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8159B1 -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159B1
KR102608159B1 KR1020210102071A KR20210102071A KR102608159B1 KR 102608159 B1 KR102608159 B1 KR 102608159B1 KR 1020210102071 A KR1020210102071 A KR 1020210102071A KR 20210102071 A KR20210102071 A KR 20210102071A KR 102608159 B1 KR102608159 B1 KR 102608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est
sound
signals
s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071A (ko
Inventor
위안-슈앙 류
데이비드 홍
밍-처 추앙
핑-성 왕
Original Assignee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81C99/0035Testing
    • B81C99/0045End test of the packaged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81C99/0035Testing
    • B81C99/005Test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2Sensors
    • B81B2201/0257Microphones or micro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검사 플랫폼; 로딩 기기, 검사 신호 생성 기기, 사운드 감지 기기, 제어 유닛 및 언로딩 기기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로딩 기기는 상기 검사 플랫폼에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사 신호 생성 기기는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 감지 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사 플랫폼으로부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언로딩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 감지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THEREOF}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3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65,163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효율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sound transducer)는 전형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 형태로 제조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 후, 웨이퍼는 개별화/소잉 공정(singular/sawing process)에서 개별 MEMS 다이로 분리된 다음 패키징 공정에서 보호 패키지 구조체로서 조립된다.
검사는 결함이 있는 제품과 결함이 없는 제품을 구분하는 프로세스이다.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음향 검사(acoustic testing)는 제조업체의 지속적인 관심사이다. 그러나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는 보통 수동으로 검사되므로, 다양한 문제와 시간, 비용 및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수동 검사는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의 수를 제한한다. 검사하는 동안,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는 검사 보드에 부착되고 음향 챔버 내부의 마이크로폰 옆에 배치된다. 노출된 상태의 음향 챔버 외부의 위치와 차폐된 상태의 음향 챔버 내부의 제2 위치 사이를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은 어렵다. 수동 검사 접근 방식에도 방음(sound-proof) 문제가 있다.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와 마이크로폰 사이의 거리는 매번 수동으로 교정/조정되어서, 정확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MEMS 사운드 트랜스듀서의 음향 검사에 관해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검사 효율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검사 플랫폼(testing platform); 상기 검사 플랫폼에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under-test device)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로딩 기기(loading device);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사 신호 생성 기기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함 -;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감지 기기; 제어 유닛; 및 언로딩 기기(unload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언로딩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사운드 감지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하는,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검사 플랫폼에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운드 감지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검사 신호는 복수의 톤을 가짐 -;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검사 신호를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복수의 검사 신호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상기 복수의 검사 신호에 따른 상기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다양한 도면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의심할 여지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대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도 2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소켓이 개방/노출되어 있을 때의 도 3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소켓이 폐쇄/차폐되어 있을 때의 도 3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소켓 및 사운드 감지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대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도 7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소켓이 개방/노출되어 있을 때의 도 8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소켓이 폐쇄/차폐되어 있을 때의 도 8에 도시된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소켓 및 사운드 감지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사운드 감지 기기 및 검사 대상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에 개시된 검사 방법은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양산을 위한 종래의 반도체 검사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반도체 패키징된) 스피커에 대한 (최종)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반도체 검사 프로세스와 비교하면, 본 출원의 검사 장치에는 마이크로폰(들)이 배치된다. 또한, 본 출원의 검사 장치는 검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검사하는 동안 스피커의 후면/제2(back/second) 서브 챔버의 기압 변화가 전면/제1(front/first) 서브 챔버의 기압 변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밀봉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음향 검사 시스템(10)은 검사 대상 기기(DUT1) 및 검사 장치(110)를 포함한다. 검사 장치(110)는 종래의 핸들러(handler)와 유사하다. 해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핸들러는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을 위해 제조된 반도체 장치에 대한 최종 검사에 사용된다. 핸들러로서, 검사 장치(110)는 소켓(111), 검사 플랫폼(112), 로딩 기기(113),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 검사기(116), 언로딩 기기(117) 및 제어 유닛(119)를 포함할 수 있다. 대량 검사는 검사 장치(110)를 사용하여 자동화된다.
사운드를 생성하지 않는 반도체 기기의 최종 검사를 위한 기존의 핸들러와 달리, 음향 검사를 위한 검사 장치(110)는 사운드 감지 기기(들)(예: 도 3의 사운드 감지 기기(315))를 더 포함하는 데, 이는 특히 대량 생산을 위해,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된 사운드 생성 기기의 최종 검사를 위한 것이다.
제어 유닛(119)은 처리 회로(들)(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MCU(MicroController Unit) 또는 제어기), 로직 또는 디지털 회로(들)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실현/구현될 수 있는 컨트롤러 또는 제어 회로일 수 있다. 회로(들), 또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 유닛(119)이 특정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한, 제어 유닛(119)의 요건은 충족된다.
로딩 기기(113)는 트레이/캐리어로부터 검사 대상 기기(DUT1)를 이동시키고 검사 플랫폼(112) 상에 검사 대상 기기(DUT1)를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로딩 기기(113)는 검사 대상 기기(DUT1)의 집기(picking) 및 놓기(placing) 동작을 자동 수행을 위한 로봇 팔(들)일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기존 반도체 검사 장치의 로더(loade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는 검사 신호(들)(예: 도 16의 DC 전압(들)(Vdc) 또는 입력 신호(들)(Sn16))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검사 대상 기기(DUT1)가 로딩 기기(113)에 의해 검사 플랫폼(112)에 놓인 후,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DUT1)은 검사 신호(들)를 수신한 다음, 검사 신호(들)에 따라 검사 사운드(예: 도 16의 검사 사운드(TS16))를 생성할 수 있다.
검사 플랫폼(112)에 장착된 사운드 감지 기기(들)는 검사 사운드(들)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사운드 감지 기기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언로딩 기기(117)는 검사 플랫폼(112)으로부터 검사 대상 기기(DUT1)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언로딩 기기(117)는 로봇 팔(들)일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반도체 검사 장치의 언로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9)은 검사 플랫폼(112)으로부터 검사 대상 기기(DUT1)를 언로딩하도록 언로딩 기기(117)를 제어하고, 검사 대상 기기(DUT1)에서 생성되고 사운드 감지 기기(들)에 의해 수신되는 검사 사운드에 따라 검사 대상 기기(DUT1)를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언로딩 기기(11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검사 사운드는 검사 사운드에 대응하는 검사 대상 기기(DUT1)의 성능을 결정하기 위해 (검사기(116)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 유닛(119)은 검사/분석의 결과에 따라 검사 대상 기기(DUT1)가 할당받을 빈/트레이를 언로딩 기기(117)에 통지할 수 있다. 검사 사운드가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검사 대상 기기(DUT1)는 통과한(합격) 그룹 또는 퍼스트 클래스 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렇지 않으면 검사 대상 기기(DUT1)은 실패한(불합격) 그룹 또는 다른 클래스 그룹으로 분류된다.
한마디로, 검사 장치(110)는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양산을 위한 종래의 반도체 검사 장치를 사용한다. 또한, 검사 장치(110)의 사운드 감지 기기(들)는 검사 대상 기기(DUT1)에 대한 음향 검사를 용이하게 한다.
검사 장치(110)의 검사 플랫폼(112)에 배치된 소켓(111)(포고 핀(pogo pin)이 있는 키트/소켓 보드(111b))은 검사 품질 개선 및/또는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검사 대상 기기(DUT1)의 구조에 따라 정교한 접근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러 상의 전통적인 소켓과 달리, 본 출원의 소켓은 밀봉 구성요소(sealing compon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 구성요소는 더 나은 검사 음질을 달성하기 위해, 검사 대상 기기 내에 형성된 제2 챔버로부터 제1 챔버를 격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대상 기기(DUT2)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도 2에 도시된 소켓(3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2)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소켓(311)이 개방/노출되어 있을 때의 소켓(3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2)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소켓(311)이 폐쇄/차폐되어 있을 때의 소켓(3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2)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소켓(311) 및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는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도시된 CSP2 단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 기기(DUT2)는 베이스(210), 칩(220), 캡(230) 및 챔버(CB)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대상 기기(DUT2)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6/699,078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패키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칩(220)은 멤브레인(membrane)(222) 및 액추에이터(actuator)(224)를 포함할 수 있다(이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6/920,384호 또는 제16/699,078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음). (예를 들어, 공기 펄스를 생성함으로써)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멤브레인(222)은 챔버(CB)를 전면/제1 서브 챔버(CB1)와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 구획할 수 있다. 전면/제1 서브 챔버(CB1)는 멤브레인(222)과 캡(230) 사이에 위치하고; 후면/제2 서브 챔버(CB2)는 멤브레인(222)과 베이스(210) 사이에 위치한다.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캡(230)은 전면/제1 서브 챔버(CB1)와 연결되는 사운드 출구 개구부(sound outlet opening)(S02)를 가질 수 있어, 멤브레인(222)에 의해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가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를 통해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는 칩(120)의 상부 측에 위치될 수 있고 멤브레인(222)을 향할 수 있다(상부 측에 평행함). 따라서, 검사 대상 기기(DUT2)는 상단 발사 사운드 생성 기기(top firing sound producing device)로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단 발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30)의 상부 구조/플레이트에 사운드 출구 개구부가 형성된 패키지 구조를 의미하고, 캡(230)의 상부 구조/플레이트는 멤브레인(2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베이스(210)는 예를 들어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후면/제2 서브 챔버(CB2)에 연결된 후면 개구부(들)(B02) 및/또는 베이스(210)의 가장 바깥 측면에 배치된 본딩 패드(들)(BP3)을 가질 수 있다. 후면 개구부(B02)의 크기는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보다 작거나 같다. 본딩 패드(들)(BP3)는 트레이스(들)/와이어(들)를 통해 칩(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칩(220)의 액추에이터(224)는 검사 신호(들)와 같은 신호(들)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소켓(311)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소켓(311)은 소켓 커버(311C) 및 소켓 베이스(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베이스(311B)는 검사 플랫폼(112)에 장착/고정될 수 있다. 로딩 기기(11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 기기(DUT2)를 취하여 검사 대상 기기(DUT2)를 소켓(311)에 넣은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버(311C)는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상단 및/또는 소켓 베이스(311B)의 상단에 대해 아래쪽으로 적당한 힘을 가하여 소켓 커버(311C)가 검사 대상 기기(DUT2) 및/또는 소킷 베이스(311B)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대상 기기(DUT2)는 빠른 자동화된 (최종) 검사를 위해 소켓 커버(311C)와 소켓 베이스(311B)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버(311C)는 소켓 커버 구성요소(311C1-311C3), (스프링) 포고 핀(311PGP),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311PCB)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커버 구성요소(311C1-311C3)는 인쇄 회로 기판(311PCB) 및 포고 핀(311PGP)을 고정/보관하기 위해 조립되는 개별 구성요소이다.
검사하는 동안, (개방/노출된) 소켓 베이스(311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버(311C)로 폐쇄/차폐된다.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본딩 패드(들)(BP3)는 포고 핀(311PGP)(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압력형 커넥터(들))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311PCB)에 연결될 수 있고,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는 인쇄 회로 기판(311PCB)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사 신호(들)는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에서 검사 대상 기기(DUT2)로 송신되고, 검사 대상 기기(DUT2)는 검사 신호(들)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아래쪽으로 생성할 수 있다.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소켓 커버 구성요소(311C1-311C3) 및 인쇄 회로 기판(311PCB)은 각각 개구부(311C1h-311C3h) 및 개구부(311PCBh)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11)의 개구부(311C1h-311C3h, 311PCBh)는 예를 들어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검사 대상 기기(DUT2)의 후면 개구(들)(B02)의 분포에 따라 설계된다. 소켓 커버 구성요소(311C3)를 예로 든다: 개구(311C3h)의 면적은 후면 개구부(들)(B02)의 분포 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며,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베이스(210)의 중앙 영역에 분포될 수 있다. 개구부(311C3h)는 모든 후면 개구(들)(B02)와 겹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베이스(311B)는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311B2), 밀봉 구성요소(311SG), 실리콘 바(311SB) 및/또는 실리콘 링(311SG)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311B2) 및 소켓 보드(111b)는 밀봉 구성요소(311SG), 실리콘 바(311SB), 실리콘 링(311SG) 및 사운드 감지 기기(315)를 고정/수납하기 위해 조립되는 개별 부품이다. 예를 들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의 개구부(311B1h)의 면적/둘레/윤곽은, 검사 대상 기기(DUT2)가 개구부(311B1h) 내에 고정되거나 꽂힐 수 있도록,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면적/둘레/윤곽과 유사하다(동일하거나 매칭됨).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로부터 검사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2)와 밀봉 구성요소(311SG)는 각각 개구(311B2h)와 개구부(311SGh)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11)의 개구(311B2h, 311SGh)는, 예를 들어 검사 사운드를 사운드 감지 기기(315)로 출력하기 위해,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사운드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의 크기에 따라 설계된다. 밀봉 구성요소(311SG)를 예로 든다: 개구부(311SGh)의 면적은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아서 밀봉 구성요소(311SG)가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를 막거나 덮는 것을 방지한다. 개구부(311SGh)는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와 겹친다. 사운드 출구 개구부02)의 기하학적 중심은 밀봉 구성요소(311SG)의 개구부(311SGh)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수신면(receiving surface)(315r)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략 정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311B2), 밀봉 구성요소(311SG) 및 실리콘 링(311SG)은 장벽을 세워 소음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검사 사운드를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311B2), 밀봉 구성요소(311SG) 및 사운드 감지 기기(315)에 의해 둘러싸인 폐쇄 공간에 가둔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켓(311)의 밀봉 구성요소(311SG)(실링 개스킷 역할을 함)는, 로딩 기기(113)에 의해 검사 플랫폼(112)으로 이미 이동된 검사 대상 기기(DUT2)가 검사 신호(들)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전면/제1 서브 챔버(CB1)를 검사 대상 기기(DUT2)의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 격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멤브레인(222)이 진동하여 약간의 기압 변화를 일으킬 때, 후면/제2 서브 챔버(CB2)의 기압 변화는 전면/제1 서브 챔버(CB1)의 기압 변화를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전면/제1 서브 챔버(CB1)의 기압 변화는 소켓 베이스(311B)의 개구부(311B1h-311B2h, 311SGh)를 통해 파동으로 이동하고 사운드 감지 기기(315)에 의해 감지/측정된다.
밀봉 구성요소(311SG)는 어느 정도 유연한(yielding) 재료로 만들어져서 밀봉 구성요소(311SG)가 변형될 수 있고, 밀봉 구성요소(311SG)가 설계된 공간을 단단히 채우고 및/또는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311B1-311B2)와 검사 대상 기기(DUT2) 사이의 (약간 불규칙한) 갭을 밀봉할 수 있다. 밀봉 구성요소(311SG)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대안으로, 밀봉 구성요소(311SG)는 종이, 고무, 금속, 코르크, 펠트,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섬유유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Teflon으로 알려짐) 또는 플라스틱 중합체(예: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로 제조될 수 있다. 밀봉 구성요소(311SG)의 경도는 20N/mm²(제곱 밀리미터당 뉴턴)일 수 있다.
한마디로, 소켓(311)의 소켓 베이스(311B)는 검사 대상 기기(DUT2)로부터의 검사 사운드가 사운드 감지 기기(315)를 통과하여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개구부(311B1h-311B2h, 311SGh)를 갖는다. 밀봉 구성요소(311SG)(압축 중)는 검사 중에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의 및/또는 전면/제1 서브 챔버(CB1) 내로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여, 후면/제2 서브 챔버(CB2)의 기압 변화가 전면/제1 서브 챔버(CB1)의 기압 변화를 방해하지 않고 소켓(311)의 소켓 커버(311C)의 개구부(311C1h-311C3h, 311PCBh)를 가로질러 전파될 것이다. 이는 검사 품질을 개선 및/또는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소켓(311)의 구조는 검사 대상 기기(DUT2)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대상 기기(DUT7)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도 7에 도시된 소켓(8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7)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소켓(811)이 개방/노출되어 있을 때 소켓(8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7)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소켓(811)이 폐쇄/차폐되어 있을 때 소켓(8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7)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도 13은 소켓(811) 및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개략도이다.
도 7의 (a)는 검사 대상 기기(DUT2)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도시된 CSP7 단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검사 대상 기기(DUT2)의 캡(230)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02)와 비교하면, 도 7에 도시된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캡(730)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07)는 칩(120)의 측면(칩(220)의 멤브레인(222)에 수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대상 기기(DUT7)는 측면 발사(side firing) 사운드 생성 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면 발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730)의 측벽에 사운드 출구 개구부가 형성된 패키지 구조를 의미하고, 캡(730)의 측벽은 멤브레인(22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검사 대상 기기(DUT7)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7/348,773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패키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811)은 소켓 커버(811C) 및 소켓 베이스(81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소켓 커버(311C)와 비교하면, 도 8에 도시된 소켓 커버(811C)는 소켓 커버 구성요소(811C1-811C4), 및/또는 (스프링) 포고 핀(311PGP)과는 별도로 밀봉 구성요소(811SG),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311PCB)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소켓 커버 구성요소(811C1-811C3), 밀봉 구성요소(811SG) 및 인쇄 회로 기판(311PCB)은 각각 개구부(811C1h-811C3h, 811SGh, 및 311PCBh)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811)의 개구부(811C1h-811C3h, 811SGh, 311PCBh)는 예를 들어 공기가 자유롭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도록 검사 대상 기기(DUT7)의 후면 개구부(들)(B02)의 분포에 따라 설계된다. 밀봉 구성요소(811SG)를 예로 든다: 개구부(811SGh)의 면적은 후면 개구부(들)(B02)의 분포 면적보다 크거나 같다. 개구부(811SGh)는 모든 후면 개구부(들)(B02)와 겹친다.
도 3에 도시된 소켓 베이스(311B)와 비교하면, 도 8에 도시된 소켓 베이스(811B)는 실리콘 링(311SG)과는 별도로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811B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 및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저면도를 나타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는 개구부(811B1h) 뿐만 아니라 그루브(811B1g)를 갖는다.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개구(811B1h)의 면적/둘레/윤곽은 검사 대상 기기(DUT7)을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에 고정하기 위해 검사 대상 기기(DUT7)의 면적/둘레/윤곽과 유사하다.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그루브(811B1g)의 폭(W1g)은 검사 대상 기기(DUT7)가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7)의 개구부(11B1h)의 폭(W1h)보다 좁거나 같다.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07)로부터 검사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2)는 개구부(811B2h)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그루브(811B1g)의 폭(W1g) 또는 길이(L1g)는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07)의 크기(예: 폭 WW 또는 길이 LL)에 따라 설계되어, 예를 들어, 검사 사운드를 사운드 감지 기기(315)에 출력한다.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그루브(611B1g)의 폭(W1g) 또는 길이(L1g)는 폭(WW) 또는 길이(LL)보다 넓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2)의 개구부(811B2h)의 깊이(D2)는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그루브(811B1g)의 깊이(D1g)에 따라 설계되어, 예를 들어 검사 사운드를 사운드 감지 기기(315)에 출력한다. 개구부(811B2h)는 그루브(811B1g)와 겹친다. 사운드 출구 개구부(S07)의 기하학적 중심은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1)의 그루브(811B1g)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수신면(315r)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략 정렬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플랫폼(112)에 이미 로딩된 검사 대상 기기(DUT7)가 검사 신호(들)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생성할 때 소켓(811)의 밀봉 구성요소(811SG)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 기기(DUT7)의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전면/제1 서브 챔버(CB1)를 격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 기기(DUT7)의 멤브레인(222)이 진동할 때, 후면/제2 서브 챔버(CB2)의 기압 변화는 전면/제1 서브 챔버(CB1)의 압력 변화를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전면/제1 서브 챔버(CB1)의 기압 변화는 소켓 베이스(811B)의 그루브(811B1g) 및 개구부(811B2h)를 통해 파동으로 이동하여 사운드 감지 기기(315)에 의해 감지/측정된다.
한마디로, 소켓(811)의 소켓 베이스(811B)는 검사 대상 기기(DUT7)로부터의 검사 사운드가 통과하여 밖으로 사운드 감지 기기(315)로 이동하도록 그루브(811B1g) 및 개구부11B2h)를 갖는다. 밀봉 구성요소(811SG)는 검사 중에 후면/제2 서브 챔버(CB2)로부터의 및/또는 전면/제1 서브 챔버(CB1) 내로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고, 후면/제2 서브 챔버(CB2)의 기압 변화는 전면/제1 서브챔버(CB1)의 기압 변화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켓(811)의 소켓 커버(811C)의 개구부(811C1h-811C3h, 811SGh, 311PCBh)를 가로질러 전파될 것이다. 이는 검사 품질을 개선하고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수신면(315r)은 검사 대상 기기(DUT7)의 멤브레인(222)에 평행하고 사운드 출구 개구부(S07)는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캡(730)의 측면(멤브레인(222)에 수직)에 위치한다. 소켓(811)의 소켓 베이스(811B)의 구조는 사운드 감지 기기(315)와 검사 대상 기기(DUT7)의 배치/구조에 따라 설계된다.
소켓 베이스의 구조는 사운드 감지 기기 및/또는 검사 대상 기기의 배치/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1411),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검사 대상 기기(DUT7)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소켓 베이스(811B)의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811B2)와 비교하면, 도 14에 도시된 소켓(1411)의 소켓 베이스(1411B)의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1411B2)는 사운드 감지 기기(315)의 수신면(315r)이 검사 대상 기기(DUT7)의 멤브레인(222)에 수직이지만 검사 대상 기기(DUT7)의 캡(730)의 측면(사운드 출구 개구부(S07)가 위침함)과 평행하는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도 8에서, 소켓(811)의 소켓 베이스(811B)는 하나의 사운드 감지 기기(315) 및 하나의 검사 대상 기기(DUT7)를 수용함에 유의하기 바란다. 각각의 사운드 감지 기기(315)는 하나의 검사 대상 기기(DUT7)에 대응한다.
다른 측면에서, 하나의 사운드 감지 기기(315)는 하나 이상의 검사 대상 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15)의 개략도이다. 음향 검사 시스템(15)은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 및 검사 장치(1510)를 포함한다. 검사 장치(1510)는 사운드 감지 기기(1515), 소켓(111)과는 별도로 증폭기(1514m), 검사 플랫폼(112), 로딩 기기(113),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 검사기(116), 언로딩 기기(117), 및/또는 제어 유닛(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검사 시스템(10)과 비교하면,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의 검사는 병렬로 일어날 수 있다.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는 서로 다른 주파수/톤에 대응하는 검사 신호(Sn15a-Sn15d)를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 각각에 한 번에 송할 수 있다. 검사 신호(Sn15a-Sn15d) 각각을 동시에 수신한 후,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는 각각 검사 사운드(TS15a-TS15d)를 생성할 수 있고, 검사 사운드(TS15a-TS15d)는 검사 사운드를 구성하기 위해 중첩될 수 있다. 사운드 감지 기기(1515)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 대응하는 검사 사운드(TS15a-TS15d)를 한 번에 감지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톤의 검사 신호(Sn15a-Sn15d)를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에 제공함으로써,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에서 생성된 검사 사운드(TS15a-TS15d)는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기 때문에 검사기(116)는 각각의 검사 사운드(TS15a-TS15d)를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 각각의 오디오 성능을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의 검사 병렬화는 사운드 감지 기기의 수와 검사 비용/공간을 줄일 수 있다.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DUT15a-DUT15d)는 패키징된 검사 대상 기기, (반도체 패키징된) 스피커, 웨이퍼 상의 다이, 또는 개별화/소잉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웨이퍼 상에 형성된 사운드 생성 다이와 같은, 사운드 생성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110/1510)는 DC(Direct Current) 검사뿐만 아니라 음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검사 시스템(16)의 개략도이다. 음향 검사 시스템(16)은 음향 검사 시스템(10 또는 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의 (a)는 DC 검사를 예시한다. DC 검사 동안,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는 DC 전압(들) Vdc와 같은 검사 신호(들)를 검사 대상 기기(DUT16)에 입력할 수 있고, 그러면 검사 대상 기기(DUT16)의 회로 거동(들)은 검사기(116)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사/측정될 수 있다. DC 검사로는 전형적으로 커패시턴스, 누설(입력 핀 및/또는 3상(tri-state) 핀에서), 개방 및 단락, 전압 레벨 및/또는 대기 전류/유효 전력 손실(active power dissipation)에 대한 검사를 포함한다. DC 검사는 모든 본드 와이어(bond wire)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검증하고, 검사 대상 기기(DUT16)에 대한 신호 연속성을 확인하고, 작동 특성을 검증하고/하거나, 검사 대상 기기(DUT16)가 표준 요건에 따라 기능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6의 (b)는 음향 검사를 예시한다. 음향 검사 동안, 검사 신호 생성 기기(114)는 입력 신호(들)/전압(들) Sn16과 같은 검사 신호(들)를 검사 대상 기기(DUT16)에 입력하고, 그러면 사운드 감지 기기(1615)는 검사 대상 기기(DUT16)에서 생성된 검사 사운드(TS16)를 수신/검출할 수 있다. 검사기(116)는 검사 대상 기기(DUT16)의 음향 기능을 검증하기 위해 사운드 감지 기기(1615)의 출력을 분석할 수 있다. 음향 검사로는 사운드 강도, 사운드 파워, 음질 또는 사운드 스펙트럼 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장치(110)는 검사 대상 기기(DUT16)의 음압 레벨(sound-pressure-level, SPL) 또는 전체 고조파 왜곡(total-harmonic-distortion, THD)을 측정할 수 있다. 음향 검사 시스템(16)은 검사 사운드(TS16)의 음압 레벨이 55 데시벨(dB)과 같은 특정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음향 검사 시스템(16)은 왜곡이 생성되거나 증가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검사 장치(110/1510)는 최종 검사 전용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웨이퍼가 형성됨), 웨이퍼 레벨 DC 및 음향 검사(들), 개별화/소잉 공정, 패키징 공정(각각의 분리된 다이가 패키징됨 및/또는 각각 분리된 다이가 인클로저에 장착됨), 최종 검사가 수행되고 위에서 설명한 순서를 따른다.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일 수 있는 검사 대상 기기(DUT16)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이나 금속 단락과 같은 결함은 웨이퍼 레벨 DC 및 음향 검사에서 검사된다. 웨이퍼 레벨 DC 및 음향 검사(들)는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되는 미국 출원 제17/009,78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웨이퍼 레벨에서 수행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 후에 발생하는 와이어 단락, 들뜬 볼(lifted ball), 브리징(bridging) 등의 결함을 최종 검사에서 선별한다. 최종 검사는 검사 장치(110/1510)에 의해 패키징된 스피커(즉, 검사 대상 기기(DUT1)6))에 대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음향 검사 및 DC 검사를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출원은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고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기 위해 대량 생산을 위한 종래의 반도체 검사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또한, 본 출원은 (반도체 패키징된) 스피커에 대한 (최종)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본 출원의 검사 장치에 마이크로폰(들)이 배치된다. 또한, 본 출원의 검사 장치는 검사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검사하는 동안 스피커의 후면/제2 서브 챔버의 기압 변화가 전면/제1 서브 챔버의 기압 변화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관찰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검사 장치로서,
    검사 플랫폼(testing platform);
    상기 검사 플랫폼에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under-test device)를 로딩하도록 구성된 로딩 기기(loading device)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는 사운드를 생성함 - ;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검사 신호 생성 기기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함 -;
    상기 검사 플랫폼 상에 배치된 소켓 -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검사 플랫폼 상에 로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의 일부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2 챔버로부터 상기 제1 챔버를 격리하도록 구성된 밀봉 구성요소(sealing component)를 포함함 -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감지 기기;
    제어 유닛; 및
    언로딩 기기(unload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사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언로딩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하고, 하나 이상의 검사 대상 기기에 의해 생성되고 사운드 감지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상기 언로딩 기기를 제어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성요소는 개구부(opening)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sound outlet opening)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상단 발사 사운드 생성 기기(top firing sound producing device)인,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소켓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베이스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상단 발사 사운드 생성 기기인,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구성요소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후면 개구부(back opening)의 분포 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측면 발사 사운드 생성 기기(side firing sound producing device)인,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소켓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베이스는 개구부 및 그루브(groove)를 갖고, 상기 그루브의 크기는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의 크기보다 넓거나 같으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측면 발사 사운드 생성 기기인,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감지 기기의 수신면의 기하학적 중심은 상기 밀봉 구성요소의 개구부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사운드 출구 개구부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상기 소켓의 그루브의 기하학적 중심에 정렬되는,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소켓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버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가로질러 전파되는 기압 변화를 위해 상기 제2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의 면적은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후면 개구부(back opening)의 분포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소켓 베이스 구성요소, 또는 상기 밀봉 구성요소, 또는 상기 사운드 감지 기기, 또는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는 폐쇄된 공간을 둘러싸는,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는 복수의 검사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검사 신호는 복수의 톤(tone)을 갖고;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검사 신호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되는, 검사 장치.
  10. 검사 방법으로서,
    검사 장치가 검사 플랫폼에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검사 플랫폼에 로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의 일부를 생성하는 경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제1 챔버를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제2 챔버로부터 격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장치가, 하나 이상의 검사 대상 기기에 의해 생성되고 사운드 감지 기기에 의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신호는 복수의 검사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검사 신호는 복수의 톤을 갖고;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검사 신호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되는, 검사 방법.
  12. 검사 방법으로서,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는 복수의 톤을 가짐 -;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 상기 검사 대상 기기는 사운드 생성 기기임 -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가 검사 플랫폼에 로딩되고 상기 검사 사운드의 일부를 생성하는 경우,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제1 챔버를 각각의 검사 대상 기기의 제2 챔버로부터 격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의해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른 상기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검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기기는 패키징된 검사 대상 기기인, 검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대상 기기는 웨이퍼 상에 형성된 사운드 생성 다이(sound producing die)이고,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퍼에 대해 개별화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검사 방법.
  15. 검사 방법으로서,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는 복수의 톤을 가짐 -;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 - 상기 검사 대상 기기는 사운드 생성 기기임 - ;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라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의해 생성되는 검사 사운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른 상기 검사 사운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대상 기기는 웨이퍼 상에 형성된 사운드 생성 다이(sound producing die)이고,
    상기 복수의 톤을 갖는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를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에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검사 대상 기기가 상기 복수의 전기 검사 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퍼에 대해 개별화 공정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는, 검사 방법.
  16. 삭제
KR1020210102071A 2021-03-24 2021-08-03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Active KR102608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65163P 2021-03-24 2021-03-24
US63/165,163 2021-03-24
US17/364,833 US11368804B1 (en) 2021-03-24 2021-06-30 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thereof
US17/364,833 202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071A KR20220133071A (ko) 2022-10-04
KR102608159B1 true KR102608159B1 (ko) 2023-11-29

Family

ID=8206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71A Active KR102608159B1 (ko) 2021-03-24 2021-08-03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68804B1 (ko)
KR (1) KR102608159B1 (ko)
CN (1) CN1151239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760B2 (en) * 2017-11-28 2022-12-27 Ase Test, Inc. Testing device, testing system, and test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72B1 (ko) * 2008-04-25 2008-11-17 주식회사 소비코 휴대용 마이크로 스피커 테스트 박스
KR101409643B1 (ko) * 2013-06-11 2014-06-18 시그마엘텍(주) 스피커 측정 시스템
US20150117654A1 (en) * 2013-10-30 2015-04-30 Amko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transducers
KR102067960B1 (ko) * 2019-10-21 2020-01-20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자동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338B1 (ko) * 2000-11-03 2002-12-11 주식회사 솔로스텍 음향용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TWI369139B (en) * 2006-12-29 2012-07-21 Hon Hai Prec Ind Co Ltd Sound testing equipment
US20130200915A1 (en) * 2012-02-06 2013-08-08 Peter G. Panagas Test System with Test Trays and Automated Test Tray Handling
US20140166483A1 (en) * 2012-12-19 2014-06-19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Electrokinetics-assisted sensor
US11190890B2 (en) * 2017-04-12 2021-11-30 Cirrus Logic, Inc. Testing of multiple electroacoustic devices
CN111741421B (zh) * 2020-05-19 2021-08-27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麦克风自动化测试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72B1 (ko) * 2008-04-25 2008-11-17 주식회사 소비코 휴대용 마이크로 스피커 테스트 박스
KR101409643B1 (ko) * 2013-06-11 2014-06-18 시그마엘텍(주) 스피커 측정 시스템
US20150117654A1 (en) * 2013-10-30 2015-04-30 Amkor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transducers
KR102067960B1 (ko) * 2019-10-21 2020-01-20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스피커 자동화 생산을 위한 스피커 자동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8804B1 (en) 2022-06-21
CN115123996A (zh) 2022-09-30
KR20220133071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457B1 (ko) 음향 테스팅을 위한 마이크로폰 테스트 스탠드
US95101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transducers
KR101901125B1 (ko) Mems 마이크로폰의 신호-대-노이즈 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저비용 방법
US9791504B2 (en) Contactor arrangement, IC test handler and IC test arrangement
KR102074450B1 (ko) 마이크로폰 및 초저압 센서의 결함있는 제조에 대한 테스트
KR102063761B1 (ko) 신호 전송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4461392B2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KR102608159B1 (ko)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20130136916A (ko) 가변 압력 조건 하에서 전자 부품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장치, 테스트 시스템, 방법 및 지지체
KR101897957B1 (ko) 필름 프레임을 사용하여 신호 대 노이즈 비를 테스트하는 방법
TW202138815A (zh) 用於探測系統的屏蔽
JP7535369B2 (ja) Memsデバイスを音響試験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618936B (zh) 用於測試半導體晶粒之裝置及方法
TWI797579B (zh) 測試系統、裂音監聽裝置及裂音監聽方法
JPH10284548A (ja) 半導体ウェハ収納器
TWI740791B (zh) 測試裝置及其取件模組
US20180124534A1 (en) Method for testing signal-to-noise ratio using a film frame
CN102967769B (zh) 测量装置和用于测量芯片到芯片载体连接的方法
CN108459179A (zh) 芯片测试装置
TWI724270B (zh) 具多發聲器之麥克風元件測試座結構
JP2008008726A (ja) 半導体装置の検査装置
JPH06204303A (ja) プローブ装置
CN119181671A (zh) 晶圆测试用晶圆承载结构
JP2002176078A (ja) プローブカード
TW200421513A (en) IC tester system for eliminating electrostatic discharge da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