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0139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39B1
KR102620139B1 KR1020160124532A KR20160124532A KR102620139B1 KR 102620139 B1 KR102620139 B1 KR 102620139B1 KR 1020160124532 A KR1020160124532 A KR 1020160124532A KR 20160124532 A KR20160124532 A KR 20160124532A KR 102620139 B1 KR102620139 B1 KR 10262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isplay device
cover glass
adhesive lay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833A (ko
Inventor
진미형
김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제 1 접착제로 홀 패턴을 갖는 접착필름과 제 2 접착제로 제 1 접착제의 홀을 채우는 액상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발생하는 황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지지역할을 할 수 있는 액상의 제 1 접착제로 그물망패턴을 형성하고 제 2 접착제로 도포한 접착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발생하는 황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에 의한 커버글래스의 쳐짐으로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나타나는 황변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표시장치(display device)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 등이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이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이 배치된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명암 대비비가 우수하면서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진다.
위와 같이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표시장치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표시장치는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 그 사용영역이 보다 다양해지면서 경량 및 박형을 추구하는 동시에 표시영역 외부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이에 대응되는 베젤의 폭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표시장치의 전면에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글래스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데,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위하여 커버글래스의 두께가 두껍거나 대형화로 구성되면서, 커버글래스의 하중에 의해 접착층의 두께가 위치별로 다르게 변형되고,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의 쳐짐이 발생하여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황변(Yellow Mura)이 나타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1b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c는 종래의 표시장치에 따른 황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a 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글래스(150)가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 과 커버글래스(150) 사이에 이들을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층(130)이 배치된다.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경우, 이에 부착되는 커버글래스(150)의 두께 및 크기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커버글래스(150)의 무게도 증가하게 된다.
커버글래스(150)의 크기 및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커버글래스(150)의 중앙영역(CA)은 쳐짐이 발생한다.
즉, 커버글래스(150)의 중앙영역(CA)에 배치된 접착층(130)은 커버글래스(150)의 하중(W)에 의하여 두께가 감소하고, 커버글래스(150)의 중앙영역(CA)에 배치되어 있던 접착층(130)이 외곽부로 밀려나면서 커버글래스(150)의 외곽영역(SA)에 배치된 접착층(130)의 두께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150)의 중앙영역(CA)에는 쳐짐이 발생하고, 커버글래스(150)의 외곽영역(SA)은 들뜨게 되어 외곽부에 황변(Yellow Mura)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표시장치(100)의 표시영역 외부의 비표시영역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배젤을 구현하는 경우, 황변이 두드러지게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외곽부의 황변을(Yellow Mura)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부에 안착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접착제는 홀 패턴을 가지는 접착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착제는 액상 형태로 상기 제 1 접착제의 상기 홀 패턴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이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착제의 점도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점도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착제가 가지는 상기 홀 패턴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홀 사이의 간격은 0.1mm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홀 각각의 지름이 0.5mm와 같거나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 패턴은 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부에 안착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접착제는 액상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접착제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이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점도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점도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 형태는 다수의 선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의 피치는 0.5mm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선을 구성하는 각각의 선의 두께는 0.3mm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제 1 접착제인 홀 패턴을 갖는 접착필름과 제 2 접착제인 제 1 접착제의 홀을 채우는 액상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발생하는 황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버글래스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지지역할을 할 수 있는 액상의 제 1 접착제로 그물망 패턴을 형성하고 그물망 패턴 상부에 제 2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외곽부에 발생하는 황변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종래의 표시장치에 따른 황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홀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그물망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량에 따른 황변 발생여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c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두께에 따른 황변 발생여부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 12a는 종래의 접착층을 가지는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발생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개선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개선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접착층(230) 및 커버글래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상에서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인데,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표시면 방향을 전방 또는 상부 방향(혹은 상방),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 또는 하방(혹은 하부 방향)이라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LCD는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액정패널인 경우, 다시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영역에 정의되는 픽셀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액정패널의 상부 전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은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광원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광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인 LED 구동회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Sheet)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LED)의 패널인 경우,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화소와, 각 화소에 제공된 유기발광다이오드 재료층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OLED로 이루어질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10) 하부로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은 생략된다.
또한, 표시장치(200)에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및/또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액정패널과 OLED 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글래스(25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상면에 접착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 및 스크레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글래스(210)는 접착층(2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접착하여 표시장치(200)를 정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화에 추세에 따라 넓은 디스플레이 면적을 구현하면서 발생하는 표시장치(도1b의 100)의 외곽영역(도1b의 SA)에 황변(Yellow Mura)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의 접착층(230)은 제 1 접착제(230a)와 제 2 접착제(230b)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층(230)은 홀(H) 패턴을 가지는 접착 필름인 제 1 접착제(230a)와 액상 상태로 제 1 접착제(230a)의 홀에 주입되는 제 2접착제(23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착제(230a)는 제 2접착제(230b)보다 점도가 높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230a)가 제 2 접착제(230b)보다 점도가 높다는 의미는 접착층(230)이 커버글래스(250)의 하중에 의하여 눌렸을 때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큰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230a)는 제 2 접착제(230b) 보다 점도가 높은 접착필름의 형태로 구성되며, 제 2 접착제(230b)의 경우 3000cps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착층(230)의 제 1접착제(230a)의 접착력보다 제 2 접착제(230b)의 접착력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230)은 홀(H) 패턴을 가지는 제 1접착제(230a)인 접착필름인 제 1 접착제(230a)와 홀(H) 패턴에 주입되는 액상의 제 2 접착제(230b)로 이루어지고, 접착필름인 제 1 접착제(230a)를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접착한 상태에서 액상의 제 2 접착제(230b)를 제 1 접착제(230a)인 접착필름의 홀(H) 패턴 내에 주입하고, 커버글래스(250)를 접착층(230) 상부에 부착하고 UV를 조사하여 접착층(230)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접착층(230)을 통하여 커버글래스(250) 와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즉, 제 1 접착제(230a)를 통하여 커버글래스(25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쳐짐을 방지함으로써, 표시장치(200)의 외곽부의 황변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 2 접착제(230a)를 통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킨 표시장치(200)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230a)는 아크릴(Acryl) 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필름을 사용될 수 있고, 제 2 접착제(230b)는 아크릴(Acryl),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e)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접착제(230a)와 제 2 접착제(230b)의 굴절률은 동일하거나, 제 1 접착제(230a)와 제 2 접착제(230b)의 굴절률의 차이가 1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홀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제(230a)의 홀(H) 패턴의 피치(P)는 홀(H) 패턴에 형성된 홀(H)의 간격(R)과 홀(H)의 지름(D)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홀(H)의 간격(R)은 0.1mm와 같거나 크게 배치되며, 홀(H)의 지름(D)은 0.5mm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접착제(230a)가 가지는 홀(H) 패턴은 다수의 홀(H)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홀(H)은 0.1mm 또는 0.1mm 보다 큰 간격(R)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홀(H)은 0.5mm 또는 0.5mm 보다 큰 지름(D)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접착제(230a)가 가지는 홀(H) 패턴의 피치(P)는 0.6mm 와 같거나 0.6mm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글래스(25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이형 커버글래스(250)의 경우 홀(H) 패턴의 피치(P)는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제(230a)가 가지는 홀(H) 패턴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도 6c 내지 6e와 같이 비등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6a 및 도 6b의 경우, 제 1 접착제(230a)가 가지는 다수의 홀(H)이 가지는 간격(R)이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지며 형성되고, 도 6c 내지 6e의 경우, 제 1 접착제(230a)가 가지는 다수의 홀(H)이 가지는 간격(R1, R2, R3)은 상이한 값을 가지며 형성된다.
또한, 홀(H) 패턴이 가지는 각각의 홀(H)은 원, 사각, 육각형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접착제(230a)가 커버글래스(250)를 지지하면서 제 2 접착제(230b)가 주입될 수 있는 홀(H)을 가지는 구조이면 다양한 형태로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커버글래스(250) 사이에서 형성된 접착층(230)이 제 1 접착제(230a)와 제 2 접착제(230b)로 구성되고, 제 1 접착제(230a)인 접착필름의 홀(H) 패턴에 제 2 접착제(230b)가 주입되고, 커버글래스(250)를 접착층(230)에 접착시키고 UV조사를 하여 접착층(230)을 경화하여, 커버글래스(250)와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접착층(230)을 통하여 접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글래스(250)의 쳐짐을 방지하여 황변 문제를 개선하면서 접착력을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300)는 액상의 제 1 접착제(330a)로 그물망 형태의 패턴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310) 상부에 제 1 접착제(330a)로 그물망 패턴을 형성하고, 그물망 패턴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310) 전면에 제 2 접착제(330b)를 도포하여 접착층(3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물망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접착제(330a)와 그물망 패턴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310) 전면에 도포하는 제 2 접착제(330b)는 액상의 접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접착제(330a)는 제 2접착제(330b)보다 점도가 높을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330a)가 제 2 접착제(330b)보다 점도가 높다는 의미는 접착층(330)이 커버글래스(350)의 하중에 의하여 눌렸을 때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큰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300a)의 점도는 3000cps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접착제(330a)로 디스플레이 패널(310) 상부에 그물망 패턴을 형성하고, UV를 조사하여 가경화 시키고, 제 2 접착제(330b)의 그물망 패턴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310) 전면에 제 2 접착제(330b)를 도포하고 커버글래스(350)를 접착시킨 후에 접착층(330)을 완경화 시킴으로써, 접착층(330)을 통하여 커버글래스(350)와 디스플레이 패널(310)이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330a)의 경화 에너지는 제 2 접착제(330b)의 경화 에너지와 같거나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330)의 제 1접착제(330a)의 접착력보다 제 2 접착제(330b)의 접착력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330)은, 제 1접착제(330a)로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상부에 그물망 패턴을 형성하고, 제 1 접착제(330a)를 가경화한 후, 제 2 접착제(330b)를 그물망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의 전면에 도포하고, 접착층(330) 상부에 커버글래스(350) 접착시키고 접착층(330)을 완경화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30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과 커버글래스(350)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330)을 통하여 견고하게 접착된다,
즉, 접착층(330)의 제 1 접착제(330a)를 통하여 커버글래스(3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커버글래스(350)의 쳐짐을 방지하고, 표시장치(300)의 외곽부의 황변을 개선함과 동시에, 제 2 접착제(330b)를 통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킨 표시장치(300)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착제(330a)는 아크릴(Acryl)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제 2 접착제(330b)는 아크릴(Acryl), 우레탄(Urethane), 실리콘(Silicone)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접착제(330a)와 제 2 접착제(330b)의 굴절률은 동일하거나, 제 1 접착제(330a)와 제 2 접착제(330b)의 굴절률의 차이가 1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접착제의 그물망 패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착제(330a)의 그물망 패턴은 다수의 선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그물망 패턴에 포함된 다수의 선은 교차하는 장축 방향의 선과 단축 방향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장축 방향의 선과 단축 방향의 선의 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으나, 커버글래스(350)를 지지하기 위하여 장축 방향의 선과 단축 방향의 선이 각각 3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물망 패턴에 포함된 다수의 선의 피치(P)는 0.5mm와 같거나 0.5mm 보다 크게 배치되며, 각각의 선의 두께(A)는 0.3mm와 같거나 0.3mm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글래스(350)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이형 커버글래스(350)의 경우 그물망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선의 피치(P) 및 두께(A)는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10) 상부에 그물망 형태의 제 1 접착제(330a)를 도포하여 가경화하고, 그물망 형태의 제 1 접착제(330a)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제 2 접착제(330b)를 도포하여 접착층(330)을 형성하고, 접착층(330) 상부에 커버글래스(350)를 접착하여 본경화함으로써, 커버글래스(350)의 하중에 따른 접착층(33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글래스(350)의 휘어짐에 따른 황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 비교예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 300)와 비교예로서 종래의 표시장치(도1a의 100)의 커버글래스(150)의 두께에 따른 황변 발생을 개시한다.
비교에 앞서 커버글래스(150)의 두께에 따른 커버글래스(150)의 쳐짐 및 이에 따른 황변 발생 여부를 설명한다.
도 11a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b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쳐짐량에 따른 황변 발생여부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1c는 종래의 표시장치의 커버글래스의 두께에 따른 황변 발생 여부를 나타낸 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글래스(150)의 두께가 3T(=3mm)인 경우, 커버글래스(150)의 무게는 6kg이며, 커버글래스(150)의 쳐짐량(L)은 2.7mm이고 황변은 발생하지 않는다.
커버글래스(150)의 두께가 4T(=4mm)인 경우, 커버글래스(150)의 무게는 8kg이며, 커버글래스(150)의 쳐짐량(L)은 3.6mm이고 황변이 발생한다.
커버글래스(150)의 두께가 5T(=5mm)인 경우, 커버글래스(150)의 무게는 10kg이며, 커버글래스(150)의 쳐짐량(L)은 4.5mm이고 황변이 발생한다.
이에, 55인치 표시장치(100, 200, 300)에 커버글래스(두께 5T, 무게 10KG) (150, 250, 350)를 기존 접착층(도1a의 130)으로 접착한 경우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도2의 230, 도7의 330)으로 접착한 경우를 비교해 본다.
여기서, 기존 접착층(도1a의 130)은 아크릴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1 접착제(도 5의 230)가 가지는 홀(도5의 H)의 지름(도5의 D)은 10mm이고, 홀 사이의 간격(도5의 R)은 5mm이며, 제 1 접착제(도2의 230a) 및 제 2 접착제(도2의 230b) 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한편, 제 2 실시예의 제 1 접착제(도10의 330a)가 가지는 선의 두께(도10의 A)는 1mm이고, 다수의 선의 피치(도10의 P)는 10mm이며, 제 1 접착제(도7의 330a) 및 제 2 접착제(도7의 330b)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도면 12a는 기존의 접착층을 가지는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발생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개선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12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표시장치에서 황변이 개선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인치 표시장치(도1b의 100)에 커버글래스(두께 5T, 무게 10KG)(도1b의 150)를 기존 접착층(도1b의 130)으로 접착한 경우 표시장치(도1b의 100)의 외곽부에 황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글래스(도1b의 150)의 하중(W)에 의하여 접착층(도1b의 130)의 두께가 중앙영역(도1b의 CA)은 상대적으로 얇고 외곽부(도1b의 SA)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배치되어 커버글래스(도1b의 150)의 외곽부가 휘어져 올라가 황변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도2의 200, 도7의 300)의 경우 외곽부의 황변현상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제 1 접착층(도2의 230a, 도7의 330a)이 커버글래스(도2의 250, 도7의 350)의 하중(W)에 따른 접착층(도2의 230, 도7의 33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글래스(도2의 250, 도7의 350)의 쳐짐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는 접착층(도2의 230, 도7의 330)을 제 1 접착제(도2의 230a, 도7의 330a)와 제 2 접착제(도2의 230b, 도7의 330b)로 형성하여, 커버글래스(도2의 250, 도7의 350)의 하중(W)에 따른 접착층(도2의 230, 도7의 33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글래스(도2의 250, 도7의 3350)의 휘어짐에 따른 황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200: 표시장치 210: 디스플레이 패널
230: 접착층 230a: 제 1 접착층
230b: 제 2 접착층 250: 커버글래스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부에 안착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접착제는 홀 패턴을 가지는 접착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접착제는 액상 형태로 상기 제 1 접착제의 상기 홀 패턴에 채워지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이 큰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점도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점도보다 큰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가 가지는 상기 홀 패턴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홀 사이의 간격은 0.1mm와 같거나 큰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홀 각각의 지름이 0.5mm와 같거나 큰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패턴은 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8.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부에 안착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접착제는 액상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 1 접착제의 상부를 덮는 표시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 2 접착제의 접착력이 큰
    표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의 점도가 상기 제 2 접착제의 점도보다 큰
    표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형태는 다수의 선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선의 피치는 0.5mm와 같거나 큰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을 구성하는 각각의 선의 두께는 0.3mm와 같거나 큰
    표시장치.
KR1020160124532A 2016-09-28 2016-09-28 표시장치 Active KR10262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32A KR102620139B1 (ko) 2016-09-28 2016-09-28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532A KR102620139B1 (ko) 2016-09-28 2016-09-2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33A KR20180034833A (ko) 2018-04-05
KR102620139B1 true KR102620139B1 (ko) 2023-12-29

Family

ID=6197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532A Active KR102620139B1 (ko) 2016-09-28 2016-09-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92B1 (ko) 2019-02-01 202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1509137A (zh) * 2020-04-24 2020-08-0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屏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620A (ja) * 2002-08-20 2005-12-02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紫外線で開始される熱架橋結合されたアクリレート感圧接着剤物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8997B2 (ja) * 2006-12-25 2012-07-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0021505A2 (ko) * 2008-08-20 2010-02-25 (주)Lg화학 점착제
JP5916258B2 (ja) * 2011-11-14 2016-05-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接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6620A (ja) * 2002-08-20 2005-12-02 テサ・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紫外線で開始される熱架橋結合されたアクリレート感圧接着剤物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833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6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EP1956401B1 (en) Display device with a bottom chassis
EP280404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291662B1 (ko) 표시 장치
US100421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62740B2 (en) Display device with a buffer layer filled with bubbles and packaging method
KR100879852B1 (ko) 액정 표시장치
US10795200B2 (en) Display device
CN101216635A (zh) 液晶显示装置、光电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766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6715A (ko) 표시 장치
US20160334560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ccommodating member
KR20110094395A (ko) 표시장치
KR2011003830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620139B1 (ko) 표시장치
KR2012011629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65823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8439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85781B1 (ko) 쿠션 하부커버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10061027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46829B1 (ko) 표시 장치
KR1024664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3701B1 (ko) 액정 표시장치
US9222647B2 (en) Hybrid backlight unit embeddable i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7010918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