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3309B1 - 펜스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펜스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09B1
KR102483309B1 KR1020220061313A KR20220061313A KR102483309B1 KR 102483309 B1 KR102483309 B1 KR 102483309B1 KR 1020220061313 A KR1020220061313 A KR 1020220061313A KR 20220061313 A KR20220061313 A KR 20220061313A KR 102483309 B1 KR102483309 B1 KR 102483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insertion groove
support
crossbar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임
Original Assignee
양우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우임 filed Critical 양우임
Priority to KR102022006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1Posts therefor with hollow cross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면을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는 사각기둥으로서 네 면의 측면 중 대응되는 두 면의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대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가로대와 교대로 삽입되어 가로대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볼트체결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메인 속주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끼움고정되며, 내주면 상단의 각 코너부에는 상기 마감캡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마감캡고정속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스의 시공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fence}
본 발명은 시공면을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는 사각기둥으로서 네 면의 측면 중 대응되는 두 면의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대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가로대와 교대로 삽입되어 가로대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볼트체결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서, 상기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틸 재질의 메인 속주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주면 상단의 각 코너부에는 상기 마감캡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펜스는 특정구간을 구획하는 용도로서, 도로(차도)와 보도 사이, 나무 및 각종 식물이 식재된 보호구간, 공원 등의 산책로에 시설된다.
이러한 펜스는 크게 목재, 금속재 혹은 목재와 금속재를 조합하여서 시설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텐레스 스틸, 철재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펜스는 대부분 일체형으로 지주와 가로대가 일체를 이루도록 용접하여 제작되며, 현장에서는 준비된 바닥앵커볼트에 지주의 하측부분을 너트로서 각각 다점 연결하여 입설하는 형태로 세워 경계를 구획하는 반면에, 펜스가 목재 재질인 경우에는 지주와 지주에 양단이 각각 전후측으로 대응되게 고정하거나 혹은 전후방향 중 어느 한쪽만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주로 목재를 가공하여 조합 시설하는 펜스는 금속 소재로 시설되는 펜스에 비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자연친화적으로 공원, 산책로 및 펜션주변 등의 조경용으로도 그 시설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a) 내지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펜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1e)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펜스를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지주(20′)가 수직으로 배열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20′)는 사각 기둥형태로 이루어지되 네 면의 측면 중 대응되는 두 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인접한 두 지주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로대(30)가 삽입되며, 가로대가 복수개로 삽입될 경우 가로대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로대와 교대로 간격유지부재(40)가 삽입홈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가로대 및 간격유지부재의 이탈과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주의 상단에는 마감캡(50′)이 볼트체결되는 시공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지주(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용접결합되는 메인 속주(21′)와, 상기 메인 속주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끼움되며 볼트체결을 통해 메인 속주와 체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0)과 고정되는 마감캡고정속주(22′)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마감캡고정속주(22′)의 내주면 상단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각 코너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볼트체결공이 상기 마감캡에 형성되어, 상기 마감캡이 지주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통한 볼트체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메인 속주(21′)는 마감캡고정속주(22′)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길이)를 확보하여 마감캡고정속주(22′)가 수직으로 기립될 수 있는 적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하여, 상기 마감캡고정속주(22′)는 상기 플랜지부가 지주(20′)의 상단부에 위치해야만 상기 마감캡(50′)과의 볼트체결이 가능하므로 지주(2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야만 했다.
상기 마감캡고정속주(22′)는 강도확보, 부식방지, 운반이나 시공시 작업의 편의성을 위한 경량화 등을 목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캡과의 볼트 체결을 위하여 상기 마감캡고정속주(22′)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가 고가의 시공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의 제조단가를 줄여 시공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펜스의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면을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는 사각기둥으로서 네 면의 측면 중 대응되는 두 면의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대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가로대와 교대로 삽입되어 가로대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볼트체결되는 마감캡을 포함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서, 상기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틸 재질의 메인 속주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주면 상단의 각 코너부에는 상기 마감캡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캡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홈 내부의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구가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감캡이 상기 지주의 상단에 볼트체결되면 상기 가압구에 의해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의 간격유지부재 및 가로대가 상호 밀착되면서 가로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속주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감캡고정속주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 속주는 네 면의 측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과 접하는 마감캡고정속주의 외주면이 장공과 함께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구의 일면에는 상기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와 밀착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슬립에 의한 가압력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를 블럭 형태로 형성하여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의 메인 속주 내측 상단에 배치하여 고정볼트를 매개로 마감캡과 지주를 체결하여 시공을 마무리 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마감캡고정속주의 전체 길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감캡고정속주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펜스의 시공단가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속주의 측면에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과 접하는 마감캡고정속주의 외주면이 장공과 함께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감캡이 볼트체결될 때 마감캡고정속주가 메인 속주로부터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감캡이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면 가압구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에 작용하여 상기 삽입홈 내부의 복수의 가로대 및 보조마감구가 상호 밀착되면서 가로대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스를 목재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목(木)재질의 특성상 장기간 설치로 인해 수축팽창이 발생하더라도 가로대가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구의 일면에 마찰부재를 형성하여 슬립에 의한 가압력의 분산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상하방향의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펜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속주와 마감캡고정속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사용상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개략적인 예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펜스의 시공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펜스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원자재의 제조단가를 줄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2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는 시공면을 따라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며 마주보는 양면에 수직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20)와, 상기 지주와 지주를 연결하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대(30)와, 상기 가로대(30)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로대와 교호로 삽입되는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마감캡(50)을 포함한다.
상기 지주(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기둥으로서 네 면의 측면 중 두 면의 길이방향측 측면에 한 쌍의 메인마감구(23)가 밀착되며, 양측의 메인마감구에 의해 지주의 두 면의 폭방향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후술할 가로대(30)가 인입된다.
상기 가로대(30)는 상기 지주(20)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201)에 삽입되는 판상체로서, 인접한 한 쌍의 지주(20) 사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40)는 상기 삽입홈(201) 내부에 가로대(30)와 교대로 삽입되면서 가로대(30)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로대(30), 간격유지부재(40)의 재질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가로대(30)와 간격유지부재(40)는 목(木) 재질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 가로대(30), 간격유지부재(40), 마감캡(50) 및 펜스의 전체적인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펜스(100)는 펜스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b)와 같이 가로대(30)와 가로대(30)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세로대(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주(2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수직으로 결합되는 메인 속주(21)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부에 끼움되는 마감캡고정속주(2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속주(21)는 상기 지주(2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캡고정속주(22)는 상단 모서리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끼움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과 바닥면은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있으며 전후좌우면은 막혀있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상단의 각 코너부에는 상기 마감캡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222)이 형성되는 플랜지부(2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속주(21)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공(2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장공(211)은 도 3과 같이 마주보는 두 면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메인 속주의 네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공(211)은 메인 속주(21)와 마감캡고정속주(22)의 용접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마감캡고정속주(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결합을 실시하여 상기 장공(211)과 접하는 마감캡고정속주(22)의 외주면을 장공과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면부호'212'는 레이저 용접에 의한 용접결합부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용접결합부(212)에 의해 메인 속주(21)와 마감캡고정속주(22)의 결속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할 마감캡이 지주의 상단에 볼트체결될 때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마감캡고정속주(22)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플랜지부를 지주의 상단부에 배치시키기 위하여 스틸 재질의 메인 속주(21′) 대비 상대적으로 고가인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가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었는데, 본 발명은 스틸 재질의 메인 속주(21)를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하면서 플랜지부를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22)를 지주의 총길이 대비 현저히 짧게 형성하면서도 지주의 상단에 마감캡을 체결하는 작업이 가능하므로, 마감캡고정속주(22)의 제조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펜스의 시공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5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감캡(5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안착되어 개구된 지주의 상부를 차폐하는 상판(501)과, 상기 상판의 네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며 상기 지주의 측면을 에워싸는 4개의 측판(502)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50)은 바닥면이 개방형성되어 지주(20)의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끼움고정되며, 고정볼트(B)를 매개로 상기 지주(20)의 상단에 체결된다.
상기 마감캡(50)의 일측에는 고정볼트(B)를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기 위한 볼트공(5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볼트공(51)은 상기 상판(501) 또는 측판(50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캡(50)이 지주의 상단에 볼트체결될 때 후술할 가압구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간격유지부재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공(51)은 상판(501)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볼트공(51)은 고정볼트(B)가 지주(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억지 끼움으로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2 및 3과 같이 마감캡고정속주(22)의 내주면의 각 코너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21)의 볼트체결공(2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구(52)는 상기 마감캡(5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감캡(50)이 지주(20)의 상단에 안착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삽입홈(201)에 삽입된 복수의 간격유지부재 중에서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4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압구(52)는 양측 삽입홈(201)의 간격유지부재(40)와 각각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캡(50)이 고정볼트(B)를 매개로 지주(20)의 상단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구(52)가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40)를 가압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로대(30) 및 간격유지부재(40)가 상호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볼트(B)가 조여질수록 상기 가압구(52)에 의한 상하방향의 가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어 상기 삽입홈(201) 내의 가로대 및 간격유지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가로대(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펜스를 목재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장기간 설치로 인한 수축팽창이 발생하더라도 가로대(30)가 흔들리거나 삽입홈(20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e)의 마감캡(도면부호 50′)은 단순히 지주의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끼움되어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구조는 마감캡의 이탈,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본 발명과 같이 볼트체결시 가압구에 의한 상하방향의 가압력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삽입홈 내의 가로대 및 간격유지부재가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으며, 따라서 펜스를 목재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수축팽창에 의한 가로대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구(52)는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확보하여 상기 마감캡이 지주의 상단에 체결될 때 상기 가압구에 의한 상하방향의 가압력이 상기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적절한 형태, 예를 들어, 소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맞닿는 상기 가압구의 일면에는 슬립에 의한 가압력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증대시켜주는 마찰부재(5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찰부재(521)는 도 6a)와 같이 가압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 6b)와 같이 요입부와 요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마찰부재는 고무, 가죽, 인조가죽, 연질의 PVC 또는 실리콘 등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구의 외주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마찰부재가 마찰력이 우수한 재질의 패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압구(51)가 간격유지부재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나 훼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삽입홈의 최상측에 간격유지부재(4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가로대(30)가 삽입홈의 최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압구(52)는 가로대를 가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를 블럭 형태로 형성하여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의 메인 속주 내측 상단에 배치한 후 용접결합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마감캡과 지주의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펜스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0 : 베이스프레임
20 : 지주
201 : 삽입홈
21 : 메인 속주
211 : 장공
212 : 용접결합부
22 : 마감캡고정속주
221 : 플랜지부
222 : 볼트체결공
23 : 메인마감구
30 : 가로대
40 : 간격유지부재
50 : 마감캡
51 : 볼트공
52 : 가압구
521 : 마찰부재
B : 고정볼트
100 : 펜스

Claims (4)

  1. 시공면을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는 사각기둥으로서 네 면의 측면 중 대응되는 두 면의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 사이에 하나 이상 가로방향으로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가로대(30)와, 상기 삽입홈 내부에 가로대와 교대로 삽입되어 가로대의 상하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40)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고정볼트를 매개로 볼트체결되는 마감캡(50)을 포함하는 펜스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서, 상기 지주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스틸 재질의 메인 속주(21)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메인 속주의 상단 모서리와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속주의 내측 상부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내주면 상단의 각 코너부에는 상기 마감캡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222)이 형성되는 플랜지부(221)가 형성되는 육면체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캡고정속주(22);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캡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홈 내부의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구(52)가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감캡이 상기 지주의 상단에 볼트체결되면 상기 가압구에 의해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의 간격유지부재 및 가로대가 상호 밀착되면서 가로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의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속주는 네 면의 측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면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과 접하는 마감캡고정속주의 외주면이 장공과 함께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의 시공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의 일면에는 상기 최상측의 간격유지부재와 밀착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슬립에 의한 가압력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5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의 시공구조.
KR1020220061313A 2022-05-19 2022-05-19 펜스의 시공구조 Active KR10248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13A KR102483309B1 (ko) 2022-05-19 2022-05-19 펜스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13A KR102483309B1 (ko) 2022-05-19 2022-05-19 펜스의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309B1 true KR102483309B1 (ko) 2022-12-29

Family

ID=845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13A Active KR102483309B1 (ko) 2022-05-19 2022-05-19 펜스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3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465B1 (ko) * 2023-07-30 2023-11-29 (유) 금란산업개발 난간용 마감캡
KR102622900B1 (ko) * 2023-06-09 2024-01-10 ㈜현대그린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KR102634344B1 (ko) * 2023-01-04 2024-02-05 이용복 내부 고정부재를 구비한 추락방지 구조물
KR102647623B1 (ko) * 2023-11-19 2024-03-14 (유) 금란산업개발 난간용 마감캡과 이를 이용한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39Y2 (ja) * 1987-07-18 1994-03-30 新日軽株式会社 組合せ塀
US20030160222A1 (en) * 2002-02-22 2003-08-28 Steffes Stephen W. Picket fence cap assembly
KR20110009003U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오월 조립식 안전휀스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39Y2 (ja) * 1987-07-18 1994-03-30 新日軽株式会社 組合せ塀
US20030160222A1 (en) * 2002-02-22 2003-08-28 Steffes Stephen W. Picket fence cap assembly
KR20110009003U (ko) * 2010-03-16 2011-09-22 주식회사 오월 조립식 안전휀스
KR101498268B1 (ko) * 2014-11-03 2015-03-05 임철환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44B1 (ko) * 2023-01-04 2024-02-05 이용복 내부 고정부재를 구비한 추락방지 구조물
KR102622900B1 (ko) * 2023-06-09 2024-01-10 ㈜현대그린 목재와 철재로 결합한 구조 강화 지주 및 그 조립 방법
KR102606465B1 (ko) * 2023-07-30 2023-11-29 (유) 금란산업개발 난간용 마감캡
KR102647623B1 (ko) * 2023-11-19 2024-03-14 (유) 금란산업개발 난간용 마감캡과 이를 이용한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309B1 (ko) 펜스의 시공구조
FI68286B (fi) Balkfoerbindning med genomgaoende stoed
US2669434A (en) Stockyard fence
CN101260729A (zh) 节能型地板、智能连接件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2649557B1 (ko) 용이한 데크의 결합과 고정력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CN109518595B (zh) 适用于异形墩的装配式抱箍支架及利用其盖梁施工的方法
US8403157B2 (en) Storing rack for core sample boxes
US10815655B2 (en) Connection device for fastening two elements, in particula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691914B1 (ko)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KR101673070B1 (ko) 연속화 강관 소켓 정착장치를 통한 경사지 확장보도
KR101954362B1 (ko)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DE19743807C2 (de) Kurvenelement für eine Skateanlage (Bowl)
KR10265519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474075B1 (ko) 가로대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지주용 마감캡 및 이를 이용한 펜스의 시공구조
KR101350946B1 (ko) 대나무 펜스 제조방법
JPS642043Y2 (ko)
KR101769540B1 (ko) 조립식 펜스
JP6752006B2 (ja) 建物ユニットの固定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CN108894424A (zh) 一种房屋楼板的制造方法
KR20240011415A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200499150Y1 (ko) 안전펜스 연결장치
NL2024041B1 (nl) Glasbalustrade, gebouw voorzien daarvan en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glasbalustrade
CN210657866U (zh) 一种具有加宽加强卡扣的36宫格拼装地板
KR101570208B1 (ko)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