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색상이 무색이면 OK인 것으로 간주한다.
구분 | 연필경도 (H) | 굴곡률(mm, 직경) | 내충격강도 | 광학적 특성 |
실시예 1 | 7 | 10 | OK | OK |
실시예 2 | 6 | 5 | OK | OK |
비교예 1 | 7 | 20 | OK | NG(보라색) |
비교예 2 | 3 | 30 | NG | OK |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이 적층된 실시예 2의커버 윈도우는 비교예에 비해 플렉시블(flexible)과 동시에 연필경도 및 내충격강도,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이형필름
20: 나노섬유층
30: 하드코팅층
40: 기재필름
20: 나노섬유층
30: 하드코팅층
40: 기재필름
Claims (8)
-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나노섬유층 및 상기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층이 적층된 하드코팅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두께가 500nm 내지 5㎛인 하드코팅필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직경이 50 내지 100nm범위이고 전기방사하여 형성된 나노섬유가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하드코팅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은 두께가 10 내지 100㎛인 하드코팅필름.
-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의 하드코팅필름이 적층된 커버 윈도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연필경도가 7H 이상이고, 크랙이 발생하기 않는 굴곡률(mandrel 봉의 직경)이 10mm 이하인 커버 윈도우.
- 이형필름 상에, 직경이 50 내지 100nm범위인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인쇄하여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하고, 50 내지 90℃에서 2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드코팅필름의 제조방법.
- 이형필름 상에, 직경이 50 내지 100nm범위인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인쇄하여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나노섬유층 상에 하드코팅액 조성물을 코팅하고, 50 내지 90℃에서 2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하여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상기 하드코팅층을 라미네이션한 후 5 내지 50mJ/㎠ 이상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경화하고 80 내지 110?에서 열경화하여 커버 윈도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551A KR20140058762A (ko) | 2012-11-06 | 2012-11-06 |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4551A KR20140058762A (ko) | 2012-11-06 | 2012-11-06 |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8762A true KR20140058762A (ko) | 2014-05-15 |
Family
ID=5088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4551A Withdrawn KR20140058762A (ko) | 2012-11-06 | 2012-11-06 |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58762A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6007A1 (ko) * | 2014-09-03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팅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
US9619059B2 (en) | 2015-01-22 | 2017-04-11 | Samsung Display Co., Ltd.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WO2017099320A1 (ko) * | 2015-12-10 | 2017-06-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
KR101878684B1 (ko) * | 2017-11-15 | 2018-07-16 | 주식회사 엔지엘 | Led 조명용 광확산판 및 이의 제조방법 |
US10118371B2 (en) | 2015-08-03 | 2018-11-06 | Lg Chem, Ltd. | Flexible plastic film |
US10168740B2 (en) | 2015-01-30 | 2019-01-0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234693B2 (en) | 2015-06-22 | 2019-03-1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0233355B2 (en) | 2015-08-03 | 2019-03-19 | Lg Chem, Ltd. | Flexible plastic film |
US10331172B2 (en) | 2015-04-30 | 2019-06-25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626292B2 (en) | 2015-08-03 | 2020-04-21 | Lg Chem, Ltd. |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
US11215737B2 (en) | 2018-10-12 | 2022-01-0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30154340A (ko) | 2022-04-29 | 2023-11-08 | 희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2012
- 2012-11-06 KR KR1020120124551A patent/KR20140058762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36007A1 (ko) * | 2014-09-03 | 2016-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코팅유닛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
CN106687224A (zh) * | 2014-09-03 | 2017-05-17 | 三星电子株式会社 | 涂层单元及具有该涂层单元的电子装置 |
US9619059B2 (en) | 2015-01-22 | 2017-04-11 | Samsung Display Co., Ltd.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US10168740B2 (en) | 2015-01-30 | 2019-01-0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444798B2 (en) | 2015-01-30 | 2019-10-15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331172B2 (en) | 2015-04-30 | 2019-06-25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10234693B2 (en) | 2015-06-22 | 2019-03-1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168191B2 (en) | 2015-08-03 | 2021-11-09 | Lg Chem, Ltd. | Flexible plastic film |
US11161951B2 (en) | 2015-08-03 | 2021-11-02 | Lg Chem, Ltd. |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
US10118371B2 (en) | 2015-08-03 | 2018-11-06 | Lg Chem, Ltd. | Flexible plastic film |
US10233355B2 (en) | 2015-08-03 | 2019-03-19 | Lg Chem, Ltd. | Flexible plastic film |
US10626292B2 (en) | 2015-08-03 | 2020-04-21 | Lg Chem, Ltd. |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
US10961364B2 (en) | 2015-12-10 | 2021-03-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ver window for protecting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cover window manufacturing method |
WO2017099320A1 (ko) * | 2015-12-10 | 2017-06-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
KR101878684B1 (ko) * | 2017-11-15 | 2018-07-16 | 주식회사 엔지엘 | Led 조명용 광확산판 및 이의 제조방법 |
US11215737B2 (en) | 2018-10-12 | 2022-01-0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747521B2 (en) | 2018-10-12 | 2023-09-0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30154340A (ko) | 2022-04-29 | 2023-11-08 | 희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58762A (ko) | 하드코팅필름 및 이를 적용한 커버 윈도우 | |
CN103608167B (zh) | 基于基材的加成法制造工艺和装置 | |
KR101601988B1 (ko) |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전도체의 제조 방법 | |
JP4938675B2 (ja) | 特定の表面形状と物性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構造体形成用の(メタ)アクリル系重合性組成物 | |
US20090056854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 |
KR102054166B1 (ko) | 적층체,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 패널 | |
KR101493251B1 (ko) |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사용 | |
US20150239023A1 (en) | Anti-smudge body, display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03890617B (zh) | 光学膜、面发光体和光学膜的制造方法 | |
KR20100081976A (ko) | 광경화성 조성물, 미세 패턴 형성체의 제조 방법 및 광학 소자 | |
KR20140126299A (ko) | 방오층, 방오성 기재,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 | |
CN110612326B (zh) | 具有硬涂层的透明复合膜、其形成方法及包含其的挠性显示装置 | |
KR20140084267A (ko) |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가요적인 내스크랫치성 필름 | |
TW201441037A (zh) | 透明積層薄膜、透明導電性薄膜及氣體阻隔性積層薄膜 | |
TW201531396A (zh) | 積層聚酯薄膜、及使用其而成之偏光板 | |
WO2011146912A2 (en) | Stencils for high-throughput micron-scale etching of substrates and processe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
TW201800262A (zh) | 聚酯膜及其製造方法、硬塗膜及其製造方法、圖像顯示裝置及觸控面板 | |
JP2016068483A (ja) |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 |
JPWO2018168284A1 (ja) | 光学フィルム | |
CN105980279B (zh) | 膜的输送方法及光学膜的制造方法 | |
JP5552979B2 (ja) | 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該ガスバリアフィルムを有する有機電子デバイス | |
KR102004026B1 (ko) |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7531032A (zh) | 导电性层叠体、触控面板和导电性层叠体的制造方法 | |
KR20200006487A (ko)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 박리 필름 | |
KR20200006486A (ko)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 박리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