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0281B1 -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 Google Patents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81B1
KR101610281B1 KR1020140076693A KR20140076693A KR101610281B1 KR 101610281 B1 KR101610281 B1 KR 101610281B1 KR 1020140076693 A KR1020140076693 A KR 1020140076693A KR 20140076693 A KR20140076693 A KR 20140076693A KR 101610281 B1 KR101610281 B1 KR 10161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moke
mode
differential pressur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6294A (en
Inventor
이동명
Original Assignee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미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대학산학협력단, (주)미도이앤씨 filed Critical 경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81B1/en
Publication of KR2015014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8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연기감지기; 상기 열/연기감지기와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연기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를 수신기를 통해 인가받아 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중댐퍼 컨트롤러;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화재모드 또는 피난모드에 따라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건출물 내에 방화구획된 공간은 제연구역으로부터 비 화재층으로 침입, 확산되는 연기이동을 막고,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탄력성을 부여하고, 화기나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역류, 침입 확산되는 것을 차단, 제어하여 피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화할 수 있으며, 방재성능의 향상과 방화구획 활요의 극대화, 소방관의 소화/구조활동의 극대화 및 소방장재시스템의 기술적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 re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heat / smoke detector; A dual damper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sensor through a receiver and controlling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space through a duct; A blow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for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area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And a damp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and adjusts the amount of air supplied according to the fire mode or the evacuation mode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by the signal of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The space is provided with a dual mode elasticity for smok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smelting zone and prevents the smoke movement from entering the non-smoking zone from the smoking zon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evacuation, to minimiz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to improve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o maximize the fire fighting compartment capacity, to maximize the fire fighting / digestion activities of the firefighters, And the like.

Description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ir damper,

본 발명은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시 건출물 내에 피난 및 인명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제연구역(특별피난계단, 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에 균일한 차압을 유지시켜 화재실로부터 화기가 다른 공간으로 옮겨가 화재구역이 확대되거나 화재로부터 발생된 연기(유도가스 등)가 다른 구역으로 침입,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난안정성 확보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연구역의 차압의 변화에 따라 즉, 화재 또는 피난모드를 판단하고, 이들 모드에 따라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moke in a fire extinguishing area (special evacuation staircase, evacuation stairca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pressure difference so that the fire is transferred from the fire room to another space and the fire area is enlarged or the smoke (induction gas, etc.) generated from the fire is prevented from entering or spreading to other area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ir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for judging a fire or evacuation mode according to a change in differential pressure in a ventilation zone and adjusting the air volum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in accordance with these modes will be.

건물의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인명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로 작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기는 연소가스가 유통과정에서 혼합되는 공기에 의해 희석된 것으로 화염이나 연소 직후의 가스보다 위험도는 낮지만, 연기가 인명위험의 가장 중대한 원인이 되는 것은 화염에 비해 연기가 건물 내에서 확산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이다. The fundamental reason that smoke from a building's fire acts as a very dangerous factor to safety of life is that the smoke is diluted by the air mixed with the combustion process and is less dangerous than the gas immediately after the flame or combustion,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human life risk is the rapid rate of smoke spreading in buildings compared to flames.

특히, 초고층 건축물은 불특정 다수인의 사용증가에 따라 방화나 테러와 같은 인위적인 위험유발인자가 증가하게 되고, 화재 시 초고층 건물의 특성인 수직공간의 확대에 따른 피난시간 증가와 급속한 연기의 확산으로 대규모 인명피해와 제간피해가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unspecified large number of people increases an artificial risk factor such as fire and terrorism, and the increase of evacuation time due to the expansion of vertical space, There is a considerable increase in casualties and injuries.

건축물 화재에서 발생되는 화열 및 고온가스의 이동, 연기의 확산 등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방재대책(제어수단과 기술적 대책)과 건축물 화재에서 인명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축법과 소방법에서는 지하 3층 지상 11층 이상의 건축물 내 방화구획된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과 겸용하는 것 또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을 포함하는 부속실에 재연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protect the fire and heat transfer from buildings and the spread of smoke and the spread of smoke, fire prevention measures (control measures and technological measures) and building fire safety regulations, The staircase of the special escape stairway that is divided into the above-mentioned buildings, the emergency staircase of the emergency staircase, or the auxiliary stateroom which includes the platform of the emergency staircase.

소방법에서는 화재 시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연구역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압력을 화재실보다 높은 차압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재실자의 피난으로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될 때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침투, 확산하지 못하도록 일정 방연퐁속으로 제연구역에는 일정 차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피난 시에도 화재실로부터 제연구역 및 다른 공간으로 연기가 침투, 확산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The Fire Service Act stipulates that the pressure of the ventilation area should be kept higher than that of the fire room by supplying outdoor fresh air to the ventilation area when the doors of the ventilation area are closed during the fire. Also,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difference in the ventilation area with a constant fireproofing to prevent the smoke from penetrating into other spaces when the entrance door of the ventilation area is temporarily opened due to the evacuation of the occupant. It does not allow smoke to penetrate or spread.

제연구역의 풍량을 조절하는 기존 제연설비의 풍량조절댐퍼(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시 출입문이 닫힌 상태나 피난 시 출입의 개방되는 상태에서도 균일한 풍량을 공급하기 때문에 제연설비의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제연구역(200)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만 허용 차압을 설정하기 때문에 풍량조절댐퍼(100)의 개구율을 고정 사용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ir-conditioner damper 100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in the ventilation space supplies a uniform air volume even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s and the open / Performance is not satisfied. That is, since the permissible differential pressure is set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of the smoke-inducing section 200 are closed, the aperture ratio of the air-volume control damper 100 is fixed.

따라서 송풍기(30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제연구역의 허용 차압이 너무 과대(100Pa 이상)하게 형성되거나 상당히 부족(7~10Pa 정도)하게 형성되고 있고, 또한 초기에 설계된 송풍기(300)의 풍량을 100% 사용하지 못하고 60~70% 정도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시 재실자의 피난에 의한 제연구역 출입문의 일시적인 개방에 따라 화재층의 제연구역에 차압 형성을 위해 방연풍속을 형성시키면 방연 풍속으로 인해 특히 비 개방층의 제연구역에는 차압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lower 300, the permissible pressure difference in the ventilation zone is too large (100 Pa or more) or extremely low (7 to 10 Pa), and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300 % It is used only about 60 ~ 70% because it is not used. Therefore, if a smoke-free wind speed is formed in the ventilation area of the fire layer in order to form a differential pressure due to the temporary opening of the smoke- In most cases, no differential pressure is formed in the ventilation zone of the layer.

이 같이 제연설비의 성능이 현격히 떨어지면 화재층의 연기가 비 화재층으로 침입, 확산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가중시키게 된다. If the performance of the ventilation fac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smoke of the fire layer penetrates into and spreads to the non-fire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life and property damag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출물 화재에서 연기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고, 첨단화, 고층화 및 다양화되어지고 있는 건축물에서 화재 시 인명안전과 기술적인 대책마련을 위해 기존 재연설비의 성능을 개선하지 않으면 안 되며, 기존 재연설비의 성능개선을 위해 풍량 조절 댐퍼의 문제점 개선과 기술적인 대책이 무엇보다 절실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urgent to take measures against smoke in open fire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order to safeguard human life and technological measures in case of fire in a building which is becoming high-tech, high-rise and divers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reheating facility, problems of the airflow control damper and technical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또한,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본 출원인이 출원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2928호의 복합댐퍼는 사각후레임 내측에 다수개의 개폐날개를 가지며, 상기 다수개의 개폐날개의 양단에는 지지축으로 가지며, 상기 각각의 지지축은 사각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날개를 회전 개폐토록 하는 댐퍼에 있어서,The composite damp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102928 has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blades inside a square frame, and has a supporting shaft at both ends of the opening / closing blades, Wherein each of the support shafts is rotatably coupled to a square fram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blades,

상기 다수개의 개폐날개는 자동작동개폐날개와 수동작동개폐날개로 구분되며, 상기 자동작동개폐날개의 지지축은 제1링크기구로 동시에 작동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동작동개폐날개의 지지축은 제2, 제3링크기구로 동시에 작동되도록 연결되며, Wherein the support shaft of the automatic operation opening and closing blade is connected to be simultaneously operated by the first link mechanism and the support shaft of the manual operation opening and closing bla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3 link mechanism,

상기 제1링크기구는 자동개폐장치로 연결하며, 상기 제2, 제3링크기구는 각각의 수동개폐기로 연결하여, 사각후레임 내측의 다수개의 개폐날개 중 일부분인 자동작동개폐날개는 자동개폐되며, 사가후레임 다수개의 개폐날개 중 일부분인 수동작동개폐날개는 수동개폐되도록 구성되었다.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k mechanis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and the second and third link mechanisms are connected by respective manual switches, and the automatic operation opening and closing wings, which are a part of the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wings on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The manual operating opening and closing wings, which are part of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wings, are configured to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송풍기 앞에 설치되는 수동작동개폐날개는 송풍기의 풍향에 따라 그 개폐 정도가 달리 오픈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송풍기의 압력에 따라 그 개폐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송풍기의 송풍이 강하면 완전개폐가 이루어지나 송풍기의 송풍이 강하지 않으면 수동작동개폐날개 오픈되지 못하여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못하여 제연구역에 차압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manually operated opening and closing blade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lower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manually operated opening and closing blades is varied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of the blower, but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thereof can not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blower. That is, when the air blowing is strong, the air is completely opened and closed. However, if the air blowing force of the blowing fan is not strong, the manually operated opening and closing blades can not be opened and air can not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또한 상기 수동작동개폐장치는 제연구역에서 출입문이 오픈되어 제연구역의 차압이 빠지는 경우 차압이 상실된 제연구역에 적정량의 공기를 제공하지 못하는데, 이는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만 허용 차압을 설정하기 때문에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균일한 풍량을 공급하므로 제연구역의 차압이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ventilation area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area is lost, the manual operation opening / closing device can not provide a proper amount of air to the ventilation area where the pressure difference is lost. A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can not be form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2928호 (2012.01.10.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102928 (Notice of Jan. 10, 2012)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시 (초)고층 건축물의 연기 및 화열에 대한 대책의 시급성을 감안하고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특히, 기존 재연설비의 문제점을 개선시켜 소방법(NFSC501A) 규정에 충족되게 하며,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침입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난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재연설비에 적용하여 화재 시(화재모드, 출입문 닫힘)에는 댐퍼를 약 50~60%만 개방하여 제연구역의 차압을 유지하고 피난 시(피난모드, 출입문 열림)에는 댐퍼를 100% 개방하여 개방층의 방연풍속 유지 및 비개방층의 제연구역 차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풍량을 공급하여 제연설비 성능(허용차압, 방연풍속 유지 등)의 극대화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view of the urgency of measures against smoke and heat of fire in a high-rise building in case of fire, and in particular, NFSC501A),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is applied to the reheating facility so as to prevent the intrusion and spread of the smoke to other spaces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evacuation and to minimize damage to property and human life. , The damper is opened by about 50% to 60%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area and the damper is opened 100% when evacuation (evacuation mode, door opening) It is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ventilation equipment (allowable differential pressure, maintenance of airflow wind speed, etc.) by supplying stable air volume so as to maintain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z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연기감지기; 상기 열/연기감지기와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연기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를 수신기를 통해 인가받아 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중댐퍼 컨트롤러;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화재모드 또는 피난모드에 따라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mode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comprising: a heat / smoke detector for detecting a fire or smoke; A re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heat / smoke detector; A dual damper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sensor through a receiver and controlling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space through a duct; A blow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for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area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And a damp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and adjusts the amount of air su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fire mode or the evacuation mode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by the signal of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본 발명의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는 제연구역의 차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여 댐퍼의 날개를 각도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제공한다.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as a fire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detected to be 40 Pa to 60 Pa in the stat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is maintained and recognizes the damper wing as the evacuation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 Pa. A dual mode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is provided which adjusts the air flow rate by adjusting the angle.

본 발명의 상기 댐퍼는 상기 건물에 설치되며,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댐퍼;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제연구역에 설치되며, 제연구역의 차압 상태 및 제연구성으로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차압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제공한다. The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ncludes an air supply damp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duct to supply the air supplied by driving the blower to the smoke inducing section.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which is connected to the duct and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zone and controls the supply of air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state of the ventilation zone and the ventilation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상기 댐퍼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차압은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는 방연풍속은 0.5 ~ 0.7m/s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제공한다.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through the da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gnized as a fire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detected to be 40 Pa to 60 Pa.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to 40 Pa or less,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recognized as the evacuation mode, Wherein air is supplied at a smoke wind speed of 0.5 to 0.7 m / s.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은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은 건물의 임의의 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연기감지기에 의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S10 과정과; 상기 열/연기감지기에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한 신호를 방재센터 수신기로 인가하고, 수신기로 인가한 신호를 이중댐퍼 컨트롤러로 신호를 인가하여 송풍기 및 차압댐퍼를 구동시키는 S20 과정;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에 급기팬을 통해 차압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S30 과정;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차압이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하는 S40 과정; 상기 제연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한 값에 의해 화재모드 상태인지를 이중댐퍼 컨트롤러에서 파악하는 S50 과정; 상기 S50과정에서 차압이 일정 범위 사이에 위치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그 모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S60 과정; 상기 S50과정에서 제연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차압 이하로 떨어졌는지 판단하고, 차압이 일정 차압 이하로 떨어지면 이중댐퍼 컨트롤러에서 피난모드로 인식하는 S70 과정; 상기 S60 단계에서 피난모드로 인식되면, 피난모드가 감지된 제연구역에 일정 차압으로 유지되도록 댐퍼와 급기팬을 조절하는 S80 과정; 상기 급기댐퍼와 송풍기 및 차압댐퍼를 통해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열 또는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급기 유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S60 과정을 행하는 제S90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includes a step S10 of detecting a fire or a smoke by a heat / and; A step S20 of applying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to a disaster control center receiver and driving a blower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by applying a signal to a receiver by a double damper controller; A step S30 of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zon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as to form a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the air supply fan;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zone so as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Measuring whether the pressure difference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through a pressure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is in a fire mode by the measured value in the dual damper con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step S50, recognizing the mode as a fire mode and continuing the mod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has fallen below a certain differential pressure by the air supplied to the smoke inducing zone, and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a certain differential pressure, the dual damper controller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as an evacuation mod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evacuation mode is sensed, adjusting the damper and the supply fan to maintain a constant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where the evacuation mode is sensed; And maintaining the supply air supply state so as to prevent the spread of heat or smoke by supplying air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the blowe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and performing the step S90. .

본 발명의 상기 S50 과정에서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이 40Pa ~ 60Pa 사이에 위치하면, 이중댐퍼 컨트롤러에 화재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is recognized as a fire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y the air in the step S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40 Pa and 60 Pa.

본 발명의 상기 S70 과정에서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이중댐퍼 컨트롤러에서 피난모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wherein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recognizes an evacuation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y air in step S70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s below 40 Pa.

본 발명의 상기 피난모드에서 제연구역의 차압은 28Pa 내외의 차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evacu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difference of about 28 Pa is maintained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smoke induction zone.

본 발명의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 제연구역의 방연풍속은 0.5 ~ 0.7m/s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for smok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air is supplied at 0.5 to 0.7 m / s in the wind speed of the smoke inducing zone in the evacuation mode.

본 발명은 건출물 내에 방화구획된 공간은 제연구역으로부터 비 화재층으로 침입, 확산되는 연기이동을 막고,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탄력성을 부여하고, 화기나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역류, 침입 확산되는 것을 차단, 제어하여 피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화할 수 있으며, 방재성능의 향상과 방화구획 활요의 극대화, 소방관의 소화/구조활동의 극대화 및 소방장재시스템의 기술적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mode elasticity control for smoke control which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smelting zone by preventing the smoke movement that intrudes and diffuses from the smoke-free zone into the smoke-free z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flow and the intrusion and spread of the gas to other spaces,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evacuation, minimizing the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improving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maximizing the fire fighting compartment capacity, Maximization and technical flexibility of firefighting equipment system.

도 1은 기존의 제연설비 계통도 및 풍량조절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적용한 재연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모드 금기댐퍼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mokestack system diagram and a configuration of an airflow control damper.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for smoke control.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dual-mode tab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figuration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specific terminology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inology may be changed in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기존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아래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와 연관시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ual mode air damper and a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를 적용한 재연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모드 금기댐퍼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reconditioning system using a dual mode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ual mode air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ual mode anti-corrosion damper.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연기감지기(500)와, 상기 열/연기감지기(500)와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800)와, 상기 수신기(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연기감지기(500)에서 감지한 신호를 수신기를 통해 인가받아 덕트(700)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와,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연구역(20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00)와, 및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에서 공급하는 공기를 화재모드(A) 또는 피난모드(B)에 따라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댐퍼(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dual mode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 smoke detector 500 for detecting a fire or smoke or a heat, a smoke / smoke detector 500, A receiver 8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er 800 to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500 and a receiver 800 connected to the receiver 800 through a duct 700 to receive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A second damper controller 410-5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to control the air flow to the smoke exhaustion zone 200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by the signal of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is supplied to the air blower 300 in the fire mode A ) Or evacuation mode (B) And a damper 400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상기 댐퍼(400)는 상기 건물에 설치되며, 송풍기(30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덕트(7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와, 상기 덕트(700)와 연결되어 제연구역에 설치되며, 제연구역(200)의 차압 상태 및 제연 구성으로 공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차압댐퍼(420)를 포함한다. The damper 400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has a dual mode air damper 41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duct 700 so as to supply the air supplied by driving the blower 300 to the smoke-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420 which is connected to the duct 700 and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area and controls the differential pressure state of the ventilation zone 200 and the air supply in the ventilation configuration.

상기 차압댐퍼(420)는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420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smelting zone.

상기 댐퍼(400)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차압은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는 방연 풍속은 0.5 ~ 0.7m/s로 공기를 공급한다.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through the damper 400 is detected to be 40 Pa to 60 Pa, it is recognized as a fire mode.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 Pa,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recognized as the evacuation mode. The air flow rate is 0.5 ~ 0.7m / s.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는 제연구역의 차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여 댐퍼의 날개를 각도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한다.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as a fire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detected to be 40 Pa to 60 Pa in a stat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is maintained and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as the evacuation mode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 Pa. Adjust the airflow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wings.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하게 전원을 공급하거나 비상 전원을 인가받아 일정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와, 송풍기(300), 이중모드 급기댐퍼(410), 차압댐퍼(420), 압력센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송풍기, 이중모드 급기댐퍼(410), 차압댐퍼(420), 압력센서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구동 및 개폐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constant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400 and supplies the constant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400. The power supply unit 300 includes a dual mode damper 410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410, A dual damper 410, a pressure damper 420, and a pressure sensor via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to drive and open / close the signal, And the like.

또한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의 제어상태를 관리자의 유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which allows the control status of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to be confirmed by the administrat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ual mode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법에서 제시하는 허용 차압, 방연 풍속 등의 규정을 만족시키며 기존 풍량조절댐퍼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굴뚝효과, 압력 손실 수두 등을 포함하는 연기 이동력 및 차압, 풍량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으며, 화재시 열/연기감지기에 의해 이중모드 급기댐퍼(410)가 제연구역의 차압(△P)으로부터 이중모드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도록 도면 3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2, the dual-mode air supply damper 410 for smoke control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allowabl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wind speed of airflow as disclosed in the fire fighting method, and the chimney effect And the pressure loss head, etc., and the double-mode air supply damper 410 is controll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in case of a fire, from the differential pressure (DELTA P) Mod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so as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이중모드 급기댐퍼(410)는 도면 2에서와 같이 송풍기(300) 앞부분에 풍도와 일체되어 설치되고,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모드 급기댐퍼(410)는 제연구역(200)의 출입문(700)의 개폐에 따라 이중모드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로부터 제연구역의차압(△P)이 인지되면, 즉 차압=40Pa~110N이면 화재모드(A)로 인지하고 차압 40Pa 이하면, 피난모드(B)로 인지한다. 2,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air flow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lower 300 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3,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includes a door Mode differential damper controller 410-5 is recogniz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that is,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ΔP is in the range of 40Pa to 110N, it is recognized as the fire mode A and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40Pa or less, Mode (B).

이들 모드에 따라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의 날개(410-1)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날개(410-1)의 각도가 조절되면, 풍도 또는 덕트(700)의 면적이 조절되어 송풍기(300)에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angle of the blade 410-1 is adjusted and the area of the duct 700 is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blades 410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 To control the air flow rate.

이중모드 급기댐퍼(410)는 화재모드(A) 일 경우, 제연구역(200)의 출입문이 닫힌 상태이지만, 출인문 등의 틈새로 연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제연구역의 압력을 화재실 보다 40Pa~110N 높게 차압을 유지하도록 송풍기(300)의 풍량을 조절한다. In the case of the fire mode (A), the dual-mode air supply damper 410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s of the ventilation section 200 are closed but the pressure of the ventilation zone is set to 40 Pa to 110 N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300 is adjusted so as to maintain a high differential pressure.

이중모드 급기댐퍼(410)는 피난모드(B)일 경우, 건물의 재실자가 화재를 피해 피난을 하면서 제연구역(200)의 출입문(600)의 일시적으로 개방되게 되고, 출입문(600) 개방으로 인해 화재모드(A) 때 제연구역에 유지했던 압력(40Pa~110N)은 급속하게 0Pa로 떨어지게 된다. In the evacuation mode B,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temporarily opens the door 600 of the ventilation area 200 while escorting the occupant of the building to avoid a fire. Due to the opening of the door 600, In the fire mode (A), the pressure (40Pa ~ 110N) held in the ventilation area rapidly drops to 0Pa.

이로 인해 연기가 제연구역(200) 및 비 화재층으로 침입, 확산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연기가 다른 공간으로 침투, 확산하지 못하도록 피난층의 제연구역(200)에는 0.5~0.7m/s의 방연 풍속과 출입문 비개방층의 제연구역에는 28Pa의 차압이 유지되도록 송풍기(300)의 풍량을 조절한다.Since the smoke is likely to enter and diffuse into the smoke-inducing section 200 and the non-fire layer, the smoke-evacuating section 200 of the evacuation floor is provided with a smoking wind speed of 0.5 to 0.7 m / s And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er 300 is controlled so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28 Pa is maintained in the ventilation zone of the door non-opening layer.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10-3, 410-3a, 410-3b는 기어부를 나타낸 것으로, 링크(410-2, 410-2a, 410-2b) 및 액추에이터(410-4, 410-4a, 410-4b)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모드 급기댐퍼(410) 및 차압댐퍼(420)의 날개(410-1, 410-1a, 410-1b)의 각도를 조절한다.Reference numerals 410-3, 410-3a, and 410-3b denote gear portions. Links 410-2, 410-2a, and 410-2b and actuators 410-4 and 410-4a and 410-4b To adjust the angles of the blades 410-1, 410-1a, and 410-1b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420. [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에 따른 제어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state according to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in FIG.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은 건물의 임의의 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연기감지기(500)에 의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S10 과정을 행한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detecting a fire or smoke by a heat / smoke detector 500, .

상기 열/연기감지기(500)에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한 신호를 방재센터 수신기(800)로 인가하고, 수신기(800)로 인가한 신호를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로 신호를 인가하여 송풍기(300) 및 차압댐퍼(420)를 구동시키는 S20 과정을 행한다. The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500 is applied to the anti-distress center receiver 800 and a signal applied to the receiver 800 is applied to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420 are driven.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200)에 송풍기(300)를 통해 차압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S30 과정을 행하고, 제연구역(200)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차압이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하는 S40 과정을 행한다.(S30) in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smoke generating zone 200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as to form a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the blower 300, and air is supplied to the smoke inducing zone 200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상기 제연구역(200)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한 값에 의해 화재모드 상태인지를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서 파악하는 S50 과정을 행한다.Whether or no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maintained in a certain range by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200 is measured through a pressure sensor and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determines whether the mode is in the fire mod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Step S50 is performed.

상기 S50 과정에서 공기에 의해 차압이 발생하는 범위가 40Pa ~ 60Pa 범위로 유지되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서 화재모드(A)로 인식한다. If the range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air in the step S50 is in the range of 40 Pa to 60 Pa,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recognizes the fire mode (A).

상기 S50과정에서 차압이 40Pa ~ 60Pa 사이에 위치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그 모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S60 과정을 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between 40 Pa and 60 Pa, step S60 is performed to recognize the mode as a fire mode and continue the mode.

상기 S50과정에서 제연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차압 이하로 떨어졌는지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서 판단하고, 차압이 일정 차압 이하이면, 피난모드(B)로 인식하는 S70 과정을 행한다.In step S50,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determines whether the differential pressure has fallen below a predetermined differential pressure by the air supplied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differential pressure, .

상기 S70 과정에서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서 피난모드로 인식하고, 상기 피난모드 상태에서 제연구역의 방연풍속은 0.5 ~ 0.7m/s으로 공기를 공급하다.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y the air drops to 40 Pa or less in step S70,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recognizes the mode as the evacuation mode. In the evacuation mode, the air-conditioning wind speed in the ventilation zone is 0.5 to 0.7 m / .

상기 S60 단계에서 피난모드로 인식되면, 피난모드가 감지된 제연구역에 일정 차압으로 유지되도록 댐퍼와 급기팬을 조절하는 S80 과정을 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mode is the evacuation mode, step S80 is performed in which the damper and the air supply fan are adjust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ressure difference in the ventilation area where the evacuation mode is sensed.

상기 급기댐퍼와 급기팬을 통해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S60 과정을 행하는 제S90과정을 행한다.The air supply damper and the air supply fan supply air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and the step S90 of performing the step S60 is performed.

상가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연구역의 차압을 조절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dual mode air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smoke-inducing section through a process such as a commercial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건물의 임의의 실(이하, 화재실이라 칭함)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실에 설치된 열/연기감지기(600)에 의해 열 또는 연기가 감지되어 열/연기감지기(600)의 신호가 방재센터의 수신기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게 된다. When a fire occurs in an arbitrary roo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e room) of the building, heat or smoke is detect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600 installed in the fire room and the signal of the heat / The receiver informs you that a fire has occurred.

방재센터의 수신기는 이중모드 급기댐퍼(400)의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신호를 주게 되고, 이 신호로부터 송풍기(300)와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200)에 설치된 차압댐퍼(500)의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동작신호를 동시에 주게 된다. The receiver of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gives a signal to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00 from which the blower 300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installed in the ventilation zone 200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500 to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상기 수신기(800)로부터 동작신호를 받은 송풍기(300)는 작동하여 건물 각 층의 제연구역(200)으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제연구역(200)에는 제연구역(200)과 화재실의 압력차인 차압(양압)이 형성되게 된다.The blower 300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receiver 800 operates to supply fresh air to the ventilation zone 200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ventilation zone 200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zone 200 and the pressure A differential pressure (positive pressure) is formed.

이때 건물 각 층 제연구역(200)의 차압댐퍼(500)에 일체되어 부착된 압력센서는 차압을 인식하여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의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보내지게 되고, 사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의 중앙처리장치는 건물 각 층 제연구역(200)의 차압이 ① 40~60Pa 범위 내에 있으면 화재모드, ②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B)로 인식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integrally attached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500 of the building floor smoke exhaustion zone 200 recognizes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is sent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of the dual mode supply damper 4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damper controller 410-5 recognizes the fire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building floor smoke exhausting zone 200 is within the range of 1) 40 to 60 Pa, and the evacuation mode (B) when the pressure falls below 40 Pa.

건물 임의의 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열/연기감지기(600)의 신호가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의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전달되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부착된 중앙처리장치는 1차 화재모드로 인식한다.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에 부착된 액추에이터(410-4a)를 작동시키고, 액추에이터(410-4a)는 링크(410-2a)를 작동시켜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의 날개(410-1a)만을 개방한다. When a fire occurs in an arbitrary floor of the building and a signal of the heat / smoke detector 600 is transmitted to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recognizes the primary fire mode. An actuator 410-4a attached to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is actuated and the actuator 410-4a actuates the link 410-2a so that the wing 410-1a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is operated, Lt; / RTI >

상기 송풍기(300)의 공기는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의 개방 유로를 따라 제연구역(200)으로 공급되어 진다. 이때 송풍기(300)의 풍량은 설계 풍량의 약 50~60% 정도만을 사용하게 되고, 제연구역(200)의 차압은 40 ~ 60Pa 범위 내에서 유지하게 된다. The air of the blower 300 is supplied to the ventilation section 200 along the open flow path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At this time, only about 50 to 60% of the air flow rate of the blower 300 is us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ventilation zone 200 is maintained within the range of 40 to 60 Pa.

만약, 화재모드 상태에서 건물 임의의 층의 제연구역(200) 차압이 40Pa이하로 감지되어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전달되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에 부착된 중앙처리장치는 제연구역의 출입문(700)이 열려 재실자가 피난을 개신하는 피난모드(B)로 인식하게 되고,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는 이중모드 급기댐퍼(410)에 부착된 액추에이터(410-3b)를 작동시키고 액추에이터는 링크(410-2b)를 작동시켜 이중모드 급기댐퍼의 날개(410-1b)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중모드 급기댐퍼(410-5)를 화재모드의 상태보다 날개(410-1b)를 더 열어 출입문(700)이 개방되어 누설되는 공기량만큼을 더 많은 양의 송풍기(300)의 풍량이 건물 각 층의 제연구역(200)으로 공급되게 한다.If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smoke-free zone 200 of any building is detected to be 40 Pa or less in the fire mode and is transmitted to the dual damper controller 410-5 of the dual mode air damp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recognized as an evacuation mode B in which the entrance door 700 of the ventilation area is opened to allow the occupant to evacuate the evacuation path and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is connected to the actuator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 And the actuator operates the link 410-2b to adjust the angle of the wing 410-1b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so that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410-5 is rotated by the wings 410-1, So that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300 of a larger quantity is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200 of each building floor by the amount of air leaked through the door 700 opened.

이때 제연구역의 출입문(700)이 열리는 피난층의 제연구역에는 방연풍속(0.5~0.7m/s)을 공급하여 연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피난층이 안니 다른 제연구역의 최소 28Pa의 차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연기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다.(0.5 ~ 0.7m / s) is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of the evacuation floor where the entrance door (700) of the ventilation area is opened so as to prevent the smoke from entering,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at least 28Pa So that smoke can not enter.

또한 재실자가 피난 후 제연구역의 출입문(700)이 닫히게 되어 제연구역(200)의 차압이 40~60Ps 범위로 유지되면, 이중댐퍼 컨트롤러(410-5)는 이중모드 급기댐퍼에 부착된 액추에이터(400-1b)를 닫아 화재모드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Also, if the occupant in the ventilation area after the evacuation is clos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200 is maintained in the range of 40 to 60 Ps,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410-5 can control the actuator 400 -1b) is closed to return to the state of the fire mode.

따라서 건물 각 층의 제연구역(200) 차압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화재발생 시 화재실의 연기이동을 막고 화재실의 연기가 피난계단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피난로 및 피난공간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인명안전을 물론 재산피해의 최소화 및 소방관의 소화/구조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keep smoke leakage in the fire room when the fire occurs and to prevent the smoke in the fire room from flowing into the evacuation stairway by maintaining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ventilation zone (200)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uniform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roperty as well as the safety and to facilitate the firefighting / rescue activitie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출물 내에 방화구획된 공간은 제연구역으로부터 비 화재층으로 침입, 확산되는 연기이동을 막고,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탄력성을 부여하고, 화기나 유독가스가 다른 공간으로 역류, 침입 확산되는 것을 차단, 제어하여 피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방재성능의 향상과 방화구획 활요의 극대화, 소방관의 소화/구조활동의 극대화 및 소방방재 시스템의 기술적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mode elasticity for smok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smelting zone and prevent the smoke movement that intrudes and diffuses from the smoke-free zone into the non- The fire and toxic gas can be prevented from backflowing and spreading into other spaces to prevent and control the evacuation stability, minimize the damage to people and property, improve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maximize fire fighting area, Of the fire and rescue activities and technical flexibility of the fire 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풍량조절댐퍼
200: 제연구역
300: 송풍기
400: 댐퍼
410: 이중모드 급기댐퍼
410-1, 410-1a, 410-1b: 날개
410-2, 410-2a, 410-2b: 링크
410-3, 410-3a, 410-3b: 기어부
410-4, 410-4a, 410-4b: 액추에이터
410-5: 이중댐퍼 컨트롤러
420: 차압댐퍼
500: 열/연기감지기
600: 도어
700: 덕트
800: 수신기
100: air volume damper
200: Smoke area
300: blower
400: damper
410: Dual Mode Supply Damper
410-1, 410-1a, 410-1b:
410-2, 410-2a, 410-2b: Link
410-3, 410-3a, 410-3b:
410-4, 410-4a, 410-4b: actuators
410-5: Double Damper Controller
420: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500: Heat / smoke detector
600: Door
700: Duct
800: receiver

Claims (9)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연기감지기;
상기 열/연기감지기와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연기감지기에서 감지한 신호를 수신기를 통해 인가받아 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연구역의 차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는 이중댐퍼 컨트롤러;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이중댐퍼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중댐퍼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송풍기에서 공급하는 공기에 따른 차압이 40Pa ~ 60Pa로 감지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거나 또는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피난모드로 인식하여 화재모드 또는 피난모드에 따라 공기의 공급량 조절 및 피난모드가 감지된 제연구역의 차압은 28Pa로 차압을 유지되게 공기를 제연구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건물에 설치되어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급기댐퍼와, 제연구역의 차압 상태 및 제연구성으로 공기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덕트와 연결되어 제연구역에 설치되는 차압댐퍼로 이루어지는 댐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for smoke control, comprising:
Heat / smoke detectors to detect heat or smoke if a fire has occurred;
A recei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receive the signal from the heat / smoke detector;
A differential pressure of 40 to 60 Pa is detected in a stat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is maintained so that the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sensor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and air can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through the duct A double damper controller recognizing the mode as a fire mode and recognizing the mode as an evacuation mod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 Pa;
A blow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for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area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is detected as 40Pa to 60Pa by the signal of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it is recognized as a fire mode or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Pa, it is recognized as an evacuation mode, Depending on the mode or evacuation mode,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the ventilation zone where the air supply adjustment and evacuation modes are detected is 28 Pa, so that the air can be supplied to the ventilation area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through the duct is controlled A damper including a supply damper,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disposed in a ventilation zone connected to the duct so as to adjust the supply of air to the pressure difference state of the ventilation zone and the ventilation configuration;
And a second damp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dam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은 건물의 임의의 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열/연기감지기에 의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S10 과정과;
상기 열/연기감지기에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한 신호를 방재센터 수신기로 인가하고, 수신기로 인가한 신호를 이중댐퍼 컨트롤러로 신호를 인가하여 송풍기 및 차압댐퍼를 구동시키는 S20 과정;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에 급기팬을 통해 차압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S30 과정;
제연구역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차압이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하는 S40 과정;
상기 제연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측정한 값에 의해 화재모드 상태인지를 이중댐퍼 컨트롤러에서 파악하는 S50 과정;
상기 S50과정에서 차압이 40Pa ~ 60Pa 사이에 위치하면, 화재모드로 인식하고 그 모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급기댐퍼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차압댐퍼에서 제연구역을 차압하는 S60 과정;
상기 S50과정에서 제연구역으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해 차압이 일정 차압 이하로 떨어졌는지 판단하고, 차압이 40Pa 이하로 떨어지면 이중댐퍼 컨트롤러에서 피난모드로 인식하는 S70 과정;
상기 S60 단계에서 피난모드로 인식되면, 피난모드가 감지된 제연구역의 차압은 28Pa로 차압을 유지되도록 급기댐퍼와 차압댐퍼로 구성된 댐퍼와 급기팬을 조절하는 S80 과정;
상기 급기댐퍼와 송풍기 및 차압댐퍼를 통해 공기가 제연구역으로 공급되어 차압에 의해 열 또는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급기 유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S60 과정을 행하는 제S90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제어방법.
A dual mode air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A dual mode supply damper control method for smoke control comprises the steps of: sensing a fire or smoke by a heat / smoke detector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any room of a building;
A step S20 of applying a signal sensed by the heat / smoke detector to a disaster control center receiver and driving a blower and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by applying a signal to a receiver by a double damper controller;
A step S30 of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zone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as to form a differential pressure through the air supply fan;
Supplying air to the ventilation zone so as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Measuring whether the pressure difference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air supplied to the ventilation zone through a pressure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de is in a fire mode by the measured value in the dual damper controll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within a range of 40 Pa to 60 Pa, S60 recognizes the mode as a fire mode and depresses the smoke-inducing zone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by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has dropped below a predetermined differential pressure by the air supplied to the smoke inducing zone and if the differential pressure falls below 40 Pa, the double damper controller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as an evacuation mod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0 that the evacuation mode is detected, the damper configured to include the supply dampe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and the supply fan are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pressure in the ventilation area sensed in the evacuation mode at 28 Pa.
(S90) of maintaining the air supply maintenance state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smoke-inducing section through the air supply damper, the air blowe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so as to prevent the spread of heat or smoke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ual mode air supply dam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6693A 2014-06-23 2014-06-23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Active KR101610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93A KR101610281B1 (en) 2014-06-23 2014-06-23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93A KR101610281B1 (en) 2014-06-23 2014-06-23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94A KR20150146294A (en) 2015-12-31
KR101610281B1 true KR101610281B1 (en) 2016-04-07

Family

ID=5512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93A Active KR101610281B1 (en) 2014-06-23 2014-06-23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09B1 (en) * 2018-08-19 2019-08-13 진규권 Controlling capacity control device
CN111023189B (en) * 2018-10-09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Self-adaptive coding method for flue check valve
CN111023186B (en) * 2018-10-09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Self-adaptive coding method for flue check valve
CN111023187B (en) * 2018-10-09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Self-adaptive coding method for flue check valve
CN111023185B (en) * 2018-10-09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Self-adaptive coding method for flue check valve
CN111023188B (en) * 2018-10-09 2021-10-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Self-adaptive coding method for flue check valve
CN110107931B (en) * 2019-03-13 2020-07-14 嘉兴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Low-noise central integrated range hood
KR102113241B1 (en) * 2019-05-29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0375365B (en) * 2019-07-24 2020-08-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Intelligent building smoke exhaus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555932B (en) * 2019-09-26 2022-03-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Outdoor auxiliary smoke exhaust device in centralized smoke exhaust system of building
CN111706890B (en) * 2020-05-26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Operation control method of centralized smoke exhaust system of buil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96Y1 (en) * 2003-10-20 2004-01-03 현대건설주식회사 Building shaft pressure contro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8B1 (en) 2009-08-21 2012-01-10 유병규 Composite dam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96Y1 (en) * 2003-10-20 2004-01-03 현대건설주식회사 Building shaft pressur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94A (en)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81B1 (en)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KR102113241B1 (en)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53485B1 (en) Air supply damper for arithmetic and control unit of pressure-air flow
KR101516232B1 (en) Smoke control system
KR102082664B1 (en)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KR101242179B1 (en)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KR101638152B1 (en) smart fire preventing and responding system
KR101934034B1 (en)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KR101102928B1 (en) Composite damper
KR101969947B1 (en) systems for smoke control of high rise building
KR102622256B1 (en)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KR101529463B1 (en)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KR102273625B1 (en) Smoke volume motorized damper system
KR101402304B1 (en) Proportional Control Systems of Air Supply Damper at Smoke Control Room
KR101690199B1 (en) Smoke Control Facility Combined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211953176U (en) Heating ventilation fire-fighting system
CN109186033A (en) A kind of emergency ventilation of Underground Garage room and mean time ventilation common system
KR20110077895A (en) Forced exhaust system in case of fire
KR20130006253U (en) Smoke System Damper
KR102413971B1 (en)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EP2971995A1 (en) Arrangement for pressurizing a space and/or evacuating smoke therefrom in case of a fire
CN109140585B (en) Distributed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thereof and fire fighting method
CN110732102A (en) Intelligent fire-stopping and fire-stopping system capable of blocking smoke and fire and preventing spreading
KR20030031733A (en) smoke control damper for high building
KR102596313B1 (en) Smart Communication-Controlled Variable Air Volume System for Smoke Diffusion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