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39604B1 - 숙취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04B1
KR101639604B1 KR1020090116467A KR20090116467A KR101639604B1 KR 101639604 B1 KR101639604 B1 KR 101639604B1 KR 1020090116467 A KR1020090116467 A KR 1020090116467A KR 20090116467 A KR20090116467 A KR 20090116467A KR 101639604 B1 KR101639604 B1 KR 10163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oligosaccharide
tea extract
composition
acetaldehyde
hang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002A (ko
Inventor
조시영
손종희
신현정
서대방
이상준
김완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6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적정비율로 포함하여, 숙취의 주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화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통한, 숙취 개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및 피로 회복을 위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후발효차, 키토올리고당,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알코올, 숙취 개선, 간장 보호, 피로 회복

Description

숙취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ur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적정비율로 포함하여, 숙취의 주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화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통한, 숙취 개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감소, 간장 보호 및 피로 회복을 위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하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되지만,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게 되면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및 비타민 결핍 등의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혈액을 팽창시키고 미세한 혈관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얼굴과 몸에 가는 실핏줄을 나타나게 한다. 또한 세포조직에서도 수분을 제거시키므로 중성, 지성피부로 각화현상이 생기고 거칠어진다. 이외에도 보통 과음한 다음날이면 얼굴이나 눈이 붓고 뾰루지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는 호흡, 소변 또는 땀으로 배설된다.
간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내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고, 이는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에탄올에 비해 반응성이 매우 높고 독성이 강하여 알코올성 간 장애의 주원인 물질로 밝혀진 바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세포 내 에너지 생성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방해하고 산화적 인산화 반응을 억제하며, 막단백질 및 콜라겐 단백질과 결합하여 항체를 생성하기도 하고, 면역학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간세포 분비 단백질의 방출기구를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간 섬유화와 간세포의 변성 종대를 일으키며, 생체내 거대분자와 반응하여 부가물(adduct)을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중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타입 II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에 중요한데,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않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에탄올의 유독 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숙취해소용 제품은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 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높이는 물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켜 숙취를 개선할 수 있는 효능 물질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비병원성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능 물질을 포함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간에서 알코올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낮추어 숙취 개선, 간장 보호 및 피로 회복 등의 효과를 부여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후발효차"라는 용어는 열을 가하여 녹차 내부의 효소를 비활성화시킨 후, 적정한 수분과 온도 등의 조건 하에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및 숙성시킨 차를 의미하고, 찻잎 내부 효소를 이용하는 전발효차와는 구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후발효차는 녹차 잎을 예를 들어 약 15∼30℃에서 약 24시간 내지 28일 동안 발효 숙성시켜 제조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발효차 제조 시 이용하는 미생물은 비병원성 미생물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용이 가능한 미생물로서, 예를 들면 효모 또는 유산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속( Saccharomyces sp.), 바실러스속(Bacillus sp .) 또는 아스퍼질러스속(Aspergillus sp.)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칼스벌젠시스(Saccharomyces calsbergensi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발효차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 이상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온도는 예를 들어 10∼80℃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다양한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것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0∼2,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0∼1,500의 분자량을 가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700∼1,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예를 들어 키토올리고당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당 내지 7당의 키토올리고당의 비율이 3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먼저 게 또는 새우껍질 등을 분쇄, 탈염, 단백질 제거 및 불순물 제거 공정에 의해 키틴으로 분리 정제한 후,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무기산 또는 유기산 등의 산(acid)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또는 효소를 이용한 분해방법을 통해 상기 키토산으로부터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키토올리고당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효소 분해방법을 통해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효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cellul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토산을 효소분해하여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키토산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젖산을 2∼3% 첨가하고, 40∼6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고형분 5∼10%의 젖산이 함유된 키토산 분산액을 제조한다. 완전히 용해된 키토산 분산액의 pH를 4∼6으로 조정하고, 키토산 분해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투입한다. 그런 다음, 40∼60℃에서 14∼20 시간 가수분해한 후, 8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한 다음, 여과 건조과정을 거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비율 보다 적어지거나 많아지면,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1:5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이 시험관내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현격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때 사용된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의 농도는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전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발효차와 키토올리고당의 적정비율을 포함한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진시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숙취의 주된 요인으로 알려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감소시켜, 숙취를 빠르고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키토올리고당과 후발효차 추출물의 혼합물을 10∼9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제조 과정에서 다양한 함량 범위를 함유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및 연질캡슐 제조 시에는 10∼60 중량%, 하드캡슐의 제조 시에는 10∼90 중량%가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가물 등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하여 더 첨가함으로써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내 알데하이드 분해를 촉진시키는 간장 보호제 또는 피로 회복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후발효차 추출물의 제조
< 사카로마이세스를 이용한 후발효차의 제조 >
진동 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20∼30℃에서 배양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회수하여 1차로 원심분리기에서 균주와 활성배지를 분리하였다. 0.8∼1.0%의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분리한 균주를 1회 세척해 준 다음, 멸균수 100 ml에 설탕 2.0 중량% 및 과당 2.0 중량%를 혼합한 후 120℃에서 15분간 고온가압멸균하고 상온에서 25℃까지 냉각시켜 제조한 발효액에 상기 균주 를 넣었다. 수분 및 에너지로 작용하는 상기 발효액은 적절한 미생물의 대사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세척과정에서 손상을 입은 균주의 원활한 발효 대사를 위해 발효액에 균주를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면서 안정화시켰다.
발효액에 대두 분말 단백질 0.5 중량%를 혼합하고, 발효균주 수가 105∼107 CFU/mL 되도록 균주를 넣은 발효균액을 제조하였다. 멸균된 반응 탱크에 소포장 단위 별로 준비한 녹차 주 기질에 발효균액을 녹차건엽 중량 대비 66.7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급속한 온도증가로 인해 균주가 손상되는 것을 막고, 녹차엽에 수분이 골고루 흡수되도록 발효균액을 혼합한 후에도 녹차엽을 계속 교반시켰다. 15분 후 반응이 완료되고 온도가 떨어진 녹차 발효균액 혼합물의 입구를 막아 외기의 유입을 막고 30℃ 항온 발효조에서 발효 공정을 거쳤다. 상기 발효 온도에서 다른 균주의 생장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숙성 기간 중 다른 잡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발효는 14일간 실시하였으며, 80℃에서 5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후발효차 내 총 균수(Total microbial account)는 106 CFU/g 이하로 규격범위 이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들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 후발효차 추출물의 제조 >
상기에서 제조한 후발효차 1 kg을 70% 에탄올 용액 5 L에 침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역류(reflux)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후발효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15∼20%이었으며, 조제된 분말은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시험예 1]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 측정
동결건조된 효모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Roche Applied Science)를 구입하여 0.0001 unit/ml의 농도가 되도록 100 mM Tris-HCl(pH 8.0)과 0.02% 알부민이 포함된 용액에 녹였다. 40 mM 아세트알데하이드, 2 mM NAD(Hepes 50 mM, pH 7.5)에 아세트알데하이드탈수소 효소 0.001 unit를 넣고 반응시킨 다음, 10분 동안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와 함께 키토올리고당, 후발효차 추출물, 녹차, 키토올리고당과 후발효차 추출물의 혼합물 및 키토올리고당과 일반 녹차의 혼합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 및 함량으로 각각 처리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만을 처리하였을 때 평균 활성은 0.062 unit/ml 이었다. 이러한 효소의 단독 활성을 1로 하였을 때 각 시험물질의 존재하에서 활성도를 비율값으로 나타낸 것이 대조비(각 시험물질 존재 하에 효소활성/단독 효소활성)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활성(Unit/ml) 대조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0.062 1.001
키토올리고당 20 ㎍/ml 0.059 0.954
후발효차 추출물 20 ㎍/ml 0.055 0.885
녹차 추출물 20 ㎍/ml 0.053 0.860
키토올리고당 10 ㎍/ml + 후발효차 추출물 10 ㎍/ml (1:1) 0.075 1.214
키토올리고당 10 ㎍/ml + 후발효차 추출물 5 ㎍/ml (2:1) 0.086 1.391
키토올리고당 5 ㎍/ml + 후발효차 추출물 10 ㎍/ml (1:2) 0.059 0.961
키토올리고당 10 ㎍/ml + 후발효차 추출물 2 ㎍/ml (5:1) 0.123 1.991
키토올리고당 2 ㎍/ml + 후발효차 추출물 10 ㎍/ml (1:5) 0.052 0.932
키토올리고당 10 ㎍/ml + 녹차 추출물 10 ㎍/ml (1:1) 0.049 0.790
키토올리고당 10 ㎍/ml + 녹차 추출물 5 ㎍/ml (2:1) 0.055 0.887
키토올리고당 5 ㎍/ml + 녹차 추출물 10 ㎍/ml (1:2) 0.046 0.742
키토올리고당 10 ㎍/ml + 녹차 추출물 2 ㎍/ml (5:1) 0.051 0.823
키토올리고당 2 ㎍/ml + 녹차 추출물 10 ㎍/ml (1:5) 0.042 0.677
표 1 및 도 1의 결과에서, 후발효차 추출물, 키토올리고당 및 녹차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키토올리고당과 일반 녹차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두 물질을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2배 정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후발효차 추출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아세트알데히드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시험관 내에서 각 시험물질 처리 후 효모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0)

  1. 후발효차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과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2 내지 1:5이고,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비병원성 미생물로 발효시킨 녹차잎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발효차 추출물과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5인, 숙취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은 분자량 3,000 이하인 숙취 개선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은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당 내지 7당의 키토올리고당을 3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인 숙취 개선용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병원성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장 보호제.
  8.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제.
  9. 제 7항에 있어서,
    정제, 주사제, 캡슐제, 액제, 환제, 시럽제, 및 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간장 보호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정제, 주사제, 캡슐제, 액제, 환제, 시럽제, 및 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피로 회복제.
KR1020090116467A 2009-11-30 2009-11-30 숙취 개선용 조성물 Active KR10163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67A KR101639604B1 (ko) 2009-11-30 2009-11-30 숙취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67A KR101639604B1 (ko) 2009-11-30 2009-11-30 숙취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02A KR20110060002A (ko) 2011-06-08
KR101639604B1 true KR101639604B1 (ko) 2016-07-14

Family

ID=4439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467A Active KR101639604B1 (ko) 2009-11-30 2009-11-30 숙취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17A (ko) * 2015-05-29 2016-1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17B1 (ko) 2015-07-31 2017-02-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KR20170015842A (ko) 2015-07-31 2017-02-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손규목 외 4인. 녹차와 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18권, 제3호, 2005년, pp. 219-224*
장대자. 우리나라 녹차와 타국산 녹차의 차별화를 위한 특성비교 및 기능성 제품의 개발. 건국대학교 이학박사 학위논문. 2004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417A (ko) * 2015-05-29 2016-1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4131B1 (ko) 2015-05-29 2024-0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02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4633B (zh) 一种化妆品用糙米发酵原液的制备方法及其产品
CN112999127B (zh) 一种龙胆复方酵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68029B1 (ko)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간 보호 및 간기능 개선제
KR102351384B1 (ko) 모란, 녹나무잎, 비타민 나뭇잎 및 병풀을 이용한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재생,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35820A (zh) 一种高产茶褐素的黑曲霉菌株及其应用
KR101639604B1 (ko) 숙취 개선용 조성물
CN113969243B (zh) 一株可降解单宁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KR20140079562A (ko) 동충하초와 유산균을 이용한 혈행개선용 발효맥문동의 제조방법
CN101638639B (zh) 一种利用竹黄菌发酵生产超氧化物歧化酶的方法
CN111264655A (zh) 一种乳酸菌解酒发酵茶汁及其制作方法
CN110973614A (zh) 一种连续发酵制备灵芝酵素的方法
KR101435582B1 (ko) 최적의 배지 조성을 이용한 글루콘아세토박터 속 kcg326 균주에 의한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제조 방법
CN110604299A (zh) 一种刺梨菇类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170079572A (ko) 펜에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peitc)의 함량을 강화시킨 채소 발효조성물
CN115044485A (zh) 一种普洱茶发酵种曲及其制备方法
KR20160074300A (ko) 생약재 발효에 의한 건강식품 원료의 제조방법
CN117942293A (zh) 用于化妆品的铁皮石斛发酵物的制备方法和铁皮石斛发酵物和化妆品
KR20220002062A (ko) 미강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CN114431440A (zh) 一种蜜桃石榴胶原酵素果冻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126053B2 (ja) 鹿角霊芝を含有した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1228554B1 (ko) 진피발효생성방법 및 이에 의한 진피발효생성물
CN117982389B (zh) 一种木棉花发酵滤液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14875104B (zh) 一种桑叶酵素原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9120227B (zh) 一种蛹虫草菌丝体发酵产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22366B1 (ko)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천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