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8930B1 -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930B1
KR102588930B1 KR1020190020831A KR20190020831A KR102588930B1 KR 102588930 B1 KR102588930 B1 KR 102588930B1 KR 1020190020831 A KR1020190020831 A KR 1020190020831A KR 20190020831 A KR20190020831 A KR 20190020831A KR 102588930 B1 KR102588930 B1 KR 10258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side clutch
release
clutch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208A (ko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30B1/ko
Priority to DE102019120280.9A priority patent/DE102019120280A1/de
Publication of KR2020010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3Stepped gearings with two input flow paths, e.g. double clutch transmission selection of one of the torque flow paths by the corresponding input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37Smoothing ratio shift by using electrical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2Feedforward or open loop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75Clutch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83Clutch input shaf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6Clutch s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6Clutch slip
    • F16D2500/30407Clutch slip change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2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from the output shaft
    • F16D2500/30421Torque of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2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from the output shaft
    • F16D2500/30426Speed of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6Other signal inputs not covered by the groups above
    • F16D2500/3166Detection of an elapsed period of ti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해제를 개시하는 해제개시단계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1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1초기화단계와;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1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2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1토크핸드오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DCT}
본 발명은 DCT(Dual Clutch Transmission)가 탑재된 차량의 변속 제어에 관한 기술이다.
파워 온 다운쉬프트(Power On Downshift)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현재단 보다 하위의 목표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때, 이너셔페이즈(Inertia Phase)와 토크페이즈(Torque Phase)를 차례로 수행함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너셔페이즈에서는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기 시작하여 엔진속도가 현재단에 연결된 해방측클러치 속도로부터 이탈하여 목표단이 연결된 결합측클러치 속도를 향해 상승하도록 하고, 엔진속도가 결합측클러치 속도에 동기되면, 상기 토크페이즈를 수행하는 바, 상기 결합측클러치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면서 동시에 해방측클러치를 완전히 해제하여 변속을 완료하도록 한다.
상기 이너셔페이즈에서 엔진속도를 해방측클러치 속도로부터 증가시켜 결합측클러치 속도로 동기시키는 제어가 안정되고 적절하게 수행되면, 원활한 변속으로 변속감이 향상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50125756 A
본 발명은 DCT 탑재 차량이 파워 온 다운쉬프트 수행 시, 보다 안정되고 적절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신속하고 부드러운 변속으로 변속감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은,
파워 온 다운쉬프트가 개시되면,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해제를 개시하여 엔진속도가 해방측클러치 속도보다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해제개시단계와;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1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1초기화단계와;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1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2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1토크핸드오버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개시단계 이후 상기 제1초기화단계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는 엔진속도와 해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소정의 제1기준값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저감시키는 기울기를 조정하는 변화율조정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초기화단계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는 이축변속인지 동축변속인지 판단하는 변속종류판단단계를 더 수행하여, 이축변속인 경우 상기 제1초기화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 수행결과, 동축변속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3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2초기화단계와;
상기 제3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2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4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2토크핸드오버단계와;
상기 제4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합측클러치와 해방측클러치의 역할을 서로 전환하여, 지금까지 결합측클러치로 작용하던 클러치를 해방측클러치로 하고, 이 해방측클러치의 토크를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로부터 산출한 피드포워드 토크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3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5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3토크핸드오버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다음 수식,
; 해방측클러치 토크
; 엔진토크
; 엔진 관성모멘트
Slip; Ne-Ni
Ne; 엔진회전수
Ni; 결합측클러치 회전수
; 구동계 관성에 기인한 토크
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2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3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4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5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6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7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토크는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과 측정된 엔진속도와 클러치속도의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측정 클러치슬립 변화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되며;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를 산출하는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상기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DCT 탑재 차량이 파워 온 다운쉬프트 수행 시, 보다 안정되고 적절한 클러치 제어를 통해, 신속하고 부드러운 변속으로 변속감을 향상시켜서 궁극적으로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DCT 탑재 차량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속제어 방법을 설명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DCT 탑재 차량의 구성도로서, 엔진(E)의 동력이 제1클러치(CL1) 및 제2클러치(CL2)를 통해 각각 DCT의 제1입력축(IN1) 및 제2입력축(IN2)으로 전달되어 변속된 후 출력축(OUT)을 통해 구동륜(W)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CL1) 및 제2클러치(CL2)를 구동하기 위한 클러치액츄에이터(CA)와, 셀렉팅 및 쉬프팅 기능으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액츄에이터(SA)가 구비되어 컨트롤러(CLR)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러(CLR)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량을 APS(Accelerator Position Sensor)를 통해 입력 받고, 그 외 엔진의 속도와 토크 및 차속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클러치액츄에이터(CA)와 변속액츄에이터(SA)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상황에 맞게 자동적으로 DCT의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엔진은 별도의 EMS(Engine Management System)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컨트롤러(CLR)는 상기 EMS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엔진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상황 및 변속 상황에 따라 엔진의 토크를 조절하여 줄 것을 상기 EMS에게 요청하면, 상기 EMS가 그 요청을 감안하여 상기 엔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은 컨트롤러(CLR)는 TMS(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EMS와 TMS를 통합한 통합 컨트롤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클러치(CL1)와 제2클러치(CL2)는 변속 시에 어느 하나는 해방되면서 다른 하나는 결합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바, 그 변속 상황에 따라 두 클러치 중 하나는 엔진으로부터 분리되는 해방측클러치가 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엔진에 결합되는 결합측클러치가 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파워 온 다운쉬프트가 개시되면,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해제를 개시하여 엔진속도가 해방측클러치 속도보다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해제개시단계(S10)와;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1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1초기화단계(S40)와;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1피드백제어단계(S50)와;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S50)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2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1토크핸드오버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실시예는 파워 온 다운쉬프트가 개시되면, 우선적으로 해방측클러치의 해제를 개시하여 엔진속도를 해방측클러치 속도로부터 벗어나서 상승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통해 산출된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고, 이어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피드백 토크의 합에 따라 피드백 제어함에 의해, 파워 온 다운쉬프트 이너셔페이즈를 신속하고 안정된 상태로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 토크는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과 측정된 엔진속도와 클러치속도의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측정 클러치슬립 변화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되며,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를 산출하는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상기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을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피드백 토크가 모두 동일한 물리량인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을 이용하여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어의 일관성이 확보되어 해방측클러치의 적절한 제어가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해제개시단계(S10) 이후 상기 제1초기화단계(S40)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가 엔진속도와 해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소정의 제1기준값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저감시키는 기울기를 조정하는 변화율조정단계(S20)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해제개시단계(S10)에서 해방측클러치의 토크를 저감시키기 시작하는 기울기와 상기 엔진속도와 해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상기 제1기준값 이상이 된 이후의 해방측클러치 토크 저감 기울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이너셔페이즈의 개시와 보다 신속한 이너셔페이즈의 종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해제개시단계(S10)에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저감시키기 시작하는 기울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엔진이 해방측클러치로부터 비교적 완만히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부드러운 이너셔페이즈의 개시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의 저감 기울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엔진속도가 보다 신속히 증가하여 보다 짧은 시간 내에 이너셔페이즈의 종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한 바와 같은 취지에 따라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며, 예컨대, 50RPM 등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초기화단계(S40)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가 이축변속인지 동축변속인지 판단하는 변속종류판단단계(S30)를 더 수행하여, 이축변속인 경우 상기 제1초기화단계(S40)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동축변속 상황인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 수행결과, 동축변속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3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2초기화단계(S70)와; 상기 제3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2피드백제어단계(S80)와;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S80)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4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2토크핸드오버단계(S90)와; 상기 제4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합측클러치와 해방측클러치의 역할을 서로 전환하여, 지금까지 결합측클러치로 작용하던 클러치를 해방측클러치로 하고, 이 해방측클러치의 토크를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로부터 산출한 피드포워드 토크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와;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5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3토크핸드오버단계(S110)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기준시간과 시점은 상기 변화율조정단계(S20) 완료 후 또는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 완료 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길이는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에 의해 산출된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제1기준시간의 시점에서의 해방측클러치 토크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가 클수록 보다 긴 시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맵 등에 의해 구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1기준시간은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가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그 차이가 클수록 긴 시간이 확보되는 맵을 구비하고, 그 차이에 따라 적절한 시간 값이 선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기준시간도 상기 제1기준시간과 거의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며, 상기 제3기준시간은 단지 상기 제1기준시간이 이축변속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과 구별하여 동축변속인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기준시간과 마찬가지로, 그 시점은 상기 변화율조정단계(S20) 완료 후 또는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 완료 후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 시점에서의 해방측클러치 토크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에 의해 결정된 피드포워드 토크의 차이에 따른 맵 등을 통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 해방측클러치 토크
; 엔진토크
; 엔진 관성모멘트
Slip; Ne-Ni (=클러치슬립)
Ne; 엔진회전수
Ni; 결합측클러치 회전수 (=결합측입력축 회전수)
; 구동계 관성에 기인한 토크
한편, 상기 피드백 토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과, 측정된 엔진속도와 클러치속도의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측정 클러치슬립 변화율의 차이인 클러치슬립변화율에러를 이용하여, 종래 공지의 PID제어(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Control)에 의하여 산출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S50)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2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3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변속진행율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9018789232-pat00011
즉, 상기 변속진행율은 엔진속도가 해방측클러치속도로부터 얼마만큼 결합측클러치속도(=동기속도)에 가까워졌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2기준값과 제3기준값은 실질적으로 엔진속도가 결합측클러치 속도에 거의 근접하여, 실질적인 이너셔페이즈의 종료 시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값들로 설정되는 바, 다수의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란, 결합측클러치가 터치포인트 근처로 이동되어, 제어를 개시하면 즉각적으로 결합측클러치 토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말하는 바, 예컨대 결합측클러치 토크가 -2Nm 이상이 되면, 체결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초기화단계(S40)와 제1피드백제어단계(S50) 및 제1토크핸드오버단계(S60)는 이축변속 시 진행되는 단계들로서, 예컨대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에서 [현재단-목표단 < 2단]인 경우, 즉, 현재단이 4단이고 목표단이 3단인 경우에 수행되는 일련의 단계들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피드백제어단계(S50) 수행 중, 토크페이즈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결합측클러치를 엔진토크에 상응하도록 상승시키면서 토크페이즈를 수행하여 변속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제2기준시간 동안 상기 토크페이즈를 완료하도록 제어하는데, 이 제2기준시간은 차속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S30)에서 동축변속이라고 판단된 경우, 즉 현재단과 목표단의 차이가 2단이어서, 예컨대 현재단이 4단이고 목표단이 2단인 경우에는, 상기 제2초기화단계(S70), 제2피드백제어단계(S80), 제2토크핸드오버단계(S90),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 및 제3토크핸드오버단계(S110)가 차례로 수행되어 동축변속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현재단이 4단이고, 최종적인 목표단이 2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S80)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4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5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목표단기어는 3단의 기어를 말한다. 즉 동축변속은 4단에서 3단으로의 변속과 3단에서 2단으로의 변속이 연속해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 단계에서는 우선적으로 목표단을 3단으로 하여 3단기어가 치합되었는지에 의해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 완료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4기준값과 제5기준값도 상기 제2기준값 및 제3기준값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엔진속도가 결합측클러치 속도(=동기속도)에 거의 근접하여, 실질적인 이너셔페이즈의 종료 시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값들로 설정되는 바, 다수의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S80) 수행 중,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소정의 제4기준시간 동안 토크페이즈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4기준시간은 상기 제2기준시간과 마찬가지로, 차속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실질적으로 DCT는 3단으로 거의 변속이 완료된 상태가 되고, 바로 이어서 2단으로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결합측클러치로 역할을 하던 클러치는 해방측클러치가 되고, 해방측클러치로 역할을 하던 클러치는 결합측클러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들의 역할 전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가 수행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6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7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목표단기어는 2단기어를 말하고, 상기 제6기준값과 제7기준값도 상기 제2기준값이나 제3기준값과 같이 실질적으로 엔진속도가 결합측클러치 속도(=동기속도)에 거의 근접하여, 실질적인 이너셔페이즈의 종료 시점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값들로서, 다수의 실험 및 해석에 의해 설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S100) 수행 중, 토크페이즈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5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함과 동시에 결합측클러치를 엔진토크에 상응하도록 상승시키면서 토크페이즈를 수행하여 변속을 종료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5기준시간도 차속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E; 엔진
CL1; 제1클러치
CL2; 제2클러치
IN1; 제1입력축
IN2; 제2입력축
OUT; 출력축
W; 구동륜
CA; 클러치액츄에이터
SA; 변속액츄에이터
CLR; 컨트롤러
S10; 해제개시단계
S40; 제1초기화단계
S50; 제1피드백제어단계
S60; 제1토크핸드오버단계
S20; 변화율조정단계
S30; 변속종류판단단계
S70; 제2초기화단계
S80; 제2피드백제어단계
S90; 제2토크핸드오버단계
S100; 제3피드백제어단계
S110; 제3토크핸드오버단계

Claims (9)

  1. 파워 온 다운쉬프트가 개시되면,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해제를 개시하여 엔진속도가 해방측클러치 속도보다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해제개시단계와;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1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1초기화단계와;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1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2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1토크핸드오버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개시단계 이후 상기 제1초기화단계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는 엔진속도와 해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소정의 제1기준값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저감시키는 기울기를 조정하는 변화율조정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초기화단계 이전에, 상기 컨트롤러는 이축변속인지 동축변속인지 판단하는 변속종류판단단계를 더 수행하여, 이축변속인 경우 상기 제1초기화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변속종류판단단계 수행결과, 동축변속 상황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한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피드포워드 토크로 설정하고,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소정의 제3기준시간 동안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로 수렴시키는 제2초기화단계와;
    상기 제3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를 산출하여,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를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와 상기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2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4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2토크핸드오버단계와;
    상기 제4기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결합측클러치와 해방측클러치의 역할을 서로 전환하여, 지금까지 결합측클러치로 작용하던 클러치를 해방측클러치로 하고, 이 해방측클러치의 토크를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로부터 산출한 피드포워드 토크와 클러치슬립변화율에 따른 피드백 토크의 합으로 제어하는 제3피드백제어단계와;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상기 컨트롤러가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제5기준시간 동안 상기 해방측클러치를 해제하면서, 결합측클러치 토크를 엔진토크에 상응하게 상승시키는 제3토크핸드오버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다음 수식,

    ; 해방측클러치 토크
    ; 엔진토크
    ; 엔진 관성모멘트
    Slip; Ne-Ni
    Ne; 엔진회전수
    Ni; 결합측클러치 회전수
    ; 구동계 관성에 기인한 토크
    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2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3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4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5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피드백제어단계 수행 중, 목표단기어의 치합이 완료되고, 변속진행율이 소정의 제6기준값 이상이거나 엔진속도와 결합측클러치 속도의 차이가 제7기준값 이상이고, 결합측클러치의 체결준비가 완료된 경우, 토크페이즈의 수행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토크는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과 측정된 엔진속도와 클러치속도의 차이로부터 산출되는 측정 클러치슬립 변화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되며;
    상기 피드포워드 토크를 산출하는 해방측클러치 토크 모델은 상기 목표 클러치슬립 변화율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0190020831A 2019-02-22 2019-02-22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Active KR10258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31A KR102588930B1 (ko) 2019-02-22 2019-02-22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DE102019120280.9A DE102019120280A1 (de) 2019-02-22 2019-07-26 Schaltsteuerungsverfahren für ein fahrzeug mit doppelkupplungsgetrie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31A KR102588930B1 (ko) 2019-02-22 2019-02-22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08A KR20200103208A (ko) 2020-09-02
KR102588930B1 true KR102588930B1 (ko) 2023-10-16

Family

ID=7213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31A Active KR102588930B1 (ko) 2019-02-22 2019-02-22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8930B1 (ko)
DE (1) DE102019120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47698B (zh) * 2021-04-26 2023-09-1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湿式双离合变速器换挡打断控制方法及系统
KR20230067747A (ko) * 2021-11-08 2023-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656822B1 (ko) * 2022-01-26 2024-04-12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Dct 시스템의 사전 기준점 학습 장치 및 방법
CN115009254B (zh) * 2022-06-28 2024-10-11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制动降挡过程中控制离合器和发动机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666B1 (ko) 2016-02-15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19B1 (ko) * 2014-04-29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클러치토크 제어방법
KR101601411B1 (ko) 2014-04-30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KR101846681B1 (ko) * 2016-06-28 2018-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666B1 (ko) 2016-02-15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20280A1 (de) 2020-08-27
KR20200103208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930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588929B1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2817570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592695B1 (ko) Dct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806666B1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CN107401562B (zh) 离合器控制方法以及用于车辆的离合器控制滤波器
JP494135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856331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CN107816542B (zh) 用于dct车辆的换挡控制方法
KR102465907B1 (ko) Dct 차량의 업쉬프트 제어방법
US10316957B2 (en) Shift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s with dual clutch transmission
KR20190070501A (ko) 하이브리드 dct 차량의 다운쉬프트 제어 방법
EP1719681B1 (en) Engine control device of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KR102177599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JP4859588B2 (ja) クラッチ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2532332B1 (ko) Dct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KR101988133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2014137103A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US10723355B1 (en) Vehicle start control method
KR101988134B1 (ko) Am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JP6294587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US11280407B2 (en) Shift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DCT
KR101940793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슬립 제어 방법
US2017008945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40020498A (ko) 하이브리드 amt 시스템의 변속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