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71B1 -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3971B1 KR102413971B1 KR1020210042024A KR20210042024A KR102413971B1 KR 102413971 B1 KR102413971 B1 KR 102413971B1 KR 1020210042024 A KR1020210042024 A KR 1020210042024A KR 20210042024 A KR20210042024 A KR 20210042024A KR 102413971 B1 KR102413971 B1 KR 102413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e
- damper
- leakage
- pressure
- f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화재 시 실내로부터 부속실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의 소화 활동설비인 부속실 급기가압 설비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에 의해 부속실로 덕트를 통하여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의 신선 공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의 요구되는 풍량을 공급하며, 각 층으로 상시 공급량을 조절하여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누설 댐퍼부, 해당 층의 화재발생 시, 개방되어 상기 누설 댐퍼부와 함께 실내에서 부속실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보충량을 공급하는 방연댐퍼부, 및 상기 누설 댐퍼부와 방연 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 및 방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누설 댐퍼부에 의해 해당 층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며, 화재발생 시, 누설 댐퍼부와 방연 댐퍼부에 의해 부속실의 압력 및 방연을 위한 요구하는 송풍량이 제어되어 화재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논리회로에 의해 방연 풍량이 요구되는 화재 층에서만 누설 및 방연댐퍼가 개방되고, 비 화재 층에서는 누설 댐퍼만 개방되므로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도어가 개방되어도 최소의 송풍량을 공급하여 방연 풍량이 유효하게 공급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an auxiliary room supply pressurization facility, which is a fire extinguishing activity facility for blocking smoke flowing into an auxiliary room from the room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and more particularly, is supplied with a certain amount of air through a duct to an attached room by a blower. Each floor is provided to supply fresh air from outside air to each floor to supply the required air volume of the corresponding room, and a leakage damper part for adjusting the pressure in the annex of the corresponding floor to a preset pressure by adjusting the constant supply to each floor, the corresponding floor In the event of a fire, a smoke damper unit that is opened and supplies a supplemental amount to block smoke flowing into an accessory room from the room together with the leakage damper unit, and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akage damper unit and the smoke damper unit; inclu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air normally supplied to the blower is controlled by the leakage damper unit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to the corresponding floor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annexed room at a preset pressure, and when a fire occurs, the leakage damper unit and the smoke damper unit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ncillary room and the required airflow for smoke pre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smoke from flowing into the annex room to prevent smoke inhalation, as well as to secure an escape route.
In addition, the leakage and smoke dampers are opened only in the fire floor where the smoke prevention air volume is required by the first and second logic circuits, and only the leakage damper is opened in the non-fire floor.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ly the smoke-proofing air volu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차압댐퍼모듈에 의하여 기 설정 된 압력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화재 층의 부속실에서 요구하는 방연 풍량을 공급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화재 발생 시, 실내공간 출입 도어 개방에 따른 부속실에서 요구되는 방연 풍량을 공급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과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the pressure in an annex on the corresponding floor to a preset pressure by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module, and supplies For buildings with a supply pressure system that provides a safe environment and, in the event of a fire, can secure a safe space by supplying the smoke-free air volume required in the annex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indoor space entrance door to block the inflow of fire smoke into the annex room It relates to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and an operating method.
일반적으로, 고층빌딩(또는 고층의 공동주택)과 같은 시설물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또는 피난용 승강기 승강장, 피난안전구역(이하,"제연 부속실"이라 함)에 화재로 인해 발생한 연기나 유해가스가 제연 부속실로 유입하지 않도록 하기위해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때, 도어 틈새의 누설량을 부속실에 공급하여 제연 부속실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하고, 또한 제연 부속실의 문을 열었을 때 옥내에서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연 풍속을 얻기 위해, 댐퍼를 장착한다.In general, due to fire in the stair room and annex of special evacuation stairs of faciliti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or high-rise apartment houses), emergency elevator platform or evacuation elevator platform, and evacuation safety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oking room”) When all doors are closed to prevent generated smoke or harmful gas from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accessory room, the leakage of the door gap is supplied to the accessory room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ventilation accessory room at a constant set pressure, and also to open the door of the ventilation accessory room. In order to obtain a smoke-proof wind speed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flow of smoke from indoors into the control area, a damper is installed.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383144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공급함에 덕트를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의 제연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덕트를 이용하고,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 하여 댐퍼를 설치하며, 급기 풍도에 배기 댐퍼(Air Release Damper)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 문이 닫힌 상태에서 누설량 만을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잉여 송풍량으로 계산되는 방연 풍량으로 인하여 급기 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제연 시스템에서 급기 풍도에 설치된 배기 댐퍼(Air Release Damper)를 신속하게 개폐 운전함으로써,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급기 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 댐퍼(Air Release Damper)를 구비한 누설과 보충량(방연)을 분리한 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s disclosed in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No. 1383144, a single duct is used instead of using a separate air supply type ventilation system that separates the duct to supply the leakage and replenishment amount to the auxiliary room, which is the control area of a high-rise building. All evacuation doors are closed by installing a damper by separating the leakage and replenishment amount, and installing an additional air release damper in the supply airflow path to operate the pressure within the replenishment amount supply airflow within the appropriate design range. Since only the leakage amount is constantly supplied from By quickly opening/closing the (Air Release Damper), the leakage and replenishment amount (smoke) are separated with an exhaust damper (Air Release Damper) for regulating the pressure of the supply air that can quickly control the appropriate pressure between the annex and the interior. An air supply type ventilation system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한 층과 그렇지 않은 층에 장착한 동일 규격으로 된 하나의 댐퍼를 통해 차압과 방연풍속을 제어하는 것으로, 기존 시스템에서의 댐퍼는 문이 닫힌 상태에서의 제연 부속실 내부의 차압 유지를 하게 하고, 문을 열어 차압이 떨어지면 차압 유지와 더불어 방연풍속 작용을 하도록 가동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system controls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smoke-proof wind speed through one damper of the same standard installed o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and the floor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maintained, an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drops, it operates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act as a smoke prevention wind speed.
이때,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문이 열릴 개방 될 경우, 문이 개방된 비 화재 층으로 송풍량이 집중되어 실제 화재 층으로 송풍시키지 못해 방연 기능을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doors are opened from the non-fire fl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air blown is concentrated on the non-fire floor where the doors are opened, and the air cannot be blown to the actual fire floor, so that the smoke prevention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특히, 하나의 댐퍼로 송풍량을 제어하므로, 송풍량에 제한이 없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댐퍼의 규격을 층 별로 기능별 용도에따라 규격을 다르게 하여야 하지만, 하나의 댐퍼를 사용하므로 규격만을 변경한다고 화재 층의 방연 기능을 소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as one damper controls the amount of airflow,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amount of airf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pecifications of the dampers should be different for each floor and each func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oke protection function cannot be digested.
이에 따라, 평상시는 물론, 화재 발생 시, 해당 층에 대한 방연풍량 공급 효율을 향상시켜 부속실로의 연기유입을 차단하여 탈출로를 확보함에 따라, 건물 전체부속실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fire, as well as in normal tim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upply of smoke-free air to the corresponding floor and block the inflow of smoke to the annex to secure an escape rout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development.
위에서 설명한 것은 부속실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기본 구성과 기본적인 조건을 명시 한 것으로 화재의 발생, 피난의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화재 발생 후 각 단계 별로 부속실의 압력 상태를 분석적인 정의에 의해 가장 성능 발휘에 적합한 댐퍼를 선정하고, 가장 경제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종래와는 다른 설계의 기법이 필요하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to specify the basic composition and basic conditions of the air supply pressure control system in the annex. Considering the pattern of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the pressure state of the annex for each stage after a fire is analyzed by defining the most effective performance.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damper and to build the most economical system, a design techniqu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s required.
설계의 기법을 위하여 외국의 인용문헌으로 유럽의 규정인 "BS EN 12101-6:2005"를 참조하여 부하의 계산 방법에 적용하고, 송풍기에서 덕트를 통해, 댐퍼를 통과한 공기가 부속실에 이르는 공기의 공급(Air Distribution) 기술은 미국의 "SMACNA Construction Standard"와 "SMACNA HVAC Systems Duct Design"4th Edition을 참조하였으며, 댐퍼의 크기를 선정하는 미국의 "Honeywell 사에서 제작된 Damper Calculator 의 기본 공식"을 인용하였고, 일부 일본의 문헌을 인용하였다.For the design technique, refer to the European regulation "BS EN 12101-6:2005" as a foreign reference and apply it to the load calculation method. For the air distribution technology of the US, "SMACNA Construction Standard" and "SMACNA HVAC Systems Duct Design" 4th Edition were referenced, and the US "Basic Formula of Damper Calculator manufactured by Honeywell Company" to select the size of the damper cited, and some Japanese literature was ci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 된 것으로써, 송풍기에 의해 건물 내부 덕트로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의 부속실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층으로 상시 공급량을 조절하여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 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누설 댐퍼부, 해당 층의 화재발생 시, 개방되어 상기 누설 댐퍼부와 함께 거실에서 부속실로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 및 상기 누설 댐퍼부와 방연 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 및 방연제어부를 포함하여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누설 댐퍼부에 의해 해당 층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며, 화재 발생 시, 누설 댐퍼부와 방연 댐퍼부에 의해 부속실의 압력이 제어되어 화재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는 건물용 차압댐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provided to supply external air supplied at a certain amount of air to the duct inside the building by a blower to the annexes of each floor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annexes. , Leakage damper for adjusting the constant supply to the floor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nnex on the floor to a preset pressure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external air normally supplied to the blower to the corresponding floor by the leakage damper part, including a smoke damper part for blocking, and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leak damper part and the smoke damper part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annexed room Maintains a preset pressure,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pressure in the annex is controlled by the leak damper and smoke damper to prevent fire smoke from flowing into the annex to prevent smoke inhalation and to secure an escape rout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module for buildings.
부속실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누설 댐퍼부와 거실로부터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는 덕트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에 의하여 기류(송풍량)가 형성되며, 건축물의 최상층부의 덕트 압력과 최하층부의 덕트 압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층마다 댐퍼를 통하여 흐르는 송풍량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균등한 송풍량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댐퍼의 크기를 설계 계산(건축물 형태에 따른 부하량)에 의한 일정 구간마다 크기를 다르게 하는 댐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the leak dampe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nnex and the smoke-proof damper for blocking the inflow of smoke from the living room, the airflow (airflow) is form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uct pressure and the annex, and the duct pressure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uct press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damper for each floor. In order to control this to an even air volume, the size of the damper is different for each section by design calculation (load according to the type of build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dule.
급기가압 제연 설비에 사용되는 덕트 설계의 기본은 압력 설계에 의한 것으로 송풍기에서 가압 된 공기가 덕트 경로상을 통과하면, 덕트의 저항에의해 압력이 감소되므로, 최하층의 압력과 최상층의 덕트 내의 압력은 많은 차이가 있으며, 각층의 덕트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상태에 따라 댐퍼의 통과 풍량이 달라지게 된다.The basis of the duct design used in the supply pressure ventilation facility is the pressure design. When the air pressurized from the blower passes on the duct path, the pressure is reduced by the resistance of the duct. There are many differences, and the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damper varies depending on the duct pressure on each floor and the pressure condition of the annex.
또한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실내(거실) 도어, 부속실 창문, 엘리베이터 도어, 계단 도어를 통한 누설량과 화재 층에서 실내(거실) 도어 및 계단 도어가 개방되면, 계단실의 압력이 낙하하므로, 비 화재 층 부속실에서 계단 도어를 통한 누설이 증가한다.In addition, when all doors are closed, the amount of leakage through the indoor (living room) door, annexed room window, elevator door, and stair door, and when the indoor (living room) door and stair door are opened from the fire floor, the pressure in the stairwell drops, so the non-fire floor Leakage through stair doors in ancillary rooms increases.
이때의 변화를 분석적인 기법으로 분석하여 설계의 기법에 적용하여 급기가압 제연설비의 설계에 반영한다.The change at this time is analyzed with an analytical technique, applied to the design technique, and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supply pressure ventilation facility.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기에 의해 건물 내부 덕트로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층 부속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층으로 화재 발생 시 요구되는 누설 공급량을 조절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누설댐퍼부, 해당 층의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상기 누설댐퍼부와 함께 부속실로 실내의 연기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댐퍼부, 및 상기 누설댐퍼부와 방연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 및 방연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each floor to supply the outside air supplied at a certain amount of air to the duct inside the building by the blower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annex on the corresponding floor, which is required when a fire occurs on the floor. A leak damper part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annex to a preset pressure by adjusting the leakage supply amount, and when a fire occurs on the floor, it is opened and supplied with the leak damper part to block the inflow of smoke from the room into the ancillary room It includes a smoke-proof damper unit, and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akage damper unit and the smoke-proof damper unit.
바람직하게, 덕트는 각 층으로 외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연결 덕트가 포함되고, 상기 누설 댐퍼부는 방연 댐퍼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차압댐퍼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 덕트에 설치된다.Preferably, the duct includes a connection duct for blowing outside air to each layer, and the leak damper is provided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moke damper and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duct.
그리고 상기 누설댐퍼부의 유효면적은 상기 방연댐퍼부 유효면적의 10 ~ 25%로, 건물의 부속실 형태에 따른 부하에 의한 누설량 비율에 의해 형성된다.And the effective area of the leakage damper is 10 to 25% of the effective area of the smoke-proof damper, and is formed by the ratio of the leakage amount due to the loa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nnex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누설댐퍼부는, 상기 차압댐퍼 프레임의 상단부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누설댐핑공간부,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댐퍼날개를 종(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누설댐핑공간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구비되는 누설댐퍼날개, 및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상기 누설댐퍼날개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누설댐핑공간부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누설댐퍼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akage damper part is a leak damping space part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ide the upper end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frame, and forms a pair to rotate simultaneously in the mutual or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the damper wing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vertical) direction. , a plurality of leakage damper blad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eakage damping space portion, and controll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leakage damper blades forming each pair in mutual or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a leakage damper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blowing in the leakage damping space.
그리고 상기 방연댐퍼부는, 상기 차압댐퍼프레임의 중간부와 하단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누설댐핑공간부의 좌우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방연댐핑공간부,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댐퍼날개를 횡(수평)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방연댐핑 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는 방연댐퍼 날개,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상기 방연댐퍼날개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방연댐핑 공간부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방연댐퍼구동부,를 포함한다.And the smoke-proof damper part is formed inside the middle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frame, has the same width as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eakage damping space part, and the smoke-proof damping space part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utually or in opposite directions to be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damper blades are installed in the lateral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moke-proof damper blade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moke-proof damping space are controll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control unit, and each pair is formed and a smoke-proof damper driving unit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smoke-proof damper blades in mutual or opposite directions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ing in the smoke-proof damping space.
또한, 상기 부속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 센서, 및 상기 부속실에 구비된 실내 출입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부속실의 설정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방연댐퍼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누설댐퍼부를 제어하며, 상기 화재감지 센서의 신호와 도어개폐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를 통해 상기 방연댐퍼부를 제어한다.In addition,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annex, a fi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ire in the building, and a door opening/clo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indoor access door provided in the annex is opened or closed, is further provided, the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and controls the leakage damper in a state in which the smoke damper is closed so that a preset pressure of the annexed room is maintained, and the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ensor to control the smoke damper unit through a logic circuit.
그리고 상기 부속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 출입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화제감지센서는 각 실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개폐센서는 각 출입도어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indoor access door is provided in the auxiliary room,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in each room, and the door opening/closing sensor is provided in each access door.
또한, 상기 논리회로는, 해당 실내의 화재감지센서의 신호와 해당 출입도어의 도어개폐센서의 신호를 동시간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또는 단수)의 제1논리회로, 및 상기 제1논리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로 방연댐퍼를 구동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의 제2논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는, 상기 제2논리회로의 방연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누설댐퍼부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방연댐퍼부를 개방시켜 부속실로 방연풍량을 공급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the logic circuit includes a plurality of (or singular) first logic circuits for transmitting a signal when a signal of a fire detection sensor in the room and a signal of a door opening/closing sensor of the corresponding door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and the a second logic circui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driving a smoke damper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one or more signals from among the first logic circuits, wherei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includes the second When the smoke control signal of the logic circuit is received, the smoke damper part is opened while the open state of the leak damper part is maintained to supply a smoke-free air volume to the ancillary room so that fire smoke does not flow into the ancillary room.
그리고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는, 상기 제2논리회로의 차압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누설댐퍼부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방연댐퍼부를 개방시켜 해당 실내에서 부속실로 화재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And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receives the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logic circuit, the smoke damper is opened while the open state of the leakage damper is maintained, so that fire smoke flows from the room to the ancillary room. block that
또한, 상기 차압 및 방연 댐퍼모듈의 규격은, 상기 부속실의 형태에 따라 계산된 부하량에 의해 하며, 상기 누설댐퍼부는 비 화재 층에서 요구하는 누설량을 설정압력 기준의 70% 이상의 압력을 기준으로 하여 비 화재층에서 산출된 누설량으로 유효면적을 선정하고, 상기 방연댐퍼부는 "방연 풍량 - 부속실 압력이 최소압력일 때의 누설댐퍼 통과 풍량 = 방연 댐퍼 통과 풍량"에 의한 유효면적을 선정하며, 상기 송풍기의 선정은 "부속실 압력이 70% 일 때 차압 댐퍼 공급풍량 × (부속실 수 - 방연댐퍼 적용 수) = 누설량"과 "규정의 방연 풍량 × 방연 댐퍼 적용 수", "비 화재 층의 피난에 의한 도어의 개방 율에 의한 도어의 개방 수 × (부속실 압력이 최저 압력 일때의 누설댐퍼 송풍량 - 설정압 70% 일때의 누설댐퍼 송풍량 = 피난에 의해 추가 소요되는 풍량"으로 부분 산정하고, 상기 누설댐퍼부의 송풍량, 방연댐퍼부의 송풍량, 상기 송풍기의 송풍량의 합과 소방법의 규정에서 요구하는 덕트의 누설 및 송풍기 풍량 선정 안전율을 적용하여 선정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is based on the loa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nnex, and the leakage damper unit determines the leakage amount required by the non-fire floor based on a pressure of 70% or more of the set pressure standard. The effective area is selected by the amount of leakage calculated from the fire layer, and the smoke damper part selects the effective area according to "smoke-proof air volume -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leakage damper when the pressure in the annex is the minimum pressure =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smoke damper", and the blower's The selection is based on “When the pressure in the annex room is 70%, the air volume suppli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 (the number of annex rooms -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smoke damper) = the amount of leakage” and “the amount of smoke-proof air in the regulation ×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smoke-proof damper”, “the amount of air supplied by the non-fire floor evacuation” Partially calculated as the number of door openings by the opening rate × (Leakage damper airflow when the accessory chamber pressure is the lowest pressure - Leakage damper airflow when the set pressure is 70% = Air volume additionally required for evacuation", and the airflow volume of the leak damper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smoke damper, the sum of the air volume of the blower, and the duct leakage and blower air volume selection safety factor required by the Fire Protection Act are applied to select.
그리고 상기 부속실은, 엘리베이터 도어, 및 상기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을 통과한 외기를 상기 부속실로 토출시키는 루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설댐버부와 방연댐퍼부는 상기 루버에 의한 송풍 저항값을 고려하며, 상기 방연댐퍼부 송풍량 선정에서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한 유입량은 고려하지 않았다.And the accessory room, the elevator door, and a louver f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smoke damper module to the accessory room, the leak damper part and the smoke damper part considering the blowing resistance value by the louver, , the amount of inflow through the elevator door was not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the airflow amount of the smoke-proof damper.
또한, 부속실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누설 댐퍼부와 거실로부터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댐퍼부는 덕트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에 의하여 기류(송풍량)가 형성되므로, 건축물 최상층부의 덕트 압력과 최하층부의 덕트 압력에 의해, 각 층마다 설치되는 댐퍼의 필요 크기를 설계 계산에 의해 산출된 크기를 일정 구간마다 댐퍼의 모듈에 의해 설치하고, 설계 계산값(면적)과 같게 TAB(Test, Adjust and Balancing) 작업을 실시하여 균등한 송풍량으로 조정한 후 차압 및 방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한다.In addition, the leakage damper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 the annex and the smoke-proof damper for blocking the inflow of smoke from the living room form an airflow (airflow)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duct and the annex, so the duct pressure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building and the lowermost floor According to the negative duct pressure, the required size of the damper installed on each floor is determined by design calculation, and the size calculated by the design calculation is installed by the damper module for each section, and TAB (Test, Adjust and Balancing) is the same as the design calculated value (area). ) to adjust the airflow to an even air volume, and then control it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control unit.
위에서 설명한 것은 설계기법에 의해 계산된 부하량에 대하여 분석한 누설 댐퍼와 방연댐퍼의 개략적인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화재로 인한 부속실의 압력상태를 분석하면,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와 화재 층 실내(거실)의 도어와 계단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비 화재 층에서 피난을 위하여 실내(거실)의 도어와 계단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로 구분이 된다.The above shows the approximate ratio of the leak damper and the smoke damper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load calculated by the design technique, and when the pressure state of the annex due to the fire is analyzed, the case where all the doors are closed and the interior of the fire floor (living room) ) and the stair door are open, it is divided into the case where the indoor (living room) door and the stair door are open for evacuation from the non-fire floor.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부속실이 임의 설정된 값으로 비례운전되어 설정 압력으로 누설댐퍼 개방 정도에 의해 유지된다.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the auxiliary chamber is operated proportionally to an arbitrarily set value and is maintained b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leak damper at the set pressure.
화재 층 및 직상 층, 피난에 의해 비 화재 층의 실내(거실) 도어와 계단도어가 개방되면, 모두가 부속실의 압력은 화재 층에서는 방연 댐퍼를 개방시켜 방연 풍량을 실내(거실)로 공급하여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류의 생성을 위한 최소압력을 유지하며, 비 화재 층에서는 방연 댐퍼가 닫힌 상태로 누설 댐퍼만 개방된 상태로 공급된 풍량에 의해 실내(거실)로 기류가 생성되는 최소 압력(거의 대기압에 가깝다.)으로 된다.When the indoor (living room) door and the stair door of the non-fire floor are opened by evacuation, the fire floor, the floor above, and the stairway door are opened. Maintains the minimum pressure for generating airflow to block the inflow of air, and in the non-fire floor, the smoke damper is closed and only the leak damper is open. (nearly close to atmospheric pressure).
이때, 모든 도어가 닫힌 경우의 계단실 압력은 부속실의 압력보다 조금 낮은 상태이지만, 화재 층 및 피난에 의해 비 화재 층의 실내(거실) 도어 및 계단도어가 개방되면, 기류 형성을 위한 최소 압력으로 당초의 설정 압력보다 하락하게 됨을 각 단계별 시뮬레이션 계산에 의해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irway pressure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is slightly lower than the pressure in the annex, but when the indoor (living room) door and stair door of the non-fire floor are opened by fire floor and evacuation, the minimum pressure for airflow It can be seen by the simulation calculation for each step that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계단실 압력하락으로 계단도어의 누설량이 증가하므로 비 화재 층의 필요 누설 공급량이 증가하고, 설계에 적용하는 압력은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의 설정 압력과 비 화재층의 관계규정에 의한 설정압력의 70% 이상 유지하여야 하므로, 설정 압력의 경우 누설량과 비 화재 층의 설정압력의 70% 이상의 경우의 누설량을 비교하면, 비 화재 층의 누설량이 더 크므로, 이를 기준으로 전체 누설량을 게산하고, 누설 댐퍼를 선정 하면,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약 60%(실내(거실)의 도어 수에 따라 약간 다르다.) 정도의 제어율을 가진다.As the leakage of the stair door increases due to the drop in the stair pressure, the required leakage supply for the non-fire floor increases,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esign is 70 of the set pressure when all doors are closed and the set pressu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fire floor % or more, if the leak rate in the case of the set pressure is compared with the leak rate in the case of 70% or more of the set pressure of the non-fire floor, the leak rate of the non-fire floor is larger. If is selected, it has a control rate of about 60% (it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doors in the room (living room))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이는 약간의 제어율의 차이는 모든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의 누설량 계수에 안전율을 적용한 풍량을 공급하는 결과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is has the same effect as the result of supplying the air volume by applying the safety factor to the leak rate coefficient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with a slight difference in control rate.
여기에 화재 층에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 댐퍼의 크기를 "방연 풍량 - 부속실 최저 압력일 경우의 공급 누설량 = 방연 댐퍼 선정풍량"이 된다.Here, the size of the smoke-proof damper for supplying the smoke-proof air volume from the fire floor becomes "Smoke-proof air volume - supply leakage amount at the lowest pressure in the annex = selected smoke-proof damper air volume".
방연 댐퍼는 화재 층에서만 열리고, 그 외의 층에서는 화재 신호가 없으므로 닫혀 있는 상태로, 누설 댐퍼는 비 화재 층에서 누설 댐퍼는 설정압에서 약 60%로 제어되다가 계단실의 압력 낙하로 인하여 누설량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부속실 압력이 설정압 보다 현저히 낮아지면, 누설댐퍼는 100% 개방되어 부속실 압력을 설정압의 70%로 유지가 된다.The smoke damper opens only on the fire floor and is closed because there is no fire signal on the other floors. , when the pressure in the auxiliary chamber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et pressure, the leak damper is opened 100% and the pressure in the auxiliary chamber is maintained at 70% of the set pressure.
이때 계수의 오류를 보완하기 위해 설정압력의 70% 이상 유지하기위해 약간 높은 압력으로 설계 계산에 반영한다.At this time, to compensate for the error of the coefficient, a slightly higher pressure is reflected in the design calculation to maintain more than 70% of the set pressure.
비 화재 층에서 도어가 개방되면, 부속실 압력은 기류 생성을 위한 최저 압력(거의 대기압에 가깝다.)으로 변화하므로, 덕트의 압력과 부속실의 압력 차이가 커지는 결과로 공급 풍량은 증가하지만, 최소 풍량 만을 공급하게 되고, 피난을 위한 도어의 개방율에 의해 "도어 개방에 의한 최소 공급 풍량 - 설정압의 70% 유지를 위한 공급 풍량 = 도어 개방율에 적용하는 풍량"으로 도어의 개방 수에 이 풍량을 곱하여 송풍기에서 추가로 필요로 하는 풍량선정에 적용한다.When the door is opened on a non-fire floor, the annex pressure changes to the lowest pressure (near atmospheric pressure) for airflow generation, so the supply air volume increases as a result of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duct and in the annex increases, but only the minimum air volume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rate for evacuation, “minimum supply air volume by door opening - supply air volume to maintain 70% of set pressure = air volume applied to door opening rate”, this air volume is added to the number of door openings. It is applied to the selection of the air volume additionally required by the blower by multiplying it.
그리고 모든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의 부속실로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덕트의 경로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외기공급 단계,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의 압력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누설댐퍼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외기공급단계의 외기를 해당 부속실로 송풍시켜 일정 압력으로 제어되는 누설운영단계, 및 상기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의 화재감지 센서 신호와 도어개폐 센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로 요구하는 방연풍량의 외기를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운영단계,를 포함한다.And the outdoor air supply step in which outdoor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ath of the duct supplied by the blower to the attached room with all the doors closed,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the pressure sensor signal of the smoke damper module By receiving and controlling the leakage damper unit, the leakage operation step in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outside air supply step is blown to the corresponding ancillary room and controlled at a certain pressure,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signal and the door opening sensor signal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are received. In this case, it includes a smoke-proof operation step of controlling the smoke-proof damper unit to supply outdoor air of the required amount of smoke-free air to the corresponding annex to prevent the smoke generated from the fire from flowing into the annex.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용 차압댐퍼 모듈에 의하면, 평상시 송풍기로 공급되는 외기를 누설 댐퍼부에 의해 해당 층으로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시키며, 화재발생 시, 누설 댐퍼부는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때의 부속실의 압력을 제어하며, 방연 댐퍼부는 도어의 개방과 화재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화재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기흡입을 방지함은 물론, 탈출로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modul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air normally supplied to the blower is controlled by the leakage damper unit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to the corresponding floor to maintain the pressure in the annex at a preset pressure, and a fire occurs. When all the doors are closed, the leak damper controls the pressure in the annex, and the smoke damper is driven by the door opening and the fire signal to prevent fire smoke from entering the ancillary room to prevent smoke inhalation. It is a very useful and effective inven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secure an escape route.
또한, 댐퍼의 크기를 일정 층마다 크기를 다르게 하는 모듈화 하고, TAB 작업에 의하여 설정하므로 균등한 송풍량을 공급하고, 비 화재 층에서 도어가 개방되어도 최소 송풍량을 공급하므로 비 화재 층에서 다수의 도어가 개방되어도 화재 층으로 공급되는 방연용 송풍량이 설계 계산에 의해 요구하는 송풍량을 공급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damper is modularized so that the size is different for each floor, and it is set by TAB operation to supply an equal amount of airflow. It is a very useful and effective invention that enables the amount of air blown for smoke protection supplied to the fire floor to be supplied even when open, which is required by design calculation.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새로운 제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설계의 기법을 각 부속실의 누설 및 방연 댐퍼의 운전에 의한 압력 상태를 고려한 송풍기의 선정, 덕트의 설계에 적용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합리적이고,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설계의 기법을 제시한다.Since the design technique when the new product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duct and the selection of the blower considering the leakage of each annex and the pressure stat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smoke damper, it is more reasonabl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has better performance. We present a very useful and effective design technique that can demonst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방연댐퍼 모듈의 제어를 위한 논리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피난행동에의한 누설과 방연의 운영단계 Flow를 표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uilding in which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4 is a diagram showing a logic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smoke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the operation stage of leakage and smoke prevention due to the evacuation a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게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publish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instanc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shown in block diagram form focusing on key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meaning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do. In addition, the term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lso, "a or an", "one", "the" and like related terms are used differently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을 설명 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 및 방연 댐퍼모듈이 설치된 건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의 제어를 위한 논리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피난행동에의한 누설과 방연의 운영단계 Flow를 표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building in which the smoke damper module is installed, FIG. 4 is a view showing a logic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the smoke damp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rawing showing the flow.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은 송풍기(20)에 의해 건물 내부 덕트(30)로 일정 송풍량으로 공급되는 외기를 각 층으로 공급하도록 각각 구비되어 해당 부속실(4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누설댐퍼부(100)와 방연댐퍼부(200) 및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누설댐퍼부(100)는 해당 층으로 상시 공급량을 조절하여 해당 층 부속실(40)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그리고 방연댐퍼부(200)는 해당 층의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누설댐퍼부(100)와 함께 부속실(40)에서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송풍량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는 누설댐퍼부(100)와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여기서, 덕트(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으로 외기의 신선공기를 부속실로 송풍시키기 위한 연결덕트(32)가 포함되는 것으로, 연결덕트(32)는 건물의 층수만큼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그리고 누설댐퍼부(100)는 방연댐퍼부(200)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차압 및 방연댐퍼프레임(12)에 구비되어 연결덕트(32)에 구비된다.And the
다시 말해,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은 연결덕트(32)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제작되어 설치되며, 누설댐퍼부(100)의 제어를 위한 유효면적은 도어 및 창문 등의 누설 수량에 의해 계산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방연댐퍼부(200) 제어를 위한 유효면적의 10 ~ 25%로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실시 예로, 방연댐퍼부(200) 높이를 600mm로 제작할 경우, 누설댐퍼부(100)의 높이는 80 ~ 120mm로 제작된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기본 모듈의 댐퍼의 폭은 450mm로 하여, 날개의 크기를 50mm로 제작 할 경우 누설댐퍼부(100)는 9개의 날개를 갖는 기본 모듈과 최소 4개의 날개를 갖는 6가지의 모듈로 구분하고, 방연댐퍼부(200)는 12개의 날개를 갖는 기본 모듈과 최소 8개의 날개를 갖는 5가지의 모듈로 구분한다.When the width of the damper of the basic module is 450mm and the size of the wing is 50mm, the
먼저, 누설댐퍼부(100)는 누설댐핑공간부(110)와 누설댐퍼날개(120) 및 누설댐퍼구동부(130)를 포함한다.First, the
누설댐핑공간부(110)는 차압댐퍼프레임(12)의 상단부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그리고 누설댐퍼날개(120)는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대향익(Opposed Blade Type)의 댐퍼 형태를 가지며 날개를 종(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며, 누설댐핑공간부(110)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누설댐퍼구동부(130)는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에서 거실과 부속실의 차압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누설댐퍼날개(120)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 구동시켜 누설댐핑공간부(110)의 송풍량을 조절한다.The leak
이 누설댐퍼구동부(130)는 종래에 대향류형 댐퍼 날개를 구동시키는 방식과 동일함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합니다.This leakage
그리고 방연댐퍼부(200)는 방연댐핑공간부(210)와 방연댐퍼날개(220) 및 방연댐퍼구동부(230)를 포함한다.And the smoke-
방연댐핑공간부(210)는 차압 및 방연댐퍼프레임(12)의 하단부 내부에 형성되되, 누설댐핑공간부(110)의 좌우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smoke-
또한 방연댐퍼날개(220)는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대향익(Opposed Blade Type)의 댐퍼 형태를 가지며 날개를 횡(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며, 방연댐핑공간부(210)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moke-
방연댐퍼구동부(230)는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방연댐퍼날개(220)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방연댐퍼 모터에 의해 온·오프 구동시켜 방연댐핑 공간부(210)의 송풍량을 조절 공급 한다.The smoke
이 방연댐퍼구동부(230)는 종래에 대향류형 댐퍼 날개를 구동시키는 방식과 동일함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합니다.This smoke-proof
여기서, 누설댐퍼부(100)는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에 의해 비례제어 됨에 따라, 부속실(40)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제어한다.Here, as the
그리고 방연댐퍼부(200)는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되, 방연댐퍼날개(220)의 개방은 온·오프 제어에 의해 100% 개방과 폐쇄되도록 제어됨이 당연하다.And it is natural that the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에는 각층 압력센서(400)와 화재감지센서(500) 및 도어개폐센서(600)를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 3 , the building includes a
각층 압력센서(400)는 부속실(40)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화재감지센서(500)는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도어개폐센서(600)는 부속실(40)에 구비된 실내공간 출입도어(4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Each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는 화재 시 모든 도어가 닫혀있을 때, 각층 압력센서(400)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해당 부속실(40)의 기준압력이 유지되도록 방연댐퍼부(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누설댐퍼부(100)를 제어하여 실내(거실)에서 부속실로 피난 시에 도어의 개폐가 원활할 수 있게 도어 개폐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압력을 유지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환경을 제공한다.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그리고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310)를 통해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40)로 방연을 위한 송풍량을 공급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가 부속실(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nd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여기서, 각 부속실(4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거실)공간 출입 도어(42)가 구비된다.Here, each
그리고 화재감지센서(500)는 각 실내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도어개폐센서(600)는 각 출입 도어(42)에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논리회로(3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논리회로(312)와 제2논리회로(314)를 포함한다.The
제1논리회로(312)는 해당 실내공간의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해당 출입 도어(42)의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동 시간 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실내공간 출입 도어(42)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The
제2논리회로(314)는 복수(또는 단수)의 제1논리회로(3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로 방연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나로 구성된다.The
다시 말해, 제1논리회로(312)는 "AND 회로"이고, 제2논리회로(314)는 "OR 회로"이다.In other words, the
이러한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는 화재감지센서(500)의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의 신호를 함께 수신할 경우인 제2논리회로(314)의 방연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누설 댐퍼부(10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방연 댐퍼부(200)를 개방시켜 해당 부속실로의 연기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계 계산된 요구 송풍량을 공급한다.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실시 예로, 화재로 인해 제연설비가 구동되고, 초기의 운전에서 부속실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40Pa) 유지시키고, 관계 법규의 규정에 의한 비 화재층의 부속실의 압력을 설정 압력의 70% 이상으로 유지시킨다.In an embodiment, the smoke control system is driven due to a fire, and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room is maintained at the set pressure (40 Pa) in the initial operation, and the pressure of the auxiliary room of the non-fire floor according to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s set to 70% or more of the set pressure. keep it
이에, 차압 및 방연제어부(300)는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건축물 화재에 대응함에 따라, 종래 과 공급된 송풍량에 의해 부속실 압력의 상승으로 인한 출입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화재가 난 실내의 출입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만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고, 화재연기가 부속실을 통해 계단 등의 탈출로로 유입되어 사람들이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덕트(30) 및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 수직덕트(30) 및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 루버(Louver;13)를 설치하기 위한 연결덕트(32)로 구성되며,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은 차압 및 방연댐퍼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고, 루버(13)는 관계 법규의 규정에 의해 공급하는 공기의 토출을 하향 60ㅀ로 토출하고, 호칭규격(루버(Louver)의 공기가 흐르는 내부의 크기)으로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을 5m/sec 이내로 하기 위하여 그 크기를 모든 층에서 같은 크기로 설치한다.2 is a connection duct ( 32),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실시 예로, 루버(Louver)의 호칭규격 0.588 m2 이상. 가로 700mm 일 때, 세로 840mm 이상으로 제작된다.In an embodiment, the nominal size of the louver is 0.588 m 2 or more. When it is 700mm in width, it is manufactured to be more than 840mm in length.
이때, 수직덕트(30)와 부속실(40)의 차압은 연결덕트(32)와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 루버(Louver;13)에서 부여되는 차압의 합으로 하여 그 규격을 산정한다.At this time,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이와 같은,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의 운영방법을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공급단계(S10)와 누설운영단계(S20) 및 방연운영단계(S30)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외기공급단계(S10)는 송풍기(20)에 의해 건물의 덕트(30)로 외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In the outdoor air supply step ( S10 ), outdoor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그리고 누설운영단계(S20)는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의 압력센서(400) 신호를 수신하여 누설댐퍼부(100)를 제어함에 따라, 외기공급단계(S10)의 외기를 해당 부속실(40)로 송풍시켜 일정 압력으로 제어된다.And the leakage operation step (S20) receives the signal of the
방연운영단계(S30)는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10)의 화재감지센서(500) 신호와 도어개폐센서(600)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댐퍼부(200)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40)로 외기의 방연풍량을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smoke-proof operation step (S30), when the
이에, 건물 화재 발생 시,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피하는 사람들이 연기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피로의 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소방관의 진입로를 확보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fire smok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nnex to prevent inhalation of smoke by evacuees,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a view of the evacuation route as well as secure an access route for firefighters to provide a quick response. can induce
10 :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 12 : 댐퍼프레임
13 : 루버 20 : 송풍기
30 : 수직덕트 32 : 연결덕트
40 : 부속실 42 : 출입도어
100 : 누설댐퍼모듈 200 : 방연댐퍼모듈
300 : 차압 및 방연제어부 400 : 압력센서
500 : 화재감지센서 600 : 도어개폐센서10: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12: damper frame
13: louver 20: blower
30: vertical duct 32: connecting duct
40: annex 42: entrance door
100: leakage damper module 200: smoke damper module
300: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400: pressure sensor
500: fire detection sensor 600: door opening and closing sensor
Claims (9)
부속실에서 요구하는 외기를 공급하고 남은 잉여 공기는 건물의 상측으로 배출되며,
모든 해당 층으로 화재 발생 시 요구되는 누설 공급량을 조절하여 부속실의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하기 위한 누설댐퍼부;
하나의 해당 층에서 화재 발생 시, 개방되어 상기 누설댐퍼부와 함께 부속실로 실내의 연기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연 풍량을 공급하기 위한 방연댐퍼부; 및
상기 누설댐퍼부와 방연댐퍼부를 제어하기 위한 차압 및 방연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댐퍼부와 방연댐퍼부의 규격은,
상기 부속실의 형태에 따라 계산된 부하량에 의해 하며,
상기 누설댐퍼부는 설계를 위해 비 화재층의 설정압력 기준의 70% 이상 압력으로 유효면적을 선정하고,
상기 방연댐퍼부는 "방연 풍량 - 부속실 압력이 최소압력일 때의 누설댐퍼 통과 풍량 = 방연 댐퍼 통과 풍량"에 의한 유효면적을 선정하며,
상기 송풍기의 선정은 "비 화재층 부속실 압력이 70% 이상 일 때 차압 댐퍼 공급풍량 × (부속실 수 - 방연댐퍼 적용 수) = 총 누설량"과 "규정의 방연 풍량 × 방연 댐퍼 적용 수", "비 화재 층의 피난에 의한 도어의 개방 율에 의한 도어의 개방 수 × (부속실 압력이 최저 압력 일때의 누설댐퍼 송풍량 - 설정압 70% 이상 일때의 누설댐퍼 송풍량 = 피난에 의해 추가 소요되는 풍량"으로 부분 산정하고,
상기 누설댐퍼부의 송풍량, 방연댐퍼부의 송풍량, 상기 송풍기의 송풍량의 합과 소방법의 규정에서 요구하는 덕트의 누설 및 송풍기 풍량 선정 안전율을 적용하여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It is provided to each floor to supply outdoor air supplied with a certain amount of air to the duct inside the building by means of a blower to control the pressure in the annex of the corresponding floor,
The surplus air remaining after supplying the outdoor air required by the annex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a leak damper unit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annex to a preset pressur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eakage required in case of a fire to all the corresponding floors;
a smoke-proof damper unit for supplying a smoke-proof air volume to block the inflow of smoke from the room to an ancillary room together with the leakage damper unit when a fire occurs on one of the corresponding floors; and
Including; and a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akage damper unit and the smoke damper unit;
The specifications of the leak damper part and the smoke damper part are,
It is done by the load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nnex,
The leakage damper part selects an effective area at a pressure of 70% or more of the set pressure standard of the non-fire floor for design,
The smoke-proof damper part selects an effective area according to "smoke-proof air volume - air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leak damper when the pressure in the annex is the minimum pressure =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smoke-proof damper",
The selection of the blower is based on "When the pressure of the non-fire floor ancillary room is 70% or more, the air volume suppli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 (the number of annexed rooms -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smoke damper) = the total leakage amount" and "the amount of the smoke protection air amount of the regulation × the number of applications of the smoke damper", " Number of door openings by door opening rate due to evacuation of the fire floor × (Leakage damper airflow when the pressure in the annex is the lowest pressure - Leakage damper airflow when the set pressure is 70% or more = Air volume additionally required for evacuation" calculat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for build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by applying a safety factor for selecting the airflow amount of the leakage damper part, the blowing volume of the smoke-proof damper part, the sum of the blower's blowing volume, and the duct leakage and blower air volume selection safety factor required by the regulations of the Fire Protection Act.
상기 덕트는 각 층으로 외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연결덕트가 포함되고,
상기 누설댐퍼부는 방연 댐퍼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차압 및 방연댐퍼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에 설치되며,
상기 누설댐퍼부의 유효면적은,
상기 방연댐퍼부 유효면적의 10 ~ 25%로, 건물의 부속실 형태에 따른 부하에 의한 누설량 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duct includes a connection duct for blowing outside air to each floor,
The leak damper part is provided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moke damper part and installed in the connection duct,
The effective area of the leakage damper is,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for buildings, characterized in that 10 to 25% of the effective area of the smoke-proof damper part, and is formed by the ratio of the leakage amount due to the loa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nnex of the building.
상기 누설댐퍼부는,
상기 차압 및 방연댐퍼프레임의 상단부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종(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댐퍼날개의 누설댐핑공간부;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상기 누설댐핑공간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구비되는 누설댐퍼날개; 및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상기 누설댐퍼날개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누설댐핑공간부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누설댐퍼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연댐퍼부는,
상기 차압 및 방연댐퍼프레임의 하단부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누설댐핑공간부의 최대 크기의 좌우 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방연댐핑공간부;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도록 쌍을 이루며, 상기 방연댐핑공간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는 방연댐퍼날개;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각 쌍을 이루는 상기 방연댐퍼날개를 상호방향 또는 상호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방연댐핑공간부의 방연 송풍량을 공급하는 방연댐퍼구동부;를 포함하는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akage damper part,
a leakage damping space portion of a damper blade installed in a longitudinal (vertical) direction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ide the upper end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frame;
a pair of leakage damper blades that are simultaneously rotated in mutual or opposite directions, the plurality of leakage damper blades being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eakage damping space; and
A leak damper driving unit controll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leakage damper blades forming each pair in mutual or opposite directions to adjust the amount of air blown in the leakage damping space;
The smoke damper part,
a smoke-proof damping space part form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fram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aximum size of the leakage damping space part, an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smoke-proof damper blades provided in a plurality of vertical directions in the smoke-proof damping space to simultaneously rotate in mutually or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Controlled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the smoke damper driving unit for supplying the smoke blowing amount of the smoke-proof damping space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smoke-proof damper blades forming each pair in mutual or opposite directions;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for buildings comprising a damper module.
상기 부속실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건물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 및
상기 부속실에 구비된 실내 출입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부속실의 설정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방연댐퍼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누설댐퍼부를 제어하며,
상기 화재감지 센서의 신호와 도어개폐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회로를 통해 상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고,
상기 부속실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내 출입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각 실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개폐센서는 각 출입도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논리회로는,
해당 실내의 화재감지센서의 신호와 해당 출입도어의 도어개폐센서의 신호를 동시간대에 감지될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논리회로; 및
상기 제1논리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로 방연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하나의 제2논리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차압 및 방연제어부는,
상기 제2논리회로의 방연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누설댐퍼부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 채로 상기 방연댐퍼부를 개방시켜 부속실로 방연풍량을 공급하여 화재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annex;
a fire sensor for detecting a fire in a building; and
A door opening/clo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indoor access door provided in the annex room is opened or closed is further provided,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akage damper in a state in which the smoke damper is closed so that the preset pressure of the attached chamber is maintained by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pressure sensor,
Controls the smoke damper unit through a logic circuit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door opening/closing sensor,
The annex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door access door,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in each room,
The door opening/closing sensor is provided in each entrance door,
The logic circuit is
at least one first logic circuit for transmitting a signal when the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of the corresponding room and the signal of the door opening/closing sensor of the corresponding door are detected at the same time; and
a second logic circuit for transmitting a smoke control signal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one or more signals from among the first logic circuits;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control unit,
When the smok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logic circuit is received, the smoke damper is opened while the open state of the leakage damper is maintained to supply a smoke-proof air volume to the annex to prevent fire smoke from flowing into the annex.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의 압력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누설댐퍼부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외기공급단계의 외기를 해당 부속실로 송풍시켜 일정 압력으로 제어되는 누설운영단계; 및
상기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의 화재감지 센서 신호와 도어개폐 센서 신호를 수신할 경우, 방연댐퍼부를 제어하여 해당 부속실로 외기를 공급하여 화재발생된 실내의 연기가 부속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연운영단계;를 포함하는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모듈 운영방법.an outdoor air supply step in which outdoor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a duct of a building by a blow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4, and 6, by receiving the pressure sensor signal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and controlling the leakage damper, the outdoor air of the outdoor air supply step is blown to the corresponding accessory room. Leakage operation step controlled by a constant pressure; and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signal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damper module and the door opening sensor signal are received, the smoke damper unit is controlle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corresponding annex to prevent the smoke from entering the annexed room from entering the annexed room.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proof damper module operation method for buildings, inclu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024A KR102413971B1 (en) | 2021-03-31 | 2021-03-31 |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024A KR102413971B1 (en) | 2021-03-31 | 2021-03-31 |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3971B1 true KR102413971B1 (en) | 2022-06-27 |
Family
ID=8224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024A Active KR102413971B1 (en) | 2021-03-31 | 2021-03-31 |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397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40566A (en) * | 2024-07-02 | 2024-09-13 | 南通市康复医院(南通市第二人民医院) | A hospital infec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9056A (en) * | 2012-11-07 | 2014-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mok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 of evacuation door, and operating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KR102113241B1 (en) * | 2019-05-29 | 2020-05-25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2024A patent/KR1024139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59056A (en) * | 2012-11-07 | 2014-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mok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 of evacuation door, and operating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KR102113241B1 (en) * | 2019-05-29 | 2020-05-25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40566A (en) * | 2024-07-02 | 2024-09-13 | 南通市康复医院(南通市第二人民医院) | A hospital infec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239B1 (en) | Supply damper of separating the leakage air flow and the supplementary air flow,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1610281B1 (en) | Dual-Mode Controller for smoke dampers and control method of air supply | |
KR102113241B1 (en) |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smok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409791B1 (en) | Smok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operating condition based on opening and closing condition of evacuation door, and operating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1969947B1 (en) | systems for smoke control of high rise building | |
KR101934034B1 (en) | apparatus for smoke-proof of building | |
KR101242179B1 (en) | method of fire smoke control of building | |
KR102622256B1 (en) |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and its system | |
KR20210019251A (en) | Complex air supplying damper and smoke control system of high-rise building comprising the same | |
KR20130136758A (en) | Air supply damper for arithmetic and control unit of pressure-air flow | |
KR10248487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oke of high-rise building | |
KR20180109269A (en) | Apparatus for removing smoke of construction | |
KR101402304B1 (en) | Proportional Control Systems of Air Supply Damper at Smoke Control Room | |
KR20150017398A (en) | Metod of fire smoke control and apparatus of smoke-proof of building | |
KR102413971B1 (en) | Differential pressure and smoke blocking damper module for building of air supply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683535B1 (en) | Smok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KR20090044172A (en) | How to smoke in high-rise buildings | |
KR101123934B1 (en) | Smoke control system of supplying air flow separately each for the air leakage through the gaps and the air flow through the open door | |
KR100671477B1 (en) | High precision automatic integrated smoke control device | |
KR20110082277A (en) | Air supply pressure elimination device | |
KR102565051B1 (en) | Building smoke prevention system and building smoke prevention method using smoke damper module for hoistway pressurization method | |
KR102472580B1 (en) | High-rise building ventilation system with automatic differential pressure supply damper | |
Black | Use of Air-Handling Equipment to Manage Smoke Movement During a High-Rise Fire. | |
KR20230124488A (en) | Smoke control system | |
JPH0938223A (en) | Fire proof smoke proof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