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2256B1 -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256B1
KR102622256B1 KR1020210108622A KR20210108622A KR102622256B1 KR 102622256 B1 KR102622256 B1 KR 102622256B1 KR 1020210108622 A KR1020210108622 A KR 1020210108622A KR 20210108622 A KR20210108622 A KR 20210108622A KR 102622256 B1 KR102622256 B1 KR 10262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supply damper
closing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2256B9 (en
KR20220068902A (en
Inventor
김채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20068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56B1/en
Publication of KR10262225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256B9/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속실의 감압을 위한 설비비용 및 설치 필요 공간을 최소화하고, 부속실의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층을 포함한 여러 층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될 경우, 화재층의 댐퍼가 우선 개방작동하여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어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출입문 틈새로 빠져나가는 누기량을 소형 개패구를 통하여 적정 풍량을 공급함으로써 차압값을 유지하여, 과도한 풍량공급에 의한 과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감압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만들지 않도록 하고, 급기풍도내 연기 및 유독가스가 유입될 경우, 이들이 급기댐퍼를 통하여 다른 구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더불어, 화염이 급기댐퍼 앞까지 확산되었을 경우, 급기댐퍼를 차단하여 화염이 더 커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that can minimize the equipment cost and installation space required for depressurizing an auxiliary room and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room at a certain level, allowing the doors of several floors, including the fire floor, to be opened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damper on the fire floor is first opened and operated to supply sufficient air volume, and the purpose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smoke into the smoke control area.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is maintained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through a small opening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leaking through the gap in the door. This prevents the formation of overpressure due to excessive supply of air volume, so as to avoid creating a separate facility for depressurization. When smoke and toxic gases enter the province, we want to prevent them from spreading to other areas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In addition, when the flame spreads in front of the air supply damper, it is characterized as a system to prevent the flame from growing further by blocking the air supply damper.

Description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부속실 또는 계단실과 같은 제연구역에 화재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개구부를 개폐하는 댐퍼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연을 위한 풍량 공급을 화재가 발생한 층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의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보충량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급기 댐퍼가 작동하도록 하여, 급기 풍량이 화재층으로 우선 공급 되도록 하여 화재층에 유효한 방연풍속이 이루어지도록 보충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and its system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n opening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smoke in a smoke control area such as an annex or staircase in the event of a fir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amper and its system that supply air volume for smoke prevention to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It is supplied preferentially, and when the door to a floor where a fire does not occur is opened, it is determined whether supplementary volume is needed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air supply damper is activated only when necessary, so that the supply air volume is supplied to the fire floor first. It relates to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that can provide sufficient supplementary volume to achieve an effectiv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in the fire floor.

제연설비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실제 소화와는 관련이 없지만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의 설비로써,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연기와 유독 가스가 피난계단의 계단실이나 또는 부속실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실 출입구 또는 부속실에 제연댐퍼를 설치한다. 건물에 구비되는 제연댐퍼는, 건물의 옥상 또는 지하에 위치하는 송풍기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복층의 건물에 통과시키는 급기 덕트에 각 층의 제연댐퍼가 연결되며 설치되고, 화재발생 시 제연댐퍼가 급기구를 개방하여 출입구 또는 출입문이 형성된 위치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부속실이나 계단실이 실내와 적정 차압을 유지하게 되어 제연구역으로 화재 연기 확신을 억제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보다 안전한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설비이다.Smoke control equipment is not related to actual fire extinguishing when a fire occurs, but is a facility for activities to minimize damage to human life. If a fire occurs indoors, fire smoke and toxic gases ar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taircase of the escape stairs or annexed rooms. To prevent this, install a smoke damper at the staircase entrance or ancillary rooms. The smoke control damper provided in the building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smoke control damper on each floor to the air supply duc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brought in by a blower located on the roof or basement of the building and passes through the two-story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the smoke control damper is installed. By opening the air supply port and spraying air at the entrance or exit door, the auxiliary room or staircase maintains an appropriate differential pressure with the interior, thereby suppressing the possibility of fire smoke in the smoke control area, thereby securing a safer escape route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a facility that assists in this.

종래의 고층 건물의 제연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염과 동시에 발생되는 연기 및 가스가 피난계단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을 만들었으며,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179호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고층건물의 제연방법은 출입문(53) 밖의 공간인 부속실을 화재 시 연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연구역(60)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연구역(60)의 급기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날개를 갖는 급기댐퍼(55)가 마련되며, 급기구는 급기덕트(54)로 연결되어 화재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층에 설치되는 송풍기(61)로 외기를 송풍하여 제연구역(60)의 공기압력이 화재가 발생된 실내(52)의 공기압보다 일정범위 이내의 높은 공기압을 유지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52)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제연구역(60)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였다.Conventional smoke control equipment in high-rise buildings creates a smoke control area to prevent smoke and gas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flame from entering the evacuation stairs when a fire occurs. Examples of this are as follows. Referring to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42179,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moke control method for high-rise buildings is a smoke control area (60) that prevents smoke from entering the annex room, which is the space outside the entrance door (53), in the event of a fire. ), and an air supply damper (55) with open/close wing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at the air supply port of the control area (60), and the supply port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54) and is installed on the rooftop or basement of the building in case of fire. By blowing outside air with the blower 61, the air pressure in the smoke prevention area 60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in the room 52 where the fire occurred, thereby maintaining the smoke inside the room 52 where the fire occurred. and prevented toxic gases from flowing into the decontamination area (60).

그러나, 종래와 같은 제연방법 또는 그 시스템은 방연풍속을 위한 개폐부가 한 개로 구성되어, 소정의 차압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도 일정량의 풍량만 공급되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부속실에 과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피 시 출입문(53)에 압력이 가해져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가 발생한 층에는 부속실에 충분한 풍량이 공급되어야만 유효한 방연풍속을 구현하며 화재 층의 연기 확산을 예방하며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는데, 사람들의 대피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층과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층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될 경우, 출입문이 개방된 모든 층의 급기댐퍼로 풍량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화재 층에 급기 풍량이 부족하게 되며, 이에 유효한 방연풍속이 화재 층에 제공되지 못해 적절한 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method or its system consists of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moke prevention wind speed, and operates to supply only a certain amount of air volume even when a predetermined differential pressure adjustment is required, so overpressure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door 53 during evacuation, resulting in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door cannot be opened.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sufficient air volume must be supplied to the annexed room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to achieve effectiv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prevent the spread of smoke on the fire floor, and secure an evacuation route.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by evacuating people If the doors on floors where a fire does not occur are opened at the same time, the air volume may be distributed to the air supply dampers on all floors where the doors are open, resulting in a shortage of air supply air volume on the fire floor, and the effective smoke prevention wind speed is the fire r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an appropriate smoke control effect because it cannot be provided to the floo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179호 (등록일자 2013.03.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42179 (registration date 2013.03.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속실의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화재층에 충분한 보충 풍량을 공급함과 동시에 비화재층에도 적절한 풍량을 공급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제공하고, 풍도 내 일정 기준 이상의 연기 유입될 경우 건물 내 제연 댐퍼를 차단함으로써 연기가 제연 댐퍼를 통해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that maintains the pressure in the annex room at a certain level, supplies sufficient supplementary air volume to the fire floor, and supplies an appropriate air volume to the non-fire floor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that prevents smoke from spreading through the smoke control damper by blocking the smoke control damper in the building when smoke inflow exceeds a certain standard within the wind tunnel.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건물의 각 층에 독립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각 층의 부속실로 공급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통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통공부의 소정 면적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제1개폐부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의 일면적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각의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해당 층에 대한 건물의 실내와 부속실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한 차압값을 전달하는 차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건물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가 발생한 층을 구별하고, 각 층의 상기 제어부로 구분된 기동 신호를 각각 전달하여 각 층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방연을 위한 외부 공기의 공급을 화재가 발생한 층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동 신호를 구분하여 건물 전체의 층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제1 기동신호를 전달하고, 화재가 발생한 층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제2 기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되, 수신된 압력값이 제1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1 개폐부를 개방하고, 수신된 압력값이 제2 압력 이하이면, 일정 시간 이후에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재수신하며, 이때, 상기 제1 압력은 상기 제2 압력 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which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each floor of a build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lies external air to an annex of each floor through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room;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rough hole; a second opening/closing part form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and opening/closing one area of the through hol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control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and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the auxiliary room for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fferential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includes: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nd a repeater that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of the building, distinguishes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ransmits the divided start signal to the control unit of each floor to control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each floor the same or differently. Includes; When a fire signal is received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the repeater separates the start signal to preferentially supply external air for smoke prevention to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and the repeater is provided on all floors of the building. A first start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start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starting signal, it receives a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f the received pressure value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and if the received pressure value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pressure value is re-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The press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value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삭제delet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기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에 전원을 인가하며 개폐부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며, 수신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first and second start signals, it appli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to prepare for operation of the openings and closing units, receives a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received pressure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are operated.

삭제delete

이때,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후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재수신한 압력 값이 상기 제2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2 개방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ns the second opening if the pressure value re-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ssur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1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1 개폐부를 개방하고, 제2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2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start signal, and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open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3압력 이상이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폐쇄하고, 이때 상기 제3 압력은 제1 압력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lo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when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greater than the third pressure, and in this case, the third pressure is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by

더불어,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에 온도값을 송신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기준 시간 동안 감지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or a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portions are closed.

이때,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이미지 센서;(적외선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further includes an image sensor (infrared camera),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mage sensor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더불어,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층을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취입구 및 타측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풍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도는 각 층의 부속실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loors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on one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side. It further includes a wind pipe; wherein the wind pipe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provided in the annexed room of each floor.

이때, 상기 풍도 내에 배치되되, 최저층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연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1 연기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각 층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1 및 2 개폐부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moke sensor disposed within the wind tunnel and provided on a side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provided on the lowest floo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the repeater, wherein the repeater detects smoke from the first smoke sensor. Upon receiving the signal,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 closing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located on each floor.

또한, 상기 풍도 내에서, 상기 취입구와 최저층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풍기; 및 상기 풍도 내에서, 상기 취입구와 상기 송풍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연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2 연기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in the airflow, a blower is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and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the lowest floor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the repeater; And a second smoke sensor, which is provided within the airflow between the air intake and the blow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repeater, wherein when the repeater receives a smo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moke sensor, It may be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한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가 제어부에 의해 구분되어 작동됨으로써 제연구역의 차압에 따라 적절한 보충 풍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시 복수의 층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되어도, 화재층과 비화재층에 적정량의 보충 풍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연구역의 차압과 보충 풍량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ppropriate supplementary air volum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production area by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parts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separately by the control unit, Even if the doors of multiple floors are opened at the same time in the event of a fire,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upplementary air volume in the smoke control area can be controlled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supplementary air volume can be supplied to the fire floor and non-fire floor.

도 1은 종래의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개략 단면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가 폐쇄된 자동 차압 급기 댐퍼의 사시도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자동 차압 급기 댐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 간략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의 중계기 동작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배면 사시도
도 7은 복층의 건물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연기 감지 센서에 따른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의 동작 개념도
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nti-aircraft method for high-rise buildings.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with an ope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epeater operation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 chart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two-story building.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operation of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according to a smoke detection sensor.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are available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ttached drawings. The attached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s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ttached drawings.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동 차압 급기 댐퍼(100)(이하 '급기 댐퍼(100)')는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된 제1 개폐부(110) 및 제2 개폐부(120)를 각각 분리시켜 개폐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에 따라 제연구역으로 적절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대피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 댐퍼(100)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통공부(101a)를 포함하는 하우징(101), 상기 통공부(101a)의 소정 면적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110) 상기 제1 개폐부(110)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101a)의 일면적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120),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각의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ir supply dam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formed with different area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cure an escape route by opening and closing it to supply appropriate outdoor air to the smoke control area depending on the fire situation. In the air supply damper 100 that supplies outside air into the room, the housing 101 includes a through hole 101a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to the room, and a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rough hole 101a. 1 opening/closing unit 110, a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form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10, opening and closing one area of the through hole 101a,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to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two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and when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the control unit 130 open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하우징(101)은 계단실의 출입구나 부속실과 같은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공부(101a)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공부(101a)가 건물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풍도(1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통공부(101a)를 통해 상기 하우징(101)이 설치된 계단실이나 부속실로 외기가 유입되며 제연구역에 방연풍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통공부(101a)에 제1 개폐부(110) 및 제2 개폐부(120)가 설치되고, 상기 통공부(101a)를 제외한 면적에 제어부(130)가 내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01 is installed in a control area, such as an entrance to a staircase or an annex, and includes a through hole 101a. The through hole 101a is connected to a wind pipe 10 that introduces outside air into the building. In this way, outside air flows into the staircase or auxiliary room where the housing 101 is installed through the through hole 101a, and smoke-retardant wind is supplied to the smoke control area. The housing 101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are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101a, and the control unit 130 is built in the area excluding the through hole 101a. It is desirable to be

제1 개폐부(110)는 상기 하우징(101)의 통공부(101a) 중 소정 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개폐부(110)는 셔터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방식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공부(101a)를 통해 외기를 유입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형태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제1 개폐부(110)는 복수의 날개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가 회전하는 것으로 통공부(101a)를 개폐할 수 있는 블라인드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is characterized a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can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rough hole 101a of the housing 101.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10 may be formed in a shutter-type or sliding-type manner, and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capable of introducing or blocking external air through the through-hole 101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ngs, and is formed in a blind form that can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101a by rotating the wings.

제2 개폐부(120)는 상기 제1 개폐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101)의 통공부(101a)의 면적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개폐부(120)는 상기 제1 개폐부(110)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개폐부(120)는 통공부(101a)를 통해 외기를 유입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형태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의 날개로 형성되어, 상기 날개가 회전하는 것으로 통공부(101a)를 개폐할 수 있는 블라인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개폐부(120)는 상기 제1 개폐부(110)와 적어도 두 배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통해 유입되는 풍량에 차이가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characterized a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can open and close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101a of the housing 101, lik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has a shape capable of introducing or blocking external air through the through hole 101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ngs, and the wings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blind that can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101a by rotat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formed to have an area at least twice that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10, and is formed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ind flowing in throug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s 110 and 120. It is desirable.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개폐부(110) 및 제2 개폐부(12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 제1 개폐부(110) 및 제2 개폐부(120)의 개폐를 수행시킴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신호에 따라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건물 내 배치되는 화재감지센서나, 외부의 관제센터(예를 들면 소방서)에서 전달하는 화재신호를 수신 하는 중계기(1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140)의 신호에 따라 각 층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가 각 층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3, the control unit 130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 By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120), the amount of wind flowing into the room can be adjusted, and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an external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s opened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pen. The control unit 13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a repeater 140 that receives a fire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placed in the building or an external control center (for example, a fire station), and the repeater 140 According to the signal,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provided on each flo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so that they can ope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each floor.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급기 댐퍼(100)는 실내와 외부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압센서는 측정한 압력값을 제어부(1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압센서는 상기 하우징(101)이 설치되는 부속실이나 계단실과 같은 제연구역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하우징(101) 내에 내장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에서 상기 제어부(130)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차압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차압센서는 세대주실과 제연구역의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센서인 것으로, 각각의 공간을 구분하는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의 동작으로 인해 변화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센서가 각각 세대주실과 제연구역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의 차압을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air supply dam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asured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13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1 to measure the pressure of a manufacturing area such as an auxiliary room or staircase where the housing 101 is installed, or is provided with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30 outside the housing 101. It may be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transmit and receive, and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s as nee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householder's room and the smoke prevention area.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pressure that changes due t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that separates each space. It can be transmitted to (130), and a plurality of sensors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householder's room and the cooking area,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differential pressure to the control unit 130.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차압센서로 부터 전달받는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차압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가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차압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제1압력 이하이면 제1 개폐부(110)를 개방하고, 제2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2 개폐부(12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압력은 상기 제2압력보다 높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압력은 상기 제1 개폐부(110)의 동작을 위한 차압 조절 설정값(Ps)일 수 있으며, 일례로 50Pa의 값일 수 있고, 상기 제2압력은 제2 개폐부(120) 설정 기준값(Po)일 수 있으며, 일례로 20~30Pa의 값일 수 있다. 이에, 상기 급기 댐퍼(100)가 구비된 제연구역과 세대실의 차압이 제1압력 이하이고, 제2압력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통공부(101a)를 개폐하는 면적이 보다 적은 상기 제1 개폐부(110)를 개방하여 소정의 풍량을 공급하고, 또한 차압이 제2압력 이하이면, 큰 면적의 상기 제2 개폐부(120)를 개방하는 것으로 보다 많은 풍량을 공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제연구역과 세대실이 일정 범위의 차압을 유지하며 제연구역으로의 화재연기 확산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e control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ressure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30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and open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first pressure may be higher than the second pressure.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may be a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et value (Ps)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and for example, may be a value of 50 Pa, and the second pressure is a reference value set for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Po), for example, it may be a value of 20 to 30 Pa. Accordingly,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control area equipped with the air supply damper 100 and the household room is less than the first pressure and more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area for the control unit 130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101a is smaller.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by opening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10, and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less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second opening/closing part 120 of a large area can be opened to supply more air volum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moke control area and the household room are configured to maintain a certain pressure differential and prevent the spread of fire smoke into the smoke control area.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한 특징을 가지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건물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가 발생한 층을 구별하고,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각 층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of the building, distinguishes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of each flo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peater that controls the air supply damper.

중계기(140)는, 건물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 및 각 상기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화재감지센서가 감지한 화재 신호를 수신하면, 각 상기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기(140)는 더불어, 중앙 소방 관제 센터, 관리실 등과 같은 외부의 신호와도 송수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4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화재 신호에 의해 건물의 복수의 층 중 화재 신호가 발생된 화재층과 화재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비화재층을 구분할 수 있으며, 화재 신호에 따라 화재층에 구비된 상기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개방하는 개방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peater 14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the control unit 130 of each of the air supply dampers 100. When receiving the fire signal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each of the above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n addition, the repeater 14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external signals such as a central fire control center, a management office, etc. The repeater 140 is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a fire floor where a fire signal is generated and a non-fire floor where a fire signal is not generated among the plurality of floors of a building based on the fir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can distinguish between a fire floor where a fire signal is generated and a non-fire floor where a fire signal is not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An opening signal for ope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in the floor.

도 4 및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건물의 화재감지센서로 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화재신호가 발생한 층의 위치를 파악하여 화재층으로 인식하고, 나머지 층을 비화재층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기(140)는 건물 전체의 층에 구비되는 상기 급기 댐퍼(100)와 화재층에 구비되는 상기 급기 댐퍼(100)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제1 기동신호(S1) 및 제2 기동신호(S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동신호(S1)는 건물 전체 층에 구비된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기동신호(S2)는 화재가 발생한 층에 구비된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2 기동신호(S1, S2)는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의 동작을 준비하는 신호인 것이며,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제1 및 2 기동신호(S1, S2)를 수신하면, 상기 급기 댐퍼(100)에 구비된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가 구동할 수 있도록 급기 댐퍼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제1 및 2 기동신호(S1, S2)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각 층에 구비된 급기 댐퍼(100)가 수신하는 상기 차압센서의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nd 5, when the repeater 140 receives a fire signal from a building's fire detection sensor, it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loor where the fire signal occurred, recognizes it as a fire floor, and sets the remaining floors as non-fire floors. It can be recognized as a fire layer. At this time, the repeater 140 may generate and transmit different signals in order to differently control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all floors of the building and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the fire floor. To descri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140 can generate a first startup signal (S1) and a second startup signal (S2) when receiving a fire signal, and the first startup signal (S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all floors of the building, and the second start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It can be configur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tarting signals (S1, S2) are signals that prepare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110, 120), and the control unit 130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starting signals (S1). , S2), the pressure value can b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air supply damper 100,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damp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can be driven accordingly. It is characterized by activating.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which has received the first and second start signals (S1, S2),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 110, 120) is characterized by selectively opening.

본 발명의 댐퍼 시스템은 건물에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전층에 상기 제1 기동신호(S1)을 전달하고, 화재층에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기(140)가 생성한 신호는, 신호에 따라 제1 및 2 개폐부(110, 120)의 개방 동작이 즉각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일정 조건 이후에 수행되도록 상기 제어부(130)를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각 층의 댐퍼를 부속실과 실내의 차압을 기준으로 개폐부의 개폐를 동작시키되, 화재층에 구비되는 댐퍼와 비화재층에 구비되는 댐퍼에 대해서 일정 조건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화재층에 구비되는 댐퍼를 통해 보충량을 우선적으로 공급시켜 유효한 방연풍속이 화재층에서 이루어지도록 비화재층에도 차압에 따라 적정한 풍량을 공급함으로써 각 층의 부속실이 일정한 차압을 유지하여 연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 대피자들에게 보다 안전한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start signal (S1) to the entire floor and the second start signal (S2) to the fire floor when a fire signal occurs in the building. You can.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repeater 140 controls the control unit 130 so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s performed immediately or after a certain condition depending on the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ignal. This operates the damper on each floor to open and close the switch based on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auxiliary room and the room, and operates the damper provided on the fire floor and the damper provided on the non-fire floor in stages based on certain conditions, thereby preventing fire damage. Supplementary volume is supplied preferentially through a damper provided on each floor to ensure that effective smoke-retardant wind speed is achieved on the fire floor. By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ind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to the non-fire floor as well, the auxiliary rooms on each floor maintain a constant differential pressure to prevent smoke from spreading. Thi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afer evacuation route for evacuees.

도 4 및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기동신호(S1)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 전체의 층에 구비된 제어부(130)에 전달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기동신호(S1)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 수신을 시작하고, 수신된 압력값에 따라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기동신호(S1)는 상기 제1 개폐부(110)의 동작은 압력값에 따라 즉각적으로 동작시키되, 상기 제2 개폐부(120)의 동작은 상기 제2 개폐부(120)가 동작해야하는 압력값을 수신하여도, 즉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작동 대기한 후, 이후에도 압력값이 작동 기준값인 경우에 작동하도록 제2 개폐부(120)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nd 5, the first starting signal (S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provided on the entire floor of the building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first starting signal (S1)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arts receiving pressure values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driv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120) according to the received pressure values. At this time, the first start signal (S1) caus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to operate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operates as long a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operates. Even if the pressure value is receive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is delayed so that it does not operate immediately but waits for oper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operates when the pressure value is the operation reference valu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가 난 건물의 전층에 상기 중계기(140)가 각각의 제어부(130)에 상기 제1 기동신호(S1)를 송신하면, 상기 제1 기동신호(S1)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고,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1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1 개폐부(110)를 개방하고, 제2압력 이하이면, 일정 시간 이후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재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 기동신호(S1)를 수신한 급기 댐퍼(100)가 구비된 부속실에 감지된 차압이 제2압력 이하인 경우, 해당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는 제2 개폐부(120)를 즉각적으로 개방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 이후 다시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5초일 수 있으며, 출입문이 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가 닫히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에, 해당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 시간 이후 다시 압력값을 수신하게 되며, 수신된 압력값이 다시 제2압력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2 개폐부(12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압력은 상기 제2 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압력은 제1 개폐부 동작 차압 조절 설정값(Ps)일 수 있고, 일례로 50Pa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압력은 제2 개폐부 동작 차압설정값(Po)일 수 있고, 일례로 20~30Pa의 값일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peater 140 transmits the first start-up signal (S1) to each control unit 130 on the entire floor of a building where a fire occurs, the first start-up signal The control unit 130, which has received (S1), receives the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110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It is opened and, if the second pressure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pressure value is re-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at is,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ed in the auxiliary room equipped with the air supply damper 100 that has received the first start signal (S1)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control unit 130 of the corresponding air supply damper 100 operate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 is not opened immediately, and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bove constant time may be 5 seconds, and can be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onsider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door to be norm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pressure value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hen the received pressure value is again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the control unit 130 opens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and the first pressure may b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operation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et value (Ps), for example, a value of 50 Pa, and the second pressure may be It may be the second switch operation differential pressure set value (Po), and for example, may be a value of 20 to 30 Pa.

상기 제1 기동신호(S1)는,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사람들의 대피로 인해 출입문이 개방되며 부속실의 압력이 낮아지는 것을 구분하여 급기댐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출입문 개방으로 인해 낮아진 압력에 대해서 급기댐퍼의 작동을 즉각적으로 수행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도 해당 압력 이하인 경우, 해당 층에 개방문이 열린 것으로 인지하여 제2 개폐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송풍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일정 풍량을 화재가 발생한 층과 발생하지 않은 층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층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되더라도 화재층에 방연풍속을 위한 보충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건물 내 화재 연기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first start signal (S1) is used to operate the air supply damper by detecting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pressure in the annex room is lowered due to the evacuation of people from the building where the fire broke out. If the damper is not operated immediately and the pressure is below the corresponding pressure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an open door is open on the relevant floor and op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section, and a certain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blower is used to prevent the fire from occurring. It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supplying both floors and non-generated floors. In addition, even if doors on multiple floors are open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replenishment for smoke retardant wind speed on the fire floor so that there is no shortage, providing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smoke within the building.

도 4 및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기동신호(S2)는 화재가 발생한 화재층에 구비된 제어부(130)에 전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기동신호(S2)는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 수신을 시작하고, 수신된 압력값에 따라 즉각적으로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계기(140)가 화재가 난 건물의 화재층에 구비된 급기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수신한 제어부(130)가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수신한 제어부(130)는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1압력 이하이면, 즉각적으로 상기 제1 개폐부(110)를 개방하고, 제2압력 이하이면, 제2 개폐부(12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화재층에 유효한 방연풍속이 이루어지도록 풍속을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층에 설정된 차압값에 따라 급기 댐퍼(100)를 제어함으로써, 대피자에게 대피로를 제공할 수 있는 댐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압력은 상기 제2 압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압력은 제1 개폐부 동작 차압 조절 설정값(Ps)일 수 있고, 일례로 50Pa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압력은 제2 개폐부 동작 차압설정값(Po)일 수 있고, 일례로 20~30Pa의 값일 수 있다.4 and 5, the second starting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provided in the fir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and the second starting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that receives the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tarts receiving pressure values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immediately driv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120) according to the received pressure values. To describe in more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140 transmits the second start signal (S2)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the fire floor of a building where a fire occurs. And, the control unit 130, which has received the second start signal (S2), receives the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which has received the second start signal S2, immediately opens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10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and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the control unit 130 immediately opens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110. ,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opened. This is to preferentially supply wind speed so that an effective smoke-reducing wind speed is achieved in the fire floo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damper 100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value set in the fire floor, a damper system is provided that can provide an escape route to evacue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and the first pressure may be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operation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et value (Ps), for example, a value of 50 Pa, and the second pressure may be It may be the second switch operation differential pressure set value (Po), and for example, may be a value of 20 to 30 Pa.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제1 및 2 기동신호(S1, 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측정된 압력이 제3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폐쇄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제연 구역을 일정 범위 내의 압력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화재층의 출입문 열림이나, 제2 개폐부(120)의 개방으로부터 적정량 이상의 풍량 유입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폐쇄함으로써, 제연 구역이 일정 이내의 압력을 유지하여 최적의 제연 설비 효과를 구현하도록 하고, 급기가 과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부속실에 과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압력은, 상기 제1 압력보다 큰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 압력은 제1 개폐부 동작 차압 조절 설정값(Ps)과 제1 개폐부 범위값(Pm)을 더한 값일 수 있고, 일례로 60Pa의 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art signals S1 and S2, and when the measured pressure is higher than the third pressure, the control unit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signal to clos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This is to maintain the smoke control area at a pressure within a certain range. Since more than an appropriate amount of wind may be introduced from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e non-fire floor or the opening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 By closing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and closing portions of 110 and 120), the smoke control area maintains the pressure within a certain range to achieve optimal smoke control equipment effect, and the air supply is controlled so that it is not excessive to prevent excessive pressure from forming in the auxiliary room. At this time, the third pressur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and the third pressure is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operation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et value (Ps) and the first opening/closing unit range value (Pm). It may be a value added, and for example, it may be a value of 60Pa.

본 발명의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 중계기(140)가 화재층과 비화재층을 구분하고, 화재층의 제어부(130)에 제1 기동신호(S1)를 송신해 먼저 차압값에 따라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개방하도록 하고, 비화재층에는 제2 기동신호(S2)를 송신해 각 차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서 제1 및 2 개폐부(110, 120)의 개폐를 제어하되, 유입되는 급기량이 큰 제2 개폐부(120)의 개폐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대기한 후에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화재층과 비화재층의 급기 댐퍼가 서로 다르게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화재층의 급기 댐퍼(100)로 외기를 우선적으로 공급한 후에 비화재층에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어, 복수의 층의 출입문이 동시에 개방되더라도 화재 층에 방연풍속을 위한 보충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ir supply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140 distinguishes the fire floor and the non-fire floor, and transmits the first start signal (S1)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fire floor to first and 2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110, 120) are opened, and the second start signal (S2) is transmitted to the non-fire floo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s (110, 120)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measured through each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However,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with a large amount of air supply to operate after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ir supply dampers of the fire floor and the non-fire floor can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ly, the outside air can be supplied preferentially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100 on the fire floor and then distributed and supplied to the non-fire floor, so that even if the doors of multiple floors are opened at the same time, the system is designed to ensure that there is no shortage of supplementary air for smoke prevention on the fire fl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댐퍼 시스템은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상기 급기 댐퍼(100)가 상기한 특징을 가지는 온도센서(15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50)는 측정한 온도를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140)가 건물 내의 화재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각 상기 급기 댐퍼(100)에 구비되는 상기 온도센서(15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50)는 실시간 또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을 기준으로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건물에 화재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전층에 상기 제1 기동신호(S1)을 전달하고, 상기 화재층에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전달하여 상기 급기 댐퍼(10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 기동신호(S2)를 전달받은 제어부(130)는 상기 차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의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작동하며, 특히 상기 제2 개폐부(120)의 작동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온도센서(150)는 상기 중계기(140)의 신호에 의해 작동을 시작하며, 측정한 온도를 상기 제어부(13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30)에수신된 온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해당 구역에 화재가 댐퍼가 설치된 부속실까지 전개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중계기(140)는 해당 층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층의 상기 제어부(130)에 제1 및 2 개폐부(110, 120) 폐쇄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급기 댐퍼(100)의 개폐부를 모두 폐쇄시켜서 상기 급기 댐퍼(100)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함으로써 화재층의 화재 확산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each floor, and a temperature sensor 150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the temperature sensor ( 15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repeater 140 detects a fire signal in a building, the repeater 14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temperature sensor 150 provided in each air supply damper 1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50 )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temperature in real time or based on a preset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signal occurs in a building, the repeater 140 transmits the first startup signal (S1) to the entire floor and the second startup signal (S2) to the fire floor. The air supply damper 100 is controll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which receives the second start signal (S2), quickly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ressure value measured through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in particular, th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120 can be quickly controlled. Afterwards, the temperature sensor 150 starts operating by a signal from the repeater 140, transmi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130, and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30 is above a certain standard. In this case, it is recognized that the fire in the area has spread to the auxiliary room where the damper is installed, and the repeater 140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loor, and send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to the control unit 130 on the floor. ) By transmitting a closing signal, all openings and closing portions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are closed to block external air flowing in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100,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in the fire layer.

도 3 및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급기 댐퍼(100)는 댐퍼 주변에 화재가 확산 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댐퍼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50)는 측정한 온도를 제어부(13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150)는 상기 하우징(101)이 설치되는 부속실이나 계단실과 같은 제연구역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하우징(101) 내에 내장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130)와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1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온도센서(150)는 상기 하우징(101)에 내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101)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온도센서(150)가 상기 하우징(101)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50)가 상기 하우징(101)으로부터 아이솔레이션 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는 것과 같이 기밀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온도센서(150)가 상기 하우징(10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상기 급기 댐퍼(100)가 구비된 장소의 온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nd 6, the air supply dam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50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damper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spread around the damper. ,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control unit 130.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1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manufacturing area such as an auxiliary room or staircase where the housing 101 is installed, 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t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1, and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temperature sensors 150 as nee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built into the housing 101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1, so that the temperature sensor 150 )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directly contact the housing 101.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sensor 150 may be formed in an airtight state such that it is provided inside a case made of a material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it can be isolated from the housing 101.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more objectiv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air supply damper 100 is installed, rather than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101.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50)로 부터 전달받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150)가 측정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가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50)가 감지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제연 구역에 화재가 번진 것으로 인식하여, 급기로 인하여 화염이 더욱 커지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기준 시간동안 높아진 온도의 상승률을 계산하는 것으로 화재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기준 온도 이상이면 화재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화재에 의해 상기 제어부(130)가 화재감지센서로 부터 오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온도센서(150)를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신속하게 조치하여 화재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50. The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temperature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You ca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remains above the reference temperature for a reference time,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at the fire has spread to the smoke control area, and the flame further increases due to the supply air.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110 and 120 are closed so as not to become larg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re by calculating the rate of increase in temperature during a reference time, or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fire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Accordingly, even if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fals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due to a fi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ir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50 and take prompt ac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또한, 본 발명의 급기 댐퍼(100)는 적외선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카메라는 촬영 영상을 소방 관제센터, 관리실 등의 외부 장소로 전송하여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 댐퍼(100)가 온도센서(1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50)가 측정하는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온도센서(150)가 측정한 온도가 화재 전개에 의한 온도인지,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한 온도인지를 파악한 후 상기 급기 댐퍼(100)를 작동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dam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amera, and the infrared camera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confirm captured images to an external location such as a fire control center or management office. At this time, when the air supply damper 10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50, the control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infrared camera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This can be done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s the temperature due to fire development or other factors through the image captured by the infrared camera, and then operating the air supply damper 100.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ccurate control.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동 차압 급기 댐퍼(100)(이하 '급기 댐퍼(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건물의 자동 차압 급기 댐퍼(100) 시스템(이하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층을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취입구(11) 및 타측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2)를 포함하는 풍도(10), 상기 풍도(10)와 연결되며 각 층의 부속실에 구비되는 상기한 특징을 갖는 상기 급기 댐퍼(100) 및 건물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 및 제어부(130)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각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100)를 제어하는 중계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140)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층 및 비화재층을 구분하고, 화재층의 상기 제어부(130)에 상기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방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상기 건물은, 한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급기 댐퍼(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100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supply damper 100') of a build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loors is provided using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supply damp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mper system'), the plurality of floo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o communicat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ith an intake port 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on one side and an outlet port 1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side. ) including a wind pipe 10, the air supply damper 100 connected to the wind pipe 10 and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provided in an annex of each floor, and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a control unit 130 provided in the building and a repeater 14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controls each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s 100, and the repeater 140 distinguishes a fire floor and a non-fire floor through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detects a f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ing signa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floor. At this time, the building formed of multiple floors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t least one air supply damper 100 on one floor.

풍도(10)는 건물의 복수의 층을 모두 연통하는 통로인 것으로, 상기 건물의 일측에서 상기 건물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도(10)는 건물 외부의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풍도(10)는 각 층에 형성된 계단실, 부속실 등과 같은 제연구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급기 댐퍼(100)와 모두 연결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외기가 각 층의 상기 급기 댐퍼(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way 10 is a passage that connects all of the plurality of floors of the build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uilding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he air conduit 1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rom outside the building flows into the building, and the air conduit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ir supply dampers 100 arranged in smoke control areas such as staircases and auxiliary rooms formed on each floor. ,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sid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can move to the air supply damper 100 on each floor.

상기 풍도(10)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취입구(11)를 포함하며, 상기 취입구(11)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풍도(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도(10)는 타측에 배출구(12)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12)는 상기 풍도(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취입구(11)는 건물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취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풍도(10)에 의해 상기 건물의 최하층부터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배출구(12)는 건물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풍도(10)의 내부의 공기가 건물의 최상층을 통과한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wind pipe 10 includes an intake port 11 on one sid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and the air intake port 11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wind pipe 10. In addition, the air vent 10 includes an outlet 12 on the other side, and the outlet 12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air vent 10 to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take 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external air flowing in from the air intake 11 moves upward from the lowest floor of the building by the wind blowing 10. It can be formed to move sequentially, and the outlet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air inside the wind chime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top floor of the building. .

또한, 상기 풍도(10)는 상기 취입구(11) 내부에 송풍기(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3)는 상기 취입구(11)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풍도(10) 내를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바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풍도(10)는 상기 취입구(11)와 최저층에 배치되는 상기 급기 댐퍼(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기(13)가 상기 배출구(12) 측으로 바람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취입구(11)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풍도(10)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며 각 층의 상기 급기 댐퍼(100)에 외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blower 10 may include a blower 13 inside the air intake port 11, and the blower 13 allows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air intake port 11 to flow more smoothly into the air blower 13. (10)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wind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so that it can flow insid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blower 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11 and the air supply damper 100 disposed on the lowest floor, and the blower 13 blows air toward the outlet 12. By forming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1 can be formed to move smoothly to the upper side of the wind pipe 10 and supply outside air to the air supply damper 100 of each floor.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건물에 발생한 화재의 연기가 날씨나 건물의 구조와 같은 상황에 의해서 상기 취입구(11)에 화재연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풍도(10) 내로 유입된 화재 연기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여, 유입된 화재 연기가 각 층의 급기 댐퍼(100)를 통해 확산되지 않도록 본 발명의 댐퍼 시스템은 제1 연기센서(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기센서(21)는 상기 풍도(10) 내에 배치되되, 상기 취입구(11)가 형성된 측에서 상기 취입구(11)와 최인접한 상기 급기 댐퍼(100)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중계기(14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연기센서(21)가 상기 취입구(11)와 최인접한 상기 급기 댐퍼(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풍도(10)에 유입되는 오염 공기를 보다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기센서(21)는 풍도(10) 내로 유입되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정 이상 농도의 연기를 감지하면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풍도(10) 내 유입된 화재 연기에 의해 상기 중계기(140)가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건물의 모든 층에 배치된 상기 급기 댐퍼(100)의 제어부(130)에 제1 및 2 개폐부(110, 120) 폐쇄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풍도(10) 내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인지하면 각 급기 댐퍼(100)의 개폐부를 모두 폐쇄함으로써 풍도(10) 내의 오염된 공기가 각 층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smoke from a fire occurring in a building may flow into the intake port 11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weather or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thus the smoke flowing into the wind tunnel 10 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moke sensor 21 to quickly recognize fire smoke and prevent the introduced fire smoke from spreading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100 on each floor. The first smoke sensor 21 is disposed within the wind pipe 10, and is installed near the air supply damper 100 closest to the air inlet 11 on the side where the air inlet 11 is formed, so that the repe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140), and the first smoke sensor (21) is disposed between the air inlet (11) and the nearest air supply damper (100), so that the pollution flowing into the wind pipe (10) It can be configured to recognize air more quickly. The first smoke sensor 21 is provided to detect smoke flowing into the wind pipe 10, and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moke detection signal when it detects smoke of a concentration above a certain level, and flows into the wind pipe 10. When the repeater 140 receives a smoke detection signal due to the generated fire smoke, the repeater 140 transmits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to the control unit 130 of the air supply damper 100 arranged on all floors of the building. , 12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losure signal. Accordingly, when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wind tunnel 10 is recognized, all the openings and closing parts of each air supply damper 100 are closed, thereby preventing the contaminated air in the wind pipe 10 from spreading to each floor.

또한,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댐퍼 시스템이 상기 취입구(11)와 상기 급기 댐퍼(100) 사이에 송풍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댐퍼 시스템은 제2 연기센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기센서(22)는 연기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풍도(10) 내에 배치되되, 상기 취입구(11)와 상기 송풍기(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중계기(1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정 이상 농도의 연기를 감지하면 연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기센서(22)는 상기 취입구(11)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송풍기(13)에 의해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취입구(11)와 상기 송풍기(13) 사이에 위치하여 화재 연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기센서(22)는 연기를 감지하면 연기 감지 신호를 상기 중계기(140)에 전달하며, 상기 중계기(140)가 상기 제2 연기센서(22)의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송풍기(13)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송풍기(13)의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풍도(10) 내에 유입된 화재 연기의 확산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when the damp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13 between the intake port 11 and the air supply damper 100, the damper system has a second It may further include a smoke sensor (22). The second smoke sensor 22 detects smoke and is disposed within the wind pipe 10,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take port 11 and the blower 13,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repeater 14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and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moke detection signal when detecting smoke of a concentration above a certain level. The second smoke sensor 22 is designed to prevent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1 from rapidly spreading by the blower 13, and is used between the intake port 11 and the blower 13. It is located in and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fire smoke. When the second smoke sensor 22 detects smoke, it transmits a smoke detection signal to the repeater 140. When the repeater 140 receives the smo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moke sensor 22, the blower It is characterized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13),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smoke introduced into the wind pipe (10)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3).

더불어, 상기 댐퍼 시스템이 제1 및 2 연기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기센서(22)에 의해 상기 풍도(10) 내로 유입된 오염 연기를 먼저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140)가 상기 제2 연기센서(22)의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송풍기(13)의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오염 연기가 풍도(10)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1차적으로 예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3)의 작동이 중지된 이후에도, 상기 송풍기(13)와 상기 급기 댐퍼(10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연기센서(21)에 의해 상기 중계기(140)가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140)는 모든 층에 구비되는 상기 급기 댐퍼(100)에 제1 및 2 개폐부(110, 120) 차단 신호를 전달하여, 급기 댐퍼(100)가 풍도(10) 내에 오염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지 않도록 작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mper system may include both first and second smoke sensors. At this time, the polluted smoke flowing into the wind pipe 10 can be first recognized by the second smoke sensor 22, and when the repeater 140 receives the smo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moke sensor 22, , It can be configured to primarily prevent the rapid spread of polluted smoke into the wind pipe 10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3. Even after the blower 13 stops operating, if the repeater 140 receives a smoke detection signal by the first smoke sensor 21 disposed between the blower 13 and the air supply damper 100, The repeater 140 transmits a blocking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110 and 120 to the air supply damper 100 provided on all floors, so that the air supply damper 100 directs the contaminated air within the wind tunnel 10 into the indoor space. It can be operated to prevent it from entering.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 : 풍도
11 : 취입구 12 : 배출구
21 : 제1 연기센서 22 : 제2 연기센서
13 : 송풍기
100 : 자동 차압 급기 댐퍼
101 : 하우징 101a : 통공부
110 : 제1 개폐부 120 : 제2 개폐부
130 : 제어부 140 : 중계기
150 : 온도센서
10: abundance
11: intake port 12: outlet
21: first smoke sensor 22: second smoke sensor
13: blower
100: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101: Housing 101a: Open study unit
110: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130: Control unit 140: Repeater
150: Temperature sensor

Claims (13)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건물의 각 층에 독립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각 층의 부속실로 공급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통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통공부의 소정 면적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상기 제1개폐부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부의 일면적을 개폐하는 제2 개폐부;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각각의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해당 층에 대한 건물의 실내와 부속실의 차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측정한 차압값을 전달하는 차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건물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가 발생한 층을 구별하고, 각 층의 상기 제어부로 구분된 기동 신호를 각각 전달하여 각 층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기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방연을 위한 외부 공기의 공급을 화재가 발생한 층에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동 신호를 구분하여 건물 전체의 층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제1 기동신호를 전달하고, 화재가 발생한 층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제2 기동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되, 수신된 압력값이 제1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1 개폐부를 개방하고, 수신된 압력값이 제2 압력 이하이면, 일정 시간 이후에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재수신하며,
이때, 상기 제1 압력은 상기 제2 압력 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In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which is provided with an independent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each floor of a building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loors, and supplies external air to an annex of each floor through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 housing including a ven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room;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opens and clos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hrough hole;
a second opening/closing part form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and opening/closing one area of the through hol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control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the auxiliary room for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ransmits the measured differential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and
A repeater that receives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of the building, distinguishes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ransmits the divided start signals to the control unit of each floor to control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each floor the same or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cludes,
When the repeater receives a fire signal from a fire detection sensor, the repeater distinguishes the start signal to preferentially supply external air for smoke prevention to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and first starts the operation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on all floors of the building. transmitt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a second start signal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s,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ressure valu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when receiving the first start signal, and if the received pressure value is lower than the first pressure, open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the received pressure value is lower than the second pressure. If so, the pressure value is re-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t this time, the first pressure is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value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기동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에 전원을 인가하며 개폐부의 작동을 준비하고,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압력값을 수신하며, 수신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start signals,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to prepare for operation of the openings and closing units, a pressure value is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ar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ceived pressure valu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air damper system characterized by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이후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재수신한 압력 값이 상기 제2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2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if the pressure value re-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ssure,
Open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1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1 개폐부를 개방하고,
제2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2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startup signal,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ssur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ned,
If the pressure is below the second pressure, opening the second opening/closing unit.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하는 압력값이 제3압력 이상이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폐쇄하고, 이때 상기 제3 압력은 제1 압력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control unit, if the pressure value received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third pressur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closing units is closed, and at this time, the third pressure is a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에 온도값을 송신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기준 시간 동안 감지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및 2 개폐부를 폐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during the reference time is,
Clos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when the temperature is above the standard temperatur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깊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housing.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이미지 센서를 작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further includes an image senso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mage sensor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은,
상기 건물의 일측에서 상기 복수의 층을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취입구 및 타측에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풍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도는 각 층의 부속실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loors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ncludes an air intake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on one sid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side,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flow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provided in an annex of each floo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 내에 배치되되, 최저층에 구비되는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연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1 연기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각 층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제1 및 2 개폐부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moke sensor disposed within the wind tunnel and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provided on the lowest floo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the repeater,
The repeater,
Upon receiving a smok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smoke sensor,
Transmitt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closing unit closing signals to the control unit located on each floor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 내에서, 상기 취입구와 최저층의 상기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풍기; 및,
상기 풍도 내에서, 상기 취입구와 상기 송풍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중계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연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제2 연기센서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급기 댐퍼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A blower disposed within the airflow between the intake port and the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on the lowest floo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repeater;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smoke sensor, which is provided within the airflow between the air intake and the blow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the repeater,
The repeater,
When receiving a smok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moke sens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A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air supply damper system featuring a.
KR1020210108622A 2020-11-19 2021-08-18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Active KR1026222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90 2020-11-19
KR20200155390 2020-11-19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902A KR20220068902A (en) 2022-05-26
KR102622256B1 true KR102622256B1 (en) 2024-01-09
KR102622256B9 KR102622256B9 (en) 2025-03-31

Family

ID=8180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22A Active KR102622256B1 (en) 2020-11-19 2021-08-18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2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985B1 (en) * 2023-01-13 2023-05-26 김채은 Smoke control dampe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96313B1 (en) * 2023-05-10 2023-10-30 정창도 Smart Communication-Controlled Variable Air Volume System for Smoke Diffusion Prevention
CN117526140B (en) * 2024-01-03 2024-03-29 伊诺德电力集团有限公司 Low-voltage switch cabinet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753A (en) * 2003-04-04 2004-11-11 Kajima Corp Fire and smoke compartment formation equipment
KR200405830Y1 (en) * 2005-10-12 2006-01-11 (주) 준에어텍 Automated Damper for Temperature Sensing in Fires
KR102113241B1 (en) * 2019-05-29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79B1 (en) 2010-05-11 2013-04-23 (주)미도이앤씨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KR101453485B1 (en) * 2012-06-05 2014-10-22 이동명 Air supply damper for arithmetic and control unit of pressure-air fl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753A (en) * 2003-04-04 2004-11-11 Kajima Corp Fire and smoke compartment formation equipment
KR200405830Y1 (en) * 2005-10-12 2006-01-11 (주) 준에어텍 Automated Damper for Temperature Sensing in Fires
KR102113241B1 (en) * 2019-05-29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256B9 (en) 2025-03-31
KR20220068902A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256B1 (e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KR101863516B1 (en)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4944216A (en) Building emergency exhaust fan system
KR102113241B1 (en)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10281B1 (en)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KR102082664B1 (en)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KR101242179B1 (en)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KR101934034B1 (en)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KR20170088537A (en) Smoke Control Facility with Certain Smoke-Protection Wind Velocity
KR101969947B1 (en) systems for smoke control of high rise building
KR1024848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oke of high-rise building
KR20210019251A (en) Complex air supplying damper and smoke control system of high-rise building comprising the same
KR100932628B1 (en) How to smoke in high-rise buildings
KR101529463B1 (en)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KR20180109269A (en) Apparatus for removing smoke of construction
KR20110077895A (en) Forced exhaust system in case of fire
KR102645958B1 (en) Smart smoke controlling system based on inverter air blower
KR101624547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house
KR200432485Y1 (en) Airflow overpressure control device in building ventilation area.
KR20130006253U (en) Smoke System Damper
KR200419718Y1 (en) Blowing line wind pressur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building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KR102413971B1 (en)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2645959B1 (en) Smart smoke controlling system based on complex damper
KR200393245Y1 (en)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KR102080793B1 (en) Lever damper for smoke control of building and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