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4505B1 -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05B1
KR102654505B1 KR1020190005383A KR20190005383A KR102654505B1 KR 102654505 B1 KR102654505 B1 KR 102654505B1 KR 1020190005383 A KR1020190005383 A KR 1020190005383A KR 20190005383 A KR20190005383 A KR 20190005383A KR 102654505 B1 KR102654505 B1 KR 10265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base substrate
vacuum
st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944A (ko
Inventor
서태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05B1/ko
Priority to US16/704,724 priority patent/US11211586B2/en
Priority to CN202010037372.7A priority patent/CN111435580B/zh
Priority to EP20151569.9A priority patent/EP36840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shock resistance of the housing, e.g. by increasing the rig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의 보호 필름에 형성된 진공 홀을 통해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박리를 방지하는 윈도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갖는 제1 보호필름;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2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Window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의 보호 필름에 형성된 진공 홀을 통해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박리를 방지하는, 윈도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굽히거나(bending), 접히거나(folding), 말리는(rolling)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윈도우를 사용한다.
그러나, 윈도우는 경도가 낮기 때문에,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윈도우 상에 힘을 가하여 터치가 이루어질 때, 윈도우에 스크래치와 눌림, 흠집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는 스크래치와 눌림, 흠집 등이 발생하지 않게 지문 방지층(Anti-Finger layer)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윈도우에는 지문 방지층 상에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라미네이션(lamination)'은 얇은 필름들의 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윈도우에 점착제와 표시 패널 및 편광판 등을 접합시킨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 시에 롤러에 의한 불량은 정전기 및 이물질 등이 발생되고, 이물질이 보호 필름에 붙게 된다.
이에, 윈도우는 지문 방지층에 의해 보호 필름과의 접합력이 약하여 보호필름이 쉽게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시 윈도우는 보호 필름과의 접합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의 보호 필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해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여 박리를 방지하는 윈도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은, 베이스 기판; 및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갖는 제1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홀은, 베이스 기판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와 중첩할 수 있다.
진공 홀은,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공 홀은, 원 형상이거나 다각 형상 중 하나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의 일면과 제1 보호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은,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지문 방지층을 더 포함하고, 제1 보호필름은 지문 방지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 홀은, 제1 보호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은, 일정 크기로 제1 보호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은, 평면상으로 베이스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은, 유리 기판, 폴리이미드(PI) 기판, 플라스틱 소재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갖는 제1 보호필름;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배치된 제1 접착층;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2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홀은,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필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은, 베이스 기판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제1 보호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필름은, 베이스 기판과의 이형력에 대해, 진공 흡입구로부터 진공 홀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은, 제1 보호필름의 진공 홀에 의해 제1 접착층의 이형력 보다 더 큰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진공 홀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필름의 모든 영역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a) 베이스 기판이 배치되는 단계; 및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이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 제1 보호 필름의 타면이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는 단계; (d) 스테이지로부터의 진공 흡입에 따라 베이스 기판 및 제1 보호 필름이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단계; (e)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제1 접착층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f) 제1 접착층의 타면에 표시 패널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g) 표시 패널의 타면에 제2 접착층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및 (h) 제2 접착층의 타면에 제2 보호 필름이 접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b-1)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지문 방지층이 도포되는 단계; 및 (b-2) 지문 방지층 상에 제1 보호 필름이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은,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로부터 제1 보호 필름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스테이지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제1 보호 필름은,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스테이지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제1 보호 필름은,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제2 보호 필름의 이형력보다 더 큰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제1 보호 필름은, 베이스 기판과의 이형력에 대해,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 및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제1 보호 필름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은,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제1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은,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스테이지에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d)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스테이지에 흡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 시에 보호 필름에 형성된 진공 홀을 통해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접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윈도우와 보호 필름 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접합 사이에 발생된 기포를 보호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 홀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 기판을 국부적으로 진공 흡착하게 됨으로써 제조 공정이 완료될 때까지 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 기판으로부터 보호 필름의 선 박리를 방지함과 더불어 라미네이션 공정 시에 각 자재의 얼라인(Align) 안정성을 높이게 되므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작에 사용되는 고비용의 윈도우 소재의 불량을 개선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 기판의 이형 필름의 구조적 이형력 한계를 라미네이션 공정의 진공 흡착 기술을 이용해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윈도우 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에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와 중첩하는 진공 홀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점착층을 배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지문 방지층을 배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을 보호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이 적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의 모든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진공 홀을 통해 유리 기판이 이형력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기판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윈도우 기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110); 및 베이스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갖는 제1 보호 필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유리(glass) 기판, 폴리이미드(polyimide; PI) 기판, 플라스틱 소재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유리 기판(window glass)을 베이스 기판(110)의 한 예로 선택하고, 베이스 기판(110)을 유리 기판(110)으로 대체하여 설명한다.
유리 기판(110)은 글라스(glass) 또는 수지(resine)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 기판(110)은 윈도우 기판(100)이 표시 패널과 합착된 상태에서, 표시 패널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 홀(1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 필름(120)을 흡착하는 스테이지(130)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에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와 중첩하는 진공 홀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스테이지(130)는 다수의 진공 흡입구(13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으로 유리 기판(110)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120)을 흡착한다. 이때, 제1 보호 필름(120)에는 진공 홀(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테이지(130)는 진공 홀(122)과 중첩하는 진공 흡입구(132)를 통해 공기 흡입력으로 제1 보호 필름(120)도 흡착한다.
진공 홀(122)은, 스테이지(130)의 진공 흡입구(132)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진공 홀(122)은, 원 형상이거나 다각 형상 중 하나이거나, 이들을 조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 홀(122)은 하나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윈도우 기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0)의 일면과 제1 보호 필름(120)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점착층을 배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점착제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유리 기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지문 방지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지문 방지층을 배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제1 보호 필름(120)은 지문 방지층(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문 방지층(150)은 유리 기판(110)에 스크래치나 눌림, 흠집 등이 발생하지 않게 유리 기판(110)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형상 기억 고분자(Shape Memory Polymer, SMP)층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기억 고분자는 온도 및 전기장 등 일정 자극이 가해지는 특정 조건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물질로서, 외부적 충격에 의해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특정 조건을 만들어 주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이다.
이때, 형상 기억 고분자 층은 유리 기판(110)의 가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형상 기억 고분자 층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형태가 복원될 수 있다. 즉, 형상 기억 고분자 층은 표시 장치의 가요성(flexibility)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조건에서 편평한(flat) 형태를 유지하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형태가 변형될 수 있지만,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때에는 편평한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진공 홀(122)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1 보호 필름(12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을 보호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제1 보호 필름(120)은 전체 면적에 다수의 진공 홀(122)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진공 홀(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로 제1 보호 필름(120)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진공 홀(122)은 진공 흡입구(13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진공 흡입구(132)와 1:1로 매칭되게 분산 형성되거나, 진공 흡입구(132)의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로 골고루 분산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1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제1 보호 필름(1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보호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 필름(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진공 홀(122)은 스테이지(130)의 다수의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하게 일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홀(122)은 유리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 홀(122)이 형성된 제1 보호 필름(120)의 가장자리는, 윈도우 기판(100)을 표시 패널에 합착할 때,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110)의 가장자리는 윈도우 기판(100)을 표시 패널에 합착할 때, 표시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이 적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800)는, 베이스 기판(110), 제1 보호 필름(120), 제1 접착층(810), 표시 패널(820), 제2 접착층(830) 및 제2 보호 필름(84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1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glass) 기판, 폴리이미드(PI) 기판, 플라스틱 소재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판(110)을 유리 기판(110)으로 대체하여 설명한다. 물론, 베이스 기판(110)은 PI 기판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기판 중 하나로 대체할 수 있다.
유리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시 패널(82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표시 패널(8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보호 필름(12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갖는다.
제1 접착층(810)은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즉, 제1 접착층(810)은 유리 기판(110)과 표시 패널(8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유리 기판(110)과 표시 패널(820)을 접착시킨다. 이를 위해, 제1 접착층(810)은 제1 보호 필름(120)이 부착된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820)은 제1 접착층(810) 상에 배치된다. 즉, 표시 패널(820)은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접착된 제1 접착층(810)의 다른 면에 접착된다.
제2 접착층(830)은 표시 패널(820) 상에 배치된다. 즉, 제2 접착층(830)은 제1 접착층(810)과 합착된 표시 패널(820)의 다른 면에 배치된다.
제2 보호 필름(840)은 제2 접착층(830) 상에 배치된다. 즉, 제2 보호 필름(840)은 표시 패널(820)과 접착되어 있는 제2 접착층(830)의 다른 면에 접착된다.
진공 홀(1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820)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모든 영역에 걸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홀이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의 모든 영역에 걸쳐 분산되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진공 홀(122)은 표시 패널(820)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전체 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호 필름(1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각 진공 홀(122)은, 스테이지(130)의 다수의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122)은, 표시 패널(820)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진공 홀(122)은 제1 보호 필름(120)의 전체 영역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820)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측과 하측의 각 가장자리 영역에, 가장자리의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호 필름(120)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 진공 홀(122)은 스테이지(130)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122)은, 유리 기판(110)의 스테이지(130)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132)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제1 보호 필름(120)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리 기판(110)은 스테이지(130)로부터의 진공 흡입구(132)를 통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스테이지(130)에 흡착된다. 유리 기판(110)에 접합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120)은 스테이지(130)의 진공 흡입구(132)와 연통되어 있는 다수의 진공 홀(122)을 통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스테이지(130)에 흡착된다.
제1 보호 필름(120)은, 유리 기판(110)과의 이형력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30)로부터 진공 흡입구(132) 및 진공 홀(122)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진공 홀을 통해 유리 기판이 이형력을 가지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0)은, 제1 보호 필름(120)의 진공 홀(122)에 의해 제1 접착층(810)의 이형력 보다 더 큰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층(810)의 이형력은 15 gf/inch 이상일 수 있다. 유리 기판(110)과 제1 보호 필름(120)의 접합에 따른 이형력은 스테이지(130)로부터 진공 흡입구(132)를 통한 공기 흡입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최소 6 gf/inch 이상이 될 수 있다.
유리 기판(110)과 제1 보호 필름(120)의 접합 시에, 유리 기판(110)과 제1 보호 필름(820)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더라도, 발생된 기포는 스테이지(130)의 진공 흡입구(132) 및 다수의 진공 홀(122)을 통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먼저 유리 기판(110)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120)이 유리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된다(S1110).
여기서, 유리 기판(110)은 그 일면에 지문 방지층(150)이 도포되고, 그 지문 방지층(150) 상에 제1 보호 필름(1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판(110)을 유리 기판(110)으로 대체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PI 기판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기판 중 하나로 대체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20)은, 유리 기판(110)이 흡착된 스테이지(130)의 진공 흡입구(132)로부터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제2 보호 필름(840)의 이형력보다 더 큰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보호 필름(840)의 이형력은 최소 20 gf/inch 이상일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20)은 예를 들면, 분진, 파편, 수분 등과 같은 오염 물질로부터 유리 기판(110)을 일시적으로 보호하는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이형 필름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나일론(nylon),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또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이어,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제1 접착층(810)의 일면이 접착된다(S1120).
즉, 유리 기판(110)의 일면에는 제1 보호 필름(120)이 접착되어 있고,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는 제1 접착층(810)이 접착된다.
이때, 유리 기판(110)에 접착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120)은 그 타면이 스테이지(130) 상에 배치되고, 스테이지(130)로부터의 진공 흡입에 따라 유리 기판(110)과 함께 스테이지(130)에 흡착된다. 즉, 제1 보호 필름(120)은 스테이지(130)로부터의 진공 흡입구(132)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따라 스테이지(130)에 흡착된다.
또한, 유리 기판(110)은 스테이지(130)의 진공 흡입구(132)로부터 제1 보호 필름(120)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따라 스테이지(130)에 흡착된다.
유리 기판(110)은, 표시 패널(820)의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스테이지(130)에 흡착될 수 있다.
유리 기판(110)은, 표시 패널(82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스테이지(130)에 흡착될 수 있다.
유리 기판(110)은, 표시 패널(820)의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보호 필름(120)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스테이지(130)에 흡착될 수 있다.
이렇게 유리 기판(110)이 스테이지(130)에 흡착된 상태에서,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제1 접착층(810)이 접착된다.
제1 접착층(810)은 접히거나(folded), 말리거나(rolled) 또는 구부러질(bended)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800)가 접히거나, 말리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경우에, 제1 접착층(810)도 함께 접히거나, 말리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접착층(810)은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810)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또는 우레탄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1 접착층(810)의 타면에 표시 패널(820)의 일면이 접착된다(S1130).
즉, 제1 접착층(810)의 일면에는 유리 기판(110)이 접착되어 있고, 제1 접착층(810)의 타면에는 표시 패널(820)이 접착된다. 표시 패널(820)과 제1 접착층(810)의 접착력은 0.3 kgf/inch ~ 1.5 kgf/inc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보호 필름(120)이 유리 기판(110)의 일면에 배치되고(S1110), 이어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제1 접착층(810)의 일면이 접착(S1120)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120)이 스테이지(130) 상에 배치되고, 제1 보호 필름(120) 상에 유리 기판(110)이 배치되며, 유리 기판(110) 상에 제1 접착층(810)이 배치되고, 제1 접착층(810) 상에 표시 패널(82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820)은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 요소이다. 표시 패널(82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신호선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pixel, PX)를 포함한다. 화소(PX)는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scanning signal line),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ata line),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 등을 포함한다. 주사 신호선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구동 전압선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나,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뻗거나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Qs),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Qd),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N1), 입력 단자(input terminal)(N2)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N3)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N1)는 주사 신호선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N2)는 데이터선에 연결되며, 출력 단자(N3)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주사 신호선으로부터 받은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N3), 입력 단자(N4) 및 출력 단자(N5)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N3)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고, 입력 단자(N4)는 구동 전압선에 연결되며, 출력 단자(N5)는 유기 발광 소자(LD)에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N3)와 출력 단자(N5)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LD)를 흘린다.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N3)와 입력 단자(N4) 사이에 연결된다. 이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N3)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N5)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L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들 색의 공간적인 합으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어, 표시 패널(820)의 타면에 제2 접착층(830)의 일면이 접착된다(S1140).
즉, 표시 패널(820)의 일면에는 제1 접착층(810)을 통해 유리 기판(110)이 접착되어 있고, 표시 패널(820)의 타면에는 제2 접착층(830)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접착층(830)은 제1 접착층(810)과 동일하게 접히거나(folded), 말리거나(rolled) 또는 구부러질(bended)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800)가 접히거나, 말리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경우에, 제2 접착층(830)도 함께 접히거나, 말리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제2 접착층(830)은 감압 접착제(PSA)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접착층(830)은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또는 우레탄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2 접착층(830)의 타면에 제2 보호 필름(840)이 접착된다(S1150).
즉, 제2 접착층(830)의 일면에는 표시 패널(820)이 접착되어 있고, 제2 접착층(830)의 타면에는 제2 보호 필름(840)이 접착된다.
이때, 제1 보호 필름(120)은, 스테이지(130)로부터 진공 흡입구(132)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제2 보호 필름(840)의 이형력보다 더 큰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보호 필름(840)은, 예컨대, 분진, 파편, 수분 등과 같은 오염 물질로부터 표시 패널(820)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일 수 있다. 이형 필름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나일론(Nylon), 폴리테트라 플로로에틸렌(PTFE),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PEEX), 폴리카보네이트(PC) 및/또는 폴리아릴레이트(PAL)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제2 보호 필름(840)과 제2 접착층(830)의 접착력은 0.3 kgf/inch ~ 1.5 kgf/inch일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20)은, 유리 기판(110)과의 이형력에 대해, 스테이지(130)로부터 진공 흡입구(132) 및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120)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122)은, 스테이지(130)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132)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제1 보호 필름(120)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8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0)에 지문 방지층(150)이 접착된 상태에서, 지문 방지층(150) 상에 제1 보호 필름(120)을 접착하고,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제1 접착층(810)을 통해 제2 보호 필름(840)을 접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기판에 보호 필름을 접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110)이 접착된 지문 방지층(150) 상에 제1 보호 필름(120)을 접착하고, 유리 기판(110)의 타면에 제2 보호 필름(840)을 접착하는 경우에, 윈도우 기판(100)을 접합 롤러(910, 920)에 투입하거나 투입 이후에 제1 보호 필름(120)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지문 방지층(150)과 제1 보호 필름(120)의 흡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문 방지층(150)과 제1 보호 필름(120) 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기판(110)에 제1 접착층(810)을 통해 접착되어 있는 제2 보호 필름(840)을 제1 접착층(81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에, 제1 보호 필름(120)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 홀(122)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지문 방지층(150)과 제1 보호 필름(120)의 흡착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즉, 스테이지(130)가 진공 흡입구(132)를 통해 제1 보호 필름(120)을 흡착할 때, 제1 보호 필름(120)의 다수의 진공 홀(122) 중에서 진공 흡입구(132)와 중첩하는 진공 홀(122)은 진공 흡입구(132)와 연통하므로, 진공 흡입구(132)와 연통하는 진공 홀(122)을 통해 지문 방지층(150)의 유리 기판(110)도 스테이지(130)에 흡착됨으로써 지문 방지층(150)과 제1 보호 필름(120)의 흡착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윈도우 기판(100)으로부터 제2 보호 필름(840)을 떼어내는 작업 시에도 윈도우 기판(100) 내에 포함된 지문 방지층(150)과 제1 보호 필름(120) 간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 시에 윈도우의 보호 필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해 윈도우와 보호 필름의 접합 상태를 유지하여 박리를 방지하는 윈도우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윈도우 기판 110: 베이스 기판
120: 제1 보호필름 122: 진공 홀
130: 스테이지 132: 진공 흡입구
140: 점착층 150: 지문 방지층
800: 플렉서블 표시장치 810: 제1 접착층
820: 표시 패널 830: 제2 접착층
840: 제2 보호필름 910, 920: 접합 롤러

Claims (26)

  1.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갖는 제1 보호필름;
    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배치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와 중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원 형상이거나 다각 형상 중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 형상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과 상기 제1 보호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
    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지문 방지층(Anti-Finger layer)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지문 방지층 상에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일정 크기로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평면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유리(glass) 기판, 폴리이미드(polyimide; PI) 기판, 플라스틱 소재 기판 중 하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에 배치된 제1 접착층;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
    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영역에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의 이형력에 대해, 상기 진공 흡입구로부터 상기 진공 홀을 통한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진공 홀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한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이형력은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한 상기 제1 접착층의 이형력 보다 더 큰,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홀은,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모든 영역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a) 베이스 기판이 배치되는 단계; 및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호 필름이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단계;
    (e)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제1 접착층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접착층의 타면에 표시 패널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전에,
    (c)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타면이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는 단계;
    (d) 상기 스테이지로부터의 진공 흡입에 따라 상기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1 보호 필름이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 후에,
    (g) 상기 표시 패널의 타면에 제2 접착층의 일면이 접착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접착층의 타면에 제2 보호 필름이 접착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지문 방지층이 도포되는 단계; 및
    (b-2) 상기 지문 방지층 상에 상기 제1 보호 필름이 배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스테이지의 진공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를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판에 대한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이형력은 상기 제2 접착층에 대한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이형력보다 더 큰,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보호 필름은, 상기 베이스 기판과의 이형력에 대해, 상기 스테이지로부터 진공 흡입구 및 상기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력에 의해 20 gf/Inch 이상이 되는 이형력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은, 상기 스테이지에 형성된 진공 흡입구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형태로 상기 제1 보호 필름에 골고루 분산되어 형성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호 필름의 영역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진공 홀을 통한 진공 흡입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에 흡착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90005383A 2019-01-15 2019-01-15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65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83A KR102654505B1 (ko) 2019-01-15 2019-01-15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6/704,724 US11211586B2 (en) 2019-01-15 2019-12-05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window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2010037372.7A CN111435580B (zh) 2019-01-15 2020-01-14 包括窗衬底的柔性显示设备
EP20151569.9A EP3684036B1 (en) 2019-01-15 2020-01-14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window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83A KR102654505B1 (ko) 2019-01-15 2019-01-15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944A KR20200088944A (ko) 2020-07-24
KR102654505B1 true KR102654505B1 (ko) 2024-04-04

Family

ID=6916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83A Active KR102654505B1 (ko) 2019-01-15 2019-01-15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11586B2 (ko)
EP (1) EP3684036B1 (ko)
KR (1) KR102654505B1 (ko)
CN (1) CN111435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5441B (zh) * 2019-11-28 2023-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膜及其制作方法、柔性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727809B1 (ko) 2019-12-10 202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12349209A (zh) * 2020-12-01 2021-02-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CN113193143B (zh) * 2021-04-22 2022-08-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217238987U (zh) * 2022-01-18 2022-08-19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组件及电子设备
CN115019659B (zh) * 2022-06-29 2023-08-25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3172A1 (en) 1997-08-25 2001-11-22 Mcgrath James M. Field emission display
US20160135286A1 (en) 2013-05-29 2016-05-12 Chang-soon Hwang Bend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224068A1 (en) 2015-01-30 2016-08-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271914A1 (en) 2015-03-16 2016-09-2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member for the same
CN205674219U (zh) * 2016-05-13 2016-11-09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机械手手臂、机械手及承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91B1 (ko) 2011-10-26 2018-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용 고정지지대
KR20140062368A (ko) * 2012-11-14 2014-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480267B1 (ko) 2013-10-18 2015-01-09 안병운 휴대용 단말기 보호필름
KR102269133B1 (ko) * 2014-04-30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7856B1 (ko) * 2015-01-30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을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503759B1 (ko) 2015-04-16 2023-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공성 점착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29707A (ko) 2015-09-07 2017-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38247B1 (ko) * 2015-09-07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0697B1 (ko) * 2015-12-3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0822A (ko)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KR102559841B1 (ko) * 2016-08-18 2023-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95748B1 (ko) * 2016-09-26 2024-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N108583981B (zh) * 2018-04-26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面载台、柔性面板加工设备及拉伸底部保护膜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3172A1 (en) 1997-08-25 2001-11-22 Mcgrath James M. Field emission display
US20160135286A1 (en) 2013-05-29 2016-05-12 Chang-soon Hwang Bend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224068A1 (en) 2015-01-30 2016-08-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271914A1 (en) 2015-03-16 2016-09-2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ndow member for the same
CN205674219U (zh) * 2016-05-13 2016-11-09 鄂尔多斯市源盛光电有限责任公司 机械手手臂、机械手及承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4036B1 (en) 2023-12-06
EP3684036A1 (en) 2020-07-22
CN111435580B (zh) 2024-07-30
KR20200088944A (ko) 2020-07-24
US20200227678A1 (en) 2020-07-16
CN111435580A (zh) 2020-07-21
US11211586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505B1 (ko)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US979841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279722B1 (en) Display device
US10510980B2 (en) Display module
US83230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CN106409839B (zh) 包括柔性显示面板的多视觉显示装置
US11600208B2 (en) Display device
US2020001398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85712B1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1079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395759B2 (en) Protective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088718B2 (en)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710030B2 (en) Double sided AMOLED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20170064160A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579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TWI816799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1991848B2 (en)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US2023010660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02680B2 (en) Electronic device
KR102703404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24027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