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170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709B1
KR102561709B1 KR1020160094281A KR20160094281A KR102561709B1 KR 102561709 B1 KR102561709 B1 KR 102561709B1 KR 1020160094281 A KR1020160094281 A KR 1020160094281A KR 20160094281 A KR20160094281 A KR 20160094281A KR 102561709 B1 KR102561709 B1 KR 10256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ctrode
dummy
layer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914A (ko
Inventor
이원세
김동욱
신애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709B1/ko
Priority to US15/651,680 priority patent/US10615229B2/en
Priority to CN201710612079.7A priority patent/CN107658329B/zh
Priority to EP17182917.9A priority patent/EP3276668B1/en
Publication of KR2018001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14A/ko
Priority to US16/804,532 priority patent/US112330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7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1Electroluminescent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각각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1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부 및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 영역의 곡선 구간에 인접하며, 상기 주변 영역과 상기 복수의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부는, 제2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유기 발광 소자와 이웃한 위치에 외부 빛이 투과되는 투과 영역이 형성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투과 영역이 형성된 표시 장치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표시 장치로 인식된다.
한편, 이러한 투명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는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픽셀들이 계단 형상으로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각각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1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부 및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 영역의 곡선 구간에 인접하며, 상기 주변 영역과 상기 복수의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부는, 제2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사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배선 영역은 더미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배선은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더미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 배선은 적어도 2회 이상의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복수의 전원선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선은, 구동 전원선 및 공통 전원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기판 위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차광 전극, 상기 차광 전극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곡선 구간에 인접하여 계단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배치되는 투명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금속층은,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픽셀들이 계단 형상으로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하나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부를 X-X'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하나의 더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더미부를 Y-Y'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더미 배선의 변형예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6의 더미 배선의 변형예들이다.
도 13은 도 6의 더미 투과 영역의 변형예이다.
도 1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B 영역을 Z-Z'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이 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이 더미부로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하나의 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표시부를 X-X'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하나의 더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더미부를 Y-Y'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기판(110, 도 5 참조), 표시부(PW) 및 더미부(DW)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투명 표시 장치로서, 자동차의 대시 보드(dashboard) 위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속도, 길안내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10)의 일측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에서, 주변 영역(PA)과 표시부(PW) 사이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DW)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더미부(DW)는 제2 투과 영역(D_TA, 도 6 참조) 및 더미 배선 영역(DM, 도 6 참조)을 포함하는데, 제2 투과 영역(D_TA, 도 6 참조)은 표시부(PW)의 제1 투과 영역(TA, 도 4 참조)과 적층 구조가 동일할 수 있고, 더미 배선 영역(DM, 도 6 참조)은 표시부(PW) 내에 배치된 배선 중 어느 하나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부(PW)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더미부(DW)가 주변 영역(PA)과 표시부(PW) 사이의 공간을 채움에 따라, 공간에서 표시부(PW)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각각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복수의 표시부(PW)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부(PW)는 표시 영역(DA) 내에서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표시부(PW)로 대부분 채워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의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PW)로 채워지지 않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표시부(PW) 각각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을 완전히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표시부(PW) 각각은 제1 투과 영역(TA) 및 화소 영역(PX)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과 영역(TA)은 외부의 빛이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투과 영역(TA)에 의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가 전체적으로 투명 표시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투과 영역(TA)이 연속한 하나의 투과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투과 영역(TA)이 둘 또는 그 이상의 투과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투과 영역(TA)에 인접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는 화소 영역(PX)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영역(PX)은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은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PX1)은 청색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픽셀(PX2)은 녹색을 표시할 수 있고, 제3 픽셀(PX3)은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셀은 하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는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은 각각 다양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PX)은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 이외에 다른 색을 표시하는 추가적인 픽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의 크기는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의 발광 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픽셀(PX1), 제2 픽셀(PX2) 및 제3 픽셀(PX3)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PX1)의 크기가 가장 크고, 제3 픽셀(PX3)의 크기가 가장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제1 투과 영역(TA) 및 화소 영역(PX)의 적층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의 제1 투과 영역(TA)과 제1 픽셀(PX1)의 적층 구조를 도시하며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일 수 있다.
기판(110)은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기판(110)이 플렉서블하거나, 스트레처블하거나, 폴더블하거나, 벤더블하거나, 롤러블함으로써, 표시 장치(10)가 플렉서블하거나, 스트레처블하거나, 폴더블하거나, 벤더블하거나, 롤러블할 수 있다.
기판(110)은, 제1 투과 영역(TA) 및 제1 픽셀(PX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투과 영역(TA)은 외부의 빛이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이고, 제1 픽셀(PX1)은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20)은 질화 규소(SiNx)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와 산화 규소(SiOx)가 적층된 다중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0)은 불순물 또는 수분과 같이 불필요한 성분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기판(110)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버퍼층(12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제1 픽셀(PX1) 및 제1 투과 영역(TA) 내에 모두 위치한다. 즉, 버퍼층(120)은 기판(110)의 상면 전체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차광 전극(151)이 위치할 수 있다. 차광 전극(151)은 광차단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광 전극(151)은 반도체층(130)에 외부 광이 도달하는 것을 막아, 반도체층(130)의 특성 저하를 막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차광 전극(151)은 제1 픽셀(PX1) 내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120) 위에는 차광 전극(151)을 덮는 제1 절연막(14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막(140)은 차광 전극(151)과 반도체층(130) 사이에 위치하여, 차광 전극(151)과 반도체층(13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절연막(140)은 버퍼층(1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막(140)은 질화 규소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와 산화 규소가 적층된 다중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절연막(140) 위에는, 차광 전극(151)과 중첩하여 반도체층(130)이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130)은 다결절 반도체 물질 또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30)은 채널 영역(131), 채널 영역(131)의 양 옆에 위치하고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는 소스 영역(132) 및 드레인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의 종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도체층(130) 및 제1 절연막(140) 위에는, 반도체층(130)을 덮을 수 있는 제2 절연막(15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연막(150)은 반도체층(130)과 제1 게이트 전극(125) 사이에 위치하여, 반도체층(130)과 제1 게이트 전극(125)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절연막(150)은 제1 절연막(14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절연막(150)은 질화 규소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와 산화 규소가 적층된 다중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절연막(150) 위에는, 반도체층(130)과 중첩하는 제1 게이트 전극(1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5)은 반도체층(130)의 적어도 일부, 특히 채널 영역(131)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절연막(140) 및 제2 절연막(150)에는 차광 전극(151)의 일부가 노출되는 제1 관통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50) 위에는 연결 부재(153)가 위치하여, 제1 관통홀(154)을 통해 연결 부재(153)와 차광 전극(151)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153)는 전술한 제1 게이트 전극(125)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53)는 제1 게이트 전극(125)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부재(153)는 제1 게이트 전극(125)과 다른 금속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절연막(150) 위에는 제1 게이트 전극(125) 및 연결 부재(153)를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16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60)은, 제1 게이트 전극(125) 및 연결 부재(153)가 다른 금속층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60)도 제1 절연막(140) 또는 제2 절연막(1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절연막(160)은 질화 규소의 단일막 또는 질화 규소와 산화 규소가 적층된 다중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위에는 제2 게이트 전극(127)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7)은 아래에 위치한 제1 게이트 전극(125)과 중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게이트 전극(127)은 제1 픽셀(PX1) 내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게이트 전극(127)은 제1 게이트 전극(125)과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나, 제1 게이트 전극(125)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게이트 전극(127)은 제1 게이트 전극(125)과 다른 물질, 즉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게이트 전극(127)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위에는, 제2 게이트 전극(127)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17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70)은 제1 게이트 절연막(16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절연막(150), 제1 게이트 절연막(160)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70)에는 반도체층(130)의 소스 영역(132) 및 드레인 영역(133)의 일부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2 관통홀(162) 및 제3 관통홀(1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전극(173)은 제2 관통홀(162)을 통해 반도체층(130)의 소스 영역(132)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전극(175)은 제3 관통홀(164)을 통해 반도체층(130)의 드레인 영역(133)과 접촉할 수 있다.
반도체층(130), 제1 게이트 전극(125), 제2 게이트 전극(127),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위에는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덮는 평탄화막(180)이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막(180)은 그 위에 형성될 유기 발광 소자(OLED)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차를 없애고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평탄화막(180)에는 드레인 전극(17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관통홀(184)이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180)은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탄화막(180) 위에는 제1 전극(7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71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산화 아연(ZnO), 인듐 산화물(In2O3, Indium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전극(710)은 평탄화막(180)에 형성된 제4 관통홀(184)을 통해서 드레인 전극(17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710)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
평탄화막(180) 및 제1 전극(710)의 가장자리부 위에는 화소 정의막(35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제1 픽셀(PX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제1 전극(71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또는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 실록산계 수지,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일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의 개구부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 전극인 제1 전극(710)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을 발광하는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을 발광하는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은 각각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형성되어 컬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720)은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모두 함께 적층하고, 각 화소별로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백색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모두에 형성하고, 각 화소별로 각각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및 청색 색필터를 형성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백색 유기 발광층과 색필터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을 각각의 개별 화소 즉,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에 증착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에서 설명한 백색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복수 개의 유기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한 구성까지 포함한다. 예로, 적어도 하나의 옐로우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청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시안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적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적어도 하나의 마젠타 유기 발광층과 적어도 하나의 녹색 유기 발광층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가능하게 한 구성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50) 및 유기 발광층(720) 위에는 제2 전극(730)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730)은 제1 픽셀(PX1) 및 제1 투과 영역(TA)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73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산화 아연(ZnO), 인듐 산화물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이나 리튬(Li), 칼슘(Ca), 플루오르화리튬/칼슘(LiF/Ca), 플루오르화리튬/알루미늄(LiF/Al),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또는 금(Au)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전극(730)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 전극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이룰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 제1 절연막(140), 제2 절연막(150),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제2 게이트 절연막(170), 평탄화막(180), 제1 전극(710) 및 유기 발광층(720)은 제1 픽셀(PX1) 내에 위치하고, 제1 투과 영역(TA)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기판(110)의 제1 투과 영역(TA) 위에는 버퍼층(120)이 위치하고, 버퍼층(120) 바로 위에는 제2 전극(73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730)은 제1 투과 영역(TA) 내에서 버퍼층(120)과 접촉한다. 이처럼 기판(110)의 제1 투과 영역(TA)에는 버퍼층(120), 제2 전극(730) 이외에 다른 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제1 투과 영역(TA)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투과 영역(TA)에 버퍼층(120), 제2 전극(730) 이외에 일부 다른 층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더미부(DW)는 제2 투과 영역(D_TA) 및 더미 배선 영역(DM)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더미부(DW)는 외부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제2 투과 영역(D_TA)과 더미 배선(DM_L1)으로 이루어진 더미 배선 영역(DM)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더미 배선 영역(DM)은 표시부(PW)의 화소 영역(PX)과는 차이가 있지만, 더미 배선 영역(DM)이 금속 배선인 더미 배선(DM_L1)만 포함하기 때문에, 더미부(DW)는 제1 투과 영역(TA) 및 화소 영역(PX)을 포함하는 표시부(PW)와 유사한 구조로 외부에서는 시인될 수 있다.
제2 투과 영역(D_TA)은 제1 투과 영역(TA)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빛이 그대로 투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투과 영역(D_TA)은 표시부(PW)의 제1 투과 영역(TA)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판(110)의 제2 투과 영역(D_TA) 위에는 버퍼층(120)이 위치하고, 버퍼층(120) 바로 위에는 제2 전극(730)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730)은 제2 투과 영역(D_TA) 내에서 버퍼층(120)과 접촉한다. 이처럼 기판(110)의 제2 투과 영역(D_TA)에는 버퍼층(120), 제2 전극(730) 이외에 다른 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제2 투과 영역(D_TA)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투과 영역(D_TA)에 버퍼층(120), 제2 전극(730) 이외에 일부 다른 층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투과 영역(D_TA)의 주변에는 더미 배선 영역(DM)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 영역(DM)은 제2 투과 영역(D_T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배선 영역(DM)의 형상은 제2 투과 영역(D_TA)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배선 영역(DM) 및 제2 투과 영역(D_TA)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더미 배선 영역(DM) 및 제2 투과 영역(D_T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형상, 오각형 형상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 영역(DM)의 평면상 높이와 제2 투과 영역(D_TA)의 평면상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배선 영역(DM)의 평면상 높이가 제2 투과 영역(D_TA)의 평면상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여기에서, 평면상 높이는 Y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서 좌표를 나타내는 X 축은 제2 방향을, Y 축은 제1 방향을 나타낸다.
더미 배선 영역(DM)은 더미 배선(DM_L1)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배선(DM_L1)은 Y 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배선(DM_L1)은 하나의 배선으로 이루어져, Y 축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더미 배선(DM_L1)은 Y축을 따라 위로 연장되다가, Y 축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다시 Y축을 따라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더미 배선(DM_L1)은 Y 축을 따라 연장되면서, 적어도 2회 이상의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미 배선(DM_L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축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경우 이외에도,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Y 축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DM_L1)은 X 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과 달리, 더미 배선(DM_L1)은 Y 축과 교차하는 X 축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2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DM_L1)은 X 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θ)로 기울어져 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각도(θ)는 0 ∼ 90 도(단, 0 도 및 90는 제외)일 수 있다. 즉, 도 6 또는 도 11에서와 같이, 더미 배선(DM_L1)이 X 축 또는 Y 축과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고, 비스듬히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도 6, 도 11 및 도 12의 더미 배선(DM_L1)은 하나의 금속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더미 배선(DM_L1)이 Y 축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며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더미 배선(DM_L1)이 X 축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며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더미 배선(DM_L1)이 X 축 또는 Y 축과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고, 비스듬히 기울어져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더미 배선(DM_L1)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 영역(DM)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DM_L1)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배선(DM_L1)은 표시 장치(10) 내에 배치되는 금속 배선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DM_L1)은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배선(DM_L1)은 전술한 제1 픽셀(PX1)의 소스 전극(173, 도 5 참조) 및 드레인 전극(175, 도 5 참조)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전극(173, 도 5 참조) 및 드레인 전극(175, 도 5 참조)이 형성될 때, 더미 배선(DM_L1)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110) 위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더미 배선(DM_L1), 소스 전극(173, 도 5 참조) 및 드레인 전극(175, 도 5 참조)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DM_L1)은 소스 전극(173, 도 5 참조) 및 드레인 전극(175, 도 5 참조)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위에는 더미 배선(DM_L1)을 덮는 평탄화막(180)과 화소 정의막(35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평탄화막(180)과 화소 정의막(350) 중 하나의 층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더미부(DW)에 위치하는 평탄화막(180) 및 화소 정의막(350)은 전술한 화소 영역(PX)의 제1 픽셀(PX1)의 평탄화막(180) 및 화소 정의막(350)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막(180) 위에는 제2 전극(730)이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배선 영역(DM)의 제2 전극(730)은 화소 영역(PX)의 제1 픽셀(PX1)의 제2 전극(73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부(DW)의 제2 투과 영역(D_TA)과 더미 배선 영역(DM)에는 제2 전극(730)이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아래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제2 절연막(150) 및 제1 절연막(1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게이트 절연막(170),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제2 절연막(150) 및 제1 절연막(140)이 생략되고, 더미 배선(DM_L1)이 버퍼층(120) 위에 바로 적층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DM_L2)은 전술한 제1 픽셀(PX1)의 차광 전극(151, 도 5 참조)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더미 배선(DM_L2)은 버퍼층(1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전극(151, 도 5 참조)이 형성될 때, 더미 배선(DM_L2)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110) 위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더미 배선(DM_L2), 차광 전극(151, 도 5 참조)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DM_L2)은 차광 전극(151, 도 5 참조)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더미 배선(DM_L3)은 전술한 제1 픽셀(PX1)의 제1 게이트 전극(125, 도 5 참조)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더미 배선(DM_L3)은 제2 절연막(15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이트 전극(125, 도 5 참조)이 형성될 때, 더미 배선(DM_L3)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110) 위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더미 배선(DM_L3), 제1 게이트 전극(125, 도 5 참조)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DM_L3)은 제1 게이트 전극(125, 도 5 참조)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더미 배선(DM_L4)은 전술한 제1 픽셀(PX1)의 제2 게이트 전극(127, 도 5 참조)과 동일한 층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더미 배선(DM_L4)은 제1 게이트 절연막(1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게이트 전극(127, 도 5 참조)이 형성될 때, 더미 배선(DM_L4)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110) 위에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더미 배선(DM_L4), 제2 게이트 전극(127, 도 5 참조)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배선(DM_L4)은 제2 게이트 전극(127, 도 5 참조)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더미 배선 영역(DM)의 더미 배선(DM_L1)은,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배선(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는, 표시 영역(DA)의 각 픽셀(PX1, PX2, PX3)에 구동 전원 및 공통 전원을 각각 공급하는 제1 전원(ELVDD, 미도시) 및 제2 전원(ELVSS,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원(ELVDD, 미도시) 및 제2 전원(ELVSS, 미도시)은 각각 구동 전원선(ELVDDL) 및 공통 전원선(ELVSSL)을 통해 각 픽셀(PX1, PX2, PX3)에 해당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배선(600)은 상기 구동 전원선(ELVDDL) 또는 공통 전원선(ELVSSL)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더미 배선(DM_L1)은 배선(600)에 포함되는 구동 전원선(ELVDDL) 또는 공통 전원선(ELVS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배선(DM_L1)과 배선(600)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선(600)의 종류에 따라, 더미 배선(DM_L1)과 배선(600)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더미 배선(DM_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600)은, 주변 영역(PA) 내에 위치하는 구동 드라이버(미도시)에 연결되는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의 일측의 모서리에 형성된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에서, 주변 영역(PA)과 표시부(PW) 사이의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DW)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에는, 제2 투과 영역(D_TA) 및 더미 배선 영역(DM)을 포함하는 더미부(DW)가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PW)와 유사한 구조인 더미부(DW)가 주변 영역(PA)과 표시부(PW)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다음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주변 영역(PA)과 표시부(PW) 사이의 공간에 더미부(DW)가 배치됨에 따라 표시부(PW)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이 비워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곡선 구간에 인접한 영역이 더미부로 채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더미부(DW)가 주변 영역(PA)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으면, 주변 영역(PA)의 내측 경계선과 표시부(PW1, PW2, PW3, PW4, PW5, PW6)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빈 공간이란 제1 투과 영역(TA) 및 화소 영역(PX)을 포함하는 표시부(PW)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주변 영역(PA)의 내측 경계선과 가까운 표시부(PW1, PW2, PW3, PW4, PW5, PW6)의 가장자리는 계단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빈 공간에 표시부(PW)가 배치되지 않으면, 외부에서 볼 때 표시부(PW1, PW2, PW3, PW4, PW5, PW6)의 가장자리가 계단 형상으로 비교적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빈 공간에 표시부(PW)와 유사한 구조인 더미부(DW)가 배치되면, 도 16에서 나타난 표시부(PW1, PW2, PW3, PW4, PW5, PW6)의 가장자리의 형상인 계단 형상이 외부에서 잘 시인되지 않는다. 빈 공간에 표시부(PW)와 유사한 구조인 더미부(DW)가 배치되면, 상기 빈 공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표시부(PW)로 채워진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서는, 전술한 빈 공간에 나타난 표시부(PW)의 가장자리가 이루는 계단 형상이 외부에서 잘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DA 표시 영역
PA 주변 영역
PW 표시부
TA 제1 투과 영역
PX 화소 영역
DW 더미부
D_TA 제2 투과 영역
DM 더미 배선 영역
OLED 유기 발광 소자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각각 제1 투과 영역 및 상기 제1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부; 및
    상기 기판 위의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주변 영역의 곡선 구간에 인접하며, 상기 주변 영역과 상기 복수의 표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부는,
    제2 투과 영역 및
    상기 제2 투과 영역의 주변에 배치되는 더미 배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 영역은 더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복수의 전원선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사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서로 나란한 복수 개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더미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적어도 2회 이상의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진,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선은, 구동 전원선 및 공통 전원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기판 위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전극 부재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차광 전극, 상기 차광 전극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곡선 구간에 인접하여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은,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 영역은,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 위에 배치되는 투명 금속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금속층은,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094281A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Active KR10256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81A KR102561709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US15/651,680 US10615229B2 (en) 2016-07-25 2017-07-17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normal pixels and dummy pixels in the display area
CN201710612079.7A CN107658329B (zh) 2016-07-25 2017-07-25 显示装置
EP17182917.9A EP3276668B1 (en) 2016-07-25 2017-07-25 Display device
US16/804,532 US11233097B2 (en) 2016-07-25 2020-02-28 Display device including dummy pixels with transmissive are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81A KR102561709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14A KR20180011914A (ko) 2018-02-05
KR102561709B1 true KR102561709B1 (ko) 2023-07-31

Family

ID=5950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81A Active KR102561709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15229B2 (ko)
EP (1) EP3276668B1 (ko)
KR (1) KR102561709B1 (ko)
CN (1) CN107658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709B1 (ko) 2016-07-25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849501B2 (ja) * 2017-03-29 2021-03-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086582B2 (ja) * 2017-12-11 2022-06-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281476B (zh) * 2018-03-30 2024-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界定层和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0944069B (zh) * 2018-09-21 2021-07-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屏幕及其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09411522A (zh) * 2018-11-06 2019-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9616495A (zh) * 2018-11-15 2019-04-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面板结构
KR102646719B1 (ko) * 2019-02-22 202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071142B (zh) * 2019-03-18 2020-12-0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658438B1 (ko) 2019-03-21 2024-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1397A (ko) * 2019-05-13 2020-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9691758U (zh) 2019-06-26 2019-11-26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11545A (ko)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53381A (ko) * 2019-11-01 2021-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063716A (zh) * 2019-12-20 2020-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10095771A (ko) * 2020-01-23 2021-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55444A (ko) 2020-06-15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03769A (zh) * 2020-06-22 2022-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4586163A (zh) * 2020-06-24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651331A (zh) * 2020-10-19 2022-06-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2490273B (zh) * 2020-11-30 2023-04-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KR20220117971A (ko) * 2021-02-17 2022-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81B1 (ko) 2014-12-31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1143A (zh) 2006-03-15 2009-04-01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基板及使用其的显示装置
JP2007286212A (ja) * 2006-04-14 2007-11-01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8253883B2 (en) * 2006-05-12 2012-08-28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0852414B1 (ko) 2007-02-27 2008-08-14 주식회사 토비스 다양한 형상의 박막트랜지스터-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설계에의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다양한 형상의박막트랜지스터-액정디스플레이 패널
JP5017584B2 (ja) 2007-08-02 2012-09-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有機el表示装置
JP5154249B2 (ja) 2008-01-31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
KR100941836B1 (ko) * 2008-05-19 2010-02-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1107178B1 (ko) * 2009-07-20 2012-0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61339B1 (ko) * 2009-12-21 2013-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101084240B1 (ko) * 2009-12-21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56440B1 (ko) * 2010-03-09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569156B2 (ja) * 2010-06-07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取得方法、プログラム
KR20120124224A (ko) 2011-05-03 2012-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739846B2 (ja) 2012-07-06 2015-06-24 日本瓦斯株式会社 ガス供給停止指示システムおよびガス供給停止指示方法
KR102031648B1 (ko) 2013-04-18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56204B (zh) 2013-09-30 2016-1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KR102185102B1 (ko) 2014-01-10 2020-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이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135B1 (ko) * 2014-07-14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62257B1 (ko) * 2014-07-31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0025B1 (ko) * 2014-10-08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6458B1 (ko) * 2014-11-17 2022-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4393B1 (ko) * 2014-11-26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61709B1 (ko) 2016-07-25 2023-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81B1 (ko) 2014-12-31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5191A1 (en) 2020-07-23
EP3276668B1 (en) 2022-10-19
CN107658329B (zh) 2023-05-19
EP3276668A1 (en) 2018-01-31
KR20180011914A (ko) 2018-02-05
US10615229B2 (en) 2020-04-07
CN107658329A (zh) 2018-02-02
US11233097B2 (en) 2022-01-25
US20180026080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709B1 (ko) 표시 장치
KR10249111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13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94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72840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560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6341B1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874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6632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16239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94133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2912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91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2538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6332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073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37792A (ko) 표시 장치
KR2010001379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138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297028B1 (en)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1719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7825B1 (ko) 칼라 필터를 구비한 하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202908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contact area exposing a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 spacer
KR2016009320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69099B1 (ko)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