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41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9841B1 KR102559841B1 KR1020160104979A KR20160104979A KR102559841B1 KR 102559841 B1 KR102559841 B1 KR 102559841B1 KR 1020160104979 A KR1020160104979 A KR 1020160104979A KR 20160104979 A KR20160104979 A KR 20160104979A KR 102559841 B1 KR102559841 B1 KR 102559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flexible
- adhesive layer
- layer
- protective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1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2
- -1 reg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UCKMPCXJQFINFW-UHFFFAOYSA-N Sulphide Chemical compound [S-2] UCKMPCXJQFIN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800 acrylic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URLKBWYHVLBVBO-UHFFFAOYSA-N Para-Xylene Chemical group CC1=CC=C(C)C=C1 URLKBWYHVLBV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UMIVXZPTRXBADB-UHFFFAOYSA-N benzocyclobut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2=C1 UMIVXZPTRXBAD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EFYFXOXNSNQGX-UHFFFAOYSA-N neodymium atom Chemical compound [Nd] QEFYFXOXNSNQ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281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378 ar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100),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도 3참조)과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화소들 및 박막트랜지스터(TF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의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일면 및 일면과 상호 반대되는 측의 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10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는 비플렉서블 영역(NF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hip on Film, COF), 칩온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 사이에 개재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이라 함은 플렉서블 기판(210)의 일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20a)과 제2 점착층(120b)은 보호 필름(100)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하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하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 및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보호 필름(100a) 및 제2 보호 필름(100b),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도 3참조)과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화소들 및 박막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일면 및 일면과 상호 반대되는 측의 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100a, 100b)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는 비플렉서블 영역(NF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OF), 칩온플라스틱(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 사이에 개재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a, 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이라 함은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a, 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a, 100b)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a, 100b)은 제1 보호 필름(100a)과 제2 보호 필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0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보호 필름(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00a)과 제2 보호 필름(100b)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20a)과 제2 점착층(120b)은 보호 필름(100a, 100b)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하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동일층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있어서 플렉서블 영역(FA)에 위치한 제1 점착층(120a)보다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제2 점착층(120b)에 더 견고한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성질을 갖기 위해 압착되어 제1 점착층(120a)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a, 100b) 및 보호 필름(100a, 100b)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a, 100b)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3의 구조는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220), 유기발광소자(220)를 덮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되는 봉지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2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먼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는 플렉서블 기판(21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212)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211)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211) 상에 반도체층(212)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212)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214)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21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214)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212)과 게이트전극(214)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213)이 반도체층(212)과 게이트전극(2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214)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215)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215)의 상부에는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이 배치된다.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은 층간절연막(215)과 게이트절연막(21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2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210)의 상에 평탄화막(217)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화막(217)은 보호막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평탄화막(217)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220)가 배치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 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게 하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탄화막(217) 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퍼층(211), 게이트절연막(213), 층간절연막(215) 및 평탄화막(217)은 플렉서블 기판(21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는 화소정의막(218)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8)은 상술한 평탄화막(217)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18)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18)은 예컨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유기 절연막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스티렌(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소정의막(218)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20)는 화소전극(222),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는 중간층(224) 및 대향전극(226)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22)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정의막(218)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는 중간층(22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224)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며, 발광층(EML)을 이외에도 발광층(EML)과 화소전극(222) 사이에 배치되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및 발광층(EML)과 대향전극(226)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24)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중간층(224)을 덮으며 화소전극(222)에 대향하는 대향전극(226)이 플렉서블 기판(210) 전면(全面)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26)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26)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26)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26)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대향전극(226) 상에 봉지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봉지층(23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미도시)과 유기막(미도시)이 적층된 다층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층(230)을 유기막 또는 무기막 만으로 형성할 경우 막 내부에 형성된 미세한 통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산소나 수분 등이 침투하여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캡핑층(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편광층(320)과 터치스크린패널(340) 사이에는 점착층(3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3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편광층(320) 사이에는 점착층(310)이 개재될 수 있고, 커버 윈도우(400)와 터치스크린패널(340) 사이에도 점착층(350)이 개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층들 사이에 다른 층들이 더 개재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점착층(310, 330, 350)들은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접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포함하며,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구조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커패시터(CAP) 등이 형성되고,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220)가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20) 상에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번하여 형성된 봉지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기에, 지지 기판(미도시) 상에 플렉서블 기판(21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각종 소자들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형성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후속 공정을 위해 하부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위치한 점착물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기판(210)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과 같은 층들을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은 점착층(310, 330, 350)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점착층(310, 330, 350)들은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접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hip on Film, COF), 칩온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위치한 점착물질(12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부분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한 후에라면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한 직후 바로 수행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각종 기능층(300) 및 커버 윈도우(400) 등을 형성한 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을 실장한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 위치한 부분은 제1 점착층(120a)이 되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부분은 제2 점착층(120b)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점착물질(120)이 UV조사 공정을 통해 구분되어 형성된 하나의 층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 및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100),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도 3참조)과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화소들 및 박막트랜지스터(TF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의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일면 및 일면과 상호 반대되는 측의 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10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는 비플렉서블 영역(NF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hip on Film, COF), 칩온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 사이에 개재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이라 함은 플렉서블 기판(210)의 일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20a)과 제2 점착층(120b)은 보호 필름(100)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하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하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 및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보호 필름(100a) 및 제2 보호 필름(100b),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도 3참조)과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배치되며 외부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화소들 및 박막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일면 및 일면과 상호 반대되는 측의 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는 보호 필름(100a, 100b)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는 비플렉서블 영역(NF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OF), 칩온플라스틱(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 사이에 개재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a, 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이라 함은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호 필름(100a, 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a, 100b)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a, 100b)은 제1 보호 필름(100a)과 제2 보호 필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0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보호 필름(10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00a)과 제2 보호 필름(100b)은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는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점착층(120a)과 제2 점착층(120b)은 보호 필름(100a, 100b)을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하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동일층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a, 100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있어서 플렉서블 영역(FA)에 위치한 제1 점착층(120a)보다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제2 점착층(120b)에 더 견고한 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단단한 성질을 갖기 위해 압착되어 제1 점착층(120a)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a, 100b) 및 보호 필름(100a, 100b)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a, 100b)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3의 구조는 도 2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220), 유기발광소자(220)를 덮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배치되는 봉지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2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먼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는 플렉서블 기판(210)의 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212)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211)이 배치되고, 이 버퍼층(211) 상에 반도체층(212)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212)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214)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214)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이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게이트전극(214)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층(212)과 게이트전극(214)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213)이 반도체층(212)과 게이트전극(2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214)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215)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215)의 상부에는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이 배치된다.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은 층간절연막(215)과 게이트절연막(213)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2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은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러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보호를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는 보호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은 예컨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210)의 상에 평탄화막(217)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탄화막(217)은 보호막일 수도 있다. 이러한 평탄화막(217)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220)가 배치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 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게 하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평탄화막(217) 은 예컨대 아크릴계 유기물 또는 BCB(Benzocyclobuten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퍼층(211), 게이트절연막(213), 층간절연막(215) 및 평탄화막(217)은 플렉서블 기판(210)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는 화소정의막(218)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8)은 상술한 평탄화막(217)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18)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218)은 예컨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유기 절연막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스티렌(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소정의막(218) 상에는 유기발광소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20)는 화소전극(222),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는 중간층(224) 및 대향전극(226)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222)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예컨대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정의막(218)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는 중간층(22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224)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하며, 발광층(EML)을 이외에도 발광층(EML)과 화소전극(222) 사이에 배치되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및 발광층(EML)과 대향전극(226)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24)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중간층(224)을 덮으며 화소전극(222)에 대향하는 대향전극(226)이 플렉서블 기판(210) 전면(全面)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26)은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26)이 (반)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반)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26)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26)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대향전극(226) 상에 봉지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봉지층(23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미도시)과 유기막(미도시)이 적층된 다층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지층(230)을 유기막 또는 무기막 만으로 형성할 경우 막 내부에 형성된 미세한 통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산소나 수분 등이 침투하여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캡핑층(미도시)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편광층(320)과 터치스크린패널(340) 사이에는 점착층(3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3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커버 윈도우(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편광층(320) 사이에는 점착층(310)이 개재될 수 있고, 커버 윈도우(400)와 터치스크린패널(340) 사이에도 점착층(350)이 개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층들 사이에 다른 층들이 더 개재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점착층(310, 330, 350)들은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접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도 4참조) 및/또는 터치스크린패널(340, 도 4 참조)과 같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310, 330, 350,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플렉서블 영역(FA) 및 비플렉서블 영역(NFA)을 포함하며,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준비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구조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 기판(21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커패시터(CAP) 등이 형성되고,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220)가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220) 상에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번하여 형성된 봉지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기에, 지지 기판(미도시) 상에 플렉서블 기판(210)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각종 소자들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형성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후속 공정을 위해 하부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위치한 점착물질(12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全面)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기판(210)을 보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보호 필름(10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는 기능층(30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즉 기능층(3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층(300)은 복수개의 층들이 겹쳐서 구비된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300)은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과 같은 층들을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층(320) 및 터치스크린패널(340)은 점착층(310, 330, 350)을 통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점착층(310, 330, 350)들은 본 실시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접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OCR(Optically Clear Resin)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능층(300) 상에는 커버 윈도우(40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기능층(30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기능층(300)과 에어갭(air gap)없이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400)는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에는 패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 상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예컨대 칩온필름(Chip on Film, COF), 칩온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위치한 점착물질(12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부분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러한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한 후에라면 언제든지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보호 필름(100)을 부착한 직후 바로 수행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각종 기능층(300) 및 커버 윈도우(400) 등을 형성한 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측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을 실장한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에 위치한 부분은 제1 점착층(120a)이 되고, 비플렉서블 영역(NFA)에 위치한 부분은 제2 점착층(120b)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예컨대 실리콘(Silicone), 우레탄(Urethane), 아크릴(Acryl) 계열 또는 천연 고무 등의 점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점착층(120a) 및 제2 점착층(120b)은 상술한 것과 같이 점착물질(120)이 UV조사 공정을 통해 구분되어 형성된 하나의 층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플렉서블 영역(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비플렉서블 영역(NFA)과 보호 필름(1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점착층(120a)의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120b)의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1MPa 초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Pa 이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특성(flexi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호 필름(100) 및 보호 필름(100)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외부로부터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및 하부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100) 및 점착층이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할수록 실장 수율이 저하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안정적으로 실장되기 위해서는 이를 받쳐주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패드부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중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점착층(120a)은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고, 패드부가 위치한 비플렉서블 영역(NFA)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120b)은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점착층(120a)은 제2 점착층(120b)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고, 제2 점착층(120b)은 제1 점착층(12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유연한(flexibility)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한 플렉서블 영역(FA)에서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연성인쇄회로기판(500) 등이 실장되는 패드부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00, 100a, 100b: 보호 필름
120: 점착물질
120a: 제1 점착층
120b: 제2 점착층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플렉서블 기판
220: 유기발광소자
230: 봉지층
300: 기능층
320: 편광층
340: 터치스크린패널
400: 커버 윈도우
500: 연성인쇄회로기판
310, 330, 350: 접착층
Claims (15)
- 플렉서블 영역 및 비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하며,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플렉서블 영역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갖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비플렉서블 영역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를 갖는, 제2 점착층;
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는 상기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보다 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상기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는 1MPa 이하이고, 상기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는 10MPa 이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점착층은 하나의 층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플렉서블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비플렉서블 영역에는 패드부가 위치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보호 필름 사이에는 제1 점착층이 개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2 보호 필름 사이에는 제2 점착층이 개재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동일층에 위치하며 상호 분리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점착층은 동일층에 위치하여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는 상기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storage modulus)보다 작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점착층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대략 15㎛ 이하의 두께를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플렉서블 영역 및 비플렉서블 영역을 포함하며, 일면과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면과 보호 필름 사이에 점착물질 개재하여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물질 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비플렉서블 영역에 위치한 부분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물질의 일부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플렉서블 영역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제1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비플렉서블 영역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스토리지 모듈러스 보다 큰 제2 스토리지 모듈러스를 갖는,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플렉서블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비플렉서블 영역에는 패드부가 형성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4979A KR102559841B1 (ko) | 2016-08-18 | 2016-08-18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15/676,468 US10319801B2 (en) | 2016-08-18 | 2017-08-14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201710710750.1A CN107768404B (zh) | 2016-08-18 | 2017-08-18 | 柔性显示装置 |
US16/393,904 US10818744B2 (en) | 2016-08-18 | 2019-04-24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6/393,887 US20190252485A1 (en) | 2016-08-18 | 2019-04-24 |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4979A KR102559841B1 (ko) | 2016-08-18 | 2016-08-18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1291A KR20180021291A (ko) | 2018-03-02 |
KR102559841B1 true KR102559841B1 (ko) | 2023-07-27 |
Family
ID=6119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4979A Active KR102559841B1 (ko) | 2016-08-18 | 2016-08-18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3) | US10319801B2 (ko) |
KR (1) | KR102559841B1 (ko) |
CN (1) | CN10776840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012098A (ja) * | 2017-06-29 | 2019-01-2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2438446B1 (ko) | 2017-10-26 | 2022-08-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CN108877512B (zh) * | 2018-05-31 | 2021-04-06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102504397B1 (ko) | 2018-08-20 | 2023-03-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
KR102465207B1 (ko) | 2018-09-19 | 2022-11-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보호 필름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
KR102527666B1 (ko) | 2018-11-20 | 2023-05-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보호 필름의 부착 방법 |
KR102654505B1 (ko) * | 2019-01-15 | 2024-04-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CN110176185B (zh) * | 2019-05-29 | 2022-05-31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模组及一种保护膜 |
KR102800825B1 (ko) * | 2019-07-19 | 2025-04-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765814B1 (ko) | 2019-07-31 | 2025-02-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18562A (ko) | 2019-08-05 | 2021-02-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부품,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CN111210723B (zh) * | 2020-01-13 | 2022-06-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组件、可卷曲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
KR102816214B1 (ko) * | 2020-02-17 | 2025-06-0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점착층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N111443770A (zh) * | 2020-03-24 | 2020-07-2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屏及电子设备 |
JP2022035197A (ja) | 2020-08-20 | 2022-03-04 | 株式会社Joled |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CN114220931A (zh) * | 2021-11-29 | 2022-03-22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装置及显示终端 |
CN115775499A (zh) * | 2022-11-25 | 2023-03-10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模组及显示装置 |
CN115857227B (zh) * | 2022-12-29 | 2024-06-14 |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背光模组及显示装置 |
WO2025005609A1 (ko) * | 2023-06-30 | 2025-01-0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91595B2 (ja) | 2000-02-25 | 2004-01-26 |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
JPWO2007066590A1 (ja) | 2005-12-05 | 2009-05-21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表示機器および表示機器の製造方法 |
KR101309397B1 (ko) | 2006-06-29 | 2013-09-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장치용 기판 |
JP2011198779A (ja) * | 2008-07-22 | 2011-10-06 | Sharp Corp | 電子回路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
TWI434250B (zh) | 2010-12-15 | 2014-04-11 | Au Optronics Corp | 可撓性顯示面板 |
KR20120104776A (ko) * | 2011-03-14 | 2012-09-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386219B1 (ko) * | 2012-06-26 | 2014-04-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40052732A (ko) * | 2012-10-25 | 2014-05-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2014139297A (ja) * | 2012-12-21 | 2014-07-31 | Asahi Glass Co Ltd |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
KR102117890B1 (ko) * | 2012-12-28 | 2020-06-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KR102080132B1 (ko) * | 2013-03-20 | 2020-0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
US9051493B2 (en) | 2013-03-28 | 2015-06-09 | Nokia Technologies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ogether multiple functional layers of a flexible display |
KR102132235B1 (ko) * | 2013-11-28 | 2020-07-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151634B1 (ko) * | 2013-11-28 | 2020-09-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243206B1 (ko) * | 2014-03-18 | 2021-04-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
TWM504700U (zh) * | 2014-10-20 | 2015-07-11 | G Tech Optoelectronics Corp |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非平面鋼化玻璃保護貼 |
KR102332623B1 (ko) | 2015-01-05 | 2021-11-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표시장치 |
KR102451081B1 (ko) * | 2016-02-05 | 2022-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양한 점착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16
- 2016-08-18 KR KR1020160104979A patent/KR102559841B1/ko active Active
-
2017
- 2017-08-14 US US15/676,468 patent/US10319801B2/en active Active
- 2017-08-18 CN CN201710710750.1A patent/CN107768404B/zh active Active
-
2019
- 2019-04-24 US US16/393,887 patent/US201902524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04-24 US US16/393,904 patent/US1081874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053817A1 (en) | 2018-02-22 |
US10319801B2 (en) | 2019-06-11 |
US10818744B2 (en) | 2020-10-27 |
US20190252485A1 (en) | 2019-08-15 |
US20190252486A1 (en) | 2019-08-15 |
KR20180021291A (ko) | 2018-03-02 |
CN107768404B (zh) | 2023-09-12 |
CN107768404A (zh) | 201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9841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52267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47692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65843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implement narrow bezel and thin thickness | |
KR102542179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6913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0101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81329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75685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510396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28677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7910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83459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47693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TW201448314A (zh) |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
KR20160145898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86876B1 (ko) |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130049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11469385B2 (en) |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296917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47507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02606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2884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27673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080306A (ko)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