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4560B1 -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60B1
KR102634560B1 KR1020217037175A KR20217037175A KR102634560B1 KR 102634560 B1 KR102634560 B1 KR 102634560B1 KR 1020217037175 A KR1020217037175 A KR 1020217037175A KR 20217037175 A KR20217037175 A KR 20217037175A KR 102634560 B1 KR102634560 B1 KR 10263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fermented malt
malt beverage
flavored fermented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817A (ko
Inventor
준 구보타
쇼타로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2/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 C12C12/04Beer with low alcohol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6Flavouring or bitte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04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 C12C5/026Beer flavour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7/00Preparation of wort
    • C12C7/04Preparation or treatment of the mash
    • C12C7/053Preparation or treatment of the mash part of the mash being non-cerea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3/00Methods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 to obtain low alcohol or non-alcoholic beverages
    • C12H3/02Methods for reduc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 to obtain low alcohol or non-alcoholic beverages by evapo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발명의 과제는, 맥주 유사의 발효감 및 목넘김을 갖고, 싱거운 음용감을 나타내지 않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맥즙 발효액,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피루브산 및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숙신산을 포함하고, 2.0%(w/w)를 초과하는 진정 추출물 농도를 갖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이다.

Description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본 발명은,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코올」이라는 문언은 에탄올을 의미한다.
「발효 맥아 음료」란, 원료로서 맥아를 사용하고, 이것을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얻어지는 음료를 말한다. 「맥주맛」이란, 맥주를 상기시키는 맛 및 향기를 말한다. 「맥주」란 맥아, 홉 및 물 등을 원료로 하여, 이것들을 효모로 발효시켜 얻어지는 음료를 말한다.
통상의 맥주로부터 알코올분을 빼고 만들어진 저알코올 맥주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발효 후의 맥주에 탈알코올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알코올분을 뺀 맥주맛 음료가 기재되어 있다.
맥즙의 발효물인 맥주로부터 알코올분을 제거하는 경우,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향미 성분을 남길 수 있어, 얻어지는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맥주 유사의 발효감을 갖는다. 또한, 발효 과정에 있어서 저분자의 당은 소비되어, 상기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불쾌한 끈적거리는 뒷맛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발효 과정 후에도 고분자의 당은 잔존하고 있고, 상기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삼킬 때 목구멍에서 느끼는 촉감 또는 걸림감, 즉 목넘김을 느끼게 한다.
한편, 알코올분이 제거된 맥주맛 음료는, 음용 시에 알코올분이 갖는 자극감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특히, 발효 과정을 거친 맥주는 저분자 당의 농도가 낮아, 감미 및 감칠맛의 강도가 저감되어 있다. 그 영향에 의해, 맥주를 원료로 하여 알코올분을 제거한 저알코올 맥주맛 음료는, 싱거운 음용감을 나타낸다는 문제를 갖는다. 싱겁다는 것은 수분이 많다고 느낄 정도의 싱거운 맛을 말한다.
특허문헌 2에는, 알코올 농도가 0.005%(v/v) 미만인 맥주맛 음료에 있어서, 피루브산 등의 산미료를 함유시킴으로써, 목넘김을 부여하면서, 맥주다운 뒤의 깔끔한 느낌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있어서, 피루브산 등의 산미료가 첨가되는 맥주맛 음료는, 구체적으로는, 맥즙에 맥주 풍미 향료, 캐러멜 색소, 탄산수를 사용하여 추출물분이 2.0%로 되도록 희석한 액이다(실시예 1 내지 4). 이 맥주맛 음료는 발효 과정을 거치고 있지 않고, 맥즙에서 유래하는 저분자의 당을 함유한다. 그 때문에, 상기 맥주맛 음료는 저분자의 당이 나타내는 감미 및 감칠맛을 갖고, 싱거운 음용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505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4441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맥주 유사의 발효감 및 목넘김을 갖고, 싱거운 음용감을 나타내지 않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이하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맥즙 발효액,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피루브산 및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숙신산을 포함하고, 2.0%(w/w)를 초과하는 진정 추출물 농도를 갖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공한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피루브산의 농도가 20 내지 75ppm이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숙신산의 농도가 35 내지 85ppm이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맥즙 발효액이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이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맥즙 발효액은, 맥즙 하면 발효액이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맥즙 발효액은, 80% 이하의 외관 최종 발효도를 갖는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25% 이상의 맥아 사용 비율을 갖는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2.0%(w/w)를 초과하는 진정 추출물 농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맥즙 발효액을 얻는 공정;
해당 맥즙 발효액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함으로써, 그 알코올 농도를 1%(v/v)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피루브산 및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숙신산을 포함하고, 2.0%(w/w)를 초과하는 진정 추출물 농도를 갖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맥주 유사의 발효감 및 목넘김을 갖고, 싱거운 음용감을 나타내지 않고, 또한 상쾌감이 우수한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가 제공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피루브산 및 숙신산의 농도와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기호성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맥즙을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발효 조건을 조절하여 소정의 농도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생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맥아의 파쇄물, 보리 등의 부원료 및 온수를 투입조에 더하고 혼합하여 마이셰(Maische)를 조제한다. 마이셰의 조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처음에 35 내지 60℃에서 20 내지 90분간 유지함으로써 원료에서 유래하는 단백질을 아미노산 등으로 분해하고, 당화 공정으로 이행한다. 그때, 필요에 따라, 주원료와 부원료 이외에, 트랜스 글루코시다아제 등의 효소, 그리고 스파이스 및 허브류 등의 향미 성분 등이 첨가된다.
그 후, 해당 마이셰를 조금씩 승온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일정 기간 유지함으로써, 맥아 유래의 효소나 마이셰에 첨가한 효소를 이용하여, 전분질을 당화시킨다. 당화 처리 시의 온도나 시간은, 사용하는 효소의 종류나 마이셰의 양, 목적으로 하는 맥즙 발효액의 품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60 내지 72℃에서 30 내지 90분간 유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당화 처리 후, 76 내지 78℃에서 10분간 정도 유지한 후, 마이셰를 맥즙 여과조에서 여과함으로써, 투명한 당액을 얻는다. 또한, 당화 처리를 행할 때, 효소를 필요한 범위에서 적당량 첨가해도 된다.
맥즙 발효액이란, 맥즙을 발효시켜 얻어지는 액이다. 맥즙 발효액은, 맥즙 상면 발효액이어도 되고, 맥즙 하면 발효액이어도 된다. 맥즙 상면 발효액이란, 맥즙에 상면 발효 효모를 접종하여, 통상의 발효 조건, 예를 들어 15 내지 25℃에서 몇일간 발효시킨 맥즙 발효액을 말한다. 맥즙 하면 발효액이란, 맥즙에 하면 발효 효모를 접종하여, 통상의 발효 조건, 예를 들어 10℃ 전후에서 약 일주일간 발효시킨 맥즙 발효액을 말한다.
당화에 제공되는 원료에는 맥아를 포함한다. 당화에 제공되는 원료의 맥아 사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7% 이상이다. 맥아 사용 비율이란, 물을 제외한 전체 원료에 대한 맥아의 비율(중량%)이다. 당화에 제공되는 원료는 맥아 사용 비율 100%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맥아 사용 비율이 높을수록, 얻어지는 맥즙의 맥아 유래의 묘미, 감칠맛 및 목넘김이 강해진다.
부원료란, 맥아와 홉 이외의 원료를 의미한다. 해당 부원료로서, 예를 들어 보리, 소맥, 옥수수 전분, 옥분, 쌀, 수수 등의 전분 원료나, 액당이나 설탕 등의 당질 원료가 있다. 여기서, 액당이란, 전분질을 산 또는 당화 효소에 의해 분해, 당화하여 제조된 것이고, 주로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타, 향미를 부여 또는 개선할 것을 목적으로 하여 사용되는 스파이스류, 허브류 및 과일 등도 부원료에 포함된다.
당화 효소란, 전분질을 분해하여 당을 생성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해당 당화 효소로서, 예를 들어 α-아밀라아제, 그르코아미라제, 플루라나아제 등이 있다.
맥즙 자비의 조작은, 맥주를 제조할 때 통상 행해지는 방법 및 조건에 따라 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pH를 조정한 당액을 자비 가마로 옮겨, 자비한다. 당액의 자비 개시 시부터, 월풀 정치 사이에 홉을 첨가한다. 홉으로서, 홉 추출물 또는 홉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사용해도 된다. 당액은 계속해서 월풀이라고 불리는 침전조로 옮기고, 자비에 의해 발생한 홉지게미나 응고된 단백질 등을 제거한 후, 플레이트 쿨러에 의해 적절한 온도까지 냉각한다. 상기 조작에 의해, 맥즙이 얻어진다.
얻어진 맥즙은, 효모에 의해 발효시킨다. 사용하는 효모는, 상면 발효 효모를 사용해도 되고, 하면 발효 효모를 사용해도 되지만, 산미, 삽미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하면 발효 효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모의 종류 및 발효 조건은, 소정의 농도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이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중에 생성되는 조건으로 조절한다. 그러한 효모의 종류 및 발효 조건은 공지이다. 예를 들어, WO2012/077212호에는, 맥주 유사의 발포성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발효 공정에 있어서 피루브산 및 숙신산의 생성량을 증감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N.Coote et al., "The Concentration and Significance of Pyruvate in Beer", J.Inst.Brew., vol.79, 1973, p298-304에는, 맥주 중의 피루브산 함유량을 제어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17760호 공보에는, 발포주를 제조하는 발효 과정에 있어서 말산 및 숙신산의 생성량을 조정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발효 조건의 조절 이외의 방법으로서,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발효 전, 발효 중 혹은 발효 후의 맥즙에 첨가하거나, 또는 발효액을 희석하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피루브산 및 숙신산 농도를 소정의 범위로 조절해도 된다.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피루브산을,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농도로 함유한다. 피루브산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산미가 돌출되지 않고, 싱거운 음용감이 완화되어, 상쾌감이 증강된다. 피루브산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ppm이다.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숙신산을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농도로 함유한다. 숙신산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산미가 돌출되지 않고, 싱거운 음용감이 완화되어, 상쾌감이 증강된다. 숙신산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5ppm이다.
맥즙 발효액의 외관 최종 발효도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맥즙 발효액의 외관 최종 발효도가 80%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맥주맛 음료의 목넘김이 불충분하고, 또한 산미가 강해지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맥즙 발효액의 외관 최종 발효도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이다.
발효도란, 발효 후의 맥주에 있어서, 얼마나 발효가 진행되었는지, 발효의 진행 방법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리고, 또한 최종 발효도란, 원 맥즙 추출물에 대하여, 맥주 효모가 자화 가능한 추출물의 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맥주 효모가 자화 가능한 추출물이란, 원 맥즙 추출물로부터, 제품 맥주에 포함되는 추출물(즉, 맥주 효모가 이용 가능한 추출물을 모두 발효시킨 후에 잔존하는 추출물(최종 추출물이라고 함))을 뺀 것이다. 외관 최종 발효도란, 최종 추출물의 값에, 외관 추출물, 즉, 알코올을 포함한 채의 맥주 비중으로부터 구한 추출물 농도(%(w/w))를 사용하여 계산한 최종 발효도를 말한다.
또한, 추출물이란 불휘발성 고형분의 농도(%(w/w))를 말한다.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진정 추출물 농도는, 예를 들어 EBC법(맥주 주조 조합 편집: BCOJ 맥주 분석법, 7.2(2004))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추출물이라는 문언은, 문맥에 따라, 불휘발성 고형분 그 자체, 불휘발성 고형분의 양, 또는 불휘발성 고형분의 농도를 의미한다.
맥즙 발효액의 외관 최종 발효도 Vend는, 예를 들어 하기 식(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식 중, P는 원 맥즙 추출물이고, Eend는 외관 최종 추출물이다.]
원 맥즙 추출물 P는, 제품 맥주의 알코올 농도와 추출물의 값으로부터, Balling의 식에 따라, 이론상 알코올 발효 전의 맥즙 추출물의 값을 역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Analytica-EBC(9.4)(2007)에 나타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외관 최종 추출물 Eend는 맥주를 플라스크에 채취하고, 신선한 압착 효모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25℃에서 교반하면서, 추출물의 값이 이 이상 저하되지 않게 될 때까지 발효시켜(24시간), 잔존 맥주 중의 외관 추출물의 값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외관 최종 추출물 Eend는, 최종 추출물의 알코올을 포함한 비중으로부터 계산되기 때문에, 마이너스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외관 최종 발효도는 100%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외관 최종 발효도는, 예를 들어 당화 조건, 원료를 당화시킬 때의 효소 사용 유무 및 원재료의 종류나 배합량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셰에 포함되는 자화성 당의 양을 저하시킴으로써, 외관 최종 발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발효 종료 후, 또한, 숙성 공정으로서, 얻어진 맥즙 발효액을, 저주 탱크 속에서 숙성시켜, 0℃ 정도의 저온 조건 하에서 저장하여 안정화시킨다. 이어서 여과 공정으로서, 숙성 후의 맥즙 발효액을 여과함으로써 효모 및 단백질 등을 제거한다.
효모 및 단백질 등이 제거된 맥즙 발효액은, 필요에 따라, 포함되어 있는 탄산 가스가 제거된다. 또한, 맥즙 발효액은, 탈알코올 공정에 제공되어,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이 제거된다. 탈알코올 공정은, 맥즙 발효액의 알코올 농도가, 예를 들어 1%(v/v) 미만, 바람직하게는 0.5%(v/v)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v/vV) 미만으로 될 때까지 행해진다. 탈알코올 공정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감압 증류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생성하는 향미 성분에 대해서는, 잔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은, 필요에 따라, pH 조정제를 첨가하여 pH를 낮춘다. pH를 충분히 저하시킴으로써, 음료를 시판할 때 필요한 정균성이 부여되어,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부패 방지의 효과가 얻어질 정도로 낮은 pH를 가지면 된다. 구체적인 pH의 상한은 4.2 미만, 바람직하게는 4.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다. 한편, 구체적인 pH의 하한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이상이다.
pH 조정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식품 첨가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음료 및 식품이나 그것들의 제조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산, 그것들의 염 및 pH 저하능을 갖는 맥주 원료라면, pH 조정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pH 저하능을 갖는 맥주 원료로서, 예를 들어 사워 몰트, 농색 맥아 등이 있다. 바람직한 pH 조정제는 피트산, 시트르산, 락트산, 유산균, 인산, 말산, 무수 아황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아세트산, 숙신산, 아디프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및 이것들의 조합이다. 보다 바람직한 pH 조정제는 피트산, 락트산, 유산균, 인산, 말산, 무수 아황산, 타르타르산 및 이것들의 조합이다. 맥주맛 음료의 향미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이것들 중에서도 산미가 적은 피트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는, 필요에 따라 고미 물질을 첨가하고, 고미가의 조정을 행한다. 고미 물질로서는, 단리된 이소α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소α산은 홉에 함유되어 있고, 홉 또는 홉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홉 또는 홉 추출물이란, 홉의 잎, 그것의 마쇄물, 이것들을 물이나 열탕에서 추출한 추출액, 추출액의 농축물 및 건조물을 가리킨다.
맥주맛 음료의 고미가는, 맥주와 동등한 고미가 되도록 조정된다. 맥주맛 음료의 고미가는,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0BU,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BU,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7BU로 조정된다. 맥주맛 음료의 고미가는, 맥주 주조 조합 편집: BCOJ 맥주 분석법, 8.15(200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는, 카보네이션 공정을 거침으로써 탄산 가스가 첨가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가 얻어진다. 탄산 가스의 첨가량은 맥주와 동일한 발포성이 되도록 조정된다. 탄산 가스의 첨가량은,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5.0가스 볼륨,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3.5가스 볼륨, 보다 바람직하게는 2.6 내지 3.2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조정된다.
본 발명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는, 맥즙 발효액 유래의 추출물에 의해, 진정 추출물 농도가 2.0%(w/w)를 초과한다. 이에 의해,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이 완화되고, 목넘김이 증강되기 쉬워진다.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맥즙 발효액 유래 추출물에 의한 진정 추출물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w/w),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w/w)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제조 방법]
투입 가마에 분쇄 맥아, 물 및 옥수수 전분을 투입하고, 70℃에서 호화, 100℃에서 액화를 행하였다. 이어서 투입조에 분쇄 맥아, 효소 및 온수를 투입하고, 55℃ 부근에서 단백 휴지를 행한 후, 투입 가마로부터 투입조로 액을 이송하고, 60℃부터 76℃의 범위의 온도에서 당화를 행하였다. 이 당화액을 여과조인 로이터에 의해 여과하고, 그 후 자비 가마로 옮기고, 비터 홉을 첨가하여, 60분간 자비했다. 자비 후, 증발분의 온수를 추가하고, 월풀조에서 열 트로브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 쿨러를 사용하여 10℃까지 냉각하여, 냉맥즙을 얻었다.
이 맥즙에 맥주 효모를 더하고, 7일간 10℃ 전후에서 발효시킨 후, 맥주 효모를 제거했다. 탱크를 교체하여 7일간 숙성시킨 후, -1℃ 부근까지 냉각하여 14일간 안정화시켰다. 그 후 탈기수를 더하여 희석 후, 규조토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맥즙 발효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맥즙 발효액을 90mbar 부근의 감압 하에서, 탈가스 탱크 내에 스프레이하여 탄산 가스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 쿨러를 사용하여 50℃ 부근까지 가열했다. 그 후, 90mbar 부근의 감압 칼럼 내에서 50℃ 부근으로 가열한 수증기와 접촉시켜, 휘발 성분을 수증기에 흡착시키고, 알코올 및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알코올 농도 0.02%(v/v)의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을 얻었다.
얻어진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를 더함으로써 진정 추출물 농도가5.0%(w/w)로 되도록 희석하고,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얻었다. 이것을 시료 1-1이라고 표기했다. 한편, 상기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소정량 첨가하여,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시료 1-2 내지 1-11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EBC법을 사용하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진정 추출물(%(w/w))을 측정했다. 또한, pH 및 고미가를 측정했다.
이하의 방법에 의해,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의 농도를 측정했다. 먼저, 탈탄산한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적절히 증류수로 희석한 후, 필터 여과하여, UHPLC 분석에 제공했다. UHPLC의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이 했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2
[관능 평가 방법]
제작한 시료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항목으로서, 「발효감을 갖는 것」, 「목넘김을 느끼는 것」, 「싱거움을 느끼지 않는 것」, 「상쾌감을 갖는 것」 및 「돌출된 산미를 느끼지 않는 것」의 5항목을 설정하여, 훈련된 맥주 전문의 검사원 10명이, 후술하는 기준에 따라 채점했다. 검사원 전원의 채점의 평균값을 각 평가 항목의 평점으로 했다. 또한, 평가에 제공된 샘플의 액온은 4℃ 전후였다.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
발효감을 갖는 것:
발효감이란 맥주 유사의 복잡미라고 정의했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사히 슈퍼 드라이」(상품명)를 5점, 물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채점했다.
싱거움을 느끼지 않는 것:
싱거움이란 수분이 많다고 느낄 정도의 싱거운 맛이라고 정의했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사히 슈퍼 드라이」(상품명)를 5점, 물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채점했다.
목넘김을 느끼는 것:
목넘김이란 삼킬 때 목구멍에서 느끼는 촉감 또는 걸림감이라고 정의했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사히 슈퍼 드라이」(상품명)를 5점, 물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채점했다.
상쾌감을 갖는 것:
상쾌감이란 뒷맛에 끈적거림을 느끼지 않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사히 슈퍼 드라이」(상품명)를 5점, 덱스트린 2.0%(w/w) 수용액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채점했다.
돌출된 산미를 느끼지 않는 것:
돌출된 산미란 산미를 명확하게 느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제 「아사히 슈퍼 드라이」(상품명)를 5점, 시트르산 200ppm 수용액을 1점으로 하여 5단계로 채점했다.
기호성:
「발효감」, 「목넘김을 느끼는 것」, 「상쾌감을 갖는 것」, 「싱거움을 느끼지 않는 것」 및 「돌출된 산미를 느끼지 않는 것」이 모두 3.5 이상의 평점이었던 경우를 양호 ○, 그 이외를 불량 ×라고 했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3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4
<실시예 2>
투입조에 분쇄 맥아, 효소 및 온수를 투입하고, 55℃ 부근에서 단백 휴지를 행한 후, 60℃부터 76℃의 범위의 온도에서 당화를 행하였다. 이 당화액을 여과조인 로이터에 의해 여과하고, 그 후 자비 가마로 옮기고, 비터 홉을 첨가하여, 60분간 자비했다. 자비 후, 증발 분의 온수를 추가하고, 월풀조에서 열 트로브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 쿨러를 사용하여 10℃까지 냉각하여, 냉맥즙을 얻었다.
이 맥즙에 맥주 효모를 더하고, 7일간 10℃ 전후에서 발효시킨 후, 맥주 효모를 제거했다. 탱크를 교체하여 7일간 숙성 후, -1℃ 부근까지 냉각하여 14일간 안정화시켰다. 그 후, 탈기수를 더하여 희석 후, 규조토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맥즙 발효액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맥즙 발효액을 90mbar 부근의 감압 하에서, 탈가스 탱크 내에 스프레이하여 탄산 가스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 쿨러를 사용하여 50℃ 부근까지 가열했다. 그 후, 90mbar 부근의 감압 칼럼 내에서 50℃ 부근으로 가열한 수증기와 접촉시켜, 휘발 성분을 수증기에 흡착시키고, 알코올 및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알코올 농도 0.02%(v/v)의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을 얻었다.
얻어진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를 더함으로써 진정 추출물이 5.0%(w/w)로 되도록 희석하고,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얻었다. 이것을 시료 2-1이라고 표기했다. 한편, 상기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소정량 첨가하여,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시료 2-2 내지 2-4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진정 추출물 농도, 피루브산 농도, 숙신산 농도, pH 및 고미가를 측정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5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를 소정량 더함으로써, 숙신산 농도가 30ppm으로 되도록 희석했다. 고미가가 20BU로 되도록 이소화 홉 추출물을 첨가했다. 그리고, 진정 추출물 농도가 5.0% 및 피루브산 농도가 40ppm으로 되도록, 덱스트린 및 피루브산을 소정량 첨가했다. 또한,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얻었다. 이것을 시료 3-1이라고 표기했다. 한편, 상기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소정량 첨가하여,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시료 3-2 내지 3-4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진정 추출물 농도, 피루브산 농도, 숙신산 농도, pH 및 고미가를 측정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6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를 총괄함으로써, 피루브산 및 숙신산의 농도와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기호성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 부호 「●」는 시료의 기호성이 양호했던 것을 나타내고, 부호 「×」는 시료의 기호성이 불량했던 것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관계에 의해, 소정의 농도 범위에서 피루브산 및 숙신산을 함유시킴으로써, 저알코올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기호성이 향상되는 것이 이해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에 탈기수를 소정량 더함으로써, 진정 추출물 농도가 4.0%, 3.5%, 3.0%, 2.5% 또는 2.0%로 되도록 각각 희석하고, 이소화 홉 추출물을 사용하여 고미가가 20BU로 되도록 조정 후,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키고, 또한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하여, 5종류의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를 얻었다. 이것들을 각각 시료 4-1, 4-2, 4-3, 4-4, 4-5라고 표기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진정 추출물 농도, 피루브산 농도, 숙신산 농도, pH 및 고미가를 측정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7
<참고예>
비발효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를 제작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맥아 1㎏을 적당한 입도로 분쇄하여 투입조에 넣고, 이것에 3L의 온수를 더하고, 65℃에서 30분 유지 후, 조금씩 승온하여 75℃에서 30분간, 당화를 행하였다. 당화 종료 후, 78℃까지 승온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를 행하여, 여액을 얻었다. 제조 스케일을 1L로 하여 홉을 첨가하고, 100℃에서 60분간 자비했다. 자비 후의 액을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약 2℃로 냉각했다. 적절히, 진정 추출물 농도가 2.0%로 되도록, 물을 더하여 맥즙을 조정했다. 이 맥즙에 맥주 풍미 향료, 캐러멜 색소를 더하고, 이소화 홉 추출물을 첨가하여 고미가를 조정했다. 이 희석 후의 액에,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한 후,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시료 5-1을 제작했다. 한편, 얻어진 맥즙에 진정 추출물 농도가 4.0%로 되도록, 물을 더하여 맥즙을 조정했다. 이 맥즙에 맥주 풍미 향료, 캐러멜 색소를 더하고, 이소화 홉 추출물을 더하여 고미가를 조정했다. 이 희석 후의 액에, pH3.9로 되도록 인산으로 pH 조정을 행한 후, 2.9가스 볼륨으로 되도록 탄산 가스를 용해시켜, 시료 5-2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진정 추출물 농도, 피루브산 농도, 숙신산 농도, pH 및 고미가를 측정하여,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21130922666-pct00008

Claims (11)

  1. 맥즙 발효액을 포함하고,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피루브산 및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숙신산을 포함하고, 진정 추출물 농도가 2.0%(w/w)를 초과하고 있고,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루브산의 농도가 20 내지 75ppm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숙신산의 농도가 35 내지 85ppm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맥즙 발효액이 탈알코올 맥즙 발효액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H 조정제를 함유하고, pH가 4.2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정제가, 피트산, 락트산, 유산균, 인산, 말산, 무수 아황산 및 타르타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미가가 5 내지 100BU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맥즙 발효액의 외관 최종 발효도가 80% 이하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맥아 사용 비율이 25% 이상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10. 맥즙 발효액을 얻는 공정;
    해당 맥즙 발효액으로부터 알코올을 제거함으로써, 그 알코올 농도를 1%(v/v) 미만으로 감소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인 피루브산 및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인 숙신산을 포함하고, 진정 추출물 농도가 2.0%(w/w)를 초과하고,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제조 방법.
  11. 맥즙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 피루브산의 농도를 5.3ppm을 초과하고 80ppm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 숙신산의 농도를 29.2ppm을 초과하고 90ppm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 진정 추출물 농도를 2.0%(w/w)를 초과하고 6.0%(w/w) 이하로 조절하는 것, 및 알코올 농도를 1%(v/v) 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코올 농도가 1%(v/v) 미만인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KR1020217037175A 2020-01-28 2021-01-27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Active KR102634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1736A JP6905104B1 (ja) 2020-01-28 2020-01-28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JPJP-P-2020-011736 2020-01-28
PCT/JP2021/002868 WO2021153625A1 (ja) 2020-01-28 2021-01-27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817A KR20220131817A (ko) 2022-09-29
KR102634560B1 true KR102634560B1 (ko) 2024-02-08

Family

ID=7691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175A Active KR102634560B1 (ko) 2020-01-28 2021-01-27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2286608B2 (ko)
EP (1) EP3957185A4 (ko)
JP (1) JP6905104B1 (ko)
KR (1) KR102634560B1 (ko)
CN (2) CN118703277A (ko)
AU (1) AU2021214309B2 (ko)
CA (1) CA3140143A1 (ko)
SG (1) SG11202112775WA (ko)
WO (1) WO2021153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5104B1 (ja) 2020-01-28 2021-07-21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WO2023127921A1 (ja) 2021-12-27 2023-07-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
WO2023127922A1 (ja) 2021-12-27 2023-07-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
WO2023171340A1 (ja) * 2022-03-11 2023-09-14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低アルコールビールテイスト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154883A (ja) * 2023-04-20 2024-10-31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発酵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1496A1 (en) 2011-09-22 2013-03-28 The Coca-Cola Company Process for the industrial manufacture of kvas beverage
JP2016144412A (ja) 2015-02-06 2016-08-12 キリン株式会社 後残りしないキレのある酸味を有するビールテイスト飲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760A (ja) 1996-10-23 1998-05-12 Sapporo Breweries Ltd 発泡酒の製造方法
JP3838553B2 (ja) 2002-03-01 2006-10-25 宝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炭酸飲料
KR101350663B1 (ko) 2009-01-08 2014-01-10 기린비루 가부시키가이샤 신맛이 감소·완화된 미발효된 맥주 풍미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TWI417056B (zh) * 2009-08-21 2013-12-01 Kirin Brewery Sour taste reduced ‧ Efforts of unfermented beer flavored malt beverag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WO2012077212A1 (ja) * 2010-12-09 2012-06-14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ピルビン酸含有量の高いビール様発泡性発酵飲料の製造方法
JP5763416B2 (ja) * 2011-05-24 2015-08-12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低アルコール発酵麦芽飲料の製造方法
JP5986373B2 (ja) * 2011-12-15 2016-09-06 麒麟麦酒株式会社 発酵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
JP6731742B2 (ja) 2016-02-15 2020-07-29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飲料、ビールテイスト飲料の製造方法、及びビールテイスト飲料の香味向上方法
JP6598887B2 (ja) 2018-01-15 2019-10-30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ビール様発泡性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6905104B1 (ja) 2020-01-28 2021-07-21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DE102021123718A1 (de) 2020-09-14 2022-03-17 Wilhelm Jockenhöfer GmbH & Co. KG Polstermöbelanordnung und Wohnlandschaft mit einer Polstermöbelanordn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1496A1 (en) 2011-09-22 2013-03-28 The Coca-Cola Company Process for the industrial manufacture of kvas beverage
JP2016144412A (ja) 2015-02-06 2016-08-12 キリン株式会社 後残りしないキレのある酸味を有するビールテイスト飲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yrell T ET AL, "Screening of Brewery Yeast Strains Regarding Organic Acid Profile in Order to Find Low Succinic Acid Producer", BrewingScience, (20130701), pages 75 - 84, URL: https://www.researchg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11595A (zh) 2021-12-17
AU2021214309A1 (en) 2021-12-09
KR20220131817A (ko) 2022-09-29
EP3957185A1 (en) 2022-02-23
JP2021114959A (ja) 2021-08-10
WO2021153625A1 (ja) 2021-08-05
CN118703277A (zh) 2024-09-27
NZ782275A (en) 2023-10-27
JP6905104B1 (ja) 2021-07-21
EP3957185A4 (en) 2022-11-02
CA3140143A1 (en) 2021-08-05
AU2021214309B2 (en) 2023-08-10
US20220220426A1 (en) 2022-07-14
US12286608B2 (en) 2025-04-29
SG11202112775WA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2596B2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
KR102634560B1 (ko)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맥주맛 발효 맥아 음료의 싱거운 음용감을 완화하는 방법
WO2021070930A1 (ja)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WO2022210108A1 (ja) ノンアルコール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7181333B2 (ja) 穀物香が低減された麦芽飲料
JP2023042249A (ja) ビール様発酵麦芽飲料
JP7320918B2 (ja) ビール様発酵麦芽飲料
RU2816894C2 (ru) Напиток со вкусом пива
JP7695448B2 (ja) 低アルコールビール様飲料および低アルコールビール様飲料の製造方法
JP7557178B1 (ja) 低アルコールビール様飲料および低アルコールビール様飲料の製造方法
RU2825472C1 (ru) 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й солодовый напиток со вкусом пива
RU2816896C1 (ru) Ферментированный солодовый напиток со вкусом пива
HK40059489A (en) Fermented malt beverage having beer taste
JP2018198554A (ja) 麦芽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5107421A (ja) ビールテイスト発酵麦芽飲料
JP2023180387A (ja) 麦汁のビール酵母発酵液、及びその製造方法
NZ782275B2 (en) Beer-taste fermented malt beverage
HK40058512A (en) Fermented malt beverage having beer taste
HK40059487A (en) Beer-flavored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