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2286B1 -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 Google Patents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286B1
KR102022286B1 KR1020190053858A KR20190053858A KR102022286B1 KR 102022286 B1 KR102022286 B1 KR 102022286B1 KR 1020190053858 A KR1020190053858 A KR 1020190053858A KR 20190053858 A KR20190053858 A KR 20190053858A KR 102022286 B1 KR102022286 B1 KR 10202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etal tube
tube
reinforcing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모
Original Assignee
유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모 filed Critical 유성모
Priority to KR102019005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2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2017/14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울타리를 구성하는 수직 기둥재의 수평하중 및 수평 난간재의 연직하중을 대폭 보강하여 울타리의 강성과 방호성능을 극대화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울타리는 수직 기둥재가 수평하중시험을 충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평 난간재는 연직하중을 충족하지 못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해 울타리의 제 기능인 방호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베이스판의 상단에 이너 금속각관 및 아우터 금속각관을 내외 이중겹으로 일체화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너 금속각관의 4면에 상하로 절개 형성된 보강심체 고정홈에는 아우터 금속각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심체를 끼움 고정하는 기술을 강구하여 디자인형 울타리의 방호성능을 향상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Design type fence with excellent protec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울타리를 구성하는 수직 기둥재의 수평하중 및 수평 난간재의 연직하중을 대폭 보강하여 울타리의 강성과 방호성능을 극대화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목재와 유사한 질감 및 외관을 가진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는 미크론(micron) 단위 미세한 목분을 폴리올레핀계 고분자가 완전히 둘러싸고 있어 습기와 수분에 매우 강하며, 천연목재와 고분자 간의 결합으로 목재의 장점과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갖춘 신개념 재료로 최근에는 건축용 내장재 및 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규격화된 공산품의 일종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일반 방부목, 목자재에 비해 별도의 도장이나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변형이 없으며,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하고, 방부목처럼 방부처리의 필요가 없어 그로 인한 환경오염이 없으며, 재사용 및 재가공이 가능한 친환경성과, 내열성, 인장강도, 휨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흡수율이 거의 없어 자연노출상태, 또는 물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이로 인해 공원의 정원, 인도와 차도의 경계 등을 표시하거나 시설물을 보호하고,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며,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길밖으로 추락하거나 보행자의 무단 도로횡단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구조물인 울타리를 다양한 장점을 지닌 상기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울타리가 경계표시나 외부 침입 방지 등의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미감을 살린 다양한 형상과 색상을 가진 디자인형 울타리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합성목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디자인형 울타리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498268호, 명칭/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변환경에 어울리도록 목재부재로 제작되어 있고, 지주부재와 횡부재가 결합시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끼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부재의 신축현상에 의한 결합부위의 변형이 적어 유지보수비가 절약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울타리는 기본적으로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울타리는 수직 기둥재가 수평하중시험을 충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평 난간재는 연직하중을 충족하지 못해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해 울타리의 제 기능인 방호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판의 상단에 이너 금속각관 및 아우터 금속각관을 내외 이중겹으로 일체화 고정 설치하고, 상기 이너 금속각관의 4면에 상하로 절개 형성된 보강심체 고정홈에는 아우터 금속각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심체를 끼움 고정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 기둥재의 측면에 부착된 고정형 브라켓에 수평 난간재의 양측을 끼움 결합하되 수평 난간재의 보강 금속각관은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형 브라켓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살에 밀착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우터 금속각관의 내부에 베이스판과 일체화된 이너 금속각관이 이중겹으로 설치되고, 상기 이너 금속각관에 끼움 고정된 보강심체가 아우터 금속각관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아우터 금속각관의 외부에 끼워진 합성목재 기둥에 가해지는 수평하중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하여 울타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방호성능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 기둥의 측면에 부착되는 고정형 브라켓은 내측에 부분적으로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지살이 돌출 형성됨은 물론 합성목재 각재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 금속각재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합성목재 각재는 지지살의 선단에 맞닿도록 고정형 브라켓에 끼움 결합됨과 아울러 보강 금속각재는 부분적으로 지지살의 내면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수평 난간재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하여 울타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방호성능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수직 기둥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아우터 금속각관이 제거된 이너 금속각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직 기둥재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수직 기둥재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수직 기둥재의 다른 실시예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형 브라켓 및 수평 난간재의 결합상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고정형 브라켓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고정형 브라켓 및 수평 난간재의 분리상태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형 울타리(F)의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수직 기둥재(10), 다수의 고정형 브라켓(20), 한 쌍의 수평 난간재(30), 다수의 수직 난간재(4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 기둥재(10)는 연직하중에 대한 시험을 충족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강도를 대폭 개선하는 것으로, 지중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기초콘크리트(1)에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베이스판(11)의 상단에 사각파이프 형태의 이너 금속각관(12) 및 아우터 금속각관(13)이 내외 이중겹으로 일체화 고정 설치되고, 보강심체(15)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너 금속각관(12)은 4면에 보강심체 고정홈(15a)이 상하로 절개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단에는 도 4와 같이 아우터 금속각관(13)의 내부에 이너 금속각관(12)이 삽입된 상태로 용접작업에 의한 용착물(14)을 매개로 일체화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너 금속각관(12)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의 보강심체(15)는 사방에 4개의 보강날개(15a)가 형성되고, 이 보강날개(15a)는 이너 금속각관(12)에 형성된 보강심체 고정홈(15a)에 각각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아우터 금속각관(13)의 내면에 유동없이 견고하게 밀착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너 금속각관(12) 및 아우터 금속각관(13)은 보강심체(15)를 매개로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며, 상기 아우터 금속각관(13)의 외측에는 환경친화적인 외장재의 역할을 하는 합성목재 기둥(16)이 끼움 설치된다.
이러한 이너 금속각관(12)은 아우터 금속각관(13)만으로는 부족하던 수평하중 저항성을 강화하여 수직 기둥재(10)의 전체적인 수평하중 저항성을 더욱 향상함은 물론 기본적으로 보강심체(15)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너 금속각관(12)은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자재비가 상승하므로 아우터 금속각관(1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더라도 보강심체(15)를 유동 없이 고정하는 역할은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제작에 따른 자재비를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강심체(15)는 사방에 형성된 보강날개(15a)의 선단에 각각 90°의 각도로 휨 방지구(15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휨 방지구(15b)는 아우터 금속각관(13)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판상의 보강날개(15a)가 휘어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너 금속각관(12)의 4면에 보강심체 고정홈(12a)이 형성됨으로써 이너 금속각관(12)이 벌어지면서 강성이 저하됨은 물론 보강심체(15)를 제대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됨을 고려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보강심체(15)의 보강날개(15a) 하측에는 이너 금속각관(12)의 외면보다 외측에 위치한 지점에 각각 밴딩홀(15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밴딩홀(15c)을 통과하는 철밴드(15d)는 이너 금속각관(12)의 외면 둘레를 단단하게 묶어주어 상기 이너 금속각관(12)이 벌어짐을 방지하여 보강심체(15)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직 기둥재(10)의 마주하는 내면 상하에는 각각 다수의 고정형 브라켓(20)이 일체로 부착되고,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형 브라켓(20)에는 한 쌍의 수평 난간재(30)의 양측이 일체로 끼움 결합되며,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수평 난간재(30)에는 좌우 등간격으로 다수의 수직 난간재(40) 상하 양측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견고한 디자인형 울타리(F)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 난간재(30)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은 도 8 및 도 11과 같이 내부 영역이 전후방향으로 각재 끼움부(21) 및 각관 끼움부(22)로 구분되고, 상기 각관 끼움부(22)에는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지살(2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평 난간재(30)는 합성목재 각재(31)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 금속각관(32)의 양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보강 금속각관(32)은 도 7 및 도 9와 같이 지지살(23)에 밀착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합성목재 각재(31)는 지지살(23)의 선단에 맞닿을 때까지 각재 끼움부(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직 기둥재(10) 및 수평 난간재(30)는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에 형성된 지지살(23)은 전단 모서리에 보강 금속각관(32)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삽입 안내면(23a)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보강 금속각관(32)은 더욱 원활하게 고정형 브라켓(20)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은 합성목재 각재(31) 및 보강 금속각관(32)이 상호 중첩된 부분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 보강 금속각관(32)을 추가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연직하중 저항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은 일측에 형성된 장착플랜지(24)의 상하에 각각 3∼5개의 장착홀(25)이 형성됨으로써 수직 기둥재(1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됨은 물론 상기 장착플랜지(24)의 전면 및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보강리브(26)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수평 난간재(30)에 가해지는 연직하중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강성을 더욱 강화하여 울타리의 방호성능을 더욱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F: 디자인형 울타리 1: 기초콘크리트
10: 수직 기둥재 11: 베이스판
12: 이너 금속각관 12a: 보강심체 고정홈
13: 아우터 금속각관 15: 보강심체
15a: 보강날개 15b: 휨 방지구
15c: 밴딩홀 15d: 철밴드
16: 합성목재 기둥 20: 고정형 브라켓
21: 각재 끼움부 22: 각관 끼움부
23: 지지살 24: 장착플랜지
25: 장착홀 26: 보강리브
30: 수평 난간재 31: 합성목재 각재
32: 보강 금속각관 40: 수직 난간재

Claims (6)

  1. 지중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1)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의 상단에 이너 금속각관(12) 및 아우터 금속각관(13)이 내외 이중겹으로 일체화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이너 금속각관(12)의 4면에 상하로 절개 형성된 보강심체 고정홈(15a)에 끼움 고정되는 '╂'형의 보강심체(15)는 아우터 금속각관(13)의 내면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아우터 금속각관(13)의 외측에 합성목재 기둥(16)이 끼움 설치된 수직 기둥재(10)와;
    상기 수직 기둥재(10)의 마주하는 내면 상하에 부착된 다수의 고정형 브라켓(20)과;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에 양측이 일체로 끼움 결합된 한 쌍의 수평 난간재(30)와;
    상기 한 쌍의 수평 난간재(30)에 상하 양측이 일체로 연결된 다수의 수직 난간재(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금속각관(12)은 수직 기둥재(10)의 수평하중 저항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보강심체(15)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아우터 금속각관(1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자재비를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체(15)는 사방 보강날개(15a)의 선단에 각각 아우터 금속각관(13)의 내면에 밀착되는 휨 방지구(15b)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은 내부 영역이 전후방향으로 각재 끼움부(21) 및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지지살(23)이 돌출 형성된 각관 끼움부(22)로 구분되고, 상기 수평 난간재(30)는 합성목재 각재(31)의 내부에 삽입된 보강 금속각관(32)의 양측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보강 금속각관(32)은 지지살(23)에 밀착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합성목재 각재(31)는 지지살(23)의 선단에 맞닿을 때까지 각재 끼움부(21)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브라켓(20)에 형성된 지지살(23)은 전단 모서리에 보강 금속각관(32)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삽입 안내면(23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장착플랜지(24)에는 상하에 각각 3∼5개의 장착홀(25)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플랜지(24)의 전면 및 상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보강리브(2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체(15)는 사방 보강날개(15a)의 하측에 각각 밴딩홀(15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밴딩홀(15c)을 통과하는 철밴드(15d)는 이너 금속각관(12)의 외면 둘레를 묶어주어 보강심체 고정홈(12a)이 형성됨에도 이너 금속각관(12)이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KR1020190053858A 2019-05-08 2019-05-08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Active KR10202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858A KR102022286B1 (ko) 2019-05-08 2019-05-08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858A KR102022286B1 (ko) 2019-05-08 2019-05-08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286B1 true KR102022286B1 (ko) 2019-09-19

Family

ID=6806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858A Active KR102022286B1 (ko) 2019-05-08 2019-05-08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2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10B1 (ko) * 2020-07-29 2021-02-26 하영호 합성목재 디자인형 울타리
KR102335241B1 (ko) * 2021-05-28 2021-12-07 이희목 탄력 보강체를 구비한 탄성 기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52Y1 (ko) * 2003-11-05 2004-02-11 이지연 보강심재가 삽입된 목제펜스기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52Y1 (ko) * 2003-11-05 2004-02-11 이지연 보강심재가 삽입된 목제펜스기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10B1 (ko) * 2020-07-29 2021-02-26 하영호 합성목재 디자인형 울타리
KR102335241B1 (ko) * 2021-05-28 2021-12-07 이희목 탄력 보강체를 구비한 탄성 기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3768B2 (ja) 道路用柵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2286B1 (ko) 방호성능이 우수한 디자인형 울타리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CN110573683B (zh) 屋顶构造物及其施工方法
JP5835371B2 (ja) 剛性防護柵の補強構造
KR101092151B1 (ko) 아치패널을 이용한 친환경 아치교
JP2018135678A (ja) 支柱設置構造及び防護柵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KR101570576B1 (ko) 건축 구조물
KR100945041B1 (ko) 교량 확장용 보도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확장공법
JP2007247149A (ja) 防護柵装置
JPH11280032A (ja) ガードレール
JP4519015B2 (ja)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CN102852384A (zh) 一种围栏立柱
KR101065021B1 (ko) 로드킬 방지를 위한 환경친화형 생태통로 유도펜스시설
KR101270498B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0959137B1 (ko) 암반 구조물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KR10148996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CN204418525U (zh) 一种建筑加固柱
KR101240586B1 (ko)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KR101138708B1 (ko) 암파쇄 복합자재 방호벽 구조물
CN201649003U (zh) 活性粉末混凝土立柱与钢管组合的栏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