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4589B1 -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589B1
KR102624589B1 KR1020200037227A KR20200037227A KR102624589B1 KR 102624589 B1 KR102624589 B1 KR 102624589B1 KR 1020200037227 A KR1020200037227 A KR 1020200037227A KR 20200037227 A KR20200037227 A KR 20200037227A KR 102624589 B1 KR102624589 B1 KR 102624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medium
unit
slitter
convey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332A (ko
Inventor
요시아키 스즈키
료 고바야시
츠토무 오바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5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8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26D1/2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using a cutting tool mounted on a reciprocating carri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슬리터(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대해 기록 유닛을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기록 유닛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 기록 매체를 반송 유닛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 위치에서 절단 유닛을 사용하여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서 절단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폭 방향은 반송 방향과 교차한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PRINTING APPARATUS AND CONVEYANCE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되는 시트 형상 기록 매체를 절단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7-13438호는, 기록 매체에 기록이 행해진 후에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하는 슬리터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7-13438호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반송되는 기록 매체의 선단 에지가 슬리터에 삽입되어, 기록 매체가 기록 매체의 반송에 따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된다.
그러나, 잉크 부여 등에 의해 기록 매체가 물결치게 하는 콕클링(cockling)으로 인해 기록 매체의 선단 에지가 부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7-13438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기록 매체를 절단할 때의 이러한 선단 에지의 부상에 의해, 슬리터에 의해 절단될 선단 에지의 위치가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람직하지 않게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슬리터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기록 장치로서,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된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유닛; 및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이 기록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 유닛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절단되는, 절단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면서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되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반송 장치로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반송 유닛; 및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 위치에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면서 상기 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되며,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폭 방향은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반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터(절단 유닛)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기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커터 및 슬리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슬리터 유닛에서의 상위 가동날과 하위 가동날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슬리터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조절부의 조절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기록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상위 가동날과 하위 가동날에 의해 절단되는 위치 근방에서의 평면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슬리터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동일한 구성의 설명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된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의 상대 위치, 형상 등은 단지 예일뿐이며 본 발명을 예의 범위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잉크젯 기록 장치(100)(이하, 단순히 기록 장치(100)라 칭함)는 긴 시트의 형상을 갖는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는 롤 시트(1)이다. 기록 장치(100)에 보유지지된 롤 시트(1)는 상위 가이드(6) 및 하위 가이드(7)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통해 하류로 반송된다. 롤 시트(1)는, 반송 롤러(8)와 핀치 롤러(9)에 의해 끼움지지(nipping)되고 화상 기록 유닛에 반송된다. 화상 기록 유닛은, 기록 헤드(2), 기록 헤드(2)가 탑재되는 캐리지(3), 및 기록 헤드(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플래튼(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롤 시트(1)는, 반송 롤러(8)에 의해 플래튼(10) 상으로 반송된다. 화상 기록 유닛에 반송된 롤 시트(1)에 대하여 기록 헤드(2)에 의해 잉크가 토출되어, 화상이 기록된다.
캐리지(3)는, 기록 장치(100)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샤프트(4)와 가이드 레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행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3)는, 플래튼(10)에 대향하는 반사형 검출 센서(12)를 포함함으로써, 스폿 위치의 반사율을 검출할 수 있다. 즉, 플래튼(10)이 흑색이고 롤 시트(1)가 백색인 경우, 플래튼(10) 및 롤 시트(1)의 반사율은 크게 상이하다. 따라서, 스폿 위치에 플래튼(10)이 존재하는지 또는 롤 시트(1)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 센서(12)를 사용해서 판정할 수 있다. 반송 롤러(8)에 의해 롤 시트(1)가 반송되는 동안 반송 방향의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검출 센서(12)의 스폿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반사율이 크게 변화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롤 시트(1)의 선단 에지를 검출할 수 있다.
캐리지(3)는 기록 헤드(2)를 보유지지하는 상태에서 가이드 샤프트(4)를 따라 X 방향으로 주사하고, 기록 헤드(2)는 캐리지(3)가 주사하고 있는 동안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롤 시트(1)에 대하여 기록을 행한다. 롤 시트(1)에 대해 기록을 행하기 위한 캐리지(3)의 주사 후에, 반송 롤러(8)는 롤 시트(1)를 미리결정된 양만큼 반송하고, 캐리지(3)는 롤 시트(1) 상을 주사하여 다시 기록을 행한다. 이와 같이, 기록과 반송을 반복함으로써, 전체 기록이 완료된다. 또한, 검출 센서(12)는 캐리지(3)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지(3)의 왕복 동작에 의해 롤 시트(1)의 폭 방향(X 방향)의 종이 에지의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롤 시트(1)의 반송 방향에서의 캐리지(3)의 하류에는,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롤 시트(1)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5)가 제공되고, 더 하류에는 롤 시트(1)를 반송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슬리터(13)(절단 유닛)가 제공된다. 슬리터(13)보다 하류에는, 절단된 롤 시트(1)를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11)가 제공된다.
커터(5)는, 롤 시트(1)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로서의 커터 유닛(300)(도 2 참조)과 커터 유닛(300)을 X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슬리터(13)는, 롤 시트(1)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기구로서의 슬리터 유닛(303)(도 2 참조), 및 슬리터 유닛(303)을 X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도 2는, 커터(5) 및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을 포함하는 슬리터(13)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 부호의 말미의 "L" 및 "R"은 각각 도면 상의 좌측(즉, +X측)의 부재와 우측(즉, -X측)의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측 및 우측에서 동일한 부재의 경우에는 이러한 참조 부호의 말미를 생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1)은, 롤 시트(1)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커터 캐리지(200)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커터 캐리지(200)는 커터 유닛(300) 및 벨트(102)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벨트(102)는, 가이드 레일(101)의 좌우측에 배치된 모터 풀리(107) 및 텐셔너 풀리(108)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모터 풀리(107)에 연결된 커터 모터(103)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커터 모터(103)에는 커터 인코더(104)가 제공된다. 커터 인코더(104)는 커터 모터(103)의 구동에 대응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한다. 커터 캐리지(200)의 원점 위치 및 커터 인코더(104)에 의해 얻어지는 펄스수에 기초하여, 커터 유닛(300)의 X1 및 X2 방향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터 유닛(300)은 상위 가동날(301)과 하위 가동날(302)을 포함하며, 커터 유닛(300)이 X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위 가동날(301)과 하위 가동날(302)의 접촉점에서 롤 시트(1)가 절단된다. 또한, 상위 가동날(301) 및 하위 가동날(302)은, 벨트(102) 및 커터 캐리지(200)를 통해서 커터 모터(103)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롤 시트(1)가 절단되는 경우에는, 하위 가동날(302) 및 하위 가동날(302)에 접촉하는 상위 가동날(301)이 함께 회전하면서, 롤 시트(1)가 절단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커터 유닛(300)은 롤 시트(1)의 제1 단부(1a)로부터 롤 시트(1)의 제2 단부(1b)까지 절단을 행한다. 롤 시트(1)의 제1 단부(1a)는 커터 유닛(300)의 대기 위치(P1)측의 단부이다. 롤 시트(1)가 절단된 후, 커터 캐리지(200)는 미리결정된 반전 위치에서 반전된다. 또한, 커터 캐리지(200)는 다음 절단 동작을 위해서 대기하는 대기 위치(P1)인 위치까지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는 커터 유닛(300)은 커터 캐리지(200)에 탑재되어 있지만, 커터 유닛(300)은 예를 들어 프린트 헤드(2) 등을 이동시키는 캐리지(3)에 탑재될 수 있다.
슬리터(13)는 롤 시트(1)의 반송 방향에서 커터(5)에 대해 하류 측에 배치된다. 슬리터(13)는, 슬리터 유닛(303)을 X1 및 X2 방향에서 주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슬리터 유닛(303)의 사용에 의해 반송 방향(+Y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롤 시트(1)를 절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슬리터 유닛(303)이 탑재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이 탑재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은, X1 및 X2 방향에서 좌우 반전형인 부품을 갖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주로 슬리터 유닛(303L)의 부품에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3a 내지 도 5는 슬리터 유닛(303L)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슬리터 유닛(303L)의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b는, 슬리터 유닛(303L)의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 및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L)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는 슬리터 유닛(303L)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슬리터 유닛(303L)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규제부(600L)의 규제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슬리터 유닛(303L)은,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을 포함한다.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은, 수직 방향에서 둥근 날 중첩량(313L)을 갖고, 절단 방향인 반송 방향(Y)에 대하여 미리결정된 양의 각도(교차각)(θ)를 갖도록 배치된다. 롤 시트(1)는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과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의 접촉점(311L)에서 절단된다. 즉, 본 실시예의 슬리터 유닛(303)에서,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은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절단부로서 기능한다.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은 기어를 통해서 슬리터 구동 모터(16L)에 연결되어 있다.
슬리터 구동 모터(16L)의 구동에 의해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도 회전한다.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의 외주면은,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L)의 외주면과 롤러 끼움지지점(nip point)(312L)에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마찰 전달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 및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L)에 의해 롤 시트(1)를 반송하면서, 상위 및 하위 날이 함께 회전하여 롤러 시트(1)를 반송 방향으로 절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슬리터 유닛(303)에서는,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 및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는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부로서 기능한다.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 및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L) 각각은, X 방향에서,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과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과의 접촉점(311L)보다, 롤 시트(1)의 외측에 위치된다(도 5 참조). 롤 시트(1)의 외측은, 롤 시트(1)의 제2 단부(1b)측, 즉 성과물로서 기록될 화상이 기록되지 않는 영역측(도 5에서 nPS측)이다.
슬리터 구동 모터(16L)에는 슬리터 구동 인코더(310L)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미리결정된 회전 속도 및 미리결정된 회전량으로 슬리터 구동 모터(16L)를 제어할 수 있다. 슬리터 구동 모터(16L)는, 반송 롤러(8)에 의한 반송량에 동기한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구동량(구체적으로는, 회전 속도 및 회전량)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슬리터 유닛(303L)은, 슬리터 이동 모터(14L)를 포함하고, 기어를 통해서 슬리터 이동 롤러(306L)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슬리터 이동 롤러(306L)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터 가이드 레일(307)에 맞닿아 있다. 또한, 슬리터 유닛(303L)은 슬리터 이동 롤러(306L)의 외주면과 슬리터 가이드 레일(307) 사이의 마찰에 의해 X1 및 X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슬리터 이동 모터(14L)에는 슬리터 이동 인코더(309L)가 제공되어 있으며, 따라서 대기 위치(P1)로부터의 슬리터 유닛(303L)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리터 유닛(303L)에서는, 후술하는 규제부(600L)를 포함하는 각 부품은 보유지지 부재(608)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L),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L),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L),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L) 및 규제부(600L)는 슬리터 가이드 레일(307)을 따라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터 이동 롤러(306L)는 마찰에 의해 구동되지만, 슬리터 이동 롤러(306L)는 슬리터 이동 롤러가 피니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슬리터 가이드 레일이 랙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랙 앤드 피니언(rack and pinion)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터 이동 모터(14L), 슬리터 이동 롤러(306L), 슬리터 가이드 레일(307) 등이 슬리터 유닛(303L)을 X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로서 기능한다.
슬리터 유닛(303L)에는, 기록 후의 롤 시트(1)의 절단 시의 롤 시트(1)의 평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규제부(600L)가 배치된다. 규제부(600L)는, X 방향에서, 접촉점(311L)보다 롤 시트(1)의 내측에 위치된다. 롤 시트(1)의 내측은, 롤 시트(1)의 제1 단부(1a)측, 즉 성과물로서 기록될 화상이 기록되는 영역측(도 5에서는 PS측)이다.
규제부(600L)는, 롤 시트(1)의 기록면 측에 맞닿아서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박차(601L), 및 롤 시트(1)에 맞닿지 않으며 박차(601L)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602L)를 포함한다. 규제부(600L)에서는, 박차(601L)가 기록면에 맞닿아서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록면에 기록된 화상의 전사가 억제된다. 또한, 박차(601L)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606L)(도 5 참조)를 통해서 보유지지부(602L)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박차(601L)은 탄성적으로 롤 시트(1)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부(600)는 기록 매체에 맞닿는 맞닿음부로서 기능한다.
박차(601L)가 롤 시트(1)에 맞닿아서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는,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Z 방향에서 접촉점(311L)(도 3b 참조)과 일치한다. 따라서, 롤 시트(1)의 위치가 Z 방향에서 접촉점(311L)과 대략 일치하도록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할 수 있다. Z 방향에서의 규제 위치와 접촉점(311L)의 일치의 의미는, 완전한 일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결정된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위치는 반송 방향에서 접촉점(311L)보다 길이(L1)만큼 상류측(-Y 방향측)에 위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 위치는, X 방향에서 접촉점(311L)보다 길이(L2)(예를 들어, 10mm)만큼 롤 시트(1)의 내측에 위치된다. 길이(L1 및 L2)에 대해서는, 반송되는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접촉점(311L)에 도달하는 경우에 접촉점(311L) 근방에서의 롤 시트(1)의 평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값을, 예를 들어 실험적으로 구해서 설정한다. 상술한 미리결정된 범위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미리결정된 범위가 실험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도 6은 기록 장치(100)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기록 장치(100)는 제어 유닛(400)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CPU(411), ROM(412), RAM(413) 및 모터 드라이버(414)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400)은, 반송 모터(51), 커터 모터(103), 슬리터 이동 모터(14), 슬리터 구동 모터(16), 캐리지 모터(52) 및 기록 헤드(2)의 제어를 실현한다. 제어 유닛(400)은, 반송 롤러 인코더(112), 커터 인코더(104), 슬리터 이동 인코더(309), 슬리터 구동 인코더(310), 캐리지 인코더(19) 및 검출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 유닛(400)은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모터 및 기록 헤드(2)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장치(100)는, 슬리터(13)가 기록 후의 롤 시트(1)의 폭(X 방향)의 미리결정된 영역을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기록 장치(100)에서는, 예를 들어 폭 방향에서, 성과물로서 기록될 화상에 인접하는 영역을, 슬리터(13)의 사용에 의해 절단함으로써, 슬리터(13)가 제공되어 있지 않은 기록 장치에 의해 좌우 가장자리 없는 기록을 행한 경우에 얻어지는 것과 마찬가지의 기록물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롤 시트(1)로부터 잉크가 삐져나오도록 잉크를 부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잉크가 플래튼(10)에 부착되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기록 장치(100)에 의해 롤 시트(1)에 대하여, 좌우 방향 또는 X 방향에서 가장자리 없는 기록(borderless printing)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롤 시트(1)에 대한 좌우 가장자리 없는 기록의 개시 지시가 제공되는 경우, 먼저, 슬리터 이동 모터(14L 및 14R)가 구동되어,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을 각각 절단 위치로 이동시킨다.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의 절단 위치는, 예를 들어 성과물로서 기록될 화상이 기록되는 영역(PS)의 X 방향의 단부 부분의 위치이다.
이어서, 반송 롤러(8)의 반송 속도 및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의 반송 속도가 동일한 속도가 되도록 반송 모터(51) 및 슬리터 구동 모터(16)를 구동하여, 반송 롤러(8)에 의해 롤 시트(1)를 반송한다. 그 후, 센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기록 개시 위치까지 반송된 것을 검지하는 경우, 기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롤 시트(1)에 대한 기록을 행한다.
기록이 진행되고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슬리터 유닛(303)의 접촉점(311)에 도달하는 경우, 롤 시트(1)는 회전하고 있는 좌우의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에 의해 절단된다.
여기서, 도 7a는, 슬리터 유닛(303)에 규제부(60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의 롤 시트(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슬리터 유닛(303)에 규제부(600)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의 롤 시트(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c는, 규제부(600)가 배치된 슬리터 유닛(303)에 의한 롤 시트(1)의 절단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롤 시트(1)의 X 방향에서의 2군데의 위치를 보유지지하여 롤 시트(1)를 반송하면, 잉크의 부여에 의해 롤 시트(1)의 콕클링이 발생하는 경우, 보유지지된 2군데의 위치 사이의 롤 시트(1)의 중간 부분이 부상한다. 이 상태에서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접촉점(311L)에 도달하면, 선단 에지 근방에서 절단 어긋남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터 유닛(303)에는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규제부(60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접촉점(311)에 도달할 때의 롤 시트(1)의 접촉점(311) 근방의 평면성이 확보된다. 그러므로, 규제부(60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규제부(60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롤 시트(1)의 선단 에지가 접촉점(311)에 도달할 때에 롤 시트(1)의 선단 에지의 자세가 안정된다.
그 후, 롤 시트(1)는 슬리터 상위 가동날(304) 및 슬리터 하위 가동날(305)에 의해 절단되고, 롤 시트(1)의 절단된 측의 절단편이 슬리터 상위 반송 롤러(320) 및 슬리터 하위 반송 롤러(321)에 의해 끼움지지되고 반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점(311)에서는, 규제부(600)에 의해 롤 시트(1)의 자세가 안정된다. 그러므로, 슬리터 유닛(303)에 의해 절단된 롤 시트(1)에 대해서는, 절단 어긋남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선단 에지에서 절단 정밀도가 안정된다(도 7c 참조).
기록이 완료되면, 미리결정된 위치까지 슬리터 유닛(303)에 의한 절단이 행해진다. 그 후,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은 각각의 대기 위치까지 이동되며, 롤 시트(1)는 커터 유닛(300)이 롤 시트(1)를 절단할 수 있는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롤 시트(1)는 커터 유닛(300)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성과물로서 기록될 화상이 기록된 롤 시트(1)의 기록물, 및 기록이 행해지지 않은 절단편이 배출 가이드(11)를 통해서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록 장치(100)에서는, 규제부(600)는 접촉점(311)에 대하여 X 방향의 내측이고, Y 방향의 반송 방향에서 접촉점(311)에 대해 상류측에 있고, Z 방향에서 접촉점(311)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롤 시트(1)에 맞닿아서,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한다. 따라서, 콕클링에 의해 롤 시트(1)의 부상이 발생해도, 롤 시트(1)가 접촉점(311)에 도달할 때의 롤 시트(1)의 평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롤 시트(1)의 선단 에지의 슬리터(13)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 위치가 폭 방향에서 어긋날 가능성이 적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실시예는 이하의 (1) 내지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1)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특히 기재되지 않았지만, 박차(601)가 롤 시트(1)에 맞닿아서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하는 규제 자세와 박차(601)가 롤 시트(1)에 맞닿지 않는 퇴피 자세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규제부(700)에 의해 롤 시트(1)의 부상을 규제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도 8b 및 도 8c 참조하여 규제부(7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리터 유닛(303L 및 303R)은 서로 좌우 반전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슬리터 유닛(303L)에 제공되는 규제부(700L)에 대해서 설명하고, 슬리터 유닛(303R)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는 규제부(700L)를 포함하는 슬리터 유닛(303L)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8b는 규제부(700L)가 규제 자세에 있는 슬리터 유닛(303L)의 측면도이다. 도 8c는, 규제부(700L)가 퇴피 자세에 있는 슬리터 유닛(303L)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슬리터 유닛(303L)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규제부(700L)에서는, 박차(601L)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702L)는, 화살표 I 및 II 방향으로 보유지지 부재(608L)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축(703L)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부(700L)가 규제 자세(제1 자세)에 있는 경우에, 보유지지부(702L)를 화살표 I 방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시켜 자세를 퇴피 자세로 전환시키는 스프링(705L)이 제공된다. 또한, 규제부(700L)가 퇴피 자세(제2 자세)에 있는 경우에, 보유지지부(702L)를 화살표 II 방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시켜 자세를 규제 자세로 전환시키는 피봇 이동 제어부(704L)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피봇 이동 제어부(704L)는, 솔레노이드로서 구성되어, 통전에 의해, 스프링(705L)의 편향력에 저항해서 보유지지부(702L)를 화살표 II 방향으로 피봇식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에서, 좌우 가장자리 없는 기록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입력된 기록 매체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규제부(700L)를 퇴피 자세 또는 규제 자세로 전환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강성이 높고, 콕클링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봇 이동 제어부(704L)에의 통전을 해제하여, 스프링(705L)의 편향력에 의해 규제부(700L)를 퇴피 자세로 전환한다. 강성이 높고, 콕클링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이러한 기록 매체는 광택지, 아트 시트 등이다. 또한, 강성이 낮고, 콕클링 등이 발생하기 쉬운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봇 이동 제어부(704L)를 통전하여, 스프링(705L)의 편압력에 저항해서 규제부(700L)를 규제 자세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규제부(700L)의 사용에 의한 기록 매체의 부상의 규제와 관련하여, 규제가 필요 없는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성과물로서의 화상에 박차(601L)가 맞닿지 않게 되고, 따라서 화상의 전사를 확실하게 억제한다.
(2)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헤드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기록 매체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리얼 스캔 타입 기록 장치라 칭해지는 것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잉크가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 걸쳐서 토출되는 풀-라인 타입 기록 장치라 칭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았지만, 기록 매체를 절단하며 X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터 유닛(303)의 구성에 대해서는, 각종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3)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리터(13)는 2개의 슬리터 유닛(303)을 포함한다. 그러나, 오직 1개의 슬리터 유닛(303) 또는 3개 초과의 슬리터 유닛(303)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장치(100)에서 잉크젯 방식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다. 그러나, 기록 장치(100)의 기록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기록 방식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았지만, 규제부(600)는, 규제부(600)의 위치가 보유지지 부재(608)에 대하여 X, Y, 및 Z 방향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종류, 잉크 부여량 등에 따라 규제 위치를 조정한다. 이 경우, 유저는 수동으로 또는 기록 장치(100)에 제공된 조작 패널을 통하여 규제부(600)의 규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400)의 사용에 의해 규제부(600)의 규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리터(13)의 슬리터 유닛(303)은 제어 유닛(400)의 제어에 의해 롤 시트(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슬리터 유닛(303)은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5) 상술한 실시예 및 (1) 내지 (4)에 나타내는 각종 형태는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기록 장치이며,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유닛과,
    상기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된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과,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화상이 기록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슬리터 유닛으로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 위치에서 절단되는, 슬리터 유닛과,
    상기 슬리터 유닛 내에 제공되고, 상기 반송 유닛과 동기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외측에서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부와,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슬리터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터 유닛은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기록 유닛이 상기 기록 매체의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폭 방향에서 상기 화상이 기록되는 영역 측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부상을 규제하도록 상기 기록 매체에 맞닿게 구성되는,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절단 위치의 상기 기록 매체의 평면성을 확보하는 위치에서 맞닿도록 구성되는,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기록 매체에 맞닿는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상류측에 있고, 상기 반송 방향 및 상기 폭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절단 위치와 일치하는, 기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기록 매체에 탄성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박차를 통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기록 매체에 맞닿는 제1 자세와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기록 매체에 맞닿지 않는 제2 자세 사이에서 전환가능하게 구성되는,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롤 시트이며,
    상기 반송부는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화상이 기록되지 않는 영역에서 상기 롤 시트를 반송하는, 기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2개의 상기 슬리터 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는 상기 2개의 슬리터 유닛에 의해 가장자리 없는 기록물이 상기 폭 방향으로 얻어지는,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유닛은, 상기 이동부를 포함하고, 가장자리 없는 기록을 개시하는 지시 이후에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기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터 유닛은, 2개의 둥근 날을 서로 접촉시켜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절단 위치는 상기 2개의 둥근 날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점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기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유닛은 잉크젯 방식으로 기록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한 화상 기록과 상기 반송부에 의한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이 교대로 행해지는, 기록 장치.
  16. 반송 장치이며,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 유닛과,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절단 위치에서 상기 기록 매체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슬리터 유닛과,
    상기 슬리터 유닛 내에 제공되고, 상기 반송 유닛과 동기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외측에서 상기 기록 매체를 반송하도록 구성된 반송부와,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슬리터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터 유닛은 상기 기록 매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위치보다 내측의 위치에서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
KR1020200037227A 2019-03-29 2020-03-27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 Active KR102624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5975 2019-03-29
JP2019065975A JP7317543B2 (ja) 2019-03-29 2019-03-29 記録装置および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332A KR20200115332A (ko) 2020-10-07
KR102624589B1 true KR102624589B1 (ko) 2024-01-15

Family

ID=7260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27A Active KR102624589B1 (ko) 2019-03-29 2020-03-27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73732B2 (ko)
JP (1) JP7317543B2 (ko)
KR (1) KR102624589B1 (ko)
CN (1) CN111746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63680A (ja) 2019-03-29 2020-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搬送装置
JP2020163692A (ja) * 2019-03-29 2020-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1844177B (zh) * 2020-06-05 2022-04-1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薄片类介质切割和输送装置及自助设备
JP7441510B2 (ja) * 2020-08-26 2024-03-01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シート加工装置
JP2023058110A (ja) * 2021-10-13 2023-04-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303A (ja) * 2000-05-24 2001-11-27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JP2007021927A (ja) * 2005-07-19 2007-02-01 Fujifilm Corp 画像記録装置
US20100258017A1 (en) * 2009-04-10 2010-10-14 Kersey Kevin T Print Media Slitter
JP2012236310A (ja) * 2011-05-11 2012-12-06 Canon Inc 記録媒体切断装置および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318A (en) * 1989-12-20 1991-04-16 National Steel Corporation Metal strip edge trimming apparatus
JP2743290B2 (ja) 1989-12-21 1998-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の制御装置
US5790168A (en) * 1994-07-22 1998-08-04 Hitachi Koki Company, Ltd. Printing apparatus with movable slitter for printed paper sheet
US6408750B1 (en) * 1999-06-23 2002-06-25 Fuji Photo Film Co., Ltd. Printer capable of cutting margins
JP4144850B2 (ja) 2001-07-19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記録済媒体に適応可能な液体塗布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ATE400443T1 (de) 2002-06-27 2008-07-15 Canon K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flüssigkeiten
JP3897007B2 (ja) * 2003-07-31 2007-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227489B2 (ja) 2003-09-03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4262165B2 (ja) 2003-09-03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4497877B2 (ja) 2003-09-24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424624B2 (ja) 2008-12-02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582753B2 (ja) * 2009-10-05 2014-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印刷方法
JP5634114B2 (ja) 2010-04-30 2014-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8312798B2 (en) * 2010-05-18 2012-11-20 Eastman Kodak Company Slitter with translating cutting devices
JP5921138B2 (ja) 2011-10-21 2016-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シートの乾燥装置
JP6039172B2 (ja) * 2011-10-2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JP5966544B2 (ja) * 2012-04-11 2016-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24172B2 (ja) * 2012-04-16 2016-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記録装置
JP6320062B2 (ja) * 2014-02-03 2018-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JP6376775B2 (ja) * 2014-02-28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67383B2 (ja) * 2014-03-18 2016-08-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187531B2 (ja) * 2015-04-22 2017-08-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7013438A (ja)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ユウコス 被印刷物供給装置、印刷物排出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ITUA20163797A1 (it) * 2016-05-25 2017-11-25 Fotoba Int S R L Metodo e dispositivo automatico per il taglio di substrati recanti immagini stamp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303A (ja) * 2000-05-24 2001-11-27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
JP2007021927A (ja) * 2005-07-19 2007-02-01 Fujifilm Corp 画像記録装置
US20100258017A1 (en) * 2009-04-10 2010-10-14 Kersey Kevin T Print Media Slitter
JP2012236310A (ja) * 2011-05-11 2012-12-06 Canon Inc 記録媒体切断装置およ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63679A (ja) 2020-10-08
CN111746112B (zh) 2022-06-14
JP7317543B2 (ja) 2023-07-31
KR20200115332A (ko) 2020-10-07
CN111746112A (zh) 2020-10-09
US11173732B2 (en) 2021-11-16
US20200307272A1 (en)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589B1 (ko) 기록 장치 및 반송 장치
EP1790486B1 (en) Recording medium conveying mechanism and image recor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883776B2 (ja) 記録装置
KR102655992B1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저장 매체
JP7225000B2 (ja)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66881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veyance apparatus
JP7521071B2 (ja) 記録装置、記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24017B2 (ja) 記録装置
US20200307270A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156292B2 (en) Recording apparatus
US11447349B2 (en) Medium aligning apparatus,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JP7310390B2 (ja) カッター装置及び印刷装置
JP5294753B2 (ja) 記録装置
JP2022017973A (ja) 切断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200619330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815306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5489746B2 (ja) 記録装置
JP2022057289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17043043A (ja) 印刷装置
JP201516820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