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2900B1 -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900B1
KR102622900B1 KR1020230074040A KR20230074040A KR102622900B1 KR 102622900 B1 KR102622900 B1 KR 102622900B1 KR 1020230074040 A KR1020230074040 A KR 1020230074040A KR 20230074040 A KR20230074040 A KR 20230074040A KR 102622900 B1 KR102622900 B1 KR 10262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ood
reinforcement
fastening hol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천
Original Assignee
㈜현대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그린 filed Critical ㈜현대그린
Priority to KR102023007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9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지주 조립에 있어서,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고, 지주의 부식을 완화하는 구조를 갖는 내구성이 향상된 지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주의 조립시 작업자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며, 지주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주의 강화를 위하여 내부강화목재(30)를 철재강화지주(50) 내측에 삽입하고, 내부강화목재(30)의 하부바디를 U자형 보강철물(40)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체결봉(44)으로 내부강화목재(30)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U자형 보강철물(40)에 체결봉(44)과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철재강화지주(50)와 U자형 보강철물(40)과의 용접부위(A)를 U자형 보강철물(40)과 체결봉(44)의 용접부위(B)를 서로 어긋나도록 용접고정한다.
또한, 조립공정시 작업자 에러(Humnan Error)의 최소화와 작업시간 단축을 위하여 체결봉(44)으로 내부강화목재(30)를 U자형 보강철물(44)에 고정시킬 때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봉형태인 체결봉(44)으로 끼워 "용접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드릴로 나사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너무 많이 조여지거나, 적게 조여지는 작업자 에러(Humnan Error)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체결봉(44)으로 내부강화목재(30)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U자형 보강철물(40)에 체결봉(44)과 용접하여 고정시킨 후 내부강화목재(30) 하부바디와 U자형 보강철물(40)의 빈 틈을 철재 쐐기로 강재 삽입하고, 나머지 빈 틈은 충진제로 채워넣어 빈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습기차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보강철물 체결 부위가 부식하지 않게 되고 지주를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Structural reinforcement post combined with wood and steel and its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로서, 도로, 공원, 산책로, 운동장 등에 사용하는 데크, 가로 보호대 등의 펜스 지주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펜스의 지주 조립에 있어서, 구조물의 강화, 작업자 에러(Human Error) 방지, 작업시간 절감, 부식 완화, 내구성 강화, 펜스방향과의 직각방향으로의 대항력을 향상 시키는 지주에 관한 기술이다.
내부강화목재와 철재지주로 결합한 지주에 있어서, 목재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철물 및 철재지주 구조물의 부식은 목재를 부패, 부식시키며, 이러한 부식은 내부 틈새의 습기 발생 및 작업자 에러(Human Error)에 의한 경우가 많다. 또한, 설치된 지주의 흔들림, 즉, 유동 문제는 공원, 산책로, 도로 등 펜스 지주의 고질적인 문제이다.
종래 지주의 흔들림 강도를 향상시키려면 지주의 굵기를 두껍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강도를 구현하였다.
종래 지주에 관한 기술들이 아래와 같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1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6337호(공고일: 2014. 02. 24)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1은 가로재부재의 사이를 잇는 복수개의 가로재보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수평보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인 금속재질의 내공 각관이고 그 내공이 목재합판이나 발포 콘크리트로 채워지거나 목재합판과 발포콘크리트로 분할하여 채워진 구성을 취함으로써, 바닥부재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그것의 유실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데크로드 보행시 울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2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054호(공고일: 2012. 06. 27) “심재 보강 원주목”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기술2는 중심부의 심(Pith)을 제거한 중공의 간벌재 원주목의 내부에, 철재나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심재를 구비하도록 하고, 심재 보강 원주목의 양측에 숫나사산 및 암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연장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친환경주의적 미관을 향상시키며, 보행자의 추락방지 및 차량의 차선이탈 등을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6337호(공고일: 2014. 02. 24)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054호(공고일: 2012. 06. 27) “심재 보강 원주목”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 공원, 산책로 등에 사용하는 데크, 가로 보호대 등의 펜스 지주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지주 조립에 있어서,
첫째,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둘째, 지주의 부패, 부식을 완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셋째, 지주의 조립시 작업자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하는데 목적이 있다.
넷째, 지주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섯째, 펜스방향과 직각방향으로의 대항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는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지주 조립에 있어서,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고, 지주의 부식을 완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주의 조립시 작업자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며, 지주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개시한다.
첫째, 지주의 강화를 위하여 내부강화목재를 철재강화지주 내측에 삽입하고, 내부강화목재의 하부바디를 U자형 보강철물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체결봉으로 내부강화목재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U자형 보강철물에 체결봉과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철재강화지주와 보강철물과의 용접부위(A)를 보강철물과 체결봉의 용접부위(B)를 서로 어긋나도록 용접고정한다.
둘째, 조립공정시 작업자 에러(Humnan Error)의 최소화와 작업시간 단축을 위하여 체결봉으로 내부강화목재를 보강철물에 고정시킬 때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봉형태의 체결봉"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나사로 작업하는 경우, 현장에서 드릴로 작업할 때 작업자에 따라 너무 많이 조이거나, 적게 조이는 작업자 에러(Humnan Error)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셋째, 체결봉으로 내부강화목재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U자형 보강철물에 체결봉과 용접하여 고정시킨 후 내부강화목재 하부바디와 보강철물의 빈 틈을 철재 쐐기로 강재 삽입하고, 나머지 빈 틈은 접착제로 채워넣어 빈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습기가 차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보강철물 체결 부위가 부식하지 않게 되고 지주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펜스와 직각방향으로의 대항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U자형 보강철물의 체2체결홀이 형성된 면이 펜스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지주 조립에 있어서,
첫째,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지주의 부식을 완화하는 구조로서 내구성이 강한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지주의 조립시 작업자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지주 조립시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펜스방향과 직각방향으로의 대항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는 휨강도가 향상되며, 지주의 변형을 방지하며, 수분의 흡수를 억제하여 겨울철 결로현상에 의한 지주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철재지주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데크 등의 계속된 보행이나 도로의 차량 주행으로 인한 진동으로부터 고정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휨강도가 높아 강성 철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체 등의 충돌 시 부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나머지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발명의 설명에 의하여 더욱 구체화 된다.
도 1 종래기술로서 부식으로 파손된 지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 종래기술의 지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펜스에 세워지는 지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본 발명의 내부강화목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발명의 U자형 보강철물과 보강철물이 펜스에 설치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본 발명의 쐐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본 발명의 체결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
도 12 본 발명의 구조강화지주 조립 과정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 설명한다.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정의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부식으로 파손된 지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지주의 밑부분(P)이 파손 또는 부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지주(등록특허 10-2148932, 구조강화지주, 본 발명의 출원인의 종래 특허기술)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철재지주(500) 내측에 보강목재(520)를 삽입하고, 체결나사(530)로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과 같은 데크의 부패, 부식은 대부분 나사의 과조임으로 인하여 목재가 파손 되고, 그 틈새에 습기가 차서 목재가 부패하는 경우가 많다. 공원같은 데크를 걷다보면 나사의 과조임된 부분이 패어있고, 패어있는 부분이 부패되어 있는 상태를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덜 조여진 나사에 의해서도 데크가 헐겁게 되어 들뜨거나, 흔들림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는 드릴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시 드릴조작 미숙으로 인한 작업자 에러(Human Error)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데크의 지주(10)와 가로보호대(60)를 나타내는 개요도로서, 지주(10)와 가로보호대(6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지주(10)에 관련된 부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강화목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내부강화목재(30)는, 체결봉(44)이 삽입되는 제1체결홀(31)과, 외측모서리부(32)와, 단턱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강화목재(30)가 철재강화지주(50)에 잘 삽입되도록 하고, 또한 철재강화지주(50)와 내부강화목재(30)를 조립한 후에 접착제(34)를 주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강화목재(30)의 외측모서리부(32)는 라운드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R10으로 처리한다.
내부강화목재(30)와 철재강화지주(50)는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내부강화목재(30)의 외측모서리부(32)를 라운드 형상으로 할 경우 철재강화지주(50)의 내측을 라운드 형상으로 한다.
내부강화목재(30)의 외측모서리부(32)는 라운드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R10으로 처리할 경우, 철재강화지주(50)의 내측모서리부(52)는 바람직하게는 R5가 되도록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철물과 펜스에 설치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U자형 보강철물(40)은, 체결봉(44)이 삽입되는 제2체결홀(41), 측면부(43), 바닥부(45)로 이루어져 있다. 제1체결홀(31)과 제2체결홀(41)은 각각 2개씩 형성하고, 체결봉(44)으로 끼워 용접 고정한다. 제1체결홀(31)과 제2체결홀(41)은 일실시예로 도면에서는 2개를 형성하였으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을 타원형, 장홀 등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봉은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내부강화목재(30)의 단턱부(33)는 U자형 보강철물(40)의 측면부(43)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체결봉(44)이 한 측단에 체결봉의 머리를 형성한 경우 다른 한 측단만 제2체결홀(41)과 용접으로 고정한다.
특별히 봉 형태인 체결봉(44)으로 하여 체결봉(44)을 보강철물(40)에 용접 고정하는 것은 종래와 같이 나사로 고정할 경우 작업자의 에러(Human Error)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드릴로 작업할 경우 드릴을 사용하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나사가 정확하게 고정되기도 하지만, 비틀어지고, 지나치게 깊숙이 박혀 고정되거나, 아니면 덜 조인 헐거운 상태로 고정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업자의 에러(Human Error)에 의한 나사조임의 불량한 고정은 지주의 밑부분이 쉽게 파손되거나 부패, 부식되어 유지보수를 수시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나사로 작업을 하는 경우 부속품이 파손 또는 망실 되어 예비 부속품으로 교체해주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작업시간이 연장되고 있다.
한편, 가로보호대(60)의 직각방향(y방향)으로 사람들이 기대거나 힘을 가하면 지주의 밑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유지보수를 수시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강철물(40)의 양 측면부(43)가 가로보호대(60)의 방향과 평행(x방향)이 되도록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함으로서 가로보호대(60)와 직각방향(y방향)으로의 대항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U자형 보강철물(40)의 바닥부에 내부강화목재(30)의 단턱부(33)가 삽입되어 체결봉(44)으로 결합하여 조립하여 체결봉(44)과 U자형 보강철물(40)을 용접으로 고정 후 내부강화목재(30)와 보강철물(4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보강하기 위하여 쐐기를 박아넣는다. 그 후 빈틈은 접착제와 같은 충진재를 채워넣어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쐐기(42) 대신 충진재(34)만으로 채울 수도 있다.
충진재를 채워 넣음으로서 용접부위에 습기가 차지 않아 쉽게 부식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철재강화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철재강화지주(50)에 형성된 제3체결홀(51)은 제2체결홀(41)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형성한다. 다른 위치는 도 8과 같이 제2체결홀(41)의 상측부가 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제2체결홀(41)의 하측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와 같이 제2체결홀(41)의 좌측 또는 우측이 될 수 있다.
철재강화지주(50)를 보강철물(40)에 용접 고정시킬 때 반드시 보강철물(40)의 용접 고정 위치와 철재강화지주(50)의 용접 고정 위치를 다르게 해야 한다.
제2체결홀(41)와 제3체결홀(51)의 위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서, 외력에 의해 철재강화지주(50)가 흔들리게 될 경우, U자형 보강철물(40)과 체결봉(44)의 용접 고정부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내측고정부위와 외측고정부위의 용접위치를 서로 엇갈리도록 하는 구조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체결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제1체결홀(31)과 제2체결홀(41)은 체결봉(44)에 의해 끼워져 서로 일치하지만, 제1체결홀(31) 및 제2체결홀(41)은 제3체결홀(51)과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된다. 제3체결홀(51)은 U자형 보강철물(40)에 철재강화지주(50)를 용접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멍이다.
결합된 상기 내부강화목재(30)와 U자형 보강철물(40)을 철재강화지주(50)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양 측면부(43) 외측면과 상기 제3체결홀(51)이 형성된 면이 서로 접하도록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양 측면부와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상기 제3체결홀(51)을 고정하여 결합하는 수단은 용접으로 고정한다.
철재강화지주(50) 내측에 내부강화목재(30)가 삽입되고, 그 사이에 접착제와 같은 충진재(34)가 채워질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재강화지주(50) 내측 또는 외측에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등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데크 등에 설치되는 펜스는 미관상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내측공간이 비어있는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등의 내측에 본 발명의 구조 강화 지주를 삽입하여 조립하여 강화된 펜스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구조 강화 지주 조립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U자형 보강철물(40)의 체2체결홀(41)과 내부강화목재(30)의 제1체결홀(31)을 서로 일치시켜 내부강화목재(30)를 U자형 보강철물(40)에 삽입하는 단계(100);
U자형 보강철물(40)의 제2체결홀(41)과 내부강화목재(30)의 제1체결홀(31)에 체결봉(44)을 삽입하는 단계(110);
U자형 보강철물(40)의 외측에서 U자형 보강철물(40)과 체결봉(44)을 용접결합하는 단계(120);
U자형 보강철물(40)과 내부강화목재(30) 사이에 쐐기(42)를 삽입하는 단계(130);
U자형 보강철물(40)과 내부강화목재(30) 사이 빈틈에 충진재(34)를 충진하는 단계(140);
U자형 보강철물(40)과 체결봉(44)의 용접결합 부위를 연마하는 단계(150);
U자형 보강철물(40)의 제2체결홀(41)과 철재강화지주(50)의 제3체결홀(51)이 서로 엇갈려 일치하지 않도록 제3체결홀(51)이 형성된 철재강화지주(50) 내에 체결된 U자형 보강철물(40)과 내부강화목재(30)를 삽입하되,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측면부(43)의 외측면과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상기 제3체결홀(51)이 형성된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내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철재강화지주(50)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160);
U자형 보강철물(40)의 측면부(43)와 철재강화지주(50)의 제3체결홀(51)을 용접결합하는 단계(170);
상기 방법으로 조립된 구조 강화 지주의 펜스 방향(x방향)과 U자형 보강철물(40)의 측면부(43)는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재(34)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립과정은 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트러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로 수행될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지주 조립에 있어서,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고, 지주의 부식을 완화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주의 조립시 작업자 에러(Human Error)를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지주의 조립시 작업 시간을 절감하는 구조를 갖는 지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P: 부식부
x방향: 펜스방향과 평행방향
y방향: 펜스방향과 직각방향
10: 지주 30: 내부강화목재
31: 제1체결홀 32: 외측모서리부
33: 단턱부 34: 충진재
40: 보강철물 41: 제2체결홀
42: 쐐기 43: 측면부
44: 체결봉 45: 바닥부
50: 철재강화지주 51: 제3체결홀
52: 내측모서리부 60: 가로보호대

Claims (10)

  1. 내부강화목재(30)와, U자형 보강철물(40)과, 철재강화지주(50)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에 있어서,
    상기 내부강화목재(30)는, 체결봉(44)이 삽입되는 제1체결홀(31)과, 외측모서리부(32)와, 단턱부(33)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모서리부(32)는 라운드로 형성되며;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은, 상기 체결봉(44)이 삽입되는 제2체결홀(41)과, 측면부(43)와, 바닥부(4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내부강화목재(30)의 상기 단턱부(33)는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측면부(43)에 끼워지고;
    상기 내부강화목재(30) 하측부에 형성된 상기 제1체결홀(31)과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에 형성된 상기 제2체결홀(41)이 상기 체결봉(44)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하측부에 제3체결홀(51)을 형성하되,
    상기 제3체결홀(51)은 상기 제1체결홀(31) 및 상기 제2체결홀(41)과 서로 엇갈려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체결봉(44)과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을 고정하여 결합하는 수단은 용접으로 하고;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철재강화지주(50)를 결합하는 수단은 용접으로 하고;
    상기 내부강화목재(30)와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 사이를 쐐기로 박아 넣고;
    상기 쐐기와 상기 내부강화목재(30)와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 사이를 충진재로 채워 넣고;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측면부(43)의 방향(x방향)이 펜스의 가로보호대(60) 방향과 평행(x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강화 지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U자형 보강철물(40)의 제2체결홀(41)과 내부강화목재(30)의 하측부에 형성된 제1체결홀(31)이 서로 일치하도록 상기 내부강화목재(30)를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에 삽입하되,
    상기 구조 강화 지주의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양 측면부(43)의 방향(x방향)은 펜스의 가로보호대(60)와 평행(x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단계(10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제2체결홀(41)과 상기 내부강화목재(30)의 상기 제1체결홀(31)에 체결봉(44)을 삽입하는 단계(11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외측에서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체결봉(44)을 용접결합하는 단계(12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내부강화목재(30) 사이에 쐐기(42)를 삽입하는 단계(13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내부강화목재(30) 사이 빈틈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14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체결봉(44)의 용접결합 부위를 연마하는 단계(15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제2체결홀(41)과 철재강화지주(50)의 제3체결홀(51)이 서로 엇갈려 일치하지 않도록 상기 제3체결홀(51)이 형성된 상기 철재강화지주(50) 내에 체결된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과 상기 내부강화목재(30)를 삽입하되,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측면부(43)의 외측면과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상기 제3체결홀(51)이 형성된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내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철재강화지주(50) 내측에 삽입하는 단계(160);
    상기 U자형 보강철물(40)의 상기 측면부(43)와 상기 철재강화지주(50)의 상기 제3체결홀(51)을 용접결합하는 단계(1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강화 지주의 조립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74040A 2023-06-09 2023-06-09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Active KR10262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040A KR102622900B1 (ko) 2023-06-09 2023-06-09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040A KR102622900B1 (ko) 2023-06-09 2023-06-09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900B1 true KR102622900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040A Active KR102622900B1 (ko) 2023-06-09 2023-06-09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25A (ko) * 1999-01-29 1999-05-25 정기관 울타리구축장치
KR101121054B1 (ko) 2009-06-10 2012-06-27 대한민국 심재 보강 원주목
KR101366337B1 (ko) 2013-08-08 2014-02-24 (주)제이엠친환경건설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2148932B1 (ko) * 2020-04-03 2020-08-28 (주) 현대그린 구조강화지주
KR102483309B1 (ko) * 2022-05-19 2022-12-29 양우임 펜스의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825A (ko) * 1999-01-29 1999-05-25 정기관 울타리구축장치
KR101121054B1 (ko) 2009-06-10 2012-06-27 대한민국 심재 보강 원주목
KR101366337B1 (ko) 2013-08-08 2014-02-24 (주)제이엠친환경건설 충진 각관을 이용한 데크로드 구조물
KR102148932B1 (ko) * 2020-04-03 2020-08-28 (주) 현대그린 구조강화지주
KR102483309B1 (ko) * 2022-05-19 2022-12-29 양우임 펜스의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787B2 (en) Concrete post anchor
US6964139B2 (en) Precast concrete column for use in post-frame construction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JP2018135678A (ja) 支柱設置構造及び防護柵
JP3532441B2 (ja) 構造材同士の接合箇所における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2622900B1 (ko)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CA2123764A1 (en) Light weight wall structure for use in buildings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286B1 (ko)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KR20130047096A (ko) 건설용 다용도 거푸집조립체
US20020134043A1 (en) Elongate plastic memb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ructural strength to same
KR101228441B1 (ko)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102148932B1 (ko) 구조강화지주
KR102201160B1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KR101138708B1 (ko) 암파쇄 복합자재 방호벽 구조물
JP3610354B2 (ja) 横桟用補強木材および防護柵
KR200341655Y1 (ko) 보강형 가드레일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75838B1 (ko) 데크로드 지지 프레임의 체결 구조체
KR20180042520A (ko) 산책로용 목교
KR101486954B1 (ko) 수직지주와 수평지주의 강성을 보강한 확장인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110114B2 (ja) 木製ガードレール並びにその木製ビーム材及び接続金物
KR102391157B1 (ko) 내진 보강용 프레임구조 시공방법
KR102601740B1 (ko)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