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4131B1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131B1
KR102634131B1 KR1020160062647A KR20160062647A KR102634131B1 KR 102634131 B1 KR102634131 B1 KR 102634131B1 KR 1020160062647 A KR1020160062647 A KR 1020160062647A KR 20160062647 A KR20160062647 A KR 20160062647A KR 102634131 B1 KR102634131 B1 KR 10263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ver function
liver
post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417A (ko
Inventor
김정기
장정화
김완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PCT/KR2016/0054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95304A1/ko
Publication of KR2016014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1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토올리고당, 후발효차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지방간 개선, 스트레스 완화,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지방간이 개선되고, 간의 해독 기능을 촉진시킴으로써 중금속 중독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 기능 개선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피로 완화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Liver Function Improvement Comprising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토올리고당, 후발효차 추출물,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지방간 개선, 스트레스 완화,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간의 주요 기능은 체외에서 유입되거나 체내에서 생성된 각종 물질들을 가공 처리하고 중요한 물질들을 합성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혈액에는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있는데 이 중 약 90%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이 밖에도 간은 해독작용 및 면역 기관의 역할 등을 하는데, 우리 몸에 들어온 각종 약물과 해로운 물질은 간에서 해가 적은 물질로 바꾸어 소변 또는 쓸개즙을 통해 배설된다. 뿐만 아니라, 간에는 쿠퍼세포라는 면역세포가 있어서 몸 밖에서 들어오는 세균과 독소 또는 이물질을 잡아먹은 뒤 분해시켜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간은 왕성한 재생력을 갖고 있어 75%를 절제해도 4-6개월 후에는 크기와 기능이 회복된다.
이와 같이, 간은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기능이 저하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알코올을 과량 섭취하는 현대인들에게 발병하기 쉬운 지방간은 대표적인 간질환 중 하나이다. 지방간에서 축적된 지방의 대부분은 중성지방(triglyceride)이며, 지방간은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또는 약물 등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을 과다 섭취하여 간에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된다.
지방간은 단순히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현상을 넘어, 알코올성 지방간으로 판명된 환자의 50%,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판명된 환자의 30%는 간경변으로 발전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지방간은 매우 심각한 간질환의 하나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 간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알코올성 지방간의 환자들 중에서 10-35%가 간염으로, 8-20%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 비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이 간경변증을 보다 많이 가지고 있고 또한 간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알코올성 지방간은 더욱 심각한 문제이다.
또한, 현대인들은 대기오염, 농약이나 중금속에 의한 오염 및 항생제의 과다복용 등으로 인한 독성이 인체에 축적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러한 독성은 체내로 흡수될 경우 해독 기능을 하는 간에 가장 먼저 축적되어 간에 무리한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은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되어 면역력 감소와 함께 간기능이 저하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간기능의 저하를 예방하고 간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이 현대인들의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식품 또는 약물을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후발효차 추출물은 간기능 개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이다. 녹차는 크게 비발효차와 발효차로 나뉘며, 발효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약발효차, 반발효차, 후발효차 등으로 구별된다. 후발효차의 대표적인 예로는 중국의 보이현에서 유래된 보이차를 들 수 있다. 보이차는 대엽종 차나무에서 얻어진 후발효차로 녹차잎의 효소를 파괴시킨 뒤 녹차잎을 퇴적하여 공기 중에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유도해 다시 발효가 일어나게 만든 차를 말한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52982호에서는, 미생물의 발효로 얻어진 후발효차의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키토올리고당은 갑각류(게, 새우 등)의 껍질, 연체류(오징어, 갑오징어 등)의 뼈를 분쇄, 탈단백, 탈염화한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지는 키토산을 효소처리하여 당의 수가 2~10개인 것을 얻어낸 것으로, 키토산과 마찬가지로 체내 L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이 알려져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116467호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켜 숙취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밀크시슬(milk thistle) 추출물에 함유된 실리마린(silymarin)은 다른 플라보노이드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간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하여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고, 활성 산소 제거능이 있어 간 손상을 예방하고 간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간 조직에 존재하는 대식세포의 일종인 쿠퍼 세포(kupper cell)의 활성 억제에 의한 염증관련 인자들의 발현 억제가 밀크시슬의 간 보호 작용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76975호에서는 실리마린과 글루타치온을 함께 사용할 경우 항산화 효과 등이 있다는 점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 각각의 지방간 개선효과, 간기능 개선으로 인한 스트레스 완화효과 및 중금속 중독 완화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가지 이상이 혼합될 경우의 시너지로 인해 상기 효과들이 강화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가 없었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052982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09-0116467호 한국특허출원 제10-2011-007697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여 간기능 개선 효과, 특히 지방간 개선효과, 간기능 개선으로 인한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강화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가지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뛰어난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포함한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포함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지방간이 개선되고, 간의 해독 기능을 촉진시킴으로써 중금속 중독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 기능 개선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피로 완화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간에 축적된 트리글리세라이드(TG)의 함량 변화(mg/dl)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후발효차"는 열을 가하여 녹차 내부의 효소를 비활성화 시킨 후, 적정한 수분과 온도 등의 조건하에서 특정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 시킨 차를 의미하고, 차 잎 내부 효소를 이용하는 전발효차와 구별된다.
상기 후발효차 제조시 이용하는 미생물은 식용 가능한 비병원성 미생물로서, 사카로마이세스속(Saccharomyces sp .), 바실러스속(Bacillus sp .) 또는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류 유래 균주일 수 있다. 장류 유래 균주는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된장, 고추장 또는 간장에서 유래한 균주이거나 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청국장 유래 균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s), 바실러스 나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시트레우스(Bacillus citreus), 바실러스 시르쿠란스(Bacillus circulans), 바실러스 메센트리커스(Bacillus mesentricus) 및 바실러스 푸미러스(Bacillus pumil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류 유래 균주는 고초균이라고도 불리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일 수 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아미노산, 항미생물 제제(antibacterial compound) 또는 계면 활성제 등의 생산에 이용된다. 특히, 이는 사람, 동물 및 식물 등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식품 미생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후발효차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배양한 장류 유래 균주를 발효액에 접종한다. 상기 발효액은 미생물에 대한 수분과 에너지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예를 들어, 발효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의 설탕 또는 과당 등을 혼합하고 대두 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접종한 균주의 원활한 발효 대사를 위하여 균주를 접종한 발효액을 배양기에서 배양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그런 다음, 녹차 잎과 균주를 접종한 발효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킨다. 혼합하는 발효액은 녹차 건엽 중량을 기준으로 10~80 중량%가 적절할 수 있다. 발효는 20~70℃의 항온 발효조에서 24시간 내지 28일간 실시할 수 있다. 발효 온도가 40℃를 넘으면, 장류 유래 균주, 예를 들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을 제외한 나머지 균들의 생장이 억제 내지 사멸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발효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장류 유래 균쥬의 생장 역시 저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 과정은 후발효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발효 완료 후 열풍 건조를 통해 건조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발효차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이상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온도는 예를 들어 10~80℃일 수 있으며, 추출시간은 예를 들어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다양한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2,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0~1,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예를 들어, 키토올리고당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당 내지 7당의 키토올리고당의 비율이 3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먼저 게 또는 새우껍질 등을 분쇄, 탈염, 단백질 제거 및 불순물 제거 공정에 의해 키틴으로 분리 정제한 후,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무기산 또는 유기산 등의 산(acid)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또는 효소를 이용한 분해방법을 통해 상기 키토산으로부터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키토올리고당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효소 분해방법을 통해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효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cellul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토산을 효소분해하여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키토산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젖산을 2~3% 첨가하고, 40~6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고형분 5~10%의 젖산이 함유된 키토산 분산액을 제조한다. 완전히 용해된 키토산 분산액의 pH를 4~6으로 조정하고, 키토산 분해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투입한다. 그런 다음, 40~60℃에서 14~20 시간 가수분해한 후,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한 다음, 여과 건조과정을 거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크시슬(milk thistle, Silybum marianum)은 국화과 식물로 엉겅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우유같이 하얀 잎맥과 함께 깊고 반짝이는 녹색의 식물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무늬가 있고 가시도 있는 뿌리-잎사귀로 분할되는 가늘고 긴 식물이다. 제방 울타리와 버려진 땅에서 주로 발견된다. 식물의 유용한 부분은 허브 전체, 뿌리, 잎사귀, 씨, 그리고 겉껍질이며, 엉겅퀴 씨는 실리마린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엉겅퀴 씨 추출물에는 70~80%의 실리마린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간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독성으로부터 간세포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밀크시슬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을 적의 선정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제품화되어 시중에서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두 가지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후 간에 축적된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 측정, 혈중 지표 측정, 간 내 카드뮴 함량 측정, 스트레스 지수 측정 결과, 뛰어난 지방간 개선 효과,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세 가지 성분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로 인해 간기능 개선효과가 더욱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지방간에 축적된 중성지방(triglyceride)의 함량을 감소시키며, 알코올성 지방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성지방 함량을 모두 감소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지방간의 중성지방 함량 감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효과 및 중금속 중독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간기능이 개선되면, 누적된 피로가 완화되고 심신이 안정되며, 이에 따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기능이 균형을 이루면서 스트레스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는 해독 기능을 하는 간에 중금속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중금속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중금속은 바람직하게는 카드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이 모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경우,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1~3 : 1~3 : 1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의 혼합물을 10~9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함량 범위를 함유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및 연질캡슐 제조 시에는 10~60 중량%, 하드캡슐의 제조시에는 10~90 중량%가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가물 등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하여 더 첨가함으로써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간장 보호제 또는 피로 회복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예 1] 후발효차 추출물의 제조
<바실러스 후발효차의 제조>
진동 배양기를 이용하여 30℃에서 72시간 배양된 균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회수하여 1차로 원심 분리기에서 균주와 활성 배지를 분리하였다. 1.0%의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균주를 3회 세척해 준 다음, 적절한 미생물의 대사를 위해 발효액을 공급하였다. 상기 발효액은, 발효액 총 중량에 대하여, 설탕 2.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런 다음, 27 psi(pounds per square inch)의 압력, 120℃ 온도에서 15분간 고온가압 멸균하였다. 멸균이 완료된 다음, 상온에서 25℃까지 냉각시켰다. 상기 세척 과정에서 손상을 입은 균주의 원활한 발효 대사를 위해, 발효액에서 균주를 안정화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구체적으로는, 대두 분말을 넣기 전 상태의 발효액 300 ml에 식염수로 3회 세척한 균주를 혼합하고,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안정화시켰다.
멸균된 반응 탱크 내에서, 소포장 단위별로 준비된 녹차 성분을, 발효액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접종된 발효 균액과 혼합하며, 발효 균주의 수가 103~108 CFU/ml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녹차건엽 중량대비, 발효액의 비율은 30~60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급속한 온도 증가로 인해 균주가 손상을 받지 않도록 발효균액을 혼합한 후에도 차잎을 계속 교반하여 차 내부 온도가 급속히 올라가지 않도록 하였다. 20분 후, 반응이 완료되고 온도가 떨어진 녹차 발효 균액 혼합물은 입구를 막아 외기의 유입을 막고, 발효 공정을 거쳤다. 발효 공정은, 60℃의 항온 발효조에서 7일간 실시하였다. 발효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80~120℃에서 5시간 열풍 건조함으로써, 발효차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후발효차는, 병원성 미생물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최종 제품 내 총균수(Total microbial account)가 102 CFU/g 이하인 규격 범위의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후발효차 추출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후발효차 1kg을 70% 에탄올 용액 5L에 침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역류(reflux)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후발효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15~20%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참고예 2] 키토올리고당의 제조
키토산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젖산을 2~3% 첨가하고, 40~6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고형분 5~10%의 젖산이 함유된 키토산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완전히 용해된 키토산 분산액의 pH를 4~6으로 조정하고, 키토산 분해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투입하였다. 그 다음, 50℃에서 16 시간 가수분해한 후,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한 다음, 여과 건조과정을 거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3] 밀크시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밀크시슬 1kg에 중량비 6배의 주정 6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45℃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 후 정제하여 밀크시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의 제조]
참고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후발효차 추출물, 참고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올리고당, 참고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종 이상을 선택하여 2:2:1의 혼합비율을 유지하면서, 유효성분의 농도가 258mg/kg(mg per kg 또는 mpk; 동물단위 중량당 처리 용량)이 되도록 혼합한 실시예 1-5와, 유효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상기 세 가지 유효성분을 각각 단독으로 258mg/kg로 함유하는 비교예 2-4를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후발효차 추출물(mg/kg) 100 129 172 - 103.2 - 258 - -
키토올리고당(mg/kg) 106 129 - 172 103.2 - - 258 -
밀크시슬 추출물(mg/kg) 52 - 86 86 51.6 - - - 258
유효성분 총합(mg/kg) 258 258 258 258 258 0 258 258 258
[시험예 1] 지방간 개선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생후 5주령의 SD (Spraque Dawley)계 수컷 흰쥐 80마리를 구입하여 (Samtako Korea Co.)일반 고형 사료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는 음성대조군과 알코올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고, 다시 알코올을 투여한 군은 실험식이의 조성에 따라 유효성분 무첨가군(비교예 1), 단독 유효성분 함유군(비교예 2-4), 및 시험군(실시예 1-5)으로 분류하여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실험 식이를 2주간 공급하였다. 그 다음,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지표를 분석하였고(표 2), 간 조직을 적출한 후 간에 축적된 트리글리세라이드(TG)의 함량 변화를 측정(도 1)하였다. 이 때, 트리글리세라이드(TG) 함량의 단위는 mg/dl(혈액 1 deciliter에 포함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중량)로 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 투여 후 본원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 내지 5를 각각 실험 식이로 공급한 경우, 간 TG 함량이 알코올을 투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의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를 각각 실험 식이로 공급한 경우, 간기능 관련 혈중 지표가 유효성분 무첨가군에 비해 모두 낮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GOT (IU/L) GPT (IU/L) BUN (mg/dl) 크레아니틴 (mg/dl)
음성대조군 91.8±17.1 29.4±3.5 12.4±0.8 2.5±0.8
비교예 1 (무첨가군) 120.1±11.4 60.3±15.1 17.1±2.5 3.1±1.1
비교예 2 106.7±8.8 55.6±2.1 14.3±2.1 2.3±1.5
비교예 3 108.7±11.8 54.6±9.1 15.3±4.1 2.9±0.5
비교예 4 104.4±3.8 50.1±9.1 14.3±4.1 2.2±0.5
실시예 1 94.1±15.2 48.6±5.1 13.8±1.5 2.2±0.4
실시예 2 97.1±3.2 51.6±2.1 14.8±1.0 2.2±0.7
실시예 3 96.1±7.0 50.6±5.0 15.1±2.5 2.4±2.4
실시예 4 99.1±15.1 49.6±3.1 14.8±1.1 2.0±0.4
실시예 5 93.1±6.3 49.6±3.2 13.9±0.5 2.3±0.4
특히, 세 가지 성분을 모두 혼합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를 공급한 경우 두 가지 성분만을 혼합한 실시예 2 내지 4를 각각 공급한 경우에 비하여 간에 축적된 TG 함량과 혈중 지표가 훨씬 낮게 나타나,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로 인해 지방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의 해독작용을 촉진하여 중금속 중독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생후 5주령의 SD (Spraque Dawley)계 수컷 흰 쥐 80마리를 구입하여 (Samtako Korea Co.)일반 고형 사료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카드뮴을 투여하지 않는 음성대조군과 카드뮴을 투여한 군으로 나누고, 다시 카드뮴을 투여한 군은 실험식이의 조성에 따라 유효성분 무첨가군(비교예 1), 단독 유효성분 함유군(비교예 2-4), 및 시험군(실시예 1-5)으로 분류하여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실험 식이를 4주간 공급하였다. 4주 후, 간 조직을 적출한 후 카드뮴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를 각각 실험 식이로 공급한 경우, 간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이 유효성분 무첨가군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특히, 세 가지 성분을 모두 혼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5를 공급한 경우 두 가지 성분만을 혼합한 실시예 2 내지 4를 각각 공급한 경우에 비하여 간에 축적된 중금속 농도가 훨씬 낮게 나타나,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유효성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간에 중금속이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고 중금속을 배출시키는 중금속 중독 완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간 (ppm)
음성대조군 0.5±0.02
비교예 1(무첨가군) 30.8±4.8
비교예 2 25.3±1.2
비교예 3 26.3±1.2
비교예 4 27.1±1.2
실시예 1 18.5±1.9
실시예 2 25.3±0.2
실시예 3 22.3±1.1
실시예 4 21.3±1.8
실시예 5 19.9±2.2
[실시예 6-10 및 비교예 5의 제조]
참고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후발효차 추출물, 참고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키토올리고당, 참고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밀크시슬 추출물 중 어느 2종 이상을 선택하여 2:2:1의 혼합비율을 유지하면서, 유효성분의 총 중량이 1,292mg(실시예 1-5의 5배)이 되도록 혼합한 실시예 6-10와, 유효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5를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5
후발효차 추출물(mg) 500 646 861.33 - 516.8 -
키토올리고당(mg) 530 646 - 861.33 516.8 -
밀크시슬 추출물(mg) 260 - 430.66 430.66 258.4 -
유효성분 총합(mg) 1,292 1,292 1,292 1,292 1,292 0
[시험예 3] 스트레스 완화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기능을 개선시킴으로써 스트레스와 피로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인체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25-45세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이중맹검 실험을 통하여 대조군(비교예 5), 실시예 6-10에 해당하는 용량으로 각각 4주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후의 스트레스 지수를 Smarplus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그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내지 10을 각각 섭취하게 한 경우, 대조군(비교예 5)에 비하여 신체적 스트레스 지수 및 정신적 스트레스 지수가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밀크시슬 추출물을 모두 혼합한 실시예 6 및 실시예 10의 경우, 각 유효성분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스트레스 및 피로 완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신체적 스트레스 지수 정신적 스트레스 지수
대조군(비교예 5) 81±4.8 95±4.8
실시예6 75±2.8 75±3.8
실시예7 79±0.9 78±1.1
실시예8 80±1.1 84±1.9
실시예9 80±1.9 81±1.3
실시예 10 76±1.8 77±1.8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제형예 1] 건강식품
후발효차 추출물..........................................500 ㎎
키토올리고당.............................................500 mg
밀크시슬 추출물..........................................250 mg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2] 건강 음료
후발효차 추출물..........................................500 ㎎
키토올리고당.............................................500 mg
밀크시슬 추출물..........................................250 mg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고,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고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3] 연질캅셀제
후발효차 추출물 500mg, 키토올리고당 500mg, 밀크시슬 추출물 250mg, 대두추출물 50mg, 대두유 180mg, 홍삼추출물 50m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 mg씩 충진 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정제
후발효차 추출물 500mg, 키토올리고당 500mg, 밀크시슬 추출물 250m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전분 96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형예 5] 과립제
후발효차 추출물 500mg, 키토올리고당 500mg, 밀크시슬 추출물 250m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100mg, 홍삼추출물 50mg 및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 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g으로 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식품 및 약학 조성물 제형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식품 및 약학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Claims (8)

  1.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은 차나무 잎을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로 발효시켜 수득한 것이고,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의 중량비는 1~3 : 1~3 : 1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금속 중독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밀크시슬 추출물의 중량비는 2 : 2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포함한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포함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0160062647A 2015-05-29 2016-05-23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ctive KR10263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5468 WO2016195304A1 (ko) 2015-05-29 2016-05-24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99 2015-05-29
KR20150076299 2015-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17A KR20160140417A (ko) 2016-12-07
KR102634131B1 true KR102634131B1 (ko) 2024-02-07

Family

ID=5757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47A Active KR102634131B1 (ko) 2015-05-29 2016-05-23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3017A (zh) * 2015-03-23 2016-10-05 天士力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水飞蓟宾、左旋肉碱的药物组合物
KR101994959B1 (ko) 2017-11-30 2019-07-01 조성희 밀크시슬 식초의 제조방법
KR20210091450A (ko) 2020-01-14 2021-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2021-08-18 2022-04-14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463B1 (ko) * 2008-09-26 2010-11-25 양승창 혈당상승 억제효과와 간 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1639604B1 (ko) 2009-11-30 2016-07-14 (주)아모레퍼시픽 숙취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14A (ko) * 1998-12-02 2000-07-05 최수부 생약재를 함유한 건강식품
KR20090052982A (ko) 2007-11-22 2009-05-27 동아연필 주식회사 직액식 필기구
KR100994964B1 (ko) 2008-05-07 2010-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결정성 에폭시와 잠재성 경화제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징용접착 재료
US8167595B2 (en) 2008-10-14 2012-05-01 Bitzer Scroll Inc. Inlet screen and scroll compressor incorporating same
KR101742266B1 (ko) * 2010-06-03 2017-06-01 (주)아모레퍼시픽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1326413B1 (ko) * 2011-04-22 2013-11-14 주식회사 시너지포인트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463B1 (ko) * 2008-09-26 2010-11-25 양승창 혈당상승 억제효과와 간 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1639604B1 (ko) 2009-11-30 2016-07-14 (주)아모레퍼시픽 숙취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17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27231B (zh) 一种复合益生菌发酵中草药活性保健液及其制备方法
US9394513B2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432584B1 (ko)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증숙 및 발효된 더덕의 제조방법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2634131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4304560A (zh) 一种甜茶红茶菌
CN104304578A (zh) 一种火龙果菌茶
KR20170024321A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1703296B (zh) 一种榆黄蘑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030950A (zh) 防治高血脂的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92473A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kctc 14593bp에 의해 발효된 금화규 잎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CN105802876B (zh) 一种复合益生菌发酵苜蓿嫩芽粉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82129A (zh) 一种甜玉米红茶菌饮品
KR10160255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14631632A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CN106617049A (zh) 一种含辣木叶提取物的蜂胶类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102562888B1 (ko)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포스트바이오틱스 제조 방법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4305429A (zh) 一种发酵型黄秋葵茶饮料
CN104304561A (zh) 一种桑黄菌丝红茶菌饮料
CN112741178A (zh) 一种荷叶多糖甜茯茶及其制备方法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73611A (zh) 一种番茄茶菌饮料
KR101690416B1 (ko)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