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8041B1 -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 Google Patents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041B1
KR102578041B1 KR1020190035553A KR20190035553A KR102578041B1 KR 102578041 B1 KR102578041 B1 KR 102578041B1 KR 1020190035553 A KR1020190035553 A KR 1020190035553A KR 20190035553 A KR20190035553 A KR 20190035553A KR 102578041 B1 KR102578041 B1 KR 10257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eed
engine
unit
speed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219A (ko
Inventor
최학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5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01B51/026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of the automotive vehicle type, e.g. including driver accommo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주행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농작업차량의 고속 주행 중 제동 시에 조속레버 등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기준치 미만으로 엔진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고속 주행 중에도 농작업차량을 효과적으로 제동하여 감속할 수 있는 고속 주행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2)을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동부(10); 상기 엔진(2)에 대한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하는 조속설정부(20); 및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AGRICULTURAL WORKING MACHINE WITH IMPROVED BRAK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농작업차량의 주행 중 제동 시에 조속레버 등에 의해 설정된 회전수기준치 미만으로 엔진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고속 주행 중에도 농작업차량을 효과적으로 제동하여 감속할 수 있는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엔진(2)의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은 차체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고속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 등의 제동부(10)를 작동시켜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더라도 감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제동 거리가 길어지거나 자칫 추돌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는 고속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등의 제동부(10)를 작동시키는 경우 4륜 구동 변속을 통해 4륜의 브레이크를 모두 동작시켜 감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도 한다.
나아가,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는 엔진(2) 회전수(RPM, Revolutions Per Minute)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농작업차량(1)의 진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조속레버 등의 조속설정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조속레버 등의 조속설정부(20)를 이용해 엔진(2) 회전수를 설정하는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키더라도 조속레버 등의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엔진(2) 회전수가 유지되면서 농작업차량(1)의 감속이 더욱 지연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특히,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키더라도 조속레버 등의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엔진(2) 회전수가 유지됨으로써 농작업차량(1)의 감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동 거리가 길어지면서 추돌사고 등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2661호(2003.04.26)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가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를 설정하여 엔진(2) 회전수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도 농작업차량(1)의 효과적인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1)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엔진(2)을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동부(10); 상기 엔진(2)에 대한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하는 조속설정부(20); 및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치에 비례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가속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제어하고,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가속부(30)를 조작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주행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고속 주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가속부(30)를 조작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으로 가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농작업차량(1) 부변속레버가 고속 주행에 대응하는 설정으로 세팅된 경우,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제동부(10)를 미리 정해진 제동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급하게 작동시켜 급제동하는 경우,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조건을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설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제2회전수기준치까지 감소시킨 후,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2회전수기준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면서, 구간을 나누어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제동 시에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에 의해 설정된 제1회전수기준치 미만까지 엔진(2)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농작업차량(1)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상의 농작업차량(1)에서의 조속레버 설정에 따른 엔진 회전수 변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제동 시 엔진 회전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제어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제동 시 엔진 회전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급제동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다양한 엔진 회전수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은, 엔진(2)을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으로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동부(10), 상기 엔진(2)에 대한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하는 조속설정부(20); 및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치에 비례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가속부(30)(예를 들어, 엑셀페달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제어하고,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조건을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설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제동 시에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미만까지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을 구성 요소 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동부(1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부(10)로서 운전자가 발로 밟아 제동하는 브레이크페달이나 손으로 당겨 제동하는 브레이크레버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주행 중인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조속설정부(2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유지하는 기준값이 되는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속설정부(20)로서 운전자가 손으로 밀거나 당겨 조작할 수 있는 조속레버나 손가락 등으로 입력하여 조작할 수 있는 조속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작업차량(1)의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라 함은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뜻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분당 회전수(RPM, Revolutions Per Minute)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는 다양한 단위 시간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를 조작하면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설정치에 맞추어 유지되면서 상기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진행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운전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가속부(3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치에 비례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속부(30)로서 운전자가 발로 밟아 가속하거나 발을 떼어 감속하는 엑셀페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농작업차량(1)을 가속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진(2)의 회전수는 운전자가 상기 엑셀페달을 밟은 각도(엑셀페달 족답량) 등과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치에 비례하여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엔진(2)을 일정한 회전수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상기 엑셀페달을 밟은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운전자가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를 사용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를 사용하여 상기 엔진(2)에 대한 회전수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유지되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감속이 더욱 지연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제동 시에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미만까지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종래 통상의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엔진(2)은 운전자의 상기 엑셀페달 등 가속부(30) 조작 등에 따라 회전수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상기 엑셀페달을 밟는 경우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증가하고 이후 운전자가 엑셀페달에서 발을 떼면 상기 엔진(2)의 회전수도 감소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를 조작하여 상기 엔진(2)에 대한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한 경우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엑셀페달에서 발을 떼더라도(도 3의 t0 시점)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감소하다가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3의 R0)에서 감소를 멈추고 일정한 회전수, 즉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를 유지하게 된다(도 3의 (B)).
나아가,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조작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는 경우에도(도 3의 t0 시점) 상기 엔진(2)의 회전수는 감소하다가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3의 R0)에서 감소를 멈추고 일정한 회전수, 즉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를 유지하게 된다(도 3의 (A)).
이에 따라, 종래 통상의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에 의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조작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되게 되어 효과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나아가 제동 거리가 길어지면서 추돌사고 등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4의 R0)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함으로써(도 4의 (C)),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키지 않고 단순하게 상기 엑셀페달에서 발을 떼는 경우에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4의 R0)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통상적인 작업 수행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도 4의 (D)).
또한,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엔진(2)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엔진제어유닛(ECU, Engine Control Unit)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농작업차량(1)에 구비되는 다른 회로나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등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이 고속 주행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농작업차량(1)이 작업을 수행하는 등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켜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더라도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유지하게 하고, 반면 상기 농작업차량(1)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시키면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원활하게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운전자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 작동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10).
이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주행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고속 주행하는지 여부(예를 들어, 주행속도가 시속 30k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부변속레버(미도시)가 고속 주행에 대응하는 설정으로 세팅되었는지 여부(예를 들어, 부변속레버가 'H' 단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중에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작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될 수 있도록 회전수 유지를 해제하여 줌으로써(S130), 상기 농작업차량(1)이 보다 원활하게 제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가속부(30)를 조작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으로 가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작업차량(1)이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도 6의 (E))시켜 줄 수 있고, 반면 상기 농작업차량(1)이 저속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에도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유지(도 6의 (F))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운전자가 상기 제동부(10)를 미리 정해진 제동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급하게 작동시켜 급제동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제동부(10)를 천천히 작동시켜 상기 농작업차량(1)을 제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도 7에서 브레이크페달을 ① → ⑤ 까지 3초 동안 천천히 밟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유지하게 하고, 반면 운전자가 상기 브레이크페달 등 상기 제동부(10)를 미리 정해진 상기 제동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급하게 작동시켜 급제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동속도기준치가 1초인데 도 7에서 브레이크페달을 ① → ⑤ 까지 0.5초 내에 급하게 밟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보다 원활하게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보면, 상기 농작업차량(1)이 급제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도 6의 (E))시켜 줄 수 있고, 반면 상기 농작업차량(1)이 천천히 제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유지(도 6의 (F))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농작업차량(1)이 급하게 제동되어야 하는 급제동시에 보다 효과적으로 제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8의 R0)보다 작은 제2회전수기준치(도 8의 R1)까지 감소시킨 후(도 8의 (G1) 구간),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2회전수기준치(도 8의 R1)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8의 (G2) 구간).
이때, 상기 제2회전수기준치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상기 엔진(2)의 최소한의 회전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조속설정부(20)의 설정에 따른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도 9 및 도 10의 R0)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면서, 구간(도 9의 (H1), (H2) 구간 및 도 10의 (I1), (I2), (I3) 구간)을 나누어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구간 및 구간별 회전수 감소의 정도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 특성 및 상기 농작업차량(1)에서 요구되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는,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조건을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설정부(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동설정부(40)에서는 운전자가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설정을 입력, 변경, 삭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는 고속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주행속도기준치, 상기 부변속레버 설정치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급제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제동속도기준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동설정부(40)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차량(1)의 제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미만까지 감소시키는 기능 자체를 ON/OFF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제동 시에 상기 조속레버 등 조속설정부(2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미만까지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상기 농작업차량(1)의 제동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제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제동 거리를 단축하고 추돌사고 등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농작업차량 2 : 엔진
10 : 제동부 20 : 조속설정부
30 : 가속부 40 : 제동설정부
50 : 제어부

Claims (9)

  1. 엔진(2)을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설정치에 비례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가속부(30);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제동부(10);
    상기 엔진(2)에 대한 제1회전수기준치를 설정하는 조속설정부(20); 및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로 제어하고,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가속부(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가속부(30)를 조작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주행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고속 주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가속부(30)를 조작하여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 이상으로 가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부변속레버가 고속 주행에 대응하는 설정으로 세팅된 경우,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운전자가 상기 제동부(10)를 미리 정해진 제동속도기준치 이상으로 급하게 작동시켜 급제동하는 경우,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조건을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설정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제2회전수기준치까지 감소시킨 후,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2회전수기준치에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동부(10)의 작동 시 상기 엔진(2)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기준치보다 작은 회전수까지 감소시키면서,
    구간을 나누어 상기 엔진(2)의 회전수가 감소하는 정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차량(1).
KR1020190035553A 2019-03-28 2019-03-28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Active KR10257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53A KR102578041B1 (ko) 2019-03-28 2019-03-28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553A KR102578041B1 (ko) 2019-03-28 2019-03-28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19A KR20200114219A (ko) 2020-10-07
KR102578041B1 true KR102578041B1 (ko) 2023-09-14

Family

ID=7288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553A Active KR102578041B1 (ko) 2019-03-28 2019-03-28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65B1 (ko) * 2005-09-30 2008-04-18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포크리프트용 주행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595A (ja) * 1995-07-14 1997-02-0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用車両
KR20030032661A (ko) 2001-10-19 2003-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랙터용 에어브레이크 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65B1 (ko) * 2005-09-30 2008-04-18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포크리프트용 주행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219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7031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5720701B2 (ja) 車両制御装置
JP6335958B2 (ja) 車両用制動装置
KR102296463B1 (ko) 회생 브레이크 제어 방법 및 회생 브레이크 제어 장치
CN109808767B (zh) 用于使车辆转向的方法和转向系统
JP5610369B2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6371323B2 (ja) 車両用制動装置
WO2017056723A1 (ja) 車両制御装置
JP6829287B2 (ja) 車両用減速度制御装置
JP4301162B2 (ja) 加減速度制御装置
CN110816509B (zh) 制动力控制装置
JP6964626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10256535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 방법
WO2020085040A1 (ja) 車両駆動制御装置、車両の駆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241245A (ja)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KR102578041B1 (ko) 제동 성능이 개선된 농작업차량
JP2010215171A (ja) 定速走行制御装置
JP2010188874A (ja) 車間制御装置
JP5953992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EP1065115A3 (en) Driving force control unit for vehicles
JP4321441B2 (ja) 加減速度制御装置
KR20140074623A (ko) 지게차의 감속 방법
JP7451600B2 (ja) 車速制御装置
JP7311050B2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101664859B1 (ko) 차량용 정속주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