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36B1 - Bumper Stopper Assembly - Google Patents
Bumper Stoppe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7036B1 KR102497036B1 KR1020160044512A KR20160044512A KR102497036B1 KR 102497036 B1 KR102497036 B1 KR 102497036B1 KR 1020160044512 A KR1020160044512 A KR 1020160044512A KR 20160044512 A KR20160044512 A KR 20160044512A KR 102497036 B1 KR102497036 B1 KR 102497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stopper assembly
- shock absorber
- bearing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7 cylind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9 hard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쇼크 업소버 로드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가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범퍼; 및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범퍼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베어링부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범퍼체결부;를 포함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가 소개된다.a plurality of bumpers located on top of the shock absorber rod and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ck absorber rod is penetrated; A bumper stopper assembly including a bumper stopper assembly is introduc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마련되어 차체와 쇼크 업소버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차량의 차량총중량 상태 또는 범프 상태에서 조타시 비틀림 발생에 의한 피로 및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mper stopper assembly provided in a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and interposed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shock absorber, thereby preventing fatigue and noise caused by torsion during steering in a state of gross vehicle weight or a bump stat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체와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이다. 상기 쇼크 업소버는, 차체가 충격을 받게 되면 상하 스트로크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쇼크 업소버 압축시 범프 스토퍼가 작용해서 충격을 막아주어 승차감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general, 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is an anti-vibration and shock absorber installed between an axle and a vehicle body to improve riding comfort by absorbing vibration or shock that the vehicle body and axle receive from a road surface during driving. When the shock absorber receives an impact, an up and down stroke occurs. At this time, when the shock absorber is compressed, a bump stopper acts to block the impact and improve riding comfort.
이러한, 쇼크 업소버는 대부분이 유압식 텔레스코픽 쇼크 업소버가 사용되는데, 이는 로드에 고정된 피스톤이 밀폐된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직선 운동하며, 상기 피스톤 운동시 오리피스 또는 밸브를 통해 작동유가 흡입되거나 토출되면서, 이때 오리피스 또는 밸브를 통과하는 유동저항을 변화시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Most of these shock absorbers use a hydraulic telescopic shock absorber, in which a piston fixed to a rod moves linearly up and down in a sealed cylinder, and hydraulic oil is sucked or discharged through an orifice or valve during the piston movement, at this time The shock is absorbed by changing the flow resistance passing through the orifice or valv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크 업소버는 그 상단에 우레탄 또는 러버 재질의 범퍼 스토퍼(1)가 설치되어 차량의 범프시 타이어가 차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핑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shock absorber has a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스토퍼(1)는 이와 연접한 타 부품 간의 이음 부분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a)와 같이 범퍼 스토퍼(1) 상단부와 인슐레이터(2) 사이의 비빔음 및 충격소음이 발생되며, 또한 (b)와 같이 쇼크 업소버 로드(3)와 범퍼 스토퍼(1)의 내측면 사이에 비빔음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c)와 같이 범퍼 스토퍼(1) 하단에서는 차량의 범프 시에 범프소음 및 충격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종래 범퍼 스토퍼는 단일 재질로 구성되어 형상설계를 통하여 특성값 구현하므로, 차종마다 다른 설계를 해야하며, 초기 변형시는 소프트한 특성이 요구되어 초기 컨택부의 형상은 내구 취약 구조인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since the conventional bumper stopper is composed of a single material and implements characteristic values through shape design, different designs must be designed for each vehicle type, and soft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during initial deformation, so the shape of the initial contact part is There is a disadvantage of a weak durability structur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n admiss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차량총중량 상태 또는 범프 상태에서 조타시 비틀림 발생에 의한 피로 및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mper stoppe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fatigue and noise caused by torsion during steering in a vehicle gross weight state or bump stat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는 쇼크 업소버 로드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가 관통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범퍼; 및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범퍼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베어링부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범퍼체결부;를 포함한다.A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on top of a shock absorber rod, a plurality of bumpers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ck absorber rod is through-coupled; and a cylindrical bumper fastening part in whic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shock absorber rod passes is formed, seating surfaces on which the bumper is seated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bearing part is provided at the center side.
상기 범퍼는 중심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The bumper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entral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안착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범퍼체결부의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홀측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함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범퍼가 상기 범퍼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war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umper,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defective groove, so that the bumper is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umper fastening unit.
상기 범퍼체결부는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bumper fastening part is composed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the bearing pa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상기 베어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에 베어링이 위치될 수 있다.A space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 radi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bearing portion, and a bearing may be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상기 공간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베어링이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ce unit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earing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pace units.
상기 베어링은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다.The bearing may be a thrust bearing.
상기 복수의 범퍼는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umpers are composed of an upper bumper and a lower bumper, and the upper bumper and the lower bumper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에 따르면 종래에 일체로 형성되던 범퍼 스토퍼와는 달리, 범퍼체결부가 마련되고, 범퍼체결부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재질이 상이하여 다른 특성을 갖는 범퍼가 결합된다. 특히, 상측범퍼와 하측범퍼의 형상을 종래의 벨로우즈 형상이 아닌 원통형으로 설계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bumper stopper assembly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bumper stopper integrally formed, a bumper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bumper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coupled do. In particular, by designing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bumpers in a cylindrical shape rather than a conventional bellows shap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durability.
또한, 상측범퍼와 하측범퍼의 재질 조합을 통하여 개별 범퍼의 특성 확보 후 스프링 직렬연결 원리로 원하는 구간에서 특성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여 차종별로 차량의 특성에 적합한 튜닝이 가능하며, 이종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축 변위에 따른 특성 변화 구현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secu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umpers through the material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bumpers, it is possible to design so that the characteristic values can be implemented in the desired section through the spring series connection principle, enabling tuning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for each vehicle type. Since it u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haracteristic change according to contraction displacement.
종래에는 GVW(Gross Vehicle Weight, 차량총중량) 혹은 차량의 범프 상태에서 조타시 범퍼와 쇼크 업소버 상면의 접촉이후, 쇼크 업소버의 회전시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와 쇼크 업소버 상면의 상대마찰 및 비틀림 피로 발생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범퍼체결부에 베어링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범퍼체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로 구분되어 있어 각각의 부분이 분할되어 회전가능하므로, 하측범퍼와 쇼크 업소버 상면의 접촉이후, 쇼크 업소버가 회전되더라도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와 상면의 상대마찰에 의한 이음 및 비틀림 피로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Conventionally, after contact between the bump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during GVW (Gross Vehicle Weight) or bump state of the vehicle, the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umper stopper assemb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when the shock absorber rotates, and the joint caused by torsional fatigu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earing part on the bumper fastening part, the upper bumper and the lower bumper are divided around the bumper fastening part, and each part is divided and rotatable, so that the lower bump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contact each other. Then, even if the shock absorber is rotated, joint and torsional fatigue due to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umper stopper assembly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avoided.
도 1은 종래의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특성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범퍼체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opper assembly;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characteristic curv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범퍼체결부(5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umper fasten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는 쇼크 업소버 로드(100)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100)가 관통결합되는 관통홀(311,331)이 형성되는 복수의 범퍼(300); 및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100)가 관통되는 체결홀(511,531,555)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범퍼(300)가 안착되는 안착면(513,533)이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베어링부(550)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범퍼체결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는 범퍼 캡(700)과 쇼크 업소버 외통(900) 사이에 위치된다.A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top of a
상기 범퍼(300)는 중심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311,331)이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범퍼체결부(500)를 기준으로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혹은 서로 같은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압축량 등을 달리하여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bumper 30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rough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종래에는 상기 범퍼(300)의 형상이 단일재질을 사용하되, 두께를 달리하는 벨로우즈 형상을 함으로써 하드(Hard)한 특성과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갖도록 설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이 박스(Box)형태을 나타내는 원통형상으로 단순화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순화하더라도, 서로 다른 재질의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재질의 조합을 통하여 개별 범퍼(300)의 특성 확보 후 스프링 직렬연결 원리로 원하는 구간에서 원하는 특성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여 차종별로 차량의 특성에 적합한 튜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hape of the bumper 300 is conventionally designed to have hard characteristics and soft characteristics by using a single material but having a bellows shape with different thicknesses, but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ross section can be simplified to a cylindrical shape showing a box shape, while durability can be increased. However, even if simplified, by separating the
또한, 상기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는 이종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축 변위에 따른 특성 변화 구현이 가능하여, 보다 세밀하고 정밀하게 차종에 따라 맞춤 적용이 가능하며 하나의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를 이용하더라도 하드한 특성과 소프트한 특성에 모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범퍼(300)는 여러가지 종류의 우레탄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는 상기 범퍼체결부(5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범퍼체결부(500)는 상측부(510)와 하측부(530)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구분되는 상측부(510)와 하측부(530)의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부(550)가 마련된다. 상기 범퍼체결부(500)에는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범퍼(30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면(513,533)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안착면(513,533)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범퍼체결부(500)의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515,5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515,535)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515,535)가 상기 체결홀(511,531,555)측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돌기(517,537)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300)에는 상기 결합돌기(517,537)에 대응되는 지점에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313,333)이 형성되어 결합돌기(517,537)가 결합홈(313,333)에 걸림으로써, 상기 범퍼(300)가 상기 범퍼체결부(5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상기 범퍼체결부(500)의 상기 베어링부(550)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551)가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551)에 베어링(553)이 위치된다. 상기 공간부(551)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51)에 상기 베어링(553)이 대응되어 배치되되,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베어링(553)은 판베어링 혹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총중량 혹은 차량의 범프 상태에서 조타시 범퍼(300)와 쇼크 업소버 외통(900)의 상면과의 접촉이후, 쇼크 업소버의 회전시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와 쇼크 업소버 외통(900)의 상면과의 상대마찰 및 비틀림 피로 발생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범퍼체결부(500)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범퍼(310)와 하측범퍼(330)로 구분되어 있어 각각의 부분이 분할되어 회전가능하므로, 이음 및 비틀림 피로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A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는 종래에 일체로 형성되던 범퍼 스토퍼와는 달리, 범퍼체결부가 마련되고, 범퍼체결부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재질이 상이하여 다른 특성을 갖는 범퍼가 결합된다. 특히, 상측범퍼와 하측범퍼의 형상을 종래의 벨로우즈 형상이 아닌 원통형으로 설계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bumper stopp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bumper stopper integrally formed, has a bumper fastening portion, and has different material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round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 bumper having is coupled. In particular, by designing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bumpers in a cylindrical shape rather than a conventional bellows shap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durability.
또한, 상측범퍼와 하측범퍼의 재질 조합을 통하여 개별 범퍼의 특성 확보 후 스프링 직렬연결 원리로 원하는 구간에서 특성값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여 차종별로 차량의 특성에 적합한 튜닝이 가능하며, 이종재질을 사용하므로, 수축 변위에 따른 특성 변화 구현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secu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umpers through the material combination of the upper and lower bumpers, it is possible to design so that the characteristic values can be implemented in the desired section through the spring series connection principle, enabling tuning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for each vehicle type. Since it u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haracteristic change according to contraction displacement.
종래에는 GVW(Gross Vehicle Weight, 차량총중량) 혹은 차량의 범프 상태에서 조타시 범퍼와 쇼크 업소버 상면의 접촉이후, 쇼크 업소버의 회전시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와 쇼크 업소버 외통 상면 간의 상대마찰 및 비틀림 피로 발생에 의한 이음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범퍼체결부에 베어링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범퍼체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로 구분되어 있어 각각의 부분이 분할되어 회전가능하므로, 하측범퍼와 쇼크 업소버 외통 상면의 접촉이후, 쇼크 업소버가 회전되더라도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와 상면의 상대마찰에 의한 이음 및 비틀림 피로를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Conventionally, after contact between the bumper and the top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when steering in the state of GVW (Gross Vehicle Weight) or bump of the vehicle,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umper stopper assembly and the top surface of the shock absorber outer cylinder and torsional fatigue occur when the shock absorber rotat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earing part on the bumper fastening part, since the upper bumper and the lower bumper are divided around the bumper fastening part, and each part is divided and rotatable,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umper and the shock absorber outer cylinder After the contact, even if the shock absorber is rotated, there is an advantage in avoiding joint and torsional fatigue due to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umper stopper assembly and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쇼크 업소버 로드
300 : 범퍼
310 : 상측범퍼
311 : 관통홀
313 : 결합홈
330 : 하측범퍼
331 : 관통홀
333 : 결합홈
500 : 범퍼체결부
510 : 상측부
511 : 체결홀
513 : 안착면
515 : 가이드부
517 : 결합돌기
530 : 하측부
531 : 체결홀
533 : 안착면
535 : 가이드부
537 : 결합돌기
550 : 베어링부
551 : 공간부
553 : 베어링
555 : 체결홀
700 : 범퍼 캡
900 : 쇼크 업소버 외통100: shock absorber load
300: bumper
310: upper bumper
311: through hole
313: coupling groove
330: lower bumper
331: through hole
333: coupling groove
500: bumper fastening part
510: upper part
511: fastening hole
513: seating surface
515: guide unit
517: coupling protrusion
530: lower part
531: fastening hole
533: seating surface
535: guide unit
537: coupling protrusion
550: bearing part
551: space part
553: Bearing
555: fastening hole
700: bumper cap
900: shock absorber outer cylinder
Claims (9)
상기 쇼크 업소버 로드가 관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범퍼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베어링부가 마련되는 원통형의 범퍼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체결부는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부와 하측부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a plurality of bumpers located on top of the shock absorber rod and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shock absorber rod is penetrated; and
A cylindrical bumper fastening part in whic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shock absorber rod passes is formed, seating surfaces on which the bumper is seated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bearing part is provided at the center side;
The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the bear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상기 범퍼는 중심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side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안착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범퍼체결부의 길이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surface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홀측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지점에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함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범퍼가 상기 범퍼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3,
A coupling protrusion extending toward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recessed inwar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umper,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defective groove, so that the bumper is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detachably to the bumper fastening portion.
상기 베어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에 베어링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bearing part is provided with a space par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positioned in the space part.
상기 공간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베어링이 대응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6,
The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pac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bearings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pace parts.
상기 베어링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6,
The bearing is a bumper stopp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ust bearing.
상기 복수의 범퍼는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로 구성되며, 상기 상측범퍼와 하측범퍼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umpers are composed of an upper bumper and a lower bumper, and the upper bumper and the lower bumper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512A KR102497036B1 (en) | 2016-04-12 | 2016-04-12 | Bumper Stoppe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512A KR102497036B1 (en) | 2016-04-12 | 2016-04-12 | Bumper Stoppe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249A KR20170117249A (en) | 2017-10-23 |
KR102497036B1 true KR102497036B1 (en) | 2023-02-08 |
Family
ID=6029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512A Active KR102497036B1 (en) | 2016-04-12 | 2016-04-12 | Bumper Stoppe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703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94955A (en) * | 2010-03-18 | 2011-10-06 | Tokai Rubber Ind Ltd | Bound stopper with holding fitt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786A (en) * | 1996-07-08 | 1998-01-27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Bumper device for work machine |
KR20030006654A (en) * | 2001-07-13 | 2003-01-23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Bump stopper in an automobile suspension |
KR100422842B1 (en) * | 2001-11-19 | 2004-03-1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Height adjustable bumper stopper for an automobile suspension |
KR20060021991A (en) | 2004-09-06 | 2006-03-0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Bumper stopper assembly |
-
2016
- 2016-04-12 KR KR1020160044512A patent/KR1024970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94955A (en) * | 2010-03-18 | 2011-10-06 | Tokai Rubber Ind Ltd | Bound stopper with holding fitt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249A (en) | 2017-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8845B2 (en) |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 |
US9797466B2 (en) | Damping force variable type shock absorber | |
US8333270B2 (en) | Floating piston valve of amplitude selective shock absorber | |
CN103299102B (en) | For the spring-damp system of the assembly bearing device in Motor Vehicle | |
EP2404077B1 (en) | Shock absorber with dual piston with reduced damping in initial part of the stroke | |
JP4442842B2 (en) | Damper rebound stopper structure | |
KR102497036B1 (en) | Bumper Stopper Assembly | |
US20210070130A1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 | |
KR20120033836A (en) | Hydraulic bush | |
US8714321B2 (en) | Long travel shock absorber | |
KR20080114609A (en) | Piston-cylinder unit | |
JP2013155840A (en) |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shock absorbing material | |
KR20210140994A (en) | Rebound stopper of shock absorber for vehicle | |
JPH0514127B2 (en) | ||
JP6793011B2 (en) | Vehicle suspension structure | |
RU204114U1 (en) | Pneumohydraulic shock absorber | |
RU2802100C2 (en) | Automotive hydraulic shock absorber | |
JP4690720B2 (en) | Body structure | |
DE10241402B4 (en) | Support bearing for a vibration damper of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for damping vibrations of the suspension | |
KR19980029769A (en) | Rebound Stopper Cushion Rubber for Vehicle Shock Absorber | |
KR100803157B1 (en) | Shock Absorber's Child | |
KR102440523B1 (en) | Bump stopper to prevent ingress of foreign substances | |
JPH0139202Y2 (en) | ||
KR20240092631A (en) | Hydro bush | |
KR102260217B1 (en) | Shock absor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