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59B1 -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Google Patents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759B1 KR102636759B1 KR1020187020336A KR20187020336A KR102636759B1 KR 102636759 B1 KR102636759 B1 KR 102636759B1 KR 1020187020336 A KR1020187020336 A KR 1020187020336A KR 20187020336 A KR20187020336 A KR 20187020336A KR 102636759 B1 KR102636759 B1 KR 102636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rail
- elevator
- rail foot
- pl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4—Lateral support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에 관한 것으로, 체결 모듈은, 조립시,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및 조립시,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17A) 는,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이러한 체결 모듈들 (1) 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체결 모듈 (1) 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a rail foot (6) of an elevator rail (2) to a fastening plane (4), which, when assemble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ne (4) and is fastened to the rail. A first fastening device (15) used to retain the first side (7) of the foot (6), and when assembled,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ne (4) and retaining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and a second fastening device 16 used to do so.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can be moved at least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4 . At least one element 17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at least substantially in the fastening plane 4, on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from the outside laterally of the rail foot 6. It can be rotated at right angles about the axis of rotation 52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which element, when assemble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facing away from the fastening plane 4. interact.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3) having a plurality of such fastening modules (1).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fastening rail feet (6) of an elevator rail (2), which is carried out using a fastening module (1).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 (rail foot) 를 체결 평면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및 이런 유형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유형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층 건물들에 설치되고 다수의 층들에 걸쳐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fastening module used to fasten a rail foot of an elevator rail to a fastening plane, and elevator rails mounted on an elevator shaft or the like using fastening modules of this type.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fastening rail feet of an elevator rail, carried out using fastening modules of this type. Specifically, the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levator systems installed in high-rise buildings and spanning multiple floors.
DE-AS 1 139 254 는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지지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건물들이 침강 (settle) 될 때 가이드-레일부들의 상대 상향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건물 및 가이드 레일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롯들 형태의 체결 홀들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을 위한 볼트들이 삽입되도록 지지 플레이트에 만들어지고, 이 클램프들은 그것의 종방향 축선들에 의해 상향 방향으로 인접한 리지 (ridge) 벽으로부터 제거되고,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은 탄력적으로 가이드 레일의 플랜지들과 접촉한다. 가이드 레일의 길이가 열 팽창으로 인해 증가한다면, 볼트들에 전달된 힘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과 가이드 레일 사이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정렬된 레일-체결 장치를 위로 이동시키고, 이것은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레일 클램프들에 대해 수직으로 위로 이동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DE-AS 1 139 254 relates to a guide-rail fastening device for attaching guide rails of elevators to a support structure. This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it is advantageous to enable relative upward movement of the guide-rail sections when buildings settle.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the building and the guide rail to move perpendicularly relative to each other, fastening holes in the form of slots are made in the support plate into which bolts for guide-rail clamps are inserted, which clamps exte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are removed from the adjacent ridge wall in an upward direction, the guide-rail clamps elastically contact the flanges of the guide rail. If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increases due to thermal expansion,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bolts moves the slideably aligned rail-fastening device upward,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guide-rail clamps and the guide rail, which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guide rail to move vertically upward relative to the guide-rail clamps.
DE-AS 1 139 254 로부터 공지된 가이드-레일 체결 장치는, 방향에 의존하는 마찰 변화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의 온도 관련 수축으로 인해, 대향한 상대 운동이 반대로 발생한다면, 볼트들은 슬롯들로 하향 이동되고, 이것은 가이드-레일 클램프들과 가이드 레일 사이 마찰을 증가시키고, 체결 장치와 레일 사이 상대 수직 운동을 방지한다. 게다가, 슬롯 내 볼트의 각각의 운동은 또한 체결 장치 상의 가이드 레일에서 유지력 또는 유극 (play) 변화를 이끌고,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e guide-rail fastening device known from DE-AS 1 139 254 has the disadvantage that direction-dependent friction changes occur. Specifically, if the opposite relative movement occurs, for example due to temperature-related shrinkage of the guide rail, the bolts are moved downward into the slots, which increases the friction between the guide-rail clamps and the guide rail and the fastening device. Prevents relative vertical movement between and rail. Moreover, each movement of the bolt in the slot also leads to a change in holding force or play in the guide rail on the fastener, which is undesirable.
CH-PS 484 826 은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개시한다. 이 체결 장치는,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체결할 때, 온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가이드 레일들의 길이가 변하고, 샤프트의 브릭워크 (brickwork) 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축할 수도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종방향 조절은 가이드 레일들과 샤프트의 브릭워크 사이에서 허용된다. 제안된 체결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들을 충분히 유지하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레일을 단단히 클램프 고정하지 않는다. 이 목적으로, 레일 클램프는 가이드 레일의 어느 일측에 배치된다. 레일 클램프는 서로의 위에 동축으로 놓여 있고 원추형으로 서로 천이하는 다른 직경의 두 개의 원형 디스크들로 구성된다. 유극을 설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스페이서 디스크들이 지지 플레이트와 레일 클램프 사이에 삽입된다. CH-PS 484 826 discloses a fastening device for guide rails of elevators. This fastening device, when fastening the guide rails of elevators,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at when the temperature changes, the length of the guide rails changes and the brickwork of the shaft may shrink over time. It is based on knowledge. Accordingly, longitudinal adjustment is permitted between the guide rails and the brickwork of the shaft. The proposed fastening device sufficiently holds the guide rai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oes not clamp the rails tigh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purpose, rail clamps are placed on either side of the guide rail. The rail clamp consists of two circular disks of different diameters lying coaxially on top of each other and transitioning from one to another in a conical shape. To set the clearance, a plurality of spacer disks ar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rail clamp.
CH-PS 484 826 에 공지된 체결 장치에서, 그것은 복수의 부품들로부터 조립될 필요가 있고, 기술자는 스페이서 디스크들에 의해 유극을 설정해야 한다.In the fastening device known from CH-PS 484 826, it needs to be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technician has to set the clearance by means of spacer disks.
US 3,982,692 는 지지부에 T-형 프로파일을 갖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측면들을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수단을 개시하고, 이것은, 예를 들어 건물 침강을 보상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레일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발생한다. 여기에서, 측방향 운동이 방지되고, 스프링 탭의 예비부하력에 맞서 지지부로부터 이격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제한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US 3,982,692 discloses a fastening means used to fasten the sides of an elevator rail with a T-shaped profile to a support, which takes place so that a relative movement of the elevator rail is possible, for example to compensate for building subsidence. Here, lateral movements are prevented and a limited movement of the elevator rail away from the support is possible against the preload force of the spring tabs.
US 3,982,692 에 공지된 체결은, 제한되지만 가능한 조절 운동이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엘리베이터 레일의 비틀림을 허용하는 단점을 가지고, 이것은, 예를 들어, 작동 중 횡방향 힘이 엘리베이터 카 또는 평형추로부터 엘리베이터 레일로 전달될 때 엘리베이터 레일에 제공된 가이드 트랙들의 대응하는 곡률을 유발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The fastening known from US 3,982,692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limited but possible adjusting movement allows twisting of the elevator rail along the longitudinal axis, which means, for example, that during operation transverse forces force the elevator rail from the elevator car or counterweight. causes a corresponding curvature of the guide tracks provided on the elevator rail. This is generally undesirable.
EP 0 448 839 A1 은 엘리베이터들의 가이드 레일들을 위한 체결 장치를 개시한다. 공지된 체결 장치에서, 레일 클램프들의 예비부하력으로 변화는 다른 두께를 가지는 가이드 레일을 위한 라이닝으로서 사용되는 반원형 프로파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설치되기 전 어느 반원형 프로파일이 요구되고 이송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EP 0 448 839 A1 discloses a fastening device for guide rails of elevators. In known fastening devices, changes in the preload force of the rail clamps can be achieved by semicircular profiles used as linings for guide rails with different thicknesses. However,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semicircular profile is required and needs to be transported before the elevator system is installed.
US 6371249 B1 은,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배치된 슬롯에 가이드되는 클램핑 브래킷이 가이드 레일의 푸트에 의해 외부로부터 피봇선회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들이 양측에서 클램프 고정될 수 있는 레일 클램프를 개시한다. 장착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측방향 슬롯들은 45° 의 각도로 배치된다. 비스듬히 연장되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슬롯들은 많은 공간을 요구하고 대응하는 벽 플레이트의 단면을 약화시킨다.US 6371249 B1 discloses a rail clamp in which a clamping bracket guided in a slot disposed on the side of a guide rail can be pivoted from the outside by a foot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s can be clamped on both sides. To optimize mounting, the lateral slots are placed at an angle of 45°. Laterally arranged slots extending at an angle require a lot of space and weaken the cross-section of the corresponding wall plate.
EP 2174902 A1 은 복수의 레일들을 상호 연결하기에 적합한 다른 레일 클램프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레일 클램프는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만들어진 슬롯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측방향 유지력은 이 경우에 체결 부품들의 단지 마찰력에 의해서만 제공된다.EP 2174902 A1 discloses another rail clamp suitable for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rails. Here, the rail clamp is moved laterally in a slot made in the side of the guide rail. The lateral holding force for holding the rail is in this case provided solely by the frictional forces of the fastening parts.
공지된 구성들은 만족스럽지 않다. 그 구성들은 예를 들어 많은 공간을 요구하고, 그 구성들은 요구되는 힘을 불충분하게 전달하거나 그 구성들은 현장에서 조립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복잡하고, 또는 그 구성들은 엘리베이터 레일을 삽입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해될 필요가 있다.Known configurations are not satisfactory. The configurations, for example, require a lot of space, the configurations insufficiently transmit the required forces, or the configurations need to be assembled on site, which is complicated, or the configurations are at least partially required to insert the elevator rail. It needs to be broken down into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건물 벽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가이드 레일들로서 사용된, 엘리베이터 레일들 또는 평형추는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전체 주행 경로에 걸쳐 연장될 수도 있고, 이것은 종종 건물의 높이에 대략적으로 대응한다.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그것들이 신뢰성있게 가이드력을 흡수할 수 있는 건물 내에서 충분히 단단히 체결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건물의 높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건물은, 예를 들어, 그것이 건조 및 침강되기 때문에 수축된다. 건물의 온도 및 태양 복사는 또한 건물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은 건물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건물의 높이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에 대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일부들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엘리베이터 레일들 상의 체결 지점들은, 길이 보상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가이드력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체결이 존재하도록 설계된다.In an elevator system installed in a building, the elevator rails may be fasten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building wall. Elevator rails or counterweights, used for example as guide rails for an elevator car, may in this case extend over the entire travel path of the elevator, which often roughl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elevator rails need to be fastened sufficiently tightly within the building that they can reliably absorb the guiding forces. However, the height of a building may change over time. Buildings shrink, for example, because they dry out and settle. A building's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can also change its height. Accordingly, the elevator rails can move relative to the building and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reduced relative to the elevator rail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ail sections in this case, the fastening points on the elevator rails are designed so that length compensation is possible,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sufficient fastening to absorb the guiding force.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한 가지 과제는, 엘리베이터 레일을 위한 체결 모듈,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들은 전부 개선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한 가지 과제는, 개선된 체결을 허용하는, 엘리베이터 레일을 위한 체결 모듈,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것은 엘리베이터 레일이 그것의 연장부를 따라 상대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연장부에 직각인 가상 평면에서 운동 또는 회전을 방지하고, 기술자가 간단하고 콤팩트한 방식으로 조립을 실시하는 것을 허용한다.One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module for an elevator rail,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and a method for fastening the elevator rail, all of which have an improved configuration. Specifically, one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stening module for an elevator rail,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and a method for fastening an elevator rail, allowing improved fastening. ,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elevator rail to carry out relative movements along its extension and also prevent movement or rotation in an imaginary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and allows the technician to carry out assembly in a simple and compact manner. .
제기된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들을 해결하는 대응하는 체결 모듈,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을 위한 해결책들 및 제안들이 이하 제공된다. 게다가, 유리한 부가적 또는 대안적 개선예들 및 실시형태들이 명시된다. Solutions and proposals for a corresponding fastening module, a corresponding elevator system and a corresponding method that solve at least part of at least one of the challenges posed are provided below. Moreover, advantageous additional or alternative refinements and embodiments are specified.
일 해결책에서,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 평면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및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는, 상기 레일 푸트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 위에서,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과 상호작용한다.In one solution, a fastening module used to fasten a rail foot of an elevator rail to a fastening plane comprises: a first fastening device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ne and used to retain a first side of the rail foot during assembly; , may be designed to include a second fastening device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ne and used to maintain a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the second fastening device being movable at least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and At least one element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rotates about an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at least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plane, on an upper side of the rail foot from the outside laterally of the rail foot. The element may, upon assembly, inter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rail foot facing away from the fastening plane.
엘리베이터 레일 그 자체는 이 경우에 체결 모듈의 부분이 아니다. 체결 모듈은 제조 공장에서 사전 조립되고, 유닛으로서 생산되어 분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조립할 때, 복수의 체결 모듈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조립 중, 연속 엘리베이터 카 레일, 평형추 가이드 레일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조립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체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는 단일 엘리베이터 레일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체결 모듈을 사용해 체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레일의 일반적인 일체형 부분은 전형적으로 길이가 대략 5 미터이다. 각각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1 ~ 2 개의 체결 모듈들, 또는 더 많은 체결 모듈들에 의해 샤프트 벽에 체결되고, 부분들은 플레이트들을 연결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서, 밀착된 (cohesive) 열의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제조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조립한 후, 이런 유형의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 레일 또는 평형추 가이드 레일은,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체결 모듈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에 체결되는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으로부터 유발된다. The elevator rail itself is not part of the fastening module in this case. Fastening modules can be pre-assembled in a manufacturing plant and produced and distributed as units. When assembling an elevator system,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are used to mount the elevator rails to the elevator shaft. During assembly, single elevator rails, which may be an integral part of an assembly of elevator rails assembled to form a continuous elevator car rail, counterweight guide rail, etc., may each be fastened using at least one fastening module. A typical integral section of elevator rail is typically approximately 5 meters in length. Each part is generally fastened to the shaft wall by one or two fastening modules, or more fastening modules, and the parts are interconnected by connecting plates, producing a cohesive row of elevator rails. After assembling the elevator system, this type of elevator car guide rail or counterweight guide rail results from the assembly of elevator rails that are successiv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fastened to the elevator shaft or the like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일 해결책에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및 복수의 체결 모듈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되고, 상기 체결 모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레일 피트를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In one solution, an elevator system is proposed comprising at least one assembly of elevator rails arranged continuously along a longitudinal axi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which fastening modules are used to fasten rail pits of the elevator rails.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을 사용해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서, 체결 모듈은 샤프트 벽에 장착되거나 미리 장착된다.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체결 모듈의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삽입되고,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이 제 2 체결 기기의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 2 체결 기기가 회전하여 이동된다.In the proposed metho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of an elevator rail, which is carried out using one or more fastening modules, the fastening module is mounted or pre-mounted on the shaft wall. The first side of the rail foot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of the fastening module, and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is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is rotated and moved.
엘리베이터 레일이 체결 모듈에 배치되기 전 체결 모듈은 지지 구조체, 샤프트 벽 등에 반드시 단단히 장착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이 고정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거나, 적어도 미리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엘리베이터 레일은 그 후 이런 하나의 체결 모듈, 또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체결 모듈들에 위치결정되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의 제 1 측면은 제 1 체결 기기 또는 복수의 체결 모듈들의 제 1 체결 기기들에 끼워맞추어진다. 유리하게도, 복수의 체결 모듈들의 제 2 체결 기기 또는 제 2 체결 기기들은 그 후 제안된 방식으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기술자가 용이하게 더 적은 수의 도구들을 사용해 실시할 수 있는, 유리한 조립 옵션을 유발한다.Before the elevator rail is placed on the fastening module, the fastening module is not necessarily securely mounted on the support structure, shaft wall, etc. Nevertheless, it is advantageous if one or more fastening modules are fixedly mounted on the elevator shaft, or at least are pre-mounted. The elevator rail is then positioned on one such fastening module, or preferably on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such that the first side of the elevator rail fits into the first fastening device or the first fastening device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Lose. Advantageously, the second fastening device or second fastening devices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can then be positioned in the proposed manner. This gives rise to advantageous assembly options that the technician can easily perform using fewer tools.
제 2 체결 기기의 요소는 지지 요소이고 이 요소는 조립시 레일 푸트의 상단 측과 상호작용하고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은 조립시 체결 평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레일 푸트의 상단 측은 제 2 체결 기기의 지지 영역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 1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에 의해 배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레일들, 특히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헤드에서 트랙들이 또한 공간에 배향된다.The element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is a support element, which interacts with the upper side of the rail foot during assembly and whose support area is advantageously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astening plane during assembly. The upper side of the rail foot can be oriented by the support are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preferably by the support area of the support element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As a result, the tracks in the elevator rails, especially in the rail head of the elevator rail, are also oriented in space.
또한 제 2 체결 기기는 접촉 요소를 가지는 보상 수단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이 상기 접촉 요소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조립시, 상기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과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 요소를 가지는 보상 수단은 제 1 체결 기기에 제공될 수 있고, 접촉 영역은 또한 이 접촉 요소에 형성되고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조립시,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과 제 1 체결 기기의 지지 요소의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레일 피트로 조절은 여기에서 보상 수단을 사용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보상 수단은 레일 푸트를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레일 푸트는 이 경우에 어떠한 부가적 도구들도 사용하지 않고 체결될 수 있다. 이것은 모듈식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체결 모듈은 특정 레일 유형에 대해 제조 공장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레일 유형의 엘리베이터 레일들을 조립하는 것이 특히 용이하다. 여기에서, 특히 레일 유형의 레일 피트에서 제조 관련 편차로부터 유발되는, 특정 수준의 공차 보상이 허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fastening device comprises compensating means with a contact element, wherein a contact area is advantageously formed on the contact element, wherein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is, during assemb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element and the second fastening device. 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areas of the support elements of the fastening device. Therefore, compensating means with a contact element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fastening device, where a contact area is also formed in this contact element and the first side of the rail foot is, when assembl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element and the first fastening device. It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areas of the support elements. Specifically, adjustment to different rail fits can here be carried out using compensation means. Additionally, the compensating means can make it possible to fasten the rail foot in a simple manner. In particular, the rail foot can in this case be fastened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tools. This means modular configuration is possible. In particular, fastening modules can be manufactured at a manufacturing plant for a specific rail type. It is particularly easy to assemble elevator rails of this rail type. Here, a certain level of tolerance compensation, resulting from manufacturing-related deviations, in particular in the rail fit of the rail type, can be allowed.
여기에서, 보상 수단은,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조립시,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러므로, 제 1 체결 기기를 위한 보상 수단은,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가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은, 조립시, 접촉 영역과 지지 영역 사이에 유지된다. 필요한 유지 치수의 변화는 예를 들어 공차 관련될 수도 있다. 이것은 특히 특정 레일 유형의 개별 엘리베이터 레일들간 제조 공차들에 관련된다. 체결 모듈의 설계에 따라, 하지만, 적합화가 가능하고 실현 가능하다면, 상이한 레일 유형들에 대한 적합화가 보상 수단을 사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compensating means are designed so that the retaining dimension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can be adapted to the required retaining dimensions of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comprising: During assembly, 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remain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Therefore, the compensating means for the first fastening device can be designed so that the retaining dimension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can be adapted to the required retaining dimensions of the first side of the rail foot, The side surface, during assembly, is held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Changes in the required holding dimensions may be tolerance-related, for example. This particularly concerns manufacturing tolerances between individual elevator rails of a particular rail typ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fastening module, however, if adaptation is possible and feasible, adaptation to different rail types can be made using compensation means.
또한 상기 보상 수단이 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요소 및 상기 쐐기 요소는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고, 상기 접촉 요소 및 상기 쐐기 요소는,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각으로 보이는 유지 치수가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유지 치수는,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이 조립시 유극 없이 체결될 수 있게 하도록 변화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쐐기 요소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상기 체결 평면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된다. 그러므로, 제 1 체결 기기의 보상 수단이 쐐기 요소를 포함하고,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요소 및 쐐기 요소는 체결 평면과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제 1 체결 기기의 보상 수단 및 쐐기 요소는, 유리하게도, 상기 접촉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각으로 보이고 상기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이 조립시 유극 없이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치수가, 제 1 체결 기기의 쐐기 요소에 대해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체결 평면에 대해 제 1 체결 기기의 접촉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It is also provided that the compensating means comprises a wedge element, the contact element and the wedge element being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t least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the contact element and the wedge element being positioned i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It is advantageous for the design to be such that between regions the retaining dimensions appearing at least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plane can vary. Here, the retaining dimensions can be varied so that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can be fastened without play during assembly,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 relative to the wedge element and/or by locking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relative to the fastening plane. This is carried out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s. It is therefore advantageous if the compensating means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comprises a wedge element, and the contact element and the wedge element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are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t least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In this case, the compensating means and the wedge elements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are advantageously visible between the contact area and the support area at least approximately at a right angle to the fastening plane and are such that the first side of the rail foot has a play during assembly. It is designed so that the retaining dimensions, which make it possible to fasten without, can be varied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s relative to the wedge elements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and/or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s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relative to the fastening plane.
여기에서, 설계로 인해, 레일 푸트를 장착하기 위해서 접촉 요소가 조절될 때 쐐기 요소는 접촉 요소의 조절 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기술자에 의한 간단한 취급을 허용한다. 또한, 잠재적으로 체결되는 접촉 요소 때문에 레일 푸트가 접촉 요소와 직접 접촉할 때, 예를 들어 레일 푸트가 이동할 때 접촉 요소는 위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Here, due to the design, the wedge element can remain fixed in th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contact element when the contact element is adjusted for mounting the rail foot. This allows simple handling by technicians. Additionally, when the rail foo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tact element due to the potentially engaging contact element, the contact element is prevented from being displaced, for example when the rail foot moves.
또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적어도 요소는, 상기 레일 푸트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의 상단 측 위에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대략 90° 만큼 회전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제 2 체결 기기는 전체적으로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일 푸트가 제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은 레일 푸트가 그리핑되거나 포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체결 모듈에 의해 요구되는 설치 공간이 최적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도, 제 1 체결 기기는 이런 식으로 회전할 수 없다. 이것은 체결 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또한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이 어느 정도까지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의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 기기들이 이용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레일 푸트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체결 기기에 제 1 측면을 가지도록 위치결정될 때, 조립은 제 2 측면에서 계속될 수 있다. 적절한 시점에, 레일 푸트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서, 예를 들어 알맞은 보상 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 레일 푸트를 유지 및 체결하는 조립 단계들이 실시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advantageous for at least an element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to be rotated by at least approximately 90°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foot from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ail foot. . In particular, the second fastening device can be rotated entirely about the axis of rotation. When the rail foot is in place, this allows the rail foot to be gripped or enveloped. This means that the installation space required by the fastening module is optimized. Advantageously, the first fastening device cannot rotate in this way. This makes it easier to manufacture the fastening module and also allows one or more first fastening devices of one or more fastening modules to be available such that the first side of the rail foot is to some extent mounted inside. When the rail foot is positioned with the first side to the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device of the at least one fastening module, assembly can continue on the second side. At appropriate times, assembly steps can be carried out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rail foot to retain and fasten the rail foot in position, for example by means of suitable compensation means.
유리하게도,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서 가이드 트랙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접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를 포함한다.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는 여기에서 조립 중 도달되거나 도달될 예정인 엘리베이터 레일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레일 푸트의 상단 측의 위치 및 배향과 관련될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레일 헤드에 형성된 트랙들의 배열과 관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 트랙의 전진부에 의해, 먼저, 가이드 트랙의 짧은 섹션에 대해, 제 2 체결 기기가 레일 푸트에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다.Advantageously, a guide is provided by which the second fastening device is guided along a guide track in the fastening plane, the guide track allowing the second fastening 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assembly of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and an advancing portion oriented so as to be able to move at least substantially directly toward the position.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is here understood to mean a position on the elevator rail that has been or is to be reached during assembly. This may relate, for example, to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top side of the rail foot and, therefore, generally to the arrangement of the tracks formed on the rail head in the elevator shaft. The advancing part of the guide track allows the second fastening device to be brought close to the rail foot, firstly for short sections of the guide track.
또한,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는 상기 체결 평면에서 가이드 트랙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가 상기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또한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레일 푸트의 종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유사하게 제공되는 전진부와는 대조적으로, 레일 푸트로 접근이 이루어지고 레일 푸트의 제 2 측면은 따라서 가이드 트랙의 더 긴 섹션에 대해 더많이 포위된다. 이 구성은 또한 제 1 체결 기기와 제 2 체결 기기 사이에 레일 푸트를 삽입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 기기는 체결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것은 제 1 체결 기기가 이동할 수 없고 바람직하게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a guide is provided, whereby the second fastening device is guided along a guide track in the fastening plane, the guide track allowing the second fastening devic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on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It is advantageous to include an advancing portion oriented so that it can move towards and also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ail foot specified by the assembly position. In contrast to the advance section, which is advantageously provided similarly, access is made to the rail foot and the second side of the rail foot is thus more encompassed by the longer section of the guide track. This configuration may also make it easier to insert the rail foo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device and the second fastening device. Accordingly, the first fastening device is positioned to be substantially fixed relative to the fastening plane. This means that the first fastening device is not movable and is not preferably rotatably arranged.
구체적으로, 체결 평면에 투영하여 볼 때, 가이드 트랙은 전진부를 따라 적어도 대략 90°인 제 1 경사를 가지고 그리고/또는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레일 푸트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접근부를 따라 항상 45° 미만인 제 2 경사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제 2 경사가 또한 접근부에서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또한 제 2 경사는 접근부를 따라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은 접근부에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유리하게도, 가이드 트랙은 전진부와 접근부 사이에 만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가이드를 설계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이것은 또한 조립 중 가이드 트랙을 따라 제 2 체결 요소의 직선 운동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진부와 접근부 사이에 곡선 천이부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요구되는 체결의 치수들이 따라서 최적화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projected onto the fastening plane, the guide track has a first inclination along the advancing portion that is at least approximately 90° and/or is always less than 45° along the approach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rail foot specified by the assembly position. It is advantageous to have a second slope. For example, here the second slope can also vary at the approach. However, the second slope may also be at least approximately constant along the approach. The guide track extends at least approximately in a straight line from the access section. Advantageously, the guide track may comprise a bend between the advancing portion and the approaching portion. This makes it easier to design the guide, which also makes it possible to predetermine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fastening element along the guide track during assembly. However, in a modified embodiment, a curved transition can also be provided, for example between the advancing part and the approaching part. The required fastening dimensions can thus be optimized.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체결 평면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L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체결 평면은 하나의 레그에 제공될 수 있고, 지지 구조체 등에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옵션들이 다른 레그에 제공된다. 제 2 체결 기기를 위한 가이드는 유리하게도 가이드 컷아웃의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만들어진 가이드 컷아웃은 라운딩된 천이부들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 2 체결 기기의 체결 수단은 예를 들어 이런 유형의 슬롯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안내 목적으로 가이드 컷아웃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L 형상으로 만곡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체결 모듈은 샤프트 벽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위로 구부러진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에 배치되는 홀들은 샤프트 벽에서 체결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전부는 체결 모듈에 체결된 후 직선으로 배향될 수 있다. In an advantageous embodiment, a base plate is provided on which the fastening plane is located at least indirectly. In this case, this base plate may be designed to be curved into an L shape, a fastening plane may be provided on one leg, and one or more options for fastening to a support structure, etc.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leg. The guide for the second fastening device can advantageously be made in the base plate in the form of a guide cutout. Furthermore, the guide cutouts made in the base plate here advantageously comprise slots with or without rounded transitions. The 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can for example extend through a slot of this type and interact with the guide cutout for guiding purposes. By the base plate curved into an L shape, the fastening module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shaft wall. Therefore, the holes arranged in the part of the base plate bent upward make it possible to adjust the fastening in the shaft wall, so that the whole of the elevator guide rail can be oriented in a straight line after fastening to the fastening module.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슬롯은 가이드 트랙을 따라 만곡부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슬롯은 서로에 대해 회전된 적어도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로 적어도 대략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직사각형 형상들은 체결 평면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전진부 및 접근부는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을 따라 제조될 수 있다.In an advantageous embodiment, the slot is designed to have a bend along the guide track.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slot advantageously consists of at least two rectangular shapes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se rectangular shapes are oriented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and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advance and approach parts can be manufactured along two rectangular shap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을 기반으로 하기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작동하는 부품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나타낸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identically operative parts are indic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레일의 레일 푸트를 체결하는데 사용된 체결 모듈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2 는 조립 준비 위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에 도시된 체결 모듈의 3 차원도이다.
도 3 은 조립 중 도 2 에 도시된 체결 모듈 및 엘리베이터 레일을 도시한다.
도 4 는 조립시 Ⅳ 로 표시된 관찰 방향에서 본 도 3 에 도시된 체결 모듈 및 엘리베이터 레일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레일들의 조립체의 도 5 에서 Ⅵ 으로 표시된 세부를 도시한다. 1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 fastening module used to fasten a rail foot of an elevator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fastening module shown in Figure 1, in a ready-to-assemble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the fastening module and elevator rail shown in Figure 2 during assembly;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astening module and elevator rail shown in Figure 3 when assembled, viewed from the viewing direction indicated by IV.
Figure 5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 possi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6 shows a detail marked VI in Figure 5 of an assembly of elevator rails to illustrate a possi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부분 개략도이고, 체결 모듈 (1)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체결 평면 (4) 은 이 경우에 L 형상으로 만곡된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될 때 체결 평면 (4)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의 측면 (4) 과 일렬로 배열된다.1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the
레일 푸트 (6) 는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축선 (9) 에 대한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의 선택은 여기에서 임의적이고, 변형된 실시형태에서는 측면들 (7, 8) 은 그러므로 교환될 수 있다. The rail foot (6) has a first side (7) and a second side (8). The choice of the first side 7 and the second side 8 with respect to the
또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말단면 (11) 을 가지는 레일 헤드 (10) 를 포함한다. 체결 평면 (4) 을 향하는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의 측면 (4) 은 레일 헤드 (10) 의 말단면 (11) 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또한, 레일 푸트 (6) 는, 2 개의 측면들 (7, 8) 에 걸쳐 연장되고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으로부터, 조립시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단 측 (13) 을 갖는다.Additionally, the elevator rail (2) includes a rail head (10) with an end face (11). The
체결 모듈 (1) 은 제 1 체결 기기 (15) 및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체결 평면 (4) 에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제 1 체결 기기 (15) 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조립시 그것들의 구성 면에서 축선 (9) 에 대해 거울 대칭이다. 하지만, 차이점은 제 1 체결 기기 (15) 는 조립 중 적어도 부분적으로 체결 평면 (4) 에 대해 고정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배치되고, 반면에 제 2 체결 기기 (16) 는 조립 중 체결 평면 (4) 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측면들 (7, 8) 이 교환되는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따라서 체결 기기들 (15, 16) 도 또한 교환된다.The fastening module (1) comprises a first fastening device (15) and a second fastening device (16). The first fastening device (15) is used to fasten the first side (7) of the rail foot (6) to the fastening plane (4).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used to fasten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to the fastening plane (4). In this embodiment, the
제 1 체결 기기 (15) 는 L-형 지지 요소 (17) 를 포함하고, 그것의 말단면 (18) 은 체결 평면 (4) 을 규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돌출부 (20) 의 형태인 지지 영역 (20) 은 지지 요소 (17) 의 부분 (19) 에 형성된다. 지지 요소 (17) 는 또한 클리어런스 (21) 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 (17) 에서 다른 클리어런스 (22) 는 홀 (22) 로서 설계된다. The first fastening device (15) comprises an L-shaped support element (17), whose distal face (18) defines a fastening plane (4). In this embodiment the
제 1 체결 기기 (15) 는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요소들 (24, 25) 을 포함하는 보상 수단 (23) 을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요소 (24) 는 접촉 요소 (24) 로서 설계된다. 요소 (25) 는 쐐기 요소 (25) 로서 설계된다. 돌출부 (26) 형태의 접촉 영역 (26) 은 접촉 요소 (24) 에 형성된다.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배향된 조절 방향 (27) 은 접촉 요소 (24) 에 대해 미리 정해진다. 또한, 기술자가 조절 방향 (27) 으로 접촉 요소 (24) 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탭 (28) 이 접촉 요소 (24) 에 형성된다. 접촉 요소들 (24, 25) 은 지지 요소 (17) 에서 클리어런스 (21) 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쐐기 요소 (25) 는 체결 평면 (4) 에 대해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접촉 요소 (24) 는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게다가, 제 1 체결 기기 (15) 는 그것의 주연에 대해 환형으로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는 슬리브 (29) 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 (17) 는 말단면 (18) 에 의해 체결 평면 (4)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에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슬리브 (29) 에 의해 체결 평면 (4)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5) 에서 지지된다. 또한 슬리브 (29) 에 레일 푸트 (6) 를 위한 측방향 지지 영역 (30) 이 존재한다. Furthermore, the
변형예에서, 쐐기 요소 (25) 는 또한 슬리브 (29)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 (29) 의 높이는 이 경우에 쐐기 요소 (25) 의 두께만큼 감소된다.In a variant, the wedge element 25 may also be fastened directly to the
제 1 체결 기기 (15) 는 또한 체결 수단 (31) 을 포함하고, 이것은 예를 들어 스크류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체결 수단 (31) 을 사용하여, 지지 요소 (17) 는 슬리브 (29) 및 바람직하게 그 아래에 위치결정된 쐐기 요소 (25) 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에 단단히 체결된다. The
그러므로, 제 2 체결 기기 (16) 는, 말단면 (18A) 이 형성되는 지지 요소 (17A) 를 포함한다. 돌출부 (20A) 형태의 지지 영역 (20A) 은 지지 요소 (17A) 의 부분 (19A) 에 형성된다. 홀 (22A) 형태인 클리어런스 (21A) 및 클리어런스 (22A) 는 또한 지지 요소 (17A) 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는 요소들 (24A, 25A) 을 구비하는 보상 수단 (23A) 을 포함한다. 요소 (24A) 는 접촉 요소 (24A) 로서 설계된다. 요소 (25A) 는 쐐기 요소 (25A) 로서 설계된다. 또한, 돌출부 (26A) 형태의 접촉 영역 (26A) 은 요소 (24A) 에 형성된다. 조절 방향 (27A) 은 접촉 요소 (24A) 에 대해 미리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 조절 탭 (28A) 은 접촉 요소 (24A) 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는 슬리브 (29A) 를 포함한다. 지지 영역 (30A) 은 슬리브 (29A) 에 생성된다. 쐐기 요소 (25A) 는 또한 간혹 슬리브 (29A)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게다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수단 (31A) 을 포함한다.The
체결 기기들 (15, 16) 중 하나에 대해 설명한 작동 모드들 및 특성들은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다른 체결 기기 (15, 16)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옮겨질 수 있음은 분명하다.It is clear that the operating mod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for one of the
조립시,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은 일측에서 제 1 체결 기기 (15) 의 지지 영역 (20) 과 접촉하고 타측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 영역 (20A) 과 접촉한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배향을 설정한다. 결과적으로, 레일 헤드 (10) 에 형성된 트랙들 (36, 37) 은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한 연장 관점에서 설정된다. 설계에 따라, 체결 모듈 (1) 에 대응하는 다른 체결 모듈은 또한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체결 모듈들 (1) 이 엘리베이터 레일 (2) 에 제공될 수도 있다.When assembled, the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는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 요소들 (24, 24A) 의 접촉 영역들 (26, 26A) 은 또한 레일 푸트 (6) 의 하부 측 (12) 과 접촉한다. 그렇게 할 때, 각각,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일종의 클램핑 그립이 존재하고, 이 그립에서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및 제 2 측면 (8) 이 각각 파지된다.In the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유지 치수 (38) 는,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에 생성된다. 이 유지 치수 (38) 는, 접촉 요소 (24) 가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때 쐐기 요소 (25) 의 쐐기 형상으로 인해 감소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 치수 (38) 는 레일 푸트 (6) 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유지 치수 (38) 가 제 2 체결 기기 (16) 에서 또한 생성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다른 유지 치수들 (38) 이 체결 기기들 (15, 16) 에서 또한 생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관련된 레일 푸트에 의존하는,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는 제조 공차들로 인해 하나의 엘리베이터 레일 (2) 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레일 (2) 로 달라진다. 설명한 적합화 메커니즘을 사용해, 유지 치수 (38) 는 각각의 경우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로 설정될 수 있다.A retaining dimension 38 is created between the
이 실시형태에서, 지지 요소 (17, 17A) 의 지지 영역 (20A, 20) 과 체결 평면 (4) 사이 간격 (33) 은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유지 치수 (38) 는 보상 수단 (23, 23A) 에 의해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조립 중 설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2 는 조립 준비 위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의 3 차원도이다. 체결 모듈 (1) 은 이런 형태로 제조 공장에서 사전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을 샤프트 벽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부품들이 간혹 포함되거나 필요하다면 사전 조립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L 형상으로 만곡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는 레그들 (40, 41)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슬롯들 (42) 등의 형태의 적합한 조립 옵션들 (42) 이 레그 (40) 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이것을 지지 구조체에 나사고정할 수 있다. 도 2 는 축선 (43) 및 종방향 축선 (44) 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 종방향 축선 (44) 은, 조립된 엘리베이터 레일 (2) 이 연장되는 축선이다. 종방향 축선 (44) 은 실질적으로 체결 평면 (4) 에 평행하고, 이것은 종방향 축선 (44) 이 체결 평면 (4) 에 놓여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게다가, 축선 (43) 은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그리고 종방향 축선 (44) 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준비된 위치에서, 조절 방향 (27) 이 축선 (43) 에 평행하도록 제 1 체결 기기 (15) 는 축선 (43) 에 대해 배향된다. 제 1 체결 기기 (15) 는 이 경우에 체결 수단 (31) 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연결되고, 회전 또는 운동은 가능하지 않다. 잠금 수단 (32) 이 느슨해졌을 때, 접촉 요소 (24) 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절 방향 (27) 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잠금 수단 (32) 을 조일 때, 접촉 요소 (24) 도 또한 잠금된다.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준비된 위치에서, 하지만, 관련된 조절 방향 (27A) 이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하도록 제 2 체결 기기 (16) 는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배향된다. 이것은 조절 방향 (27A) 으로 축선 (46) 과 축선 (43) 사이 각도 (45) 가 적어도 대략 90° 인 것을 의미한다. 사전 조립 중, 대략 90°의 각도 (45) 는 미리 정해진 값이 아니다. 그 대신에, 체결 기기 (16) 는 느슨해지고, 즉 체결 평면 (4) 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In the prepared position, however, the
잠금 수단 (32A) (도 4) 이 또한 제 2 체결 기기 (16) 에 제공되는 것이 분명하다. 이런 유형의 잠금 수단 (32A) 은 또한 필요하다면 나중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잠금 수단 (32A) 은 또한 조립을 위해 준비된 체결 모듈 (1) 에서 미리 제 2 체결 기기 (16) 에 장착될 수 있다.It is clear that locking means 32A (Figure 4) are also provided in the
도 3 은 조립 중 도 2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체결 기기들 (15, 16) 사이에 삽입된다. 90° 만큼 회전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의 위치 및 특정 양의 간격 때문에, 레일 푸트 (6) 는 제 1 체결 기기 (15) 를 분해하지 않고 도시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은 조절 방향 (27) 으로 또는 축선 (43) 을 따라 어느 정도까지 제 1 체결 기기 (15) 의 지지 영역 (20) 과 접촉 영역 (26) 사이 클램프들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제 1 측면 (7) 은 지지 요소 (17) 의 지지 영역 (30) 과 접촉한다. Figure 3 shows the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처음에, 또한 도 2 에 도시된 대로, 준비된 위치에서 느슨하게 유지된다.The
도 4 는 조립시 Ⅳ 로 표시된 관찰 방향에서 본 도 3 에 도시된 체결 모듈 (1) 및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개략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 (5) 는 슬롯 (50) 형태의 가이드 컷아웃 (50) 을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50) 가 형성된다. 가이드 트랙 (51) 은 가이드 컷아웃 (50) 의 기하학적 구조 및 체결 수단 (31A) 과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체결 평면 (4) 에 대해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체결 기기 (16) 는 이 실시형태에서 체결 수단 (31A) 의 축선 (52) 과 일치하는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축선 (52) 은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배향된다.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가능한 조립 단계에서, 도 3 에 도시된 위치에서 진행하여, 제 2 체결 기기 (16) 는 처음에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는 회전 방향 (53) 으로 회전된다 (도 3). 동시에, 제 2 체결 기기 (16) 는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트랙 (51) 은 전진부 (54) 및 접근부 (55) 를 포함한다. 종방향 축선 (44) 의 돌출부와 체결 평면 (4) 으로 전진부 (54) 에 대해,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90° 의 제 1 경사 (각도) (56) 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그 사이에 생성된다. 그러므로, 체결 평면 (4) 으로 돌출부에서, 종방향 축선 (44) 에 대한 접근부 (55) 의 제 2 경사 (각도) (57) 가 생성되고, 이것은, 이 실시형태에서, 90° 보다 상당히 작고 심지어 45° 미만이다. 전진부 (54) 를 통하여, 제 2 체결 기기는 짧은 조절 경로에 대해 제 2 측면 (8) 에 매우 가까워지도록 접근한다. 그런 후에, 접근부 (55) 를 통하여,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조절 경로에 대해 더 느린 접근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의 측면 (58) 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기술자가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한 방향 (59) 으로 제 2 체결 기기 (16) 를 가압할 때 체결 수단 (31A) 에 의해 제 2 체결 기기 (16) 가 측면 (58) 에서 지지됨으로써 조립은 간단하게 된다. 이런 전진 운동에 의해,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오게 된다. 여기에서, 제 2 체결 기기 (16) 는 맨 처음 회전 방향 (53) 으로 90° 만큼 회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레일 (2) 을 향하여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체결 기기 (16) 를 전전시킴으로써, 지지 영역 (30A) 이 제 2 측면 (8) 과 느슨하게 접촉할 때까지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30A) 은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제 2 측면 (8) 을 향하여 전진된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측방향으로 가이드된다.In a possible assembly step, proceeding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3 , the
특히, 지지 요소 (17A) 는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대로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수단 (31, 31A) 이 조여진 후, 레일 푸트 (6) 는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한 한 적은 유극을 가지고, 원하는 대로 도 1 에 도시된 체결 기기들 (15, 16) 의 측방향 지지 영역들 (30, 30A)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가능한 조립 프로세스에서, 기술자는 체결 수단 (31A) 이 조여진 후 각각의 조절 방향들 (27, 27A) 로 접촉 요소들 (24, 24A) 을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잠금 수단 (32, 32A) 을 사용해 잠금을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레일 푸트 (6) 는 체결 모듈 (1) 에 의해 체결 평면 (4) 에 체결된다.In a possible assembly process, the technician can adjust the
이런 체결은 체결 모듈 (1) 에 대해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특정 양의 길이 보상 또는 운동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건물 침강으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 변화를 보상할 수 있도록 체결 기기들 (15, 16) 에 의해 인가된 유지력이 특히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 (2) 은 체결 모듈 (1) 을 통하여 어느 정도까지 미끄러지도록 허용된다.This fastening allows a certain amount of length compensation or movement of the elevator rail (2) along the longitudinal axis (44) relative to the fastening module (1). The holding forces applied by the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트랙 (51) 은 만곡부 (60) 를 포함한다. 변형된 실시형태에서, 하지만, 가이드 컷아웃 (50) 은 또한 만곡될 수도 있고, 이것은 이런 종류의 만곡부 (60) 가 생략되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은 에지들 (61) 을 포함하고, 도면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그 중 단 하나의 에지 (61) 만 표시된다. 알맞은 라운딩에 의해, 이런 유형의 하나 이상의 에지들 (61) 을 생략할 수 있고, 또는 에지들 (61) 은 그러면 라운딩된 천이부들에 의해 대체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컷아웃 (50) 은 2 개의 직사각형들 (62, 63) 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직사각형들 (62, 63) 은 체결 평면 (4) 과 평행하게 배향되고 체결 평면 (4) 에 관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 이런 회전은 다른 경사들 (56, 57) 로 나타난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5 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의 부분 개략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2B, 2C)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조립체 (70) 의 부분이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B, 2C)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B, 2C) 의 다른 이런 조립체 (71) 의 부분이다. 제동 및/또는 가이드 트랙들 (36, 37) 은, 예를 들어, 조립체 (70) 에 생성되고, 이 트랙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전체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를 통하여 연장된다. 이런 유형의 트랙들 (36, 37) 은 개별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에 대해 연속된다. Figure 5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of an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은 또한 엘리베이터 카 (72) 와 평형추 (73) 를 포함하고, 그것들은 지지 및 견인 수단 (74) 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조립체들 (70, 71) 및 가능하다면 이런 종류의 다른 조립체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72) 와 평형추 (73) 가 특히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The
도 6 은 조립체 (70) 및 체결 모듈들 (1, 1') 과 함께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의, 도 5 에서 VI 으로 표시된, 세부를 도시한다. 체결 모듈들 (1, 1') 은 지지 구조체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35) 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들 (5, 5') 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계면 (80) 에서 서로 맞대기 결합된다.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은 예를 들어 계면 (80) 에서 연결 플레이트들 (81) 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속 트랙들 (36, 37) 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조립체 (70) 에 생성된다.FIG. 6 shows a detail, marked VI in FIG. 5 , of the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레일 피트 (6, 6A) 는, 예를 들어, 제조 공차 때문에 상이할 수도 있다. 이것은 다른 요구되는 유지 치수들 (38) 로부터 명백해질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을 조립하는데 동일한 체결 모듈들 (1, 1') 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유지 치수 (38) 는 조립 중 각각의 개별 체결 모듈 (1, 1') 에서 맞춤 방식으로,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로 설정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Claims (14)
상기 체결 모듈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및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체결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체결 기기 (16)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17A) 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상기 체결 평면 (4)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하고,
가이드 (50) 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서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가이드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전진부 (54)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체결 평면 (4) 에 투영하여 볼 때, 상기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종방향 축선 (44) 에 대해 적어도 제 1 및 제 2 경사 (56, 57)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A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The fastening module comprises, when assembled, a first fastening device (15)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ne (4) and used to retain the first side (7) of the rail foot (6), and, when assembled, the fastening plane (4).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device (16) fastened to (4) and used to retain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can be moved at least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4) and at least one element (17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positioned on the rail foot (6). laterally on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from the outside, to be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52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at least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plane 4. can,
The element, when assembled, interacts with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facing away from the fastening plane (4),
A guide (50) is provided by which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guided along a guide track (51) in the fastening plane (4),
The guide track (51) has an advancing portion (54) oriented so that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can move at least substantially towards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of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Including,
The guide track 51, when projected onto the fastening plane 4, has at least first and second inclinations ( Fastening module (1) use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56, 57).
상기 체결 평면 (4) 에서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를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 (50) 는,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기 제 2 측면 (8) 의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를 향하여 그리고 또한 상기 조립 위치에 의해 지정된 상기 레일 푸트 (6) 의 종방향 축선 (44) 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된 접근부 (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50, which guides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along the guide track 51 in the fastening plane 4, ensures that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positioned on the rail foot 6. comprising an access portion (55) oriented so as to be movable towards a predetermined assembly position of the second side (8)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44) of the rail foot (6), which is also designated by said assembly position. A fastening module (1) use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접근부 (55) 를 따라 상기 제 2 경사 (57) 는 항상 45° 미만이고 상기 전진부 (54) 를 따라 상기 제 1 경사 (56) 는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2,
Elevator rail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clination (57) along the approach portion (55) is always less than 45° and the first inclination (56) along the advancing portion (54) is 90°.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of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은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 (56, 57) 사이 또는 상기 전진부 (54) 와 상기 접근부 (55) 사이에 만곡부 (60)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or rail (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of 2) to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체결 평면 (4) 이 적어도 간접적으로 위치결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5) 가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 (50) 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1,
Rail foot of an elevator rail (2), characterized in that a base plate (5) is provided on which the fastening plane (4) is positioned at least indirectly, and the guide (50) is integrated into the base plate (5).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6) to fastening plane (4).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5) 에 만들어진 가이드 컷아웃 (50) 은 에지들 (61) 에 라운딩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슬롯 (50) 을 가지고,
상기 슬롯 (50) 은 상기 가이드 트랙 (51) 을 따라 만곡부 (60) 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슬롯 (50) 은 서로에 대해 회전된 적어도 2 개의 직사각형 형상들 (62, 6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5,
The guide cutout (50) made in the base plate (5) has a slot (50) with or without rounding at the edges (61),
The slot (50) is designed to have a curved portion (60) along the guide track (51),
The slot (50) is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t least two rectangular shapes (62, 63)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Fastening module used (1).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체결 기기 (15)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실질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stening device (15) used to hold the first side (7) of the rail foot (6) is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fixed to the fastening plane (4).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to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요소 (17A) 는 지지 요소 (17A) 이고 상기 요소는, 조립시,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과 상호작용하고, 상기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20A) 은, 조립시, 상기 체결 평면 (4) 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3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1,
The element 17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the support element 17A which, when assembled, interacts with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the support element 17A The support area 20A of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33 from the fastening plane 4 during assembly. Fastening module (1) used for fastening.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는 접촉 요소 (24A) 를 가지는 보상 수단 (23A) 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 (26A) 이 상기 접촉 요소 (24A) 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조립시, 상기 접촉 요소 (24A) 의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지지 요소 (17A) 의 지지 영역 (20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comprises a compensating means 23A with a contact element 24A, a contact area 26A being formed in the contact element 24A and a second fastening device 23A of the rail foot 6.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8) can, when assembled, be arranged between the contact area (26A) of the contact element (24A) and the support area (20A) of the support element (17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A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보상 수단 (23A) 은,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제공된 유지 치수 (38) 가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에 요구되는 유지 치수 (38) 에 적합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은, 조립시,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use 9,
The compensating means 23A ensures that the retaining dimension 38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area 26A and the support area 20A is equal to the required retaining dimension 38 on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is maintained between the contact area (26A) and the support area (20A) when assembled. Fastening module (1) used to fasten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상기 보상 수단 (23A) 은 쐐기 요소 (25A)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요소 (24A) 및 상기 쐐기 요소 (25A) 는 상기 체결 평면 (4) 에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조절가능하고, 상기 접촉 요소 (24A) 및 상기 쐐기 요소 (25A) 는, 상기 접촉 영역 (26A) 과 상기 지지 영역 (20A) 사이에, 상기 체결 평면 (4) 에 직각으로 보이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이 조립시 유극 (play) 없이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치수 (38) 가, 상기 쐐기 요소 (25A) 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 (24A) 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상기 체결 평면 (4) 에 대해 상기 접촉 요소 (24A) 를 이동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use 9,
The compensating means 23A comprises a wedge element 25A, the contact element 24A and the wedge element 25A being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ne 4, the contact element ( 24A) and the wedge element 25A, between the contact area 26A and the support area 20A, are visible at right angles to the fastening plane 4 and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8 of the rail foot 6. A retaining dimension 38, which allows fastening without play during this assembly, is achieved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 24A relative to the wedge element 25A and by moving the contact element 24A relative to the fastening plane 4. Fastening module (1) use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changed by moving (24A).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적어도 요소 (17A) 는, 상기 레일 푸트 (6) 의 측방향으로 외부로부터 상기 레일 푸트 (6) 의 상단 측 (13) 위에서,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의 회전 축선 (52) 을 중심으로 90° 만큼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 평면 (4) 에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체결 모듈 (1).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he element 17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13 of the rail foot 6 from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ail foot 6. Fastening module (1) use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elevator rail (2) to the fastening plane (4),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by 90° about the rotation axis (52) of .
종방향 축선 (44) 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70)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각각 설계된 복수의 체결 모듈들 (1)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모듈들 (1) 은 상기 엘리베이터 레일들 (2, 2A) 의 레일 피트 (6, 6A) 를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As the elevator system (3),
At least one assembly (70) of elevator rails (2, 2A)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44)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odules (each design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1), wherein the fastening modules (1) are used to fasten the rail feet (6, 6A) of the elevator rails (2, 2A).
상기 체결 모듈 (1) 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1 측면 (7) 이 제 1 체결 기기 (15) 의 접촉 영역 (26) 과 지지 영역 (2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 푸트 (6) 의 제 2 측면 (8) 이 제 2 체결 기기 (16) 의 접촉 영역 (26A) 과 지지 영역 (20A)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체결 기기 (16) 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레일 (2) 의 레일 푸트 (6) 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13. A method for fastening a rail foot (6) of an elevator rail (2), carried out using at least one fastening module (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comprising:
The fastening module (1) is installed, the first side (7) of the rail foot (6) is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area (26) and the support area (20) of the first fastening device (15), and the rail Elevator,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is moved by rotation so that the second side (8) of the foot (6)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area (26A) and the support area (20A) of the second fastening device (16). Method for fastening the rail foot (6) of the rail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5200954.4 | 2015-12-17 | ||
EP15200954 | 2015-12-17 | ||
PCT/EP2016/081306 WO2017103017A1 (en) | 2015-12-17 | 2016-12-15 |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6689A KR20180096689A (en) | 2018-08-29 |
KR102636759B1 true KR102636759B1 (en) | 2024-02-14 |
Family
ID=5497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0336A Active KR102636759B1 (en) | 2015-12-17 | 2016-12-15 |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1180345B2 (en) |
EP (1) | EP3390260B1 (en) |
KR (1) | KR102636759B1 (en) |
CN (1) | CN108698794B (en) |
AU (1) | AU2016372444B2 (en) |
BR (1) | BR112018012224B1 (en) |
CA (1) | CA3007748A1 (en) |
MX (1) | MX389735B (en) |
MY (1) | MY192437A (en) |
PL (1) | PL3390260T3 (en) |
WO (1) | WO201710301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18151B1 (en) * | 2015-07-17 | 2019-06-12 | KONE Corporation | Elevator guide rail bracket and method for securing a guide rail |
KR102213646B1 (en) * | 2015-09-11 | 2021-02-0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Guide rail fixing device |
EP3393955A1 (en) * | 2015-12-22 | 2018-10-31 | Inventio AG |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
CN110023226B (en) * | 2016-12-07 | 2021-02-05 | 因温特奥股份公司 | Slide foot retainer for securing a slide rail of an elevator installation |
WO2018104157A1 (en) * | 2016-12-07 | 2018-06-14 | Inventio Ag | Rail foot holder for fastening a rail of an elevator system |
ES2727504B2 (en) * | 2018-04-16 | 2020-10-16 | S A De Vera Savera | Flange adjustable to the thickness of the flange of an elevator guide |
US11673772B2 (en) * | 2019-03-26 | 2023-06-13 | Inventio Ag | Aligning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 guide rail of an elevator system |
CA3163632A1 (en) * | 2019-12-05 | 2021-06-10 | Inventio Ag | Fixing a lift component to a shaft wall |
EP3858777B1 (en) * | 2020-02-03 | 2023-08-23 | KONE Corporation | A fastening arrangement for elevator guide rails |
CN114084773A (en) | 2020-08-24 | 2022-02-25 | 奥的斯电梯公司 | Modular elevator components and guide rails |
EP4119486A1 (en) | 2021-07-14 | 2023-01-18 | Illinois Tool Works, Inc. | Clutch having tamper evident indicator |
EP4119484B1 (en) | 2021-07-14 | 2024-09-04 | Illinois Tool Works, Inc. | Articulated clutch |
JP2024136715A (en) * | 2023-03-24 | 2024-10-04 |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Elevator guide rai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0912A (en) * | 1899-03-14 | Rail-fastener | ||
US1505345A (en) * | 1924-03-20 | 1924-08-19 | Leopold F Heptner | Rail clamp |
US1925867A (en) | 1931-11-21 | 1933-09-05 |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 Elevator guide-rail supporting device |
US2451414A (en) * | 1946-11-08 | 1948-10-12 | Snyder Jacob Rush | Rail holding device |
US2848077A (en) * | 1956-01-24 | 1958-08-19 | Otis Elevator Co | Elevator guide rail fastener |
DE1139254B (en) | 1956-01-24 | 1962-11-08 | Otis Elevator Co | Fastening device for guide rails of elevators |
CH484826A (en) | 1969-06-04 | 1970-01-31 | Inventio Ag | Fixing device for guide rails of elevators |
US3982692A (en) | 1974-07-19 | 1976-09-28 | R. Stahl Aufzuege Gmbh | Clamping means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the like |
US4431087A (en) * | 1981-05-29 | 1984-02-14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Guide rail clamping method and assembly |
US4572431A (en) * | 1981-06-22 | 1986-02-25 | Penta Construction Corp. | Rail fastener assembly |
US4577729A (en) * | 1984-12-05 | 1986-03-25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Guide rail clamping assembly |
GB8620832D0 (en) * | 1986-08-28 | 1986-10-08 | Cranequip Ltd | Rail clip assembly |
US4844338A (en) * | 1986-12-05 | 1989-07-04 | Lord Corporation | Rail fastener |
CH680786A5 (en) | 1990-03-26 | 1992-11-13 | Inventio Ag | |
US6371249B1 (en) * | 2000-06-02 | 2002-04-16 | Otis Elevator Company |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
US6830133B2 (en) | 2002-03-06 | 2004-12-14 | Terryle L. Sneed | Connector brackets |
KR100960439B1 (en) | 2006-03-22 | 2010-05-2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Supporting device of guide rail for elevator |
ES2341071B1 (en) * | 2008-10-09 | 2011-06-06 | Orona S. Coop | DEVICE FOR JOINING GUIDES OF ELEVATOR EQUIPMENT, ELEVATOR APPLIANCE THAT INCLUDES SUCH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GUIDES OF ELEVATOR EQUIPMENT. |
FI20090502L (en) * | 2009-12-22 | 2011-06-23 | Kone Corp | Elevator, guide bracket and method |
US20120133164A1 (en) * | 2010-11-29 | 2012-05-31 | S.A. De Vera (Savera) | Adjustment flange for lift guides |
ES2421083B1 (en) | 2012-02-22 | 2014-11-04 | S.A. De Vera (Savera) | Adaptive flange system, for elevator guides |
FR2996216B1 (en) * | 2012-10-03 | 2015-04-17 | Sodimas | ATTACHING AN ELEVATOR GUIDE TO A WALL |
ES2492791B1 (en) | 2013-03-08 | 2015-05-28 | S.A. De Vera (Savera) | Flange for lift guides |
JP6182404B2 (en) * | 2013-09-11 | 2017-08-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Elevator equipment |
ES2557505B1 (en) | 2014-07-24 | 2016-11-03 | S.A. De Vera (Savera) | Adaptable flange for elevator guides |
ES2789749T3 (en) * | 2015-12-17 | 2020-10-26 | Inventio Ag | Fixing device for fixing elevator rails |
EP3231757B1 (en) * | 2016-04-15 | 2020-04-08 | Otis Elevator Company | Guide rail support |
-
2016
- 2016-12-15 MY MYPI2018702217A patent/MY192437A/en unknown
- 2016-12-15 EP EP16809850.7A patent/EP3390260B1/en active Active
- 2016-12-15 WO PCT/EP2016/081306 patent/WO201710301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15 KR KR1020187020336A patent/KR102636759B1/en active Active
- 2016-12-15 CA CA3007748A patent/CA3007748A1/en active Pending
- 2016-12-15 AU AU2016372444A patent/AU2016372444B2/en not_active Ceased
- 2016-12-15 BR BR112018012224-6A patent/BR11201801222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15 MX MX2018007183A patent/MX389735B/en unknown
- 2016-12-15 PL PL16809850T patent/PL3390260T3/en unknown
- 2016-12-15 CN CN201680082017.3A patent/CN108698794B/en active Active
- 2016-12-15 US US16/063,403 patent/US1118034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03017A1 (en) | 2017-06-22 |
US20180370766A1 (en) | 2018-12-27 |
KR20180096689A (en) | 2018-08-29 |
PL3390260T3 (en) | 2021-02-08 |
AU2016372444A1 (en) | 2018-07-05 |
MX2018007183A (en) | 2018-08-01 |
HK1259140A1 (en) | 2019-11-29 |
BR112018012224B1 (en) | 2022-07-19 |
MX389735B (en) | 2025-03-20 |
EP3390260B1 (en) | 2020-08-19 |
CN108698794B (en) | 2020-02-21 |
MY192437A (en) | 2022-08-19 |
BR112018012224A2 (en) | 2018-11-27 |
US11180345B2 (en) | 2021-11-23 |
EP3390260A1 (en) | 2018-10-24 |
CA3007748A1 (en) | 2017-06-22 |
AU2016372444B2 (en) | 2019-09-19 |
CN108698794A (en) | 2018-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6759B1 (en) |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
US20180362299A1 (en) | Fastening devices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
US9103073B2 (en) |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fastening of a rail on a substrate | |
EP1313661B1 (en) |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assembly | |
EP2516311B1 (en) | Elevator, guide rail bracket, arrangement and method | |
JP2013542152A (en) | Elevator equipment | |
EP2799653B1 (en) | Automatic sliding door power drive assembly | |
EP0654136B1 (en) | A device for installation of a radiator | |
EP2174902B1 (en) | Elevator guide rail fixing brackets | |
US20210171319A1 (en) | Elevator System | |
HK1259140B (en) | Fastening module for fastening elevator rails | |
CN106315344A (en) | Elevator guide rail mounting assembly | |
WO2017103014A1 (en) | Fastening devices for fastening lift rails | |
HK40081467A (en) | Rail-fastening system | |
CN204689303U (en) | Cage guide installation component | |
CN220868821U (en) | Adjustable climbing form anti-tilting support leg | |
CN115768710A (en) | Rail fixing system | |
KR101844578B1 (en) | Member fixing lower of pipe scaffolding | |
KR100844736B1 (en) | Center roller setting jig for car sliding door | |
JPS6228626Y2 (en) | ||
KR101939999B1 (en) | Fixing apparatus, sliding belt module, supporter for horizontal control and construction system for window frame using the sames | |
HK40005597B (en) | Rail foot holder for fastening a rail of an elevator system | |
HK40005597A (en) | Rail foot holder for fastening a rail of an elevator system | |
SI25673A (en) | External underlay system for height adjustment of ski jumping t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