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7267B1 -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267B1
KR102567267B1 KR1020220123964A KR20220123964A KR102567267B1 KR 102567267 B1 KR102567267 B1 KR 102567267B1 KR 1020220123964 A KR1020220123964 A KR 1020220123964A KR 20220123964 A KR20220123964 A KR 20220123964A KR 102567267 B1 KR102567267 B1 KR 10256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lm paper
paper
packaging
co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민
김영재
Original Assignee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륭포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2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3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식품 용기 포장용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PET 필름을 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식품 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분리배출 및 실링이 용이한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Film paper for food container packag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용 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식품 용기 포장용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PET 필름을 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식품 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분리배출 및 실링이 용이한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백화점 등에서는 소비자들이 구매한 음식물을 일회성 식품포장용기(이하, '포장용기'라함)에 담은 후, 이 포장용기를 낱개 식품포장용 실링장치(또는 '진공포장기'라고도 함)에 넣고 낱개로 포장한 뒤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야채나 과일 및 육류 등을 포장할 수 있으며, 단시간 이동 및 섭취 가능한 즉석 조리된 식품을 임시 밀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포장용기와 이를 밀폐하기 위한 다양한 필름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필름지는 신선식품의 호흡과 용기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수용된 식품과 마주보는 필름지의 내측 표면에 수분이 맺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구매자가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웠고, 내부에 맺혀있는 습기로 인해구매욕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포장용기내에 식품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필름지 표면에 맺힌 수분이 식품으로 떨어지면서 식품이 쉽게 변질되고 변질되는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식품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포장용기의 재질을 투명한 PET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포장용기와 이를 밀폐하는 필름지의 재질이 일치하지 않아 분리배출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매번 사용자가 재질을 파악한 후 분리배출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원활한 분리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포장용기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고 식품과 마주보는 필름지의 내측면에 방담기능이 추가되어 식품의 변질을 방지함은 물론 포장용기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면서 사용후 재활용이 용이한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054376호 '포장용 리드필름의 제조방법' (등록일자 2011.07.29)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930호 '식품용기에 접착된 김 서림 방지용 방담필름의 제조방법' 공개일자 2009.01.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며 분리배출이 용이하여 자원 재활용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필름지의 투명성이 확보되어 수용된 식품을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 함은 물론 내측면에 방담효과가 추가된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제1 필름지(100); 상기 제1 필름지(100)가 일측면에 부착되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제2 필름지(200); 상기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코팅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코팅층(300)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300)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5 내지 30 중량부;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5 내지 6 중량부; 1,4-부탄디올(1,4-Butanediol)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3 내지 5 중량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5 내지 7.5 중량부;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0.02 내지 0.05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25 내지 30 중량부;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제1 필름지(100)가 권취된 제1 롤와인더(10)를 준비하는 제1 필름지 준비단계(S100); 제2 필름지(200)가 권취된 제2 롤와인더(20)를 준비하는 제2 필름지 준비단계(S200); 제1 필름지(100) 또는 제2 필름지(2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 상기 제1 필름지(100)와 제2 필름지(200)를 합지시키는 필름합지단계(S400); 일측면에 제1 필름지(100)가 부착된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30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500); 상기 코팅층(300)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0); 상기 건조단계(S600) 수행후 식품용기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가공단계(S700);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코팅액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코팅단계(S500)는 Gravure 코팅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이 간편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필름지의 구성으로 인해 필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품과 마주보는 필름지의 내측면에 방담층이 코팅됨으로 인해 수분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실링된 식품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 및 식품의 변질위험요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필름지의 구성 및 접합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의 제조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식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얇은 필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지를 포장용기에 부착할 때, 포장용기의 가장자리를 가열하면서 필름이 융해되고 융해된 필름이 포장용기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필름지가 포장용기를 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는 제1 필름지(100), 제2 필름지(200) 및 코팅층(300)을 포함한다.
제1 필름지(1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되며, 약 12~1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PET 소재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폴리에스터 수지로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해당한다. PET 소재는 높은 경도, 강성 및 우수한 내마모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낮은 수분흡수율과 투명성으로 인해 음료 등의 식품을 포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접착성과 용접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제2 필름지(200)는 제1 필름지(100)가 일측면에 부착되며 제1 필름지(100)와 동일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다. 제2 필름지(200)는 제1 필름지(10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제1 필름지(100)보다 얇거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호 합지된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PET 소재의 특성인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PET 소재를 이루는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를 합지시키면서 PE 재질로 필름지를 구성할 때 보다 필름지의 두께를 더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내구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품용기와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가 서로 동일한 재질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분리배출을 하지 않아도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1 필름지(100)와 제2 필름지(200)는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되며, 접착되기 전 제1 또는 제2 필름지(100,200) 중 어느 하나의 필름지의 일면에 인쇄공정이 수행되어 글자나 모양 및 패턴 등을 인쇄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인쇄공정을 수행함으로 인해 인쇄염료가 포장된 식품에 묻어나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의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2액형 에폭시, 아크릴접착제, 자외선(UV)경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PET 필름과 PET필름을 접착하는 이미 공지된 접착제는 그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코팅층(300)은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다. 코팅층(300)이 도포된 후 일정온도와 일정시간 동안 건조의 과정을 거치면서 코팅층(300)이 경화되어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와 일체를 이룬다. (도 1 참조)
코팅층(300)은 필름지의 표면에 수분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방담성(antifogging)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포장된 식품에 신선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식품용기 내에 식품을 육안으로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코팅층(300)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를 포함한다.
코팅층(300)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5 내지 30 중량부,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5 내지 6 중량부, 1,4-부탄디올(1,4-Butanediol) 3 내지 5 중량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3 내지 5 중량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5 내지 7.5 중량부,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0.02 내지 0.05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25 내지 30 중량부,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3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코팅층(300)의 투명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활석(Talc)과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를 추가하여 혼합 교반하여 액상의 코팅액을 제조한다. 제조된 코팅액은 제2 필름지(200)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코팅층(300)으로 형성된다. 코팅층(300)이 액상의 코팅액으로 제조된 후 제2 필름지(200)에 도포되는 것은 코팅층(300)과 제2 필름지(200) 상호간 부착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제1 필름지 준비단계(S100), 제2 필름지 준비단계(S200), 접착제 도포단계(S300), 필름합지단계(S400), 코팅단계(S500), 건조단계(S600) 및 가공단계(S700)로 수행된다.
제1 필름지 준비단계(S1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를 갖는 제1 필름지(100)가 권취된 제1 롤와인더(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1 롤와인더(10)는 회전하면서 권취된 제1 필름지(100)를 권출시킨다.
제2 필름지 준비단계(S20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소재를 갖는 제2 필름지(200)가 권취된 제2 롤와인더(2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제2 롤와인더(20) 또한 회전하면서 권취된 제2 필름지(200)를 권출시킨다.
제1 롤와인더(10)와 제2 롤와인더(2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배치되면서 권출되는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한다. 이때, 접착제 도포단계(S300)는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는 제1 필름지(100) 또는 제2 필름지(200)의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도포되거나 마주보는 각각의 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액상의 형태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아노아크릴레이트, 2액형 에폭시, 아크릴접착제, 자외선(UV)경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PET 필름과 PET필름을 접착하는 이미 공지된 접착제는 그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300) 수행 전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문자나 모양 또는 패턴 등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단계(S8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필름합지단계(S400)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 필름지(100)와 제2 필름지(200)를 합지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는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압롤러(31,32)를 통과하면서 소정압력이 전달되어 상호 부착된다.
접착제 도포단계(S300) 수행후, 필름합지단계(S400) 수행전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포제거단계(S9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기포제거단계(S900)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또는 제2 필름지(100,200)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안착롤러를 포함하며, 안착롤러의 내부에 초음파 발생기가 구비된다. 접착제가 도포된 제1 또는 제2 필름지(100,200)가 안착롤러를 통과할 때 초음파로 인한 미세진동을 전달하여 도포된 접착제와 제1 또는 제2 필름지(100,200)의 표면에 친화성(Affinity)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가 고르게 잘 도포될 수 있으며, 합지시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코팅단계(S500)는 필름합지단계(S400)에서 합지된 제1 및 제2 필름(100,200)을 전달받아 제1 필름지(100)가 부착된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30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코팅액은 액상의 용액으로 이루어지며, 그라비아(Gravure) 코팅방식으로 제2 필름지(200)의 하면에 코팅액이 도포된다. 코팅단계(S500)에서 수행되는 그라비아(Gravure) 코팅방식은 다음과 같다.
코팅액이 수용된 코팅액 수용틀(50)에 그라비아롤러(40)가 일부가 침지된 상태에서 그라비아롤러(40)가 회전하면 그라비아롤러(40)의 표면에 코팅액이 도포된다. 이때 그라비아롤러(40)와 제2 필름지(200)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필름지(200)의 하면에 코팅액이 도포될 수 있다.
그라비아코팅방식은 코팅액의 손실이 적고 넓은 면적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그라비아코팅방식으로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그라이비아코팅, 닥터챔버형 그라비아코팅(Doctor Chamber Type Gravure) 방식 등을 적용하여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다.
코팅액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 또는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단계(S600)는 코팅단계(S500) 수행 후 코팅층(300)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건조단계(S600)는 고온의 열풍을 코팅층(300)에 분사하여 코팅액을 건조시키는데, 코팅층이 도포된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가 열풍이 분사되는 드라이챔버(60)를 통과하면서 건조될 수 있다. 드라이챔버(60)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코팅액과 열풍의 접촉시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상기 고온의 열풍의 온도는 약70~90℃의 온도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라이챔버(60)의 내부에는 열풍이 분사되는 노즐(61)이 소정간격 이격되며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노즐(61)에 감겨진 열선이 발열되면서 노즐(61)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켜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노즐(61)을 감고 있는 열선은 필름지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거나 반대로 점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라이챔버(60)의 내부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다르게 설정되면서 코팅액의 건조시간 단축과, 코팅액의 부착성 및 코팅층(300)으로 경화되었을 때 코팅층(300) 표면의 불량률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공단계(S700)는 건조단계(S600) 수행후 코팅층(300)이 형성된 필름지를 식품용기의 크기에 따라 절단 및 가공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필름지의 전체적인 면적에 코팅층(3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품용기의 크기에 제약 없이 절단 및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필름지(100,200)가 식품용기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면서 분리배출이 간편해질 수 있고, 필름지의 내측면에 형성된 코팅층(300)으로 인해 수분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식품의 변질위험요소의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제1 필름지 200 : 제2 필름지
300 : 코팅층

Claims (6)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제1 필름지(100);
    상기 제1 필름지(100)가 일측면에 부착되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제2 필름지(200);
    상기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코팅층(300);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300)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 및 술포숙신산 알킬(C4-C20)(Sulphosuccinic acid alkyl (C4-C20))을 포함하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1,1,1-트리메틸올프로판(1,1,1-Trimethylolpropane), 1,4-부탄디올(1,4-But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2,2-디메틸-1,3-프로판디올(2,2-Dimethyl-1,3-propane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1,2-프로판디올(1,2-Propanediol), 활석(Talc),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 및 시클로헥실디에스테르 염(cyclohexyl diesters, salt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의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 필름지(100)가 권취된 제1 롤와인더(10)를 준비하는 제1 필름지 준비단계(S100);
    제2 필름지(200)가 권취된 제2 롤와인더(20)를 준비하는 제2 필름지 준비단계(S200);
    제1 필름지(100) 또는 제2 필름지(20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
    상기 제1 필름지(100)와 제2 필름지(200)를 합지시키는 필름합지단계(S400);
    일측면에 제1 필름지(100)가 부착된 제2 필름지(200)의 타측면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상기 코팅층(300)을 형성하는 코팅단계(S500);
    상기 코팅층(300)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600);
    상기 건조단계(S600) 수행후 식품용기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는 가공단계(S700);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S500)는 Gravure 코팅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제조방법.
KR1020220123964A 2022-09-29 2022-09-29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Active KR10256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64A KR102567267B1 (ko) 2022-09-29 2022-09-29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64A KR102567267B1 (ko) 2022-09-29 2022-09-29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267B1 true KR102567267B1 (ko) 2023-08-17

Family

ID=8780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64A Active KR102567267B1 (ko) 2022-09-29 2022-09-29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2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979A (ja) * 1999-12-17 2001-08-28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防曇処理および防曇処理フィルム
KR20090000930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포스텍 식품용기에 접착된 김 서림 방지용 방담필름의 제조방법
KR101054376B1 (ko) 2009-08-10 2011-08-04 구선모 포장용 리드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009355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삼지티에스 필름 제조 방법
JP2020073627A (ja) * 2018-08-22 2020-05-14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ジーエムビーエイチ 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20100222A (ko) * 2021-01-08 2022-07-15 정진원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138921A (ja) * 2021-03-11 2022-09-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979A (ja) * 1999-12-17 2001-08-28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防曇処理および防曇処理フィルム
KR20090000930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포스텍 식품용기에 접착된 김 서림 방지용 방담필름의 제조방법
KR101054376B1 (ko) 2009-08-10 2011-08-04 구선모 포장용 리드필름의 제조방법
KR20160009355A (ko) * 2014-07-16 2016-01-26 주식회사 삼지티에스 필름 제조 방법
JP2020073627A (ja) * 2018-08-22 2020-05-14 ミツビシ ポリエステル フィルム ジーエムビーエイチ 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20100222A (ko) * 2021-01-08 2022-07-15 정진원 포장봉투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138921A (ja) * 2021-03-11 2022-09-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179B2 (en) Laminated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ES2362704T3 (es) Materiales laminados para envasado al vacío "segunda piel", envases y procedimientos para el uso de los mismos.
ES2402448T3 (es) Barrera muy eficaz contra la humedad de tres partes para envases
KR100306934B1 (ko) 박판의양면인쇄방법과그제품
ES2312739T3 (es) Envase con tapa perforable.
ES2707334T3 (es) Recipiente que puede sellarse y procedimientos para realizar un recipiente que puede sellarse y un recipiente sellado
CN111886189B (zh) 用于食物包装的标签布置
EP1056066B1 (en) Integrity Protection Device
US20120031795A1 (en) Gas permeable polymer label for controlled respiration
KR102567267B1 (ko) 식품 용기 포장용 필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EP2814761B1 (en) Packaging container, laminated film material
US20060091037A1 (en) Blister package for adhesive compositions
JP2010184724A (ja) 容器蓋材
EP2193997A1 (en) Deep pressed tray
BR112012009434B1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recipiente fechado, compósito laminado e recipiente
JP5887758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JP2009280238A (ja) 紙容器
US11203189B2 (en) Heat-seal lid with non-heat sealing layer and hydrophobic overcoat
GB252574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nufacture of packaging
GB2280416A (en) A heat-sealable lid
JP2018024436A (ja) スパウト付パウチ
JP2017222393A (ja) 包装袋
JPH0245359A (ja) プラスチックネット付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27291B (zh) 防偽電磁感應封口墊片
JPH03278951A (ja) 不良パック紙のフイルム,アルミ箔の剥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