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8984B1 -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984B1
KR102558984B1 KR1020210001387A KR20210001387A KR102558984B1 KR 102558984 B1 KR102558984 B1 KR 102558984B1 KR 1020210001387 A KR1020210001387 A KR 1020210001387A KR 20210001387 A KR20210001387 A KR 20210001387A KR 102558984 B1 KR102558984 B1 KR 10255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illed
inlet
cap
chem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460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JP202351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39254A/ja
Priority to PCT/KR2021/010699 priority patent/WO2022045654A1/ko
Priority to US18/022,590 priority patent/US20230321345A1/en
Priority to TW110130742A priority patent/TWI819358B/zh
Publication of KR2022002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9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65Ai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2Pri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61M2005/1416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placed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제조방법은, 주입구가 연결된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소정의 볼륨이 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플런저를 배치하는 플런저 배치 단계; 및 상기 플런저 배치 단계 후,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는 약액 프리필드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AND PRE-FILLE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본 개시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환자에게 액상의 약액(예를 들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저장 공간 내에 있는 약액이 환자와 연결되는 통로(예를 들어, 관 및 주사 바늘의 내부 공간)를 통과하여,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종래의 약액 주입 장치는 팽창 및 수축의 과정을 거쳐 약액을 주입한다. 구체적으로, 약액 주입 장치의 내부에 약액을 충진할 때 약액이 충진되는 공간이 팽창되고, 약액이 충진된 공간을 수축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공간이 원래의 볼륨으로 되돌아가려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약액 주입 장치 내의 약액이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식, 벌룬(balloon)식, 공기압축식 등의 탄성체나 공기의 압축 에너지를 이용하여 위의 수축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약액 주입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의 챔버의 내측면에서는 플런저의 슬라이딩을 위한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체내로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약액 주입 장치 내부에 약액을 충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의 병원과 같은 의료 환경에서는 인적, 물적 이동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예측 할 수 없는 다양한 변수들로 인하여, 약액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감염 원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약액의 처리 과정에서의 감염은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현재의 병원에서는 무균실에서 특별히 관리된 절차와 규정에 따라 약액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병원에서 무균실을 운영하고 안전하게 약액을 처리함으로 인하여, 인적 비용 및 물적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0-510740호 (2000년 8월 22일 공개)
한국 기업인 ㈜이화바이오메딕스는 기존에 약물 주입 장치인 "ANAPA"라는 제품을 판매하여 왔는데,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기존의 "ANAPA" 장치의 업그레이드 버전의 보다 혁신적인 약물 주입 장치를 제시한다.
종래의 약액 주입 장치에서는, 약액 주입 장치의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면서 플런저가 상기 챔버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 공간의 팽창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챔버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상기 내측면에 도포된 윤활제가 손상되거나 엉켜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후 약액 주입을 위해 상기 내부 공간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런저가 팽창 과정에서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같은 내측면을 따라 한번 더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플런저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증가된다. 또한, 윤활제가 손상되거나 엉켜서 변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마찰 저항을 설계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상기 수축 과정 중에서도 상기 내측면의 어느 부분에 상기 플런저가 접촉하고 있는지에 따라 상기 마찰 저항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윤활제 막의 변형은 상기 수축 과정에서 상기 플런저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일정한 설정을 곤란하게 하여, 일정한 약액 유입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개시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감염 위험성이 높은 특수한 환경인 병원에서의 약액 주입 준비 작업을 줄일 수 있는 약액이 미리 충전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또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병원에서의 인적 비용 및 물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하고 편리한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또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윤활제 막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주입구가 연결된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챔버의 내측면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소정의 볼륨이 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플런저를 배치하는 플런저 배치 단계; 및 상기 플런저 배치 단계 후,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는 약액 프리필드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는, 약액이 채워진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주입구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내부 공간의 볼륨이 줄어들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 동작부; 및 상기 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는 누출방지 캡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는, 상기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상기 누출방지 캡을 관통하여 상기 주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의 돌출 말단에 상류측 말단을 형성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고, 상기 약액 펌핑 어셈블리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 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는, 외부에 걸었을 때 중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가 상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된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 배치 단계 이후 상기 약액 프리필드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의 약액 충전 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되지 않게 하여,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도포된 윤활제 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에게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상술한 수축 과정에서 상기 플런저에 가해지는 마찰력의 일정한 설정이 가능하고, 설정된 일정한 약액 유입 속도로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또는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병원에서의 약액 조제 작업이나 약액 충전 작업을 최소화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병원에서의 인적 비용 및 물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상기 누출방지 캡에 의해서, 상기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유통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약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상기 걸이부를 통해,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사용시 상기 챔버의 상기 주입구가 항상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환자)의 사용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환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2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의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약액 펌핑 장치(100), 누출방지 캡(200) 및 연결 캡(3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 부분(E)을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7에서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챔버(110)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챔버(110)의 일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챔버(110)의 일 부분에 연결 캡(310)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류" 및 "하류"는, 약액 펌핑 장치(100)가 약액을 가압할 때 약액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화살표 F의 방향이 하류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류 방향의 반대 방향이 상류 방향으로 정의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필드(Pre-Filled) 약액 주입 장치(1)는 약액(M)이 미리 채워진 상태의 약액 주입 장치(1)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약액(M)이 미리 채워진 상태의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약액 펌핑 장치(100)의 내부에 채워진 약액(M)을 포함한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내부 공간(110s)에 약액(M)이 수용된 약액 펌핑 장치(100)를 포함한다. 약액 펌핑 장치(100)는 약액(M)이 채워진 내부 공간(110s)이 형성되는 챔버(110)를 포함한다. 챔버(110)에는 내부 공간(110s)에 연결된 주입구(110a)가 형성된다. 내부 공간(110s)의 약액(M)은 주입구(11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약액 펌핑 장치(100)는 내부 공간(110s)의 볼륨(volume)이 줄어들도록 챔버(1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120)를 포함한다. 플런저(120)는, 소정의 가압 방향(Ap)으로 이동함으로써, 챔버(110) 내부의 약액(M)을 가압할 수 있다.
약액 펌핑 장치(100)는 플런저(120)가 이동하도록 플런저(120)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 동작부(130)를 포함한다. 가압 동작부(130)는 플런저(120)가 가압 방향(Ap)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가스 활성(gas activation) 또는 벌룬(balloon) 등을 통해 내부에 발생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120)를 가압 방향(Ap)으로 가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힘으로 플런저(120)를 가압 방향(Ap)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동작부(130)는 가스 활성에 의해 내부에 기체(예를 들어, 이산화 탄소)를 발생시켜 플런저(120)를 가압하게 한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약액 펌핑 장치(100)와 결합되는 누출방지 캡(200)을 포함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챔버(110)에 결합되어 주입구(110a)를 막는다.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약액 유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약액 유동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약액 유동부(300)는 약액 유동 라인(320)을 포함한다. 약액 유동부(300)는 에어 필터(330) 및 약액 이송관 장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서, 약액 주입 준비 과정인 프라이밍(Priming) 과정과 약액 주입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밍 과정에서, 프라이밍용 액체가 약액 유동 라인(320)을 따라 흘러가도록 한다. 엔드 캡(500)이 약액 유동부(300)의 하류측 말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라이밍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프라이밍 과정은 환자와 약액 주입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약액 유동 라인(320)을 따라 흐르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공기 필터 및 유량 조절용 모세관장치(예를 들어, 필터 일체형 약액 이송관 장치)(330, 340) 내로 유입된다.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약액 이송관 장치(340)의 하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엔드 캡(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유동 라인(320)의 내부의 공기는 엔드 캡(5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내부의 약액(M)을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이용할 수 있다.
엔드 캡(500)은 약액 이송관 장치(340)를 거친 공기 및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엔드 캡(500)은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드 캡(500)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통과를 막되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벤트 필터(510)를 포함한다. 벤트 필터(510)는 소수성 필터를 포함한다. 엔드 캡(500)은 벤트 필터(510)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스펀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캡(500)은 벤트 필터(5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엔드 캡 케이싱(530)을 포함한다. 엔드 캡 케이싱(530)은 기체가 통과하는 벤트 홀(530a)을 형성한다. 엔드 캡(500)은 약액 이송관 장치(340)의 하류 연결부(341a)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엔드 캡 결합부(54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1는 엔드 캡 결합부(540)의 하류 연결부(341a)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엔드 캡(500)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지면, 엔드 캡(500)을 약액 이송관 장치(340)로부터 분리시키고, 약액 이송관 장치(340)와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을 연결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이나 카테터(cath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인입 부품'과 '나머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입 부품은 환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나머지 부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나머지 부품을 약액 이송관 장치(340)와 결합시킨 후,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약액 이송관 장치(340)를 거친 액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나머지 부품과 상기 인입 부품을 거쳐,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주사 바늘(610)을 지지하는 주사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 600')은 약액 이송관 장치(340)의 하류 연결부(341a)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닛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2는 유닛 결합부(630)의 하류 연결부(341a)에 대한 결합 및 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일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0)은 주사 바늘(610), 주사 지지부(620) 및 유닛 결합부(6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환자 연결 유닛(600')은 유닛 결합부(630)의 하류 측에 연결되는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를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 유닛(600')은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와 주사 지지부(620)를 연결하는 환자 연결관(640')을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관(6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환자 연결 유닛(600')은 주사 바늘(610), 주사 지지부(620), 환자 연결관(640'),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 및 유닛 결합부(6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유동 라인(320)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약액 유동 라인(320)의 상류측 말단은 연결 캡(31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약액 유동 라인(320)은 플렉서블한 튜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화살표 F를 참고하여, 플런저(120)를 가압 방향(Ap)으로 이동시켜, 약액(M)이 연결 캡(310), 약액 유동 라인(320), 에어 필터(330) 및 약액 이송관 장치(3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에어 필터(330)는 약액 유동 라인(320)과 연결되는 필터 케이싱(331)과, 필터 케이싱(331) 내에 배치되는 필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330)의 필터(332)는 공기 방울을 걸러줄 수 있다.
약액 이송관 장치(340)는 에어 필터(330)와 연결되는 이송관 케이싱(341)과, 이송관 케이싱(341) 내에 배치되는 약액 이송관(342)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이송관(342)은 약액(M)이 흐르도록 구성된 모세 유로를 가질 수 있다. 약액 이송관(342)은 약액 유동 라인(320)을 따라 흐르는 약액의 시간당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프라이밍용 액체를 외부로부터 유입시키기 위한 포트를 포함하는 티밸브(T-Valve)가 약액 유동 라인(320)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약액 유동 라인의 일 부분을 개폐하는 클램프 등의 개폐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티밸브는 약액 유동 라인(320)에서 분기되어 상기 포트와 연결되는 분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4를 참고하여, 도 1 및 도 3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약액 펌핑 장치(100')를 포함한다. 약액 펌핑 장치(100')의 챔버(110)에는 내부 공간(110s)에 연결된 서로 다른 주입구(110a) 및 유입구(115h')가 형성된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의 경우, 제조 과정에서 내부 공간(110s)에 약액 충전시 주입구(110a)와 다른 별도의 유입구(115h')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주입구 형성부(111)의 연장 홈(111a)이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주입구 형성부(111')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의 챔버(110)는 유입구(115h')를 형성하는 유입구 형성부(115')를 포함한다. 유입구 형성부(115')는 챔버(110)의 일측에 고정된 제1 부분(115a')과, 제1 부분(115a')에 고정된 제2 부분(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5h')는 제1 부분(115a') 및 제2 부분(115b')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유입구(115h')에 배치되는 원웨이 밸브(116')를 포함할 수 있다. 원웨이 밸브(116')는 체크 밸브(one-way valve)의 기능을 수행한다. 원웨이 밸브(116')는, 유입구(115h')에서 약액(M)이 내부 공간(110s)의 외측으로 흐르는 역류를 방지한다. 원웨이 밸브(116')는,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110s)으로 이동하는 약액의 흐름(유입 흐름)을 허용하되, 내부 공간(110s)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는 약액(M)의 흐름(유출 흐름)을 막는다. 원웨이 밸브(116')는 상기 유입 흐름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말단에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원웨이 밸브(116')의 상기 홀은 유입구(115h') 내의 약액의 흐름 방향에 따라 개폐 여부가 달라진다. 유입구(115h') 내의 약액(M)이 상기 유입 흐름의 방향으로 흐를 때 원웨이 밸브(116')의 상기 홀이 열리고, 유입구(115h') 내의 약액(M)의 흐름이 없거나 약액(M)이 상기 유출 흐름 방향으로 흐르려 할 때 원웨이 밸브(116')의 상기 홀이 닫힌다. 원웨이 밸브(116')는 제1 부분(115a') 및 제2 부분(115b')에 끼여서 안착되는 플랜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원웨이 밸브(116')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는 유입구(115h')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는 가압 밸브(11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밸브(117')는 스웨버블 밸브(swabable valve)일 수 있다. 제2 부분(115b')은 가압 밸브(117')를 지지할 수 있다. 가압 밸브(117')는, 외부로부터 누름 시 개방되는 홀(117h')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밸브(117')의 홀(117h')을 형성하는 표면에 외부로부터 주사기의 팁(tip)이 가압된 경우, 상기 표면이 휘어지며 홀(117h')이 열릴 수 있다. 가압 밸브(117')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제조방법은 챔버(110)의 내부에 플런저(120)를 배치하는 플런저 배치 단계(S1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 각각의 단면도(a)에는, 플런저 배치 단계(S10)가 완료된 상태의 제조 중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가 도시된다.
플런저 배치 단계(S10)에서, 주입구(110a)가 연결된 내부 공간(110s)을 한정하는 챔버(110)의 내측면에 윤활제(L)를 도포한다. 플런저 배치 단계(S10)에서, 내부 공간(110s)이 소정의 볼륨(volume)이 되도록 챔버(110)의 내부에 플런저(120)를 배치한다. 플런저 배치 단계(S10)에서, 챔버(110)의 내측면에 윤활제(L)를 도포한 후 챔버(110)의 내부에 플런저(12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110)의 상기 내측면에 도포된 윤활제(L)가 손상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챔버(110)의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이 충전되는 약액 프리필드 단계(S20)를 포함한다. 약액 프리필드 단계(S20)는 플런저 배치 단계(S10) 이후에 진행된다. 도 3 및 도 4 각각의 단면도(b)에는, 약액 프리필드 단계(S20)가 완료된 상태의 제조 중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가 도시된다.
약액 프리필드 단계(S20)에서, 플런저(120)가 챔버(110)의 상기 내측면에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플런저(120)가 상기 소정의 볼륨만큼의 내부 공간(110s)을 한정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M)이 충전될 수 있다.
약액 프리필드 단계(S20)에서, 누출방지 캡(200)이 약액 펌핑 장치(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M)이 충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10')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에서, 챔버(110)의 주입구(110a)를 통해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이 충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를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110)의 유입구(115h')를 통해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이 충전될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의 제조 과정에서, 유입구(115h')를 통해 내부 공간(110s)으로 약액을 충전할 때 내부 공간(110s)의 공기가 주입구(110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 제조방법은, 챔버(110)에 누출방지 캡(200)을 결합하여 주입구(110a)를 막는 누출방지 캡 결합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10')를 포장하는 포장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장 단계(S40)에서,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10')만 포장될 수도 있고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10')와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다른 부품(예를 들어, 상기 약액 유동부)이 함께 포장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10, 10') 및 약액 유동부(30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될 수도 있고 서로 임시적으로 결합된 상태(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포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약액 펌핑 장치(100), 누출방지 캡(200) 및 연결 캡(31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플런저(120)는 내부 공간(110s)의 약액(M)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가압 면(121)을 포함한다. 가압 면(121)은 내부 공간(110s)의 일측 면을 한정한다. 누출방지 캡(200)은 약액 펌핑 장치(100)와 약액 유동부(300) 사이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약액 유동부(300)는 챔버(110)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유동부(300)는 챔버(110) 및 누출방지 캡(20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약액 유동부(300)는 연결 캡(3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약액 펌핑 어셈블리(1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챔버(11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약액 유동 라인(320)은 연결 캡(310)에 결합된다. 약액 유동 라인(320)은 연결 캡(310)의 연결 유로(310p)의 하류측 말단에 연결되는 약액 유동 유로(320p)를 가진다.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약액 유동부(300)의 하류측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엔드 캡(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캡(500')은 약액 이송관 장치(340)의 하류측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엔드 캡은 예를 들어 도 1의 엔드 캡(500)이나 도 5의 엔드 캡(500') 등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고, 이 중 어느 하나가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외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400)는, 외부에 걸었을 때 중력에 의해 챔버(110)의 주입구(110a)가 상측을 바라보도록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400)는 연결 캡(310)에 결합되어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이부(400)는 일단이 연결 캡(310)에 고정된 고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400)는 고리(410)의 타단에 고정된 고리 커넥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400)는 고리 커넥터(42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가 고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고리를 외부의 물체에 걸어,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가 매달리게 할 수 있다.
도 6를 참고하여,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는 챔버(110)의 내측면에 도포되는 윤활제(L)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L)는 플런저(120)가 이동하며 슬라이딩 가능한 챔버(110)의 내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L)는 챔버(110)의 내부 공간(110s)을 한정하는 내측면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제(L)는 실리콘 오일(Silicon Oil) 등일 수 있다. 윤활제(L)는 챔버(110)의 내측면에 도포 및 점착(Curing)되어 플런저(120) 가 챔버(110)의 내측면을 따라 가압 방향(도 1의 화살표 Ap 참고)으로 슬라이딩할 때 저항 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유속에 변화를 주는 요인의 발생을 막거나 저감한다.
도 7은 도 6의 일 부분(E)을 확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챔버(110)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중심축"은 챔버(110)의 주입구 형성부(111)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상기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반경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내측 반경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주입구 형성부(111)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중심축(X), 외측 반경 방향(XO), 내측 반경 방향(XI), 둘레 방향(XC),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이 도시된다.
연결 캡(310)은, 연결 캡(310)이 누출방지 캡(200)에 결합되고 연결 캡(310)의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지 않은 임시 결합 상태(도 7 참고)와, 상기 임시 결합 상태에서의 연결 캡(310)의 위치보다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위치에 연결 캡(310)이 위치하여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는 주입 결합 상태(도 8 참고)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고하여, 연결 캡(310)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여 주입구(110a)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파이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누출방지 캡(200)을 덮으며 상기 챔버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사용시 연결 캡(310)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게 할 수 있다(도 8 참조). 사용자는 연결 캡(310)을 제1 방향(D1)으로 밀면서 둘레 방향(XC)으로 회전시켜 챔버(110)의 제2 스크류(112a)와 연결 캡(310)의 제1 스크류(314)가 서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한번에 챔버(110)와 약액 유동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약액 유동부(300)와 약액 펌핑 장치(100)를 서로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누출방지 캡(200)은 주입구(110a)와 연결 캡(310) 사이로 약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챔버(110)는 주입구(110a)를 형성하는 주입구 형성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 형성부(111)는 챔버(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주입구 형성부(111)는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주입구 형성부(111)는 주입구(110a)의 둘레를 에워쌀 수 있다.
챔버(110)는 상기 주입구 형성부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XO)으로 이격되어 주입구 형성부(111)와 갭(110b)을 형성하는 둘레 연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연장부(112)는 둘레 방향(XC)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챔버(110)는 갭(110b)의 제2 방향(D2)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갭(110b)은 둘레 방향(XC)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챔버(110)는, 연결 캡(310)이 챔버(110)에 결합될 때 연결 캡(310)의 제1 스크류(314)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류(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크류(112a)는 챔버(110)의 둘레 연장부(1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112a)는 둘레 연장부(112)의 내측 반경 방향(XI)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110)는 제1 방향(D1)으로 갭(110b)을 한정하는 갭 베이스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갭 베이스면(113)의 내측 반경 방향(XI)의 말단은 주입구 형성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갭 베이스면(113)의 외측 반경 방향(XO)의 말단은 둘레 연장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누출방지 캡(200)은 챔버(110)에 결합되어 주입구(110a)를 막는다. 누출방지 캡(200)에 챔버(110)의 주입구 형성부(111)가 끼워질 수 있다. 연결 캡(310)에 누출방지 캡(200)이 끼워져, 연결 캡(310)이 고정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의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에는, 주입구(110a)로 삽입되는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함몰된 스파이크 삽입 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의 스파이크(311)는 스파이크 삽입 홈(200a)에 삽입됨으로써 누출방지 캡(2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출방지 캡(200)이 스파이크(311)가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약액에 오염원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스파이크 삽입 홈(200a)의 둘레에 형성되는 캡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바디(210)의 중심부에 스파이크 삽입 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캡 바디(210)는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캡 바디(210)는 연결 캡(310)의 캡 삽입 홈(310a)에 삽입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챔버(110)의 주입구 형성부(111)의 둘레를 감싸는 격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부(220)는 캡 바디(210)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둘레 방향(XC)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격벽부(220)는 챔버(110)의 갭(110b)에 삽입될 수 있다. 격벽부(220)는 챔버(110)의 갭 베이스면(113)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격벽부(220)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XO)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30)는 챔버(110)의 갭 베이스면(11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230)는 둘레 방향(XC)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230)는 상기 주입 결합 상태에서 연결 캡(310)의 누름 말단부(313a)에 의해 눌릴 수 있다. 플랜지(230)를 통해 누출방지 캡(200)의 실링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챔버(110)의 주입구(110a)에 삽입되는 주입구 삽입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 삽입부(240)는 캡 바디(210)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주입구 삽입부(240)는 격벽부(220)로부터 내측 반경 방향(XI)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에는, 챔버(110)의 주입구 형성부(111)의 돌출 말단이 삽입되는 돌출 말단 삽입 홈(200b)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말단 삽입 홈(200b)은 주입구 삽입부(2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말단 삽입 홈(200b)은 제2 방향(D2)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은 스파이크(311)가 관통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막(250)을 포함할 수 있다. 막(250)은 주입구 삽입부(24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막(250)은 주입구 삽입부(240)의 제1 방향(D1)으로의 말단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막(250)은 주입구(11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막(250)은, 막(250)의 다른 부분보다 제1 방향(D1)으로의 두께가 얇은 절개 유도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 유도부(251)는 스파이크(311)의 제1 방향(D1)으로의 첨단(311a)의 상기 스크류 회전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궤도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를 상기 주입 결합 상태로 전환시킬 때, 편리하게 누출방지 캡(200)의 기설정된 부분이 스파이크(311)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여 주입구(110a)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파이크(311)를 포함한다. 스파이크(311)는 챔버(110)의 주입구(110a)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스파이크(311)의 돌출 말단은 제1 방향(D1)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스파이크(311)의 돌출 말단에서 상류측 말단을 형성하는 연결 유로(310p)를 가진다. 연결 유로(310p)는 스파이크(311)를 따라 연장된다. 연결 유로(310p)의 하류측 말단은 약액 유동 라인(320)의 약액 유동 유로(320p)와 연결된다.
연결 캡(310)에는 제2 방향(D2)으로 함몰된 캡 삽입 홈(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캡 삽입 홈(310a) 내에 스파이크(311)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누출방지 캡(200)의 격벽부(220)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 커버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커버부(313)는 챔버(110)의 갭(110b)에 삽입될 수 있다.
누출방지 캡(200)의 플랜지(230)는 격벽부(22)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XO)으로 챔버(110)의 표면(11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의 둘레 커버부(313)는, 연결 캡(310)이 챔버(110)에 결합될 때 플랜지(230)를 챔버(110)의 상기 표면(113)을 바라보는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출방지 캡(200)의 실링 기능을 보강할 수 있다.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하는 상기 주입 결합 상태에서, 둘레 커버부(313)의 제1 방향(D1)의 말단(313a)이 누출방지 캡(200)의 플랜지(230)를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제1 스크류(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류(314)는 둘레 커버부(313)의 외측 반경 방향(XO)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누출방지 캡(200)의 제2 방향의 면을 덮는 탑 커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부(312)는 둘레 커버부(313) 및 스파이크(311)를 지지할 수 있다. 스파이크(311)는 탑 커버부(312)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둘레 커버부(313)는 탑 커버부(312)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 캡(310)은 사용자가 상기 스크류 회전 조작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구성된 레버(316)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고). 레버(316)는 레버(316)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스크류 회전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레버(316)는 둘레 커버부(313)에서 외측 반경 방향(XO)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챔버(110)의 일 부분의 입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챔버(110)의 일 부분에 연결 캡(310)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11에는 상기 스크류 회전의 방향(A)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주입구 형성부(111)의 내측 반경 방향(XI)의 표면에는, 주입구 형성부(111)의 돌출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홈(111a)은 주입구 형성부(111)의 제2 방향(D2)으로의 돌출 말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1)의 제조 시 챔버(110)의 내부 공간에 약액을 충전하기 위하여 약액 주입 노즐(nozzle)을 주입구(110a)에 삽입할 때에도, 내부 공간(110s) 내의 공기가 연장 홈(111a)을 따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챔버(110) 및 연결 캡(31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스크류(314)가 제2 스크류(112a)에 의해 안내받는 회전의 방향(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함몰된 걸림 홈이 형성되고, 챔버(110) 및 연결 캡(310) 중 다른 하나는 스파이크(311)가 누출방지 캡(200)을 관통한 상태(상기 주입 결합 상태)에서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110)와 연결 캡(310)이 잠긴 상태가 된 이후에 연결 캡(310)이 챔버(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어렵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110)에 걸림 홈(112b)이 형성되고 연결 캡(310)에 걸림부(316a)가 형성된다.
둘레 연장부(112)의 제2 방향(D2)의 표면에는 제1 방향(D1)으로 함몰된 걸림 홈(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둘레 연장부(112)의 제2 방향(D2)의 표면에는 걸림 홈(112b)보다 제1 방향(D1)으로 짧게 함몰된 걸림 가이드(112c)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가이드(112c)는 상기 스크류 회전의 방향(A)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의 함몰 깊이가 커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 가이드(112c)는 상기 스크류 회전의 방향(A)으로 걸림 홈(112b)에 연결될 수 있다. 걸림 가이드(112c)는 연결 캡(310)의 스크류 회전 시 걸림부(316a)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여, 걸림부(316a)가 걸림 홈(112b)에 안착되게 유도할 수 있다. 걸림부(316a)는 연결 캡(310)의 레버(316)의 제1 방향(D1)으로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0, 10':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L: 윤활제, M: 약액, 100, 100': 약액 펌핑 장치, 110: 챔버, 110s: 내부 공간, 110a: 주입구, 115h': 유입구, 116': 원웨이 밸브, 120: 플런저, 130: 가압 동작부, 200: 누출방지 캡, 300: 약액 유동부, 310: 연결 캡, 310p: 연결 유로, 311: 스파이크, 320: 약액 유동 라인, 330: 에어 필터, 340: 약액 이송관 장치, 400: 걸이부, 500, 500': 엔드 캡, 600, 600': 환자 연결 유닛

Claims (17)

  1. 챔버 및 플런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이며,
    주입구가 연결된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윤활제를 도포하고, 상기 내부 공간이 소정의 볼륨이 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플런저를 배치하는 플런저 배치 단계;
    상기 플런저 배치 단계 후, 상기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는 약액 프리필드 단계; 및
    상기 챔버에 누출방지 캡을 결합하여 상기 주입구를 막는 누출방지 캡 결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주입구를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주입구 형성부; 및
    내측 반경 방향의 말단이 상기 주입구 형성부와 연결되어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 베이스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 캡은,
    상기 주입구 형성부의 둘레를 감싸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상기 갭 베이스면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 캡이 상기 챔버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 캡에 의해 상기 갭 베이스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눌리도록 구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프리필드 단계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챔버의 상기 내측면에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상기 플런저가 상기 소정의 볼륨만큼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약액이 충전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배치 단계에서,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상기 윤활제를 도포한 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상기 플런저를 배치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약액이 채워진 내부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연결된 주입구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내부 공간의 볼륨이 줄어들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런저; 및
    상기 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주입구를 막는 누출방지 캡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주입구를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주입구 형성부; 및
    내측 반경 방향의 말단이 상기 주입구 형성부와 연결되어 외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 베이스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 캡은,
    상기 주입구 형성부의 둘레를 감싸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상기 갭 베이스면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 캡이 상기 챔버에 결합될 때 상기 연결 캡에 의해 상기 갭 베이스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눌리도록 구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주입구 형성부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주입구 형성부와 갭(gap)을 형성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 베이스면은 상기 주입구 형성부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갭을 한정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갭에 삽입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 캡은,
    상기 챔버의 상기 주입구에 삽입되는 주입구 삽입부; 및
    상기 주입구 삽입부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외부의 스파이크가 관통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막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 캡에는, 상기 주입구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주입구 형성부의 돌출 말단이 삽입되는 돌출 말단 삽입 홈이 형성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 캡에는, 상기 주입구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몰된 스파이크 삽입 홈이 형성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 동작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11. 제5항에 따른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상기 누출방지 캡을 관통하여 상기 주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의 돌출 말단에서 상류측 말단을 형성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고, 상기 약액 펌핑 어셈블리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 캡을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에 걸었을 때 중력에 의해 상기 주입구가 상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의 기설정된 위치에 결합된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상기 누출방지 캡을 덮으며 상기 챔버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제1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연결 캡이 상기 챔버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스크류를 안내하는 제2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및 상기 연결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스크류가 상기 제2 스크류에 의해 안내받는 회전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함몰된 걸림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누출방지 캡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홈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상기 격벽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연결 캡이 상기 챔버에 결합될 때 상기 플랜지를 상기 갭 베이스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되는 둘레 커버부를 포함하는,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001387A 2020-08-25 2021-01-06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Active KR10255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13523A JP2023539254A (ja) 2020-08-25 2021-08-12 プレフィルド薬液ポンピング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プレフィルド薬液ポンピングアセンブリ及びプレフィルド薬液注入装置
PCT/KR2021/010699 WO2022045654A1 (ko) 2020-08-25 2021-08-12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US18/022,590 US20230321345A1 (en) 2020-08-25 2021-08-12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and pre-fille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TW110130742A TWI819358B (zh) 2020-08-25 2021-08-19 預填充藥液抽吸組件、其製造方法及預填充藥液注入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6990 2020-08-25
KR1020200106990 202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60A KR20220026460A (ko) 2022-03-04
KR102558984B1 true KR102558984B1 (ko) 2023-07-25

Family

ID=808141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87A Active KR102558984B1 (ko) 2020-08-25 2021-01-06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KR1020210001398A Active KR102558992B1 (ko) 2020-08-25 2021-01-06 약액 펌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주입 준비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98A Active KR102558992B1 (ko) 2020-08-25 2021-01-06 약액 펌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주입 준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8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83922A4 (en) * 2022-02-23 2025-03-26 Yong Hyun Kim MEDICINAL LIQUID PUMPING MODULE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PREPARATION METHOD USING SAME
WO2023163243A1 (ko) * 2022-02-23 2023-08-31 김용현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40A (ja) * 1996-05-23 2000-08-22 シエーリング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充填した注射器の最終滅菌方法
KR100720640B1 (ko) * 2000-04-03 2007-05-21 아스트라제네카 유케이 리미티드 사전 충전식 주사기
JP3960990B2 (ja) * 2004-10-18 2007-08-15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装置
JP6473216B2 (ja) * 2017-11-29 2019-02-20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
WO2019208926A1 (ko) * 2018-04-27 2019-10-31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주입용 튜브의 엔드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51355B1 (en) * 2005-11-21 2018-07-11 ACIST Medical Systems, Inc. Medical fluid injection system
KR102168021B1 (ko) 2017-10-20 2020-10-21 김용현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40A (ja) * 1996-05-23 2000-08-22 シエーリング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充填した注射器の最終滅菌方法
KR100720640B1 (ko) * 2000-04-03 2007-05-21 아스트라제네카 유케이 리미티드 사전 충전식 주사기
JP3960990B2 (ja) * 2004-10-18 2007-08-15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装置
JP6473216B2 (ja) * 2017-11-29 2019-02-20 テルモ株式会社 シリンジ
WO2019208926A1 (ko) * 2018-04-27 2019-10-31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약액주입용 튜브의 엔드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60A (ko) 2022-03-04
KR102558992B1 (ko) 2023-07-25
KR20220026461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6487B2 (ja) 単一または複数の容器のための貯留デバイス
TWI732800B (zh) 注射器填充適配器及流體傳輸組件
TWI681792B (zh) 可伸縮針式注射器
KR102558984B1 (ko)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프리필드 약액 펌핑 어셈블리, 및 프리필드 약액 주입 장치
TWI710388B (zh) 藥劑組裝
EP3042679B1 (en) Outer tube for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JP6945641B2 (ja) 密閉システム調剤投薬装置
KR102168021B1 (ko) 위험 약액 주입용 플러싱 장치 및 위험 약액 주입 장치
RU2552239C1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US20160184522A1 (en) Barrel for syringe and pre-filled syringe
KR20160045739A (ko) 주사기용 루어 연결 어댑터
CN116075331A (zh) 血管造影注射器的特征
KR20000064372A (ko) 바늘없는주사기약제캡슐및그충진방법
TWI664988B (zh) 注射筒、具有動態密封之注射筒推吸桿、及製造注射筒及推吸桿之方法
JP2023532469A (ja) 一次容器に均一な圧力が作用する自動インジェクタ
CN115315283B (zh) 用于医用注射装置的塞子
KR101891787B1 (ko) 필터 주사기
JP4528118B2 (ja) 医薬品移送用結合部品
EP44839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and pre-filled medicinal liquid injection set
US2023032134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pre-filled medicinal liquid pumping assembly, and pre-fille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US20170252511A1 (en) Automatic Anti-Free-Flow Valve for Medical Pumps
JP2023539253A (ja) 薬液ポンピング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薬液注入準備方法
KR20240160582A (ko) 약액 투여 장치
KR20240160584A (ko) 약액 투여 장치
KR20240159902A (ko) 약액 투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